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280B1 - 자동화 배팅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화 배팅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280B1
KR102050280B1 KR1020170172071A KR20170172071A KR102050280B1 KR 102050280 B1 KR102050280 B1 KR 102050280B1 KR 1020170172071 A KR1020170172071 A KR 1020170172071A KR 20170172071 A KR20170172071 A KR 20170172071A KR 102050280 B1 KR102050280 B1 KR 102050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tee
transfer
spac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224A (ko
Inventor
김무성
Original Assignee
김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성 filed Critical 김무성
Priority to KR1020170172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280B1/ko
Priority to US16/175,855 priority patent/US10556166B2/en
Priority to JP2018233021A priority patent/JP6728320B2/ja
Publication of KR20190071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91Balls fixed to a movable, tiltable or flexible ar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50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5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prior to kicking, striking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63B2047/004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having means preventing bridge formation during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63B2071/025Supports, e.g. poles on rolle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8Baseball, rounders or similar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1Contac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30Mainten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6Ring or disc tossing games, e.g. quoits; Throwing or tossing games, e.g. using balls; Games for manually rolling balls, e.g. mar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저장된 공을 순차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호퍼조립체; 상기 바닥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호퍼조립체로부터 배출된 공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티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모듈로부터 전달받은 공이 상기 티대의 상단에 안착되어 티 배팅을 가능하게 하는 승하강모듈을 포함하는 구동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조립체의 내부에는 상기 호퍼 조립체로부터 전달받은 공의 수직 이동을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이송공간 및 상기 티대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공간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티대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Description

자동화 배팅 연습장치{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배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티대에 공을 자동으로 안착시켜 타자의 배팅 연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화 배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저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일반 사회인들도 각종 스포츠 동호회를 구성하여, 운동경기를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직접 몸을 움직여 뛰며 서로 간의 친목을 다지고 건강을 증진시키고 있다.
가령 사회인 야구팀이나 축구팀 또는 농구팀 등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경기장에 모여 경기를 치르거나 체력 단력이나 기술 연습을 통해 경기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한편, 여러 스포츠 중 야구의 경우 배팅 연습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배팅 연습은, 예컨대 기술코치가 타격자에게 볼을 던져주고 타격자는 배트를 이용하여 볼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인력 방식은, 최소한 공을 던져주는 사람이 필요하고, 특히 안전사고의 위험을 안고 있다.
즉, 타격자가 타격한 볼이 공을 던져주는 사람에게 날아가거나 타격시 배트를 놓칠 경우 매우 큰 부상을 입을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에는 볼 타격연습 기계가 개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가동부재와, 일단부가 가동부재에 고정되며 반대단부에서 볼을 구비하는 볼 지지아암을 구비한 볼 타격연습 기계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을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9-008264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혼자서도 배팅 연습이 가능할 수 있도록, 티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공을 공급할 수 있는 재동화 배팅 연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저장된 공을 순차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호퍼조립체; 상기 바닥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호퍼조립체로부터 배출된 공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티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모듈로부터 전달받은 공이 상기 티대의 상단에 안착되어 티 배팅을 가능하게 하는 승하강모듈을 포함하는 구동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조립체의 내부에는 상기 호퍼 조립체로부터 전달받은 공의 수직 이동을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이송공간 및 상기 티대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공간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티대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호퍼조립체는, 복수 개의 공을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호퍼 케이스; 상기 중공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되, 중심부에는 회전축이 마련되고 하나의 공을 수용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의 복수 개의 볼 수용홀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체; 일측은 상기 바닥부와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볼 수용홀의 하단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 수용홀의 하단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공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하나의 볼 수용홀과 대응되는 볼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타측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할 수 있도록 회전축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호퍼 케이스의 내측면 중 상기 볼 배출공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볼 수용공의 상부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돌출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모듈은, 제2 모터;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에 기초하여 함께 회전하고,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는 회전로드; 및 일측에는 상기 회전로드를 수용하는 로드수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호퍼조립체에서 배출된 공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로드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로드를 따라 상하 왕복 운동을 수행하는 공이송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공간은 상기 공이송체의 상하 왕복 가능한 제1 이송공간 및 상기 제1 이송공간의 상부의 제2 이송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 이송공간 및 제2 이송공간 사이에는 상기 공이송체에 의하여 제2 이송공간으로 진입한 공이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기능하는 걸림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이송공간 중 상기 티대 수용공간과 인접하는 일측에는 중간 분리판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이송공간 중 상기 중간 분리판과 대향되는 타측에는 이탈 방지판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 분리판의 상측에는 상기 공을 상기 승하강 모듈로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 방지판은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하부 이탈 방지판 및 상기 하부 이탈 방지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중간 분리판 방향으로 기울도록 형성되는 상부 이탈 방지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모듈은, 제3 모터; 상기 제3 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제3 모터의 회전에 기초하여 함께 회전하는 제1 풀리; 상기 제1 풀리의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와 연결되는 벨트부재; 및 일측은 상기 벨트부재와 고정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티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3 모터의 구동에 기초하여 상기 티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퍼조립체 및 구동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 및 상기 호퍼조립체, 구동조립체 및 제어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퍼조립체, 구동조립체, 제어모듈 및 전원저장부의 상태 및 이상여부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된 터치스크린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는 저장된 공을 순차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호퍼조립체와, 상단부에 야구공을 안착하여 상하 왕복하는 티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혼자서 용이하게 배팅 연습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호퍼조립체로부터 공급된 공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과 내부에 티대를 포함하는 승하강모듈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피 및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호퍼조립체의 회전체에 하나의 야구공이 인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볼 수용홀을 구비함으로써, 호퍼조립체로부터 야구공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 중 바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 중 호퍼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 중 구동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 중 구동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본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의 동작에 따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는 크게 바닥부(100), 호퍼조립체(200), 구동조립체(500) 및 케이스(600)를 포함한다.
호퍼조립체(200)에 저장된 복수 개의 공들은 구동조립체(500) 측으로 전달되고, 구동조립체(500)의 이송모듈(300)에 의하여 공이 티대(410)의 상단에 안착된 후 티대(410)는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배팅 연습이 가능하도록 기능한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의 각 구성들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바닥부(100)는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호퍼 조립체(200) 및 구동조립체(500)가 안착되는 구성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공급 가이드(110), 바퀴(120) 및 잠금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볼 공급 가이드(110)는 후술할 호퍼조립체(200)로부터 배출된 공이 구동조립체(500), 구체적으로 구동조립체(500)에 포함된 이송모듈(300) 쪽으로 원활히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전체적인 무게 절감을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배치된 호퍼조립체(200)로부터 전달받은 공(10)이 이송모듈(300)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볼 공급 가이드(110)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공이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의 전체적인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볼 공급 가이드(110)는 홈이 형성된 가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홈의 폭은 공(1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의 용이한 이동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바닥부(100) 하부에는 바퀴(12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원하는 장소에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를 이동시킨 후 사용자가 배팅 연습을 수행할 경우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바퀴(120)를 제동시키기 위한 잠금부(1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의 호퍼 조립체(200)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의 호퍼조립체(200)는 상술한 바닥부(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저장된 공(10)을 순차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호퍼조립체(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 케이스(210), 회전체(220), 지지 프레임(230) 및 제1 모터(2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호퍼 케이스(210)는 복수 개의 공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5 및 도 6과 같이 사각형의 밑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원형의 밑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호퍼 케이스(210)의 밑면 중심부에는 중공이 형성되는데, 회전체(220)는 호퍼 케이스(210)의 중공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회전체(220)에는 중심에 회전축(221)이 마련되고, 복수 개의 볼 수용홀(222)이 회전축(221)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볼 수용홀(222)에는 하나의 공(10)만을 수용할 수 있도록 지름은 공(10)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야 하며, 볼 수용홀(222)의 높이 또한 공(10)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공(10)이 한꺼번에 유입되지 않고도 공이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프레임(230)은 일측은 바닥부(100)와 결합되고, 타측에는 회전체(220)의 하단, 정확하게는 볼 수용홀(222)의 하단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231)가 형성된다.
한편, 공(10)의 이동중 걸림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퍼조립체(200)로부터 구동조립체(500)로의 공(10)의 공급은 하나씩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볼 수용홀(222)이 특정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는 해당 볼 수용홀(222) 내부의 공(10)만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술한 볼 공급 가이드(110)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231) 중 상술한 특정 위치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볼 수용홀(222)에 수용된 공(10)이 아래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볼 배출홀(2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회전체(220)의 회전축이 아래로 관통하여 후술할 제1 모터와 연결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는 회전축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볼 배출홀(232)과 대응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한 볼 수용홀(222) 내부에 수용된 공이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 수용홀(222)의 하단과 지지 플레이트(231) 사이의 이격 거리는 공(1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모터(240)는 지지 플레이트(231)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술한 회전축(221)과 연결되어 제어모듈의 제어에 의하여 회전체(220)를 회전시킨다.
특히 회전체(220)는 상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순간에 하나의 공(10)만이 볼 배출홀(232)을 통하여 볼 공급 가이드(1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회전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1 모터(240)는 평상시 구동하고 있지 않다가 공(10)을 구동조립체(500)로 전달할 필요가 있으면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체(220)를 이동시킨 후 구동을 멈추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과 같이 회전체(220)에 5개의 볼 수용홀(222)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면, 제1 모터(240)는 회전체(220)가 72도(360도/5개)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되어야 한다.
한편, 볼 수용홀(222) 입구측에 2개 이상의 공(10)이 인입되어 있어 공(10)들이 수용홀(222)에 엉켜 있는 상태일 경우, 공(10)이 볼 공급 가이드(110)로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호퍼 케이스(210)의 내측면 중 볼 배출공(232)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볼 수용홀(222)의 상부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돌출 플레이트(211)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호퍼조립체(200)의 동작에 의하여 공(10)이 바닥부(100)의 볼 공급 가이드(110)를 통하여 구동조립체(500)로 전달되는데,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구동조립체(50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의 구동조립체(500)는 바닥부(100)의 타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구체적으로는 호퍼조립체(200)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동조립체(500)는 이송모듈(300) 및 승하강모듈(400)을 포함하며, 이러한 이송모듈(300) 및 승하강모듈(40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의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송모듈(300)은 호퍼조립체(200)로부터 배출된 공(10)을 볼 공급 가이드(110)를 통해 전달받아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승하강모듈(400)은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티대(410)를 포함하며, 결국 이송모듈(300)로부터 전달받은 공(10)은 티대(410)의 상단에 안착됨으로써 사용자가 티 배팅을 가능하게 된다.
특히, 구동조립체(500)는 제1 패널(510) 및 제1 패널(520)과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2 패널(520)에 의하여 둘러쌓여 있으며, 내부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구획되어 일측 및 타측에는 각각 이송공간(310) 및 티대 수용공간(420)이 마련되어 있다.
이송공간(310)은 호퍼 조립체(200)로부터 전달받은 공(10)의 수직 이동을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이고, 티대 수용공간(420)은 이송공간(310)과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티대(410)가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이다.
먼저 구동조립체(500)의 이송모듈(300)에 대하여 설명해보면, 이송모듈(300)은 제2 모터(320), 회전로드(352) 및 공이송체(3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2 모터(320)는 후술할 제어모듈에 의하여 구동되며, 회전로드(352)는 제2 모터(320)와 결합되어 제2 모터(320)의 회전에 기초하여 함께 회전하는 구성으로, 회전로드(352)의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로드(352)는 제2 모터(320)의 회전에 따라 그대로 회전할 수도 있으나, 제2 모터(320)의 회전을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330)를 중간에 마련함으로써 감속기(330)의 출력축 회전에 따라 회전로드(352)가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이송체(360)는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 로드수용부(361) 및 안착부(36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로드수용부(361)는 내부에 상기 회전로드(35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왕복돌기가 형성되고, 제2 모터(320)가 구동하여 회전로드(352)가 회전하는 경우 왕복돌기가 회전로드(35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선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하 왕복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이송체(360)의 수직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상부 고정부(341) 및 하부 고정부(34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공이송체(360)의 왕복 이동 경로가 제한된다.
아울러, 상부 고정부(341) 및 하부 고정부(342)의 사이에는 공이송체(360)의 직선 왕복 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로드(351)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안착부(362)는 로드수용부(361)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로드수용부(361)의 상하 왕복에 의하여 함께 상하 왕복을 수행하며, 안착부(362)가 최하단에 위치할 경우 볼 공급 가이드(110)로부터 전달되는 공(10)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한편, 상술한 이송모듈(300) 내부의 이송공간(310)은 공이송체(360)의 상하 왕복이 가능한 제1 이송공간 및 제1 이송공간의 상부의 제2 이송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이송공간 및 제2 이송공간 사이에는 걸림부재(370)가 마련된다.
걸림부재(370)는 공이송체(360)에 의하여 제2 이송공간으로 진입한 공이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즉 제1 이송공간으로 다시 유입되지 않도록 기능하는 구성이다.
즉, 공이송체(360)는 제1 이송공간 사이만을 왕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공이송체(340)가 최하단에 위치할 경우 볼 공급 가이드(110)로부터 공(10)을 전달받은 후, 제2 모터(320)의 구동에 기초하여 공(10)을 수용한 채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공이송체(360)가 이동 가능한 높이, 즉 제1 이송공간의 상단까지 이동하게 되면, 이송된 공(10)의 상부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송공간의 최하단에 배치되어 있던 공(10)을 상방향으로 밀어내는 동시에 이송된 공(10)의 하부는 걸림부재(370)에 의하여 걸리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제2 이송공간 내부에는 복수 개의 공(10)이 적층되어 있고, 제1 이송공간으로부터 새로운 공(10)이 유입되면, 제2 이송공간의 최상단에 배치되었던 공(10)은 승하강모듈(400)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2 이송공간의 최상단에 배치된 공(10)이 아닌 다른 공(10)이 승하강모듈(40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이송공간 중 티대 수용공간(420)과 인접하는 일측에는 중간 분리판(530)이 마련된다.
아울러, 제2 이송공간 중 중간 분리판(530)과 대향되는 타측에는 제2 이송공간에 적층괴어 있는 공(10)이 티대 수용공간(420)과 대향되는 방향, 즉 호퍼 조립체(200) 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 방지판(38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이송공간 내에 적층되어 있는 복수 개의 공(10)의 일측 및 타측은 각각 중간 분리판(530) 및 이탈 방지판(380)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특히 제2 이송공간 내에 적층된 복수 개의 공(10) 중 최상단에 위치한 공(10)은 승하강모듈(400)로 전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중간 방지판(530)의 상측에는 공(10)을 승하강모듈(400)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5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탈 방지판(380)은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하부 이탈 방지판(381) 및 하부 이탈 방지판(38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중간 분리판(530) 방향으로 기울도록 형성되는 상부 이탈 방지판(38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이송공간 내에 있던 공(1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술한 안내홈(531) 및 상부 이탈 방지판(381)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중간 방지판(53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공(10)이 제2 이송공간이 최상단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원활하게 승하강모듈(400), 구체적으로 티대(410)의 상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공(10)이 티대(410)의 상단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승하강모듈(400)의 동작에 의하여 공(10)이 티대(410)에 안착한 상태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하 승하강모듈(4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승하강모듈(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티대(410)를 포함하며, 나아가 상기 티대(410)의 승하강을 위하여 마련된 제3 모터(540), 제1 풀리(541), 제2 풀리(542), 벨트부재(543) 및 브라켓(544)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3 모터(540)는 티대(41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감속기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풀리(541)는 제3 모터(540)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제3 모터(540)의 회전에 기초하여 함께 회전하는 구성이며, 제2 풀리(542)는 제1 풀리(541)의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성이다.
벨트부재(543)는 제1 풀리(541)와 제2 풀리(542)를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제1 풀리(541)가 제3 모터(540)의 회전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경우 제2 풀리(542) 또한 벨트부재(543)를 매개로 함께 회전하게 되며, 벨트부재(543)는 제1 풀리(541) 및 제2 풀리(542) 사이에서 상하 왕복하게 된다.
브라켓(544)은 일측이 벨트부재(543)와 고정 결합되고, 타측은 티대(41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므로, 벨트부재(543)가 이동할 경우, 티대(410) 또한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승하강모듈(400)은 티대(410) 상에 공(10)의 안착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로는 티대(410)의 흔들림을 감지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나, 또는 티대(410) 내부의 중공에 배치되어 상측 방향으로 들어오는 빛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광센서일 수도 있다.
또한, 티대(410)는 사용 기간 및 횟수에 따라 마모될 수 있는 소모품이므로, 교체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티대(410)의 경우 일측이 브라켓(544)과 고정 체결되는 하부 티대와, 일측이 상기 하부 티대의 타측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에는 공(10)을 안착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된 상부 티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티대와 상부 티대 사이의 경우, 사용자의 배팅 연습으로 인하여 인가되는 외부 충격을 견딜수 있도록 견고한 결합을 담보함과 동시에 교체가 필요한 시점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리 및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하부 티대 및 상부 티대 사이 나사 결합을 수행하고, 나사 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별도의 핀부재를 억지끼움으로 삽입하는 방식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호퍼조립체(200), 이송모듈(300) 및 승하강모듈(400) 등의 동작을 위한 제1 모터(240), 제2 모터(320) 및 제3 모터(540)를 구비하고 있는데, 외부 전원공급부와 유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상술한 각 모터들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의 용이한 이동 및 편의성을 고려하여 별도의 전원저장부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전원저장부는 바닥부(10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충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각 구성들의 유기적인 동작에 따라 필요한 시점에 사용자에게 공(10)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술한 각 모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이 구비되어야 한다.
제어모듈을 통한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의 구동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티대(410)에 안착된 공(10)을 사용자가 타격하게 되면, 센서는 티대(410)에 공(10)이 존재하고 있지 않음을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정보를 제어모듈로 전달한다.
제어모듈은 상기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티대(41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3 모터(5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호퍼조립체(200)의 제1 모터가 일측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모터(24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1 모터(240)의 회전에 의하여 복수 개의 볼 수용홀(222) 중 어느 하나의 볼 수용홀(222) 내에 있던 공(10)은 아래로 낙하한 후 볼 공급 가이드(110)를 따라 이송모듈(300)의 안착부(362)에 안착된다.
이때 제어모듈은 이송모듈(300)의 공이송체(36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모터(320)에 전원을 공급하며, 이로 인하여 안착부(362)에 안착된 공(10)은 상측 방향으로 이송되어 제2 이송공간으로 진입하게 되며, 제2 이송공간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걸림부재(370)에 걸려있던 최하단의 공을 위로 밀어내게 된다.
제2 이송공간 내부에 적층되어 있던 공(10)들은 제2 이송공간으로 새롭게 진입된 공에 의하여 상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때 제2 이송공간 내의 최상단에 배치되었던 공은 중간 분리판(530)에 형성된 안내홈(531)을 따라 승하강모듈(400)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티대(410)의 상단에 안착되게 된다.
센서는 티대(410)의 상단에 공(10)이 안착되었음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모듈로 전달하면, 제어모듈은 티대(41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3 모터(540)에 전원을 인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는 호퍼조립체(200), 구동조립체(500), 제어모듈 및 전원저장부의 상태 및 이상여부를 출력할 수 있고, 동시에 사용자가 직접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된 터치스크린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바닥부
200: 호퍼조립체
300: 이송모듈
400: 승하강모듈
500: 구동조립체
600: 케이스

Claims (10)

  1. 내부에 수용된 공을 순차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호퍼조립체;
    상기 호퍼조립체로부터 배출된 공을 상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티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모듈로부터 전달받은 공이 상기 티대의 상단에 안착되어 티 배팅을 가능하게 하는 승하강모듈을 포함하는 구동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조립체의 내부에는 상기 호퍼조립체로부터 전달받은 공의 상측 방향 이동을 위하여 형성된 이송공간 및 상기 티대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공간과 인접하여 평행하도록 형성된 티대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이송모듈은 제2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에 기초하여 함께 회전하되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축과 동일선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로드와, 상기 회전로드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로드를 따라 상하 왕복 운동을 수행하는 공이송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이송체는 상기 회전로드를 수용하는 로드수용부와, 상기 호퍼조립체에서 배출된 공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로드의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수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선과 대응되는 왕복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공간은 상기 공이송체의 상하 왕복 가능한 제1 이송공간 및 상기 제1 이송공간의 상부의 제2 이송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 이송공간 및 제2 이송공간 사이에는 상기 공이송체에 의하여 제2 이송공간으로 진입한 공이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기능하는 걸림부재가 마련되는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조립체는,
    복수 개의 공을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호퍼 케이스;
    상기 중공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되, 중심부에는 회전축이 마련되고 하나의 공을 수용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의 복수 개의 볼 수용홀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체;
    일측은 바닥부와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볼 수용홀의 하단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제1 모터;
    를 포함하는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 수용홀의 하단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공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하나의 볼 수용홀과 대응되는 볼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타측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이 관통할 수 있도록 회전축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호퍼 케이스의 내측면 중 상기 볼 배출홀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볼 수용홀의 상부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돌출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공간 중 상기 티대 수용공간과 인접하는 일측에는 중간 분리판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이송공간 중 상기 중간 분리판과 대향되는 타측에는 이탈 방지판이 마련되는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분리판의 상측에는 상기 공을 상기 승하강 모듈로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 방지판은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하부 이탈 방지판 및 상기 하부 이탈 방지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중간 분리판 방향으로 기울도록 형성되는 상부 이탈 방지판으로 구성되는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모듈은,
    제3 모터;
    상기 제3 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제3 모터의 회전에 기초하여 함께 회전하는 제1 풀리;
    상기 제1 풀리의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와 연결되는 벨트부재; 및
    일측은 상기 벨트부재와 고정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티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3 모터의 구동에 기초하여 상기 티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브라켓;
    을 포함하는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조립체 및 구동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 및
    상기 호퍼조립체, 구동조립체 및 제어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조립체, 구동조립체, 제어모듈 및 전원저장부의 상태 및 이상여부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된 터치스크린 패널을 더 포함하는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
KR1020170172071A 2017-12-14 2017-12-14 자동화 배팅 연습장치 KR102050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071A KR102050280B1 (ko) 2017-12-14 2017-12-14 자동화 배팅 연습장치
US16/175,855 US10556166B2 (en) 2017-12-14 2018-10-31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JP2018233021A JP6728320B2 (ja) 2017-12-14 2018-12-13 自動化バッティング練習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071A KR102050280B1 (ko) 2017-12-14 2017-12-14 자동화 배팅 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224A KR20190071224A (ko) 2019-06-24
KR102050280B1 true KR102050280B1 (ko) 2019-11-29

Family

ID=66815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071A KR102050280B1 (ko) 2017-12-14 2017-12-14 자동화 배팅 연습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56166B2 (ko)
JP (1) JP6728320B2 (ko)
KR (1) KR102050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4200B2 (en) 2018-05-25 2020-10-27 Xlp Group, Llc Sports hitting training system for lightweight balls
USD886926S1 (en) * 2019-02-26 2020-06-09 XL Performance Tennis, LLC Sports training device
WO2020198078A1 (en) * 2019-03-22 2020-10-01 Home Run Dugout LLC Pitching machine and batting bay systems
JP7147688B2 (ja) 2019-06-03 2022-10-05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凍サイクル装置
US11458381B2 (en) * 2019-07-10 2022-10-04 TP Sports Technologies, LLC Athletic training device and system
KR102355087B1 (ko) * 2019-12-16 2022-01-25 주식회사 제스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CN111603739B (zh) * 2020-05-14 2021-06-01 海宁世正贸易有限公司 一种羽毛球球头打孔用自动化拨正辅助装置
KR102467515B1 (ko) * 2020-11-26 2022-11-15 주식회사 정우티앤씨 야구연습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야구연습방법
CN112999631B (zh) * 2021-04-01 2022-03-29 淮阴工学院 一种羽毛球辅助训练装置及其训练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4316B2 (ja) 1993-08-06 1997-12-03 中西 作蔵 ティーアップ装置
KR200374731Y1 (ko) * 2004-11-12 2005-02-03 김영관 골프티 높이조절장치
KR101581929B1 (ko) * 2015-02-25 2016-01-11 김무성 자동화 티 배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8694A (en) * 1963-11-26 1967-01-17 Automated Golf Systems Inc Automatic golf ball teeing device
US3533631A (en) * 1968-09-03 1970-10-13 James J Hladek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eeing golf balls
JPS5213139B2 (ko) * 1972-05-17 1977-04-12
US4094294A (en) * 1977-01-31 1978-06-13 Richard Speer Ball projecting device
JPH0411746Y2 (ko) * 1984-09-28 1992-03-24
US5294109A (en) * 1992-11-25 1994-03-15 Meade John H Ball tossing device for baseball batting practice
US5647338A (en) * 1994-09-02 1997-07-15 Martin; Robert Sports object launcher
US5494278A (en) 1994-09-06 1996-02-27 Linden; Craig L. Hitting practice machine for ball games
US5733209A (en) * 1994-12-09 1998-03-31 Mcintyre, Iv; James O. Pneumatic ball launching apparatus
KR19990082647A (ko) 1996-02-20 1999-11-25 엘 린덴 크레이그 볼 게임용 타격연습 기계
US5672124A (en) * 1996-11-22 1997-09-30 Quick Hit, Inc. Automatic batting tee apparatus
US6146289A (en) * 1997-01-03 2000-11-14 Miller; Joseph M. Powered movable hitting tee
US6416429B1 (en) * 2000-06-16 2002-07-09 Quick Hit, Inc. Automated batting tee apparatus
US6443859B1 (en) * 2000-12-22 2002-09-03 The Little Tikes Company Baseball training apparatus
US6684872B2 (en) * 2002-06-03 2004-02-03 Chien-Wen Kao Fixed contact point practicing machine
US7874942B2 (en) * 2008-10-22 2011-01-25 Yann O. Auzoux Ball toss toy
KR20110013112A (ko) *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휴먼앤그린 골프 연습기의 볼 공급장치
JP2012165860A (ja) * 2011-02-14 2012-09-06 Elg:Kk ゴルフ練習支援装置及びゴルフ練習支援方法
US8425352B1 (en) * 2011-09-29 2013-04-23 Robosport Technologies LLC Mechanical baseball tee
US10112097B2 (en) * 2016-08-23 2018-10-30 Robosport Technologies LLC Robotic batting tee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4316B2 (ja) 1993-08-06 1997-12-03 中西 作蔵 ティーアップ装置
KR200374731Y1 (ko) * 2004-11-12 2005-02-03 김영관 골프티 높이조절장치
KR101581929B1 (ko) * 2015-02-25 2016-01-11 김무성 자동화 티 배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28320B2 (ja) 2020-07-22
US10556166B2 (en) 2020-02-11
JP2019103811A (ja) 2019-06-27
US20190184258A1 (en) 2019-06-20
KR20190071224A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280B1 (ko) 자동화 배팅 연습장치
US10245489B2 (en) Automatic batting tee apparatus
US8123634B1 (en) Programmable basketball shot setup and return device
KR101915871B1 (ko) 개선된 서빙 헤드 이동을 갖는 탁구 로봇
KR102044093B1 (ko)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US7350515B2 (en) Ball feeder for ball serving machine
CN107106901A (zh) 球类运动练习装置
US20240226695A9 (en) Pitching machine and batting bay systems
KR101879814B1 (ko) 오토 티업 장치
CN104888440A (zh) 高尔夫自动练球系统
KR101570956B1 (ko) 셔틀콕 정렬 장치
CN204050920U (zh) 一种桌球游戏机
CN206108853U (zh) 自动旋盖机
KR102016695B1 (ko) 본체 내에서 낙하한 공을 배출할 수 있는 공 이송 장치
JP7076642B2 (ja) フライングディスク用のボウリングゲーム装置
KR102355087B1 (ko)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KR101809684B1 (ko) 공 수집장치
JP5363211B2 (ja) ゴルフ練習場
KR102619395B1 (ko) 타구궤적 산출기능을 구비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KR20170000342U (ko) 배팅 연습장치
KR101669272B1 (ko) 볼 리턴장치가 형성된 구슬 게임기
CN108404368B (zh) 一种自动发球机
US20230201690A1 (en) Multiple Machine Remote Control Portable Automatic Ball Feeder
KR20220000124A (ko)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
KR20210115439A (ko) 셔틀콕 자동 수거 및 적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