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889B1 - 구기 연습 장치 - Google Patents

구기 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889B1
KR101622889B1 KR1020150144895A KR20150144895A KR101622889B1 KR 101622889 B1 KR101622889 B1 KR 101622889B1 KR 1020150144895 A KR1020150144895 A KR 1020150144895A KR 20150144895 A KR20150144895 A KR 20150144895A KR 101622889 B1 KR101622889 B1 KR 101622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line
practice
training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구
한창석
천창희
Original Assignee
조병구
한창석
천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구, 한창석, 천창희 filed Critical 조병구
Priority to KR102015014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889B1/ko
Priority to ES16737580T priority patent/ES2770864T3/es
Priority to US15/537,944 priority patent/US20170348582A1/en
Priority to JP2017535452A priority patent/JP6734855B2/ja
Priority to CN201680005521.3A priority patent/CN107106901B/zh
Priority to PL16737580T priority patent/PL3246075T3/pl
Priority to EP16737580.7A priority patent/EP3246075B1/en
Priority to PCT/KR2016/000429 priority patent/WO201611461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5Installations continuously collecting balls from the playing areas, e.g. by gravity, with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foo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6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rotating discs, wheels or pulleys gripping and propelling the balls or bodies by 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9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pneumatic ball- or body-prope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5Footb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상대방 코트에서 서브하여 날아오는 연습공을 서브 리시브하고,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연습공을 상대편 코트로 세게 타격하는 공격을 효율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족구 연습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기 연습 장치는 센터라인으로부터 사이드라인을 따라 엔드라인으로 하향 경사진 바닥면과, 상기 엔드라인의 일측 코너에서 타측 코너로 하향 경사진 이송골이 형성된 족구장과; 상부에서 낙하되는 연습공을 저장하는 공수용기를 구비하여 상기 족구장의 코너 부분에 위치되며, 공수용기에 수용된 연습공을 상기 족구장의 상대방 코트로 발사하는 연습공 발사장치와; 상기 족구장의 설치된 네트 폴의 위치보다 높게 설치되어 상면 공투입구로 낙하된 연습공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연습공을 배출제어신호에 의해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낙하통로를 통해 상기 족구장의 코트로 배출하는 볼배급기와; 일단부가 상기 볼배급기의 상면 공투입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탄부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공이송라인과; 상기 이송골의 하향 종단 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설치된 회수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원통체의 아랫부분의 입구로 모아진 연습공을 상부로 이송시켜 상부 측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연습공 발사장치의 상부와 상기 공이송라인의 상부로 낙하시키는 공회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구기 연습 장치{ball game practice device}
본 발명은 두 팀 간에 네트를 두고 머리와 발을 이용하여 상대 팀으로 공을 넘겨 승부를 겨루는 족구(Jokgu : korean sepaktakraw)를 연습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브(serve)에 의해 상대방 코트로부터 날아오는 연습공을 리시브(receive)하고, 네트보다 높은 위치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연습공을 타격하여 공을 상대편 코드로 넘기는 공격(스파이크, spike)을 효율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구기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구, 배구, 농구 등 공(ball)을 이용하는 구기 종목은 선수의 공격과 수비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연습보조기구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연습보조기구를 이용할 경우 경기 지도자, 즉, 코치나 감독 등의 피로를 저감할 수 있고, 선수들은 다양한 기술을 빠른 시간에 쉽게 습득할 수 있었다. 축구의 예를 들면, 골라인 또는 터치라인 방향에서 날아오는 공을 받아 골(goal)로 넣는 코너킥. 발리슛, 땅볼슛, 헤딩슛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구기 연습보조기구의 예로서는 일본특개평 9-276463(1997. 10. 28. 공개) '볼 발사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開示)된 '볼 발사장치'는 두 개의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두 개의 피칭롤러의 사이로 공을 투입시켜 피칭롤러의 회전력에 의해 발사하도록 구성되어 되어 있다. 따라서 지속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발사 각도가 일정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고, 발사된 많은 공을 수동으로 수집하여 공 수용체에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볼 발사장치'는 비교적 높은 위치에서 공을 직선으로 발사함으로써 서브에 의해 상대코드에서 날아온 공을 리시브하였을 때처럼 공을 위에서 아래로 낙하시킬 수 없어서 네트를 이용하여 상대방 코트로 연습공을 강하게 타격하는 족구 등과 구기 종목의 공격 연습을 할 수 없었고, 상대방 코트로부터 날아온 서브공(serve ball)을 받아 상대방 코트로 넘기는 리시브 연습을 제대로 할 수 없어 족구 등에 적합하지 않다.
족구는 한국에서 생겨난 유일한 구기 종목으로, 두 팀 간에 네트를 두고 머리와 발을 이용하여 상대 팀으로 공을 넘겨 승부를 겨루는 종목인데, 위 특허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볼 발사장치'는 두 개의 피칭롤러의 사이로 공을 투입시켜 앞 방향으로 볼을 발사함으로써 네트를 직접 타격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고, 장비가 매우 고가 이어서 일반적인 생활체육·스포츠 활동에 활용하기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일반적인 생활스포츠는 어린이로부터 고 연령층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전 생애에 걸친 체육·스포츠 활동에 관심이 높아 생활체육의 개발과 그에 필요한 시설·조직·지도자 등의 조건정비가 중요하다.
일본특개평 9-276463(1997. 10. 28.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의 비용과 공간을 이용하여 일반인들이 즐겨하는 생활스포츠를 보다 즐겁게 할 수 있도록 네트가 설치된 족구장의 상대방 코트에서 연습자(player)를 향해 서비스 공을 발사하거나 코트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공을 낙하 또는 코트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공을 떨어뜨려 연습자자 수비 및 공격 연습을 할 수 있는 구기 연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장에 있는 연습자를 향해 공을 발사하여 상기 연습자가 리시브 동작 연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구기 연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레이어 코트의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공을 발 또는 머리 등으로 강하게 타격하여 상대방의 코트로 넘기는 스파이크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볼배급기를 갖는 구기 연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장에 있는 연습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위치를 향해 서브공을 발사하여 리시브 동작을 연습하거나, 구장의 코트 상부에서 아래로 연습공을 낙하시켜 스파이크 동작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구기 연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장으로 발사된 연습공을 자동으로 회수하여 연습공 발사장치로 자동 공급하여 많은 연습공을 발사할 수 있도록 하는 구기 연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연습공을 다양한 방향으로 발사할 수 있는 연습공 발사장치와 족구장(Jokgu court)으로 발사된 연습공을 자동으로 엔드라인(End line)과 사이드라인(side line)이 인접하는 코너로 수집되도록 하여 연습공 발사장치로 자동 공급하는 구조를 갖는 구기 연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센터라인으로부터 엔드라인으로 하향 경사진 바닥면과, 상기 엔드라인의 일단에서 타단 쪽으로 하향 경사진 이송골(transfer furrow)이 형성된 구장(field)과; 외부에서 공급되는 연습공(training ball)을 저장하는 공수용기를 구비하여 상기 구장의 코너 부분에 위치되며, 발사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수용기에 수용된 연습공을 상기 구장의 상대방 네트로 발사하는 연습공 발사장치와; 상기 구장에 설치된 네트 폴(Net pole)의 위치보다 높게 설치되어 상면 공 투입구로 유입된 연습공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연습공을 배출제어신호에 의해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낙하통로를 통해 상기 구장의 코트로 배출하는 볼 공급기와; 일단부가 상기 볼 공급기의 상면 공 투입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탄부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공 이송라인과; 상기 이송골의 하향 종단 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설치된 회수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원통체의 아랫부분의 입구로 모아진 연습공을 상부로 이송시켜 상부 측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연습공 발사장치의 상부와 상기 공 이송라인의 타단의 상부로 낙하시키는 공회수기(ball reclaimer)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습공 발사장치는 일정 크기의 공간부를 가지며 전방향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에서 투입되는 연습공을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연습공을 경사진 바닥면을 통해 하부 배출구로 배출하는 공수용기(ball seating container)와, 상기 몸체의 공간부의 상부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브래킷을 가지며 상기 회전브래킷의 양측면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축이음된 발사대와, 중공체로 상기 발사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수용기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습공을 상기 중공체 일단부의 상부개구를 통해 단부 발사점에 안착시키고 상기 중공체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체의 내부로 출입되는 실린더 피스톤의 단부에 결합된 타격기의 타격에 의하여 상기 발사점에 놓여진 연습공을 전방향으로 발사하는 연습공 발사기와,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유압장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를 구동하여 상기 피스톤을 전후 방향으로 출몰시키는 실린더 구동기와, 회전방향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 브래킷을 수직축선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축이음 발사대를 축이음 수평축선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발사방향을 결정한 후 발사모드에 따라 상기 유압장치를 작동시켜 연습공이 발사되도록 하는 발사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배급기는 상기 기둥의 상부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부 일측이 개구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를 공 저장기와 배출공간을 구획하고 하부가 개구된 격벽과, 상기 공 저장기의 하면에서 상기 배출 공간 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면과, 상기 배출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에서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배출관과, 상기 격벽에 설치되어 상기 공 저장기로부터 상기 배출공간으로 형성된 공 이송경로를 개폐하는 회전 개폐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 개폐판은 하우징의 내면 일측에 고정된 개폐모터의 회전축에 나사로 결합되며, 상기 개폐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 이송경로를 개폐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관의 상단부는 하우징의 아랫부분에 마련된 설치공간의 내부를 통해 상기 개구에 삽입되며, 상기 개구에 삽입된 외주면에는 직선베벨기어의 랙기어가 결합되며, 상기 직선베벨기어의 구동기어는 설치공간에 고정된 스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 구동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회수기는 하부의 일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배출개구를 가지고 상기 이송골의 하향 종단 부분에 수직하게 세워진 원통형 수집관과, 외주연에 나선형 스크류가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수집관의 내부 중심에 설치된 회수모터의 축에 결합되며 상기 회수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연습공을 상기 나선형 스크류를 따라 상기 수집관의 상부 배출개구 쪽으로 이송하는 스크류 이송기로 구성된다.
상기 공회수기는 수집모터의 회전에 의해 진동되어 상기 이송골의 하향 종단에 위치된 연습공을 상기 원통형 수집관의 투입구로 공급하는 수집진동판이 상기 이송골로부터 상기 원통형 수직관의 투입구 측으로 더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중공체의 일단부의 구경은 상기 연습공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연습공이 상기 중공체의 단부에 설정된 발사점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실린더 구동기는 유압이 저장된 유압탱크와, 질소가 충전된 질소튜브를 내부에 가지며 상기 질소튜브의 질소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계를 갖는 유압 어큐믈레이터(oil pressure accumulator)(이하 '질소탱크'라 칭함)와, 상기 유압탱크의 유압을 질소탱크로 공급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질소탱크 내의 질소압력을 체크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실린더의 유압배출구와 상기 유압탱크의 유입구와 상기 유압펌프의 배출구와 상기 질소탱크의 유입구 및 상기 질소탱크의 배출구와 상기 실린더의 유압유입구 사이에 연결된 회수, 공급 및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들을 발사모드와 발사주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순서로 작동시켜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을 출몰시키는 제어기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의 서로 다른 측면에는 상기 구장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설치되며, 상기 발사제어기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에 의해 구장에 있는 연습자의 움직임을 검출하며, 상기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움직임일 때 상기 유압장치를 구동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기 연습 장치는 연습공을 구장의 코너에서 상대방의 코트로 서브할 수 있고, 구장의 코트 상부에서 아래로 낙하 시킬 수 있어 서브 리시브는 물론 스파이크를 효율적으로 연습할 수 있다. 또한, 구장을 센터라인으로부터 양측 엔드라인으로 경사지에 형성함으로써 구장으로 발사된 연습공을 엔드라인으로 자동수집하고, 엔드라인 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이송골의 단부에 설치된 공회수기에 의해 자동으로 회수하여 구장의 코너에 설치된 연습공 발사장치와 구장의 사이드라인 또는 엔드라인 부근에 설치된 볼배급기로 자동 공급함으로써 구장을 무인으로 운영할 수 있는 신개념 구기 연습 시스템이다. 따라서 1인 또는 소수의 인원이 지속적이고도 재미있게 효율적으로 족구를 연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생활스포츠를 활성화할 수 있어 국민의 체력 증진 및 건전한 여가 활동 기회를 보다 쉽게 제공할 수 있어 건강한 국민 생활에 이바지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기 연습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기 연습 장치의 구장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회수기의 구체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습공 발사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습공 발사장치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습공 발사장치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습공 발사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발사를 위한 중공체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발사기의 제어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습공 발사장치의 작동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습공 발사장치의 작동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배급기의 측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기 연습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라인, 사이드라인 및 센터라인으로 규격화된 코트가 그려진 구장(10)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구장(10)을 족구장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며, 이하에서는 족구장(10)으로 명명한다.
상기 족구장(10)의 엔드라인과 사이드라인이 접하는 코너 부분에는 연습공을 족구장(10)의 코트를 향해 발사하는 연습공 발사장치(100)(G1, G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족구장(10)의 코너 쪽에는 엔드라인 측으로 모아진 연습공을 자동으로 수집하여 상기 연습공 발사장치(100)로 공급하는 공회수기(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족구장(10)의 사이드라인 또는 엔드라인 부근의 어느 한 부분, 바람직하기로는, 네트(NET)가 설치되는 네트폴(POL)에 인접한 부분에는 공저장기(304)에 저장된 공을 하부의 배급관(316)을 통하여 족구장(10)의 코트로 낙하시키는 볼배급기(300)가 설치된다. 실시예에서는 볼배급기(300)의 위치를 족구장(10)에 그려진 사이드라인에 근접하여 설치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볼배급기(300)의 설치 장소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곳에 설치가 가능함을 인식하여야 한다.
상기 볼배급기(300)는 족구장(10)의 코트 상부에서 횡으로 또는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파이프 등에 매달리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둥(250)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연습공 발사장치(100) 및 (G1, G2)의 전면에는 전방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CAM)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회수기(200)의 공배출관(202)의 단부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공이송라인(251)의 일단부가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공이송라인(251)의 타단부는 상기 볼배급기(300)의 공저장기(304)의 개구를 향하여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공이송라인(521)의 일단부가 타단부 보다 높게 위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단부에 연습공이 놓여지는 경우 공의 자중에 의하여 타단부 쪽으로 자연스럽게 이송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족구장(10)의 중앙부분에는 가로방향으로 네트(NET)가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족구장(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라인(HL)으로부터 양측의 엔드라인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하향 경사각은 1 내지 3도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엔드라인의 뒤쪽에는 일측 코너에서 타측 코너 쪽으로 하향 경사진 이송골(transfer furrow)(14)이 형성되어 상기 족구장(10)의 바닥면으로 떨어진 연습공은 경사면을 따라 엔드라인으로 굴러가 이송골(14)로 유입되며, 상기 이송골(14)로 유입된 연습공은 이송골(14)의 경사면을 따라 코너측에 설치된 공회수기(200)의 게이트(G) 쪽으로 모아진다.
상기 공회수기(200)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먼저 설명한다. 족구장(10)의 엔드라인 뒤에 형성되는 이송골(14)은 일측 코너에서 타측 코너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족구장(10)의 센터라인(HL)을 기준으로 하향측에 있는 엔드라인을 경유하여 이송골(14)로 모아진 연습공은 원통형 수집관, 즉, 공회수기(200)의 아래 방향으로 굴러가며, 상기 공회수기(200)의 하단측으로 유입된 연습공은 공회수기(200)의 하단 게이트(G)로 유입된다.
공회수기(200)의 상부에 설치된 회수모터(206)가 회전되면, 그에 연결된 회전축(208)이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208)의 외주면에는 연습공의 지름과 같거나 약 1cm 정도 넓은 피치(예를 들면 220mm)를 갖는 나선형 스크류(2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회전축(208)과 공회수기(200)의 내측면간의 거리(r1)는 연습공의 직경(r2)보다 1mm~3mm정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208)이 회전되면, 공회수기(200)의 하단 게이트(G)로 유입된 연습공은 회전축(208)과 나선형 스크류(210)로 구성된 스크류 이송기(212)의 회전축(208)과 원통형 수집관(204)의 내측면에 마찰되면서 그 상부로 이송된다. 이때 회전축(208)과 공회수기(200)의 내측면간의 거리(r2)는 연습공의 지름(r2)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연습공이 약간 찌그러지므로 상부로의 이송이 원활하게 된다.
상기 공회수기(200)의 게이트(G)의 앞부분의 이송골(14)에는 진동모터(216)의 회전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진동되는 진동판(214)이 매설되거나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동모터(2014)는 공회수 동작 시 회수모터(206)와 동시에 회전되어 하향 경사진 이송골(14)의 단부에 모아진 연습공을 공회수기(200)의 게이트(G) 쪽으로 원활하게 들어가게 한다.
상기 공회수기(200) 내 스크류 이송기(212)의 상부로 이송된 연습공은 나선형 스크류(210)의 회전에 의하여 이송되어 상기 원통형 수집관(204)의 상부에 결합된 공배출관(202)으로 배출된다. 상기 공배출관(202)을 통해 배출되는 연습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여 설치된 연습공 발사장치(100)의 공수용기(104)의 상부 개구를 통해 그 안으로 넣어지거나, 공 이송라인(251)의 일단부의 상부로 떨어진다. 상기 공 이송라인(251)의 상부로 떨어진 연습공은 기둥(25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볼배급기(300)의 상부 개구를 통하여 공저장기(304)의 내부로 수용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공회수기(200)의 상부에 설치된 공배출관(202)은 도 3의 "R"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수집관(204)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수동으로 회전 또는 모터에 의해 링기어 등을 회전시켜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에 도시된 연습공 발사장치(G1, G2) 또한, 공수용기(104)가 구비된다. 상기 측면 코너 부분에 설치된 연습공 발사장치(G1, G2)의 공수용기(104)에는 수동으로 연습공이 투입되거나 앞서 설명한 공회수기(200)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습공 발사장치(100, G1, G2)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연습공 발사장치(100, G1, G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2)의 내부에 일정 크기의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몸체(102)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측이 개방된 구조로 제공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연습공을 발사하기 위한 연습공 발사기(105)가 위치된다. 이때, 상기 몸체(102의 내부에는 연습공 발사기(105)를 좌우, 상하로 회전시키고 연습공 발사기(105)를 작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구성요소가 내장되어 이들 상호간에 작동상 긴밀한 연결 관계를 가지는 바, 이들 내부 구성요소와 그 작동관계는 뒤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연습공이라 함은 실제 사용하는 통상의 족구공이 사용될 수 있다.
몸체(102) 하단의 모서리 부분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몸체(102)를 고정시키기 위해 바퀴의 전,후방 어느 일측에 이의 회전을 방지하는 공지된 형태의 고정수단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방측 바퀴는 몸체(102)의 이동시 모든 방향으로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회전이 자유로운 공지의 구조로 제공됨이 비람직하다.
상기 몸체(102)의 상측에는 상기 연습공을 수용하기 위한 일정 크기의 외벽을 갖는 공수용기(104)가 결합된다. 상기 공수용기(104)는 상하가 개방된 사각통 형상으로 제작되며, 적재된 연습공의 양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그물망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02)의 상면에는 상기 공수용기(104)로부터 공급되는 연습공을 몸체(102) 내부로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일정 크기의 유입구(107)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02)의 상면은 연습공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유입구(107)를 향해 소정 각도의 하향 경사면으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몸체(102)와 그 상부에 결합된 공수용기(104)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결합되거나, 상기 몸체(102)의 상면의 가장자리 측에는 끼움 홈을 형성하고, 공수용기(104)의 하면 가장자리 측에 끼움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끼움돌기가 끼움 홈에 끼움 결합되면서 공수용기(104)가 상기 몸체(102)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몸체(102)의 외부에는 작동스위치,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키 버튼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로서는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몸체(102)가 공간부에 설치된 연습공 발사기(105)는 몸체(102)의 상부에 결합된 공수용기(104)로부터 연습공을 공급받아 발사점에 위치시키고, 발사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연습공을 발사시키는 것이다. 연습공의 이송을 위해 상기 몸체(102의 경사면(103)에 형성된 유입구(107)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소정 직경의 연결관(주름관)(116)이 인입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116)은 연습공 발사기(105)를 구성하는 중공체(114)의 앞부분의 상부에 개구된 유입공(11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중공체(114)의 유입공(115)으로 유입된 연습공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점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중공체(114)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라운드된 돌부(114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유입공(115)으로 유입된 연습공은 타격이 없이는 발사체인 중공체(114)의 외부로 흘러나가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중공체(114)의 단부에는 연습공의 유무를 판별하여 발사제어기(도시하지 않음,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함)로 제공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센서로서는 포토센서 등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공체(114)는 이 하부에 구비되는 축이음 발사대(112)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축이음 발사대(114)는 그 하부에 구비되는 회전 브래킷(110)에 양측면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상태로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축이음 발사대(112)의 일 측면에는 랙기어(118)가 일체로 구비되고, 이 랙기어(118)와 상기 회전 브래킷(110)의 측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축구멍(111)에 축 결합되어 회전 가능토록 설치된 구동기어(119)는 상호 치합된 상태로 제공되어 구동기어(119)에 연결된 경사모터(117)에 의해 중공체(114)가 상기 회전 브래킷(110)의 측면 플레이트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 브래킷(110)은 그 하부에 구비되는 회전모터(120)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판(128)에 나사로 고정되어 상기 회전 모터(120)의 구동에 의해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연습공 발사장치(100) 및 (G1, G2)의 연습공 발사기(105)는 회전 브래킷(110)의 좌우회전과 발사대(112)의 상하 회전에 의해 중공체(114)의 단부에 위치된 연습공을 상·하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발사가 가능해진다.
상기 중공체(114)에 유입된 연습공은 중공체(114)의 후단에 결합된 실린더(130)의 작동에 의해 앞 방향으로 발사된다. 실린더(130)의 피스톤(13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체(112)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으며, 피스톤(132)의 단부에는 타격판(134)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132)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나, 연습공을 보다 멀리 고속으로 발사하기 위해서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압실린더(132)는 일반적 것과 같이 유압유입구와 유압배출구를 가지며, 유압유입구에는 유압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150)를 경유하여 질소탱크(144)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유압배출구는 유압 회수 솔레노이드 밸브(146)를 통해 유압탱크(14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유압탱크(140)와 상기 질소탱크(144) 사이에는 유압펌프(142)가 연결되어 있고, 이때, 유압펌프(142)와 상기 질소탱크(144) 사이에는 유압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148)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질소탱크(144)의 내부에는 질소가 충전된 질소튜브를 내부에 가지며 상기 질소튜브의 질소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계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질소탱크(114)에 유압이 공급되면 공급되는 유압량에 비례하여 질소튜브에 압력이 가하여 짐으로써 질소튜브의 내부 압력이 증가한다. 내부 압력의 증가정보는 발사제어기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회로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실린더(30)의 피스톤(132)을 전 방향으로 돌출시키기 위해서, 제어부는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148)를 개방한 상태에서 유압펌프(142)를 구동하여 유압탱크(140)내의 유압을 질소탱크(144)로 공급한다. 지속적인 펌핑에 의하여 질소탱크(144) 내로 공급되는 유압량이 증가하면, 그 내부에 설치된 질소튜브에 압력이 가해지고 이 압력증가 정보는 발사제어기로 제공된다. 질소튜브의 압력 감지정보가 미리 설정된 압력 값을 가지면 유압펌프(142)의 작동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148)를 닫는다. 따라서 질소탱크(148)내에는 높은 압력으로 유압이 채워진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발사명령이 외부(터치스크린)로부터 발사제어기로 입력되거나,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발사주기가 되면 상기 제어기는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150)를 일정시간 동안만 개방한다. 상기의 동작에 의해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150)가 개방되면, 질소탱크(144)에 높은 압력으로 채워진 유압이 실린더(130)의 유압유입구로 공급됨으로써 실린더(130)내의 피스톤(130)이 앞 방향으로 돌출되며, 이러한 동작에 의해 그 단부에 부착된 타격판(134)이 중공체(114)의 단부에 놓여진 연습공을 타격하여 전방향으로 발사한다.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150)를 일정시간 동안만 개방 구동한 제어기가 회수 및 공급 솔레이노드 밸브(146, 148)를 개방하고 유압펌프(142)를 구동하면, 실린더(130)내에 채워진 유압이 유압탱크(140)로 회수됨으로써 피스톤(132)은 실린더의 내부로 들어간다.
상기 발사제어기는 전술한 유압회로의 구동은 물론 회전브래킷(110)의 하부에 결합된 회전모터(120)와 측면에 결합된 경사모터(117)의 회전을 제어하여 중공체(114)의 단부를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향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발사기의 발사제어기의 블록도로서, 연습공발사장치(100) 및 또 다른 연습공발사장치(G1, G1)의 몸체(102)의 내부공간부에 마련되는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몸체(102)의 전면에는 족구장(10)의 상대방 코트를 비추는 카메라(CAM)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몸체(102)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TS)은 몸체(102)의 측면 중 어느 한 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스위치,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키버튼이 터치스크린 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TS)으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선택행위(수동, 자동, 카메라모드, 방향 설정모드, 서브 리시브, 스파이크 모드 설정 등)의 정보와 상기 카메라(CAM)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신호는 제어기(MPU)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기(MPU)는 상기 연습공 발사장치(100, G1, G1)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크게는 수동모드, 자동모드, 카메라 모드로 구분되어 동작된다.
수동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기(MPU)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방향 설정키(수직, 수평)의 입력에 의하여 회전모터(120)와 경사모터(117)를 구동하여 연습공 발사기(105)의 발사 방향을 설정하고,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발사명령에 의해 발사제어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 구동부(SOD)로 공급하여 유압장치의 실린더(130)를 작동시켜 연습공을 발사한다. 자동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기(MPU)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방향 설정 키(수직, 수평)의 입력에 의하여 회전모터(120)와 경사모터(117)를 구동하여 연습공 발사기(105)의 발사 방향을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 주기(예를 들면 매 15초)마다 솔레노이드밸브 구동부(SOD)를 통해 유압장치의 실린더(130)를 작동시켜 연습공을 발사한다. 카메라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기(MPU)는 카메라(CAM)에서 촬영된 족구장의 연습자의 방향으로 연습공 발사기(105)가 향하도록 회전모터(120)와 경사모터(117)를 제어한 후 연습자가 미리 설정된 동작으로 움직일 때(예를 들면, 연습자가 팔을 위로 높이 쳐들었을 때) 1 내지 2초 후에 솔레노이드밸브 구동부(SOD)를 통해 유압장치의 실린더(130)를 작동시켜 연습공을 발사하도록 상기 연습공 발사장치(100) 및 (G1, G1)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습공 발사장치의 작동 순서도로서, 이는 수동모드와 자동모드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구기 연습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기 연습 장치(1)의 연습공 발사장치(100)(G1, G2)들 각각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몸체(102)의 외부에 터치스크린(TS)이 구비되며, 이 터치스크린(TS)은 상기 몸체(102) 속에 내장된 제어기(MPU)에 연결되어 있는바, 터치스크린(TS)을 통한 데이터 입력에 의해 제어기(MPU)는 상기 몸체(102) 내부에 구비된 각 작동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기가 상기 몸체(102) 내부의 경사모터(117)와 회전모터(120), 유압펌프(142) 및 각종 솔레노이드밸브(146, 148, 1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시작한다.
연습공 발사장치(100) 및 (G1, G2)는 상기 제어기(MPU)의 제어에 의해 수동설정모드와 움직임감지모드로 운전이 가능하다. 수동설정모드는 사용자가 몸체(102)에 설치된 터치스크린(TS)을 이용하여 운동모드(서브리시브, 스파이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형태)와 발사 주기(예를 들면, 약 10초 내지 15초마다 공이 발사)를 설정한 후 발사 버튼을 눌렀을 때마다 연습공을 족구장(10)으로 발사하거나 볼배급기(300)로 볼공급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코트로 연습공이 낙하되도록 한다. 이때 발사버튼은 터치스크린(TC)에 있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통상의 리모컨 장치를 이용하여 족구 연습자가 휴대하고 있는 리모컨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리모컨 장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연습공 발사장치(100), (G1, G2)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연습공 발사장치(100, G1, G2)의 동작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수동설정모드
연습공 발사장치(100) 및 (G1, G2)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동작되면, 선택된 연습공 발사장치내의, 제어기(MPU)는 S1과정에서 질소탱크(144)내의 압력을 체크하여 실린더(130)의 피스톤(132)을 미리 설정된 속도로 토출시킬 수 있는 압력인지를 검색한다. 질소탱크(140)내의 질소튜브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제어기는 S6과정에서 솔레노이드밸브 구동부(SOD)를 통해 회수 및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146, 148)를 개방한 후 유압펌프(142)를 구동한다. 따라서, 실린더(130)내의 유압은 유압탱크(140)로 회수된 후 질소탱크(144)로 공급된다. 질소탱크(144)로 유압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그 내부에 설치된 질소튜브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여 설정 압력에 도달한다.
상기 S2과정에서 질소탱크의 압력이 설정 압력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기(MPU)는 S3과정에서 솔레노이드밸브 구동기(SOD)를 통하여 회수,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146, 148, 150)를 폐쇄하고, S4과정에서 터치스크린 또는 리모컨의 발사버튼이 눌려졌는가를 검색한다. 상기 S4과정에서 발사버튼이 눌려졌다고 판단되면, 제어기(MPU)는 S5과정에서 발사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기(MPU)는 S5과정에서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148)를 미리 설정된 시간(t), 예를 들면, 약 1~2초 동안 개방하는데, 위 시간은 상기 질소탱크(144)의 압력용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때, 질소탱크(144)에 높은 압력으로 충진된 유압이 압축된 질소튜브의 팽창으로 인하여 고속으로 상기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148)를 통하여 실린더(130)의 유입구로 공급된다.
따라서, 실린더(130)는 매우 높은 압력으로 유입되는 유압에 의해 그 내부에 위치된 피스톤(132)을 전방향으로 돌출시키며, 상기 피스톤(132)의 전방향 돌출에 의하여 그 단부에 결합된 타격판(134)이 중공체(114)의 단부에 놓여진 연습공을 타격하여 전방향으로 발사한다. 이때, 연습공 발사장치(100), (G1, G1)의 몸체(102)의 공간부에 위치된 연습공 발사기(105)의 발사각은 전술한 경사모터(117)와 회전모터(120)를 제어기가 제어하여 설정한 것으로 결정된다.
상기 S5과정을 수행한 제어기(MPU)는 S6과정에서 솔레노이드밸브 구동기(SOD)를 통해 회수,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146, 148)를 개방한 후 S7과정에서 유압펌프(142)를 구동하여 질소탱크(142)에 유압을 충진시킨다.
전술한 S4과정에서 터치스크린(TS)에 표시된 발사버튼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라면, 제어기(MPU)는 S8과정에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 연습공 발사기(105)(볼건)의 수평, 수직각 및 발사 인터발을 조절한 후 전술한 S5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S8과정에서 설정된 모드라 함은 자동발사모드, 카메라모드로의 설정을 의미한다.
만약, S8과정에서 설정모드가 자동발사모드인 경우, 제어기(MPU)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방향 설정 키(수직, 수평)의 입력에 의하여 회전모터(120)와 경사모터(117)를 구동하여 연습공 발사기(105)의 발사 방향을 설정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솔레노이드밸브 구동부(SOD)를 통해 유압장치의 실린더(130)를 작동시켜 연습공을 발사한다. 또한, S8과정에서 설정모드가 카메라 모드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기(MPU)는 도 11의 수순으로 연습공 발사장치(100), (G1, G1)의 동작을 제어하며, S8과정에서 정지모드인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다.
움직임 감지모드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습공 발사장치의 작동순서도로서, 이는 몸체(102)의 측면에서 설치된 카메라(CAM)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에 의해 촬영된 연습자를 향해 발사방향을 설정한 후 족구장(10)에 있는 연습자의 움직임에 따라 연습공을 발사하는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기(MPU)는 S10 과정에서 현재의 모드가 카메라동작모드인지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결과 카메라 동작모드가 아닌 경우라면 S17과정으로 점프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동모드 조작에 따라 연습공을 발사한다. 상기 S12과정에서 카메라 동작모드로 판단되면, 제어기(MPU)는 S11과정에서 몸체(102)의 전면에 설치된 카메라(CAM)에서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S12과정에서 족구장(12)의 피사체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피사체의 움직임을 검출한 제어기(MPU)는 검출된 피사체에 의해 족구장(12)에 있는 연습자의 위치를 파악 후 S13과정에서 경사모터(117)와 수평모터(120)를 제어하여 수직각과 수평각을 조절하여 연습공 발사기(105) 발사 각도를 설정한다.
이후 상기 제어기(MPU)는 S14과정에서 카메라(CAM)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피사체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S15과정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움직임인지를 검색한다. 예를 들면, 족구장(12)에 있는 연습자가 팔을 높이 치켜들은 상태인지를 검색한다. 이러한 검색은 1초 전의 영상프레임과 현재 영상 프레임의 영상을 비교하여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상기 S15과정에서 카메라(CAM)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피사체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움직임이라고 판단되면, 제어기(MPU)는 S16과정에서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기(SOD)를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제어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린더(130) 피스톤(132)의 앞부분에 설치된 타격판(134)이 연습공을 타격하여 연습공이 피사체를 향하여 발사되도록 한다.
족구장(10)의 코너부분에 설치된 연습공 발사기(105)로부터 발사된 연습공은 네트(NET)를 넘어서 그 반대편 쪽의 코트에 위치하고 있는 연습자 방향으로 떨어진다. 이때 연습자가 코트의 위로부터 아래로 떨어지는 연습공을 발로 받아 위로 올리거나 헤딩하여 족구 리시브 연습을 할 수 있으며, 떨어지는 연습공을 발로 타격하여 상대방 코트로 직접 넘길 수 있다.
위와 같은 수동설정모드 또는 움직임 감지모드에 의해 족구장(10)의 상대방 코트로 발사된 연습공은 연습자의 발, 몸통, 머리 등의 신체에 맞아 사이드라인 또는 엔드라인 쪽으로 날아가거나 굴러가 결국에는 족구장(10)의 바닥면에 떨어질 것이다. 족구장(10)의 바닥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터라인(HL)으로부터 엔드라인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 형성되어 있어 바닥면에 떨러진 공은 엔드라인 쪽에 형성된 이송골(114)을 따라 자동적으로 공회수기(200)의 게이트(G) 부분으로 모아지게 된다.
상기 공회수기(200)의 게이트(G) 쪽으로 모아진 연습공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부로 이송되어 연습공 발사장치(100)의 공수용기(104) 또는 볼배급기(300)의 공저장기(304)로 공급된다. 상기한 실시 예에서는 연습공 발사기(105)의 구동기를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것을 일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의 명세서를 이해한 통상의 기술자라면 공압실린더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스파이크 모드
족구연습장치(1)의 스파이크 모드 또한 연습공 발사장치(100)의 몸체(102)에 마련된 터치스크린(TS) 리모컨에 의해 설정된다.
상기 터치스크린(TS)의 키 버튼에 의해 스파이크 모드가 설정되면, 제9도에 도시된 제어부(MPU)는 도 12에 도시된 볼배급기(300)내의 제어기(324)로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제9도의 제어부(MPU)와 볼배급기(300)내의 제어기(324)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카메라(CAM)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에 의한 스파이크 볼배급 제어신호로 전송된다. 예를 들면, 동작모드가 스파이크모드인 상태에서 카메라(CAM)에 의해 연습자의 예정된 움직임(예를 들면, 팔을 치켜드는 모습)이 검출되거나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리모컨으로부터 스파이크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볼배급 제어신호를 볼배급기(300)의 제어기(324)로 전송한다.
만약, 사용자가 리모컨을 이용하여 스파이크 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볼배급기(300)가 구동된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볼배급기(300)의 상세구성도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볼배급기(300)는 기둥(250)의 상부 일측면에 결합된 하우징(301)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301)의 상부 일측은 개구되어 그 내부에 공저장기(304)를 형성하며, 상기 공저장기(304)의 내부는 격벽(308)에 의해 분리되어 배출공간(306)을 형성한다. 상기 공저장기(304)의 바닥면(305)은 배출공간(306) 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배출공간(306)의 바닥면에는 연습공을 배출하는 배출관(316)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공간(306)의 아래에 형성된 배출개구의 일측에는 스토퍼(314)가 수직하게 설치되며, 격벽(308)에는 회전개폐판(310)이 하우징(301)내의 일측에 고정된 개폐모터(302)의 회전축에 나사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개폐판(310)은 상기 개폐모터(302)의 회전에 의해 격벽(308)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멍을 개폐하여 공저장공간(304)에 수용된 연습공이 배출구멍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관(316)의 상단부에는 하우징(302)의 아랫부분에 마련된 설치공간의 내부로 삽입되며 그 주위에는 직선베벨기어(318)의 랙기어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직선베벨기어(318)의 구동기어는 설치공간에 고정된 스윙모터(320)의 회전축(322)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개폐모터(302)와 스윙모터(320)와 제어기(MCU)(324)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출관(316)은 하향 경사져 구성되며, 단부에는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낙하출구(316a), 경사진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출구(316b)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316)으로 유입된 공은 상기 낙하출구(316a)와 수평출구(316b)의 사이에 결합된 댐퍼(316c)에 의해 상기 낙하출구(316a) 또는 수평출구(316b)로 배출된다. 상기 댐퍼(316c)는 모터 등으로 구성되는 댐퍼구동기(316d)에 의해 상기 낙하출구(316a) 또는 수평출구(316b) 중 어느 한 쪽을 개방한다. 댐퍼구동기(316d)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통상의 수동댐퍼(개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댐퍼구동기(316d)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댐퍼구동기(316d)는 리모컨의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기(324)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면, 상기 댐퍼구동기(316d)가 댐퍼(316c)를 수직방향으로 구동하면, 상기 낙하출구(316a)은 개방되고 수평출구(316b)는 닫히므로 배출관(316)으부터 배출되는 연습공은 아랫방향으로 직하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댐퍼구동기(316d)가 댐퍼(316c)를 수평방향으로 구동하면, 상기 낙하출구(316a)은 닫히고 수평출구(316b)가 개방됨으로써 배출관(316)으부터 배출되는 연습공은 수평출구(316b)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비상하면서 낙하된다.
도 12에 도시된 제어기(324)의 제어에 의해 개폐모터(302)가 1회전되면, 상기 개폐모터(302)의 회전축(312)에 축결합된 회전개폐판(310)이 열린 후 닫힘으로 1개의 연습공이 배출관(316)의 단부에 마련된 낙하출구(316a)를 통해 연습공을 구장(10)의 코드 상부에서 직접 떨어지게 하거나, 수평출구(316b)를 통해 수평방으로 비상 후 코드로 떨어지게 하여 연습자는 다양하게 위로부터 떨어지는 또는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날아와 떨어지는 공을 타격하는 다양한 공격 연습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연습자는 코트의 상부에서 직하로 떨어지거나 수평방향에서 날아온 연습공을 발, 다리, 머리 등으로 타격하여 다양하게 공격 연습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윙모터(320)의 회전에 의해 배출관(316)의 단부의 방향을 조절하여 공의 낙하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324)는 연습공 발사 장치(100)의 제어기(324)와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볼 배급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개폐모터(302)와 스윙모터(320)를 제어하거나, 리모컨 단독으로 제어할 수 있다. 리모컨 단독으로 제어하는 경우, 제어기(324)를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되는 원격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모터(302)와 스윙모터(320)를 구동하여 공저장기(304)에 수용된 연습공을 구장(10)의 코드로 떨어뜨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기 연습 장치는 족구 코트의 엔드라인에서 서비스 공을 발사하고, 사이드라인에 근접한 상부에서 공을 수직 낙하 또는 수평으로 비상시켜 떨어지게 함으로써 족구 연습자는 서브 리시브 동작과, 스파이크의 연습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예에서는 구기종목 중 족구의 예를 설명하였으나, 볼배급기는 축구 또는 코트를 두고 경기하는 배구 등에서도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축구의 경우, 공발사장치를 코너 부분에 놓어 공을 발사하여 코너킥의 세트피스 등을 연습할 수 있고, 볼배급기를 축구장의 패널티 에리어의 상부에 위치할 있도록 공중에 매달아 헤딩, 발리슛 등을 연습할 수 있다. 또한, 배구인 경우 코트의 상부에서 그 아래로 공을 떨어트려 상대방 코트로 스파이크하는 것을 연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배급기는 다양한 구기종목에서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함을 인식하여야 하며, 공 발사장치와 볼배급기를 적절하게 혼용하여 할 수 있다.
1 : 구기 연습 장치, 10 : 족구장, 12 : 골대, 14 : 이송골, 100 : 연습공 발사장치, 101 : 몸체, 102 : 발사구, 103 : 경사면, 104 : 공수용기, 105 : 연습공 발사기, 107 : 유입구, 108 : 몸체 상면, 110 : 회전브래킷, 111 : 축구멍, 112 : 축이음 발사대, 114 : 발사중공체, 115 : 유입공, 116 : 주름관, 117 : 경사모터, 118 : 기어 1, 119 : 기어 2, 120 : 회전모터, 121 : 회전축, 128 : 원판, 130 : 실린더, 132 : 피스톤, 134 : 타격판, 136 : 센서, 114a: 볼홀더, 140 : 유압탱크, 142 : 유압펌프, 144 : 질소탱크, 146, 148, 150 : 회수, 공급, 배출 솔레노이드밸브, 200 : 공회수기, 202 : 공배출관, 204 : 원통형 수집관, 206 : 회수모터, 208 : 회전축, 210 : 나선형 스크류, 212: 스크류 이송기, 214 : 진동판, 216 : 진동모터, 300 : 볼배급기, 301 : 하우징, 302 : 개폐모터, 304 : 공저장기, 305 : 바닥면, 306 : 배출공간, 308 : 격벽, 310 : 회전개폐판, 312, 322 : 회전축, 314 : 스토퍼, 316 : 배급관, 318 : 직선베벨기어, 320 : 스윙모터, 324 : 제어기, HL : 센터라인, θ : 경사각, G : 게이트

Claims (8)

  1. 코트 상부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공을 신체의 일부로 타격하여 상대방 코트로 넘기는 구기 종목을 연습하는 구기 연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트의 사이드라인과 엔드라인 중 어느 한 라인의 외측에 근접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부 일측은 개구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를 공저장기와 배출공간을 구획하고 하부가 개구된 격벽과, 상기 공저장기의 하면에서 상기 배출공간 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면과, 상기 배출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에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의 공배출구는 상기 코트 바닥면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배출관과, 상기 격벽에 설치되어 배출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공저장기로부터 상기 배출공간으로 형성된 공이송경로를 개폐하는 회전 개폐판으로 구성된 볼배급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연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볼배급기의 상면 공투입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탄부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공이송라인과; 상기 코트의 엔드라인 측에서 하향 경사진 끝부분에 형성된 이송골의 하향 종단 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설치된 회수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원통체의 아랫부분의 입구로 모아진 연습공을 상부로 이송시켜 상부 측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공이송라인의 상부로 낙하시키는 공회수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연습 장치.
  3. 구기 연습 장치에 있어서, 센터라인으로부터 사이드라인을 따라 엔드라인으로 하향 경사진 바닥면과, 상기 엔드라인의 일측 코너에서 타측 코너으로 하향 경사진 이송골이 형성된 족구장과; 상부에서 낙하되는 연습공을 저장하는 공수용기를 구비하여 상기 족구장의 코너 부분에 위치되며, 공수용기에 수용된 연습공을 상기 족구장의 상대방 코트로 발사하는 연습공 발사장치와; 상기 사이드라인과 엔드라인 중 어느 한 라인의 외측에서 상기 족구장에 설치된 네트 폴의 위치보다 높게 설치되어 상면 공투입구로 낙하된 연습공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배출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와, 일측은 상기 개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의 공배출구는 상기 코트의 바닥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배출관을 가지고 상기 배출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연습공을 상기 족구장의 코트로 배출하는 볼배급기와; 일단부가 상기 볼배급기의 상면 공투입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탄부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공이송라인과; 상기 이송골의 하향 종단 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설치된 회수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원통체의 아랫부분의 입구로 모아진 연습공을 상부로 이송시켜 상부 측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연습공 발사장치의 상부와 상기 공이송라인의 상부로 낙하시키는 공회수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연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습공 발사장치는 일정 크기의 공간부를 가지며 전방향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에서 투입되는 연습공을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연습공을 경사진 바닥면을 통해 하부 배출구로 배출하는 공수용기와, 상기 몸체의 공간부의 상부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브래킷을 가지며 상기 회전브래킷의 양 측면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축이음된 발사대와, 중공체로 상기 발사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수용기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습공을 상기 중공체 일단부의 상부개구를 통해 단부 발사점에 안착시키고 상기 중공체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체의 내부로 출입되는 실린더 피스톤의 단부에 결합된 타격기의 타격에 의하여 상기 발사점에 놓인 연습공을 전방향으로 발사하는 연습공 발사기와,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유압장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를 구동하여 상기 피스톤을 전후 방향으로 출몰시키는 실린더 구동기와, 회전방향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 브래킷을 수직축선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축이음 발사대를 축이음 수평축선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발사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연습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수기는 하부의 일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배출개구를 가지고 상기 이송골의 하향 종단 부분에 수직하게 세워진 원통형 수집관과 외주연에 나선형 스크류가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수집관의 내부 중심에 설치된 회수모터의 축에 결합되며 상기 회수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연습공을 상기 나선형 스크류를 따라 상기 수집관의 상부 배출개구 쪽으로 이송하는 스크류 이송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연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수기는 수집모터의 회전에 의해 진동되어 상기 이송골의 하향 종단에 위치된 연습공을 상기 원통형 수집관의 투입구로 공급하는 수집진동판이 상기 이송골로부터 상기 원통형 수직관의 투입구 측으로 더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연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구동기는 유압이 저장된 유압탱크와, 질소가 충전된 질소튜브를 내부에 가지며 상기 질소튜브의 질소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계를 갖는 질소탱크와, 상기 유압탱크의 유압을 질소탱크로 공급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질소탱크내의 질소압력을 체크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실린더의 유압배출구와 상기 유압탱크의 유입구와 상기 유압펌프의 배출구와 상기 질소탱크의 유입구 및 상기 질소탱크의 배출구와 상기 실린더의 유압유입구 사이에 연결된 회수, 공급 및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들을 발사모드와 발사주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순서로 작동시켜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을 출몰시키는 제어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족구 연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볼배급기는 상기 코트의 사이드라인과 엔드라인 중 어느 한 라인에 근접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부 일측은 개구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를 공저장기와 배출공간을 구획하고 하부가 개구된 격벽과, 상기 공저장기의 하면에서 상기 배출공간 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면과, 상기 배출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에서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배출관과, 상기 격벽에 설치되어 상기 공저장기로부터 상기 배출공간으로 형성된 공이송경로를 개폐하는 회전 개폐판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연습 장치.
KR1020150144895A 2015-01-15 2015-10-16 구기 연습 장치 KR101622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895A KR101622889B1 (ko) 2015-10-16 2015-10-16 구기 연습 장치
ES16737580T ES2770864T3 (es) 2015-01-15 2016-01-15 Aparato de entrenamiento de juego con balón
US15/537,944 US20170348582A1 (en) 2015-01-15 2016-01-15 Ball game-related training system
JP2017535452A JP6734855B2 (ja) 2015-01-15 2016-01-15 ボールゲームの練習装置
CN201680005521.3A CN107106901B (zh) 2015-01-15 2016-01-15 球类运动练习装置
PL16737580T PL3246075T3 (pl) 2015-01-15 2016-01-15 Urządzenie treningowe do gry w piłkę
EP16737580.7A EP3246075B1 (en) 2015-01-15 2016-01-15 Ball game training apparatus
PCT/KR2016/000429 WO2016114616A1 (ko) 2015-01-15 2016-01-15 볼 게임 연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895A KR101622889B1 (ko) 2015-10-16 2015-10-16 구기 연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889B1 true KR101622889B1 (ko) 2016-05-31

Family

ID=5609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895A KR101622889B1 (ko) 2015-01-15 2015-10-16 구기 연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88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8641A (zh) * 2018-01-23 2018-05-08 阜阳师范学院 一种具有自动捡球功能的智能型乒乓球发球机
WO2018203638A1 (ko) * 2017-05-02 2018-11-08 김창식 스크린 배드민턴 연습장치
CN109011471A (zh) * 2018-09-13 2018-12-18 长安大学 一种篮球技巧辅助训练系统
KR101992961B1 (ko) 2019-03-27 2019-06-25 우복연 자동 탁구 연습장치
KR102046793B1 (ko) * 2019-07-08 2019-11-20 조병구 공의 자동 회수 및 공급이 가능한 다종목 다중코트구조
WO2020013573A1 (ko) * 2018-07-10 2020-01-16 조병구 공의 자동 회수 및 공급이 가능한 다종목 다중코트구조
KR20220018384A (ko) 2020-08-06 2022-02-15 정태연 배구 토스 및 타구 연습기
CN116271766A (zh) * 2022-09-07 2023-06-23 彭峻 网球训练的模拟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6271765A (zh) * 2022-09-07 2023-06-23 彭峻 网球训练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5904A (ja) * 2006-08-01 2008-02-21 Kenji Katagiri ボールの取出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5904A (ja) * 2006-08-01 2008-02-21 Kenji Katagiri ボールの取出し装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3638A1 (ko) * 2017-05-02 2018-11-08 김창식 스크린 배드민턴 연습장치
CN108786052A (zh) * 2017-05-02 2018-11-13 Tl工业股份有限公司 屏幕羽毛球练习装置
CN107998641A (zh) * 2018-01-23 2018-05-08 阜阳师范学院 一种具有自动捡球功能的智能型乒乓球发球机
CN107998641B (zh) * 2018-01-23 2023-07-21 阜阳师范学院 一种具有自动捡球功能的智能型乒乓球发球机
US11083952B2 (en) 2018-07-10 2021-08-10 Byoungkoo CHO Multi-sport and multi-court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collecting and supplying ball
RU2754109C1 (ru) * 2018-07-10 2021-08-26 Пёнку ЧО Мультиспортивная и многоплощадк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пособная автоматически собирать и подавать мячи
WO2020013573A1 (ko) * 2018-07-10 2020-01-16 조병구 공의 자동 회수 및 공급이 가능한 다종목 다중코트구조
CN109011471A (zh) * 2018-09-13 2018-12-18 长安大学 一种篮球技巧辅助训练系统
KR101992961B1 (ko) 2019-03-27 2019-06-25 우복연 자동 탁구 연습장치
KR102046793B1 (ko) * 2019-07-08 2019-11-20 조병구 공의 자동 회수 및 공급이 가능한 다종목 다중코트구조
KR20220018384A (ko) 2020-08-06 2022-02-15 정태연 배구 토스 및 타구 연습기
CN116271766A (zh) * 2022-09-07 2023-06-23 彭峻 网球训练的模拟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6271765A (zh) * 2022-09-07 2023-06-23 彭峻 网球训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889B1 (ko) 구기 연습 장치
KR101600761B1 (ko) 배구 연습 장치
JP6734855B2 (ja) ボールゲームの練習装置
KR101622890B1 (ko) 농구 연습 장치
US11097176B1 (en) Sports training machine
KR101564190B1 (ko) 축구 연습 장치
US9039547B2 (en) Personal sports simulation robot
KR101564191B1 (ko) 탁구 연습 장치
US20240226695A9 (en) Pitching machine and batting bay systems
KR101992961B1 (ko) 자동 탁구 연습장치
US20070129181A1 (en) Air actuated soft toss batting practice apparatus
KR101894950B1 (ko) 스크린 배드민턴 연습장치
US20160310817A1 (en) Personal Sports Simulation Robot
KR101760132B1 (ko) 배드민턴 셔틀콕 다방향 자동발사장치
US20040191738A1 (en) Sports practice net
KR200470337Y1 (ko) 초보자를 위한 테니스 서브 연습기
KR101435506B1 (ko) 타격 훈련 코칭 로봇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794630B1 (ko) 런앤캐치볼 운동 장치
KR102384636B1 (ko)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
JP2006102223A (ja) 球体自動回収装置および卓球練習機
KR20200034219A (ko)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CN217828809U (zh) 一种具有训练与娱乐功能的移动式篮球运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