KR101418077B1 - 셔틀콕 발사장치 - Google Patents

셔틀콕 발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077B1
KR101418077B1 KR1020120147543A KR20120147543A KR101418077B1 KR 101418077 B1 KR101418077 B1 KR 101418077B1 KR 1020120147543 A KR1020120147543 A KR 1020120147543A KR 20120147543 A KR20120147543 A KR 20120147543A KR 101418077 B1 KR101418077 B1 KR 101418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cock
frame
launching
pressure air
rotar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8311A (ko
Inventor
박민영
Original Assignee
광주광역시 광산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광역시 광산구 filed Critical 광주광역시 광산구
Priority to KR1020120147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077B1/ko
Publication of KR20140078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9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pneumatic ball- or body-prope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ozzl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틀콕 발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셔틀콕이 장착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다수의 장착구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구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형의 궤적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회전판과,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회전판 후방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구들 중 하나에 장착된 상기 셔틀콕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셔틀콕을 전방으로 발사시키는 발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는 에어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에어에 의해 셔틀콕을 발사시키므로 발사시 셔틀콕이 파속되거나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셔틀콕 발사장치{Apparatus for launching shuttlecock}
본 발명은 셔틀콕 발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혼자서 배드민턴을 연습할 수 있도록 공압을 이용하여 셔틀콕을 발사시키는 셔틀콕 발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드민턴은 일반인들이 즐기는 구기종목의 경기로서, 현재는 생활체육의 하나로 자리 메김하고 있다. 배드민턴을 통해 유산소 운동 및 건강증진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배드민턴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배드민턴의 특성상, 둘 이상의 사람이 배드민턴 라켓을 사용하여야 하고 혼자서는 연습 등을 할 수 없다. 또한, 배드민턴을 연습하기 위해서는 둘 이상의 사람이 꾸준한 스윙 연습을 필요로 하지만, 항상 두 사람이 함께할 수는 없다. 따라서 배드민턴 선수 또는 배드민턴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는 일관된 자세로 꾸준한스윙 연습이 필요하지만, 상대방이 없이는 연습이 그리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8800호에는 '배드민턴 연습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셔틀콕 튜브 홀더와, 상기 셔틀콕 튜브홀더에 다수 개가 적층되어 내장되는 셔틀콕 적재튜브부와, 상기 셔틀콕 적재튜브부로부터 셔틀콕을 공급받는 다수의 셔틀콕 격발튜브와, 상기 다수의 격발튜브가 연결되는 축과, 상기 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되는 격발튜브부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셔틀콕 홀더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셔틀콕을 공급받은 격발튜브에 내장된 셔틀콕을 전방으로 격발하는 격발부와, 상기 셔틀콕 홀더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홀더구동부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셔틀콕 격발튜브에 수용된 셔틀콕을 격발부를 통해 타격하여 발사하므로 격발부의 타격에 의한 충격으로 셔틀콕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셔틀콕을 공압에 의해 발사하는 셔틀콕 발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셔틀콕이 장착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다수의 장착구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구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형의 궤적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판 후방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구들 중 하나에 장착된 상기 셔틀콕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셔틀콕을 전방으로 발사시키는 발사부를 구비한다.
상기 발사부는 상기 회전판 후방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판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장착구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단부에 전방으로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마련된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관을 통해 연통되어 상기 분사노즐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는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며, 상기 발사부로부터 고압의 공압이 공급시 상기 셔틀콕이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발사되기 위해 상기 장착구에 상기 셔틀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에 진동을 인가하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는 상기 발사부에 의해 발사된 상기 셔틀콕의 발사방향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판을 기준으로 상기 분사노즐에 대향되는 프레임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되, 후단면에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발사된 상기 셔틀콕이 인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상기 셔틀콕이 유동하는 유동경로가 마련되며, 전단면에는 상기 유동경로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셔틀콕이 외부로 인출되는 발사구가 형성된 가이드관과, 상기 발사구를 통해 발사된 상기 셔틀콕이 기설정된 발사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발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관의 전단부 하부에 설치되고, 연통관을 통해 상기 에어공급부재에 연통되며, 상기 에어공급부재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에어를 전방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전단면에 보조분사구가 형성된 보조노즐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는 에어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에어에 의해 셔틀콕을 발사시키므로 발사시 셔틀콕이 파속되거나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셔틀콕 발사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방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셔틀콕 발사장치(10)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셔틀콕(15)이 장착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다수의 장착구(31)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구(31)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형의 궤적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회전판(30)과, 상기 회전판(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판(30) 후방의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구(31)들 중 하나에 장착된 상기 셔틀콕(15)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셔틀콕(15)을 전방으로 발사시키는 발사부(50)를 구비한다.
회전판(3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회전판(30) 하부의 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롤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장착구(31)는 셔틀콕(15)의 크기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발사부(50)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에어에 의해 용이하게 셔틀콕(15)이 발사될 수 있도록 전후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는 장착구(31)가 회전판(30)의 회전중심선과 나란하게 연장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장착구(31)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발사시 셔틀콕(15)이 상방으로 날아갈 수 있도록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상기 회전중심선에 인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장착구(31)들의 경사각도를 상호 상이하게 형성하여 발사되는 셔틀콕(15)의 날아가는 각도를 다양하게 할 수도 있다.
구동부는 회전축이 상기 회전판(30)의 회전중심에 고정되는 회전모터(41)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모터(41)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회전모터(41)의 회전축 및 회전판(30) 사이에는 회전모터(41)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감속하여 회전판(30)에 전달하기 위해 상호 치합된 다수의 기어가 마련된 기어박스가 설치될 수도 있다. 구동부는 회전판(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발사부(50)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에 의해 상기 셔틀콕(15)이 순차적으로 발사되도록 한다.
발사부(50)는 회전판(30)의 후방에 설치된 분사노즐(51)과, 공급관(53)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51)과 연통되어 상기 분사노즐(51)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재(52)를 구비한다.
분사노즐(51)은 회전판(30)의 장착구(31)들에 장착된 셔틀콕(15)들 중 하나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전방으로 발사시킬 수 있도록 회전판(3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장착구(31)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단부에 전방으로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공급부재(52)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관(53)을 통해 분사노즐(51)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콤프레샤와 같은 공급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발사부(50)는 분사노즐(51)의 전방에 셔틀콕(15)이 위치시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도록 에어공급부재(52)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어유닛은 장착구(31)들에 인접된 위치의 회전판(30)에 각각 설치된 제1센서들과, 상기 분사노즐(51)에 설치되어 상기 제1센서를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2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제2센서로부터 상기 제1센서의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분사노즐(51)로 에어가 분사되도록 상기 에어공급부재(52)를 작동시키거나 공급관(53)에 설치된 개폐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공급관(53)을 개방하되, 상기 제2센서로부터 상기 제1센서의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분사노즐(51)로 에어가 분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에어공급부재(52)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공급관(53)에 설치된 개폐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공급관(53)을 폐쇄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10)는 발사부(50)에 의해 발사된 셔틀콕(15)의 발사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60)을 더 구비한다.
가이드관(60)은 상기 회전판(30)을 기준으로 상기 분사노즐(51)에 대향되는 프레임(20)에 설치되며, 전부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가이드관(60)은 후단부가 회전판(30)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후단면에는 회전판(30)으로부터 발사된 셔틀콕(15)이 인입되는 인입구(6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인입구(61)에 연통되어 상기 셔틀콕(15)이 유동하는 유동경로(62)가 마련되며, 전단면에는 상기 유동경로(62)를 통해 유동하는 셔틀곡이 외부로 인출되는 발사구(63)가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관(60)은 상기 셔틀콕(15)이 상방으로 날아갈 수 있도록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1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어공급부재(52)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에어는 분사노즐(51)을 통해 전방으로 분사된다. 분사노즐(51)로부터 분사된 고압의 에어에 의해 회전판(30)의 장착구(31)에 장착된 셔틀콕(15)은 전방으로 발사되고, 발사된 셔틀콕(15)은 가이드관(60)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날아간다. 이때, 회전판(30)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고, 분사노즐(51)의 전방에 셔틀콕(15)이 장착된 장착구(31)가 위치하므로 연속적으로 셔틀콕(15)을 순차적으로 발사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10)는 에어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에어에 의해 셔틀콕(15)을 발사시키므로 발사시 셔틀콕(15)이 파속되거나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1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셔틀콕 발사장치(110)는 회전판(3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30)에 진동을 인가하는 바이브레이터(111)를 구비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11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편심축을 회전시켜 진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바이브레이터(111)는 발사부(50)를 통해 셔틀콕(15)에 고압의 에어가 분사시 진동을 회전판(30)에 인가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111)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의해 장착구(31)에 셔틀콕(15)이 걸리는 것이 방지되므로 발사부(50)로부터 고압의 에어가 공급시 셔틀콕(15)이 용이하게 회전판(30)으로부터 전방으로 발사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틀콕 발사장치(12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셔틀콕 발사장치(120)는 가이드관(60)을 통해 발사된 상기 셔틀콕(15)이 기설정된 발사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발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노즐(121)을 더 구비한다.
상기 보조노즐(121)은 가이드관(60)의 전단부 하부 외주면에 설치되며, 전방면에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는 보조분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노즐(121)은 연통관(123)을 통해 에어공급부재(52)에 연통되어 상기 에어공급부재(52)로부터 고압의 에어를 공급받는다. 보조노즐(121)은 에어공급부재(52)로부터 공급된 고압의 에어를 가이드관(6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분사하므로 가이드관(60)의 발사구(63) 하측에는 전방으로 분사하는 에어층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층에 의해 발사구(63)를 통해 발사된 상기 셔틀콕(15)이 하방으로 날아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보조노즐(121)로부터 분사되는 에어의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노즐(121)은 가이드관(6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셔틀콕 발사장치
15: 셔틀콕
20: 프레임
30: 회전판
41: 회전모터
50: 발사부
51: 분사노즐
52: 에어공급부재
53: 공급관
60: 가이드관
61: 인입구
62: 유동경로
63: 발사구

Claims (4)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셔틀콕이 장착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다수의 장착구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구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형의 궤적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판 후방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구들 중 하나에 장착된 상기 셔틀콕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셔틀콕을 전방으로 발사시키는 발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사부는
    상기 회전판 후방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판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장착구와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단부에 전방으로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마련된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관을 통해 연통되어 상기 분사노즐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발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며, 상기 발사부로부터 고압의 공압이 공급시 상기 셔틀콕이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발사되기 위해 상기 장착구에 상기 셔틀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에 진동을 인가하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발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부에 의해 발사된 상기 셔틀콕의 발사방향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판을 기준으로 상기 분사노즐에 대향되는 프레임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되, 후단면에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발사된 상기 셔틀콕이 인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상기 셔틀콕이 유동하는 유동경로가 마련되며, 전단면에는 상기 유동경로를 통해 유동하는 상기 셔틀콕이 외부로 인출되는 발사구가 형성된 가이드관과,
    상기 발사구를 통해 발사된 상기 셔틀콕이 기설정된 발사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발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관의 전단부 하부에 설치되고, 연통관을 통해 상기 에어공급부재에 연통되며, 상기 에어공급부재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에어를 전방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전단면에 보조분사구가 형성된 보조노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발사장치.
KR1020120147543A 2012-12-17 2012-12-17 셔틀콕 발사장치 KR101418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543A KR101418077B1 (ko) 2012-12-17 2012-12-17 셔틀콕 발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543A KR101418077B1 (ko) 2012-12-17 2012-12-17 셔틀콕 발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311A KR20140078311A (ko) 2014-06-25
KR101418077B1 true KR101418077B1 (ko) 2014-07-10

Family

ID=51129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543A KR101418077B1 (ko) 2012-12-17 2012-12-17 셔틀콕 발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0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181B1 (ko) * 2014-11-26 2016-01-21 김창식 단발셔틀콕 발사장치
CN106310632B (zh) * 2016-08-30 2019-06-21 上海交通大学 羽毛球全自动发球装置
CN108815820A (zh) * 2018-06-22 2018-11-16 山东外贸职业学院 一种新型羽毛球发球装置
CN110433474A (zh) * 2019-09-17 2019-11-12 湖南第一师范学院 一种定速放球型羽毛球训练用发球机
CN111467767B (zh) * 2020-03-10 2021-03-30 江山市三鑫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加温装置的羽毛球插毛机
KR102384636B1 (ko) 2020-06-25 2022-04-08 송봉화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
CN112278397B (zh) * 2020-10-12 2022-02-01 安徽华羽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用于羽毛球的插球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2440A (ja) 2007-03-06 2008-09-18 Masashi Urano シャトル発射装置
KR20090050205A (ko) * 2007-11-15 2009-05-20 전진오 배드민턴 공 발사장치
KR20110018686A (ko) * 2009-08-18 2011-02-24 김경수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110038307A (ko) * 2009-10-08 2011-04-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드민턴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2440A (ja) 2007-03-06 2008-09-18 Masashi Urano シャトル発射装置
KR20090050205A (ko) * 2007-11-15 2009-05-20 전진오 배드민턴 공 발사장치
KR20110018686A (ko) * 2009-08-18 2011-02-24 김경수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110038307A (ko) * 2009-10-08 2011-04-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드민턴 연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311A (ko)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8077B1 (ko) 셔틀콕 발사장치
US5823173A (en) Paintball gun
CN109414611B (zh) 球发射器及包括这种球发射器的球类游戏系统
US5640945A (en) Paintball and paintball gun
US20170136337A1 (en) Shuttlecock automatic collecting and supplying apparatus
US3989245A (en) Tennis practice device having pneumatic ball projector
US5251906A (en) Fireball amusement game
US20160310817A1 (en) Personal Sports Simulation Robot
KR20110038307A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120078800A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JPS62500286A (ja) テニスボ−ル投球装置
US4875459A (en) Gattling-like gun
JP4424787B2 (ja) 卓球遊戯装置
KR100506810B1 (ko) 공 발사 장치
US8360430B2 (en) Table ball game device
JP7278579B2 (ja) ボール発射装置
KR101983783B1 (ko) 다양한 구종 및 구질을 구현 가능한 피칭 머신
CN110730682B (zh) 用于排出和收集球的系统及相关操作方法
JP6425302B2 (ja) ピッチングマシーン
KR101987431B1 (ko) 스마트 벌룬 게임 장치
KR20180000253A (ko) 피칭 머신
CN112268790A (zh) 一种多弹丸连续发射试验平台
KR20210141263A (ko)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
KR101901786B1 (ko) 정구공 발사장치
JP5276877B2 (ja) 遊技機用球発射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