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929B1 - 자동화 티 배팅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화 티 배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929B1
KR101581929B1 KR1020150026441A KR20150026441A KR101581929B1 KR 101581929 B1 KR101581929 B1 KR 101581929B1 KR 1020150026441 A KR1020150026441 A KR 1020150026441A KR 20150026441 A KR20150026441 A KR 20150026441A KR 101581929 B1 KR101581929 B1 KR 101581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
plate
ball
tubular portion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성
Original Assignee
김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성 filed Critical 김무성
Priority to KR1020150026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929B1/ko
Priority to JP2017502562A priority patent/JP6214817B2/ja
Priority to PCT/KR2016/001562 priority patent/WO2016137152A1/ko
Priority to US15/028,598 priority patent/US1024548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5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prior to kicking, striking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7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spring-loaded prope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2069/401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substantially vertically, e.g.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4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cleaning b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 Tea And Coffe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된 공을 배팅 가능하도록 연속되게 공급하는 공 저장부와, 공급부에 배출된 공을 티대의 상단부에 안착시켜 티 배팅을 가능하게 하는 승하강부 및, 공급부와 승하강부 사이에 배치된 공급부를 구비한 자동화 티 배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변식 내부공간와 회전설비를 갖춘 공 저장부를 통해 원활하면서 신속하게 공, 야구공을 티대용 승하강부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티 배팅 장치는 승하강하는 티대를 통한 타격연습 뿐만 아니라 실린더를 통한 수비연습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자동화 티 배팅 장치 {Automatic batting tee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화 티-배팅 장치, 특별하기로 야구공 티-배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저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일반 사회인들도 각종 스포츠 동호회를 구성하여, 운동경기를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직접 몸을 움직여 뛰며 서로 간의 친목을 다지고 건강을 증진시키고 있다. 가령 사회인 야구팀이나 축구팀 또는 농구팀 등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경기장에 모여 경기를 치르거나 체력 단력이나 기술 연습을 통해 경기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한편, 여러 스포츠 중 야구의 경우 배팅 연습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배팅 연습은, 예컨대 기술코치가 타격자에게 볼을 던져주고 타격자는 배트를 이용하여 볼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인력 방식은, 최소한 공을 던져주는 사람이 필요하고, 특히 안전사고의 위험을 안고 있다. 이를 테면 타격자가 타격한 볼이 공을 던져주는 사람에게 날아가거나 타격시 배트를 놓칠 경우 매우 큰 부상을 입을 수 있는 것이다. 타격된 공에 머리나 눈 등을 맞으면 뇌진탕이나 실명 또는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볼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타격연습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66269호(특허문헌 1)의 자동 타격 연습장치는, 수직으로 배치된 하나의 실린더 상단부에 승하강부를 설치하고 승하강부로 하여금 외부로부터 공급된 볼을 타격경로 내부로 올리는 구성을 갖는다. 타격자는 승하강부에 올려져 상사점에 올라온 볼을 타격한다.
종래의 타격 연습장치는, 볼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볼 공급이 자주 끊기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이유는, 볼이 파이프형 통체를 통과하는 동안 서로 간의 마찰에 의해 엉켜 잘 구르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습기가 많은 경우 더욱 심하다.
또한, 실린더를 구동하는 구동원으로서 압축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 중 소음이 매우 크다는 단점도 있었다. 압축기의 소음 때문에 코치와의 의사소통이 잘되지 않음은 물론 소음에 민감한 사람은 스트레스를 받아 훈련효율이 저하될 수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66269호
본 발명은 앞서 기술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호퍼 내부에 보관된 공을 용이하게 티대로 공급할 수 있고 장치의 휴대성과 편이성을 통해 타격 연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격 연습 뿐만 아니라 수비를 위한 캐치볼(catch ball) 혹은 펑고(fungo) 연습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저장된 공을 배팅 가능하도록 연속되게 공급하는 공 저장부와, 공급부로 배출된 공을 티대의 상단부에 안착시켜 티 배팅을 가능하게 하는 승하강부 및, 공급부와 승하강부 사이에 배치된 공급부를 구비한 자동화 티 배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속이 비어 있는 통 형상부와;
몸체 부분에 하나 이상의 관통공과 일측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길이연장된 안내관을 형성하고, 통 형상부의 하부를 폐쇄하는 바닥판;
바닥판과 이격상태로 통 형상부의 내주연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개의 리브;
통 형상부와 다수개의 리브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
다각형상의 밑변을 가진 뿔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판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회전판; 및
회전판의 구동을 돕는 모터;를 구비한 공 저장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회전판은 밑면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날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날개부는 유연한 재질의 가늘고 긴 바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판의 중심에서 밑변 가장자리까지의 거리(L330)는 회전판의 중심에서 안내관까지의 이격거리(L)보다 길거나 동일하게 신장될 수 있다.
회전판은 이 회전판의 상부면 상에 동심축 선상에 배치된 회전봉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회전봉은 이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공 저장부는 관통공으로 이물질을 흡입하는 진공펌프와 이 진공펌프로 흡입된 이물질을 집진하는 트레이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 형상부은 속이 비어 있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개의 리브는 통 형상부의 측면 갯수와 동일한 갯수를 가진다.
다수개의 리브는 리브의 양 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댐퍼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댐퍼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승하강부는 수직방향으로 길이연장된 레일과, 이 레일과 평행되어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벨트, 벨트의 회전을 통해 레일을 따라 활주하는 캐리지, 및 캐리지에서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있는 티대를 구비한다.
티대는 길이연장된 지지바아와 이 지지바아의 상단부 위에 상기 공을 안착하는 받침판, 지지바아의 상단부와 받침판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부재, 및 지지바아에 구비된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급부는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바퀴와, 2개의 바퀴에 걸쳐 회전하는 벨트, 및 벨트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핀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티 배팅 장치는 실린더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실린더부는 티대의 받침판의 하사점과 동일 높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공 저장부과 공급부 및 승하강부를 일렬로 배치하여, 공의 보관, 공급이송, 그리고 타격까지 제어가능한 자동화 공급라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타격 연습구의 신속하고 원활한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공 저장부를 채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벨트구동방식으로 티대의 승하강을 도와 티대의 높낮이 뿐만 아니라 티대의 승하강 속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타격연습 뿐만 아니라 수비연습도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티-배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티-배팅 장치의 제1 본체와 제2 본체의 조립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화 티-배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공 저장부의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자동화 티-배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원호부(A)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동화 티-배팅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자동화 티-배팅 장치의 승하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리브의 다른 실례를 장착한 공 저장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티-배팅 장치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티-배팅 장치는 공(B)의 승하강을 돕는 승하강부(100)와 이 승하강부의 티대(131)까지 공(B)의 공급이송을 돕는 공급부(200)를 구비한 제1 본체(1)와, 공급부(200)로 공급될 공(B)을 임시 수용하는 공 저장부(300)를 구비한 제2 본체(2)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제1 본체(1)와 제2 본체(2)를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이동 및/또는 조립의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본체(1)와 제2 본체(2)는 다양한 방식으로 탈장착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제1 본체(1)와 제2 본체(2)는 동일 수준의 높이를 갖추고 있어 본 발명의 자동화 티-배팅 장치에 구비된 승하강부(100)와 공급부(200) 및 공 저장부(300)를 일렬로 배열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은 공 저장부(300)의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갖춘 자동화 티-배팅 장치의 평면도로서, 공 저장부(300) 내부의 구성 및 배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공 저장부(300)는 저장보유된 공(B)을 하나씩 공급부(200;도 5 참조)로 연속되게 공급할 수 있는 구성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 저장부(300)는 상부와 하부를 개방한 통 형상부(350)와, 통 형상부(350)의 개방 하부면을 차단하는 바닥판(320), 및 바닥판(320)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회전판(330)을 구비한다.
바닥판(320)은 이의 외주면 둘레 혹은 일측 가장자리에 하나의 안내관(360)를 형성하는데, 이 안내관(360)은 공 저장부(300)에 저장보유된 공(B)을 후단 설비, 즉 공급부로 이동을 돕는다.
회전판(330)은 모터 축에 연결되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공(B)을 안내관(360)을 향해 강제로 밀어붙이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공(B)이 회전판(330)으로 밀쳐져 안내관(360)으로 안내되면 바닥판(320) 아래로 낙하되면서 공급부로 이송될 수 있다. 회전판(330)의 정방향 회전에도 불구하고, 공(B)의 유동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될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회전판(30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내부공간(310)에서 엉켜 있는 다수의 공(B)을 서로 느슨하게 배열할 수도 있다.
공(B)의 배출을 보장하기 위해서, 회전판(330)의 밑변은 안내관(360)과 포개지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공(B)의 유입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즉, 회전판(330)의 중심에서 변까지의 거리(L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30)의 중심에서 안내관(360)의 이격거리(L)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회전판(330)의 밑변이 안내관(360)과 약간 중첩되게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상의 밑변을 가진 회전판(330)은 밑변 둘레를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날개부(340)를 구비한다. 날개부(340)는 회전판(300)의 밑변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시킨다. 날개부(340)는 유연한 재질의 가늘고 긴 바아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판(330)의 회전시 바닥판(320) 최외각에 놓여진 공(B)도 안내관(360)으로 안내할 수 있다. 날개부(340)는 실리콘 혹은 고무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고무재질로 제작된 날개부(340)는 바닥판(320)에 놓여진 공(B)의 겉표면에서 미끄러지지 않아 공(B)을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용이하게 된다. 날개부(340)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공(B)이 내부공간(310) 내에 엉켜있어 유동하지 않을 경우에 회전판(330)의 강제 회전시 쉽게 휘어져 날개부(3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판(330)은 이의 상부면 상에 동심축 선상으로 배치된 회전봉(370)을 구비한다. 회전봉(370)은 이의 외주면에 방사상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371)를 구비한다. 회전봉(370)은 공(B)과의 접촉시 공(B)의 외피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부드럽고 유연한 고무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회전봉(370)은 내부공간(310) 내에 적재보유된 공(B)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판(330)과 함께 회전하면서 돌기부(371)로 회전봉(370)에 인접한 공(B)에 일방향으로 외력(회전력)을 가해 밀착상태로 엉켜있는 공(B)들을 유동가능하게 상호 흩어지게 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회전봉(370)은 회전판(330)의 회전시 축선방향으로 승하강하여 공(B)을 회전방향만 이동을 유발시키지 않고 내부공간(310)에 적재된 공을 상방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티-배팅 장치는 공 저장부(300)를 장착하는 제2 케이스(20)에 고정결합된 속이 비어 있는 다각기둥형상의 통 형상부(350)를 구비한다. 제2 케이스(20)는 통 형상부(350)의 상부 개방면과 대응되는 상부면 일부를 천공한다. 이는 공(B)을 공 저장부(300)의 내부공간(310) 내부로 접근을 허용하여, 공(B)을 다수개의 리브(311)와 바닥판(320)으로 한정된 공 저장부(300)의 내부공간(310)에 저장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자동화 티-배팅 장치는 통 형상부(350)와 다수개의 리브(311)를 이중관 형태로 배열되는데, 다수개의 리브(311)는 통 형상부(350)의 내주연을 따라 동심원 구조로서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리브(311;rib)는 인접한 리브와 소정의 간극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리브 간의 간극은 볼의 직경보다 작아야 할 것이다. 덧붙여서, 다수개의 리브(311)는 바닥판(320)과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통 형상부(350)의 측면에 탄성부재(312)를 수단으로 하여 매달리게 된다(도 4 참조).
통 형상부(3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비어 있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통 형상부(350)의 각 측면에 하나의 리브(311)를 대면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다수개의 리브(311)는 통 형상부(350)의 측면 갯수와 동일한 갯수를 갖도록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리브(311)는 통 형상부(350) 내주연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데, 리브(311)는 탄성부재(312)를 통해 통 형상부(350)의 내주연에 위치고정될 수 있다.
내부공간(310)에 엉킨 상태로 적재된 공(B)은 회전판(330) 및/또는 회전봉(370)을 수단으로 하여 강제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외력이 가해지면서 일부 공(B)이 플레이트 형상의 리브(311)를 가압하면서 통 형상부(350)를 향해 수평방향, 다시 말하자면 반경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가압된 리브(311)가 반경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내부공간(310)의 크기를 확장되게 가변시켜 내부공간(310) 내부에 수용된 공(B)들 간에 좌우 및/또는 상하로 여유 공간을 제공하여 공(B)을 하방에 배치된 안내관(360)으로 유동가능하게 할 수 있다. 물론, 가압상태에서 해제되면 탄성부재(312)의 복원력으로 리브(211)는 정위치로 원상복귀될 수 있다.
리브(3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반적으로 통 형상부(350)의 내주연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한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리브(311)의 편평면은 소정의 곡률로 오목면 혹은 볼록면으로도 대체가능하다.
이러한 가변식 내부공간(310)을 구비한 공 저장부(300)는 회전판(330) 및/또는 회전봉(370)의 회전시 더욱 효과적으로 공(B)들 사이에 여유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리브(311)는 탄성부재(312)를 수단으로 하여 통 형상부(350)에 매달린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312)는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자동화 티-배팅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승하강부(100)는 공급부(200)로 공급된 공(B)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타격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부재로서, 티 배팅하기 위해 예컨대 스트라이크존(strike zone) 영역 혹은 그외의 미리 설정된 타격 영역으로 공(B)을 배치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부(100)는 내부공간을 한정하는 제1 케이스(10) 내부에서 모터(M1)의 구동을 통한 벨트(170)의 회전으로 티대(131)의 승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티대(1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130) 상에서 수직상방으로 길이연장되되, 지지바아(131a)와 이 지지바아(131a)의 상단부에 공(B)의 안착을 돕는 받침판(131c)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바아(131a)는 센서(S)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센서(S)는 진동센서일 수 있다. 센서(S)가 지지바아(131a)에 진동을 감지하게 되면, 본 발명은 센서(S)의 감지신호를 제어부(C)로 송출하고, 송출된 신호를 받은 제어부(C)는 티대(131)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받침대(131c) 상에 공(B)을 공급하고 다시 미리 설정된 높이로 티대(131)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티대(131)는 지지바아(131a)와 받침판(131c) 사이에 스프링부재(131b)를 개재할 수 있다. 스프링부재(131b)는 지지바아(131a)와 받침대(131c)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시켜 타격 연습시 배트로 지지바아(131a) 및/또는 받침대(131c)를 가격하게 되는 경우 타자에 대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바아와 받침대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충격이 종료된 이후에는, 스프링부재(131b)의 탄원력을 통해 지지바아(131a)와 받침대(131c)의 원래 상태로 신속하게 복구시킬 수 있을 것이다.
승하강부(100)는 제1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된 모터(M1)의 구동축에 연결된 제1 벨트풀리(150)와, 이 제1 벨트풀리(150)에서 수직상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제2 벨트풀리(160), 및 제1 벨트풀리(150)와 제2 벨트풀리(160)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벨트(170)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벨트풀리(150)는 제1 케이스(10)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반면에 제2 벨트풀리(160)는 제1 케이스(10)의 상부 내측면에 배치된다.
승하강부(100)는 제1 케이스(10)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길이연장되어 있는 레일(120)을 구비하는데, 바람직하기로 레일(120)은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레일로 구성된다. 캐리지(130)는 레일(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활주이동 가능한 구성부재로서, 캐리지(130)는 클램프(137)를 매개로 하여 벨트(170)에 결속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170)의 회전에 종속되어 레일(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다. 즉, 벨트(170)와 레일(120)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벨트(170)의 회전이동을 통해 캐리지(130)는 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면서 타격자의 신체 조건 혹은 미리 설정된 타격 위치에 따라 타격점, 즉 티대(131)의 상사점에 대한 높낮이를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130)는 레일(120) 상에 장착을 돕는 홀더(132)를 구비한다. 홀더(132)는 레일(120)과 동일한 갯수로 구성되되, 레일(120)과 캐리지(130)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캐리지(130)의 활주를 돕도록 캐리지(130)와 일체로 구비된다. 선택가능하기로, 홀더(132)는 레일(120)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롤러 혹은 베어링을 구비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자면, 캐리지(130)는 이의 측면 상에 클램프(137)를 구비한다. 클램프(137)는 모터(M1)로 구동회전하는 벨트(170)와 체결을 돕는다. 따라서, 벨트(170)가 클램프(137)를 수단으로 하여 캐리지(130)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벨트(170)의 회전 속도 및/또는 회전 이동거리에 대응되게 캐리지(130)를 레일(120) 상에서 활주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승하강부(100)는 벨트구동방식으로 연동되어 캐리지(130)의 받침판(131c)을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제1 본체(1)는 승하강부(100)를 둘러싸는 제1 케이스(10) 상부면에 개구부(13)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13)는 승하강하는 티대(131)의 지지바아(131a) 및/또는 받침대(131c)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개구부(13)는 받침판(131c)의 유출입을 보장할 수 있게 받침판(131c) 혹은 공(B)의 크기보다 크게 만들어야 한다.
개구부(13)는 제1 케이스(10)의 상부면에서 측면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0)의 측면까지 개방된 개구부(13)는 외력, 예컨대 실린더부(140)를 통한 공(B)의 측방향 비행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제1 케이스(10)의 개구부(13)는 받침판(131c)의 하사점과 동일한 높이이거나 이보다 높게 아니면 이보다 낮게 배치한다. 실린더부(140)는 받침판(131c)의 하사점과 동일 높이에서 수평하게 배치되는데, 실린더부(14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하는 작동로드(141)를 구비한다. 작동로드(141)의 선단부는 받침판(131c) 상에 안착된 공(B)의 측면에 외력을 가하여 강제로 밀치거나 타격하여 개구부(13)를 통해 측방향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작동로드(141)의 외력 정도에 따라 공(B)의 비행 궤적, 비행 속도, 비행 거리 등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린더부(140)는 전술된 바와 같이 공(B)을 측방향으로 날아가게 하여 캐치볼, 펑고, 롱토스 등의 수비 연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덧붙여서, 실린더부(140)는 공(B)을 측방향으로 효과적으로 날아갈 수 있도록 작동로드(141)의 선단부에 탄성고무 장착부(141a)를 장착하고, 작동로드(141)의 선단부와 탄성고무 장착부(141a) 사이에 압축 스프링(141b)을 개재할 수 있다.
공급부(200)는 내부공간을 한정하는 제1 케이스(10) 내부에서 모터(M2)의 구동을 통해 공(B)을 제1 케이스(10) 하부에서 티대(131)의 받침대(131c)까지 이송가능하게 한다. 공급부(200)는 낮은 위치로 배출된 공을 이보다 높은 티대(131) 상으로 공(B)을 이송시킬 수 있어 전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티 배팅 장치의 설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급부(200)는 개구부(13)와 대향되는 제1 케이스(10)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데, 제1 케이스(10)의 하부 내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축에 제1 스프로킷(221)을 장착하는 한편 제1 케이스(10)의 상부 내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축에 제2 스프로킷(222)을 장착하고, 제1 스프로킷(221)의 치상돌기와 제2 스프로킷(222)의 치상돌기 둘레에 체인(223)을 치합시켜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모터(M2)에 연결된 제2 스프로킷(222)이 회전하면 제2 스프로킷(222)의 치상돌기와 체인을 맞물려 상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덧붙여서, 공급부(200)는 제2 스프로킷(222)의 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공급부(200)는 자동화 티-배팅 장치의 이동시 제1 케이스(10) 내에서 예컨대 수직방향으로 입설되게 배치할 수 있고, 타격 연습시 소정의 각도, 예컨대 45도의 경사지게 배치시킬 수 있다. 공급부(200)의 입설각도는 작업자 혹은 타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가능하다.
또한, 체인(223)은 외주면 둘레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핀(223a)을 구비한다. 다수의 핀(223a)은 하나의 핀(223a)과 인접한 다른 핀(223a) 사이에 하나의 공(B)을 배치할 수 있게 공(B)의 직경보다 크게 이격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핀(223a) 간의 이격 거리는 공 직경의 1.1배 내지 1.5배 정도면 좋다.
선택가능하기로, 공급부(200)는 제1 스프로킷(221) 아래에 이송 컨베이어(250)를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250)는 일방향으로 공(B)을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벨트(251)를 구비하고, 이 벨트(251)는 2개의 바퀴(252,253)에 걸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일방향이라 함은 공 저장부(300)의 안내관(360)에서 공급부(200)의 제1 스프로킷(221) 하부까지 공(B)의 이송을 의미한다.
벨트(251)의 외표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핀(251a)을 구비한다. 핀(251a)은 안내관(360)을 따라 공 저장부(300)에 배출된 공(B)을 하나씩 주기적으로 공급부(200)의 체인(223) 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돕는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티-배팅 장치는 제2 케이스(20) 내부에 장착된 공 저장부(300)를 구비하는데, 공 저장부(300)의 내부공간(310)에 수용된 공(B)은 회전판(330)과 회전봉(370)을 통해 바닥판(320)의 안내관(360)을 따라 제1 케이스(10)의 공급부(200)로 이송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회전판(330)은 바닥판(320) 하부에 배치된 모터(M3)의 구동을 통해 회전하여 공(B)을 안내관(360)으로 이동을 조장할 수 있다. 공(B), 특히 야구공의 특성상 그 표면에 마찰력에 의해 리브(311)의 측면 혹은 안내관(360) 근방에서 병목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회전판(330)의 회전으로 공(B) 사이를 일시적으로 벌어지게 하여 용이하게 안내관(360)을 따라 공(B)을 하나씩 배출시킬 수 있다.
특히, 회전판(330)은 다각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판(3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M3)축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회전판(300) 상에 공(B)의 체류를 방지하고 신속하게 바깥방향, 즉 리브(311)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회전판(3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변을 다각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티-배팅 장치는 제2 케이스(20)의 내측 하부에 진공펌프(P)를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진공펌프(P)는 공(B)의 표면에서 떨어진 이물질(흙)을 집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바닥판(320)은 하나 이상의 관통공(322)을 구비하는데, 이 관통공(322)은 공(B)의 직경보다는 작아야할 것이다. 관통공(322)은 바닥판(320)에 쌓여 있는 이물질을 진공펌프(P)로 흡입할 때 내부공간(310)과 바닥판(320)으로 한정된 내부공간 밖으로 배출시키는 경로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0)는 진공펌프(P)로 흡입된 이물질을 트레이(21)로 포집할 수 있다. 트레이(21)가 제2 케이스(20)에서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트레이(21) 내부에 포집된 이물질, 먼지 등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티-배팅 장치는 제1 케이스(10) 및/또는 제2 케이스(20) 내부에 축전지(40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자동화 티-배팅 장치는 축전지(400)를 구비하고 있어 실내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지 않고서도 실외에서 타격 연습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티-배팅 장치는 제어부(C;도 1 참조)를 제1 케이스(10)에 구비하는데, 제어부(C)는 작업자의 다양한 설정을 돕도록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제어부(C)는 센서(S)의 감지신호, 승하강부(100)의 높낮이 제어, 티대의 상하이동속도, 실린더(140)의 작동로드(141) 구동, 공급부(200)의 공급속도, 회전판(330)의 회전구동, 진공펌프(P)의 작동 등을 조정할 수 있고 이러한 설정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별도로 구비된 카메라(참조도면 없음)로 촬영된 타격 자세를 캡쳐하여 디스플레이 혹은 별도의 저장수단(USB, SD 카드 등)으로 저장도 가능하다. 캡쳐된 자료는 추후 타격 자세의 장단점을 파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티-배팅 장치는 다른 실례의 리브(311)를 구비할 수 있다. 앞서 기술되었듯이, 다수의 리브(311)는 통 형상부(350)의 내주연과 소정의 간극을 두고 배치하여 형성된다. 각각각의 리브(311)는 탄성부재(312)를 수단으로 하여 통 형상부(350)의 각 측면 상에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다른 실례의 리브(311)는 가늘고 긴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리브(311)의 양 단부에서 통 형상부(350)의 내주연을 향해 신장된 댐퍼(311a)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리브(311)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인접하게 배치된 각각의 댐퍼(311a)들은 상호 밀착고정되어 있지 않아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다.
탄성부재(312)는 댐퍼(311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리브(311)를 공(B)으로 가압하는 경우에 통 형상부(350)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즉, 일 리브(311)의 댐퍼(311a)가 내주연을 향해 가압될 때 좌우측에 인접해 있는 리브(311)의 댐퍼(311a) 간의 공간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좌우로 편향되게 기울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댐퍼(311a)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져 통 형상부(350)와 리브(311)의 충돌시 완충작용을 제공할 수 있고 리브(311)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스페이서(spacer)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가압상태에 종속되어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리브(311)는 가변식 내부공간(310)을 제공하게 되어, 공(B)의 유동 공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티-배팅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제1 본체, 2 ----- 제2 본체,
10 ----- 제1 케이스, 20 ----- 제2 케이스,
100 ----- 승하강부, 200 ----- 공급부,
300 ----- 공 저장부, 311 ----- 리브
312 ----- 탄성부재, 320 ----- 바닥판,
330 ----- 회전판, 350 ----- 통 형상부,
370 ----- 회전봉.

Claims (17)

  1. 저장된 공(B)을 배팅 가능하도록 연속되게 공급하는 공 저장부(300)와, 상기 공 저장부(300)에서 배출된 공(B)을 티대(131)의 상단부에 안착시켜 티 배팅을 가능하게 하는 승하강부(100) 및, 상기 볼 저장부(300)와 승하강부(100) 사이에 배치된 공급부(200)를 구비한 자동화 티 배팅 장치에 있어서,
    속이 비어 있는 통 형상부(350)와;
    몸체 부분에 하나 이상의 관통공(322)과 일측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길이연장된 안내관(360)을 형성하고, 상기 통 형상부(350)의 하부를 폐쇄하는 바닥판(320);
    상기 바닥판(320)과 이격상태로 상기 통 형상부(350)의 내주연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개의 리브(311);
    상기 통 형상부(350)과 상기 다수개의 리브(311)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312);
    다각형상의 밑변을 가진 뿔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320)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회전판(330); 및
    상기 회전판(330)의 구동을 돕는 모터(M3);를 구비한 공 저장부(30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티 배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330)은 상기 밑면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날개부(340)를 구비한 자동화 티 배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340)는 유연한 재질의 가늘고 긴 바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티 배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330)의 중심에서 밑변 가장자리까지의 거리(L330)는 상기 회전판(330)의 중심에서 상기 안내관(360)까지의 이격거리(L)보다 길거나 동일하게 신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티 배팅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330)은 상기 회전판(330)의 상부면 상에 동심축 선상에 배치된 회전봉(37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티 배팅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370)은 상기 회전봉(370)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371)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티 배팅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 저장부(300)는 상기 관통공(322)으로 이물질을 흡입하는 진공펌프(P)와 상기 진공펌프(P)로 흡입된 이물질을 집진하는 트레이(21)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티 배팅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12)는 압축스프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티 배팅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부(350)은 속이 비어 있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티 배팅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리브(311)는 상기 통 형상부(350)의 측면 갯수와 동일하게 되어 있는 자동화 티 배팅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리브(311)는 상기 리브(311)의 양 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댐퍼(311a)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티 배팅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댐퍼(311a)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티 배팅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100)는 수직방향으로 길이연장된 레일(120)과, 상기 레일(120)과 평행되어 모터(M1)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벨트(170), 상기 벨트(170)의 회전을 통해 상기 레일(120)을 따라 활주하는 캐리지(130), 및 상기 캐리지(130)에서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있는 티대(1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티 배팅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티대(131)는 길이연장된 지지바아(131a)와 상기 지지바아(131a)의 상단부 위에 상기 공(B)을 안착하는 받침판(131c), 상기 지지바아(131a)의 상단부와 상기 받침판(131c)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부재(131b), 및 상기 지지바아(131a)에 구비된 센서(S)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티 배팅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200)는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바퀴(252,253)와, 상기 2개의 바퀴(252,253)에 걸쳐 회전하는 벨트(251), 및 상기 벨트(251)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핀(251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티 배팅 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실린더부(140)가 상기 받침판(131c)의 하사점과 동일 높이에서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부(14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하는 작동로드(141)가 구비되어 상기 공(B)이 측방향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티 배팅 장치.
  17. 삭제
KR1020150026441A 2015-02-25 2015-02-25 자동화 티 배팅 장치 KR101581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441A KR101581929B1 (ko) 2015-02-25 2015-02-25 자동화 티 배팅 장치
JP2017502562A JP6214817B2 (ja) 2015-02-25 2016-02-16 自動化ティーバッティング装置
PCT/KR2016/001562 WO2016137152A1 (ko) 2015-02-25 2016-02-16 자동화 티 배팅 장치
US15/028,598 US10245489B2 (en) 2015-02-25 2016-02-16 Automatic batting te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441A KR101581929B1 (ko) 2015-02-25 2015-02-25 자동화 티 배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929B1 true KR101581929B1 (ko) 2016-01-11

Family

ID=55169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441A KR101581929B1 (ko) 2015-02-25 2015-02-25 자동화 티 배팅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45489B2 (ko)
JP (1) JP6214817B2 (ko)
KR (1) KR101581929B1 (ko)
WO (1) WO201613715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664A1 (ko) * 2017-12-14 2019-06-20 김무성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연습 시스템 및 이의 관리 시스템
KR20190071224A (ko) * 2017-12-14 2019-06-24 김무성 자동화 배팅 연습장치
KR102021553B1 (ko) 2018-05-31 2019-09-16 남지현 오토 티업 장치
WO2021125364A1 (ko)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제스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KR102498644B1 (ko) * 2022-06-07 2023-02-10 주식회사 엔이티페이 테니스 레슨 및 연습을 위한 무인 로봇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1522B2 (en) * 2017-08-25 2020-04-28 Dogtra Co., Ltd. Ball trainer with launcher function and dropper function and training box
KR101879814B1 (ko) * 2018-03-20 2018-07-19 남지현 오토 티업 장치
CN109224418B (zh) * 2018-10-15 2020-10-30 安徽省行千里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一种新的篮球收集和发球装置
CN109731313B (zh) * 2019-03-08 2023-06-02 牛颖东 一种棒球发球机
US11235223B1 (en) * 2020-09-14 2022-02-01 Fle-Innovations Llc Automated projectile launcher device for launching biodegradable projectil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1308A (ja) * 1997-01-31 1998-08-11 Pentel Kk ボール貯留部からティーアップ部へボールを供給する装置
KR19990038309U (ko) * 1998-03-23 1999-10-25 문성균 골프공 공급장치
JP2009039290A (ja) * 2007-08-08 2009-02-26 Denso Corp ボール供給装置
KR20120066269A (ko) 2010-12-14 2012-06-22 지관구 자동 타격 연습장치
KR101389157B1 (ko) * 2013-12-03 2014-05-27 김무성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043A (en) * 1884-01-15 pakmerlee
US1223386A (en) * 1915-09-23 1917-04-24 Daniel Handelan Automatic base-ball apparatus.
FR648809A (fr) * 1927-05-25 1928-12-14 Lance-balles
US1952113A (en) * 1932-11-22 1934-03-27 Clay C Beckett Golf ball teeing device
US2711726A (en) * 1952-05-10 1955-06-28 George H Darrell Target throwing machine
US3298694A (en) * 1963-11-26 1967-01-17 Automated Golf Systems Inc Automatic golf ball teeing device
US3378263A (en) * 1965-12-06 1968-04-16 Automatic Golf Systems Inc Fully automatic golf ball teeing device
US3533631A (en) * 1968-09-03 1970-10-13 James J Hladek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eeing golf balls
US3822688A (en) * 1970-08-17 1974-07-09 D Mayne Hockey puck shooting machine
JPS5127272U (ko) * 1974-08-15 1976-02-27
CH614382A5 (ko) * 1976-12-10 1979-11-30 Kurt Scheiwiller
JPS5581370U (ko) * 1978-11-30 1980-06-04
US4248202A (en) * 1978-12-11 1981-02-03 Marvin Glass & Associates Disc launcher
JPS58187527U (ja) * 1982-06-10 1983-12-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リユ−フイ−ダ
JPS6417275U (ko) * 1987-06-12 1989-01-27
JPH02106285U (ko) * 1989-02-10 1990-08-23
NL9000607A (nl) 1990-03-16 1991-10-16 Jedaho Bv Werkwijze alsmede inrichting voor het regelmatig afgeven van kogelvormige voorwerpen.
US5294109A (en) * 1992-11-25 1994-03-15 Meade John H Ball tossing device for baseball batting practice
US5733209A (en) * 1994-12-09 1998-03-31 Mcintyre, Iv; James O. Pneumatic ball launching apparatus
JPH1133157A (ja) * 1997-07-14 1999-02-09 Sports One Internatl Kk ピッチングマシーン
JP2001224733A (ja) * 2000-02-14 2001-08-21 Katsumi Sasakura バッティング練習機
JP2001299979A (ja) * 2000-04-20 2001-10-30 Tooa Sports Machine:Kk 投球機における球供給装置
US6416429B1 (en) * 2000-06-16 2002-07-09 Quick Hit, Inc. Automated batting tee apparatus
US6684872B2 (en) * 2002-06-03 2004-02-03 Chien-Wen Kao Fixed contact point practicing machine
US7549415B2 (en) * 2004-08-30 2009-06-23 Karellas John J Soccer ball dispensing, storing and transporting device
JP4773771B2 (ja) * 2005-08-19 2011-09-14 有限会社 カシコ製作 野球のバッティング練習用ボール供給装置
JP5064845B2 (ja) * 2007-03-13 2012-10-31 住友化学株式会社 ホッパー
US7874942B2 (en) * 2008-10-22 2011-01-25 Yann O. Auzoux Ball toss toy
KR101248830B1 (ko) * 2010-09-15 2013-03-29 (주) 알디텍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1308A (ja) * 1997-01-31 1998-08-11 Pentel Kk ボール貯留部からティーアップ部へボールを供給する装置
KR19990038309U (ko) * 1998-03-23 1999-10-25 문성균 골프공 공급장치
JP2009039290A (ja) * 2007-08-08 2009-02-26 Denso Corp ボール供給装置
KR20120066269A (ko) 2010-12-14 2012-06-22 지관구 자동 타격 연습장치
KR101389157B1 (ko) * 2013-12-03 2014-05-27 김무성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664A1 (ko) * 2017-12-14 2019-06-20 김무성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연습 시스템 및 이의 관리 시스템
KR20190071224A (ko) * 2017-12-14 2019-06-24 김무성 자동화 배팅 연습장치
KR20190071225A (ko) * 2017-12-14 2019-06-24 김무성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연습 시스템 및 이의 관리 시스템
KR101999203B1 (ko) * 2017-12-14 2019-07-11 김무성 자동화 배팅 연습 장치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연습 시스템 및 이의 관리 시스템
KR102050280B1 (ko) * 2017-12-14 2019-11-29 김무성 자동화 배팅 연습장치
KR102021553B1 (ko) 2018-05-31 2019-09-16 남지현 오토 티업 장치
WO2021125364A1 (ko)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제스트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KR102498644B1 (ko) * 2022-06-07 2023-02-10 주식회사 엔이티페이 테니스 레슨 및 연습을 위한 무인 로봇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93711A1 (en) 2018-07-12
JP2017509469A (ja) 2017-04-06
JP6214817B2 (ja) 2017-10-18
WO2016137152A1 (ko) 2016-09-01
US10245489B2 (en) 201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929B1 (ko) 자동화 티 배팅 장치
KR102050280B1 (ko) 자동화 배팅 연습장치
US4132214A (en) Ball delivery apparatus
US5487540A (en) Apparatus for use in practicing the fundamentals of basketball
US7600759B2 (en) Multi-sports ball return net system and method thereof
US6620064B2 (en) Return net device
JP7010530B2 (ja) バドミントンシャトルコック自動収去装置
CN205095372U (zh) 一种训练用篮球自动回位装置
US5383658A (en) Robot table tennis net and server assembly
JP2014217468A (ja) トスバッティング装置
KR200470337Y1 (ko) 초보자를 위한 테니스 서브 연습기
KR101389157B1 (ko)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KR101647118B1 (ko) 다기능 배구 연습장치
JP7076642B2 (ja) フライングディスク用のボウリングゲーム装置
CA2144184C (en) Table tennis ball server robot and net
JP6078215B2 (ja) バッティング練習装置
KR102355087B1 (ko)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KR102021553B1 (ko) 오토 티업 장치
KR102619395B1 (ko) 타구궤적 산출기능을 구비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KR102070025B1 (ko) 탁구공 수집장치
JP2006102223A (ja) 球体自動回収装置および卓球練習機
WO2009138504A2 (en) A golf ball dispenser
CA2329919C (en) Ball return net device
CN207187047U (zh) 一种羽毛球练习辅助装置
US20220176219A1 (en) Improvements to a device and method for training, directing and repeating bat movements performed while ba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