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012B1 - 스쿼시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스쿼시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012B1
KR102425012B1 KR1020200053546A KR20200053546A KR102425012B1 KR 102425012 B1 KR102425012 B1 KR 102425012B1 KR 1020200053546 A KR1020200053546 A KR 1020200053546A KR 20200053546 A KR20200053546 A KR 20200053546A KR 102425012 B1 KR102425012 B1 KR 102425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triking
squash
tube
f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5659A (ko
Inventor
김지수
Original Assignee
김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수 filed Critical 김지수
Priority to KR1020200053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012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7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spring-loaded propelling means
    • A63B69/408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spring-loaded propelling means with rotating propelling ar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6Squas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쿼시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쿼시 공을 선택적으로 상부 발사가 가능하게 하되, 발사 탄력이 조절되게 구성함으로써, 발사 강도의 조절에 따른 발사 높이의 조절로 다양한 위치에서의 타격 연습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발사관의 경사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발사 방향을 조절하여 수직 발사는 물론, 벽을 향한 경사 발사까지 가능하게 하는 등 초보자로부터 숙련자까지 다양한 실력자의 연습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자세의 교정 연습은 물론, 연속 타격 연습 등 다양한 연습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스쿼시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쿼시 연습장치{Squash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쿼시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쿼시 공의 자동 발사를 통해 초보자는 물론 숙련자로 하여금 혼자서도 간편하게 스쿼시의 연습이 가능하게 하는 스쿼시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쿼시는 구기종목 중 비교적 작고 가벼운 고무공을 가지고 실내의 스쿼시 코트에서 상대자와 함께 공을 튕겨 겨루는 운동 종목으로, 공을 벽을 향해 튕겨서 공의 방향을 바꾼 다음, 상대자 쪽으로 공을 튕겨 보내는 운동이다. 벽을 이용하므로 비교적 작은 실내공간에서 가볍게 할 수 있는 운동으로 시간, 공간상 제약이 많은 현대인에게 적합한 종목이다.
하지만, 가볍고 탄력이 있는 고무공을 이용하고 공을 벽에 맞춰서 상대자에게 보내야 하므로 정확성이 요구되므로 초보자끼리 스쿼시 경기를 하거나 서로 타격 연습을 하게 되면 정확하게 상대자에게 공을 보낼 수가 없게 되어 효율적이고 연속적인 연습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스쿼시 연습방법은 스쿼시 숙련자가 공을 하나씩 라켓으로 벽에 튕겨서 연습자에게 떨어뜨려 주고 연습자는 그 공을 다시 치는 방법이 행하여 지고 있다. 즉, 스쿼시 초보자는 사실상 스쿼시 숙련자가 있어야 연습이 가능하므로, 스쿼시가 현대인의 실정에 잘 맞는 운동임에도 불구하고 개인이 혹은 초보자들끼리 효율적이고 연속적으로 운동을 하기는 힘든 실정이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혼자서도 스쿼시 연습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스쿼시 볼 자동 발사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 발사장치는 단순히 공을 벽을 향해 발사시키는 구조로 그 방향과 힘이 일정한 것인바, 다양한 높이와 속도의 공을 타격 연습하기에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3224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스쿼시 공을 선택적으로 상부 발사가 가능하게 하되, 발사 탄력이 조절되게 구성함으로써, 발사 강도의 조절에 따른 발사 높이의 조절로 다양한 위치에서의 타격 연습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스쿼시 연습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발사관의 경사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발사 방향을 조절하여 수직 발사는 물론, 벽을 향한 경사 발사까지 가능하게 하는 등 초보자로부터 숙련자까지 다양한 실력자의 연습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스쿼시 연습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자세의 교정 연습은 물론, 연속 타격 연습 등 다양한 연습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스쿼시 연습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상부로 개방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상부로 개방되어 스쿼시 공의 연속 투입을 안내하는 공 투입관; 및
수직 관체로 구성되어 상기 공 투입관의 내부에 수직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공 투입관으로부터 낱개의 공을 공급받는 공 공급구가 관통 형성된 발사관과, 발사관의 내부에서 공 공급구의 하단과 연결되며 중앙에는 공급된 스쿼시 공을 내부에서 안착 장전 가능하도록 안착홈과 그 안착홈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타격홀과 타격홀의 주변에 형성되어 안착된 스쿼시 공을 감지하는 공 감지센서가 형성된 공 장전판과, 상기 공 장전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공 장전판에 장전된 공을 타격하는 타격 작동부가 형성된 공 발사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본체에는,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며 충전포트를 갖는 충전식 배터리와, 상기 타격 작동부의 장전 감지 및 타격 작동과 타격 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 작동 신호를 입력하는 조작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공 투입관에는,
상부로 투입되는 스쿼시 공을 순차적으로 하부로 이송시키는 공급 트레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공급 트레이는 공 투입관의 내주면과 발사관의 둘레를 연결 및 나선 형태를 이루며, 하단이 상기 공 공급구와 연결되게 구성하며,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타격 작동부의 구동제어와, 구동 제어시 작동 시간의 조절과, 타격강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동 설정부와 시간 설정부와 강도 설정부가 구축 및 조작패널에서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하며,
또한, 상기 공 투입관은,
상기 본체 내부에서 좌우 회동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둘레 일측이 본체 내벽에 축 결합되고, 상기 축과 대칭되는 둘레 타측에는 공 투입관의 회동을 단속하는 회동 단속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회동 단속모터의 구동은 제어부에 각도 설정부가 구축 및 조작패널에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며,
상기 타격 작동부는,
상기 공 장전판의 하부에서 발사관의 내벽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회동되며, 단부 상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타격홀으로 상하 출몰 작동하는 타격봉이 형성되고, 단부에는 상하로 톱니 형태를 이루며 상단에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 래칫이 형성된 타격바;
상기 타격바의 상부 측에서 발사관의 내벽과 타격바의 상부를 연결하여 타격바의 상부 탄력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
상기 발사관에 축설 및 지지스프링 탄설되며, 상기 래칫과 간섭하여 타격바의 고정력을 부여하는 래칫폴;
상기 타격바의 하부에서 발사관에 형성되며, 상기 타격바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권취 및 권해하는 권취드럼이 형성되어 제어부 타격강도 제어에 의해 정역 작동하며, 공 감지센서 감지시 제어부 제어에 의해 권취 작동하는 장전모터; 및
상기 래칫폴의 하부에서 발사관에 형성되며, 상기 래칫폴의 래칫과 간섭을 해제하는 작동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이때, 상기 장전모터는,
제어부의 타격강도 조절에 따라 권취 및 권해 회전수가 조절되며,
상기 회전수의 조절에 의해 타격바의 하방 회동 범위 및 인장스프링의 탄성이 조절되게 구성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는, 타격바의 탄력 조절을 통해 공의 발사 타격 강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인바, 다양한 높이와 강도로의 발사를 통해 다양한 위치와 공의 타격 속도 연습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발사관의 경사 조절을 통해 상부로의 수직 발사는 물론, 경사 발사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인바, 제자리에서의 타격 연습은 물론, 다양한 위치에서의 타격 연습이 가능하게 되는 등 초보자는 물론 숙련자로 하여금도 효율적인 연습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의 공 발사부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의 제어부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의 스쿼시 공 장전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의 스쿼시 공 발사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의 스쿼시 공 발사상태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의 공 발사부 요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의 제어부 요부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1)는, 본체(100)와, 공 투입관(200)과, 공 발사부(300)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100)는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그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체(100)는 내부가 중공되고 상부로 개방된 통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도 1에는 본체(100)를 원통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일 뿐이며,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원뿔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음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체(100)에는 내부에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1)의 구동시 제공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20)가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배터리(120)는 충전식 배터리가 적용되는 것인데, 특히 배터리(120)에는 본체(100) 외부로 노출되어 충전 사용이 가능하도록 충전포트(121)가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충전포트(121)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일예로 USB 포트나 통상의 스마트폰 충전포트 등으로 구성하여 배터리(120)의 다양한 충전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체(100)에는 내부에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1)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0)가 구성된 것으로, 제어부(130)에서는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공 발사부(300)의 타격 작동부(330)의 작동 및 타격 강도의 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본체(100)에는 상기 제어부(130)로 타격 작동부(330) 작동 신호를 입력하는 조작패널(140)이 구성된 것으로, 조작패널(140)은 본체(100)의 상부 외측에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타격 작동부(330)를 제어함에 있어서는 구동제어와, 구동 제어시 작동 시간의 조절과, 타격강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에는 구동제어와, 구동 제어시 작동 시간의 조절과, 타격강도의 조절을 위해 구동 설정부(131)와 시간 설정부(133)와 강도 설정부(134) 등이 프로그램 구축되며, 그 조작은 조작패널(140)을 통해 설정 가능할 것이다.
즉,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타격 작동부(330)의 구동 작동시에 조작패널(140)에서 구동 설정부(131)로 설정하고, 구동 설정부(131)와 함께 시간 설정부(133)를 통해 타격 작동부(330)의 작동 간격 시간의 설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때 타격 작동부(330)는 일정 간격으로 연속으로 자동 작동하여 스쿼시 공을 발사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타격 작동부(330)의 타격 강도의 조절시에는 조작패널(140)에서 강도 설정부(134)를 통해 그 강도를 조절하면 되는 것으로, 이러한 강도 조절은 후술하는 장전모터(370)의 구동 조절에 따른 타격바(340)의 탄성을 조절하여 공의 타격 강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공 투입관(200)은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발사하고자 하는 스쿼시 공의 투입이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공 투입관(200)은 상기 본체(100) 내부에 수직으로 수용되되, 그 본체(100)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작은 직경을 이루게 구성되며, 상부로 개방되어 그 개방된 상부를 통해 스쿼시 공의 연속 투입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공 투입관(200)에는 그 내주면에 투입되는 스쿼시 공을 하부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공급 트레이(21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급 트레이(210)는 공 투입관(200)의 내주면과 후술하는 공 발사부(300)의 발사관(310) 둘레를 연결하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게 나선 형태를 이루어 투입되는 스쿼시 공의 나선 이송이 가능하게 하며, 이때 공급 트레이(210)의 하단은 후술하는 공 공급구(311)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즉, 공 투입관(200)은 상부로부터 공을 투입시 공급 트레이(210)를 통해 하부로 순차적으로 투입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공 투입관(200)은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좌우 회동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 투입관(200)은 먼저 둘레 일측이 상기 본체(100)의 내벽에 축(220)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공 투입관(200)은 상기 축(220)의 대칭되는 둘레 타측에는 공 투입관(200)의 회동을 단속하는 정역 구동형 회동 단속모터(230)가 구성된 것으로, 회동 단속모터(230)는 본체(100) 내벽에 고정되며 상기 축(220)과 동일 선상으로 구동축(220)이 공 투입관(200)과 연결되게 구성되며, 조작패널(140)에서 각도 설정부(135)에 의해 회동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공 투입관(200)은 상기 회동 단속모터(230) 작동시 축(220)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회동 작동 가능한 것인바, 이러한 회동 작동을 통해 후술하는 공 발사부(300)의 발사 방향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공 발사부(300)는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공 투입관(200)을 통해 투입된 공을 하나씩 장전 및 발사가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공 발사부(300)에는 먼저 발사관(310)이 구성된 것으로, 발사관(310)은 수직 관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며, 상기 공 투입관(200)의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배치 및 상부로 소정 돌출되게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스쿼시 공 하나의 직경보다 소정 큰 내경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발사관(310)에는 그 중간부 일측에 상기 공 투입관(200)의 공급 트레이(210)의 하단과 연결되어 그 공급 트레이(210)를 따라 공급되는 공을 발사관(310)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 공급구(311)가 관통 구성된다.
또한, 공 발사부(300)에는 상기 발사관(310)의 내부 중간부에 상기 공 공급구(311)로부터 공급된 스쿼시 공이 안착 장전되는 공 장전판(320)이 구성된다.
이때, 공 장전판(320)은 공 공급구(31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및 발사관(310)을 마감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공 장전판(320)의 상부 중앙에는 공급된 공의 안정적인 안착이 가능하도록 안착홈(321)이 함몰 형성되고, 그 안착홈(321)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타격바(340)가 관통되는 타격홀(322)이 관통 구성된다.
그리고 공 장전판(320)에는 상기 타격홀(322)의 주변으로 안착된 스쿼시 공을 감지하는 공 감지센서(323)가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공 감지센서(323)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포토센서나 중량센서 등의 적용 가능하며 그 감지 신호는 제어부(130)로 전송된다.
즉, 발사관(310)에는 상기 공 투입관(200)의 공급 트레이(210)로 이송되는 공이 하단에서 공 공급구(311)를 통해 내부로 진입 및 공 장전판(320)의 안착홈(321)에 안착 장전되게 된다.
또한, 공 발사부(300)에는 상기 발사관(310)의 내부에서 공 장전판(3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 장전판(320)에 장전된 스쿼시 공을 하부 타격 및 발사시키는 타격 작동부(330)가 구성된다.
이를 위해, 타격 작동부(330)에는 먼저 상기 공 장전판(320)에 안착 장전된 스쿼시 공의 하부 타격이 가능한 타격바(340)가 구성된다.
이때, 타격바(340)는 그 일단이 발사관(310)의 내벽에 힌지(H) 연결되어 상하 회동 작동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힌지(H)부 반대측 단부에는 상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타격홀(322)으로 상하 출몰 작동하는 타격봉(341)이 구성된다.
그리고 타격바(340)에는 그 단부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수평과 경사가 연속 형성된 톱니 형태를 이루는 "호" 형태의 래칫(342)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그 래칫(342)의 상단에는 상기 타격봉(341)이 타격홀(322)을 관통시 그 하단을 지지하여 돌출 정도를 제한하는 스토퍼(343)가 돌출 구성된다.
즉, 타격바(340)는 힌지(H) 회동 작동에 의해 상부로 회동시 타격봉(341)이 타격홀(322)을 관통 및 공 장전판(320)에 안착된 스쿼시 공의 하단을 타격하여 발사시키게 된다.
또한, 타격 작동부(330)에는 상기 타격바(340)의 상부 탄력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350)이 구성된 것으로, 인장스프링(350)은 상기 상기 타격바(340)의 상부 측에서 발사관(310)의 내벽과 타격바(340)의 상부를 연결하게 구성된다.
즉, 인장스프링(350)은 상시 타격바(340)의 상부 탄성을 부여하여 외력이 해제시 그 타격바(340)를 상승 및 타격봉(341)의 상부 타격력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타격 작동부(330)에는 상기 래칫(342)과 간섭되어 타격바(340)의 고정력 부여 즉, 인장스프링(350)의 탄성을 저장하는 래칫폴(360)이 구성된 것으로, 래칫폴(360)은 상기 발사관(310)에 축설 및 지지스프링(361) 탄설되어 그 래칫폴(360)의 선단이 하방 탄성을 가져 래칫(342)이 상부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스프링(361)의 탄성은 상기 인장스프링(350)의 탄성보다 고 탄성을 가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인장스프링(350)의 탄성이 지지스프링(361)의 탄성을 이겨 래칫폴(360)이 상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래칫폴(360)은 상기 타격바(340)가 하방 회동시 래칫(342)의 경사를 타고 넘어가 그 회동이 가능하게 하고, 정지시 수평부에 지지되어 타격바(340)의 상부 회동을 정지시켜 타격바(340)의 장전 상태를 이루게 한다.
또한, 타격 작동부(330)에는 상기 타격바(340)를 하방 작동시켜 장전이 가능하게 하는 정역 구동이 가능한 장전모터(370)가 구성된 것으로, 장전모터(370)는 상기 타격바(340)의 하부에서 발사관(310)에 장착된다.
이때, 장전모터(370)에는 그 구동시 함께 회전하는 권취드럼(371)이 구성된 것으로, 권취드럼(371)은 상기 타격바(340)와 와이어(372)로 연결되어 장전모터(370) 작동에 의해 와이어(372)의 권취 및 권해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공 감지센서(323)에 의해 스쿼시 공이 감지시 제어부(130) 제어에 의해 권취 작동하여 장전을 준비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장전모터(370)는 상기 제어부(130)의 타격강도 조절에 따라 그 권취 및 권해 회전수가 조절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 장전모터(370)는 통상의 스테핑 모터 또는 서보 모터 등의 적용 가능하다.
또한, 와이어(372)는 내구성을 위해 금속성 와이어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최초 장전 전에는 타격바(340)와 권취드럼(371) 사이에서 타격바(340)의 상부 타격을 고려하여 소정 느슨한 상태를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장전모터(370)는 상기 제어부(130) 즉, 조작패널(140)의 강도 설정부(134) 조절에 의해 그 회전수가 조절되는 것으로, 일예로 타격 강도를 강하게 할 시에는 권취 회전수를 많이 주어 타격바(340)의 하방 회동력을 증대 및 인장스프링(350)의 탄성을 증대시키고, 반대로 타격 강도를 약하게 할 시에는 권취 회전수를 적게 주어 타격바(340)의 하방 회동력을 감소 및 인장스프링(350)의 탄성을 줄여줌으로 스쿼시 공의 타격 강도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장전모터(370)는 상기와 같이 타격바(340)를 하방 작동시켜 장전한 상태에서는 다시 역방향으로 권취와 반대로 동일하게 권해시켜 타격바(340)가 상부 회동시 회동 간섭이 방지되게 한다.
또한, 타격 작동부(330)에는 상기 래칫폴(360)의 래칫(342)과의 간섭을 해제하는 작동 스위치(380)가 더 구성된 것으로, 작동 스위치(380)는 상기 래칫폴(360)의 하부에서 발사관(310)에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작동 스위치(380)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일예로 실린더나 마그네틱 스위치 등의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에 적용시에는 상기 래칫폴(360)의 하부에서 인출 작동에 의해 래칫폴(360)을 상부로 밀어 올려 래칫(342)의 고정력을 해제하게 된다.
즉, 작동 스위치(380)는 상기 래칫폴(360)의 고정력을 해제함으로 인장스프링(350)의 탄성에 의해 타격바(340)가 순간적인 상부 회동이 가능하게 하며, 이에 타격봉(341)이 장전된 스쿼시 공의 하단을 타격 및 발사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1)의 발사 작동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정된 상태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스쿼시 공(10)의 투입은 공 투입관(200)을 통해 가능한 것으로, 공 투입관(200)의 상부로 투입되는 다수의 스쿼시 공(10)은 나선 형태의 공급 트레이(210)를 따라 하부로 순차적으로 이송되게 되는 것으로, 이송된 스쿼시 공(10)은 하단에서 발사관(310)의 공 공급구(311)를 통해 내부로 진입 및 공 장전판(320)의 안착홈(321)에 안착 되며, 이때 공 장전판(320)에 형성된 공 감지센서(323)에서는 스쿼시 공(10)을 감지 및 제어부(130)로 신호를 전달하여 장전모터(370)를 권취 작동시켜 장전하게 된다.
그리고 장전이 완료되면 장전모터(370)는 다시 역방향 회전에 의해 권취된 와이어(372)를 그대로 풀어주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스쿼시 공(10)의 투입 및 장전되게 되면,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1)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조작패널(140)을 통해 작동을 제어하면 되는 것으로, 먼저, 구동 설정부(131)의 설정 및 시간 설정부(133)를 통해 작동 시간을 설정하고, 강도 설정부(134)를 통해 타격 강도를 조절하면 된다.
즉, 구동 설정부(131)에서는 시간 설정부(133)에서 설정된 시간에 의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하여 타격 작동부(330)가 작동하는 것으로, 일예로 10초로 설정하게 되면 10초 간격으로 스쿼시 공의 타격 발사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도 6을 참조하여 구동 설정부(131)에 의해 타격 작동부(330)를 작동시키게 되면 작동 스위치(380)가 작동하게 되는 것으로, 그 작동 스위치(380)가 래칫폴(360)을 상부로 밀어올려 래칫(342)의 고정력을 해제하게 된다.
즉, 래칫폴(360)이 래칫(342)의 고정력을 해제하게 되면, 타격바(340)는 인장스프링(350)의 복귀 탄성에 의해 순간적인 상부 탄성이 작동하게 되는 것인바, 이때 타격바(340)의 타격봉(341)이 공 장전판(320)의 타격홀(322)을 관통 및 스쿼시 공(10)의 하단을 타격하여 그 스쿼시 공(10)을 발사시키게 되며, 이에 사용자는 발사된 스쿼시 공(10)을 라켓을 이용하여 쳐내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발사되는 공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상기 강도 설정부(134)에서는 상기 장전모터(370)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타격바(340)의 탄성을 조절하게 된다.
즉, 장전모터(370)의 회전수를 많게 하면 그만큼 타격바(340)를 하부로 많이 당겨 인장스프링(350)의 탄성을 높이고, 반대로 회전수를 적게 하면 그만큼 타격바(340)를 적게 당겨 인장스프링(350)의 탄성을 낮추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탄성 조절을 통해 공의 타격 강도 조절 및 공의 발사 높이 및 속도 조절이 가능한 것인바, 사용자는 다양한 위치에서의 타격 연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1)는 도 7을 참조하여 그 발사 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공 투입관(200)의 좌우 회동 조절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조작패널(140)에서는 각도 설정부(135)를 통해 회동 단속모터(230)를 제어 및 발사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으로, 회동 단속모터(230)가 구동하게 되면 공 투입관(200)은 축(220)을 중심으로 좌우 회동 조절되게 된다.
이에, 그 공 투입관(200)과 연결된 발사관(310)의 각도가 함께 조절되는 것인바, 타격시 스쿼시 공(10)은 각도 조절된 발사관(310)을 통해 경사 발사가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경사 조절을 통해 다양한 위치로의 스쿼시 공(10) 발사 사용은 물론, 필요시 벽체 등에 발사시켜 벽을 맞고 튕겨나온 공의 타격 연습이 가능하게 되는 등 보다 효율적인 연습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스쿼시 연습장치는 공의 수직 발사 및 발사 높이 조절과 경사 발사 조절 등 다양한 발사 형태의 조절을 통해 다양한 연습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100 : 본체 120 : 배터리
121 : 충전포트 130 : 제어부
131 : 구동 설정부 133 : 시간 설정부
134 : 강도 설정부 135 : 각도 설정부
140 : 조작패널 200 : 공 투입관
210 : 공급 트레이 220 : 축
230 : 회동 단속모터 231 : 구동축
300 : 공 발사부 310 : 발사관
311 : 공 공급구 320 : 공 장전판
321 : 안착홈 322 : 타격공
323 : 공 감지센서 330 : 공 발사부
340 : 타격바 341 : 타격봉
342 : 래칫 343 : 스토퍼
350 : 인장스프링 360 : 래칫폴
361 : 지지스프링 370 : 장전모터
371 : 권취드럼 372 : 와이어
380 : 해제 스위치

Claims (5)

  1. 상부로 개방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 내부에 수용되며, 상부로 개방되어 스쿼시 공의 연속 투입을 안내하는 공 투입관(200); 및
    수직 관체로 구성되어 상기 공 투입관(200)의 내부에 수직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공 투입관(200)으로부터 낱개의 공을 공급받는 공 공급구(311)가 관통 형성된 발사관(310)과, 발사관(310)의 내부에서 공 공급구(311)의 하단과 연결되며 중앙에는 공급된 스쿼시 공을 내부에서 안착 장전 가능하도록 안착홈(321)과 그 안착홈(321)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타격홀(322)과 타격홀(322)의 주변에 형성되어 안착된 스쿼시 공을 감지하는 공 감지센서(323)가 형성된 공 장전판(320)과, 상기 공 장전판(320)의 하부에 형성되어 공 장전판(320)에 장전된 공을 타격하는 타격 작동부(330)가 형성된 공 발사부(30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본체(100)에는,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며 충전포트(121)를 갖는 충전식 배터리(120)와, 상기 타격 작동부(330)의 장전 감지 및 타격 작동과 타격 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제어부(130)로 작동 신호를 입력하는 조작패널(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공 투입관(200)에는,
    상부로 투입되는 스쿼시 공을 순차적으로 하부로 이송시키는 공급 트레이(21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공급 트레이(210)는 공 투입관(200)의 내주면과 발사관(310)의 둘레를 연결 및 나선 형태를 이루며, 하단이 상기 공 공급구(311)와 연결되게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130)에는,
    상기 타격 작동부(330)의 구동제어가 가능한 구동 설정부(131)와, 구동 제어시 작동 시간의 조절이 가능한 시간 설정부(133)와, 타격강도의 조절이 가능한 강도 설정부(134)가 구축되고,
    조작패널(140)에서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시 연습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 투입관(200)은,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좌우 회동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둘레 일측이 본체(100) 내벽에 축(220) 결합되고, 상기 축(220)과 대칭되는 둘레 타측에는 공 투입관(200)의 회동을 단속하는 회동 단속모터(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회동 단속모터(230)의 구동은 제어부(140)에 각도 설정부(135)가 구축 및 조작패널(140)에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시 연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 작동부(330)는,
    상기 공 장전판(320)의 하부에서 발사관(310)의 내벽에 힌지(H) 연결되어 상하 회동되며, 단부 상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타격홀(322)으로 상하 출몰 작동하는 타격봉(341)이 형성되고, 단부에는 상하로 톱니 형태를 이루며 상단에는 스토퍼(343)가 돌출 형성된 래칫(342)이 형성된 타격바(340);
    상기 타격바(340)의 상부 측에서 발사관(310)의 내벽과 타격바(340)의 상부를 연결하여 타격바(340)의 상부 탄력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350);
    상기 발사관(310)에 축설 및 지지스프링(361) 탄설되며, 상기 래칫(342)과 간섭하여 타격바(340)의 고정력을 부여하는 래칫폴(360);
    상기 타격바(340)의 하부에서 발사관(310)에 형성되며, 상기 타격바(340)와 연결되는 와이어(372)를 권취 및 권해하는 권취드럼(371)이 형성되어 제어부(130) 타격강도 제어에 의해 정역 작동하며, 공 감지센서(323) 감지시 제어부 제어에 의해 권취 작동하는 장전모터(370); 및
    상기 래칫폴(360)의 하부에서 발사관(310)에 형성되며, 상기 래칫폴(360)의 래칫(342)과 간섭을 해제하는 작동 스위치(38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시 연습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전모터(370)는,
    제어부(130)의 타격강도 조절에 따라 권취 및 권해 회전수가 조절되며,
    상기 회전수의 조절에 의해 타격바(340)의 하방 회동 범위 및 인장스프링(350)의 탄성이 조절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쿼시 연습장치.
KR1020200053546A 2020-05-06 2020-05-06 스쿼시 연습장치 KR102425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546A KR102425012B1 (ko) 2020-05-06 2020-05-06 스쿼시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546A KR102425012B1 (ko) 2020-05-06 2020-05-06 스쿼시 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659A KR20210135659A (ko) 2021-11-16
KR102425012B1 true KR102425012B1 (ko) 2022-08-24

Family

ID=7871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546A KR102425012B1 (ko) 2020-05-06 2020-05-06 스쿼시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0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920B1 (ko) * 2006-11-30 2007-11-28 박현 자동투구기
JP2016220714A (ja) * 2015-05-27 2016-12-28 株式会社西野製作所 ボール自動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5374B2 (ja) * 1993-08-06 1998-04-28 中西 作蔵 ボール供給装置
KR200332244Y1 (ko) 2003-08-11 2003-11-05 정윤동 스쿼시 볼 자동 발사장치
KR20060084528A (ko) * 2005-01-20 2006-07-25 이경목 충전용 배터리를 구비한 자동 테니스공 운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920B1 (ko) * 2006-11-30 2007-11-28 박현 자동투구기
JP2016220714A (ja) * 2015-05-27 2016-12-28 株式会社西野製作所 ボール自動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659A (ko)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2517B2 (en) Sensor based tennis serve training apparatus
CN110917603B (zh) 具有改进的发球头移动的乒乓球机器人
KR101434251B1 (ko)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US20110203562A1 (en) Portable Batting Device and Method
US6167878B1 (en) Pneumatic ball tossing device
JP2018505716A (ja) ボールゲームの練習装置
KR101622889B1 (ko) 구기 연습 장치
KR102044093B1 (ko)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US5494278A (en) Hitting practice machine for ball games
US8974312B2 (en) Automatic golf ball supply device
KR101134187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7861699B2 (en) Ball to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227618B1 (ko) 배드민턴 연습기
US20110152011A1 (en) Ball Toss Up Apparatus for Batting Practice and Game Play
US20080096697A1 (en) Tennis serve ball machine cum training device
US5485994A (en) Baseball tossup device
KR102425012B1 (ko) 스쿼시 연습장치
KR200470337Y1 (ko) 초보자를 위한 테니스 서브 연습기
US11724170B2 (en) Squash ball launching machine
US5232218A (en) Pitching device initiator mechanism
KR20040035198A (ko) 공 발사 장치
CN110478880B (zh) 一种网球训练矫正装置
KR20110018686A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111463B1 (ko) 스윙 연습용 토싱머신.
KR102130306B1 (ko) 표적판이 구비된 셔틀콕 자동발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