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507Y1 - 간이 야구 타격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간이 야구 타격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507Y1
KR200280507Y1 KR2020020011672U KR20020011672U KR200280507Y1 KR 200280507 Y1 KR200280507 Y1 KR 200280507Y1 KR 2020020011672 U KR2020020011672 U KR 2020020011672U KR 20020011672 U KR20020011672 U KR 20020011672U KR 200280507 Y1 KR200280507 Y1 KR 200280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main body
batting
ang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철
석재봉
Original Assignee
황인철
석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철, 석재봉 filed Critical 황인철
Priority to KR2020020011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5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507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이 야구 타격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타격 연습장치는 볼 타격구(21)에 의해 타격되어 배출되는 볼(4)의 배출세기를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항상 일정한 속도와 높이로 튀어오르는 볼 만을 배팅연습하게 되므로 자칫 싫증을 느끼기가 쉬우며, 또한 볼의 배출각도 또한 수직방향으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단순한 배팅연습(앞쪽에서 날아오는 공을 배팅연습할 수 없음)만을 수행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의 하측에 본체를 일정각도 기울여서 볼의 배출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수단을 구성하고, 작동봉의 상승거리를 제한하는 세기조절수단을 형성하며, 별도의 발판스위치를 설치함에 따라 사용자가 발판스위치를 누를때마다 한번씩 배팅볼이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더욱 정교한 타격연습을 실시할 수 있고, 배팅볼의 배출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팅볼의 배출 세기 및 배출시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간이 야구 타격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이 야구 타격 연습장치{Training device for batting}
본 고안은 간이 야구 타격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팅볼의 배출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팅볼의 배출 세기 또한 조절할 수 있고, 별도의 발판스위치를 설치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배팅볼이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간이 야구 타격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 아이들이나 저학년 학생들의 경우 야구 타격 연습을 하기 위해서는 타자에게 공을 던져주는 사람이 필요하게 되고, 이렇게 타자에게 볼을 던져주게 되면 타자는 배트로서 던져지는 볼에 대해 타격을 가하여 목적한 타격 연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같이 타격 연습을 하기 위해서는 타격 연습자에게 볼을 던져주는 사람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하므로 아이 혼자서는 전혀 타격연습을 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상기와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도 1 내지 도 3 과같은 타격 연습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타격연습장치는 본체(1)의 일측에 작동봉(2)을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작동봉(2)을 하강시키기 위한 다수의 감속기어(12)를 구동모터(11)의 구동기어(11a)와 결합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일측의 감속기어(12)에는 작동기어(13)를 설치하여, 작동기어(13)가 회전하면서 그 외면에 설치된 걸리몽(13a)이 작동봉(2) 하단의 걸림구(21a)와 접촉되게 하여 강제로 일정부분 작동봉(2)을 하강시키게 하고, 이후 걸림봉(13a)이 걸림구(21a)로부터 벗어나게 되면서 작동봉(2)은 그 외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23)의 탄발력으로 급속하게 상승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의 상측에는 지지편(31)에 의해 볼 공급구(3)가 설치되어 작동봉(2)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볼이 하나씩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봉(2)은 그 상단에 볼 타격구(21)를 설치하고, 이 볼 타격구(21) 일측으로 볼 간격구(22)를 일정길이 연장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1) 일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외면에는 코일스프링(23)이 설치되어 작동기어(13)에 의해 하강된 상태에서 작동봉(2)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되게 되면, 작동봉(2)은
코일스프링(23)의 탄발력에 의해 급속하게 상승하면서 상단의 볼 타격구(21)로 하여금 볼 공급구(3)의 통공(32)상에 위치되는 볼(4)을 순간적으로 튀어 오르게 하여 타격 연습자가 튀어 오른 공을 타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볼 공급구(3)는 다수의 볼(4)이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지지편(31)에 의해 본체(1) 상에 일정거리를 두고 작동봉측으로 약간 하향 경사지게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설명과 같은 종래의 타격 연습장치는 볼 타격구(21)에 의해 타격되어 배출되는 볼(4)의 배출세기를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항상 일정한 속도와 높이로 튀어오르는 볼 만을 배팅연습하게 되므로 자칫 싫증을 느끼기가 쉬우며, 또한 볼의 배출각도 또한 수직방향으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단순한 배팅연습(앞쪽에서 날아오는 공을 배팅연습할 수 없음)만을 수행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의 하측에 본체를 일정각도 기울여서 볼의 배출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수단을 구성하고, 작동봉의 상승거리를 제한하는 세기조절수단을 형성하며, 별도의 발판스위치를 설치함에 따라 사용자가 발판스위치를 누를때마다 한번씩 배팅볼이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더욱 정교한 타격연습을 실시할 수 있고, 배팅볼의 배출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팅볼의 배출 세기 및 배출시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간이 야구 타격 연습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야구 타격 연습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 와 도 3 은 종래 야구 타격 연습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고안의 간이 야구 타격 연습장치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은 본 고안의 전체형상을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의해 타격 연습장치의 각도가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 은 본 고안에 적용된 세기조절홈을 보인 정면도.
도 9 는 본 고안에 적용된 제어블럭도.
도 10 은 본 고안에 적용된 볼 공급구를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1 은 본 고안에 적용된 스프링을 와이어로서 대체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작동봉,
3: 볼공급구, 4: 볼,
11: 구동모터, 41: 각도조절판,
42: 힌지, 43: 안내홀,
44: 각도조절볼트, 51: 세기조절홈,
52: 스프링, 53: 걸림쇠,
61: 발판스위치, 62: 홀센서,
63: 자성체, 64: 제어장치,
70: 볼공급구,
도 4 내지 도 11 은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간이 야구 타격 연습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처리하여 중복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구동모터(11)의 구동기어(11a)와 다수의 감속기어(12)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작동기어(13)의 일측에는 걸림봉(13a)을 설치하여 작동봉(2) 하단의 걸림구(21a)와 접촉되게 하되, 상기 작동봉(2)은 선단에 볼 타격구(21)와 함께 볼간겨구(22)를 연장 설치하고 외면에 코일스프링(23)을 설치한 상태로 본체(1) 일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본체(1)의 상측에는 지지편(31)에 의해 볼 공급구(3)를 설치하며, 이 볼 공급구(3)에는 상기 작동봉(2)의 볼 타격구(21)와 볼 간격구(22)가 각각 관통되어 위치되는 통공(32)과 볼 대기공(33)을 각각 관통형성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저면 양측에 각각 부채꼴 형상의 각도 조절판(41)을 힌지(42)결합하여 본체(1)가 힌지(42)를 축으로 일정각도 회전가능토록 하고, 각도 조절판(41)의 일측 끝단에 유선형으로 형성된 장방향의 안내홀(43)을 형성하면서 안내홀(43)을 통해 본체(1)에 삽입되어 본체(1)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볼트(44)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1)의 전면하단에 서로 높이가 다른 세기조절홈(51a∼51c)을 등간격으로 설치하되,
작동봉(2)의 상승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프링(52)을 작동봉(2)의 끝부분에 형성하고, 이 스프링(52)의 끝단에는 어느 하나의 세기조절홈(51a∼51c)에 삽입되어 스프링(52)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걸림쇠(53)를 형성하여 볼을 쳐올려주는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봉(13a)의 일측에 자성체(63)를 형성하고, 작동기어(13)의 외각에 자성체(63)를 통해 작동기어(13)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홀센서(62)를 설치하며, 사용자가 발로 밟음에 따라 온동작하는 발판 스위치(61)를 제어장치(64)에 연결하되, 상기 제어장치(64)는 발판스위치(61)의 온동작 후 홀센서(62)에 의해 자성체(63)가 감지될때 까지 구동모터(11)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 와 도 5 는 작동봉(2)의 상승높이를 제한하여 볼(4)이 튕겨져 나가는 속도와 높이를 제한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작동봉(2)의 상승높이를 제한하는 스프링(52)을 작동봉(2)의 하측 끝부분에 형성하고, 이 스프링(52)의 끝단에 걸림쇠(53)를 형성하며, 도 8 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의 전면 하단에 서로 높이가 다른 세기 조절홈(51a∼51c)을 등간격으로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쇠(53)를 어느 하나의 세기 조절홈(51a∼51c)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52)의 탄성력이 가변되므로서 작동봉(2)이 상승할때 그 상승력을 제한하는 탄성력이 가변되어 볼(4)이 튕겨져 나가는 힘이 조절되는 것이다.
예를들어, 걸림쇠(53)를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한 세기 조절홈(51a)에 끼워 고정시키면, 스프링(52)이 작동봉(2)을 잡아당기는 힘이 약해지므로 작동봉(2)은 이전과 같은 세기로 볼(4)을 쳐줄 수 있게되는 것이고, 걸림쇠(53)를 제인 낮은 곳에 위치한 세기조절홈(51c)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면, 그만큼 스프링(52)이 작동봉(2)을 잡아당기는 힘이 강해지므로 작동봉(2)의 상승속도와 높이를 제한하게되고, 이에의해 작동봉(2)이 볼(4)을 쳐주는 힘이 감소하게되므로서 볼(4)이 튕겨져 나가는 속도와 높이가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따라, 사용자는 상기 걸림쇠(53)는 여러 높이에 형성되어 있는 세기 조절홈(51a∼51c)에 꽂아가면서 서로 다른 세기와 높이로 배출되는 공(4)으로 타격연습할 수 있게된다.
도 11 에는 상기 스프링(52) 대신 일정길이의 와이어(54)를 사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와이어(54)를 사용하여도 스프링(52)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된다.
도 6 과 도 7 은 각도 조절수단을 본체(1)의 일측에 형성시킨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채꼴 모양의 각도 조절판(41)을 본체(1)의 저면 양측에 각각 힌지(42) 결합하고, 상기 각도 조절판(41)의 일측에 유선형의 안내홀(43)을 형성하며, 상기 안내홀(43)을 통해 본체(1)에 삽입되어 본체(1)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볼트(44)를 형성한 것이다.
타격 연습장치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먼저 안내홀(43)에 삽입되어 조여져 있는 볼트(44)를 풀고, 본체(1)를 힌지(42)를 축으로 하여 도 7 과 같이 일정각도 상승시킨 후 다시 볼트(44)를 조여서 본체(1)가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각도조절판(41)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같이 본체(1)의 설치각도를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셋팅하면, 볼 타격구(21)에 의해 배출되는 공이 수직방향이 아닌 일정 각도를 이루면서 앞쪽으로튕겨져 나가게 되므로 사용자는 마치 앞에서 사람이 토스해주는 볼을 타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된다.
이때에도 스프링(52)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배출되는 볼(4)의 세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타격연습을 꾀할 수 있다.
도 10 은 볼 공급구(70)를 본체(1)의 일측에 형성시킨 것인데, 이와같이 하면 본체(1)를 도 7 과같이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셋팅하더라도 볼 공급구(70)에 놓여있는 대기공(4) 들이 앞으로 쏟아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타격연습을 실시할 수 있게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같이 발판스위치(61), 자성체(63), 홀센서(62), 제어장치(64)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할때에만 볼(4)이 튕겨져 나오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걸림봉(13a)의 일측에 자성체(63)를 형성하고, 작동기어(13)의 외각에 자성체(63)를 통해 작동기어(13)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홀센서(62)를 설치하며, 사용자가 발로 밟음에 따라 온동작하는 발판 스위치(61)를 제어장치(64)에 연결하되, 상기 제어장치(64)는 발판스위치(61)의 온동작 후 홀센서(62)에 의해 자성체(63)가 감지될때 까지 구동모터(11)를 구동시키므로서 사용자가 발판스위치(61)를 한번 눌렀을 때에만 구동모터(11)의 구동에 의해 볼(4)이 튕겨져 나오므로서 사용자는 자신의 자세를 교정해가면서 정확한 배팅연습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본체의 하측에 본체를 일정각도 기울여서 볼의 배출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수단을 구성하고, 작동봉의 상승거리를 제한하는 세기조절수단을 형성하며, 별도의 발판스위치를 설치함에 따라 사용자가 발판스위치를 누를때마다 한번씩 배팅볼이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더욱 정교한 타격연습을 실시할 수 있고, 배팅볼의 배출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팅볼의 배출 세기 및 배출시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간이야구 타격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구동모터(11)의 구동기어(11a)와 다수의 감속기어(12)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작동기어(13)의 일측에는 걸림봉(13a)을 설치하여 작동봉(2) 하단의 걸림구(21a)와 접촉되게 하되, 상기 작동봉(2)은 선단에 볼 타격구(21)와 함께 볼간격구(22)를 연장 설치하고 외면에 코일스프링(23)을 설치한 상태로 본체(1) 일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본체(1)의 상측에는 지지편(31)에 의해 볼 공급구(3)를 설치하며, 이 볼 공급구(3)에는 상기 작동봉(2)의 볼 타격구(21)와 볼 간격구(22)가 각각 관통되어 위치되는 통공(32)과 볼 대기공(33)을 각각 관통형성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저면 양측에 각각 부채꼴 형상의 각도 조절판(41)을 힌지(42)결합하여 본체(1)가 힌지(42)를 축으로 일정각도 회전가능토록 하고, 각도 조절판(41)의 일측 끝단에 유선형으로 형성된 장방향의 안내홀(43)을 형성하면서 안내홀(43)을 통해 본체(1)에 삽입되어 본체(1)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볼트(44)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1)의 전면하단에 서로 높이가 다른 세기조절홈(51a∼51c)을 등간격으로 설치하되,
    작동봉(2)의 상승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프링(52)을 작동봉(2)의 끝부분에 형성하고, 이 스프링(52)의 끝단에는 어느 하나의 세기조절홈(51a∼51c)에 삽입되어 스프링(52)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걸림쇠(53)를 형성하여 볼을 쳐올려주는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야구 타격 연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봉(13a)의 일측에 자성체(63)를 형성하고, 작동기어(13)의 외각에 자성체(63)를 통해 작동기어(13)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홀센서(62)를 설치하며, 사용자가 발로 밟음에 따라 온동작하는 발판 스위치(61)를 제어장치(64)에 연결하되, 상기 제어장치(64)는 발판스위치(61)의 온동작 후 홀센서(62)에 의해 자성체(63)가 감지될때 까지 구동모터(11)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간이 야구 타격 연습장치.
KR2020020011672U 2002-04-17 2002-04-17 간이 야구 타격 연습장치 KR200280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672U KR200280507Y1 (ko) 2002-04-17 2002-04-17 간이 야구 타격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672U KR200280507Y1 (ko) 2002-04-17 2002-04-17 간이 야구 타격 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507Y1 true KR200280507Y1 (ko) 2002-07-02

Family

ID=7312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672U KR200280507Y1 (ko) 2002-04-17 2002-04-17 간이 야구 타격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5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707B1 (ko) * 2011-08-24 2013-03-11 최복균 야구 타격 연습기
KR101441353B1 (ko) * 2012-10-11 2014-09-22 홍종수 야구배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707B1 (ko) * 2011-08-24 2013-03-11 최복균 야구 타격 연습기
KR101441353B1 (ko) * 2012-10-11 2014-09-22 홍종수 야구배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0514B1 (en) Golf club head having internal impact assembly
KR100915299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0998736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20080096697A1 (en) Tennis serve ball machine cum training device
KR20110082267A (ko) 배드민턴 연습기
KR200280507Y1 (ko) 간이 야구 타격 연습장치
KR100623159B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WO2009084087A1 (ja) テニス練習機
JPH10155976A (ja) パチンコゲーム機
JPH1142334A (ja) 弾球遊技機
TWM586627U (zh) 可調整擊球重心之高爾夫球桿(2)
KR20110018686A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JP2008005924A (ja) テニス練習機
JP3146079U (ja) 打撃練習装置
JP4124357B2 (ja) パチンコ遊技機
KR20090012392U (ko) 배구공 투척장치
TWM587547U (zh) 可調整擊球重心之高爾夫球桿
KR102425012B1 (ko) 스쿼시 연습장치
KR200391326Y1 (ko) 퍼팅 연습기
KR102259068B1 (ko) 볼 토스용 머신
KR200450392Y1 (ko) 임팩트 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KR101258654B1 (ko) 셔틀콕 연습기
JP5740579B2 (ja) ゴルフ練習装置
KR200245774Y1 (ko) 간이 야구 타격 연습구
KR200259303Y1 (ko) 티 배팅용 볼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