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392Y1 - 임팩트 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 Google Patents

임팩트 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392Y1
KR200450392Y1 KR2020080005070U KR20080005070U KR200450392Y1 KR 200450392 Y1 KR200450392 Y1 KR 200450392Y1 KR 2020080005070 U KR2020080005070 U KR 2020080005070U KR 20080005070 U KR20080005070 U KR 20080005070U KR 200450392 Y1 KR200450392 Y1 KR 200450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shaft
bat
impact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707U (ko
Inventor
김해성
Original Assignee
(주)승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승진산업 filed Critical (주)승진산업
Priority to KR2020080005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392Y1/ko
Publication of KR200900107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7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3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5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with sound-emitting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through-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1Special aerodynamic features, e.g. airfoil shapes, wings or air pass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라이버샷과 같은 골프 스윙연습시 백스윙에서 임팩트시 클럽페이스의 정확한 스퀘어각도유지 및 임팩트 타이밍을 사용자가 정확히 인지하면서 스윙연습하도록 되어 있는 골프연습배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직경을 지닌 긴 막대형상으로 전체 배트 길이의 3/5 내지 4/5의 길이로 되어 있으며 상부끝단에는 이탈방지용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와, 전체 배트 길이의 2/5 내지 1/5의 길이로 상기 샤프트의 하부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샤프트의 하부끝단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상기 샤프트의 직경보다 1.5 내지 2.5배 더 큰 직경을 지닌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중이 집중되어 있는 헤드부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천공된 관통홀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은 헤드부의 전면쪽에 형성된 입구부분은 직경이 크고 헤드부의 후면쪽에 형성된 출구부분은 입구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배트를 스윙시 임팩트 시점에서 강하고 빠르게 스윙하면 상기 관통홀의 넓은 입구부분을 통해 유입된 기류가 좁은 출구부분을 통해 배출되면서 소정의 피리소리가 발생되어 클럽페이스의 정확한 스퀘어각도유지 및 임팩트 타이밍을 사용자가 정확히 인지하면서 스윙연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에 관한 것이다.
골프연습배트, 샤프트, 헤드부, 관통홀, 테이퍼부

Description

임팩트 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A training golf bat for impact timig control}
본 고안은 드라이버샷과 같은 골프 스윙연습시 백스윙에서 임팩트시 클럽페이스의 정확한 스퀘어각도유지 및 임팩트 타이밍을 사용자가 정확히 인지하면서 스윙연습하도록 되어 있는 골프연습배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직경을 지닌 긴 막대형상으로 전체 배트 길이의 3/5 내지 4/5의 길이로 되어 있으며 상부끝단에는 이탈방지용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와, 전체 배트 길이의 2/5 내지 1/5의 길이로 상기 샤프트의 하부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샤프트의 하부끝단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상기 샤프트의 직경보다 1.5 내지 2.5배 더 큰 직경을 지닌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중이 집중되어 있는 헤드부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천공된 관통홀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은 헤드부의 전면쪽에 형성된 입구부분은 직경이 크고 헤드부의 후면쪽에 형성된 출구부분은 입구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배트를 스윙시 임팩트 시점에서 강하고 빠르게 스윙하면 상기 관통홀의 넓은 입구부분을 통해 유 입된 기류가 좁은 출구부분을 통해 배출되면서 소정의 피리소리가 발생되어 클럽페이스의 정확한 스퀘어각도유지 및 임팩트 타이밍을 사용자가 정확히 인지하면서 스윙연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경기는 드라이버, 아이언, 퍼터 등의 클럽으로 정지된 공을 타격하여 일정거리에 정해진 홀컵에 홀인시키는 경기로서, 독특한 재미와 함께 그 운동효과 또한 뛰어나 최근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스포츠 종목이다. 이와 같은 골프를 더욱 재미있게 즐기고 경기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클럽을 통한 정확한 타격이 이루어져 하며 그 기초가 되는 것이 바른 스윙자세를 익히는 것이다.
이러한 골프 스윙의 바른 자세는 대체로 클럽을 양손으로 바르게 잡는 방법과 임팩트시 클럽페이스가 골프공과 직각에 위치되도록 하는 정확한 스퀘어 각도유지 및 클럽페이스가 공에 닿는 순간 가장 강하고 빠른 속도로 강력한 타격을 가하는 임팩트 타이밍조절 등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며, 특히 골프공을 가장 멀리 날려 보내야 하는 드라이버샷의 경우에는 클럽페이스의 정확한 스퀘어 각도유지 및 임팩트 타이밍이 무엇보다도 더욱 중요한 요소에 해당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드라이버샷 등의 골프 스윙 연습시 스윙 자세는 연습자가 스스로 체득한 스윙습관에 의해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므로 이를 바른 자세로 교정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 이며, 일반적인 골프채를 사용하여 스윙 연습을 하는 경우에는 골프채가 가벼워 억지로 팔에 힘을 주어 무게감을 형성하면서 스윙감을 익혀야하므로 스윙 자세를 교정하여 정확한 스윙자세를 유지하거나 부드러운 스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고, 또한 직접 골프공을 타격하지 않는 스윙 연습시 가장 빠르고 강하게 스윙해야하는 임팩트 시점을 사용자 스스로 인지하기가 어려워 그 타이밍 조절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라이버샷과 같은 골프 스윙 연습시 하부의 헤드부에 하중이 집중되어 무게감을 형성함으로써 골프스윙에 따른 근력강화 및 스윙궤도가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도록 하고,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전후 수평방향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관통홀에 의해 스윙 연습시 임팩트 시점에서 강하고 빠르게 스윙하면 헤드부의 전면쪽(통상적인 골프채의 클럽페이스에 해당)에 형성된 관통홀의 넓은 입구부분을 통해 유입된 기류가 헤드부의 후면쪽에 형성된 좁은 출구부분을 통해 배출되면서 소정의 피리소리가 형성되어 클럽페이스의 정확한 스퀘어각도유지 및 임팩트 타이밍을 사용자가 정확히 인지하면서 스윙연습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동일한 직경을 지닌 긴 막대형상으로 전체 배트 길이의 3/5 내지 4/5의 길이로 되어 있으며 상부끝단에는 이탈방지용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와, 전체 배트 길이의 2/5 내지 1/5의 길이로 상기 샤프트의 하부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샤프트의 하부끝단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상기 샤프트의 직경보다 1.5 내지 2.5배 더 큰 직경을 지닌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중이 집중되어 있는 헤드부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천공된 관통홀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은 헤드부의 전면쪽에 형성된 입구부분은 직경이 크고 헤드부의 후면쪽에 형성된 출구부분은 입구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배트를 스윙시 임팩트 시점에서 강하고 빠르게 스윙하면 상기 관통홀의 넓은 입구부분을 통해 유입된 기류가 좁은 출구부분을 통해 배출되면서 소정의 피리소리가 발생되어 클럽페이스의 정확한 스퀘어각도유지 및 임팩트 타이밍을 사용자가 정확히 인지하면서 스윙연습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드라이버샷과 같은 골프 스윙 연습시 하부의 헤드부에 하중이 집중되어 무게감을 형성함으로써 골프스윙에 따른 근력강화 및 스윙궤도가 자연스럽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전후 수평방향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관통홀에 의해 스윙 연습시 임팩트 시점에서 강하고 빠르게 스윙하면 헤드부의 전면쪽(통상적인 골프채의 클럽페이스에 해당)에 형성된 관통홀의 넓은 입구부분을 통해 유입된 기류가 헤드부의 후면쪽에 형성된 좁은 출구부분을 통해 배출되면서 소정의 피리소리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클럽페이스의 정확한 스퀘어각도유지 및 임팩트 타이밍을 정확히 인지하면서 스윙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골프연습배트(1)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샷과 같은 골프 스윙연습시 백스윙에서 임팩트시 클럽페이스의 정확한 스퀘어각도유지 및 임팩트 타이밍을 사용자가 정확히 인지하면서 스윙연습하도록 되어 있는 골프연습용 배트로서, 전체가 목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있으며 긴 막대형상으로 사용자가 상부 끝부분을 파지하도록 되어 있는 샤프트(2)와 상기 샤프트(2)의 하부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중이 집중된 헤드부(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2)는 동일한 직경을 지닌 긴 막대형상으로 사용자가 양손으로 통상의 골프채와 같이 파지하기 용이한 직경을 지니고 있으며 전체 배트(1) 길이의 3/5 내지 4/5의 길이로 되어 있고 상부 끝단에는 이탈방지용 걸림턱(4)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샤프트(2)의 상부 끝부분을 양손으로 파지 후 골프스윙 연습시 배트(1)가 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의 상부 끝부분에 마찰력이 강한 고무 등의 재질로 된 파지용 그립(5)을 끼움 결합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3)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트(1)의 하중이 하부쪽 에 집중되어 무게감을 형성함으로써 골프스윙에 따른 근력강화 및 스윙궤도가 자연스럽게 만들어 지도록 하는 부분으로, 전체 배트(1) 길이의 2/5 내지 1/5의 길이로 상기 샤프트(2)의 하부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상기 샤프트(2)의 하부끝단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테이퍼부(6)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상기 샤프트(2)의 직경보다 1.5 내지 2.5배 더 큰 직경을 지닌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중이 집중되어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3)의 하중은 샤프트(2)의 하중보다 1.5 내지 2.5배 더 무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헤드부(3)가 상기보다 더 가벼운 경우에는 일정한 무게감이 형성되지 않아 스윙연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반대로 상기 헤드부(3)가 상기보다 더 무거운 경우에는 헤드부(3)의 하중이 너무 커 스윙연습시 스윙궤도가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전후 수평방향으로 천공된 관통홀(7)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관통홀(7)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3)의 전면쪽에 형성된 관통홀(7)의 입구부분은 직경이 크고 헤드부(3)의 후면쪽에 형성된 관통홀(7)의 출구부분은 입구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배트(1)를 스윙시 가장 강하고 빠르게 스윙해야 하는 임팩트 시점에서 강하고 빠르게 스윙하면 헤드부(3)의 전면쪽(통상의 골프채에서 클럽페이스에 해당됨)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7)의 넓은 입구부분을 통해 순간적으로 유입된 기류가 좁은 출구부분을 통해 빠르게 배출되면서 소정의 피리소리가 발생되어 클럽페이스의 정확한 스퀘어각도유지 및 임팩트 타이밍을 사용자가 정확히 인지하면서 스윙연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7)은 입구부분의 직경을 1 ~ 2cm 정도로 형성하고 출구부분의 직경을 0.5 ~ 1.0cm 정도로 한정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상기 관통홀(7)의 입구부분이나 출구부분의 직경이 상기보다 더 크거나 작은 경우에는 배트(1)를 더욱 강하고 빠르게 휘둘러도 소정의 피리소리가 잘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통상의 골프채에서 클럽페이스에 해당되는 상기 관통홀(7)의 입구부분이 임팩트시 스퀘어각도를 유지하지 않고 스윙도중 비뚤어지거나 기울어지게 되면 관통홀(7)의 입구부분을 통해 기류가 제대로 유입되지 않아 상기 피리소리가 작게 나거나 발생되지 않아 스윙자세가 잘못된 것을 인지할 수 있으며, 또한 스윙시 임팩트 위치 전이나 후에 소정의 피리소리가 나게 되면 임팩트 타이밍을 너무 빠르거나 늦게 조절한 것을 용이하게 인지하여 임팩트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골프연습배트(1)를 너무 약하게 또는 천천히 휘두르는 경우에는 소정의 피리소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골프연습배트(1)를 이용하여 드라이버샷과 같은 스윙연습시에는 샤프트(2)의 상부끝부분을 통상의 골프채를 파지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양손으로 파지하고 상기 헤드부(3)의 하부에 천공된 관통홀(7)의 입구부분(통상적인 골프채의 클럽페이스에 해당되는 부분)이 임팩트시점에서 정확한 스퀘어각도를 유지하도록 스윙연습하게 되며, 스윙시 임팩트시점에서 가장 강하고 빠르게 스윙하게 되면 상기 관통홀(7)의 넓은 입구부분을 통해 순간적으로 유입된 기류가 좁은 출구부분을 통해 빠르게 배출되면서 소정의 피리소리가 발생되어 클럽페이스의 정확한 스퀘어각도유지 및 임팩트 타이밍을 사용자가 정확히 인지하면서 스윙연습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연습배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연습배트를 이용하여 스윙연습시 임팩트 시점에서 기류가 형성되어 소정의 피리소리가 발생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연습배트의 상부끝부분에 파지용 그립이 끼움결합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골프연습배트
2. 샤프트
3. 헤드부
4. 이탈방지용 걸림턱
5. 파지용 그립
6. 테이퍼부
7. 관통홀

Claims (4)

  1. 동일한 직경을 지닌 막대형상으로 전체 배트(1) 길이의 3/5 내지 4/5의 길이로 되어 있으며 상부끝단에는 이탈방지용 걸림턱(4)이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2)와, 전체 배트(1) 길이의 2/5 내지 1/5의 길이로 상기 샤프트(2)의 하부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샤프트(2)의 하부끝단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테이퍼부(6)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상기 샤프트(2)의 직경보다 1.5 내지 2.5배 더 큰 직경을 지닌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중이 샤프트(2)의 하중보다 1.5 내지 2.5배 더 무겁게 형성되면서 하중이 집중되도록 되어 있는 헤드부(3)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헤드부(3)의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천공된 관통홀(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7)은 헤드부(3)의 전면쪽에 형성된 입구부분의 직경이 1 ~ 2cm 로 형성되어 있고 헤드부(3)의 후면쪽에 형성된 출구부분의 직경은 0.5 ~ 1.0cm 로 출구부분의 직경이 입구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배트(1)를 스윙시 임팩트 시점에서 강하고 빠르게 스윙하면 상기 관통홀(7)의 넓은 입구부분을 통해 유입된 기류가 좁은 출구부분을 통해 배출되면서 소정의 피리소리가 발생되어 클럽페이스의 정확한 스퀘어각도유지 및 임팩트 타이밍을 사용자가 정확히 인지하면서 스윙연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트 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080005070U 2008-04-17 2008-04-17 임팩트 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KR200450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070U KR200450392Y1 (ko) 2008-04-17 2008-04-17 임팩트 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070U KR200450392Y1 (ko) 2008-04-17 2008-04-17 임팩트 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707U KR20090010707U (ko) 2009-10-21
KR200450392Y1 true KR200450392Y1 (ko) 2010-09-29

Family

ID=41539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070U KR200450392Y1 (ko) 2008-04-17 2008-04-17 임팩트 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39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482B1 (ko) 2010-01-19 2010-09-15 (주)승진산업 중량추가 내장된 탑, 임팩트, 피니쉬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3057A (en) 1979-09-28 1981-08-11 Ragan James T Golf club
JPS6030267U (ja) 1983-08-08 1985-03-01 古川 和弘 ゴルフレツスンクラブ
JP2001178860A (ja) * 1999-12-27 2001-07-03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クラブ
JP2003038700A (ja) * 2001-07-26 2003-02-12 Kazuo Ogawa リスニングスイグマシ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3057A (en) 1979-09-28 1981-08-11 Ragan James T Golf club
JPS6030267U (ja) 1983-08-08 1985-03-01 古川 和弘 ゴルフレツスンクラブ
JP2001178860A (ja) * 1999-12-27 2001-07-03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クラブ
JP2003038700A (ja) * 2001-07-26 2003-02-12 Kazuo Ogawa リスニングスイグマ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707U (ko)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482B1 (ko) 중량추가 내장된 탑, 임팩트, 피니쉬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US6860817B2 (en) Golf club
JP3155758U (ja) ゴルフ及び野球のスイング練習具
US200300690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athletic proficiency
KR102504994B1 (ko) 사용자 맞춤형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KR200450392Y1 (ko) 임팩트 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KR200461567Y1 (ko) 중량추가 내장된 임팩트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KR100977320B1 (ko) 골프용 다목적 운동기기
KR101605732B1 (ko) 골프연습용 배트 소리장치
KR102602631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100573577B1 (ko) 원심력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US20220355175A1 (en) Nailed it
JP5740579B2 (ja) ゴルフ練習装置
JP4922543B2 (ja) ゴルフクラブ
KR200324981Y1 (ko) 골프 스윙 연습기구
KR100491626B1 (ko) 연습용 골프채
KR200310793Y1 (ko) 연습용 골프채
US200802340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aching golf
KR200396680Y1 (ko) 골프스윙 연습기
KR20230126424A (ko) 골프용 메트로놈
JP3129437U (ja) ゴルフパターヘッド
JP3139486U (ja) 手で握る部分が真っ直ぐ円柱形の、パター用を除くゴルフクラブ用のグリップ
JP2008264526A (ja) パッティング習得用具
KR20110005843U (ko) 타구능력향상운동기구
JP2011152427A (ja) ゴルフクラブを使用するため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