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680B1 - 배드민턴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배드민턴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680B1
KR101109680B1 KR1020090076274A KR20090076274A KR101109680B1 KR 101109680 B1 KR101109680 B1 KR 101109680B1 KR 1020090076274 A KR1020090076274 A KR 1020090076274A KR 20090076274 A KR20090076274 A KR 20090076274A KR 101109680 B1 KR101109680 B1 KR 101109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cock
shuttle cock
air
badminton
d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8686A (ko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김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수 filed Critical 김경수
Priority to KR1020090076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680B1/ko
Priority to PCT/KR2010/004556 priority patent/WO2011021775A2/ko
Publication of KR20110018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9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pneumatic ball- or body-prope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수단이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셔틀콕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셔틀콕 공급부, 상기 셔틀콕 공급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공급되는 셔틀콕을 에어를 이용하여 드로잉하는 셔틀콕 드로잉부, 및 상기 셔틀콕 드로잉부로부터 드로잉되는 셔틀콕의 드로우 방향을 조절하는 셔틀콕 방향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셔틀콕 드로잉부는, 양쪽 끝단이 개방된 'U'자 형상의 원통형으로 일측이 셔틀콕 공급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셔틀콕 방향 조절부와 연결되고, 'U'자의 곡선 하단부에 에어 유입구가 돌출 형성된 셔틀콕 가이드부와, 상기 에어 유입구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셔틀콕 가이드부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셔틀콕을 에어 공급부로부터 분출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상하 좌우 방향으로 드로잉 날려 보내줌으로써, 배드민턴 연습자는 상하 좌우 방향으로 드로우되어 날아오는 셔틀콕을 이용하여 스텝, 클리어, 스매쉬, 푸쉬, 드롭, 헤어핀, 드라이브 등의 자세를 혼자서도 원활하게 연습을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배드민턴, 셔틀콕, 드로잉, 드로우, 에어, 방향, 가이드, 공급

Description

배드민턴 연습장치{Badminton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셔틀콕 드로잉부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셔틀콕을 에어 공급부로부터 분출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상하 좌우 방향으로 드로잉 날려 보내줌으로써, 배드민턴 연습자들은 상하 좌우 방향으로 드로우되어 날아오는 셔틀콕을 이용하여 자세, 스텝, 타점, 타이밍 등의 감각을 혼자서도 원활하게 연습할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턴은 실외 또는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도 라켓과 셔틀콕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서로 셔틀콕을 쳐서 주고 받으며, 셔틀콕이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손쉽게 즐길 수 있는 운동이다.
또한, 배드민턴 경기 방식은 테니스와 같이 코트 중앙에 설치된 네트를 사이에 두고, 라켓으로 셔틀콕을 쳐서 상대방의 코드 바닥에 셔틀콕이 떨어지도록 하여 득점을 얻는 것으로, 1대1로 행하는 남녀 단식과 2대2로 행하는 남녀 복식 및 혼합 복식이 있으며, 아마추어의 경우 나이와 실력에 따라 등급을 나눠서 경기를 진행하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운동 경기이다.
이와 같은, 배드민턴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의 경우에는, 별도의 코치나 교재를 통해 자세를 교정하면서 배드민턴의 각종 기술을 연습하게 되는데, 자신의 수준에 맞는 연습 상대가 없는 경우에는 혼자서 라켓을 들고 스윙, 스텝 등의 개인 연습만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배드민턴의 경우 초보자의 실력과 중급자 또는 상급자의 실력이 워낙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으로, 초보자의 경우에는 중급자 또는 상급자와 함께 게임에 참여할 수 있을 정도의 실력이 될 때까지 혼자서 연습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져야 하는데, 이러한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배드민턴에 대한 흥미가 떨어져 쉽게 포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중급자 또는 상급자들 역시 비슷한 실력의 상대방들과 계속해서 게임을 하는 경우 배드민턴 실력이 정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착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셔틀콕 공급부로부터 셔틀콕 드로잉부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셔틀콕을 에어 공급부에서 분출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드로잉함과 아울러, 셔틀콕의 드로우 방향을 셔틀콕 방향 조절부를 통해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배드민턴 연습자들은 상하 좌우 방향으로 드로우되어 날아오는 셔틀콕을 이용하여 타구, 스텝, 클리어, 스매쉬, 점프스매쉬, 푸쉬, 드롭, 헤어핀, 드라이브 등의 감각을 혼자서도 원활하게 익히거나 연습을 할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로잉되어 날아오르는 셔틀콕의 방향, 스피드, 간격 등을 리모컨 방식으로 조절하여 편리하게 연습을 즐길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슨 코치와 함께 연습을 하는 경우에도, 코치가 직접 옆에서 타구 자세, 타이밍, 타점, 스텝 등을 교정해 줄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이동수단이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셔틀콕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셔틀콕 공급부, 상기 셔틀콕 공급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공급되는 셔틀콕 을 에어를 이용하여 드로잉하는 셔틀콕 드로잉부, 및 상기 셔틀콕 드로잉부로부터 드로잉되는 셔틀콕의 드로우 방향을 조절하는 셔틀콕 방향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셔틀콕 드로잉부는, 양쪽 끝단이 개방된 'U'자 형상의 원통형으로 일측이 셔틀콕 공급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셔틀콕 방향 조절부와 연결되고, 'U'자의 곡선 하단부에 에어 유입구가 돌출 형성된 셔틀콕 가이드부와, 상기 에어 유입구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셔틀콕 방향 조절부는, 셔틀콕이 공중으로 드로우되도록 하는 드로우부와, 상기 드로우부의 일측과 상기 셔틀콕 가이드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내측과 상기 드로우부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로우부의 외측면을 감싸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에 장홀이 형성된 회전키, 상기 장홀에 삽입되는 돌출키가 상부에 형성되고, 양쪽 측면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이송체, 상기 이송체의 좌우 이송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바가 설치되며, 중앙에 설치된 가이드바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의 일측 끝단부에 베벨기어가 장착된 모터가 설치된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예를 들어 셔틀콕 공급부로부터 셔틀콕 드로잉부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셔틀콕을 에어 공급부에서 분출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드로잉함과 아울러, 셔틀콕의 드로우 방향을 셔틀콕 방향 조절부를 통해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배드민턴 연습자들은 상하 좌우 방향으로 드로우되어 날아오는 셔틀콕을 이용하여 타구, 스텝, 클리어, 스매쉬, 점프스매쉬, 푸쉬, 드롭, 헤어핀, 드라이브 등의 감각을 혼자서도 원활하게 익히거나 연 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날아오르는 셔틀콕의 방향, 스피드, 간격 등을 리모컨 방식으로 조절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배드민턴 연습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슨 코치와 연습을 하는 경우에도, 코치가 직접 옆에서 타구 자세, 타이밍, 타점, 스텝 등을 교정해 줄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설치한 장소에서는 레슨 코치가 다수의 연습자를 한꺼번에 코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몸체부가 분해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셔틀콕 방향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셔틀콕 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드로잉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와, 셔틀콕 공급부(120), 셔틀콕 공급제어부(130), 셔 틀콕 드로잉부(140), 에어 공급부(150), 셔틀콕 방향 조절부(160), 그리고 이송부재(170)를 포함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 다수개의 이동수단(102)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 셔틀콕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상기 셔틀콕 공급부(120)가 배치된다.
상기 셔틀콕 공급부(120)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셔틀콕 저장부(122)가 회전 몸체(121)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세워져서 설치되고, 상기 회전 몸체(121)의 중심부 하단에는 회전체(125)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체(125)의 일측면과 톱니 기어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125)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126)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셔틀콕 저장부(122)에는 셔틀콕이 예를 들어, 20개 정도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셔틀콕 저장부(122)의 길이를 조절하여 셔틀콕의 갯수를 늘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셔틀콕 공급부(120)에는, 상기 셔틀콕 저장부(122)로부터 공급되는 셔틀콕을 상기 셔틀콕 가이드부(142)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제1 개폐스위치(131), 상기 제1 개폐스위치(131)의 개방시 다음 셔틀콕이 하측 방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제2 개폐스위치(133), 상기 제1, 제2 개폐스위치(131, 133)를 예를 들어, 와이어 방식으로 개폐시키는 제1, 제2 구동모터(136, 138)가 설치된 모터 구동부(134)가 포함된다.
상기 몸체부(110)에는, 상기 셔틀콕 저장부(122)의 하단부와 맞닿는 위치에 고정판(111)이 설치되고, 상기 셔틀콕 저장부(122)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위치센서(114)가 상기 고정판(1111)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개폐스위치(133) 내에 셔틀콕의 유무를 감지하는 도시되지 않은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센서(114)와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회전모터(126)와 상기 모터 구동부(134)에 설치된 제1, 제2 구동모터(136, 138)를 제어하는 셔틀콕 공급제어부(130)가 상기 몸체부(11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셔틀콕 저장부(122)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 몸체(121)가 회전시 상기 고정판(111)에 설치된 돌출 브라켓(112)과 접촉되어 개방되는 차단판(124)이 설치되고, 상기 차단판(124)이 개방되므로 상기 셔틀콕 저장부(122)에 저장된 셔틀콕이 하측 방향의 낙하되어 순차적으로 상기 셔틀콕 가이드부(142)에 공급된다.
상기 셔틀콕 드로잉부(140)는, 상기 셔틀콕 공급부(120)의 하부에 배치되고, 공급되는 셔틀콕을 에어를 이용하여 드로잉하는 것으로, 양쪽 끝단이 개방된 'U'자 형상의 원통형으로 일측이 셔틀콕 공급부(120)와 연결되며, 타측이 셔틀콕 방향 조절부(160)와 연결되고, 'U'자의 곡선 하단부에 에어 유입구(143)가 돌출 형성된 셔틀콕 가이드부(142)와, 상기 에어 유입구(143)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150)를 포함 구성된다.
상기 에어 공급부(143)에는, 에어를 발생하는 송풍기(152)와, 상기 송풍기(152)로부터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에어 유입구(143)로 안내하여 분출하는 노즐이 끝단부에 형성된 송풍관(153), 상기 송풍기(152)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154)에 설치되며,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공기 개폐부(155)와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공기 유입량 조절부(156)를 포함 구성된다.
상기 셔틀콕 방향 조절부(160)는, 상기 셔틀콕 드로잉부(140)로부터 드로잉되는 셔틀콕의 드로우 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셔틀콕이 공중으로 드로우되도록 하는 드로우부(162)와, 상기 드로우부(162)의 일측과 상기 셔틀콕 가이드부(142)의 일측을 연결하는 결합부(163), 상기 결합부(163)의 내측과 상기 드로우부(162)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164), 상기 결합부(163)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로우부(142)의 외측면을 감싸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에 장홀(166)이 형성된 회전키(165)를 포함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드로우부(162)와 상기 가이드부(142)의 내경은 예를 들어, 65mm ~ 80mm 이고, 70mm 의 내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셔틀콕 방향 조절부(160)는, 상기 회전키(165)의 장홀(166)에 삽입되는 돌출키(172)가 상부에 형성되고, 양쪽 측면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관통공(174)이 형성되며,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74)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이송체(171), 상기 이송체(171)의 좌우 이송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바(175)가 설치되며, 중앙에 설치된 가이드바(175)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175)의 일측 끝단부에 베벨기어(176)가 장착된 모터(177)가 설치된 이송부재(170)를 포함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드민턴 연습장치(100)는 배드민턴 연습자 또는 코치들이 리모컨(180) 또는 도시되지 않은 키버튼 조작부를 조작하여 셔틀콕의 방향, 스피드, 간격 등을 설정하게 되면, 셔틀콕 공급부(120)로부터 셔틀콕 드로잉부(140)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셔틀콕을 에어 공급부(150)에서 분출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드로잉함과 아울러, 셔틀콕의 드로우 방향을 셔틀콕 방향 조절부(160)를 통해 조절함 으로써, 배드민턴 연습자들은 상하 좌우 방향으로 드로우되어 날아오는 셔틀콕을 이용하여 타구, 스텝, 클리어, 스매쉬, 점프스매쉬, 푸쉬, 드롭, 헤어핀, 드라이브 등의 감각을 혼자서도 원활하게 익히거나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드민턴 연습자 또는 코치가 배드민턴 연습장치(100)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켜 도시되지 않은 전원케이블을 연결하거나, 휴대 가능한 밧데리를 연결한 후, 상기 리모컨(180)의 전원스위치를 작동시켜 예를 들어 셔틀콕의 방향, 스피드, 간격 등을 설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셔틀콕 공급제어부(130)에서는, 상기 제2 개폐스위치(133) 내측에 설치된 셔틀콕의 유무를 감지하는 도시되지 않은 감지센서의 셔틀콕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회전모터(126)를 회전 구동시켜, 상기 회전 몸체(121)에 설치된 상기 셔틀콕 저장부(122)를 1 단계씩(예컨대, 총 10 단계) 회전시키고, 상기 고정판(111)에 설치된 위치센서(114)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셔틀콕 저장부(122)의 하단부와 상기 셔틀콕 가이부(142)의 일측 말단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 몸체(121)를 회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셔틀콕 저장부(122)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 몸체(121)가 회전시 상기 몸체부(110)에 설치된 돌출 브라켓(112)과 접촉되어 개방되는 차단판(124)이 돌출 설치되어, 상기 셔틀콕 저장부(122)에 저장된 셔틀콕이 하측 방향에 위치한 상기 셔틀콕 가이드부(142) 쪽으로 낙하되어 공급된다.
상기 셔틀콕 공급제어부(130)에서는, 상기 셔틀콕 저장부(122)로부터 저장된 셔틀콕이 상기 셔틀콕 가이드부(142)에 공급되면, 상기 제1, 제2 개폐스위치(131, 133)를 예를 들어, 와이어 방식으로 개폐시키는 제1, 제2 구동모터(136, 138)를 제어하여 상기 제1 개폐스위치(131)를 차단 또는 개폐 동작을 반복 수행하고, 상기 제1 개폐스위치(131)의 개방시 다음 셔틀콕이 하측 방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1 개폐스위치(131)와 반대로 상기 제2 개폐스위치(133)를 개폐 또는 차단하여 셔틀콕이 순차적으로 낙하되어 공급되도록 한다.
이후, 낙하된 셔틀콕은 상기 셔틀콕 가이드부(142)의 'U'자 곡선 하단부의 상기 에어 유입구(143)에 가이드되어 위치하고, 상기 에어 유입구(143)로 공급되는 일정량의 에어로 인해 드로잉되며, 상기 셔틀콕 방향 조절부(160)의 드로우부(162)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셔틀콕을 드로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 유입구(143)로 공급되는 일정량의 에어는 상기 에어 공급부(143)의 에어를 발생하는 송풍기(152)에 의해 공급되며, 예를 들어 드로잉되는 셔틀콕의 상하 방향과 비행거리 및 세기가 상기 송풍기(152)로부터 발생된 에어와 상기 에어 유입구(143)와 상기 에어 공급관(153)의 끝단부에 설치된 배출구 노즐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혼합되어 결정된다.
상기 송풍기(152)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154)에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공기 개폐부(155)와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공기 유입량 조절부(156) 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 유입구(143)와 상기 송풍관(153)의 배출구 노즐이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152)로부터 발생된 에어와 외부 공기가 혼합되어 셔틀콕의 원활한 비행거리가 확보될 수 있도록 드로잉 된다.
또한, 셔틀콕의 좌우 드로우 방향은, 상기 드로우부(162)를 회전시키는 회전키(165)를 좌우 이동시키는 이송체(171)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이송체(171)의 양쪽 측면으로 형성된 관통공(174)에 삽입되어 이송체(171)의 좌우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175)와 나사식 결합되는 상기 베벨기어(176)가 장착된 모터(177)를 선택적으로 회전 제어하여 리모컨(180)을 통해 설정된 셔틀콕의 좌우 드로우 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100)는 셔틀콕 공급부(120)로부터 셔틀콕 드로잉부(140)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셔틀콕을 에어 공급부(150)에서 분출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드로잉함과 아울러, 셔틀콕의 드로우 방향을 셔틀콕 방향 조절부(160)를 통해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드민턴 연습자 또는 코치들이 상기 셔틀콕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셔틀콕이 드로잉되어 드로우되는 셔틀콕의 방향, 스피드, 간격 등을 리모컨 또는 도시되지 않은 키버튼 조작부를 조작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드로우되는 셔틀콕을 이용해 자세, 스텝, 타점, 타이밍 등의 감각을 혼자서도 원활하게 연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 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몸체부가 분해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셔틀콕 방향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셔틀콕 공급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드로잉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드민턴 연습장치 110 : 몸체부
120 : 셔틀콕 공급부 130 : 셔틀콕 공급 제어부
*140 : 셔틀콕 드로잉부 150 : 에어 공급부
160 : 셔틀콕 방향 조절부 170 : 이송부재
180 : 리모컨

Claims (5)

  1.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있어서,
    이동수단이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셔틀콕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셔틀콕 공급부;
    상기 셔틀콕 공급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공급되는 셔틀콕을 에어를 이용하여 드로잉하는 셔틀콕 드로잉부; 및
    상기 셔틀콕 드로잉부로부터 드로잉되는 셔틀콕의 드로우 방향을 조절하는 셔틀콕 방향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셔틀콕 드로잉부는,
    양쪽 끝단이 개방된 'U'자 형상의 원통형으로 일측이 셔틀콕 공급부와 연결되며, 타측이 셔틀콕 방향 조절부와 연결되고, 'U'자의 곡선 하단부에 에어 유입구가 돌출 형성된 셔틀콕 가이드부와,
    상기 에어 유입구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셔틀콕 방향 조절부는,
    셔틀콕이 공중으로 드로우되도록 하는 드로우부와,
    상기 드로우부의 일측과 상기 셔틀콕 가이드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내측과 상기 드로우부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로우부의 외측면을 감싸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에 장홀이 형성된 회전키,
    상기 장홀에 삽입되는 돌출키가 상부에 형성되고, 양쪽 측면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이송체, 및
    상기 이송체의 좌우 이송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바가 설치되며, 중앙에 설치된 가이드바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의 일측 끝단부에 베벨기어가 장착된 모터가 설치된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5. 삭제
KR1020090076274A 2009-08-18 2009-08-18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109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274A KR101109680B1 (ko) 2009-08-18 2009-08-18 배드민턴 연습장치
PCT/KR2010/004556 WO2011021775A2 (ko) 2009-08-18 2010-07-13 배드민턴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274A KR101109680B1 (ko) 2009-08-18 2009-08-18 배드민턴 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686A KR20110018686A (ko) 2011-02-24
KR101109680B1 true KR101109680B1 (ko) 2012-01-31

Family

ID=4377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274A KR101109680B1 (ko) 2009-08-18 2009-08-18 배드민턴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251B1 (ko) 2014-05-27 2014-08-27 이상수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077B1 (ko) * 2012-12-17 2014-07-10 광주광역시 광산구 셔틀콕 발사장치
CN108686361B (zh) * 2018-08-23 2023-09-15 大连理工大学 一种新型羽毛球发球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406B1 (ko) * 2006-10-25 2007-04-18 유종 배드민턴 연습장치
JP2008212440A (ja) * 2007-03-06 2008-09-18 Masashi Urano シャトル発射装置
KR20090005205A (ko) * 2006-05-23 2009-01-12 도요타 지도샤(주)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09066444A (ja) 2008-12-26 2009-04-02 Kyowa Giken Kk ボール発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205A (ko) * 2006-05-23 2009-01-12 도요타 지도샤(주)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0708406B1 (ko) * 2006-10-25 2007-04-18 유종 배드민턴 연습장치
JP2008212440A (ja) * 2007-03-06 2008-09-18 Masashi Urano シャトル発射装置
JP2009066444A (ja) 2008-12-26 2009-04-02 Kyowa Giken Kk ボール発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251B1 (ko) 2014-05-27 2014-08-27 이상수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686A (ko)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618B1 (ko) 배드민턴 연습기
KR100915299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7670237B2 (en) Sports skills training apparatus
WO2011021775A2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0998736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992961B1 (ko) 자동 탁구 연습장치
US9039548B2 (en) Swing training device and system
KR101134187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564191B1 (ko) 탁구 연습 장치
US5957788A (en) Sports practice apparatus
KR101151005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109680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140083222A (ko) 배드민턴 자동연습장치
KR20100038860A (ko) 퍼팅 연습장치
KR100731907B1 (ko) 휴대용 골프클럽 임팩트 연습기
KR101901786B1 (ko) 정구공 발사장치
CN110730682B (zh) 用于排出和收集球的系统及相关操作方法
JP2008295911A (ja) ゴルフ練習器
KR200175819Y1 (ko)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
KR102384636B1 (ko)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
KR102489343B1 (ko) 셀프 골프 연습장치
KR200280507Y1 (ko) 간이 야구 타격 연습장치
KR200459136Y1 (ko) 타구능력향상운동기구
KR101882872B1 (ko) 실전 야구 게임 놀이기구
KR200217339Y1 (ko) 골프연습용 골프공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