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920B1 - 자동투구기 - Google Patents

자동투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920B1
KR100778920B1 KR1020060120006A KR20060120006A KR100778920B1 KR 100778920 B1 KR100778920 B1 KR 100778920B1 KR 1020060120006 A KR1020060120006 A KR 1020060120006A KR 20060120006 A KR20060120006 A KR 20060120006A KR 100778920 B1 KR100778920 B1 KR 100778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automatic
motion conversion
distribution plat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
박방식
Original Assignee
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 filed Critical 박현
Priority to KR1020060120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2069/402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giving spi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투구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자동투구기는 공을 수납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 공이 분배되도록 복수개의 공통과공이 형성된 회전분배판과, 상기 회전분배판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회전분배판의 공통과공과 연통되면 공을 낙하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급관으로 구성된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하부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낙하된 공을 반동시키도록 하며, 반동된 공의 진행방향 및 각도를 변화시켜 전진되도록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운동변환부; 상기 운동변환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운동변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부에 상기 공급부를 고정하되 상기 공급부의 설치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고정하며 하부에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고 하단부에 받침대가 구비된 스탠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공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간접방식으로서 단조로운 종래의 투구방식에 비해 투구되는 공에 다양한 변화를 주어 실제 경기 상황에서와 같이 공을 투구되도록 함으로써 연습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휴대가 간편하며 설치가 용이하고, 위치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투구기에 비해 전력소모가 적고 효율적으로 투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자동투구기, 회전분배판, 스핀, 운동변환부, 높이조절, 스탠드

Description

자동투구기{Automatic Pitching Machine}
도 1은 종래의 투구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투구기를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호퍼에 공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급부를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급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급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운동변환부의 각도조절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a와 도 8b는 판스프링에 의해 회전되는 공이 낙하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운동변환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투구기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공급부 11: 호퍼
12: 회전분배판 12a: 공통과공
12b: 판스프링 13: 모터
13a: 회전축 13b: 회전날개
14: 공급관 15: 수납박스
16: 컨베이어 16a: 모터
16b: 구동축 16c: 종동축
16d: 벨트 16e: 공수납부
17: 속도조절기 20: 운동변환부
21: 경사면 22: 전동기
23: 탄성판 30: 지지부
40: 스탠드 41: 받침대
본 발명은 자동투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타격할 공을 무인으로 자동 공급하는 자동투구기에 관한 것이다.
탁구와 같은 운동은 상대방이 공을 넘겨주고, 넘겨준 공을 타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상대방과 상대적인 관계로 행해지는 운동이다. 따라서, 개인이 필요에 의해 개별적인 연습을 행하는 경우에는 공을 넘겨주는 역할을 하는 상대방이 필히 존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인 자동투구기가 제안되어 이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제안된 자동투구기는 주로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기구로 이루어 진 장치이며, 직접 공을 투구하는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투구기는 그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고가이며, 사용료가 많이 소요되며, 중량과 크기로 인해 설치에 많은 제약을 받고, 구조가 복잡하여 그 사용 및 이용에 상당한 불편함과 제약을 받고 있다. 또한, 단조롭게 공을 투구하는 데에 그치는 한계가 있었다.
단조로운 공 투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투구되는 공에 스핀 등이 발생되도록 하는 자동투구기의 일예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4-0049135호(발명의 명칭: 탁구 연습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탁구연습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적재된 탁구공이 간헐적으로 하나씩만 빠져나가도록 하는 공급판(101)이 구비된 호퍼(110)와; 지지봉(120)의 상단에 설치된 베이스판(130)에 기체(140)를 안착하고, 상기 기체(140)의 상면에 상기 호퍼(110)가 설치되도록 하되, 이 기체(140)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하우징(150)과; 상기 호퍼(110)의 직하부측에 설치되는 발사대(160)와; 상기 발사대(160)의 전방 양측으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탁구공을 발사하는 로울러(171)로 이루어진 발사수단(170);으로 구성된 탁구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사대(160)의 자전각도를 제어하는 자전각 제어모터와, 상기 하우징(150) 및 발사대(160)의 좌우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좌우 회전각 제어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탁구공의 발사방향과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조절수단(18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탁구연습장치는 투구되는 공에 스핀을 걸어 투구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직접적으로 투구하게 되므로 실제 경기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상황을 만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접방식으로서 단조로운 종래의 투구방식에 비해 투구되는 공에 다양한 변화를 주어 실제 경기 상황에서와 같이 공을 투구되도록 하는 자동투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휴대가 간편하며 설치가 용이한 자동투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투구기는 공을 수납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 공이 분배되도록 복수개의 공통과공이 형성된 회전분배판과, 상기 회전분배판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회전분배판의 공통과공과 연통되면 공을 낙하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급관으로 구성된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하부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낙하된 공을 반동시키도록 하며, 반동된 공의 진행방향 및 각도를 변화시켜 전진되도록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운동변환부; 상기 운동변환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운동변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부에 상기 공급부를 고정하되 상기 공급부의 설치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고정하며 하부에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고 하단부에 받침대가 구비된 스탠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분배판은 한개로 되어 수평으로 설치되거나 두개로 되어 상하에 평행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운동변환부의 경사면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운동변환부는 회전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분배판을 회전시키는 모터는 속도조절기에 의해 제어되어 낙하되는 공의 투구 횟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운동변환부의 하부에는 경사면에 부딪혀 반동되는 공에 회전력을 부가시키도록 상기 운동변환부를 완전회전 또는 좌우 왕복 회동되도록 하는 전동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운동변환부가 완전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운동변환부가 원뿔 또는 상부가 잘린 원뿔 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공을 수납하는 수납박스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납박스로부터 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부의 호퍼로 공을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컨베이어는 양단부에 모터와 연결된 구동축과 종동축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을 벨트 또는 체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벨트 또는 체인에는 공을 수납하여 이송시키는 공수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자동투구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 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투구기를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호퍼에 공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급부를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급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급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운동변환부의 각도조절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a와 도 8b는 판스프링에 의해 회전되는 공이 낙하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운동변환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투구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투구기는 공을 수납하는 호퍼(11)와, 상기 호퍼(11)로부터 공이 분배되도록 하는 회전분배판(12)과, 상기 회전분배판(12)을 회전시키는 모터(13) 및 상기 회전분배판(12)에 의해 분배된 공을 낙하되도록 하는 공급관(14)으로 구성된 공급부(10); 상기 공급관(14)으로부터 낙하된 공을 진행방향 및 각도를 변화시키는 운동변환부(20); 상기 운동변환부(20)를 지지하는 지지부(30); 상기 공급부(10)와 상기 지지부(30)를 고정시키는 스탠드(40); 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부(10)는 호퍼(11), 회전분배판(12), 모터 및 공급관(14)으로 구성되어 공을 운동변환부(20)로 공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급부(10)는 상기 스탠드(40)의 상부에 고정되게 되는데, 신장이 작은 사용자가 상기 공급부(10)로의 공의 투입을 용이하도록 상기 공급부(10)를 상기 스탠드(40)의 하방으로 슬라 이드 이동가능한 이송장치(미도시됨)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송장치는 안테나식이나 X자형태로 된 링크식 이동장치 등 슬라이드 가능한 종래의 모든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호퍼(11)는 공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호퍼(11)는 상기 호퍼(11)로 공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호퍼(11)와는 별도로 공을 수납하는 수납박스(15)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납박스(15)로부터 컨베이어(16)에 의해 공급부(10)의 호퍼(11)로 공을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16)는 양단부에 모터(16a)와 연결된 구동축(16b)과, 종동축(16c)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16b)과 종동축(16c)을 벨트(16d) 또는 체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벨트(16d) 또는 체인에는 공을 수납하여 이송시키는 공수납부(16e)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호퍼(11)의 하단부에는 공이 상기 회전분배판(12)으로 공급되도록 공투입공(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11)의 하부에는 회전분배판(12)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분배판(12)은 상기 호퍼(11)로부터 공이 분배되도록 공통과공(12a)이 형성되며, 모터(13)에 의해 회전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분배판(12)은 하나 또는 두개로 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분배판(12)은 수평으로 설치되게 되는데 두개인 경우에는 상하에 평행하게 설치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상기 회전분배판이 두개 구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회전분배판(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호퍼(11)의 공투입공(11a)과 상기 회전분배판(12)의 공통과공(12a)이 연통되게 되면 상기 공급관(14)을 통하여 공이 낙하되고 하부에 위치한 회전분배판(12)으로 낙하되게 되며, 하부에 위치한 회전분배판(12)의 공통과공(12a)과 상기 공급관(14)이 서로 연통되는 위치가 되게 되면 공이 공통과공(12a)을 통과하여 상기 공급관(14)의 하부로 낙하되게 되고, 상기 공급관(14)의 하부로 낙하되는 공은 상기 공급관(14)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운동변환부(20)로 낙하되게 된다. 상기 호퍼(11)의 공투입공(11a)과 상기 회전분배판(12)의 공통과공(12a)이 연통되게 되면 상기 공급관(14)을 통하여 공이 낙하되고 하부에 위치한 회전분배판(12)으로 낙하되게 되는데, 이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하부에 위치한 회전분배판(12)으로 낙하되는 공은 공급관(14) 내에 2층이상으로 적층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하부에 위치한 회전분배판(12)에 의해 공급관(14)를 통하여 운동변환부(20)으로 낙하되는 공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는 상하에 위치한 상기 회전분배판(12)에 형성된 공통과공(12a)이 각각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공급관(14)이 상기 공통과공(12a)의 개수와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상기 공통과공(12a)이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게 되면 회전분배판(12)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구비된 공급관(14)으로 번갈아 가면서 낙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에 위치한 회전분배판(12)의 하부에는 상기 공급관(14)을 통하여 상기 운동변환부(20)로 낙하하는 공에 스핀을 주도록 판스프링(12b)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의 상태에서 회전분배판(12)이 회전하게 되면서 도 8b에서와 같이 판스프링(12b)이 공의 상부에 스핀을 걸어주게 되어 공급관(14)을 통하여 상기 운동변환부(20)로 낙하되는 공에 회전력 을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분배판(12)에 형성된 공통과공(12a)은 공급관(14)의 개수에 따라 등각도를 이루게 할 수도 있으며, 각도를 달리하여 공이 통과하는 텀(term)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급관(14)의 개수가 3개인 경우에는 120°의 각도를 이루어 공이 통과하는 텀을 같게 할 수 있으며, 각도를 달리하여 공이 통과하여 낙하되는 텀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분배판(12)의 회전속도가 30rpm이고 공급관(14)이 3개라면, 1분에 공급관으로 낙하되는 공의 개수는 90(30×3)개의 공이 공급관(14)으로 토출되어 낙하되게 된다. 즉 2/3초 마다 1개 꼴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공급관(14)이 서로 이루는 각도를 달리하게 되면 공이 낙하되는 텀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공이 낙하되는 텀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면, 실제 탁구경기에서 일정하지 않은 공의 랠리를 비슷하게 나마 조절하여 다양한 연습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모터(13)는 회전축(13a)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3a)은 회전분배판(12)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분배판(12)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모터(13)의 설치위치는 회전분배판(12)의 하부에 설치되거나, 회전분배판(12)이 두개 설치된 경우 회전분배판(12) 사이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모터(13)가 회전분배판(12)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하에 각각 위치한 상기 회전분배판(12)의 회전속도를 각각 다르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모터(13)는 속도조절기(17)의 제어에 의해 회전분배판(1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단위시간당 투구되는 공의 횟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13)는 배터리(미도시됨)에 의 해 전기를 공급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모터(13)의 회전축(13a)에는 상기 호퍼(11)에 투입된 공이 정체되지 않고 상기 공투입공(11a)으로 투입되기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13a)과 연동되는 회전날개(13b)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13)는 어댑터나 건전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공급관(14)은 상기 회전분배판(12)에 의해 분배된 공을 낙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직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급관(14)으로부터 낙하된 공은 공급관(14)의 하방에 위치한 운동변환부(20)로 낙하되게 된다. 상기 공급관(14)은 도면에서 상기 회전분배판(12)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좌우에 양측에 2개 구비되어 있으나, 복수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운동변환부(20)는 상기 공급부(10)의 하부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14)에 의해 안내되어 직하방으로 낙하된 공을 반동시키도록 하며, 반동된 공의 진행방향 및 각도를 변화시켜 전진되도록 상부에 경사면(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운동변환부(20)는 회전분배판(12)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좌우에 2개 구비되어 있으나, 3개 이상 복수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운동변환부(20)는 상기 공급관(14)의 개수와 동일하도록 하며, 상기 공급관(14)의 직하방에 위치되게 된다. 또, 상기 운동변환부(20)는 상기 운동변환부(20)를 지지하는 지지부(3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회동 또는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변환부(20)는 이의 설치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30)로부터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각의 상기 운동변환부(20)는 설치높이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운동변환부(20)가 상기 지지부(30)에 고정된 경우에는 상기 운동변환부(20)의 경사면(21)의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부(30)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상기 지지부(30)의 각도를 변화시켜 상기 운동변환부(20)의 경사면(21)의 각도를 변화시킨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운동변환부(20)의 경사면(21)에 반동된 공의 반동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21)의 상부에는 탁구라켓에 사용되는 고무나 기타 탄성재질의 탄성판(23)을 구비할 수 있으며, 탄성판(23)을 이용하게 되면 낙하되어 반동된 공이 멀리 나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운동변환부(20)가 상기 지지부(30)에 회동 또는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경우에는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부(30)의 하부에 상기 운동변환부(20)를 회동 또는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별도의 전동기(22)를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전동기(22)는 상기 운동변환부(20)를 자동차의 와이퍼와 같이 좌우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사용하거나 완전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전동기(22)는 전술한 상기 모터(13)와 같이 어댑터나 건전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도 무방하다. 도 9는 운동변환부(20)가 좌우 회동되는 것을 나타내며, 도 10과 도 11은 운동변환부(20)가 완전회전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전동기(22)가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완전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운동변환부(20)는 원뿔형 또는 상부가 잘린 원뿔형상으로 되어 상기 공급부(10)로부터 낙하된 공이 경사면에 부딪혀 반동될 때 회전력(스핀)을 부가시키게 된다. 도 10에 서는 상기 운동변환부(2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 11에서는 상기 운동변환부(20)가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특히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운동변환부(20)가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깎아치기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운동변환부(20)에 부딪혀 반동되는 공에 회전력을 부가시키고 방향을 전환시켜 공을 반동되도록 하여 상대방이 실제로 타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게 되며, 즉, 간접방식으로 공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연습자는 실제 경기를 하는 것과 같이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운동변환부(20)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운동변환부(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30)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부(30)에 지지된 상기 운동변환부(20)의 경사면(21)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30)를 회동시켜 상기 지지부(3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여 상기 운동변환부(2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반동되는 공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스탠드(40)는 상부에는 상기 공급부(10)를 고정하며 하부에는 상기 지지부(3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하단부에는 상기 스탠드(40)를 지지하는 받침대(4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탠드(40)는 상기 공급부(10)의 설치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탠드(40)는 상기 지지부(30)의 설치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공급부(10)로부터 낙하되는 공과의 낙차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투구기는 공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간접방식으로서 단조로운 종래의 투구방식에 비해 투구되는 공에 다양한 변화를 주어 실제 경기 상황에서와 같이 공을 투구되도록 함으로써 연습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휴대가 간편하며 설치가 용이하고, 위치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투구기에 비해 전력소모가 적고 효율적으로 투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4)

  1. 공을 수납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 공이 분배되도록 복수개의 공통과공이 형성된 회전분배판과, 상기 회전분배판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회전분배판의 공통과공과 연통되면 공을 낙하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급관으로 구성된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하부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낙하된 공을 반동시키도록 하며, 반동된 공의 진행방향 및 각도를 변화시켜 전진되도록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복수개의 운동변환부;
    상기 운동변환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운동변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부에 상기 공급부를 고정하며 하부에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고 하단부에 받침대가 구비된 스탠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투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분배판은 한개로 되어 수평으로 설치되거나, 두개로 되어 상하에 평행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투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부에 위치한 회전분배판의 하부에는 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운동변환부로 낙하하는 공에 스핀을 주는 판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투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운동변환부의 경사면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투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부는 회전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투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운동변환부는 개별적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투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설치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투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부는 경사면의 상부에 탄성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투구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분배판을 회전시키는 모터는 속도조절기에 의해 제어되어 낙하되는 공의 투구 횟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투구기.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부의 하부에는 경사면에 부딪혀 반동되는 공에 회전력을 부가시키도록 상기 운동변환부를 완전회전 또는 좌우 왕복 회동되도록 하는 전동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투구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부가 완전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운동변환부가 원뿔 또는 상부가 잘린 원뿔 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투구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부가 완전회전되는 경우에는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투구기.
  13. 제 1 항 내지 제 8 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을 수납하는 수납박스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납박스로부터 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부의 호퍼로 공을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투구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양단부에 모터와 연결된 구동축과 종동축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을 벨트 또는 체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벨트 또는 체인에는 공을 수납하여 이송시키는 공수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투구기.
KR1020060120006A 2006-11-30 2006-11-30 자동투구기 KR100778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006A KR100778920B1 (ko) 2006-11-30 2006-11-30 자동투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006A KR100778920B1 (ko) 2006-11-30 2006-11-30 자동투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920B1 true KR100778920B1 (ko) 2007-11-28

Family

ID=3908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006A KR100778920B1 (ko) 2006-11-30 2006-11-30 자동투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92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047B1 (ko) 2012-03-06 2013-06-12 주식회사 한양비이에스티교육 학습용 피칭 머신
KR101404773B1 (ko) * 2011-12-05 2014-06-12 이호인 무전원 탁구연습기
WO2018092932A1 (ko) * 2016-11-17 2018-05-24 주식회사 독트라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
KR20190022250A (ko) * 2017-08-25 2019-03-06 주식회사 독트라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와 트레이닝 박스
US10631522B2 (en) 2017-08-25 2020-04-28 Dogtra Co., Ltd. Ball trainer with launcher function and dropper function and training box
KR20210135659A (ko) * 2020-05-06 2021-11-16 김지수 스쿼시 연습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8407A (en) 1982-04-08 1985-10-22 Kazuhiro Sato Toss batting trai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8407A (en) 1982-04-08 1985-10-22 Kazuhiro Sato Toss batting traine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773B1 (ko) * 2011-12-05 2014-06-12 이호인 무전원 탁구연습기
KR101274047B1 (ko) 2012-03-06 2013-06-12 주식회사 한양비이에스티교육 학습용 피칭 머신
WO2018092932A1 (ko) * 2016-11-17 2018-05-24 주식회사 독트라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
KR20190022250A (ko) * 2017-08-25 2019-03-06 주식회사 독트라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와 트레이닝 박스
KR102069055B1 (ko) * 2017-08-25 2020-01-22 주식회사 독트라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와 트레이닝 박스
US10631522B2 (en) 2017-08-25 2020-04-28 Dogtra Co., Ltd. Ball trainer with launcher function and dropper function and training box
KR20210135659A (ko) * 2020-05-06 2021-11-16 김지수 스쿼시 연습장치
KR102425012B1 (ko) * 2020-05-06 2022-08-24 김지수 스쿼시 연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920B1 (ko) 자동투구기
US6440013B1 (en) Pitching machine
KR101434251B1 (ko)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US7553244B2 (en) Ball receiving and launching machine
US5857451A (en) Launcher apparatus for spherical and disc-shaped objects
US5507271A (en) Air-actuated ball-throw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CN107596665B (zh) 一种带有整理功能的羽毛球发球机
US6752138B2 (en) Shuttlecock launcher and method for launching
CN108159672B (zh) 一种自动网球发球装备
US7207893B1 (en) Golf chip shot practice device
CN210448018U (zh) 一种网球训练器
KR10094346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7100594B2 (en) Tennis ball serving device
KR20120006167A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120127891A (ko) 슈팅 놀이기구
KR100552601B1 (ko) 탁구 연습장치
CN109621360B (zh) 一种循环式篮球投接球训练装置
KR200470337Y1 (ko) 초보자를 위한 테니스 서브 연습기
US5882270A (en) Baseball batting practice device
CN109224409B (zh) 一种乒乓球练习器
CN107970589B (zh) 自动篮球发球装备
CN210251143U (zh) 一种可调节式出球装置
KR200170819Y1 (ko) 스윙연습용 투구장치
CN111973961B (zh) 一种高可靠性网球捡发一体机
KR102095682B1 (ko) 배드민턴 셔틀콕 슈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