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395B1 - 타구궤적 산출기능을 구비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타구궤적 산출기능을 구비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395B1
KR102619395B1 KR1020210076687A KR20210076687A KR102619395B1 KR 102619395 B1 KR102619395 B1 KR 102619395B1 KR 1020210076687 A KR1020210076687 A KR 1020210076687A KR 20210076687 A KR20210076687 A KR 20210076687A KR 102619395 B1 KR102619395 B1 KR 102619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assembly
transfer
batted ball
ba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7564A (ko
Inventor
김무성
Original Assignee
김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성 filed Critical 김무성
Priority to KR1020210076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39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7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63B2024/0034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during f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2069/402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giving spi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 Manipulator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는 바닥부, 호퍼 조립체, 이송 조립체, 승하강 조립체, 케이스, 제1 촬영장치, 제2 촬영장치 및 타구궤적 산출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타구궤적 산출기능을 구비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배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티대에 공을 자동으로 안착시켜 타자의 배팅 연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저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일반 사회인들도 각종 스포츠 동호회를 구성하여, 운동경기를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직접 몸을 움직여 뛰며 서로 간의 친목을 다지고 건강을 증진시키고 있다.
가령 사회인 야구팀이나 축구팀 또는 농구팀 등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경기장에 모여 경기를 치르거나 체력 단력이나 기술 연습을 통해 경기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한편, 여러 스포츠 중 야구의 경우 배팅 연습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배팅 연습은, 예컨대 기술코치가 타격자에게 볼을 던져주고 타격자는 배트를 이용하여 볼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인력 방식은, 최소한 공을 던져주는 사람이 필요하고, 특히 안전사고의 위험을 안고 있다.
즉, 타격자가 타격한 볼이 공을 던져주는 사람에게 날아가거나 타격시 배트를 놓칠 경우 매우 큰 부상을 입을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에는 볼 타격연습 기계가 개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가동부재와, 일단부가 가동부재에 고정되며 반대단부에서 볼을 구비하는 볼 지지아암을 구비한 볼 타격연습 기계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을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9-008264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혼자서도 배팅 연습이 가능할 수 있도록, 티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공을 공급할 수 있는 재동화 배팅 연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구궤적 산출기능을 구비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측에 내부에 수용된 공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되고, 바닥면은 상기 공을 상기 배출공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배출공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호퍼 조립체;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공급받은 공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조립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티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 조립체로부터 전달받은 공이 상기 티대의 상단에 안착되어 티 배팅을 가능하게 하는 승하강 조립체; 사용자가 타격한 상기 공을 촬영하여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각각 획득하는 제1 촬영장치와 제2 촬영장치; 및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타격한 상기 공의 궤적을 추출하는 타구궤적 산출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 호퍼 조립체, 이송 조립체 및 승하강 조립체를 보호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 촬영장치 및 제2 촬영장치를 각각 장착하기 위한 제1 장착부재 및 제2 장착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장착부재 및 제2 장착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 일측 및 타측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장착부재와 상기 티대 간의 거리는 상기 제2 장착부재와 상기 티대 간의 거리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구궤적 산출모듈은,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에 기초하여 타구의 수직각도 및 수평각도를 산출하여 타구의 방향을 결정하는 타구방향 결정유닛;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에 기초하여 타구의 수직속도 및 수평속도를 산출하여 타구의 속도를 결정하는 타구속도 결정유닛; 상기 타구방향 결정유닛 및 타구속도 결정유닛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타구의 궤적을 추정하는 타구궤적 추정유닛; 및 상기 타구궤적 추정유닛이 추정한 상기 타구의 궤적을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통신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 조립체, 이송 조립체 및 승하강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호퍼 조립체는, 복수 개의 공을 저장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호퍼 케이스 및 상기 바닥면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공을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닥면이 일측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제1 각도만큼 회전한 이후 타측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제2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모터 조립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각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는 호퍼 조립체에 수용된 공을 이송 조립체 및 승하강 조립체로 순차적으로 자동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타격 연습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내부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에서 이송모듈의 이동에 따른 개폐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에서 공이 이송 조립체로부터 승하강 조립체로 이동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구성 중 승하강 조립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전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구성 중 타구궤적 산출모듈의 세부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00), 호퍼 조립체(200), 이송 조립체(300), 승하강 조립체(400), 케이스(500)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모듈은 호퍼 소립체(200), 이송 조립체(300) 및 승하강 조립체(4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후술할 각종 센서의 검출 결과 또는 제어패널(511)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른 구성들의 세부 내용의 설명시 함께 언급하도록 한다.
바닥부(100)는 상부에 호퍼 조립체(200), 이송 조립체(300), 승하강 조립체(400) 및 케이스(500) 등을 안착하기 위한 구성으로, 바퀴(110) 및 고무지지대(120)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퀴(110)는 바닥부(100)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용이한 이동을 위하여 구비되는 구성이며, 고무지지대(120)는 바닥부(100)의 하부 타측에 배치되어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를 고정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2와 같이 바퀴(100) 및 고무지지대(120)를 각각 2개씩 구성함으로써 평소에는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를 지상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으며,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바닥부(100)의 하부 타측을 살짝 들을 후 바퀴(10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00)의 하부에는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내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열홈을 통하여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내부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케이스(5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00), 호퍼 조립체(200), 이송 조립체(300) 및 승하강 조립체(400)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부 케이스(510), 상부 케이스(520) 및 서브 케이스(530)로 구성된다.
하부 케이스(510)는 바닥부(100)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측면에는 장치 내부 구성을 점검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사이드 도어(512)가 형성될 수 있고, 전면부에는 사용자가 장치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는 제어패널(511)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520)는 하부 케이스(510)의 상부와 결합되되 상부에는 호퍼 조립체(200)와 대응되는 제1 개방영역과, 이송 조립체(300)와 승하강 조립체(400)와 대응되는 제2 개방영역이 형성된다.
특히 상부 케이스(520)의 후면부, 즉 상술한 제어패널(511)가 대향되는 위체에는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손잡이(521)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부 케이스(520)에는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타격 폼을 확인할 수 있거나 또는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와의 연동을 통하여 연습장치를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서브 케이스(530)는 상술한 제2 개방영역 중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520)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호퍼 조립체(200)는 공(10)을 수용하여 후술할 이송 조립체(300)로 전달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220), 호퍼 케이스(230), 배출공(210) 및 제1 모터 조립체(2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호퍼 케이스(2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복수 개의 공(10)을 저장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원통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배출공(210)은 호퍼 케이스(230)의 일측, 즉 후술할 이송 조립체(300) 측에 형성되어 호퍼 케이스(230) 내부에 수용된 공(10)을 상기 이송 조립체(300) 측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바닥면(220)은 호퍼 케이스(230)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호퍼 케이스(23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호퍼 케이스(230)에 수용된 공(10)의 배출공(210)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배출공(2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모터 조립체(240)는 상기 바닥면(200)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호퍼 케이스(230) 내부에 수용된 공(10)이 엉켜있어서 배출공(210)으로 배출되지 못할 경우 제어모듈은 제1 모터 조립체(240)를 구동시켜서 바닥면(220)을 회전시킴으로써 공(10)을 배출공(210)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송 조립체(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 조립체(200)의 배출공(210)으로부터 공급받은 공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이송 가이드(310), 이송모듈(320) 및 제2 모터 조립체(3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송 가이드(310)는 하부가 바닥부(100)와 고정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며, 이송모듈(320)은 이송 가이드(31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호퍼 조립체(200)로부터 전달받은 공(10)을 상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송모듈(320)은 최하단인 제1 위치에서 호퍼 조립체(200)로부터 공(10)을 전달받아 최상단인 제2 위치까지 수직 이동한 후 공(10)을 승하강 조립체(4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송모듈(320)은 호퍼 조립체(200)의 배출공(210)으로부터 공(10)을 안정적으로 전달받아 안착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송모듈(320)의 상하 이동시 공(10)이 탈락되지 않도록 중간부분에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모터 조립체(330)는 이송모듈(320)의 상하 방향의 이동 동력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송 가이드(310)의 하부에는 제2 모터 조립체(330)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하부 풀리가 배치되며, 이송 가이드(310)의 상부에는 상부 풀리가 배치되고, 나아가 상부 풀리 및 하부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부재가 마련되며, 상술한 이송모듈(320)은 벨트부재와 고정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제2 모터 조립체(330)가 회전하게 되면 벨트부재가 상부 풀리 및 하부 풀리를 따라 궤적을 그리며 움직이고, 이로 인하여 이송모듈(3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에서는 이송모듈(320)의 위치 검출이 중요하므로, 이송모듈(320)의 정확한 위치의 검출을 위하여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이송모듈 검출용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이송모듈(320)이 제1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호퍼 조립체(200)의 배출공(210)을 통하여 공(10)이 이송 조립체(300) 쪽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송 조립체(300)는 개폐모듈(3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개폐모듈(340)은 배출공(210) 및 이송모듈(320)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공(10)이 이송 조립체(300)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개폐모듈(3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이송 가이드(310) 등의 고정부재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개폐부재와, 상기 제1 개폐부재의 타측에서 상기 제1 개폐부재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개폐부재와, 상기 제1 개폐부재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이송 가이드(310)의 하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롤러부(341)로 구성된다.
이러한 개폐모듈(340)은 평상시, 즉 이송모듈(320)이 제1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개폐부재가 호퍼 조립체(200)의 배출공(210) 일부를 막고 있어서 공(10)이 배출공(210)으로부터 이송모듈(320)로 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후 이송모듈(320)이 다른 위치에서부터 제1 위치로 하강하게 되면, 이송모듈(320)의 하부가 롤러부(341)를 누르게 되고, 이를 통하여 개폐부재(340)는 제1 개폐부재의 일측의 회전축(34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2 개폐부재가 아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배출공(210)의 공(10)이 이송모듈(320) 상에 안착하게 된다.
한편, 이송 조립체(300)는 이송모듈(320) 상에 공(10)의 안착 여부를 검출하는 제1 센서(35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센서(350)가 이송모듈(320) 상에 안착된 공(10)을 검출할 경우 제어모듈은 제2 모터 조립체(330)를 제어하여 이송모듈(320)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반면, 제1 센서(350)가 이송모듈(320) 상에 안착된 공(10)을 검출하지 못할 경우 일단 제어모듈은 호퍼 조립체(200) 내부에서 공(10)이 엉켜있어서 공(10)이 배출공(210)으로부터 토출되지 못하는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1 모터 조립체(240)를 구동시켜 바닥면(220)을 회전시킨다.
이때 제어모듈은 제1 모터 조립체(240)을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번갈아 가면서 바닥면(220)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제어모듈은 공을 배출공(210)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바닥면(220)이 일측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제1 각도만큼 회전한 이후 타측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제2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제1 모터 조립체(240)를 제어하되, 이때 제1 각도는 제2 각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모터 조립체(240)의 수차례 구동에도 불구하고 제1 센서(250)가 이송모듈(320) 상의 공(10)을 검출하지 못하게 되면 제어모듈은 호퍼 조립체(100) 내에 공(10)이 없거나 또는 다른 오류가 있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모듈(320)에 공(10)이 안착되는 것이 확인되면, 이송모듈(320)은 제1 위치에서 상단의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이후 이송모듈(320)에 안착된 공(10)이 승하강 모듈(400)로 전달되는 과정이 수행되며, 이때 상술한 서브 케이스(530)가 활용되는데 이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서브 케이스(5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개방영역 중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520)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531), 덮개부재(532) 및 배출부재(53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프레임부재(531)는 상부 케이스(520)의 상면 하부와 결합되는 구성이며, 덮개부재(532)는 프레임부재(531)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2 개방영역 중 이송 조립체(300)와 대응되는 영역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배출부재(533)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프레임부재(531)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아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배출수단(536)과, 상기 배출수단(536)의 중간 부분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프레임부재(531)의 하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롤러부(534)로 구성된다.
이러한 배출부재(533)는 평상시, 즉 이송모듈(320)이 제2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수단(533)의 길이 방향이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덮개부재(532)는 제2 개방영역 중 이송 조립체(300)와 대응되는 영역을 폐쇄한다.
이후 이송모듈(320)이 다른 위치에서부터 제2 위치로 상승하게 되면, 이송모듈(320)의 상부가 롤러부(534)를 누르게 되고, 이를 통하여 배출수단(536)은 배출수단(536)의 일측의 회전축(53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배출수단(536)의 타측이 상부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이송모듈(320)에 안착된 공(10)의 하부에 외력을 인가함으로써 공(10)을 이송모듈(320)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며, 동시에 덮개부재(532)는 공(10)에 의하여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만 회전하며, 이때 공(10)은 덮개부재(532)의 내측면에 의하여 승하강 조립체(400) 방향으로 안내된다.
승하강 조립체(400)는 이송 조립체(300)로부터 전달받은 공을 티대(430) 상단에 안착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티 배팅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승하강 조립체(4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 가이드(410), 승하강모듈(400), 티대(430) 및 제3 모터 조립체(4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승하강 가이드(410)는 하부가 바닥부(100)와 고정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며, 승하강 모듈(420)은 승하강 가이드(410)를 따라 최하단인 제3 위치와 최상단인 제4 위치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는 구성이다.
티대(430)는 승하강모듈(420)의 상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부에 공(10)을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며, 제3 모터 조립체(440)는 승하강모듈(420)의 상하 방향의 이동 동력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승하강 가이드(410)의 하부에는 제3 모터 조립체(440)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하부 풀리가 배치되며, 승하강 가이드(410)의 상부에는 상부 풀리가 배치되고, 나아가 상부 풀리 및 하부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부재가 마련되며, 상술한 승하강모듈(420)은 벨트부재와 고정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제3 모터 조립체(440)가 회전하게 되면 벨트부재가 상부 풀리 및 하부 풀리를 따라 궤적을 그리며 움직이고, 이로 인하여 승하강모듈(4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티대(430)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승하강 조립체(400)가 상술한 이송 조립체(300)로부터 공(10)을 전달받기 위해서는 승하강 모듈(420)이 상술한 제3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이며, 이때 이송 조립체(300)로부터 공급되는 공(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대(430) 상부에 안착된다.
아울러 승하강 조립체(400)는 승하강모듈(420)이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티대(430) 상단에 공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2 센서(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센서(450)가 티대(430) 상단에 공이 안착된 것을 검출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은 제3 모터 조립체(440)를 구동시켜 승하강모듈(420)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티대(430)의 상부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는 상술한 제4 위치일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키를 고려하여 제어패널(511)에 의하여 입력된 높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아울러 티대(43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 후 정지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티대(430) 상단의 공을 타격하게 되면, 상기 승하강모듈(420)이 다시 제3 위치까지 하강하게 된다.
상술한 동작을 위하여 사용자에 의한 타격 수행 여부를 검출하는 제3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3 센서는 티대 내부의 중공에 배치된 광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티대의 좌우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또는 위치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각 구성들의 설명에 기초하여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최초 구동시 제어모듈은 이송모듈(320)이 제1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2 모터 조립체(330)를 제어하고, 승하강모듈(420)이 제3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3 모터 조립체(440)를 제어한다.
이때 개폐모듈(340)이 회전하면서 호퍼 조립체(200)의 배출공(210)에 배치된 공(10)이 이송모듈(320)의 상부에 안착된다.
이후 제1 센서(350)에 의하여 이송모듈(320)에 공(10)의 안착여부가 확인되면, 제어모듈은 이송모듈(320)이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2 모터 조립체(330)를 제어하고, 이때 배출부재(533)의 회전에 의하여 공(10)이 이송모듈(320)로부터 탈락됨과 동시에 덮개부재(532)의 개방에 의하여 공(10)이 승하강모듈(420)로 이동하여 티대(430) 상부에 공(10)이 안착된다.
이후 제2 센서(450)에 의하여 티대(430) 상단에 공(10)의 안착여부가 확인되면, 제어모듈은 승하강모듈(420)이 제4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3 모터 조립체(440)를 제어한다.
이후 제3 센서에 의하여 사용자가 티대(430) 상단의 공(10)의 타격을 검출하게 되면, 제어모듈은 승하강모듈(420)이 다시 제3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3 모터 조립체(440)를 제어한다.
한편, 이송모듈(320)이 제2 위치로 이동한 후 공(10)을 승하강 조립체(400)로 전달한 후 제어모듈은 제2 모터 조립체(330)를 제어하여 이송모듈(320)이 다시 제1 위치로 복귀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제어는 승하강모듈(420)이 제4 위치로 이동하기 직전이나, 제4 위치로 이동하는 것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아가 승하강모듈(420)이 제3 위치로 복귀하는 것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와 동일한 내용은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는 타구궤적 산출기능을 구비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에 타구의 궤적을 산출하기 위한 구성들이 부가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는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촬영장치(610), 제2 촬영장치(620) 및 타구궤적 산출모듈(70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 촬영장치(610) 및 제2 촬영장치(62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500)의 전면부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티대(430) 상부에 안착된 공을 타격하게 되면, 해당 타구의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는 제1 촬영장치(610) 및 제2 촬영장치(620)를 케이스(500)와의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제1 장착부재(810) 및 제2 장착부재(820)를 마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장착부재(810) 및 제2 장착부재(820)가 케이스(500)의 전면부 일측 및 타측에 마련되고, 제1 촬영장치(610) 및 제2 촬영장치(620)는 제1 장착부재(810) 및 제2 장착부재(820)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1 장착부재(810) 및 티대(430) 간의 거리는 제2 장착부재(820)와 티대(430) 간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 촬영장치(610) 및 제2 촬영장치(620)에 기초한 스테레오 촬영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후술할 타구의 수직 움직임 정보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타구궤적 산출모듈(700)은 제1 촬영장치(610) 및 제2 촬영장치(620)가 각각 획득한 제1 영상 및 제2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타격한 공의 궤적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타구궤적 산출모듈(7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구방향 결정유닛(710), 타구속도 결정유닛(720), 타구궤적 추정유닛(730) 및 통신유닛(7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타구방향 결정유닛(710)은 제1 영상 및 제2 영상에 기초하여 타구의 수직각도 및 수평각도를 산출하여 타구의 방향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타구속도 결정유닛(720)은 제1 영상 및 제2 영상에 기초하여 타구의 수직속도 및 수평속도를 산출하여 타구의 속도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타구궤적 추정유닛(730)은 타구방향 결정유닛(710) 및 타구속도 결정유닛(720)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타구의 궤적을 추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나아가 사용자가 수차례 타격을 진행할 경우 타구 비거리의 평균, 분포 등을 산출할 수도 있다.
통신유닛(740)은 타구궤적 추정유닛(730)이 추정한 타구의 궤적을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등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외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타격결과, 즉 타구의 궤적, 타구 비거리, 타구 방향 뿐만 아니라 수차례 타격시 타구 궤적의 평균 및 분포 등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바닥부
200: 호퍼 조립체
300: 이송 조립체
400: 승하강 조립체
500: 케이스

Claims (5)

  1.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측에 내부에 수용된 공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되고, 바닥면은 상기 공을 상기 배출공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배출공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호퍼 조립체;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공급받은 공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조립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티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 조립체로부터 전달받은 공이 상기 티대의 상단에 안착되어 티 배팅을 가능하게 하는 승하강 조립체;
    사용자가 타격한 상기 공을 촬영하여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각각 획득하는 제1 촬영장치와 제2 촬영장치; 및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타격한 상기 공의 궤적을 추출하는 타구궤적 산출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호퍼 조립체는, 복수 개의 공을 저장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호퍼 케이스 및 상기 바닥면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조립체는, 상기 바닥부와 고정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이송 가이드; 상기 이송 가이드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왕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호퍼 조립체로부터 전달받은 공을 상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 상기 이송모듈의 상하 방향의 이동 동력을 생성하는 제2 모터 조립체; 및 상기 이송모듈 상에 상기 공의 안착 여부를 검출하는 제1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모듈은 최하단인 제1 위치에서 상기 호퍼 조립체로부터 공을 전달받아 최상단인 제2 위치까지 수직 이동한 후 상기 공을 상기 승하강 조립체로 전달하고,
    상기 이송모듈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황에서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이송모듈에 상기 공이 안착된 것을 검출하지 못할 경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모터 조립체를 구동시켜 상기 바닥면을 회전시키는 타구궤적 산출기능을 구비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호퍼 조립체, 이송 조립체 및 승하강 조립체를 보호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 촬영장치 및 제2 촬영장치를 각각 장착하기 위한 제1 장착부재 및 제2 장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궤적 산출기능을 구비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재 및 제2 장착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 일측 및 타측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장착부재와 상기 티대 간의 거리는 상기 제2 장착부재와 상기 티대 간의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구궤적 산출기능을 구비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구궤적 산출모듈은,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에 기초하여 타구의 수직각도 및 수평각도를 산출하여 타구의 방향을 결정하는 타구방향 결정유닛;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에 기초하여 타구의 수직속도 및 수평속도를 산출하여 타구의 속도를 결정하는 타구속도 결정유닛;
    상기 타구방향 결정유닛 및 타구속도 결정유닛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타구의 궤적을 추정하는 타구궤적 추정유닛; 및
    상기 타구궤적 추정유닛이 추정한 상기 타구의 궤적을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통신유닛;
    을 포함하는 타구궤적 산출기능을 구비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5. 삭제
KR1020210076687A 2021-06-14 2021-06-14 타구궤적 산출기능을 구비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KR102619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687A KR102619395B1 (ko) 2021-06-14 2021-06-14 타구궤적 산출기능을 구비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687A KR102619395B1 (ko) 2021-06-14 2021-06-14 타구궤적 산출기능을 구비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564A KR20220167564A (ko) 2022-12-21
KR102619395B1 true KR102619395B1 (ko) 2024-01-02

Family

ID=8453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687A KR102619395B1 (ko) 2021-06-14 2021-06-14 타구궤적 산출기능을 구비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3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814B1 (ko) * 2018-03-20 2018-07-19 남지현 오토 티업 장치
US11027185B1 (en) * 2020-09-04 2021-06-08 Robosport Technologies, Llc Robotic batting te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0864A (ja) * 1995-04-12 1996-10-29 Fuji Heavy Ind Ltd 球技練習機
JP2000504953A (ja) 1996-02-20 2000-04-25 エル. リンデン,クレッグ 球技用ヒッティング練習マシ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814B1 (ko) * 2018-03-20 2018-07-19 남지현 오토 티업 장치
US11027185B1 (en) * 2020-09-04 2021-06-08 Robosport Technologies, Llc Robotic batting te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564A (ko) 202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88763A1 (en) Ball Return Device and Method of Using
US20170348582A1 (en) Ball game-related training system
US5573239A (en) Apparatus to catch, determine accuracy and throw back a ball
KR101600761B1 (ko) 배구 연습 장치
KR101525413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대한 제어방법 및 골프 연습 시스템에 대한 제어방법
KR101992961B1 (ko) 자동 탁구 연습장치
KR102050280B1 (ko) 자동화 배팅 연습장치
KR101581929B1 (ko) 자동화 티 배팅 장치
US20240131413A1 (en) Pitching machine and batting bay systems
CN110038284A (zh) 一种智能投篮训练装置及其使用方法
CN104888440A (zh) 高尔夫自动练球系统
KR101879814B1 (ko) 오토 티업 장치
US5599017A (en) Baseball target and projector apparatus
KR200470337Y1 (ko) 초보자를 위한 테니스 서브 연습기
KR102619395B1 (ko) 타구궤적 산출기능을 구비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KR102270222B1 (ko) 일체형 폴더구조의 스마트 골프보드
KR101992681B1 (ko) 퍼팅 연습장치
CN110975259A (zh) 排球扣球拦网器
KR102355087B1 (ko)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CN114177593B (zh) 一种用于篮球训练的专用篮球架
KR102094238B1 (ko) 퍼팅연습기용 골프공 리턴장치
KR101818959B1 (ko) 야구 피칭 스크린을 구비한 공스피드 및 정확도 측정머신
CN210331619U (zh) 一种智能投篮训练装置
JP5177415B2 (ja) ゴルフボール供給装置
KR20170000342U (ko) 배팅 연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