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604Y1 - 배드민턴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배드민턴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604Y1
KR200306604Y1 KR20-2002-0037938U KR20020037938U KR200306604Y1 KR 200306604 Y1 KR200306604 Y1 KR 200306604Y1 KR 20020037938 U KR20020037938 U KR 20020037938U KR 200306604 Y1 KR200306604 Y1 KR 200306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et
shuttlecock
spring
trigg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근
Original Assignee
이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근 filed Critical 이영근
Priority to KR20-2002-0037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6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6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셔틀콕을 자동 연속적으로 쳐올려주도록 함으로써 실제 날아오르는 셔틀콕을 가지고 타구자세, 타구 타이밍, 타점, 스텝 등을 연습 교정할 수 있고, 혼자서도 배드민턴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셔틀콕(2)이 헤드(2a)가 하향된 상태로 다수 포개 저장되는 되는 셔틀콕 탑재대(10)와: 상기 셔틀콕 탑재대(10)의 하방에 구비되고 셔틀콕의 헤드(2a)를 잡아 당기기 위하여 편심 돌조(21a)(23a)가 형성되고 구동수단(40)에 의하여 회동되는 회동자(21)와 피동자(23)로 이루어지는 셔틀콕 인출수단(20)과; 상기 인출수단(20)의 하방에 구비되고 인출된 셔틀콕(2)을 거치하고 낙하시키기 위하여 고정대(31)와, 스프링(35)에 탄지되고 개폐 작동되는 가변대(33)로 이루어지는 셔틀콕 낙하부(30)와; 상기 인출수단(20) 및 크랭크암(60)을 작동시켜 주기 위하여 모터(41), 동력전달을 위한 스프로켓(43)과 체인(45), 모터에 연결되는 샤프트(47)를 포함하는 구동수단(40)과; 상기 모터(41)에 결합된 샤프트(47)에 권회되어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라켓(53)에 고정되는 라켓 스프링(51)과; 상기 라켓 스프링(51)에 고정되는 라켓(53)과; 상기 샤프트(47)에 일점이 고정되어 회전되고, 상기 셔틀콕 낙하부(30)의 가변대(33)를 개폐작동시키며, 라켓을 끌어당겨 격발하기 위한 격발부(70)가 구비된 크랭크암(60)과; 상기 라켓(53)의 스토퍼(55)와; 상기 구성요소들이 설치 고정되기위한 프레임(8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드민턴 연습장치{A BADMINTON TRAINING DEVICE}
본 고안은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셔틀콕을 자동 연속적으로 쳐올려주도록 함으로써 실제 날아오르는 셔틀콕을 가지고 타구자세, 타구 타이밍, 타점, 스텝 등을 연습 교정할 수 있고, 혼자서도 배드민턴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드민턴 운동은 실내외의 좁은 공간에서도 간단히 즐길 수 있는 운동으로서 여유시간을 내기 어려운 현대인들이 여가 선용 및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으로 남녀노소 즐겨하는 운동이다.
이러한 배드민턴은 적어도 두 명 이상이 고무재 등으로 이루어진 헤드에 날개가 구비된 셔틀콕을 라켓으로 타격, 날려올려 상대측으로 보내는 운동이다.
이와 같은 배드민턴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는 렛슨코치에 의하여 자세를 교정받거나 기타의 교재(렛슨 비디오, 인터넷 강습)로 배우더라도 반복된 타구연습을 해야 되는데 기존에는 셔틀콕없이 허공이나 거울을 보고 스윙연습을 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실제의 셔틀콕을 치지 않고 하는 연습은 효과가 적을 수 밖에 없고, 쉽게 싫증나서 도중에 그만두게 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공을 이용하는 테니스, 야구, 골프 등은 공을 연속 반복적으로 자동 공급해주어 혼자서도 스매싱, 타격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연습장치가 사용되고 있어 초보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다.
그러나 배드민턴은 셔틀콕을 자동공급해주는 연습장치가 없는 실정이어서 초보자들의 배드민턴 연습, 또는 혼자서는 배드민턴 운동을 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드민턴의 셔틀콕을 기계적 장치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쳐올려주도록 함으로써 실제 날아오르는 셔틀콕을 가지고 타구자세, 타구 타이밍, 타점, 스텝 등을 연습 교정할 수 있고, 혼자서도 배드민턴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초보자들로 하여금 레슨코치 없이 실제로 날아오는 셔틀콕을 연속적으로 치면서 타구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하여 자신감을 가지고 배드민턴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상세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은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작동상태도
도 7는 도 6의 좌측면도
도 8은 도 5의 C-C선 단면 상세도
도 9는 도 6의 측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배드민턴 연습장치 2: 셔틀콕
10: 탑재대 20: 인출수단
21: 회동자 23: 피동자
21a,23a: 편심돌조 30: 셔틀콕 낙하부
31: 고정대 33: 가변대
35: 스프링 40: 구동수단
41: 모터 47: 샤프트
51: 라켓 스프링 53: 라켓
55: 스토퍼 60: 크랭크암
70: 격발부 71: 격발부 고정자
73: 걸림자 75: 방아쇠
77: 방아쇠 스토퍼 78. 79: 롤러
80: 프레임 83: 격발 프레임
85: 베어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셔틀콕이 헤드가 하향된 상태로 다수 포개 저장되는 되는 셔틀콕 탑재대와:
상기 셔틀콕 탑재대의 하방에 구비되고 셔틀콕의 헤드를 잡아 당기기 위하여 편심 돌조가 형성되고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동되는 회동자와 피동자로 이루어지는 셔틀콕 인출수단과;
상기 인출수단의 하방에 구비되고 인출된 셔틀콕을 거치하고 낙하시키기 위하여 고정대와, 스프링에 탄지되고 개폐 작동되는 가변대로 이루어지는 셔틀콕 낙하부와;
상기 인출수단 및 크랭크암을 작동시켜 주기 위하여 모터, 동력전달을 위한 스프로켓과 체인, 모터에 연결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모터에 결합된 샤프트에 권회되어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라켓에고정되는 라켓 스프링과;
상기 라켓 스프링에 고정되는 라켓과;
상기 샤프트에 일점이 고정되어 회전되고, 상기 셔틀콕 낙하부의 가변대를 개폐작동시키며, 라켓을 끌어당겨 격발하기 위한 격발부가 구비된 크랭크암과;
상기 라켓의 스토퍼와;
상기 구성요소들이 설치 고정되기 위한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격발부는 크랭크암의 일측에 구비되는 격발부 고정자에 스프링 탄지되고 라켓을 잡아당기기 위하여 돌출되는 걸림자와, 상기 격발부 고정자 외측으로 돌출되게 스프링 탄지되며 회동중 격발프레임에 눌려짐으로 상기 걸림자가 라켓을 놓치게 하기 위한 방아쇠와, 상기 방아쇠의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콕 탑재대(10), 셔틀콕 인출수단(20), 셔틀콕 낙하부(30), 구동수단(40), 라켓 스프링(51), 라켓(53), 라켓 스토퍼(55), 격발부(70)가 구비된 크랭크암(60), 프레임(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도 2의 A부 상세도이며 도 4는 도 3의 측면도로서, 상기 탑재대(10), 인출수단(20), 셔틀콕 낙하부(30)의 구성을 보여준다..
상기 셔틀콕 탑재대는 셔틀콕(2)이 헤드(2a)가 하향된 상태로 다수 포개져 저장되기 위한 원통형상으로 되고 하부의 출구(11)는 셔틀콕의 헤드(2a)부를 포함하는 일부만 노출되고 날개 상부는 걸쳐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셔틀콕 인출수단(20)은 상기 셔틀콕 탑재대(10)의 하방에 구비되고 셔틀콕의 헤드(2a)를 잡아 당기기 위하여 편심 돌조(21a)(23a)가 형성되고 구동수단(40)에 의하여 회동되는 회동자(21)와 피동자(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출수단의 회동자(21) 및 피동자(23)는 스퍼기어로 되고 상기 편심돌조(21a)(23a)는 봉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로서 상기 셔틀콕 낙하부(30)의 평면 구성을 보인다. 상기 셔틀콕 낙하부(30)는 상기 인출수단(20)의 하방에 구비되고 인출된 셔틀콕(2)이 걸려 거치되며 낙하시키기 위하여 고정대(31)와, 스프링(35)에 탄지되고 개폐 작동되는 가변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변대(33)는 상기 고정대(31)와 더불어 상기 셔틀콕 탑재대(10)로부터 낙하된 셔틀콕(2)을 걸쳐 지지하고 있다가 뒤로 물러나면서 하방으로 떨어뜨리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인출수단(20) 및 크랭크암(60)을 작동시켜 주기 위하여 전동모터(41), 모터의 동력전달을 위한 스프로켓(43)과 체인(45) 및 모터(41)에 연결되는 샤프트(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라켓 스프링(51)은 상기 모터(41)에 결합된 샤프트(47)에 권회되어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일단에는 라켓(53)에 고정되며 탄성이 강한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크랭크암(60)은 상기 샤프트(47)에 일점이 고정되어 회전되고, 상기 셔틀콕 낙하부(30)의 가변대(33)를 개폐작동시키며, 일측에는 라켓을 끌어당겨 격발하기 위한 격발부(70)가 구비된다.
상기 구성요소들이 설치 고정되기 위한 프레임(80)은 상기 격발부(70)를 작동시키기 위한 격발프레임(83)이 설치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상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격발부(70)의 구성을 보이는 도 6의 C-C선 단면 상세도이며,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상기 격발부(7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암(6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격발부 고정자(71)에 스프링(73a) 탄지되고 라켓을 잡아당기기 위하여 돌출되는 걸림자(73)와, 상기 격발부 고정자(71) 외측으로 돌출되게 스프링(75a) 탄지되며 회동중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격발프레임(83)에 눌려짐으로 상기 걸림자(73)가 라켓을 놓치게 하기 위한 방아쇠(75)와, 상기 방아쇠의 스토퍼(7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라켓 스프링(51)은 상기 걸림자의 스프링(73a)에 비하여 스프링 상수가 현저히 크게 형성된다. 상기 격발부의 방아쇠(75)는 격발프레임(83)과의 마찰부와 상기 걸림자(73)와의 마찰부에 각각 롤러(78)(79)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55)는 라켓의 복귀회동을 멈추게 하는 것으로서 라켓의 반동이 허용되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라켓(53)이 셔틀콕의 헤드(2a)를 쳐올리는 각도는 45도 전후가 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42)는 감속기, (85)는 베어링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기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살펴 본다.
우선 셔틀콕(2)을 탑재대에 적재하여 최하부에 위치된 셔틀콕의 헤드(2a)가 노출된 상태에서 전동모터(41)이 가동되면 상기 샤프트(47) 및 스프로켓(43) 및 체인(45)에 의하여 인출수단(20)이 구동되고 회동자(21)와 피동자(23)에 구비된 각각의 편심돌조(21a)(23a)가 최단거리 상태로 될 때 셔틀콕의 헤드(2a)와 날개 사이의 턱을 양쪽에서 잡게 되며 회전이 계속됨에 따라 셔틀콕(2)을 탑재대(10)에서 당겨 하방으로 떨어뜨리게 되고 셔틀콕(2)은 상기 셔틀콕 낙하부(30)에 걸쳐져 낙하준비가 된다(도 1 내지 도 5 참조).
상기 낙하준비가 이루어지는 것과 소정 시차를 두고 상기 샤프트(47)와 일체로 회전되고 있는 크랭크암(60)의 일측이 상기 셔틀콕 낙하부(30)의 가변대(33)의 일측을 쳐줌으로 가변대(33)가 뒤로 물러나게 되고 이에 따라 셔틀콕(2)이 낙하되게 된다(도 6, 도 7 참조).
한편, 상기 크랭크암(5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된 격발부(70)는 상기 걸림자(73)가 라켓(53)의 일측에 걸려 라켓을 잡은 상태로 당기면서 회전된다.
상기 셔틀콕 낙하부(30)로부터 셔틀콕이 30 ㎝ 정도 자유낙하되는 시차를 두고 상기 크랭크암(60)에 구비된 격발부(70)의 방아쇠(75)가 걸림자(73)를 해제시키면, 라켓 스프링(51)의 복귀탄력에 의하여 라켓(53)이 걸림자(73)를 밀쳐내면서 떨어지고 있는 셔틀콕(2)을 타격, 날려올리며 상기 스토퍼(55)에 의하여 정지된다.
그러면 여기에서 상기 격발부(70)의 작동을 도 8 및 도 9, 도 8의 변환상태를 보이는 도 10을 참고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격발부(70)의 걸림자(73)가 라켓채(53)를 잡은 상태로 회전되어 본체에 형성된 상기 격발프레임(83)에 닿게 되면 상기 방아쇠(75)가 격발프레임에 눌려져 기울어지고, 방아쇠(75)와 일체로 된 롤러(79)가 걸림자(73)로부터 물러나면 상기 라켓에 결합된 라켓스프링(51)의 강한 탄력이 상기 걸림자(73)를 제치고 복귀되면서 격발이 이루어져 낙하하고 있던 셔틀콕(2)을 쳐올리게 되는 것이다.
라켓이 빠져 나가면 상기 걸림자(73)는 걸림자 스프링(73a)의 탄력에 의하여 복귀되고 상기 크랭크암(60)이 계속적으로 동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방아쇠(75)도 격발프레임(83)으로부터 벗어나 복귀되며, 상기 걸림자(73)는 다시 라켓채를 잡아 당겨 연속적인 격발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방아쇠의 롤러(78)(79)는 상기 격발프레임983) 및 걸림자(73)와의 마찰 및 이동을 부드럽게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배드민턴 셔틀콕을 자동 연속적으로 쳐올려주도록 함으로써 타구자세, 타구 타이밍, 타점, 스텝 등을 연습 교정할 수 있고, 혼자서도 배드민턴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즉, 실제 날아오는 셔틀콕을 대상으로 연습이 이루어짐으로 실전 감각을 익히고 흥미감을 가지고 지속적인 훈련 및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배드민턴의 셔틀콕을 기계적 장치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쳐올려주도록 함으로써 실제 날아오르는 셔틀콕을 가지고 타구자세, 타구 타이밍, 타점, 스텝 등을 연습 교정할 수 있고 혼자서도 배드민턴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초보자들로 하여금 레슨코치 없이 실제로 날아오는 셔틀콕을 대상으로 타구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하여 자신감을 가지고 배드민턴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매우 획기적인 기술이다.

Claims (3)

  1. 셔틀콕(2)이 헤드(2a)가 하향된 상태로 다수 포개 저장되는 되는 셔틀콕 탑재대(10)와:
    상기 셔틀콕 탑재대(10)의 하방에 구비되고 셔틀콕의 헤드(2a)를 잡아 당기기 위하여 편심 돌조(21a)(23a)가 형성되고 구동수단(40)에 의하여 회동되는 회동자(21)와 피동자(23)로 이루어지는 셔틀콕 인출수단(20)과;
    상기 인출수단(20)의 하방에 구비되고 인출된 셔틀콕(2)을 거치하고 낙하시키기 위하여 고정대(31)와, 스프링(35)에 탄지되고 개폐 작동되는 가변대(33)로 이루어지는 셔틀콕 낙하부(30)와;
    상기 인출수단(20) 및 크랭크암(60)을 작동시켜 주기 위하여 모터(41), 동력전달을 위한 스프로켓(43)과 체인(45), 모터에 연결되는 샤프트(47)를 포함하는 구동수단(40)과;
    상기 모터(41)에 결합된 샤프트(47)에 권회되어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라켓(53)에 고정되는 라켓 스프링(51)과;
    상기 라켓 스프링(51)에 고정되는 라켓(53)과;
    상기 샤프트(47)에 일점이 고정되어 회전되고, 상기 셔틀콕 낙하부(30)의 가변대(33)를 개폐작동시키며, 라켓을 끌어당겨 격발하기 위한 격발부(70)가 구비된 크랭크암(60)과;
    상기 라켓(53)의 스토퍼(55)와;
    상기 구성요소들이 설치 고정되기 위한 프레임(8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부(70)는 크랭크암(6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격발부 고정자(71)에 스프링(73a) 탄지되고 라켓을 잡아당기기 위하여 돌출되는 걸림자(73)와, 상기 격발부 고정자(71) 외측으로 돌출되게 스프링(75a) 탄지되며 회동중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격발프레임(83)에 눌려짐으로 상기 걸림자(73)가 라켓을 놓치게 하기 위한 방아쇠(75)와, 상기 방아쇠의 스토퍼(77)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부의 방아쇠(75)는 격발프레임(83)과의 마찰부와 상기 걸림자(73)와의 마찰부에 각각 롤러(78)(79)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2002-0037938U 2002-12-20 2002-12-20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03066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938U KR200306604Y1 (ko) 2002-12-20 2002-12-20 배드민턴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938U KR200306604Y1 (ko) 2002-12-20 2002-12-20 배드민턴 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604Y1 true KR200306604Y1 (ko) 2003-03-12

Family

ID=49402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938U KR200306604Y1 (ko) 2002-12-20 2002-12-20 배드민턴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604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078B1 (ko) 2007-03-14 2008-01-28 유통녕 배드민턴 훈련용 셔틀콕 반사장치
KR100991950B1 (ko) 2008-05-21 2010-11-04 김진영 배드민턴 연습기
KR100998736B1 (ko) * 2008-03-27 2010-12-07 이상석 배드민턴 연습장치
WO2011021775A2 (ko) * 2009-08-18 2011-02-24 Kim Gyung So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151005B1 (ko) 2010-06-24 2012-06-14 김경수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258679B1 (ko) 2011-05-12 2013-04-26 임화용 셔틀콕 연습기의 타격장치
KR101258654B1 (ko) 2011-05-12 2013-04-26 임화용 셔틀콕 연습기
KR20180075271A (ko) 2016-12-26 2018-07-04 김창식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제어방법
KR102095682B1 (ko) * 2018-10-26 2020-05-27 하창민 배드민턴 셔틀콕 슈팅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078B1 (ko) 2007-03-14 2008-01-28 유통녕 배드민턴 훈련용 셔틀콕 반사장치
KR100998736B1 (ko) * 2008-03-27 2010-12-07 이상석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0991950B1 (ko) 2008-05-21 2010-11-04 김진영 배드민턴 연습기
WO2011021775A2 (ko) * 2009-08-18 2011-02-24 Kim Gyung Soo 배드민턴 연습장치
WO2011021775A3 (ko) * 2009-08-18 2011-06-03 Kim Gyung So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151005B1 (ko) 2010-06-24 2012-06-14 김경수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258679B1 (ko) 2011-05-12 2013-04-26 임화용 셔틀콕 연습기의 타격장치
KR101258654B1 (ko) 2011-05-12 2013-04-26 임화용 셔틀콕 연습기
KR20180075271A (ko) 2016-12-26 2018-07-04 김창식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제어방법
KR102095682B1 (ko) * 2018-10-26 2020-05-27 하창민 배드민턴 셔틀콕 슈팅장치
WO2021049705A1 (ko) * 2018-10-26 2021-03-18 하창민 배드민턴 셔틀콕 슈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299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7708658B2 (en) Rotational and retractable golf putting device
US4881742A (en) Volleyball technique trainer
US5531438A (en) Batting practice device
KR100708406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0998736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0306604Y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5957788A (en) Sports practice apparatus
US6033323A (en) Batting training device
US5069460A (en) Pocket sized mechanical game
US20070184921A1 (en) Self-contained cross-training aid for use by participants in baseball, softball, golf, and hockey
US6435989B1 (en) Batting training device
US5184816A (en) Hitting practice device
US3333847A (en) Batting practice device with foot responsive clutch drive
KR101151005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3540726A (en) Batting practice apparatus
US6505617B1 (en) Windmill pitching machine
KR100996303B1 (ko) 골프 연습장치
CN108379805B (zh) 一种排球快速扣球训练装置
CN216169799U (zh) 一种体育排球教学用扣球辅助设备
KR20100040227A (ko) 배드민턴 연습기
CN201399216Y (zh) 棒球垒球训练器
GB2518362A (en) New UK Patent Application in the name of Paul J Gainford "Ball Curler"
CN110280001B (zh) 一种可调羽毛球落向的教学装置
CN218890133U (zh) 一种点杀力量的训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