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774Y1 - 간이 야구 타격 연습구 - Google Patents

간이 야구 타격 연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774Y1
KR200245774Y1 KR2020010015310U KR20010015310U KR200245774Y1 KR 200245774 Y1 KR200245774 Y1 KR 200245774Y1 KR 2020010015310 U KR2020010015310 U KR 2020010015310U KR 20010015310 U KR20010015310 U KR 20010015310U KR 200245774 Y1 KR200245774 Y1 KR 200245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hole
rod
gear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희
Original Assignee
김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희 filed Critical 김인희
Priority to KR2020010015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7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774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고안은 D.C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축의 구동기어와 다수의 작동기어가 결합되게 하여 최종 작동기어로 하여금 외면에 스프링이 설치된 작동봉을 강제로 걸어 하강시킨후 일정 위치에서 하강된 작동봉이 어느 시점에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급속히 상승하면서 볼 공급대상에 공급된 볼을 일정 높이 튀어 오르게 함으로써 아이들이나 학생들이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야구 타격 연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구동모터(11)의 구동기어(11a)와 다수의 감속기어(12)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작동기어(13)의 일측에는 걸림봉(13a)을 설치하여, 작동봉(2) 하단의 걸림구(21a)와 접촉되게 하되, 상기 작동봉(2)은 선단에 볼 타격구(21)와 함께 볼 간격구(22)를 연장 설치하고 외면에 코일스프링(23)을 설치한 상태로 본체(1) 일측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본체(1)의 상측에는 지지편(31)에 의해 볼 공급구(3)를 설치하며, 이 볼 공급구(3)에는 상기 작동봉(2)의 볼 타격구(21)와 볼 간격구(22)가 각각 관통되어 위치되는 통공(32)과 볼 대기공(33)을 각각 관통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야구 타격 연습구이다.

Description

간이 야구 타격 연습구{batting training device}
본고안은 간이 야구 타격 연습구에 관한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D.C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축의 구동기어와 다수의 작동기어가 결합되게 하여 최종 작동기어로 하여금 외면에 스프링이 설치된 작동봉을 강제로 걸어 하강시킨후 일정 위치에서 하강된 작동봉이 어느 시점에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급속히 상승하면서 볼 공급대상에 공급된 볼을 일정 높이 튀어 오르게 함으로써 아이들이나 학생들이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야구 타격 연습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스프링의 탄력을 높여 야구 선수들도 타격 연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 아이들이나 저학년 학생들의 경우 야구 타격 연습을 하기 위해서는, 타자에게 공을 던져주는 사람이 필요하게 되고 이렇게 타자에게 볼을 던져주게 되면 타자는 배트로서 던져지는 볼에 대해 타격을 가하여 목적한 타격 연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타격 연습을 하기 위해서는 타격 연습자에게 볼을 던져주는 사람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하므로 아이 혼자서는 전혀 타격 연습을 할 수 없게 되며, 또한 볼을 던져주기 위한 어느 정도의 공간도 요구되는 것이어서 가정등의 실내에서는 타격 연습을 엄두도 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한사람의 타격 연습을 위해서는 반드시 두사람이 필요하게 되어 아이가 하나인 가정에서 아이가 타격 연습을 하기 위해서는 아이의 어머니나 아버지 중 누군가가 아이에게 공을 던져주는 투수 역할을 해야만 하는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타격 연습자가 타격 연습을 위해서는 반드시 공을 던져주기 위한 별도의 투수가 필요하게 되어 아이들의 타격 연습에 타격 연습자 이외에 공을 던져주기 위한 또 다른 사람이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공을 던져주기 위한 공간 확보가 필요하게 되는 종래의 타격 연습 방법이 지닌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타격 연습자에게 볼을 던져주기 위한 투수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타격 연습자에게 공을 던지기 위한 공간이 불필요하도록, 타격 연습자일측에 설치되어 일정 주기로 볼이 하측에서 일정 높이만큼 튀어 오르도록 하는 것에 의해 타격 연습자가 튀어 오르는 볼에 대해 타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에서도 아이 혼자서 효율적으로 타격 연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간이 야구 타격 연습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연습구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에 의한 연습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연습구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작동봉 3 : 볼 공급구 4 : 볼
11 : 구동모터 11a : 구동기어 12 : 감속기어 13 : 작동기어
13a : 걸림봉 21 : 볼 타격구 21a : 걸림구 22 : 볼 간격구
23 : 코일스프링 31 : 지지편 32 : 통공 33 : 볼 대기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고안에 의한 간이 야구 타격 연습구는, 구동모터(11)의 구동기어(11a)와 다수의 감속기어(12)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작동기어(13)의 일측에는 걸림봉(13a)을 설치하여, 작동봉(2) 하단의 걸림구(21a)와 접촉되게 하되, 상기 작동봉(2)은 선단에 볼 타격구(21)와 함께 볼 간격구(22)를 연장 설치하고 외면에 코일스프링(23)을 설치한 상태로 본체(1) 일측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본체(1)의 상측에는 지지편(31)에 의해 볼 공급구(3)를 설치하며, 이 볼 공급구(3)에는 상기 작동봉(2)의 볼 타격구(21)와 볼 간격구(22)가 각각 관통되어 위치되는 통공(32)과 볼 대기공(33)을 각각 관통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간이 야구 타격 연습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에 의한 간이 야구 타격 연습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간이 야구 타격 연습구의 사용상태도로서, 그 구성은 본체(1)와 작동봉(2) 및 볼 공급구(3)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체(1)는 일측에 작동봉(2)을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작동봉(2)을 하강시키기 위한 다수의 감속기어(12)를 구동모터(11)의 구동기어(11a)와 결합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일측의 감속기어(12)에는 작동기어(13)를 설치하여, 작동기어(13)가 회전하면서 그 외면에 설치된 걸림봉(13a)이 작동봉(2) 하단의 걸림구(21a)와 접촉되게 하여 강제로 일정 부분 작동봉(2)을 하강시키게 하고, 이후 걸림봉(13a)이 걸림구(21a)로 부터 벗어나게 되면서 작동봉(2)은 그 외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23)의 탄발력으로 급속하게 상승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의 상측에는 지지편(31)에 의해 볼 공급구(3)가 설치되어 작동봉(2)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볼이 하나씩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작동봉(2)은 그 상단에 볼 타격구(21)를 설치하고, 이 볼 타격구(21) 일측으로 볼 간격구(22)를 일정 길이 연장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1) 일측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외면에는 코일스프링(23)이 설치되어 작동기어(13)에 의해 하강된 상태에서 작동봉(2)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되게 되면, 작동봉(2)은 코일스프링(23)의 탄발력에 의해 급속하게 상승하면서 상단의 볼 타격구(21)로 하여금 볼 공급구(3)의 통공(32)상에 위치되는 볼(4)을 순간적으로 튀어 오르게 하여 타격 연습자가 튀어 오른 공을 타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볼 공급구(3)는 다수의 볼(4)이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지지편(31)에 의해 본체(1)상에 일정 거리를 두고 작동봉측으로 약간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바닥면에는 공급되는 볼(4)의 하면이 일정 부분 얹혀져 걸리도록 하여 상기 볼 타격구(21)가 급속히 상승하면서 볼(4)을 가격해 튕겨 오르도록 하기 위한 통공(32)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통공(32)으로 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곳에는 공급되는 볼(4)들이 통공(32)측으로 순차적으로 하나씩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대기상태로 둠과 동시에 이 대기상태의 볼(4)을 통공(32)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볼 간격구(22)의 선단이 관통되는 볼 대기공(33)을 형성하여, 통공(32)에 그 하면 일부가 끼워진 상태로 튕겨져 오르기 위해 대기중인 볼(4)에 대해 또 다른 볼(4)이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대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고안에 의한 간이 야구 타격 연습구(A)의 실시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고안의 간이 야구 타격 연습구(A)를 이루는 볼 공급구(3)내에 다수의 볼(4)을 담아 설치한 상태에서 구동모터(11)에 대해 AC 또는 DC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모터(11)를 작동시키게 되면 구동모터(11)의 회전력은 다수의 감속기어(12)를 거쳐 작동기어(13)에 전달되게 되어 작동기어(13)가 회전하면서 그 일측의 걸림봉(13a)이 작동봉(2) 하단의 걸림구(21a)를 하강시키게 됨에 따라 작동봉(2)은 코일스프링(23)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코일스프링(23)을 압축하면서 그대로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하강되는 작동봉(2)은 그 하단의 걸림구(21a)에 걸려 회전 운동을 하는 작동기어(13)의 걸림봉(13a)이 걸림구(21a)로 부터 벗어나게 됨과 동시에 하강된 상태인 작동봉(2)은 코일스프링(23)의 탄발력으로 급속하게 상승하면서 그 상단의 볼 타격구(21)로 하여금 볼 공급구(3)의 통공(32)에 위치된 볼(4)을 가격하게 되므로 볼(4)은 일정 높이 튕겨져 오르게 되고, 이와 동시에 타격 연습자는 튀어 오르는 볼(4)을 타격하여 목적한 타격 연습이 이루어질수 있게 된다.
이때 볼 공급구(3)내에 위치된 다수의 볼(4) 중 볼 대기공(33)에 위치된 볼(4)은 작동봉(2) 선단의 볼 타격구(21)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볼 간격구(22)에 의해 볼 공급구(3)의 통공(32)측으로 밀려 이동하면서 다음 타격 연습용 볼로서 작동봉(2)의 볼 타격구(21)에 의한 타격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다음 볼(4)이 볼 공급구(3)의 통공(32)에 위치되는 동안에도 작동기어(13)은 계속 회전하여 다시 그 일단의 걸림봉(13a)이 작동봉(2) 하단의 걸림구(21a)를 어느 정도까지 걸고 하강한후 벗어나게 됨에 따라 앞서와 같이 작동봉(2)은 급속하게 상승하게 되어 통공(32)에 위치한 볼(4)을 쳐올리게 됨과 동시에 볼 간격구(22)에 의해 다음 볼(4)을 볼 공급구(3)의 통공(32)으로 보내 일정 주기 간격으로 볼(4)을 쳐올리도록 함으로써 일반인이나 또는 야구 선수들의 타격 연습자로 하여금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볼(4)에 대해 효율적으로 타격 연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동기어(13)의 크기 및 코일스프링(23)의 강도등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타격 연습자측으로 볼(4)을 쳐올리는 간격 주기 및 세기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타격 연습자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수있듯이 본고안의 간이 야구 타격 연습구에 의하면, 타격 연습자에게 공을 던져줄 필요없이 타격 연습자 일측에 간단이 설치되게 한 상태에서 DC나 AC전원을 공급되게 하여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작동기어가 회전되면서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발되는 작동봉을 강제로 하강시킨후 작동봉에 대한 외력이 제거되게 함에 따라 작동봉이 급속하게 상승하면서 볼 공급구에 위치된 볼을 일정 주기 간격으로 순간적으로 쳐올리게 하여 타격 연습자로 하여금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간편히 타격 연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이들이나 저학년 학생들이 좁은 공간에서 혼자서도 효율적으로 타격 연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가정에서도 효율적인 타격 연습이 이루어질수 있게 되는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구동모터(11)의 구동기어(11a)와 다수의 감속기어(12)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작동기어(13)의 일측에는 걸림봉(13a)을 설치하여, 작동봉(2) 하단의 걸림구(21a)와 접촉되게 하되, 상기 작동봉(2)은 선단에 볼 타격구(21)와 함께 볼 간격구(22)를 연장 설치하고 외면에 코일스프링(23)을 설치한 상태로 본체(1) 일측에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본체(1)의 상측에는 지지편(31)에 의해 볼 공급구(3)를 설치하며, 이 볼 공급구(3)에는 상기 작동봉(2)의 볼 타격구(21)와 볼 간격구(22)가 각각 관통되어 위치되는 통공(32)과 볼 대기공(33)을 각각 관통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야구 타격 연습구.
KR2020010015310U 2001-05-24 2001-05-24 간이 야구 타격 연습구 KR200245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310U KR200245774Y1 (ko) 2001-05-24 2001-05-24 간이 야구 타격 연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310U KR200245774Y1 (ko) 2001-05-24 2001-05-24 간이 야구 타격 연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774Y1 true KR200245774Y1 (ko) 2001-10-15

Family

ID=73102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310U KR200245774Y1 (ko) 2001-05-24 2001-05-24 간이 야구 타격 연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7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353B1 (ko) * 2012-10-11 2014-09-22 홍종수 야구배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353B1 (ko) * 2012-10-11 2014-09-22 홍종수 야구배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4109A (en) Ball tossing device for baseball batting practice
KR100915299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4296925A (en) Jump trainer
KR20090103126A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20070184921A1 (en) Self-contained cross-training aid for use by participants in baseball, softball, golf, and hockey
CN203750152U (zh) 用于网球发球动作练习的抛球装置
US3341202A (en) Golf club
US3540726A (en) Batting practice apparatus
KR200245774Y1 (ko) 간이 야구 타격 연습구
US3259387A (en) Simulated golf club ball projector
KR200306604Y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CN109847310B (zh) 一种羽毛球练习辅助装置
CN111957029A (zh) 一种可锻炼儿童反应能力的儿童塑料玩具
KR200383845Y1 (ko) 골프용 티
KR102564177B1 (ko) 지능형 골프 스윙 연습기
CN213789877U (zh) 一种乒乓球训练桌
CN108379805A (zh) 一种排球快速扣球训练装置
CN211798678U (zh) 一种球类挥拍手形训练装置
CN212016576U (zh) 一种手指弹球游戏装置
US20050130770A1 (en) Contact training device
US20200360784A1 (en) Slip it & rip it
KR200280507Y1 (ko) 간이 야구 타격 연습장치
KR200459136Y1 (ko) 타구능력향상운동기구
US3033566A (en) Ball game device
CN210933695U (zh) 健身打击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