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303B1 - 골프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303B1
KR100996303B1 KR1020100079170A KR20100079170A KR100996303B1 KR 100996303 B1 KR100996303 B1 KR 100996303B1 KR 1020100079170 A KR1020100079170 A KR 1020100079170A KR 20100079170 A KR20100079170 A KR 20100079170A KR 100996303 B1 KR100996303 B1 KR 100996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reel
fixing bracket
guide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섭
Original Assignee
김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섭 filed Critical 김한섭
Priority to KR1020100079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9Balls tethered to a line or cor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가 빈 상자형으로 상면 길이방향에 장공(12)이 형성된 함체(10)와; 상기 함체(10) 내부 바닥면에 제1고정브라켓(21)이 대응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21)상에 회전가능한 회전축(22)이 구비되고, 회전축(22)상에 제1가이드릴(23), 제1감속릴(2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1감속릴(24)은 회전축(22)상에 일방향 회전만 허용하는 클러치 베어링(25)의 외경에 설치된 제1가이드부재(20)와; 상기 제1고정브라켓(21)으로부터 제2고정브라켓(31)이 이격 설치되고, 상기 제2고정브라켓(31)상에 회전가능한 회전축(32)이 구비되며, 회전축(32)상에는 상기 제1가이드릴(23)과 대응되어 가이드 와이어(W)로서 상호 회전가능하게 제2가이드릴(33)이 설치된 제2가이드부재(30)와; 상기 가이드 와이어(W) 상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고, 타단에는 골프공(B)이 연결 설치되어 함체(10)측 장공(12)을 통해 골프공(B)을 지지하는 제1연결끈(40)과; 상기 가이드 와이어(W) 상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는 제2연결끈(50)과; 상기 제2연결끈(50)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함체(10)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3고정브라켓(61)상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와이어(W)에 탄성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60)과; 상기 제1가이드부재(20)의 제1감속릴(24)로부터 연결 설치되어 가이드 와이어(W)의 이동속도를 감속하는 감속부재(70)(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드라이브나 아연 글럽을 이용하여 스윙 및 타격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골프공의 타격 후 골프공에 받는 힘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골프공을 타격위치에 근접한 위치로 복귀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하게 골프공을 회수하여 재차 반복적인 연습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글럽을 쥐고 스윙할 수 있는 모든 공간에서 효과적이면서 편의가 제공되는 연습장치를 통해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프 연습장치{Golf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골프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골프에 있어, 아연 글럽을 이용한 티샷 중심의 연습장치를 제공하여 스윙연습과 함께 골프공의 타격감각을 익힘과 동시에, 골프공의 타격 후 골프공을 최대한 타격위치에 가깝게 유도하여 타격 후 공을 수거하는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골프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화되어 있는 골프 운동 및 경기는 초보자부터 중급자, 아마츄어, 프로골퍼와 같이 많은 연습을 통해 골프의 성취도를 얻고 있다.
현재에는 골프연습을 위해 노지연습장 외에도 실내에서 골프를 즐길 수 있는 스크린 골프연습장 등을 대다수 이용하고 있으며, 가정이나 주어진 실내공간, 인도어를 통해 틈틈이 스윙, 퍼팅 연습 등과 같이 실제 운동에서 행해지는 자세, 스윙감각을 익혀 실력을 높이기 위해 실제 상황에서 자신이 부족한 부분을 여유있는 연습으로 채우고 있다.
통상적으로 실내공간 및 주어진 공간에서 흔히 골프연습을 하기 위해 개발된 제품으로는 휴대 및 보관이 비교적 간편하고 간단히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인조잔디형상의 매트에서 골프공을 주로 퍼팅하는 연습용 매트이거나, 그물망으로 제조된 인도어(골프용 부스)를 통해 타격연습을 하는 예가 대부분이다.
실질적으로 골프 글럽 중 드라이브나, 아연 글럽을 이용한 티샷연습은 많은 골프공을 낱개씩 제공하는 골프공 공급기가 별도로 필요하고, 향후 연습 후에는 골프공을 한곳에 수거하여 담는 수고가 따르는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실제 타격이 가능하도록 한 연습장치는 골프공이 타격위치에서 순간 빠른 속도로 벗어나기 때문에 주변 기물을 파손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고, 연습장치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장소에 한하여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골프에 있어, 아연 글럽을 이용한 티샷 중심의 연습장치를 제공하여 스윙연습과 함께 골프공의 타격감각을 익힘과 동시에, 골프공의 타격 후 골프공을 최대한 타격위치에 가깝게 유도하여 타격후 공을 수거하는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가 빈 상자형으로 상면 길이방향에 장공이 형성된 함체와; 상기 함체 내부 바닥면에 제1고정브라켓이 대응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상에 회전가능한 회전축이 구비되고, 회전축상에 제1가이드릴, 제1감속릴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1감속릴은 회전축상에 일방향 회전만 허용하는 클러치 베어링의 외경에 설치된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고정브라켓으로부터 제2고정브라켓이 이격 설치되고, 상기 제2고정브라켓상에 회전가능한 회전축이 구비되며, 회전축상에는 상기 제1가이드릴과 대응되어 가이드 와이어로서 상호 회전가능하게 제2가이드릴이 설치된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 와이어 상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고, 타단에는 골프공이 연결 설치되어 함체측 장공을 통해 골프공을 지지하는 제1연결끈과; 상기 가이드 와이어 상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는 제2연결끈과; 상기 제2연결끈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함체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3고정브라켓상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탄성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과;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제1감속릴로부터 연결 설치되어 가이드 와이어의 이동속도를 감속하는 감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속부재는, 함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제4고정브라켓, 제5고정브라켓이 대응되면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제4고정브라켓에 마련되는 회전축상에 직경비율이 다른 제2감속릴, 제3감속릴이 설치되며, 상기 제5고정브라켓에 마련되는 회전축상에 직경비율이 다른 제4감속릴, 제5감속릴이 각각 설치되며, 제1감속릴로부터 제2감속릴, 제3감속릴로부터 제4감속릴에 줄로 연결 설치되어 가이드 와이어의 이송속도를 감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함체 내에 설치되어 골프공 타격 이후의 제1연결끈을 포함하는 골프공을 장공으로 유도하여 타격위치에 가깝게 수거하는 골프공 회수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골프공 회수부재는 함체의 바닥면으로부터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제1이중풀리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고정브라켓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이중풀리로부터 이중와이어로 연결 설치되는 제2이중풀리와, 상기 이중와이어상에 고정 설치되어 제1연결끈을 포함한 골프공을 함체 상의 장공으로 위치시키는 안내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는, 드라이브나 아연 글럽을 이용하여 스윙 및 타격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골프공의 타격 후 골프공에 받는 힘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골프공을 타격위치에 근접한 위치로 복귀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하게 골프공을 회수하여 재차 반복적인 연습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글럽을 쥐고 스윙할 수 있는 모든 공간에서 효과적이면서 편의가 제공되는 연습장치를 통해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골프 연습장치를 사용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의 내부 주요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를 통해 골프공이 타격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감속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장치에 골프공 회수부재가 더 적용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골프공 회수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도 8에서 골프 연습장치를 통해 골프공이 타격과 함께 골프공이 회수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연습장치는, 내부가 빈 상자형으로 상면 길이방향에 장공(12)이 형성된 함체(10)가 구비된다.
상기 함체 내부에는 제1가이드부재(20)가 설치되며, 제1가이드부재(20)는 상기 함체(10) 내부 바닥면에 제1고정브라켓(21)이 대응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21)상에 회전가능한 회전축(22)이 구비되고, 회전축(22)상에 제1가이드릴(23), 제1감속릴(2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감속릴(24)은 회전축(22)상에 설치되어 일방향 회전만 허용하는 클러치 베어링(25)의 외경에 설치된다.
상기 제1감속릴(24)은 회전축(22)에 대해 클러치 베어링(25)과 함께 회전하고, 역회전시에는 정지됨과 동시에 회전축(22)과 함께 가이드 와이어(W)의 역이동에 따라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 클러치 베어링은 통상적인 자전거 뒷바퀴의 허브측에 설치되는 일방향 베어링으로서 그 외경에 스프라켓휠이 설치되어 체인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와이어를 안내할 수 있는 제1가이드릴이 외경에 설치되어 일방향 회전만 허용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클러치 베어링은 내륜에 대해 외륜이 일방향 제어되도록 한 구조로로서 자세한 내부 구조는 일반적이라 할 수 있어 본 발명에서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가이드부재(30)는, 제2고정브라켓(31)상에 회전가능한 회전축(32)이 구비되며, 회전축(32)상에는 상기 제1가이드릴(23)과 대응되어 가이드 와이어(W)로서 상호 회전가능하게 제2가이드릴(33)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와이어(W) 상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고, 타단에는 골프공(B)이 연결 설치되어 함체(10)측 장공(12)을 통해 골프공(B)을 지지하는 제1연결끈(40)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W) 상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는 제2연결끈(50)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병에 따른 일 실시예로 첨부된 도 2에서 도시한 이점 쇄선과 같이 상기 제2가이드부재(30)를 구성하는 회전축(32)상에 구동모터(M)가 더 설치되어 골프공(B)의 타격 후 순간 이송되는 가이드 와이어(W)에 대해 제2가이드릴(33)을 골프공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 와이어(W)와 제1연결끈(40)이 타격된 방향에서 골프공(B)에 가해진 반발력을 점차 상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M)의 구동은 가이드 와이어(W)에 연결된 제1연결끈(40)의 위치를 함체(10) 내에 별도의 센서(도면에서 생략함)를 설치하여 센서를 통한 감지로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와이어(W)로부터 연결되는 제1연결끈(40) 및 제2연결끈(50)의 연결부위는 견고하면서도 완충가능한 소재로 연결 설치하여 순간 충격에 대한 끊어짐을 보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결끈(50)의 단부에는 일단이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함체(10)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3고정브라켓(61)상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와이어(W)에 탄성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60)이 구비된다. 여기서 인장스프링(60)은 가이드 와이어(W)가 상기 제1가이드릴(23)과 제2가이드릴(33)이 위치한 구간에서 가이드 와이어(W)의 순간 이동에 따른 속도를 낮추어줄 수 있는 완충역할을 한 것이다.
상기 인장스프링(60)의 완충에 대한 탄성력 복귀에 관련하여 상기 제1가이드부재(20)의 제1감속릴(24)로부터 연결 설치되어 가이드 와이어(W)의 이동속도를 감속하는 감속부재(70)(80);가 설치된다.
상기 감속부재(70)(80)는,
함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제4고정브라켓(71), 제5고정브라켓(81)이 대응되면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제4고정브라켓(71)에 마련되는 회전축(72)상에 직경비율이 다른 제2감속릴(73), 제3감속릴(74)이 설치되며, 상기 제5고정브라켓(81)에 마련되는 회전축(82)상에 직경비율이 다른 제4감속릴(83), 제5감속릴(84)이 각각 설치되며, 제1감속릴(24)로부터 제2감속릴(73), 제3감속릴(73)로부터 제4감속릴(83)에 줄(V)로 연결 설치되어 가이드 와이어(W)의 이송속도를 감속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함체(10) 내에 설치되어 골프공(B) 타격 이후의 제1연결끈(40)을 포함하는 골프공(B)을 장공(12)으로 유도하여 타격위치에 가깝게 수거하는 골프공 회수부재(90)가 더 설치된다.
상기 골프공 회수부재(90)는 함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91)와, 상기 구동모터(91)의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제1이중풀리(93)와, 상기 구동모터(91)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고정브라켓(94)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이중풀리(93)로부터 이중와이어(95)로 연결 설치되는 제2이중풀리(97)와, 상기 이중와이어(95)상에 고정 설치되어 제1연결끈(40)을 포함한 골프공(B)을 함체(10) 상의 장공(12)으로 위치시키는 안내구(9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중와이어(95)가 위치한 상태는 골프공(B)을 매달은 제1연결끈(40)이 이중와이어(95) 사이를 통과하고, 함체(10)의 장공(12)을 통과하는 상태가 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골프 연습장치의 이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골프연습은 주어진 함체(10)의 상부에 골프공(B)을 타격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골퍼는 주어진 클럽을 스윙하여 골프공(B)을 타격하는 연습을 반복하여 연습량을 늘릴 수 있다.
골프공(B)의 타격은 첨부된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글럽 헤드로부터 임팩트 되는 순간, 도 4와 같이 골프공(B)은 제1연결끈(40)과 연결되어 있고, 제1연결끈(40)의 또 다른 단부는 가이드 와이어(W)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W)를 순간 이동시켜 회전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1가이드부재(20)측 제1가이드릴(23)과 제2가이드부재(30)의 제2가이드릴(33)은 가이드 와이어(W)의 이송과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감속릴(24)은 회전축(22)상으로부터 클러치 베어링(25)의 외경에 설치되어 일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가이드 와이어(W)는 도면상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고, 가이드 와이어(W)의 하부측 즉, 제2연결끈(50)은 제3고정브라켓(61)으로부터 일단이 연결된 인장스프링(60)을 인장시켜 준다.
상기 인장스프링(60)의 인장은 초기에 골프공(B)이 임팩트되어 날아가려는 힘을 순간 탄성으로 완화시켜 함체(10)의 상부로부터 골프공은 제1연결끈(40)의 범위에서 떠올랐다가 떨어지며, 이때 상기 제1연결끈(40)은 함체(10)의 장공(12)을 통과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임팩트되어 날아가려는 골프공(B)은 함체(10)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는 위치에 다시 떨어지고, 이때 골프공의 속도는 순간 상기 인장스프링(60)의 상대적인 인장효과에서 낮아지는 상태가 되어 골프 글럽을 스윙할 수 있는 정도의 실내공간(가정집 및 스크린 연습장 등)에서 연습장치를 배치시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골프공(B)의 타격 후 순간 이송되는 가이드 와이어(W)에 대해 제2가이드릴(33)을 구동모터(M)로서 골프공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줌으로써, 상기 가이드 와이어(W)와 제1연결끈(40)이 타격된 방향에서 골프공(B)에 가해진 반발력을 더욱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인장스프링(60)이 인장 되었다가 다시 탄성력의 복귀동작이 이루어져 가이드 와이어(W)를 역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이 연속되며, 이는 함체 상부 또는 함체(10)의 상부 외곽으로 위치된 골프공을 장공(12) 위치에 근접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골프공(B)이 장공(12) 위치에 가깝게 위치되는 상태는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인장스프링(60)의 복원과 동시에 제1가이드부재(20)의 회전축(22)상에 설치된 제1감속릴(24)은 클러치 베어링(25)에 의해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지고, 제1감속릴(24)과 연결된 감속부재(70)의 제2감속릴(73), 그리고 제3감속릴(74)은 감속부재(80)측 제4감속릴(83)에 줄(V)로 각각 연결되어 있어, 이들의 회전으로서 인장스프링(60)의 급격한 복원을 방지하면서 골프공(B)을 함체(10)의 중앙 위치에 자연스럽게 근접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감속릴(24)의 회전시 클러치 베어링(25)은 회전축에 대해 회전은 정지된 상태, 즉 제1감속릴(24)이 역회전되어 첨부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고정브라켓(71) 및 제5고정브라켓(81) 상의 상호 다른 비율의 직경으로 된 제2감속릴(73), 제3감속릴(74) 및 제4감속릴(83)을 줄(V)로서 회전시켜 속도를 줄여 줌과 동시에 골프공(B)을 함체(10) 상부에 회수시킬 수 있어 사용자는 골프공을 집어 타격위치에 재 위치시킨 상태에서 스윙을 포함한 타격 연습을 상기와 같이 반복하여 연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8 내지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함체(10) 내에 골프공 회수부재(90)를 더 적용 설치함으로써, 타격 이후 자유분방하게 위치된 골프공(B)을 타격위치에 가깝게 위치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타격위치의 가까운 위치에서 골프공을 집어 타격 위치에 손쉽게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는 편의를 더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골프공의 타격과 인장스프링(60) 및 감속부재(70)(80)들을 통한 동작관계는 상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상기 골프공 회수부재(90)의 동작관계를 살피면 다음과 같다.
골프공 회수부재(90)는 함체(10)에 별도로 조작버튼을 마련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골프공 회수부재(90)의 구성을 이루고 있는 제1이중풀리(93), 제2이중풀리(97)를 연결하는 이중와이어(95)상의 안내구(99)는 첨부된 도 11 및 도 12과 같은 상태에서 구동모터(91)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도면상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작동중에 제1가이드부재(20)와 제2가이드부재(30)측 가이드 와이어(W)상에 연결된 제1연결끈(40)은 이중와이어(95) 사이를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안내구(99)에 간섭되어 안내구(99)의 이동에 따라 제1연결끈(40)을 잡아당기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의 골프공(B)은 제1연결끈(40)을 따라 점차 함체(10)의 중앙에 형성된 장공(12) 상부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안내구가 이동할 수 있는 범위의 최장거리 즉 골프공을 타격 위치에 근접시켜 줌으로써, 사용자는 골프공을 간단하게 집어 타격위치에 재 위치시킨 다음 골프연습을 효과적으로 반복할 수 있게 된다.
10: 함체 12: 장공
20: 제1가이드부재 21: 제1고정브라켓
22: 회전축 23: 제1가이드릴
24: 제1감속릴 25: 클러치 베어링
30: 제2가이드부재 33: 제2가이드릴
40: 제1연결끈 50: 제2연결끈
60: 인장스프링 70,80: 감속부재
73: 제2감속릴 74: 제3감속릴
83: 제4감속릴 84: 제4감속릴
90: 골프공 회수부재 91: 구동모터
93: 제1이중풀리 94: 고정브라켓
95: 이중와이어 97: 제2이중풀리
99: 안내구 W: 가이드 와이어
B: 골프공 M: 구동모터
S: 토션스프링 V:줄

Claims (4)

  1. 내부가 빈 상자형으로 상면 길이방향에 장공(12)이 형성된 함체(10)와;
    상기 함체(10) 내부 바닥면에 제1고정브라켓(21)이 대응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21)상에 회전가능한 회전축(22)이 구비되고, 회전축(22)상에 제1가이드릴(23), 제1감속릴(2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1감속릴(24)은 회전축(22)상에 일방향 회전만 허용하는 클러치 베어링(25)의 외경에 설치된 제1가이드부재(20)와;
    상기 제1고정브라켓(21)으로부터 제2고정브라켓(31)이 이격 설치되고, 상기 제2고정브라켓(31)상에 회전가능한 회전축(32)이 구비되며, 회전축(32)상에는 상기 제1가이드릴(23)과 대응되어 가이드 와이어(W)로서 상호 회전가능하게 제2가이드릴(33)이 설치된 제2가이드부재(30)와;
    상기 가이드 와이어(W) 상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고, 타단에는 골프공(B)이 연결 설치되어 함체(10)측 장공(12)을 통해 골프공(B)을 지지하는 제1연결끈(40)과;
    상기 가이드 와이어(W) 상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는 제2연결끈(50)과;
    상기 제2연결끈(50)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함체(10)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3고정브라켓(61)상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와이어(W)에 탄성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60)과;
    상기 제1가이드부재(20)의 제1감속릴(24)로부터 연결 설치되어 가이드 와이어(W)의 이동속도를 감속하는 감속부재(70)(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재(70)(80)는,
    함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제4고정브라켓(71), 제5고정브라켓(81)이 대응되면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제4고정브라켓(71)에 마련되는 회전축(72)상에 직경비율이 다른 제2감속릴(73), 제3감속릴(74)이 설치되며, 상기 제5고정브라켓(81)에 마련되는 회전축(82)상에 직경비율이 다른 제4감속릴(83), 제5감속릴(84)이 각각 설치되며, 제1감속릴(24)로부터 제2감속릴(73), 제3감속릴(73)로부터 제4감속릴(83)에 줄(V)로 연결 설치되어 가이드 와이어(W)의 이송속도를 감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0) 내에 설치되어 골프공(B) 타격 이후의 제1연결끈(40)을 포함하는 골프공(B)을 장공(12)으로 유도하여 타격위치에 가깝게 수거하는 골프공 회수부재(9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 회수부재(90)는 함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91)와,
    상기 구동모터(91)의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제1이중풀리(93)와,
    상기 구동모터(91)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고정브라켓(94)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이중풀리(93)로부터 이중와이어(95)로 연결 설치되는 제2이중풀리(97)와,
    상기 이중와이어(95)상에 고정 설치되어 제1연결끈(40)을 포함한 골프공(B)을 함체(10) 상의 장공(12)으로 위치시키는 안내구(99)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장치.
KR1020100079170A 2010-08-17 2010-08-17 골프 연습장치 KR100996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170A KR100996303B1 (ko) 2010-08-17 2010-08-17 골프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170A KR100996303B1 (ko) 2010-08-17 2010-08-17 골프 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303B1 true KR100996303B1 (ko) 2010-11-23

Family

ID=4341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170A KR100996303B1 (ko) 2010-08-17 2010-08-17 골프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3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341B1 (ko) 2012-07-10 2013-10-16 유광영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101610603B1 (ko) * 2015-11-25 2016-04-07 김태오 격투기 종목용 훈련 장치
KR101959777B1 (ko) * 2018-09-21 2019-03-19 김한섭 골프 연습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8236A (ja) 1996-10-21 1998-05-12 Le-Sento:Kk ゴルフ練習台
KR200397936Y1 (ko) 2005-07-22 2005-10-10 한영문 골프공 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8236A (ja) 1996-10-21 1998-05-12 Le-Sento:Kk ゴルフ練習台
KR200397936Y1 (ko) 2005-07-22 2005-10-10 한영문 골프공 회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341B1 (ko) 2012-07-10 2013-10-16 유광영 골프 스윙 연습 장치
WO2014010853A1 (ko) * 2012-07-10 2014-01-16 Yoo Kwang Young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101610603B1 (ko) * 2015-11-25 2016-04-07 김태오 격투기 종목용 훈련 장치
KR101959777B1 (ko) * 2018-09-21 2019-03-19 김한섭 골프 연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2979B2 (en) Modified ball and ball-suspending device
US7708658B2 (en) Rotational and retractable golf putting device
US76910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ennis training
US6296582B1 (en) Baseball striking practice device
US7762913B1 (en) Bat training device
US6514161B1 (en) Baseball striking practice device
US5924933A (en) Golf training aid
US5494278A (en) Hitting practice machine for ball games
WO2005070068A2 (en) Extended-use ball striking training device
US8277331B2 (en) Golf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US5957788A (en) Sports practice apparatus
US4253663A (en) Golf swing muscle developer
US5125844A (en) Putting and chipping golf stroke apparatus
KR100996303B1 (ko) 골프 연습장치
US3663018A (en) Batting practice tethered ball
US5184816A (en) Hitting practice device
US8137207B2 (en) Golf swing practice apparatus
US20070087856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101959777B1 (ko) 골프 연습장치
KR200306604Y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9468829B2 (en) Sport swing training apparatus and swing system
US7014577B2 (en) Ball game apparatus
JP2001170238A (ja) ゴルフ練習装置
US3722890A (en) Golf club swing training device
US20110124442A1 (en) Multiple sport tr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