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055B1 -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와 트레이닝 박스 - Google Patents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와 트레이닝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055B1
KR102069055B1 KR1020170146616A KR20170146616A KR102069055B1 KR 102069055 B1 KR102069055 B1 KR 102069055B1 KR 1020170146616 A KR1020170146616 A KR 1020170146616A KR 20170146616 A KR20170146616 A KR 20170146616A KR 102069055 B1 KR102069055 B1 KR 102069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ing
training
rod
lock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2250A (ko
Inventor
소민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독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독트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독트라
Priority to US15/857,044 priority Critical patent/US10631522B2/en
Publication of KR20190022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7Exercising equipment, e.g. tread mills, carousel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는, 하우징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훈련구를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홀더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2 이상의 훈련구를 수납할 수 있는 길이 조절 가능한 수납 공간을 구비한 낙하부; 상기 하우징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안착되는 별도의 훈련구를 상방으로 발사하는 발사부; 상기 낙하부와 상기 발사부를 동작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과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유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와 트레이닝 박스{Ball trainer with launcher and dropper function and training box}
본 발명은 동물의 훈련에 사용되는 볼 트레이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물의 훈련용 훈련구의 낙하 기능 및 발사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와 트레이닝 박스에 관한 것이다.
예전의 대가족제도와는 달리 핵가족화, 이혼의 증가, 결혼 연령의 증가, 비혼주의자 증가 등으로 인해 가족 구성원이 감소하고 싱글족이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외로움을 달래고자 최근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인구가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반려동물은 사람과 더불어 사는 동물로서의 역할을 넘어서서 가족 또는 인생의 동반자로 인식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의 경우에는 자신과 함께 생활하기 위한 기본적인 의사소통은 물론 기본적인 훈련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반려동일인 개의 경우 그 훈련에 공(ball)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공을 던지고 난 후 이를 물어오도록 하는 복종훈련용으로 공이 사용된다. 이때 공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다양한 훈련구 발사기(Ball Launcher), 훈련구 낙하기(Ball Dropper) 등이 사용되고 있다.
훈련구 발사기의 경우에는 특정 높이까지 공을 던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치이며, 훈련구 낙하기의 경우 사용자가 떨어뜨린 훈련구에 개가 반응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훈련구 발사기의 일례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27393호에는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애완동물이 혼자 놀 수 있도록 자동으로 공을 투척해줌으로써 놀이, 운동 등을 할 수 있는 장치로서 공을 애완동물이 물어다가 공을 투입하면 이를 외부로 일정한 힘을 가하여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애완동물이 놀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고도의 훈련용으로는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볼을 발사하도록 할 수 있을 뿐 일정한 높이에서 떨어뜨리도록 사용하기 곤란할 수 있다.
한편, 훈련 기법에 따라서는 훈련구를 발사하는 기능과 훈련구를 낙하시키는 기능이 모두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훈련구를 발사하는 기능과 훈련구를 낙하시키는 기능을 모두 갖춘 훈련용 기구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훈련구를 발사하는 기능과 훈련구를 낙하시키는 기능을 모두 사용하여 훈련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능을 보유한 훈련구 발사기와 훈련구 낙하기를 모두 보유하여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이들 훈련용 기구가 일반적으로 무선 원격제어 방식으로 작동되는 특성상, 사용자가 각각의 훈련용 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모두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더욱이, 이처럼 개별 기기로 운용을 하기 위해서는 훈련구 발사기 및 그 원격 컨트롤러, 훈련구 낙하기 및 그 원격 컨트롤러 등 모두 4개소의 전원부에 대하여 배터리의 충전상태 점검 등 관리를 하여야 하므로 유지관리 상의 불편도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27373호
본 발명은 동물의 훈련용 훈련구의 낙하 기능 및 발사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와 트레이닝 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훈련구를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홀더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2 이상의 훈련구를 수납할 수 있는 길이 조절 가능한 수납 공간을 구비한 낙하부; 상기 하우징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안착되는 별도의 훈련구를 상방으로 발사하는 발사부; 상기 낙하부와 상기 발사부를 동작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과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유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가 제공된다.
상기 낙하부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파이프 형태의 메인 홀더와; 상기 메인 홀더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메인 홀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겹쳐질 수 있는 확장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 홀더는 상기 메인 홀더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확장 홀더 내부에 1 이상의 훈련구를 더 수납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홀더에 수납된 훈련구의 밑 부분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며, 전진 혹은 후진하여 상기 메인 홀더 내의 훈련구를 하방으로 낙하시킬 수 있는 걸림로드와; 상기 걸림로드로부터 상기 훈련구의 직경에 상응하여 이격 설치되며, 상기 걸림로드와 반대로 이동하는 중간 걸림로드와;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걸림로드 및 상기 중간 걸림로드를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양 끝단에 상기 걸림로드와 상기 중간 걸림로드가 연결된 회전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지지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로드와 상기 중간 걸림로드가 상호 번갈아 가면서 상기 메인 홀더 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걸림로드가 전진하고 상기 중간 걸림로드가 후진한 상태가 낙하 준비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걸림로드가 후진하고 상기 중간 걸림로드가 전진하는 낙하 상태로 상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발사부는,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어 훈련구가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발사 홀더와; 상기 발사 홀더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며, 투입되는 훈련구가 안착되는 안착대와; 상기 안착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대와 상기 발사 홀더 사이에서 압축에 의한 탄성력을 상기 안착대에 전달하는 발사 스프링과; 상기 안착대의 하부에 길게 형성되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발사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훈련구를 발사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일측이 개방된 걸림몸체와; 상기 걸림몸체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걸림몸체는 상기 지지로드 방향으로 밀어내는 걸림용 스프링과; 상기 걸림몸체의 내측면에 돌출 설치된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몸체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누름힘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는 상기 중간 걸림로드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누름힘 수용부가 상기 중간 걸림로드의 타 끝단으로부터 누름힘을 받아 걸림 상태에서 걸림 해제 상태로 상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걸림로드가 후진하고 상기 중간 걸림로드가 전진한 상태가 발사 준비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걸림로드가 전진하고 상기 중간 걸림로드가 후진하는 발사 상태로 상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발사 스프링은 원추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발사부의 진동에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발사부 작동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수납식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박스 형상으로, 전술한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가 내부에 장착되는 박스 몸체; 및 상기 박스 몸체의 개구면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의 내면 중앙에는 상기 훈련구의 직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 원통 가이드가 돌출 형성된, 트레이닝 박스가 제공된다.
상기 박스 몸체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한 쌍의 수직 지지대가 이격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대 사이에 상기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가 끼움 결합하되, 상기 발사부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원통 가이드의 끝단과 만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견의 훈련을 위해 하나의 장치를 통하여 훈련구를 발사 또는 낙하시킴으로써 훈련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훈련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을 낙하할 수 있도록 수납하는 공간을 가변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작은 공간을 활용하여 보다 많은 수의 공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원추 스프링을 사용하여 공을 발사하기 위한 탄성을 제공함으로써, 스프링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트레이너의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1대의 구동부로 발사부와 낙하부의 작동이 모두 가능하여 구동을 위한 구성을 최소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간단한 링크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
가변식 지지대를 사용하여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훈련구의 발사시 진동을 줄이고 안정적으로 훈련구를 발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발사부에 훈련구를 안착시키고 발사부 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발사부를 통하여 훈련구를 발사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지지로드와 걸림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낙하부의 수납 공간을 조절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낙하부를 통하여 훈련구를 낙하시키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지지대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트레이너를 지지하는 트레이닝 박스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트레이닝 박스에서 상면 덮개와 박스 몸체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2의 트레이닝 박스에 볼 트레이너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트레이너는 동물을 훈련시키는 훈련구를 발사하거나 낙하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기존에 사용되는 발사기(Launcher)와 낙하기(Dropper)를 하나로 일체화시키고 보다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소형화한 것이다. 즉, 발사기와 낙하기를 하나의 하우징에 설치하고 내부적으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품을 도입하여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특히, 훈련구 발사와 훈련구 낙하를 하나의 구동부를 통해 수행할 수 있어 부품을 최소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볼 트레이너는 크게 낙하부(D), 발사부(L), 제어모듈(C), 통신모듈(T)을 포함한다.
낙하부(D)는 훈련구를 내부에 위치시켰다가 신호에 따라 훈련구를 하방으로 자유 낙하시키는 부분이다. 이는 볼 트레이너를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거나 비교적 높은 곳에 위치시킨 후 동물에게 훈련구를 떨어뜨릴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발사부(L)는 훈련구를 별도로 내부에 위치시킨 후 다양한 힘에 의해 이를 상방으로 쏘아 올리는 부분이다. 이는 지면에 볼 트레이너를 고정하고 작동시켜 동물에서 훈련구를 쏘아 올릴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제어모듈(C)은 낙하부(D)와 발사부(L)의 작동을 제어하며, 각 부분을 선택적으로 운영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훈련구의 발사, 낙하를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모듈(T)은 제어모듈(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유, 무선으로 접속되는 외부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모듈(C)로 전달한다. 특히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리모콘의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통하여 낙하부(D)와 발사부(L)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지지대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1)는 낙하부(D)와 발사부(L)를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하나의 하우징(10)에 의해 형성된다.
하우징(1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내부에 통신모듈(T)과 제어모듈(C)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낙하부(D)와 발사부(L)를 측면으로 나란히 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 형태를 타원 원기둥 형태가 될 수 있으며,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별도의 불필요한 공간을 배제할 수 있다.
하우징(10) 내부의 일 측에는 낙하부(D)가 형성된다. 낙하부(D)는 하방으로 내부의 훈련용 볼(훈련구)을 낙하시킬 수 있도록 파이프 형태의 낙하 홀더(40)로 형성된다. 이러한 낙하 홀더(4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상부에서 훈련구를 투입하면 하부가 소정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어 투입된 훈련구를 하방으로 낙하시킬 수 있는 형태이다.
볼 트레이너(1)를 소형화하게 되면 볼 홀더 내부에 위치하는 훈련구의 개수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내부에 위치하는 훈련구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면 낙하 홀더(40)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전체 하우징(10)의 크기가 커지고, 결과적으로 볼 트레이너(1)의 전체 크기가 커지게 되어 휴대가 불편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점을 해소하고자 낙하 홀더(40)를 메인 홀더(41)와 확장 홀더(42)로 구분하고, 텔레스코프 방식으로, 메인 홀더(41)와 확장 홀더(42)가 겹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기본적으로 훈련구(B)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로서 메인 홀더(41)가 구비된다. 메인 홀더(41)의 외경보다 내경이 큰 확장 홀더(42)가 메인 홀더(41)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낙하부(D)를 작동시키지 않을 때에는 확장 홀더(42)를 하우징(10) 내부로 위치시킨다. 낙하부(D)를 작동시키는 때에는 확장 홀더(42)를 하우징(10) 외부로 돌출시켜 낙하부(D)에 한번에 투입할 수 있는 훈련구(B)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확장 홀더(42)를 외부로 돌출시킨 경우에는 훈련구(B)를 3개까지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낙하부(D)에서 훈련구(B)를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걸림로드(43)가 메인 홀더(41)의 밑 부분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로드(43)는 내부에 위치하는 최하부의 훈련구가 걸리도록 형성되어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낙하부(D)에는 훈련구(B)의 크기만큼 이격된 중간 걸림로드(44)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로드(43)와 중간 걸림로드(44)는 구동부(50)에 의해 작동된다. 구동부(50)는 모터(52)와 회전지지대(51)를 포함한다. 걸림로드(43)와 중간 걸림로드(44)는 상호 번갈아 가면서 돌출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회전지지대(51)의 양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지지대(51)의 회전 동작에 의해 회전지지대(5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걸림로드(43)가 메인 홀더(41) 측으로 전진하여 돌출되고 중간 걸림로드(44)는 후진하게 된다. 회전지지대(5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걸림로드(43)가 메인 홀더(41) 측에서 후진하고 중간 걸림로드(44)는 메인 홀더(41) 측으로 전진하여 돌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훈련구(B)를 낙하시킬 경우 내부에 위치한 다음 훈련구가 최하부의 훈련구와 같이 하부로 낙하하지 않게 된다.
회전지지대(51)의 회전은 내부에 위치한 모터(52)에 의해 구동되며, 모터(52)는 제어모듈(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발사부(L)는 낙하부(D)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외부에서 훈련구(B)를 안착시킨 후 일정한 힘으로 상방으로 발사하는 부분이다.
발사부(L)는 훈련구(B)를 발사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형태의 발사 홀더(20)를 포함한다. 훈련구(B)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대(21)가 발사 홀더(2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안착대(21)의 하부에는 발사 홀더(20)와 안착대(21) 사이에서 탄성에 의해 밀어낼 수 있도록 하는 발사 스프링(22)이 개재되고, 안착대(21)의 하부 중심부에는 지지로드(23)가 아래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발사 홀더(20)의 직경은 훈련구(B)가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으며, 발사 홀더(20)의 높이는 발사 스프링(22)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훈련구(B)를 상방으로 밀어낼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10) 높이의 반 정도일 수 있다.
발사부(L)는 발사 스프링(22)의 압축에 의한 힘을 유지하다가 이를 순간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구성이면 작동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안착대(21)의 하면에 지지로드(23)를 연결하고, 지지로드(23)의 측면에 걸림홈(24)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걸림홈(24)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부(30)가 설치된다.
걸림부(30)는 구동부(50)에 의해 걸림 상태 혹은 걸림 해제 상태로 상태 전환될 수 있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부(30)는 구동부(50)에 의해 걸림 상태에서 걸림 해제 상태로 상태 전환될 수 있다.
발사부(L)의 발사 홀더(20)의 높이는 내부에 장착되는 발사 스프링(22)의 종류에 따라 그 최소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발사에 필요한 반발력을 얻기 위해서는 발사 스프링(22)의 길이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발사 홀더(20)의 높이도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사 스프링(22)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기 위해 원추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원추 스프링의 경우 압축을 할 때 공간적인 이점이 있어, 발사부(L)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하우징(10)의 상면에는 볼 트레이너(1)의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슬라이드 스위치(60)가 설치된다. 슬라이드 스위치(60)는 선택 직관성을 높이기 위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다. 슬라이드 스위치(60)가 제1 위치(P1)에 있는 경우에는 발사부(L)로 작동하고, 슬라이드 스위치(60)가 제2 위치(P2)에 있는 경우에는 낙하부(D)로 작동하게 된다. 이 경우 발사부(L)와 낙하부(D)가 공유하는 구동부(50)의 기본 상태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슬라이드 스위치 대신에 토글 스위치, 터치 스위치가 이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하우징(10)의 상면에는 볼 트레이너(1)에 전원을 공급하고 통신모듈(T)을 작동시켜 원격의 리모콘과의 페어링(pairing)을 위한 버튼(62)이 설치될 수 있다. 버튼(62) 누름에 의해 전원 공급, 페어링, 전원 공급 차단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상면에는 제어모듈(C)과 연결되어 현재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태표시부는 LED 표시등을 포함하고 있어, 전원 온/오프 여부, 낙하부(D)와 발사부(L)의 선택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측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쉽게 휴대하고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스트랩을 연결할 수 있는 스트랩 연결부(70)가 형성된다. 스트랩 연결부(70)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스트랩의 크기에 맞는 직사각의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 내부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8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80)의 탈착을 위한 배터리 커버(81)가 하우징(10)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바닥면에는 발사부(L)가 작동할 때 발생하는 진동으로부터 볼 트레이너(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식 지지대(도 10의 '90'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구성으로 좁은 형태로 하우징(10)이 형성되는 경우 발사부(L)의 작동 진동에 의해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가 옆으로 쓰러질 수 있다. 따라서, 좁은 형태로 하우징(10)을 유지하면서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수납식 지지대(90)가 형성될 수 있다.
수납식 지지대(90)는 평상 시에는 하우징(10)의 바닥면에 수납되도록 형성되며, 발사부(L)의 작동 시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는 하부 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곳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하우징(10)의 전면 혹은 후면에는 볼 트레이너(1)가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지지하는 경사 지지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사 지지대는 평상 시에는 하우징(10)의 전면 혹은 후면에 수납되도록 형성되며, 발사부(L)의 작동 시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힌지 회동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경사 지지대가 펼쳐진 경우, 볼 트레이너(1)는 일정 경사각을 가지면서 지지되어 발사부(L)의 작동 시에 볼이 비스듬히 발사되어 동물에 대해 다각적이고 다양한 훈련을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사부(L)와 낙하부(D)를 하나의 하우징(10)에 위치시키고, 소형화시켜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 사용 시에 다양한 방식으로 동물을 훈련시킬 수 있고, 휴대성을 향상시켜 간편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발사부에 훈련구를 안착시키고 발사부 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발사부를 통하여 훈련구를 발사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지지로드와 걸림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발사부(L)의 작동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훈련구(B)를 안착대(21)에 위치시킨 후 일정한 힘을 주어 안착대(21)를 하부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내부에 위치한 발사 스프링(22)이 탄성이 작용하면서 압축하게 된다. 이때 지지로드(23)에는 걸림부(30)가 걸리지 않으며, 걸림홈(24)에 걸림부(30)가 위치할 때까지 압축되게 된다.
걸림부(30)는 일측이 개방된 걸림몸체(31)와, 걸림몸체(31)의 타측에 설치되는 걸림용 스프링(32)과, 걸림몸체(31)의 내측면에 돌출 설치된 걸림돌기(33), 걸림몸체(31)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누름힘 수용부(34)를 포함한다.
걸림부(30)는 중간 걸림로드(44)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한다. 이는 누름힘 수용부(34)가 중간 걸림로드(44)로부터 누름힘을 받기 위함이다.
걸림용 스프링(32)은 탄성력에 의해 걸림몸체(31)를 지지로드(23) 방향으로 밀어낸다.
지지로드(23)의 표면에는 소정 높이에 수평 방향으로 걸림홈(24)이 형성되고, 지지로드(23)의 길이 방향으로는 가이드홈(25)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24)은 가이드홈(25)의 상단에서 일정 길이만큼 지지로드(23)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형성될 수 있다.
압축에 의해 지지로드(23)가 아래로 이동하는 중에 걸림홈(24)이 걸림부(30) 위치에 도달한 경우, 걸림용 스프링(32)에 의해 지지로드(23)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받고 있는 걸림몸체(31), 특히 걸림돌기(33)가 걸림홈(24) 내에 걸리게 된다.
걸림부(30)에 의해 지지로드(23)가 걸리게 되면, 안착대(21)는 최저 위치에 위치하면서 발사 스프링(22)을 최대로 압축시키게 된다. 그리고 안착대(21) 상에 안착된 훈련구(B)는 발사 홀더(2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누름힘 수용부(34)는 걸림용 스프링(32)에 의해 지지로드(23)에서 중간 걸림로드(44)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볼 트레이너(1)가 발사부(L)로서 기능하는 경우 슬라이드 스위치(60)가 P1 위치에 있으며, 구동부(50)는 낙하부(D)를 기준으로 걸림로드(43)가 후진하고 중간 걸림로드(44)가 전진한 상태(발사 준비 상태)에 있도록 설정된다.
이후 발사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부(50)가 작동하여 회전지지대(5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낙하부(D)를 기준으로 걸림로드(43)가 전진하고 중간 걸림로드(44)가 후진한 상태(발사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경우 중간 걸림로드(44)의 후진에 의해 중간 걸림로드(44)의 끝단이 돌출된 걸림부(30)의 누름힘 수용부(34)를 눌러주게 된다. 누름힘 수용부(34)의 순간적인 푸쉬에 의해 걸림용 스프링(32)의 힘을 이겨내고 걸림돌기(33)가 걸림홈(24)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지지로드(23) 및 안착대(21)가 발사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안착대(21) 상에 놓인 훈련구(B)가 상부 방향으로 발사된다.
여기서, 지지로드(23)의 하강 혹은 상승 시에는 걸림돌기(33)가 가이드홈(25) 내에 위치하여 지지로드(23)의 하강 혹은 상승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낙하부의 수납 공간을 조절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의 낙하부를 통하여 훈련구를 낙하시키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낙하부(D)의 작동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평소에는 볼 트레이너를 사용자가 휴대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확장 홀더(42)를 하우징(10) 내부에 위치시켜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낙하부(D)로 사용 시에는 확장 홀더(42)를 외부로 노출시켜 전체 낙하 홀더(40)의 높이를 크게 하여 내부에 수납되는 훈련구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훈련구를 2개에서 3개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였지만, 확장 홀더(42)의 높이와 개수를 증가시키면 낙하부(D)에 수납되는 훈련구의 개수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볼 트레이너(1)가 낙하부(D)로서 기능하는 경우 슬라이드 스위치(60)가 P2 위치에 있으며, 구동부(50)는 낙하부(D)를 기준으로 걸림로드(43)가 전진하고 중간 걸림로드(44)가 후진한 상태(낙하 준비 상태)에 있도록 설정된다.
낙하부(D)의 메인 홀더(41)에는 기본적으로 2개의 훈련구가 수납된다. 원격의 리모콘에 의해 작동 신호를 주면, 통신모듈(T)과 제어모듈(C)을 통해 구동부(50)를 작동시키게 된다.
모터(52)가 작동되면 회전지지대(5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발사 홀더(20)의 하부에 있는 걸림로드(43)가 후진하게 되고, 동시에 중간 걸림로드(44)가 전진하게 된다(낙하 상태). 이 경우 최하부에 위치하는 훈련구는 배출구를 통하여 낙하하게 되고, 그 위에 있는 훈련구는 전진한 중간 걸림로드(44)에 의해 지지되어 낙하가 방지된다.
훈련구를 낙하시킨 후 모터(52)에 의해 회전지지대(5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로드(43)가 전진하고 중간 걸림로드(44)가 후진하여 다시 낙하 준비 상태에 있게 된다. 이 경우 중간에 위치한 훈련구가 밑으로 이동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걸림로드(43)에 의해 지지되어 배출구 밖으로 낙하하지는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낙하부로 기능할 때와 발사부로 기능할 때 구동부의 기본 상태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은 모터(52) 및 회전지지대(51)의 불필요한 작동을 최소화하여, 소리에 민감한 동물이 훈련구의 낙하 혹은 발사가 아닌 작동 소리에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여 훈련의 질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트레이너를 지지하는 트레이닝 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트레이닝 박스에서 상면 덮개와 박스 몸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도 12의 트레이닝 박스에 볼 트레이너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12의 (a)는 상면 덮개를 뒤집은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트레이닝 박스(10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가 빈 박스 구조물이다.
트레이닝 박스(100)는 일면이 개구된 박스 몸체(110)와, 박스 몸체(110)의 개구면을 덮는 덮개(120)를 포함한다.
박스 몸체(110)의 내부에는 볼 트레이너(1)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수직 지지대(112)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수직 지지대(112)는 박스 몸체(110)의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수직 지지대(112) 사이는 볼 트레이너(1)의 폭에 대응되는 이격 거리(W1)를 갖는다.
볼 트레이너(1)는 한 쌍의 수직 지지대(112) 사이의 이격 공간에 끼움 결합하여 수직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수납식 지지대(90)에 의한 지지 없이도 수직 지지대(112)에 의해 볼 트레이너(1)는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덮개(120)는 사각형 판재 형상을 가지며, 내면 중앙에는 훈련구의 직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 원통 가이드(122)가 돌출 형성된다. 원통 가이드(122)의 돌출 높이는 트레이닝 박스(100)가 조립된 경우 원통 가이드(122)의 끝단이 박스 몸체(110)의 내부에 장착된 볼 트레이너(1)의 발사부(L) 상면과 만날 수 있는 높이일 수 있다.
볼 트레이너(1)가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스 몸체(110) 내에 장착된 경우, 원통 가이드(122)가 발사부(L)의 수직 상부와 만나며, 발사부(L)에서 발사되는 훈련구가 방해받지 않고 원통 가이드(122)를 통과하여 외부로 발사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닝 박스(100)는 바닥에 놓아두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는 덮개(120)가 전방을 향하도록 벽면에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박스 형상의 트레이닝 박스(100)를 통해 동물이 볼 트레이너(1) 자체에 관심을 가지지 않고 보다 충실히 훈련에 임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트레이닝 박스(100)를 일렬 배치시키고 훈련구가 발사되는 트레이닝 박스를 랜덤하게 설정함으로써, 동물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볼 트레이너 L: 발사부
D: 낙하부 C: 제어모듈
T: 통신모듈 10: 하우징
20: 발사 홀더 21: 안착대
22: 발사 스프링 23: 지지로드
24: 걸림홈 30: 걸림부
31: 걸림몸체 32: 걸림용 스프링
33: 걸림돌기 34: 누름힘 수용부
40: 낙하 홀더 41: 메인 홀더
42: 확장 홀더 43: 걸림로드
44: 중간 걸림로드 50: 구동부
51: 회전지지대 52: 모터
60: 슬라이드 스위치 70: 스트랩 연결부

Claims (13)

  1. 하우징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훈련구를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홀더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2 이상의 훈련구를 수납할 수 있는 길이 조절 가능한 수납 공간을 구비한 낙하부;
    상기 하우징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안착되는 별도의 훈련구를 상방으로 발사하는 발사부;
    상기 낙하부와 상기 발사부를 동작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과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유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낙하부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파이프 형태의 메인 홀더와; 상기 메인 홀더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메인 홀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겹쳐질 수 있는 확장 홀더와; 상기 메인 홀더에 수납된 훈련구의 밑 부분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며, 전진 혹은 후진하여 상기 메인 홀더 내의 훈련구를 하방으로 낙하시킬 수 있는 걸림로드와; 상기 걸림로드로부터 상기 훈련구의 직경에 상응하여 이격 설치되며, 상기 걸림로드와 반대로 이동하는 중간 걸림로드와;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걸림로드 및 상기 중간 걸림로드를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양 끝단에 상기 걸림로드와 상기 중간 걸림로드가 연결된 회전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지지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로드와 상기 중간 걸림로드가 상호 번갈아 가면서 상기 메인 홀더 내로 돌출되며,
    상기 발사부는,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어 훈련구가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발사 홀더와; 상기 발사 홀더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며, 투입되는 훈련구가 안착되는 안착대와; 상기 안착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대와 상기 발사 홀더 사이에서 압축에 의한 탄성력을 상기 안착대에 전달하는 발사 스프링과; 상기 안착대의 하부에 길게 형성되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발사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훈련구를 발사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일측이 개방된 걸림몸체와; 상기 걸림몸체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걸림몸체는 상기 지지로드 방향으로 밀어내는 걸림용 스프링과; 상기 걸림몸체의 내측면에 돌출 설치된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몸체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누름힘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는 상기 중간 걸림로드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누름힘 수용부가 상기 중간 걸림로드의 타 끝단으로부터 누름힘을 받아 걸림 상태에서 걸림 해제 상태로 상태 전환되도록 하는,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홀더는 상기 메인 홀더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확장 홀더 내부에 1 이상의 훈련구를 더 수납할 수 있는,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로드가 전진하고 상기 중간 걸림로드가 후진한 상태가 낙하 준비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걸림로드가 후진하고 상기 중간 걸림로드가 전진하는 낙하 상태로 상태 전환되는,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로드가 후진하고 상기 중간 걸림로드가 전진한 상태가 발사 준비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걸림로드가 전진하고 상기 중간 걸림로드가 후진하는 발사 상태로 상태 전환되는,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 스프링은 원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발사부의 진동에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발사부 작동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수납식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
  12.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박스 형상으로, 제1항, 제3항, 제6항,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가 내부에 장착되는 박스 몸체; 및
    상기 박스 몸체의 개구면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의 내면 중앙에는 상기 훈련구의 직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 원통 가이드가 돌출 형성된, 트레이닝 박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몸체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한 쌍의 수직 지지대가 이격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대 사이에 상기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가 끼움 결합하되, 상기 발사부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원통 가이드의 끝단과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박스.
KR1020170146616A 2017-08-25 2017-11-06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와 트레이닝 박스 KR102069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57,044 US10631522B2 (en) 2017-08-25 2017-12-28 Ball trainer with launcher function and dropper function and training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07763 2017-08-25
KR1020170107763 2017-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250A KR20190022250A (ko) 2019-03-06
KR102069055B1 true KR102069055B1 (ko) 2020-01-22

Family

ID=65761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616A KR102069055B1 (ko) 2017-08-25 2017-11-06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와 트레이닝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0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966B1 (ko) 2020-12-08 2021-10-13 한가은 낙하산이 마련된 볼의 발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963B1 (ko) * 2019-05-13 2021-07-29 김주열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3515B2 (ja) * 1994-06-06 2003-08-04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複合容器
KR100778920B1 (ko) * 2006-11-30 2007-11-28 박현 자동투구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7393A (ko) * 2011-09-07 2013-03-15 안태욱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3515B2 (ja) * 1994-06-06 2003-08-04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複合容器
KR100778920B1 (ko) * 2006-11-30 2007-11-28 박현 자동투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966B1 (ko) 2020-12-08 2021-10-13 한가은 낙하산이 마련된 볼의 발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250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1522B2 (en) Ball trainer with launcher function and dropper function and training box
KR102069055B1 (ko)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와 트레이닝 박스
US8633981B2 (en) Wireless controlled pet toy dispenser with camera
US20190000036A1 (en) Rotary apparatus for throwing feed
US20210213345A1 (en) Automatic ball launcher for pets
US20180343827A1 (en) Device for throwing fee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feed using the same
US10932443B2 (en) Treat dispensing pet toy
US7263986B2 (en) Automatic single stack trap machine
KR101915871B1 (ko) 개선된 서빙 헤드 이동을 갖는 탁구 로봇
US11219838B2 (en) User controllable marble run kit
KR102027342B1 (ko) 물체 토출 기능이 향상된 애완동물용 고정형 훈련 장치
US10112097B2 (en) Robotic batting tee system
GB2512674A (en) A pet interaction device
US20180343829A1 (en) Device for supplying pellet and apparatus for supplying feed using the same
KR20170107477A (ko) 반려동물용 공놀이 기구
JP2022043980A (ja) ロボットバッティングティーシステム
KR101879814B1 (ko) 오토 티업 장치
CN109122361B (zh) 一种家用宠物喂食器
US6487991B2 (en) Bird launcher with remote controlled system
WO2018092932A1 (ko) 발사 및 낙하 겸용 볼 트레이너
US9756417B1 (en) Game call speaker system
CN211020478U (zh) 一种远程共享动物喂食系统
KR20200101813A (ko) 애완동물 놀이기구
KR102375228B1 (ko) 사료 투척 장치
KR102354771B1 (ko) 반려동물용 공 자동 공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