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157B1 -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9157B1 KR101389157B1 KR1020130148964A KR20130148964A KR101389157B1 KR 101389157 B1 KR101389157 B1 KR 101389157B1 KR 1020130148964 A KR1020130148964 A KR 1020130148964A KR 20130148964 A KR20130148964 A KR 20130148964A KR 101389157 B1 KR101389157 B1 KR 1013891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ll
- vacuum pump
- fixed
- chute
- fixed chu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2063/001—Targets or goals with ball-return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2069/401—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substantially vertically, e.g. for baseball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5—Installations continuously collecting balls from the playing areas, e.g. by gravity, with conveyor be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고정슈트와; 상기 고정슈트내의 볼을 이송시키는 볼이송수단과; 진공력을 발생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로딩액츄에이터와; 상기 볼로딩액츄에이터에 의해 승강하고,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음압을 형성하는 볼받침부와; 상기 고정슈트를 통과한 볼을 볼받침부의 상단에 안착되게 하는 가동슈트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는, 볼을 강제 이송 공급하므로 작동 중 볼의 끊김이 없어 훈련효율이 뛰어나고, 특히 흡착과 배기가 가능한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볼을 흡착한 상태로 올려주므로 볼을 받치는 티대가 상승하다가 순간적으로 정지한다 하더라도 볼이 티대로부터 이탈할 염려가 없어 안정적인 볼 공급이 가능하며, 다수의 티대가 볼을 스트라이크존의 내부영역 어느 지점에라도 위치시킬 수 있어 다양하게 배합된 코스의 타격연습이 가능하고, 또한 티대가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나 고무로 제작되므로 배트에 맞더라도 다시 수직으로 세워져 타격자가 부담없이 스윙할 수 있으며, 필요시 파트별로 분해할 수 있어 이동이 간편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는, 볼을 강제 이송 공급하므로 작동 중 볼의 끊김이 없어 훈련효율이 뛰어나고, 특히 흡착과 배기가 가능한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볼을 흡착한 상태로 올려주므로 볼을 받치는 티대가 상승하다가 순간적으로 정지한다 하더라도 볼이 티대로부터 이탈할 염려가 없어 안정적인 볼 공급이 가능하며, 다수의 티대가 볼을 스트라이크존의 내부영역 어느 지점에라도 위치시킬 수 있어 다양하게 배합된 코스의 타격연습이 가능하고, 또한 티대가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나 고무로 제작되므로 배트에 맞더라도 다시 수직으로 세워져 타격자가 부담없이 스윙할 수 있으며, 필요시 파트별로 분해할 수 있어 이동이 간편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저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일반 사회인들도 각종 스포츠동호회를 구성하여, 운동경기를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직접 몸을 움직여 뛰며 서로간의 친목을 다지고 건강을 증진시키고 있다. 가령 사회인 야구팀이나 축구팀 또는 농구팀 등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경기장에 모여 경기를 치루거나 체력단련이나 기술 연습을 통해 경기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한편, 상기한 여러 스포츠 중 야구의 경우 배팅연습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배팅연습은, 예컨대 기술코치가 타격자에게 볼을 던져주고 타격자는 배트를 이용하여 볼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인력 방식은, 최소한 공을 던져주는 사람이 필요하고, 특히 안전사고의 위험을 안고 있다. 이를테면 타격자가 타격한 볼이, 공을 던져주는 사람에게 날아가거나, 타격시 배트를 놓칠 경우 매우 큰 부상을 입을 수 있는 것이다. 타격된 공에 머리나 눈 등을 맞으면 뇌진탕이나 실명 또는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볼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타격연습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가령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66269호의 자동타격 연습장치는, 수직으로 배치된 하나의 실린더 상단부에 승하강부를 설치하고 상기 승하강부로 하여금 외부로부터 공급된 볼을 타격경로 내부로 올리는 구성을 갖는다. 타격자는 상기 승하강부에 올려져 상사점에 올라온 볼을 타격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타격 연습장치는, 볼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볼 공급이 자주 끊긴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이유는, 볼이 파이프형 통체를 통과하는 동안 서로간의 마찰에 의해 엉켜 잘 구르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습기가 많은 경우 더욱 심하다.
또한 실린더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압축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 중 소음이 매우 크다는 단점도 있었다. 압축기의 소음 때문에 코치와의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음은 물론 소음에 민감한 사람은 스트레스를 받아 훈련효율이 저하할 수 도 있다.
아울러 하나의 실린더만 사용하므로 볼이 타경경로로 올라오는 시간이 빠르지 않다. 볼을 올리기 위해서는 승하강부가 한번 내려갔다 와야 하는데, 승하강부의 속도를 어느 이상 올리지 못하므로 결국 볼의 공급이 느려 속타 연습이 불가능한 것이다. 속타 연습이라함은 적어도 1초 이하의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들어오는 볼을 타격하는 연습이다. 이러한 속타연습을 통해 타격 판단력과 반사신경이 좋아진다.
특히 상기 승하강부가 상사점에 도달하는 순간, 볼이 승하강부로부터 이탈되어 밑으로 떨어질 수 도 있다. 즉, 승하강부가 상사점에 도달하여 정지하는 순간 승하강부에 얹혀있던 볼이 관성력에 의해 승하강부로부터 상부로 떠오른 후 다시 내려 앉는데, 이 때 볼의 중심과 승하강부의 중심축선이 어긋나면 볼이 외측으로 튕겨 나가는 것이다. 실린더의 작동속도를 빠르게 할 수 없는 또 다른 이유인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한 바와같이 하나의 실린더만 사용하므로, 실린더의 동작을 아무리 다양하게 제어한다 하더라도, 볼의 높이에만 변화를 줄 수 있지 좌우방향으로는 변화를 줄 수 없다는 한계도 있다. 타격자 입장에서 인코스 타격연습과 아웃코스 타격연습이 불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볼을 강제 이송 공급하므로 작동 중 볼의 끊김이 없어 훈련효율이 뛰어나고, 특히 흡착과 배기가 가능한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볼을 흡착한 상태로 올려주므로 볼을 받치는 티대가 상승하다가 순간적으로 정지한다 하더라도 볼이 티대로부터 이탈할 염려가 없어 안정적인 볼 공급이 가능하며, 다수의 티대가 볼을 스트라이크존의 내부영역 어느 지점에라도 위치시킬 수 있어 다양하게 배합된 코스의 타격연습이 가능하고, 또한 티대가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나 고무로 제작되므로 배트에 맞더라도 다시 수직으로 세워져 타격자가 부담없이 스윙할 수 있으며, 중량이 가볍고 필요시 접거나 분해할 수 있어 이동이 간편한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볼을 수용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호퍼로부터 내려온 볼을 받아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일정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고정슈트와; 상기 고정슈트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며 고정슈트내의 볼을 밀어 이송시키는 볼이송수단과; 상기 고정슈트 및 호퍼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고정슈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서브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진공펌프에 의해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로딩액츄에이터와; 상기 볼로딩액츄에이터에 의해 승강하고,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진공펌프의 작동시 그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는 볼받침부와;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볼받침부를 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고정슈트를 통과한 볼을 상기 관통구멍으로 유도하여, 관통구멍 하부에 대기하고 있는 볼받침부의 상단에 안착되게 하는 가동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그 하부에 바퀴를 가지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고정슈트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승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메인프레임에 대해 승강프레임을 승강시켜 상기 고정슈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이송수단은; 상기 고정슈트의 외측부에 구비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왕복하는 작동로드를 갖는 볼이송액츄에이터와, 상기 고정슈트의 내부에 설치되며, 볼이송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동작하여 볼을 상기 가동슈트측으로 가압 이송시키는 푸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동슈트는 고정슈트에 연결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로딩액츄에이터는; 상기 서브프레임에 수직으로 고정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위치하며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작동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볼받침부는; 상기 작동로드의 상단부에 고정된 받침케이싱과, 상기 받침케이싱의 내부에 그 일부가 삽입 고정된 상태로 상부로 연장되고 상단부에는 볼과 밀착하는 흡착부를 가지며, 상기 진공펌프로부터 진공압을 제공받아 흡착부에 올려져 있는 볼을 흡착 고정하는 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은 메인프레임에 대해 착탈 가능하며, 메인프레임에 서브프레임을 착탈 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메인프레임에는 거치홈이 형성되어 있고, 서브프레임은 상기 거치홈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직으로 연장된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축회전시키는 손잡이와, 상기 승강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리드스크류에 치합한 상태로 리드스크류의 축회전시 승강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호퍼의 내부에는, 호퍼에 수용되어 있는 볼을 고정슈트로 낱개씩 내려보내는 볼피딩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펌프의 주변에 진공펌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는, 볼을 강제 이송 공급하므로 작동 중 볼의 끊김이 없어 훈련효율이 뛰어나고, 특히 흡착과 배기가 가능한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볼을 흡착한 상태로 올려주므로 볼을 받치는 티대가 상승하다가 순간적으로 정지한다 하더라도 볼이 티대로부터 이탈할 염려가 없어 안정적인 볼 공급이 가능하며, 다수의 티대가 볼을 스트라이크존의 내부영역 어느 지점에라도 위치시킬 수 있어 다양하게 배합된 코스의 타격연습이 가능하고, 또한 티대가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나 고무로 제작되므로 배트에 맞더라도 다시 수직으로 세워져 타격자가 부담없이 스윙할 수 있으며, 중량이 가볍고 필요시 접거나 파트별로 분해할 수 있어 이동이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연습장치에서의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을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메인프레임의 이동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퀴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5a,5b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고정슈트와 가동슈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서브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에 적용되는 볼로딩액츄에이터 및 볼받침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가동슈트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1의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에서의 볼회수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연습장치에서의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을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메인프레임의 이동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퀴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5a,5b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고정슈트와 가동슈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서브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에 적용되는 볼로딩액츄에이터 및 볼받침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가동슈트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1의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에서의 볼회수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11)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연습장치에서의 메임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을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11)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볼(B)을 임시 수용하는 호퍼(31)와, 상기 호퍼(31)의 하부에 설치되어 호퍼(31)로부터 내려온 볼을 받아 이동시키는 고정슈트(25)와, 상기 고정슈트(25)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볼을 고정슈트의 하류측으로 가압 이송시키는 볼이송액츄에이터(27)와, 상기 고정슈트(25)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메인프레임(13) 및 승강프레임(15)과, 상기 고정슈트(25)의 하부에 설치되는 진공펌프(21)와, 콘트롤러(19)와, 배터리(47)와, 상기 메인프레임(1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프레임(35)과, 상기 서브프레임(35)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기 진공펌프(21)에 연결되어 진공펌프에 의해 작동하는 적어도 다수의 볼로딩액츄에이터(37)와, 상기 볼로딩액츄에이터(37)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진공펌프(21)와 연결되는 볼받침부(39)와, 상기 서브프레임(35)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동슈트(43)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호퍼(31)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볼(B)을 그 내부에 받아들여 수용한 상태로,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배출구(31a)를 통해 하나씩 내려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호퍼(31)에 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11에 도시한 다단카트(53)나 도 12의 볼공급기(55)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다단카트(53)나 볼공급기(55)는 회수된 볼을 모아 호퍼(31)로 돌려보내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호퍼(31)의 용량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으며, 가령 200개 내지 400개 정도의 볼을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로 제작할 수 도 있다.
특히 상기 호퍼(31)의 내부에는 볼배출액츄에이터(33)와 경사판(도 10의 31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볼배출액츄에이터(33)는 배출구(31a)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대응 설치된 것으로서, 볼(B)을 배출구(31a)를 통해 하나씩 내려보내는 역할을 한다. 야구볼의 경우 그 표면에 마찰력이 어느 정도 있으므로, 배출구(31a) 주변에 병목현상이 발생하기 마련인데, 상기와 같이 볼을 내려보내는 볼배출액츄에이터(33)를 적용하여 병목현상에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판(31b)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볼배출액츄에이터(33)의 상부를 커버하여, 볼(B)이 볼배출액츄에이터(33)에 걸리지 않고 배출구(31a)측으로 쉽게 내려올 수 있게 가이드한다.
상기 호퍼(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슈트(25)는, 후술할 승강프레임(15)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된 볼 이송로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정폭의 슬릿(25c)을 통해 상부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고정슈트(25)의 폭과 높이가 볼의 직경보다 커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슈트(25)의 폭과 높이는 볼 직경의 1.1배 내지 1.5배 정도면 좋다.
또한 상기 고정슈트(25)의 하류측 단부에는 돌출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5a)는 가동슈트(43)측으로 돌출되어 가동슈트(43)의 단부에 연결핀(26)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와같이 고정슈트(25)와 가동슈트(43)가 연결핀(26)으로 연결되므로 가동슈트(43)를 상향 회동시켜 고정슈트(25) 상부에 포개어 놓을 수 있다.
상기 고정슈트(25)의 상류측 단부에는 볼이송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볼이송수단은, 고정브라켓(28)에 지지된 상태로 작동하여 고정슈트(25)로 내려와 있는 볼을 하류측으로 밀어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브라켓(28)은 고정슈트(25)의 외측부에 고정된 지지부재이다.
상기 볼이송수단은, 상기 고정브라켓(28)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실린더(27a)와, 상기 실린더(27a)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하는 작동로드(27b)로 이루어진 볼이송액츄에이터(27)와, 상기 작동로드(27b)의 선단부에 고정도는 막대형 푸싱로드(27c)로 이루어진다. 상기 푸싱로드(27c)는 배출구(31a)의 하부에 설치되며 배출구(31a) 하부로 내려온 볼을 상기 가동슈트(43)측으로 밀어 강제로 이송한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3)은 지면에 고정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측부 하단에 바퀴(45)를 갖는다. 상기 바퀴(45)는 메인프레임(13) 및 이에 고정되어 있는 요소를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메인프레임(13)의 한쪽 방향을 들어 올렸을 때 지면에 닿아 구름운동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3)의 상측부에는 가로대(13b)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로대(13b)의 양측에 승강가이더(17)가 위치한다. 상기 가로대(13b)는 메인프레임(13)의 일부분으로서 볼스크류(23)를 고정한다.
상기 볼스크류(23)는 메인프레임(13)에 대한 승강프레임(15)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 수단으로서, 베어링부(23b)에 의해 가로대(13b)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직으로 연장된 리드스크류(23d)와, 상기 리드스크류(23d)를 축회전시키는 손잡이(23a)와, 상기 리드스크류(23d)에 치합한 상태로 그 상단부가 고정부(23c)를 통해 승강프레임(15)에 고정되는 승강부재(23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23a)를 회전시키면 승강부재(23e)가 승강하고, 그에 따라 승강프레임(15)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메인프레임(13)의 도면상 우측 상단부에는 다수의 거치구(13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거치구(13a)는 메인프레임(13)에 대한 서브프레임(35)의 결합을 위해 적용한 부분으로서, 서브프레임(35)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35a)를 수용 고정한다. 상기 고정부(35a)를 거치구(13a)에 끼우면 메인프레임(13)에 대한 서브프레임(35)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승강프레임(15)은, 고정슈트(25)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수평지지부와(15a)와, 상기 수평지지부(15a)의 양단부에 고정되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승강가이더(17)에 지지되는 다리부(15b)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부(15a)는 고정슈트(25) 하부에서 고정슈트(25)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그 중앙 저면에 상기 볼스크류(23)가 고정된다. 상기 볼스크류(23)의 작동시 수평지지부(15a)가 승강운동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다리부(15b)는 각각의 승강가이더(17)를 통과하며 승강운동시 승강가이더(17)에 의해 가이드된다. 상기 승강가이더(17)의 작용에 의해 승강프레임(15)의 승강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한 메인프레임(13)과 승강프레임(15)과 서브프레임(35)은 경량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므로, 연습장치(11)의 중량이 그만큼 가벼워 이동이 용이하다. 가령 한 두 사람이 차량에 쉽게 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정도이다. 이와같이 중량이 가벼워 이동성이 뛰어나므로, 본 연습장치(11)를 어디든지 가지고 가서 연습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프로야구팀의 경우,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 본 연습장치(11)를, 선수들이 몸 푸는 장소에 배치하여 타격 연습을 하게 할 수 도 있다. 보통 투수들의 경우 두 사람이 피칭연습을 계속 할 수 있으나, 타자들은 마땅히 연습할 수 없어 스윙연습 정도만 하고 타석에 올라가는데, 본 연습장치(11)를 활용할 경우, 연습타격을 통해 타격감각을 최대한 상승시킨 상태로 타석에 올라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3)의 내부 영역에는 진공펌프(21)와 콘트롤러(19)와 배터리(47)가 설치된다.
상기 진공펌프(21)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동작하여 진공력을 발생하는 장비로서 흡기와 배기를 동시에 수행한다. 상기 진공펌프(21)의 측부에는 흡기관(21a)과 배기관(21b)이 구비되는데, 상기 배기관(21b)은 진공펌프(21)로부터의 배기를 내보내고, 흡기관(21a)은 외부의 공기를 진공펌프(21)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진공펌프(21)로부터 배기관(21b)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는 볼로딩액츄에이터(37)와 볼이송액츄에이터(27)로 공급되어 해당 액츄에이터를 가동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흡기관(21a)은 후술할 볼받침부(39)의 배기튜브(39a)에 연결되어, 진공펌프(21)의 작동시 볼받침부(39) 내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진공펌프(21)로 유도한다.
상기와 같이 진공펌프(21)를 사용한 것은, 진공펌프의 소음이 일반 콤프레셔보다 현저히 작기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진공펌프(21)를 적용한 이유가 볼을 흡착하기 위한 것이지만, 진공펌프가 소음이 작아 사용에 부담이 없고, 선수들간의 의사소통에 방해되지 않으므로 본 실시예의 연습장치(11)가 더욱 좋은 것이다. 콤프레셔를 사용할 경우 소음이 매우 크기 때문에 경기에 방해가 되고, 야구장의 선수들이 몸푸는 장소에 설치할 수 도 없다.
상기 진공펌프(21)의 측부에 구비되는 콘트롤러(19)는, 여러 가지 스위치가 배열되어 있는 제어패널(19a)을 구비하며, 입력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을 통해 진공펌프(21)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진공펌프(21)의 동작제어를 통해 볼로딩액츄에이터(37)와 볼이송액츄에이터(27)와 볼받침부(39)의 작동 타이밍을 매우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가령, 볼로딩액츄에이터(37)가, 차례로 동작하게 한다거나, 무작위로(소위 랜덤하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고, 볼로딩액츄에이터(37)의 동작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변화시킬 수 도 있다. 예를들면 볼로딩액츄에이터(37)의 정위치 테크타임을 0.8초, 2.5초, 4.5초의 3가지 패턴으로 구성하여 타격 타이밍 훈련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작동로드(37b)의 최대 상승높이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당연히 상기 테크타임은 콘트롤러를 통해 얼마든지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47)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끌어올 수 없을 때 사용하는 전력공급부이다. 가령 전기시설이 없는 운동장에서 타격연습을 할 때 진공펌프(21)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한 각종 액츄에이터가 동작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서브프레임(35)의 측부에는 다수의 고정부(35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35a)는 서브프레임(35)을 메인프레임(13)에 결합할 때 상기 거치구(13a)에 끼워지는 부분이다. 상기 거치구(13a)에 고정부(35a)가 삽입됨으로써 메인프레임(13)에 대한 서브프레임(35)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서브프레임(35)에는 (도 1의 경우) 세 개의 볼로딩액츄에이터(37)와 볼받침부(39)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볼로딩액츄에이터(37)는 서브프레임(35)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상호 평행하고 서로에 대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진공펌프(21)에 의해 다양한 작동패턴으로 동작한다.
또한 상기 볼받침부(39)는, 볼로딩액츄에이터(37)의 상부에 고정되며, 볼로딩액츄에이터(37)의 동작에 의해 승강하며 볼을 타격범위 즉 스트링크존(S)의 내부영역으로 올려준다.
상기 볼로딩액츄에이터(37)는, 서브프레임(35)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실린더(37a)와, 상기 실린더(37a)의 상부에서 승강하는 작동로드(37b)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실린더(37a)의 상하단부에는 급기튜브(37c)가 끼워져 있다.
상기 급기튜브(37c)는 진공펌프(21)의 배기관(21b)에서 배출되는 압력공기를 실린더(37a) 내부로 유도함으로써 작동로드(37b)가 승강운동 하게 한다. 상기한 동작을 가능하게 하도록, 진공펌프(21)와 각 볼로딩액츄에이터(37)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여러 갈래의 공기튜브와 솔레노이드밸브 등의 공압라인이 설치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각 볼로딩액츄에이터(37)의 상부에는 볼받침부(3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볼받침부(39)는 작동로드(37b)와 동시에 승강하는 것으로서, 받치고 있는 볼(B)을 스트라이크존(S)의 내부로 올려준다.
도 8에 상기 볼로딩액츄에이터(37)와 볼받침부(39)를 따로 도시하였다.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볼받침부(39)는, 상기 작동로드(37b)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그 측부에 튜브연결포트(39b)가 구비되어 있는 속이 빈 받침케이싱(39c)과, 상기 받침케이싱(39c)에 그 하측부가 삽입 고정되며 상부로 연장되고 상단부에 흡착부(39e)를 갖는 티대(39d)로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연결포트(39b)에는 배기튜브(39a)가 결합한다.
상기 티대(39d)는 흡착부(39e)에 올려진 볼(B)을 흡착 고정하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상기 받침케이싱(39c)의 내부공간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흡착부(39e)에 볼이 올려진 상태로 배기튜브(39a)를 통해 볼받침튜브(39) 내부의 공기를 빼내면 티대(39d)의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고, 볼(B)이 진공압력의 작용에 의해 흡착부(39e)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흡착부(39e)는 반지름방향으로 벌어져 볼(B)에 면접촉한다.
상기 티대(39d)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연질 합성수지나 고무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초보자의 경우 타격 포인트가 정확하지 않아 티대(39d)가 배트에 맞을 경우가 많으므로 이와같이 연질 합성수지나 고무로 제작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로는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티대(39d)는 받침케이싱(39c)에 대해 교체 가능하다. 즉 받침케이싱(39c)으로부터 뽑아내고 다른 티대(39d)를 끼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서브프레임(35)의 상부에는 가동슈트(43)가 위치한다. 상기 가동슈트(43)는 고정슈트(25)의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부재로서 가동슈트(43)와 같은 단면형태를 취한다.
상기 가동슈트(43)는 고정슈트(25)를 통과한 볼을 받아들여 볼을 (가동슈트(43) 하부에 대기하고 있는) 티대(39d)의 상단부로 유도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동슈트(43)의 바닥에는 다수의 관통구멍(도 9의 4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43b)은 일정직경을 갖는 구멍으로서, 상기 티대(39d)의 승강 운동시 티대(39d)를 통과시킨다. 아울러 상기 관통구멍(43b)의 직경은, 관통구멍(43b)으로 유도된 볼이 티대(39d)의 상면에 앉혀 질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갖는다.
예컨대, 상기 관통구멍(43b)이 필요한 직경보다 작다면, 가동슈트(43)로 들어와 관통구멍(43b)에 걸쳐진 볼이 상기 흡착부(39e)에 밀착할 수 없어 흡착이 불가능해진다. 상기 관통구멍(43b)의 직경은, 상기 관통구멍(43b)의 내측으로 유도된 볼이 흡착부(39e)에 걸쳐진 상태에서, 관통구멍(43b)의 내주면으로부터 떠 있는 정도면 좋다. 상기 관통구멍(43b)은, 그 내측 하부에 대기하고 있는 흡착부(39e)로 볼을 유도하는 기능을 하면 족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가동슈트(43)의 일단부는 연결핀(26)을 통해 고정슈트(25)에 연결되어 있다. 도면부호 43c가 상기 연결핀(26)이 끼워지는 핀구멍이다. 따라서 필요시에는 가동슈트(43)을 화살표 a 방향으로 들어 올려 고정슈트(25) 상부에 포개어 놓을 수 도 있다.
도면부호 41은 램프이다. 상기 램프(41)는 야간훈련시 빛을 밝히는 것으로서 타격자의 후방에서 스트라이크존(S)을 비춘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메인프레임(13)의 이동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설명에서의 메인프레임(13)이라는 의미는 메인프레임(13)에 고정되어 있는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전체 장치를 뜻한다.
도시한 바와같이, 바퀴(45)가 메인프레임(13)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메인프레임의 반대편을 들어 올리면 바퀴가 지면에 닿게 되어 메인프레임(13)을 끌거나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메인프레임(13)을 지면에 다시 내려놓으면 메인프레임(13)의 하단부가 지면에 직접 닿아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진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퀴(45)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바퀴(45)를 메인프레임(13)의 측부가 아닌 하부에 설치하여 메인프레임(13)을 지면으로부터 띄울 수 도 있다. 즉 메인프레임(13)의 하부 네 귀퉁이에 바퀴를 설치하여 메인프레임(13)을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럴 경우 바퀴(45)에 잠금패달(45a)을 설치하여, 연습중에는 바퀴(45)가 구르는 것을 차단하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잠금패달(45a)은 발로 밟으면 하향 회동하여 바퀴(45)의 구름운동을 방지하는 일반적인 것이다.
도 5a,5b는 상기 고정슈트(25)와 가동슈트(43)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가동슈트(43)를 고정슈트(25)로부터 완전 분리 가능하게 구성할 수 도 있다. 도 1과 같이 연결핀(26)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지 않고 가동슈트(43)를 분리할 수 있게 제작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가동수트(43)를 분리식을 할 경우 가동슈트(43)의 교체 사용이 가능해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슈트(25)의 하류층 단부 양측면에 고정핀(25b)이 구비되어 있고, 가동슈트(43)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핀(25b)에 대응하는 걸림후크부(43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후크부(43a)는 고정핀(25b)을 그 하부에 걸어 유지함으로써 가동슈트(43)를 고정슈트(25)의 단부에 대응 시킨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장치(11)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서브프레임(35)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경우 서브프레임(35)에 하나의 볼로딩액츄에이터(37)와 볼받침부(3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볼로딩액츄에이터(37)와 볼받침부(39)의 구성과 작동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이와같이 서브프레임(35)에 하나의 볼받침부(39)만 적용함으로써 볼의 높이변화에 따른 타격연습만 집중적으로 할 수 있다.
도 7은 두 개의 볼로딩액츄에이터(37)와 두 개의 볼받침부(39)가 적용되어 있는 타입의 연습장치이다. 상기 두 개의 볼받침부(39)는 번갈아 작동하며 볼을 스트라이크존으로 올려준다.
도 10은 상기 도 1의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호퍼(31)의 하측에 두 개의 볼배출액츄에이터(33)가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각 볼배출액츄에이터(33)의 상부에는 경사판(31b)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경사판(31b)은 볼(B)을 호퍼의 중앙하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배출구(31a)를 향하여 하향 경사져 있다. 볼은 경사판(31b)에 의해 중앙으로 몰리며 볼배출액츄에이터(33)에 의해 고정슈트(25)로 하나씩 하부로 내려보내진다. 상기 고정슈트(25)로 내려간 볼은 상기 볼이송액츄에이터(27)에 떠밀려 가동슈트(43)측으로 강재 이송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볼회수부(5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볼회수부(51)는 연습장치(11)의 티대(39d)에서 타격되어 날아간 볼을 한 군데로 모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볼회수부(51)는, 받침부(51c)에 받쳐진 상태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포스트(51a)와, 상기 포스트(51a)에 걸리며 볼에 부딪혀 볼을 그 하부로 내리는 표적그물망(51b)과, 상기 표적그물망(51b)의 하부에 설치되며 표적그물망(51b)을 맞고 떨어진 볼을 한군데로 모으는 유도그물망(51d)과, 다단카트(53)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그물망(51d)은 그 일단부가 상기 포스트(51a)에 고정된 상태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볼이 하단부측으로 굴러가도록 유도한다.
상기 다단카트(53)는 유도그물망(51d)의 하단부측에 배치되며 유도그물망(51d)을 타고 내려온 볼을 담는다. 상기 다단카트(53)에 모여진 볼은 상기 호퍼(31)로 공급되어 타격 연습을 계속 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다단카트(53)는, 텔레스코픽 타입 바스켓으로서, 다수의 바스켓부재(53a)를 구비한다. 상기 바스켓부재(53a)는 네 벽을 가지는 부재로서 다수개가 겹친 상태로 이루어져, 카트의 용적을 늘리기 위해 위로 늘려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바스켓부재(53a)를 위로 당겨 올리면 마치 망원경을 펼치듯이 상기 바스켓부재(53a)가 따라 올라오며, 카트(53)의 전체적인 용적이 크게 증가한다.
상기 다단카트(53)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바스켓부재(53a)를 내려 전체적인 부피를 줄인다. 상기 바스켓부재(53a)를 내리면 납작해진 상태가 되므로, 가령 승용차의 트렁크에도 적재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볼회수부(51)에는 상기 다단카트(53) 대신 동력식 볼공급기(55)가 적용되어 있다.
상기 볼공급기(55)는, 유도그물망(51d)을 따라 내려온 볼을 담는 본체(55c)와, 상기 본체(55)에 수용된 볼을 호퍼(31)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55a)로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55a)에 의해 이송되는 볼은 빠른 시간안에 호퍼(31)에 채워져 타격연습이 멈추지 않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연습장치 13:메인프레임 13a:거치구
13b:가로대 15:승강프레임 15a:수평지지부
15b:다리부 17:승강가이더 19:콘트롤러
19a:제어패널 21:진공펌프 21a:흡기관
21b:배기관 23:볼스크류 23a:손잡이
23b:베어링부 23c:고정부 23d:리드스크류
23e:승강부재 25:고정슈트 25a:돌출부
25b:고정핀 25c;:슬릿 26:연결핀
27:볼이송액츄에이터 27a:실린더 27b:작동로드
27c:푸싱로드 28:고정브라켓 31:호퍼
31a:배출구 31b:경사판 33:볼배출액츄에이터
35:서브프레임 35a:고정부 37:볼로딩액츄에이터
37a:실린더 37b:작동로드 37c;급기튜브
39:볼받침부 39a:배기튜브 39b:튜브연결포트
39c:받침케이싱 39d:티대(T대) 39e:흡착부
41:램프 43:가동슈트 43a:걸림후크부
43b:관통구멍 43c:핀구멍 45:바퀴
45a:잠금패달 47:배터리 51:볼회수부
51a:포스트 51b:표적그물망 51c:받침부
51d:유도그물망 53:다단카트 53a:바스켓부재
55:볼공급기 55a:컨베이어 55c:본체
13b:가로대 15:승강프레임 15a:수평지지부
15b:다리부 17:승강가이더 19:콘트롤러
19a:제어패널 21:진공펌프 21a:흡기관
21b:배기관 23:볼스크류 23a:손잡이
23b:베어링부 23c:고정부 23d:리드스크류
23e:승강부재 25:고정슈트 25a:돌출부
25b:고정핀 25c;:슬릿 26:연결핀
27:볼이송액츄에이터 27a:실린더 27b:작동로드
27c:푸싱로드 28:고정브라켓 31:호퍼
31a:배출구 31b:경사판 33:볼배출액츄에이터
35:서브프레임 35a:고정부 37:볼로딩액츄에이터
37a:실린더 37b:작동로드 37c;급기튜브
39:볼받침부 39a:배기튜브 39b:튜브연결포트
39c:받침케이싱 39d:티대(T대) 39e:흡착부
41:램프 43:가동슈트 43a:걸림후크부
43b:관통구멍 43c:핀구멍 45:바퀴
45a:잠금패달 47:배터리 51:볼회수부
51a:포스트 51b:표적그물망 51c:받침부
51d:유도그물망 53:다단카트 53a:바스켓부재
55:볼공급기 55a:컨베이어 55c:본체
Claims (9)
- 외부로부터 공급된 볼을 수용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호퍼로부터 내려온 볼을 받아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일정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고정슈트와;
상기 고정슈트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며 고정슈트내의 볼을 밀어 이송시키는 볼이송수단과;
상기 고정슈트 및 호퍼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고정슈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서브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진공펌프에 의해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로딩액츄에이터와;
상기 볼로딩액츄에이터에 의해 승강하고,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진공펌프의 작동시 그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는 볼받침부와;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볼받침부를 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고정슈트를 통과한 볼을 상기 관통구멍으로 유도하여, 관통구멍 하부에 대기하고 있는 볼받침부의 상단에 안착되게 하는 가동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그 하부에 바퀴를 가지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고정슈트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승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메인프레임에 대해 승강프레임을 승강시켜 상기 고정슈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이송수단은;
상기 고정슈트의 외측부에 구비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왕복하는 작동로드를 갖는 볼이송액츄에이터와,
상기 고정슈트의 내부에 설치되며, 볼이송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동작하여 볼을 상기 가동슈트측으로 가압 이송시키는 푸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슈트는 고정슈트에 연결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로딩액츄에이터는;
상기 서브프레임에 수직으로 고정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위치하며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작동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볼받침부는;
상기 작동로드의 상단부에 고정된 받침케이싱과, 상기 받침케이싱의 내부에 그 일부가 삽입 고정된 상태로 상부로 연장되고 상단부에는 볼과 밀착하는 흡착부를 가지며, 상기 진공펌프로부터 진공압을 제공받아 흡착부에 올려져 있는 볼을 흡착 고정하는 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메인프레임에 대해 착탈 가능하며,
메인프레임에 서브프레임을 착탈 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메인프레임에는 거치홈이 형성되어 있고, 서브프레임은 상기 거치홈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직으로 연장된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축회전시키는 손잡이와,
상기 승강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리드스크류에 치합한 상태로 리드스크류의 축회전시 승강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내부에는,
호퍼에 수용되어 있는 볼을 고정슈트로 낱개씩 내려보내는 볼피딩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의 주변에 진공펌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8964A KR101389157B1 (ko) | 2013-12-03 | 2013-12-03 |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
PCT/KR2014/011696 WO2015084020A1 (ko) | 2013-12-03 | 2014-12-02 |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8964A KR101389157B1 (ko) | 2013-12-03 | 2013-12-03 |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89157B1 true KR101389157B1 (ko) | 2014-05-27 |
Family
ID=5089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8964A KR101389157B1 (ko) | 2013-12-03 | 2013-12-03 |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9157B1 (ko) |
WO (1) | WO2015084020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9809B1 (ko) | 2015-09-22 | 2015-11-19 | 홍성민 | 타격용 공 투입장치 |
KR101581929B1 (ko) * | 2015-02-25 | 2016-01-11 | 김무성 | 자동화 티 배팅 장치 |
WO2021125364A1 (ko) * | 2019-12-16 | 2021-06-24 | 주식회사 제스트 |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88937B (zh) * | 2018-08-29 | 2024-01-26 | 山东科技大学 | 一种发射扣杀球的排球发球机器人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3565U (ja) * | 1992-08-31 | 1994-03-29 | 杉本 昭壽 | ゴルフ練習装置 |
JP3135886U (ja) * | 2007-07-02 | 2007-10-04 | 株式会社岩付電機製作所 | ゴルフボール供給装置 |
KR20120066269A (ko) * | 2010-12-14 | 2012-06-22 | 지관구 | 자동 타격 연습장치 |
KR20120105726A (ko) * | 2011-03-16 | 2012-09-26 | 조현은 | 승강식 피칭머신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0310Y1 (ko) * | 2000-02-29 | 2000-07-15 | 주식회사네오퀸화장품 | 에어펌프를 이용한 공 자동공급장치 |
KR20030063603A (ko) * | 2002-01-23 | 2003-07-31 | (주)이도전자 | 야구타격연습기 |
US8425352B1 (en) * | 2011-09-29 | 2013-04-23 | Robosport Technologies LLC | Mechanical baseball tee |
-
2013
- 2013-12-03 KR KR1020130148964A patent/KR10138915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12-02 WO PCT/KR2014/011696 patent/WO201508402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3565U (ja) * | 1992-08-31 | 1994-03-29 | 杉本 昭壽 | ゴルフ練習装置 |
JP3135886U (ja) * | 2007-07-02 | 2007-10-04 | 株式会社岩付電機製作所 | ゴルフボール供給装置 |
KR20120066269A (ko) * | 2010-12-14 | 2012-06-22 | 지관구 | 자동 타격 연습장치 |
KR20120105726A (ko) * | 2011-03-16 | 2012-09-26 | 조현은 | 승강식 피칭머신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1929B1 (ko) * | 2015-02-25 | 2016-01-11 | 김무성 | 자동화 티 배팅 장치 |
WO2016137152A1 (ko) * | 2015-02-25 | 2016-09-01 | 김무성 | 자동화 티 배팅 장치 |
US10245489B2 (en) | 2015-02-25 | 2019-04-02 | Moo Sung Kim | Automatic batting tee apparatus |
KR101569809B1 (ko) | 2015-09-22 | 2015-11-19 | 홍성민 | 타격용 공 투입장치 |
WO2021125364A1 (ko) * | 2019-12-16 | 2021-06-24 | 주식회사 제스트 |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084020A1 (ko) | 2015-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9157B1 (ko) |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 |
US8371964B2 (en) | Volleyball spiking training device | |
KR101581929B1 (ko) | 자동화 티 배팅 장치 | |
KR101434251B1 (ko) |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 |
US8042531B2 (en) | Portable batting device and method | |
US5733209A (en) | Pneumatic ball launching apparatus | |
US7850551B2 (en) | Mobile practice targets | |
US6546923B2 (en) | Ball launching apparatus | |
KR101069272B1 (ko) | 탁구 연습장치 | |
KR101622889B1 (ko) | 구기 연습 장치 | |
KR20190071224A (ko) | 자동화 배팅 연습장치 | |
CN112370762B (zh) | 一种篮球自动收集发球训练装置 | |
KR101760132B1 (ko) | 배드민턴 셔틀콕 다방향 자동발사장치 | |
KR101564191B1 (ko) | 탁구 연습 장치 | |
US20110152011A1 (en) | Ball Toss Up Apparatus for Batting Practice and Game Play | |
KR200470337Y1 (ko) | 초보자를 위한 테니스 서브 연습기 | |
KR20170012958A (ko) | 배드민턴 연습장치 | |
KR101647118B1 (ko) | 다기능 배구 연습장치 | |
CN214335871U (zh) | 一种击球对战游艺装置 | |
CN108854021B (zh) | 一种击球手训练用连续性发球装置 | |
WO2016174484A2 (en) | Ball serving apparatus | |
JP2007267951A (ja) | 球技ゲーム装置 | |
US7740548B2 (en) | Basketball training apparatus | |
KR101241707B1 (ko) | 야구 타격 연습기 | |
CN106215401B (zh) | 用于足球训练的发球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