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14616A1 - 볼 게임 연습 장치 - Google Patents

볼 게임 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14616A1
WO2016114616A1 PCT/KR2016/000429 KR2016000429W WO2016114616A1 WO 2016114616 A1 WO2016114616 A1 WO 2016114616A1 KR 2016000429 W KR2016000429 W KR 2016000429W WO 2016114616 A1 WO2016114616 A1 WO 201611461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ll
practice
firing
hydraulic
ballp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042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병구
한창석
천창희
Original Assignee
조병구
한창석
천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00723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6419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4488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00761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4490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2289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4489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22889B1/ko
Application filed by 조병구, 한창석, 천창희 filed Critical 조병구
Priority to PL16737580T priority Critical patent/PL3246075T3/pl
Priority to CN201680005521.3A priority patent/CN107106901B/zh
Priority to EP16737580.7A priority patent/EP3246075B1/en
Priority to JP2017535452A priority patent/JP6734855B2/ja
Priority to US15/537,944 priority patent/US20170348582A1/en
Priority to ES16737580T priority patent/ES2770864T3/es
Publication of WO201611461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146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1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for picking-up automatically, e.g. by apparatus moving over the play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5Installations continuously collecting balls from the playing areas, e.g. by gravity, with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03Nets for tennis or like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8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8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 A63B63/083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foo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1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3Athletic drills or obstacles for sport training, other than foot obstacles for sk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5Tracking the path or location of one or more users, e.g. players of a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37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on a target surface or at impact on the ground
    • A63B2024/004Multiple detectors or sensors each defining a different zo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63B2071/025Supports, e.g. poles on rolle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7Phot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04Goals of the type used for football, handball, hockey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5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volley-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9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pneumatic ball- or body-propelling mea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 game practice apparatus, specifically kicking (shooting), the practice of kicking the ball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interior of the stadium, spike practice of hitting and attacking the ball falling into the stadium from above, aerial ball It relates to a ball game practice device for firing the ball so that you can practice a variety of ball games, such as the practice of grabbing a hand.
  • ball games such as soccer, volleyball, basketball, etc.
  • use various exercise aids to improve the attack and defense skills of players.
  • the use of these training aids can reduce the fatigue of competition leaders, such as coaches and coaches, and it is easy for athletes to learn various skills quickly.
  • Examples of soccer may include volley shots, ground ball shots, heading shots, and the like that receive a ball from a goal line or a corner and score it as a goal.
  • Examples of such ball practice practice aids includ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276463 (published Oct. 28, 1997), "Ball Launch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and US Patent No. 8,371,964 B2 (2013. 2. 12. Registration) "Volleyball spiking train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 the ball launching devic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s configured to inject a ball between two pitching rollers rotated by two motors to shoot the ball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itching roller.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iring angle is not constant when used repeatedly and repeatedly,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collect a lot of balls (ball) manually fired into the ball receptor. In addition, the 'ball launch devi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has a lot of inconvenience to practice a variety of ball games by firing the ball in a straight line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 Football is the only ball game that originated in Korea, and it is a sport in which a game is played by passing a ball to an opposing team using a head and a foot with a net between two teams. There was a problem such as hitting the net directly by inserting the ball between the rollers and firing the ball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equipment was very expensive, so there were many problems to be used in general sports and sports activities. This problem is also present in volleyball games with similar foot and ball rules.
  • the 'ball launching device' of Patent Document 1 is configured to adjust only the horizontal direction in which the ball is flying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hot ball, to toss the aerial ball falling vertically from the upper part of the ball to the ground He could't sharpen his skills in basketball, volleyball, and footballs, where he strikes his opponent's court with his hands, feet, and the like.
  • Volleyball spiking practice apparatu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is configured to hold the ball to the head of the discharge strobe coupled to the end of the lamp when the ball (ball) stacked inside the hopper is supplied to the inclined ramp (ramp) have.
  • the ball distributing devic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holds the practice ball supplied from the lamp at the end of the discharge strobe, so that it can spike the stationary ball and hit or catch the ball flying from the ai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ll fir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iring a practice ball into a ball field pre-standardized according to each ball game such as football, futsal, football, volleyball, basketball, and the practice of firing the bal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ll game practice device that automatically collects a ball and automatically supplies the ball to the ball launching device so that the ball game can be easily practiced by a general public using a minimum cost and tim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player in the ballpark, to practice the receive operation by firing the ball toward the detected position, or to drop the ball from the top of the ballpark to practice the spike motion
  • a ball game practice device is provid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ll firing device that can fire the practice ball in a variety of directions using a hydraulic cylinder, and the ball shot to the ballpark automatically corner of the goal line or end line (goal line or end line) direction Or to provide a ball game practice device having a configuration to be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ball launch device to be collected in the cent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ll game exercise device having a ball distributor to practice the ball game to throw the ball falling down from the top of the ball to the body parts such as feet and hands or to throw the ball to the opponent's court In providing.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ll game practice apparatus having a ball launche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player in the ballpark and firing the ball at regular intervals in the direction or by the predetermined movement of the player.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ll game practice apparatus that can maximize the practice effect by causing a score for each passing zone of the goal installed in the goal line portion of the football field or futsal stadium.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ll practice apparatus that can launch the ball toward the player in the field to facilitate the player to practice the receiving movement.
  • the ball field is to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soccer field, a basketball court, a volleyball court, a foot ball court, etc., in which a ball game can be played.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ball game practice apparatus for hitting the ball falling down from the top of the ball with a part of the body to the opponent court, close to any one of the side line and end line of the court
  • a vertically mounted pillar a housing coupled to an upper one side of the pillar and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 partition wall installed in the housing to partition the empty reservoir and the discharge space, and having a lower portion opened therein;
  • the ball distributor provided with a rotary opening and closing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ransport path.
  • Ball game practice apparatus has a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the body is open in all directions;
  • An airborne contain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to store a practice ball to be input from the upper portion and to discharge the stored practice ball to a lower outlet through an inclined bottom surface;
  • a launch pad having a rotating bracket rotatably installed left and right on an upper portion of the space of the body, the launch pad being pivotally rotatable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bracket;
  • the exercise ball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aunch pad as a hollow body and is seated at the end launching point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hollow body one end of the ball to be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airborne container a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ollow body to the inside of the hollow body.
  • a practice ball launcher for firing the practice ball placed at the firing point in a forward direction by the strike of the striking machine coupled to the end of the cylinder piston entering and exiting;
  • a cylinder driver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body to drive the cylinder by the operation of a hydraulic device to blast the pist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 the rotation direction control signal is configured to rotate the rotating bracke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r the axis joint launcher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s joint horizontal axis, the cylinder driver is stored in the hydraulic pressure
  • a hydraulic accumulator having a hydraulic tank, a pressure gauge having a nitrogen-filled nitrogen tube therein to check the nitrogen pressure of the nitrogen tube, a hydraulic pump for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of the hydraulic tank to the nitrogen tank, and the nitrogen tank.
  • a pressure sensor which checks the nitrogen pressure in the cylinder, a hydraulic outlet of the cylinder, an inlet of the hydraulic tank, an outlet of the hydraulic pump, an inlet of the nitrogen tank, an outlet of the nitrogen tank and a hydraulic inlet of the cylinder, Supply and discharge solenoid valves and the hydraulic pump in advance according to the firing mode and firing cyc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actice ball launching device consisting of a controller for operating the piston of the cylinder to operate in a set order.
  • the ball game practice apparatus is a corner contacting the touch line and the goal line of the ballpark formed with a bottom surface inclined downward from the half line to the goal line with the goal line installed along the touch line, and a transfer goal sloped downward from one corner of the goal line to the other corn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the area.
  • Ball sensing gate is formed in any one of the front portion or the rear portion of the goal frame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evice array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one vertical side, at least one light receiving element array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and the other vertical ;
  • the light emitting device array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de of the ball-sensing gate, and the output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rray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ll-sensing gate.
  • It further comprises a score controller for converting the score by the impact signal output from the impact sensor installed in one portion and the output of the speed gun installed behind the goalpost and an indicator for displaying the score converted by the score controller to the outside. It is done.
  • Ball game practice apparatus is a foot ball formed with a bottom surface inclined downward from the half line of the ballpark to the end line, and a feed ball inclined downward from one corner of the end line to the other corner Berries;
  • An exercise ball firing apparatus having an air container for storing a training ball falling from an upper part, the exercise ball firing apparatus which is located at a corner of the foot ballpark and launches the training ball accommodated in the ball bowl to the opponent's court of the foot ballpark; It is installed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net pole installed in the foot ball field to accommodate the practice ball dropped to the upper surface ball inlet, and the received exercise ball to the court of the foot ball court through the drop passage installed to be rotated to the lower portion by the discharge control signal
  • a ball dispenser for discharging A ball feed line having one end positioned above the ball inle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dispenser and inclined downward from the one end to the tartan part; It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downward end portion of the transfer bone, by the rotation of the recovery motor installed in the upper convey
  • Ball game practice apparatus is a ball field formed with a bottom surface sloped downward from the half line of the ballpark to the end line along the sideline, and a transfer bone sloped downward from one corner of the end line to the other corner and;
  • An exercise ball firing apparatus having an air container for storing a training ball falling from an upper part, the exercise ball firing device which is located at a corner of the ballpark and shoots the training ball accommodated in the ball; It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downward end portion of the transfer bone, by the rotation of the recovery motor installed in the upper conveying the practice ball collected to the inle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body through the upper through the outlet installed to be rotated from the upper side
  • a ball harvester for dropping the upper part of the practice ball launcher and the ball distributor;
  • Guide rai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arallel to the sidelines of the stadium;
  • An upper end formed higher than a height of the net pole installed at the ballpark, and a pillar having a roller wheel seated on the guide rail attached to the bottom thereof
  • Ball game practice apparatus is the bottom surface inclined downward to the end line along the sideline from the half line of the stadium, and the end line is downward in the center portion at both corners of the end line and the side line contact
  • a basketball court having an inclined transporting bone formed therein;
  • a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having a ballast container for storing the ball practiced from the outside and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basketball hoop, for firing the ball practiced in the ballast into the court of the basketball court; It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lowest part of the transfer bone, and by moving the recovery motor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ining ball collected at the inle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body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ractice ball launching device of the practice ball firing device
  • Basketball practi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all distributor for dropping the ball stored in the empty ball collecting machine and the ball storage provided in the upper through the lower discharge pipe to the shooting area of the basketball court.
  • the diameter of one end of the hollow body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actice ball so that the practice ball is seated at the firing point set at the end of the hollow body.
  • Ball reclaimer (ball reclaim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downward end of the transfer bone.
  • the empty water collecting device has a cylindrical inlet formed in a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and having a discharge opening in the upper part, and is vertically erected at a lower end of the transporting bone, and a spiral screw is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It is coupled to the shaft of the recovery motor is installed is composed of a screw feeder for feeding the practice ball introduced into the inlet by the rotation of the recovery motor to the upper outlet opening of the collection pipe along the spiral screw.
  • the empty collecting machine is further oscillated by the rotation of the collecting motor, and the collecting vibration plate for supplying the practice ball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veying bone to the inlet of the cylindrical collecting tube is further inclined toward the inlet of the cylindrical vertical tube from the conveying bone. Good to do.
  • the cylinder actuator is an oil pressure accumul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nitrogen tank”) having a hydraulic tank in which a fluid is stored and a manometer inside which a nitrogen tube filled with nitrogen is checked to check the nitrogen pressure of the nitrogen tube. ),
  • a hydraulic motor for increasing the pressure by supplying the fluid of the hydraulic tank to the nitrogen tank, a pressure sensor for checking the nitrogen pressure in the nitrogen tank, the hydraulic outlet of the cylinder, the inlet of the hydraulic tank and the hydraulic pump
  • the recovery, supply and discharge solenoid valves connected between the outlet port, the inlet port of the nitrogen tank and the outlet port of the nitrogen tank and the hydraulic inlet port of the cylinder are operated in a predetermined order according to the firing mode and the firing cycle to float the piston of the cylinder. It consists of a launch controller.
  • Cameras for photographing the stadium are installed on different sides of the body, and the launch controller detects the movement of the player in the stadium by the imag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amera, and when the movement is a predetermined movement, the hydraulic It is characterized by driving the device.
  • Ball game practice apparatus can practice the penalty kick, kick, shot, etc. by installing the practice ball launching device for firing the ball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in the corner of the football field or the basketball hoop installed in the basketball court
  • the ball can be fired according to the setting mode so that the player can practice various ball games by kicking, throwing or hitting the fired ball.
  • you can practice the ball such as spikes and toss by practicing the ball to the bal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op of the floor of the stadium or dropping the practice ball to the floor of the stadium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ractice a variety of ball games Can be.
  • by automatically collecting the practice ball dropped to the floor of the ballpark at the goal line or end line side to supply to the practice ball launching device can operate the ball game driving range unattended.
  •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llow body for the practice ball fi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practice ball laun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flow chart of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id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ll distribu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occer pract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sectional view of the ballpark shown in FIG.
  •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the ball launcher and idler shown in FIG. 11; FIG.
  • FIG. 1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all sensing gate for detecting a score for each passage zone of the go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circuit diagram of a score cou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oot ball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olleyball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sketball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bone formed on the back of the basketball court end line shown in FIG.
  •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practice soccer, volleyball, basketball, and foot ball games, which are Korean's own ball game.
  • the field specifications for soccer, volleyball, basketball, and football games are different and the names of the lines drawn on the field are different, but the soccer halflines, basketball, volleyball, and football centerlines are all drawn in the center of the stadium to divide the stadium.
  • a line drawn at the center of the game is called a half line regardless of the middle of the game.
  • the ball launcher 100 has a space portion of a predetermined size inside the body 102, one side, preferably the front side of the body 102 is provided in an open structure, In the space portion is a practice ball launcher 105 for firing the practice ball.
  • the inside of the body 100 has a plurality of components for rotating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5 to the left and right, up and down and operating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5 has a close connection in operation between them.
  • the internal components and their operational relationship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practice ball may be used as a conventional soccer ball, ball, ball and the like actually used.
  • the camera 1 CAM1
  • the camera 2 CAM2
  • the cameras CAM1 and CAM2 capture a subject in front and side of the body 102 to obtain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 the lower end of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0 body 102 may be provided with a wheel for movement, in this case, the front and rear of the wheel to fix the body 102 It is possible to further install a fixing means of a known type to prevent its rotation on either side.
  • the front wheel is preferably provided in a known structure that is free to rotate so as to be able to change the direction in all directions when the body 102 moves.
  • the upper side of the body 102 is coupled to the airborne container 104 having an outer wall of a predetermined size for receiving the practice ball.
  • the airborne container 104 is manufactured in a rectangular cylinder shape of which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ed, and may be configured in a network structure so that the amount of the practice ball loaded can be easily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2 is formed with an inlet 107 of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practice ball supplied from the airborne container 104 can be introduced into the body 102.
  •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2 is provided as a downward inclined surface at an angle toward the inlet 107 to facilitate the introduction of the practice ball.
  • the body 102 and the airborne container 104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may be coupled by various methods. For example, it may be coupled by welding, forming a fitting groove on the edg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2, and forming a fitting protrusion on the lower edge side of the airborne container 104 to the fitting protrusion in the fitting groove.
  • the airborne container 104 can be configured to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2 while being fitted.
  • an operation switch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operation, and an operation key button for setting an operation mode may 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102, and this example may be provided as a touch screen.
  •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5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body 102 is to receive the practice ball from the airborne container 104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0 to shoot it.
  • a connection pipe (wrinkle pipe) 116 of a predetermined diameter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107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103 of the body 100 is inserted for the transfer of the practice ball.
  • the connecting pipe 116 is connected to the inlet hole 115 open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hollow body 114 shown in Figure 4 constituting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5.
  • the practice ball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115 of the hollow body 114 is seated at the firing point as shown in FIG.
  • the end of the hollow body 114 is formed with a rounded protrusion 114a inwardly so that the practice ball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115 flows out of the hollow body 114 which is a projectile without being hit.
  • the phenomenon does not occur.
  • the sensor is provid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actice ball to provide a controller (MPU) configured as shown in FIG.
  • MPU controller
  • the hollow body 114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aft joint launch pad 112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the shaft joint launch pad 114 is axially coupled to both sides rotatably to the rotating bracket 110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It is provided as is. More specifically, the rack gear 118 is integrally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haft joint launch pad 112, and the drive gear 119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rack gear 118 and the shaft joint launch pad 112.
  • the hollow body 114 may be vertically rotated by the inclined motor 117 connected to the driving gear 119 in a state where the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 the rotary bracket 110 is fastened with a screw to the rotary plate 128 coupl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rotary motor 12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is possible to rotate left and right by the drive of the rotary motor 120.
  •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5 of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hollow body 114 by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rotating bracket 110 and the vertical rotation of the launch pad 112. It is possible to shoot the ball up, left or right.
  • the practice ball introduced into the hollow body 114 is fired in all directions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130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hollow body 114.
  • the piston 132 of the cylinder 13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body 112, as shown in Figure 5, the impact plate 134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piston 132.
  • the cylinder 132 may be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but in order to launch the practice ball farther it is preferable to use a hydraulic cylinder.
  • the hydraulic cylinder 132 has a hydraulic inlet and a hydraulic outlet as usual, the hydraulic inlet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nitrogen tank 144 via the hydraulic discharge solenoid valve 150, the hydraulic outlet is a hydraulic recovery solenoid valve ( 146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tank 140.
  • a hydraulic pump 142 is connected between the hydraulic tank 140 and the nitrogen tank 144, and at this time, a hydraulic supply solenoid valve 148 is connected between the hydraulic pump 142 and the nitrogen tank 144. It is.
  • the inside of the nitrogen tank 144 has a nitrogen tube filled with nitrogen therein is provided with a pressure gauge for checking the nitrogen pressure of the nitrogen tube.
  • the controller MPU
  • the controller drives the hydraulic pump 142 with the supply solenoid valve 148 open to supply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hydraulic tank 140 to the nitrogen tank 144. ).
  • the amount of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nitrogen tank 144 is increased by continuous pumpi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nitrogen tube installed therein, and the pressure increas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 the pressur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nitrogen tube has a preset pressure value,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pump 142 is stopped and at the same time the supply solenoid valve 148 is close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nitrogen tank 148 is filled with hydraulic pressure at a high pressure.
  • the controller opens the discharge solenoid valve 150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 discharge solenoid valve 150 is opened by the above operation, the hydraulic pressure filled in the nitrogen tank 144 at a high pressure is supplied to the hydraulic inlet of the cylinder 130, so that the piston 130 in the cylinder 130 is moved in all directions. Protruding, the impact plate 134 attached to the end by this operation hits the practice ball placed on the end of the hollow body 114 to shoot in all directions.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rotary motor 12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bracket 110 and the inclined motor 117 coupled to the side as well as the driving of the hydraulic circuit described above to right and left the ends of the hollow body 114. Or it can be adjusted to face up and down.
  • FIG. 6 is a block diagram of the launch controller of the ball launch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02,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0.
  • the launch controller is provided with cameras 1 and 2 (CAM1 and CAM2) for illuminating the ballpark 10 on at least one of four surfaces of the body 102.
  • the two cameras CAM1 and CAM2 are respectively installed to photograph the front side and the half line side of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100 in which the ball is launched.
  • the touch screen TS is installed on either side of the body 102, and as described above, an operation switch,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operation, and a key button for setting an operation mode are installed on the touch screen. It is.
  • the controller is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actice ball launching apparatus 100, and is largely divided into a manual mode, an automatic mode, and a camera mode.
  • the controller (MPU) drives the rotating motor 120 and the inclined motor 117 by the input of the direction setting key (vertical, horizontal) from the touch screen to the firing direction of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5 Then, by operating the cylinder 130 of the hydraulic device through the solenoid valve drive (SOD) by the firing command from the touch screen to fire the practice ball.
  • the controller (MPU) drives the rotation motor 120 and the inclined motor 117 by the input of the direction setting key (vertical, horizontal) from the touch screen to the firing direction of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5 Set and, by operating the cylinder 130 of the hydraulic device through the solenoid valve drive (SOD) every set time period (for example every 15 seconds) to fire the practice ball.
  • the controller moves the rotary motor 120 and the inclined motor 117 so that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5 is dir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player of the stadium photographed by the cameras 1 and 2 (CAM1, CAM2).
  • the cylinder 130 of the hydraulic system is operated by the solenoid valve drive (SOD) after 1 to 2 seconds.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100 to shoot the ball.
  • FIG. 7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in the manual mode and the automatic mode.
  • Figure 8 is a flow 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set by the camera 1, 2 (CAM1, CAM2)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ody 102, the camera 1, 2 (CAM1, CAM2)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player to fire the practice ball.
  •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0 is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TS on the outside of the body 102,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screen TS is connected to a controller (MPU) embedded in the body 102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MPU)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operating element provided in the body 102 by data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TS. That is, the controller starts to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inclined motor 117 and the rotary motor 120, the hydraulic pump 142, and the various solenoid valves 146, 148, and 150 inside the body 102.
  • MPU controller
  •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100 may be operated in a manual setting mode and a motion sensing mode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MPU).
  • the manual setting mode the user uses a touch screen (TS) installed in the body 102 to exercise mode (penalty kick, corner set play, ground ball shot, volley ball, head shot ball, sub ball, or any combination thereof).
  • TS touch screen
  • the firing interval for example, every 15 seconds the ball is fired
  • the practice ball is fired into the ballpark (10), ground ball corners, volley corners, heading corners, one or more of the subballs, or Selecting a mixed mode of these and pressing the firing button automatically adjusts the firing angle (tilt and rotation motors 117, 120) of the hollow body 114 according to the selected motion mode and continuously firing the practice ball in a predetermined cycle.
  • the launch butt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e touch screen (TC), it may be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carried by the football player using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 device.
  • the launcher may protrude (extrude) the piston 132 of the cylinder 130 at a predetermined speed by checking the pressure in the nitrogen tank 144 in the process S1. Search for pressure.
  • the controller opens the recovery and supply solenoid valves 146 and 148 through the solenoid valve driving unit SOD in step S6, and then the hydraulic pump ( 142 is driven. Therefore,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cylinder 130 is recovered to the hydraulic tank 140 and then supplied to the nitrogen tank 144.
  • the hydraulic pressure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nitrogen tank 144, the pressure applied to the nitrogen tube installed therein is increased to reach the set pressure.
  • the controller closes the recovery, discharge solenoid valves (146, 148, 150) through the solenoid valve driver (SOD) in step S3, S4 process Detects whether the fire button on the touchscreen or remote is pressed.
  • the controller MPU opens the discharge solenoid valve 148 for a preset time T in step S5. At this time, the hydraulic pressure filled at high pressure in the nitrogen tank 144 is supplied to the inlet of the cylinder 130 through the discharge solenoid valve 148 at high speed due to expansion of the compressed nitrogen tube.
  • the cylinder 130 protrudes in a forward direction the piston 132 located therein by the hydraulic pressure introduced at a very high pressure, and the impact plate coupled to its end by the forward projection of the piston 132 134 strikes the practice ball placed at the end of the hollow body 114 to shoot in the forward direction.
  • the firing angle of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5 located in the space of the body 102 of the practice ball launching device 100 is set by the controller controlling the aforementioned inclination motor 117 and the rotation motor 120. Is determined.
  • the controller (MPU) performing the S5 process opens and recovers the supply and supply solenoid valves 146 and 148 through the solenoid valve driver SOD in S6 and then drives the hydraulic pump 142 in S7 to provide a nitrogen tank ( 142) is filled with hydraulic pressure.
  • the controller move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ngles of the hollow body 114 of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5 according to the mode set in the process S8.
  • the mode set in the process S8 means the setting to the auto-launch mode, the camera mode.
  • step S8 the controller (MPU) is practiced by driving the rotary motor 120 and the inclined motor 117 by the input of the direction setting key (vertical, horizontal) from the touch screen
  • the firing direction of the ball launcher 105 is set, and a practice ball is fired by operating the cylinder 130 of the hydraulic device through the solenoid valve driving unit SOD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 the controller (MPU)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100 in the procedure of FIG. 8, and does not perform any operation in the stop mode in step S8. .
  • the motion detection mode sets the firing direction by the cameras 1 and 2 (CAM1 and CAM2)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ody 102, and then moves the player forward or by the cameras 1 and 2 (CAM1 and CAM2).
  • CAM1 and CAM2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ody 102
  • the controller searches whether the current mode is a camera operation mode in step S104. If the search result is not the camera operation mode jumps to the step S17 to fire the practice ball in accordance with the manual / automatic mod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 the controller (MPU) receives the video signal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1, 2 (CAM1, CMA2)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ody 102 in step S11 to fire the practice ball in the step S12
  • the movement of the player in the front or side of the device 100 is detected.
  • the controller (MPU)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player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player and then controls the tilt motor 117 and the horizontal motor 120 in step S13 to adjust the vertical angle and the horizontal angle to practice the ball launcher 105. Set the firing angle.
  • the controller analyzes the imag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cameras 1 and 2 (CAM1 and CAM2) in step S14, and analyzes the movement of the subject. For example, to find out if the player has raised his arm. This search can be easily performed by comparing the frame image of 1 second ago with the image of the current frame.
  • step S15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5 that the player movement of the vide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ameras 1 and 2 (CAM1 and CAM2) is a predetermined movement, the controller (MPU) controls the solenoid valve driver (SOD) in step S16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striking plate 134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piston 132 of the cylinder 130 hits the training ball so that the training ball is fired toward the subject.
  • the launching hole of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5 will face any part, and the practice ball fired toward the player will have the body of the player (eg, foot, hand, etc.). ) Will fly or roll towards the touchline or unline and eventually fall to the bottom of the ballpark.
  • the hydraulic ball cylinder is used as an example of the driver of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5, bu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s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pneumatic cylinder.
  • the stadium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soccer field, a basketball court, a volleyball court, a foot ball court,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 the practice ball dropped to the ballpark 10 is formed to be inclined ( ⁇ 2) from the center to both sides to roll in the direction of the goal line (or end line) from the half line (or half line).
  • the empty collecting machine 200 shown in FIG. 9 is installed in the transfer bone 14 formed at the rear of the goal line or the end line of the ballpark 10.
  • the conveying bone 14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one corner to the other corner or the center direction. Therefore, the practice ball falling from the half line HL or the half line to the ballpark 10 inclined to both the goal line or the end line rolls in the direction of the goal line from the half line HL, and is eventually collected as a transfer bone 14.
  • the practice ball collected by the transfer bone 14 is rolled to the lower side of the cylindrical collection tube, that is, the ball harvester 200, the practice ball introduced into the lower side of the ball harvester 200 is the lower gate of the ball harvester 200 ( Flows into G).
  • the rotating shaft 208 connected thereto is rotated.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208 is formed with a spiral screw 210 having a pitch (for example 220mm) wid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actice ball.
  • the distance (r1) between the rotating shaft 208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ll recovery machine 200 is formed to be 2mm ⁇ 3mm smaller than the diameter (r2) of the practice ball. Therefore, when the rotating shaft 208 is rotated, the practice ball introduced into the lower gate (G) of the ball harvester 200 is transferred upward along the screw feeder 212 composed of the rotating shaft 208 and the spiral screw 210. do.
  • the distance (r2) between the rotating shaft 208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ll harvester 200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r1) of the practice ball, so that the practice ball is slightly distorted, so that the transfer to the upper portion is smooth.
  • a diaphragm 214 is vib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vibration motor 216.
  • the vibration motor 216 is rotated at the same time as the recovery motor 206 during the ball recovery operation to smoothly enter the practice ball collected at the end of the downwardly inclined transfer bone 14 toward the gate (G) of the ball recovery machine 200. .
  • the practice ball convey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w feeder 212 of the ball recovery machine 200 is discharged to the ball discharge pipe 202 by the rotation of the spiral screw (210).
  • the practice ball discharged through the ball discharge pipe 202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ure 1 to 8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airborne container 104 of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0 installed adjacent to the ball recovery machine 200 Is put in.
  • the air recoverer 200 is install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piral screw 210 and the cylindrical collection pipe 204 by installing the rotating shaft 208 of the spiral screw 210 inside the cylindrical collection pipe 204.
  • Disclosed is a configuration to be conveyed to the top, it is possible to apply a screw conveying device having an equivalent configuration.
  • two poles perpendicular to both sides of a distance of 1 mm to 2 mm shorter than the diameter r2 of the practice ball in the direction of the gate in which the practice ball rolls from the rotating shaft 208 of the helical screw 210. Can be installed.
  • the practice ball is rolled into the gate of the ball harvester configur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ition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208 and the two poles, and when the spiral screw is rotated, the training ball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nd the two poles. As it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inserted into it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airborne container 104 of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0.
  • the co-discharge tube 202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uperator 2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collection tube 204 as shown in the figure by "R". It can be designed to rotate automatically by power by rotating ring gear etc. by rotation or a motor.
  • FIG. 10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all distributo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olumn (25)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park 10 to drop the practice ball to the ballpark 10 or horizontal direction
  • the ball distributor 300 is installed on the column (25)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park 10 to drop the practice ball to the ballpark 10 or horizontal direction
  • the ball distributor 300 has a housing 301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pillar 250.
  • the upper one side of the housing 301 is opened to form the empty reservoir 304 therein, and the interior of the empty reservoir 304 is separated by the partition wall 308 to form the discharge space 306.
  • the bottom surface 305 of the empty reservoir 304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ischarge space 306, the opening of the discharge pipe 316 for discharging the practice ball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harge space 306. Formed.
  • a stopper 314 is vertical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ischarge opening formed under the discharge space 306, and an opening / closing motor 302 fixed at one side in the housing 301 is provided in the partition 308 with a rotary opening and closing plate 310. Is screwed to the rotating shaft.
  • the rotary opening and closing plate 310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308 by the rotation of the open / close motor 302 so that the exercise ball accommodated in the ball storage space 304 is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hole.
  •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ipe 316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spac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302, the rack gear of the linear bevel gear 318 is coupled around.
  • the drive gear of the linear bevel gear 318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322 of the swing motor 320 fixed to the installation space, the open and close motor 302, the swing motor 320 and the controller (MCU) 324 )
  • the discharge pipe 316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downward, the end is formed with a vertical falling exit (316a) form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 horizontal outlet (316b) formed in the inclined horizontal direction, the ball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pipe 316 is
  • the damper 316c coupled between the dropping outlet 316a and the horizontal outlet 316b is discharged to the vertical dropping outlet 316a or the horizontal outlet 316b.
  • the damper 316c opens either one of the vertical dropping outlet 316a and the horizontal outlet 316b by a damper driver 316d formed of a motor or the like.
  • a damper driver 316d formed of a motor or the like.
  • a conventional manual damper switch which operates manually can be used.
  • the damper driver 316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24 which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 the damper driver 316d drives the damper 316c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vertical falling outlet 316a is opened and the horizontal outlet 316b is closed, so that the exercise ball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ipe 316. Is directly downward.
  • the damper driver 316d drives the damper 316c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dropping outlet 316a is closed and the horizontal outlet 316b is opened so that the exercise ball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ipe 316 is horizontally exited. It falls while fly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via 316b.
  • the open / close motor 310 coupled to the rotary shaft 312 of the open / close motor 302 opens and then closes.
  • Practice balls are dropped directly from the top of the floor (court) of the ballpark 10 through the vertical dropping outlet 316a provided at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316, or emergenc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horizontal outlet (316b)
  • the player can practice to hit the ball falling in various directions from above or to catch the flying ball to shoot. Therefore, the player may practice a spike attack or kicking with his feet, which strikes a hand strongly hitting a practice ball falling directly from the top of the bottom surface (court) of the ballpark 10 or fly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controller 324 transmits data to and from the controller 324 of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10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o receive a ball distribution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open / close motor 302 and the swing motor 320 or a remote controller. Can be controlled alone.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ler alone, the controller 324 drives the opening / closing motor 302 and the swing motor 320 by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so that a practice ball accommodated in the ball storage 304 is used. Can be dropped to the floor (coat).
  • the practice ball launching device 100, the ball harvesting machine 200, and the ball distributor 3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a ball game, for example, soccer, football, volleyball and basketball, according to each ball game
  • a ball game for example, soccer, football, volleyball and basketball
  • the location of the ballpark shall be properly selected. 11, 16, 17, and 18 below show examples of a soccer practice apparatus, a foot ball practice apparatus, a volleyball practice apparatus, and a basketball practice apparatus.
  • the soccer practice apparatus 1 has a ballpark 1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 the corner area of the goal line of the ballpark 10 as shown in Figures 1 and 3 to automatically collect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100 and the practice ball collected toward the goal line to shoot the ball toward the ballpark 10
  • the ball collecting machine 200 for supplying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0 is installed in two groups at a diagonal end of the ballpark 10. Both goal lines of the ballpark 10 are provided with a goal post 12 installed in a normal soccer field.
  • the ballpark 10 illustrated in FIG. 11 is inclined downward from 1 to 5 degrees from the half line HL to the goal line on both sides.
  • the goal line side more specifically, the transfer furrow (14) is inclined downward from one side corner toward the other corner at the rear of the goal post 12, the practice ball dropp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 (10) is inclined surface Roll along the goal line is introduced into the transfer bone 14, the practice ball introduced into the transfer bone 14 is the gate (G) of the ball recovery machine 200 installed on the corner side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ransfer bone 14 Gathered towards
  • one of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es 10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llpark 10 should be activated. This activation can be done with the player's own remote control.
  • the operation mode of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100 activated by using the remote control is set to 'manual / automatic setting mode' or 'motion sensing mode', the corresponding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100 is described in the field (10). Fire the practice ball towards the player. Accordingly, the player in the field 10 can kick or head the practice ball fired in the form of a penalty kick, corner set play, ground ball shot, volley ball, heading shot ball from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0. At this time, if the player kicks or shoots the ball shot from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 toward the goal 12, the exercise ball enters the goal 12.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detects and scores the practice ball entering into the goal 12.
  • a ball sensing gate is installed at the front or the rear of the goal 12 as shown in FIG. 14.
  • the ball sensing gate is preferab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goal 12.
  • the ball sensing gate (BSG) is made of a pipe material, such as the goal 12, it is install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on the back of the goal 12.
  • Arrays of light emitting device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ide and the left side of the ball sensing gate (BSG)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on the lower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ball sensing gate (BSG).
  • Arrays of light receiving elements for example, infrared photodiodes or phototransistors ar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 the ball sensing gate (BSG) is to detect which portion (area) of the goal 12 when the practice ball passes through the goal 12, which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 a speed gun (SG)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ball sensing gate BSG to measure the speed of the training ball flying toward the goal 12.
  • Soccer practice apparatus 1 is an example of a football that can be enjoyed by a large number of people, but can also be applied as it is in the five-person mini football game played indoors, such as futsal (futsal) .
  • it can be used alternately between football practice and futsal match,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goal 12 installed in the ballpark 10 in accordance with the game of football or futsal.
  • it may be considered to install a wheel or the like that can mov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goal 12.
  • the stadium is equipped with a football practice device (1) in the futsal stadium that can be easily configured indoors, and used as a futsal stadium in normal times, the goal can be easily changed to a practice field for football practice for individuals or life It is preferable to free the movement of (12).
  • Each of the sensors of the ball sensing gate BSG includes light emitting device arrays XL1 to XL4 and YL1 to YL10, and light receiving device arrays XP1 to XP4 and YP1 to YP10 installed on opposite sides thereof.
  •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ball sensing gate (BSG), in which a soccer goal is divided into 40 zones to determine scores for each zone, and the corresponding zone detects the passage of a practice ball.
  • BSG ball sensing gate
  • the ball sensing gate (BSG)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goal 12, the light emitting device array (XL1 ⁇ XL4, YL1 ⁇ YL10)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the upper side of the ball sensing gate (BSG),
  •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rrays XP1 to XP4 and YP1 to YP10 are installed on the right and lower sides of the ball sensing gate BSG.
  • the light emitting element array (XL1 ⁇ XL4)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rray (XP1 ⁇ XP4)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ball sensing gate (BSG) to b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divided the height (2440mm) of the football goal 12 into four equal parts.
  •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rray (XP1 ⁇ XP4 and YP1 ⁇ YP1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ball sensing gate (BSG) is the horizontal length (7320mm) of the football goal 12 ) Is divided into 10 equal parts and installed at intervals of 732 mm.
  • Each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rrays XL1 to XL4 and YL1 to YL10 is provided with at least three light emitting devices at equal intervals, and corresponds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arrays XL1 to XL4 and YL1 to YL10 on opposite sides thereof.
  • At least three light receivers are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in each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rrays XP1 to XP4 and YP1 to YP10.
  • Each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rrays XL1 to XL4 and YL1 to YL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riven to emit light according to X and Y axis driving signals,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arrays XP1 to XP4 and YP1 to YP10 are light emitting device arrays XL1.
  • ⁇ XL4, YL1 ⁇ YL10) senses the light source.
  • three elements are installed inside the light emitting element arrays XP1 to XP4 and YP1 to YP10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rrays XP1 to XP4 and YP1 to YP10. It is obvious that a large number can be installed.
  • FIG. 14 drives the optical element arrays XL1 to XL4 and YL1 to YL10 of the ball sensing gate BSG shown in FIG. 13, and reads the output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rrays XP1 to XP4 and YP1 to YP10.
  • (12)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score counter (SCNT) that detects which part has passed and converts the score according to the ball speed of the practice ball detected by the speed gun (SG).
  • SCNT score counter
  • the score counter SCNT is formed of light emitting element arrays XLi and YLj (where i is '1 to 4') provided on the X and Y axes of the ball-sensing gate BSG by light emission control signals.
  • j is an integer of '1 to 10') and is provided on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light emitting drive units LD1 and LD2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arrays XLi and YLj of the X and Y axes of the ball sensing gate BSG.
  • the optical receivers PR1 and PR2 reading the outputs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rrays XPi and YPj that receive light sources (or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arrays XLi and YLj, and the light emitting driving units LD1 and LD2.
  • the optical receivers PR1 and PR2 reading the outputs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rrays XPi and YPj that receive light sources (or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arrays XLi and YLj, and the light emitting driving units LD1 and LD2.
  • the score controller SCNT and the score controller SCNT convert the score by the impact signal output from the IS sensor and the output of the speed gun SG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goal 1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dicator (DISP) for displaying the score to the outside.
  • the light emitting driving units LD1 and LD2 and the light receivers PR1 and PR2 are described.
  • the score controller SCNT integrates and drives the light emitting device arrays XLi and YLj. In the case where the outputs of the arrays XPi and YPj are read in an integrated manner, they do not have to be provided.
  • the score controller SCNT shown in FIG. 14 provides a light emission control signal to the light emission driving units LD1 and LD2, and the X axis of the ballsenseng gate BSG shown in FIG. All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arrays XLi and YLj provided on the Y axis are turned on. At this time, all the light emitting elements in the light emitting element arrays XLi and YLj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X axis and the upper part of the Y axis are turned on, and the light by the lighting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X axis and the lower part of the Y axis. XPi, YPj).
  •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rrays XPi and YPj receive (det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arrays XLi and YLj and input a corresponding detection signal to the optical receivers PR1 and PR2.
  • the ball does not normally enter the goal 12
  •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arrays XLi and YLj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X axis and the top of the Y axis is provided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rrays XPi and YPj without blocking. Therefore, when the ball does not enter the goal 12, the signals detect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rrays XPi and YPj are all the same, and the detection signals are transferred to the score controller SCNT through the optical receivers PR1 and PR2. Is provided.
  • the score controller SCNT detects whether the detection signal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rrays XPi and YPj received through the optical receivers PR1 and PR2 is blocked so as to determine in which zone of the goal 12 the ball has passed. . If the ball does not pass through the goal 12, the sensing signals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rrays XPi and YPj all remain activated (logical "high") and thus do not recognize the goal.
  • the score controller SCNT detects that the outputs of the two light receiver arrays XP1 and YP1 are inactive and recognizes that the practice ball has passed through the "A" region of FIG. Give it a "10" point.
  • the score controller SCNT reads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training ball detected by the speed gun SG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goal 12, and then assigns a weight according to the speed information to the goal passing score "10".
  • the passing score is determined, and the exercise ball passing area and the goal passing score are displayed by the DISP so that the exerciser can check where the ball is scored. Therefore, the exerciser can be more interested and practice.
  • the weight means 1 when the ball speed is greater than 60Km / h, and 0.5 when the ball speed is less than 0.5, and the scor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peed of the ball.
  • the average value of the two areas is determined as the goal passing score and then the speed gun (SG)
  • the weight is given to display the goal pass score on the indicator (DISP).
  • the impact sensor (IS) installed in the goal 12 detects the impact
  • the score controller (SCNT) of the practice ball Regardless of the passing area, the goal passing score shall be marked as '10'.
  • the soccer practice device practice by detecting the passage area of the goal and the speed of the ball when the exerciser shoots the ball toward the goal, and displays the passage area of the goal and the goal passing score on the indicator.
  • the chair has the advantage of being more interesting and able to practice, and it is easy to recognize which area the ball you shot passes through, so you can correct the shooting position more quickly.
  • the practice ball can be scored by the area passing the goal (12) so that the player himself can check the score. For example, when passing through the four corners of the goal 12 is set to 10 points, the score can be displayed by gradually reducing the score toward the center of the goal 12.
  • Football is a ball game in which a net is played between two teams using a head and a foot to hand over a ball to an opposing team.
  • the football receives a training ball flying from the opponent's court by a serve and is higher than the net.
  • You must be able to effectively practice an attack (spike) that hits a practice ball that falls down from its position and turns the ball over to your opponent's code.
  • the foot ball practice apparatus 1 has a ballpark 10 having a coat standardized as an endline, a sideline and a halfline as shown in FIG. 16.
  • a ballpark 10 having a coat standardized as an endline, a sideline and a halfline as shown in FIG. 16.
  • the ballpark 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nd line and the sideline is provided with thre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100 (G1, G2) for firing the practice ball toward the court of the ballpark (10).
  • the ball collecting machine 200 is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ballpark 10 to automatically collect the training balls collected on the end line side and supply the training balls to the training ball firing apparatus 100.
  • the ball stored in the empty reservoir 304 is distributed to a portion near the side line or the end line of the foot ballpark 10, preferably, a portion adjacent to the net pole POL on which the net is installed.
  • the ball distributor 300 is dropped to the court of the ballpark 10 through the pipe (316).
  • the position of the ball distributor 300 is installed in close proximity to the side line drawn on the foot ballpark 10, but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ball distributor 300 can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Be aware of this.
  • the ball distributor 300 may be installed to hang on the pipe installed in the transverse or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court 1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250 It is shown.
  • a camera CAM for photographing the subject in front of the exercise ball firing apparatus 100 and the front of the G1 and G2 is installed.
  • the one end of the ball feed line 251 is located close to the end portion of the ball discharge pipe 202 of the ball recovery machine 200, the other end of the ball feed line 251 is the ball distributor 300 Is installed toward the opening of the empty reservoir 304. At this time, one end of the ball feed line 521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other end. For example, when the practice ball is placed at one end, it is installed inclined downward so as to be naturally transferred toward the other end by the weight of the ball.
  • the net (NET) is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oot ball field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ballpark 10 illustrated in FIG. 16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halfline HL to the endlines on both sides.
  • the downward inclination angle may be set to 1 to 5 degrees.
  • a transfer furrow 14 inclined downward from one corner to the other corner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end line so that the practice ball dropp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 ball 10 is rolled to the end line along the slope.
  • the practice ball introduced into the conveying bone 14 is collected toward the gate (G) of the ball recuperator 200 installed on the corner side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nveying bone 14 is recovered.
  •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G1, G2) shown in Figure 1 also provided with a ball-bearing vessel (104).
  • the practice ball is manually input or the above-described ball harvester 200 can be used.
  • Practice ball firing devices installed in the ballpark 10 of the foot ball practice apparatus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at least one using a remote control as described in the soccer practice apparatus (1) It must be activated.
  • the operation mode of the exercise ball launcher (100, G1, G2) activated using the remote control is set to the 'manual / automatic setting mode' or the 'motion detection mode',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0 is as described above.
  • the practice ball is fired at the player on the other court side of the net of the field 10. At this time, the player receives the ball fired from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10 with the foot or the head, etc., can pass the net (NET) to practice the foot-foot receive.
  • NET net
  • Foot ball practice apparatus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 distributor 200 described in Figure 10 is installed on the side side as shown in Figure 1 of the ballpark (10).
  • the spike mode of the foot ball practice apparatus 2 is also set by the touch screen TS remote controller provided in the body 102 of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100.
  • the controller (MPU) shown in FIG. 6 transmi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324 in the ball distributor 300 shown in FIG. 10.
  •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MPU) and the controller 324 in the ball distributor 300 of FIG. 6 may be wired or wireless, and is transmitted as a spike ball distribution control signal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CAM. do. For example, when the exerciser detects a predetermined movement (for example, raising his arm) by the camera CAM while the operation mode is in the spike mode, or a spik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carried by the user. The distribution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24 of the ball distributor 300.
  • the ball distributor 300 is driven.
  • the practice ball is discharged from the vertical dropping outlet 316a or the horizontal outlet 316b of the distribution pipe 316 of the ball distributor 30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0.
  • the practice ball falling vertically or fall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top of the (10) floats on the court surface of the ballpark 10
  • the player can practice the spike hitting the practice ball falling from the top or fall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 the ball game practi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launches the service ball at the end line of the foot ball court, and drops the ball vertically or horizontally from the upper part close to the side line, thereby causing the foot ball exerciser to perform sub receive operation and spike You can practice more efficiently.
  • Ball supply from the ball harvester 300 to the ball distributor 200 is the ball discharge pipe 202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all harvester 200 in the configuration of Figure 9 rotates in the "R" direction of the ball feed line 251 It is supplied automatically by placing it on the top.
  • the discharge port of the ball discharge pipe 202 is positio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ll transfer line 251, the recovered exercise ball discharged therefrom is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ball distributor 300 along the inclined ball transfer line 251 Is received in the empty reservoir 304.
  • Volleyball is a ball game in which a net is played between two teams and the ball is handed over to the opposing team using the arms and hands.
  • the volleyball serves to receive the ball coming from the opponent's court and receives the ball fall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Efficient practice should be to strike hard against the opponent's court.
  • the volleyball practice apparatus 3 is installed in the ballpark 10 provided as shown in FIG. At the portion of the corner area where the end line and the side line of the ballpark 10 is in contact with the ball practice apparatus 100 for firing the practice ball toward the ballpark 10 is installed.
  • the ball collecting machine 200 is installed to automatically collect the practice balls collected to the end line side to supply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100.
  • the volleyball practice apparatus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ractice ball launching apparatus 100a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actice ball launching apparatus 100 on the sideline side of the ballpark 10. At this time, the practice ball supply of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0a is made by manual.
  • Molon ball respirator 200 is installed in close proximity to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0a to supply the ball automatically, or the ball discharge pipe 202 of the ball respirator 200 and the top of the practice ball launcher 100a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supply the ball by installing a ball transfer line between the empty reservoir provided in the part.
  • Ball dispenser 300 is dropped to the inside of the court of the ballpark (10) through.
  • the ball distributor 300 may be installed to hang on the pipe or the like installed in the transverse or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court of the ballpark 1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upper one side of the column 250
  • the installation example is shown.
  • a camera CAM for photographing a subject in front of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100 and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100a installed on the sideline side is installed.
  • the pillar 250 is plac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rail 25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position parallel to the side line of the ballpark 10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sideline of the ballpark 10.
  • the upper end of the pillar 250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net pol (POL) installed in the ballpark 10, the bottom surface is attached to the roller wheel 251 seated on the guide rail 252 And slid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guide rail 252.
  • the fixing means is coupled to the roller wheel 251 may be fixed so as not to move in the guide rail 252.
  • the column 250 having the ball distributor 300 coupled thereon may be mov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rail 252 to be located close to the ball discharge pipe 202 of the air recovery machine 200.
  • the practice ball supplied from the ball harvester 200 is the ball reservoir 300 of the ball distributor 300 Enter
  •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volleyball practice apparatus 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foot ball practice apparatus 2.
  • the practice of receiving when the service ball flows from the opponent's court to the court where the player is located is the same as the receive mode of the foot ball practice apparatus 2.
  • the receive mode of the volleyball practice is applied to the manual / automatic setting mode and the motion detection mode of the above-described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100 as it is.
  • the spike mode also causes the ball distributor 300 shown in FIG. 10 to emerge horizontally or drop vertically from the top of the sideline of the ballpark 1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player located on the court of the ballpark 10 can practice the spike hitting the practice ball falling vertically from above or fall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volleyball practi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launches the service sub-ball at the end line of the volleyball court and drops the ball at the upper side line close to the court, so that the volleyball practitioner can practice the sub-receive operation and the spike operation more efficiently. You can do
  • the column 250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ball recovery machine 200 of Figure 1, the column 25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ail 252 )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rail 252 by the roller wheel 251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pipe 202 of the air recovery machine 200 is determined by the ball distributor ( It is directed toward the upper opening of the empty reservoir 304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300.
  • Basketball is a game in which two teams of five players pass or dribble a ball and throw it into the opponent's basket to score a goal.
  • the basketball court fires a practice ball in the form of a pass or drops the ball into a three-point shot area. You should be able to practice a three-point shot, etc.
  • the basketball practice apparatus 4 is installed in the ballpark 10 provided as shown in FIG.
  • the ballpark 1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 from the halfline HL to the endline as shown in FIG. 19, and the basketball practice ball rolled toward the endline is guided behind the endline.
  • the valley 14 is formed.
  • the transfer bone 14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side line side of the basketball court 10, which is a basketball court, and the lowest portion of the transfer bone 14 transfers the practice balls collected by the transfer bone 14 upwards.
  • the air harvester 200 is installed to make.
  • the basketball hoop (BG)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end line of the basketball court 10 so that the ball basket is located like a normal basketball court.
  • the ball collecting machine 200 shown in FIG. 19 transfers the practice balls coll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body as shown in FIG. To the practice ball input opening.
  •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10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basketball goal (BG) having a ball container 104 for storing the training ball (training ball) supplied from the ball retrieval 200.
  • BG basketball goal
  • the training ball training ball supplied from the ball retrieval 200.
  • FIG. 19 shows an exampl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cuperator 200.
  • the basketball practice apparatus 4 has the ball distributor 300 on the side of the ball recovery machine 200 installed in the adjacent portion, that is, the end line portion of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100 installed on the end line. Equipped.
  • the ball distributor 300 is to drop the ball stored in the empty reservoir 304 provided in the upper to the three-point shooting area through the discharge pipe 316 of the lower, fal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316 or discharge pipe ( 316 may be distributed in the form of flying ball through the inclined end.
  •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ball distributor 300 is not limited thereto.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i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uch as outside.
  •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100 of the basketball practice device 4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in the manual / automatic setting mode and the motion detection mode as described above.
  • the three-point shot operation mode by the operation of the ball distributor 300 or the catch operation of the practice ball flying in the air is also almost the same as the spike mode of the volleyball practice apparatus 3.
  • the rotating switch plate 310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312 of the open / close motor 302 is opened and then closed.
  • One practice ball is directly dropp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hree-point shot area of the ballpark 10 through the dropping outlet 316a provided at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316, or horizontally through the horizontal outlet 316b
  • the exerciser can practice a three-point shot by shooting a ball toward the basketball goal post (BG) by grasping the practice ball falling from the top of the court or fly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fall direction of the discharge pipe 316 may be adjusted by the rotation of the swing motor 320.
  • the controller 324 transmits data to and from the controller 324 of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10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o receive a ball distribution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open / close motor 302 and the swing motor 320 or a remote controller. Can be controlled alone.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ler alone, the controller 324 drives the opening / closing motor 302 and the swing motor 320 by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so that a practice ball accommodated in the ball storage 304 is used. You can drop it into the three-point shot area.
  • the practice ball supply to the ball distributor 300 is supplied by rotating the upper end of the ball discharge pipe 202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all recovery machine 200 installed adjacent to the top opening of the ball distributor 300.
  • the basketball practi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launches the ball toward the basketball court and supplies the ball to various zones including the three-point shot area, so that the basketball practicer catches the practice ball supplied from various positions, including the three-point shot.
  • the ball dropped on the floor can be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practice ball firing apparatus 100 and the ball distributor 300 can be more efficient basketball pract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Toys (AREA)

Abstract

외부로부터 구장의 내부로 발사된 볼을 받고 차는 연습(축구, 족구 등), 위에서 떨어지는 볼을 그대로 공격하는 스파이크 연습(배구, 족구 등), 공중볼을 손으로 잡아 슛하는 연습(농구) 등의 다양한 볼 게임을 연습할 수 있도록 볼을 발사하는 볼 게임 연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볼 게임 연습 장치는 중앙부분으로 양쪽으로 하향 경사진 바닥면과, 상기 일측 코너에서 타측 코너쪽으로 하향 경사진 이송골(transfer furrow)이 형성된 구장(soccer field)을 구비하며, 상기 구장의 터치라인과 골라인이 접하는 코너 또는 중앙영역에 설치되어 공수용기에 수용된 연습볼을 상기 구장을 향해 발사하는 연습볼 발사장치와; 상기 구장의 바닥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면 공투입구로 낙하된 연습볼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연습볼을 배출제어신호에 의해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낙하통로를 통해 상기 구장의 상면으로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에서 배출하는 볼배급기 및 상기 이송골을 따라 한곳으로 모아진 연습볼을 자동으로 회수하여 상기 연습볼 발사장치와 볼배급기로 공급하는 공회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볼 게임 연습 장치
본 발명은 볼 게임 연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외부로부터 구장의 내부로 공급되는 볼을 발로 차는(kicking, shooting) 연습, 위에서 구장의 안으로 떨어지는 볼을 그대로 타격하여 공격하는 스파이크 연습, 공중볼을 손으로 잡아 슛하는 연습 등의 다양한 볼 게임을 연습할 수 있도록 볼을 발사하는 볼 게임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구, 배구, 농구 등 공(ball)을 이용하는 구기 종목은 선수의 공격과 수비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연습보조기구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연습보조기구를 이용할 경우 경기 지도자, 즉, 코치나 감독 등의 피로를 저감할 수 있고, 선수들은 다양한 기술을 빠른 시간에 쉽게 습득할 수 있었다. 축구의 예를 들면, 골라인 또는 코너킥 방향에서 날아오는 볼을 받아 골(goal)로 넣는 발리슛, 땅볼슛, 헤딩슛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구기 연습보조기구의 예로서는 일본특개평 9-276463(1997. 10. 28. 공개) '볼 발사장치'(이하 "특허문헌 1"이라 칭함)와, 미합중국특허 US8,371,964 B2(2013. 2. 12. 등록) "Volleyball spiking training device"(이하 "특허문헌 2"라 칭함)를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開示)된 '볼 발사장치'는 두 개의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두 개의 피칭롤러의 사이로 볼을 투입시켜 피칭롤러의 회전력에 의해 발사하도록 구성되어 되어 있다. 따라서 지속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발사 각도가 일정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고, 발사된 많은 볼(ball)을 수동으로 수집하여 공 수용체에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볼 발사장치'는 비교적 높은 위치에서 볼을 직선으로 발사함으로써 다양한 구기 종목을 연습하기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족구는 한국에서 생겨난 유일한 구기 종목으로, 두 팀 간에 네트를 두고 머리와 발을 이용하여 상대팀으로 볼을 넘겨 승부를 겨루는 종목인데, 위 특허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볼 발사장치'는 두 개의 피칭롤러의 사이로 볼을 투입시켜 앞 방향으로 볼을 발사함으로써 네트를 직접 타격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고, 장비가 매우 고가 이어서 일반적인 생활체육·스포츠 활동에 활용하기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족구와 경기 규칙이 유사한 배구 게임에서도 그대로 대두 된다. 즉,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볼 발사장치'는 볼이 날아가는 수평방향과 발사된 볼의 경사각만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구장의 윗부분으로부터 지면으로 수직 낙하 되는 공중볼을 잡아 토스 하는 농구, 높은 부분으로부터 지면으로 낙하 되는 볼을 손, 발 등의 신체를 이용하여 상대방 코트로 스트라이킹 하는 배구, 족구 등의 구기 기술을 연마할 수 없었다.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배구 스파이킹 연습 장치는 호퍼로부터 내부에 쌓여진 볼(ball)이 경사진 램프(ramp)로 공급되면, 상기 램프의 단부에 결합된 방전스트로브의 헤드에 볼이 홀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전스트로브의 한 쌍의 방전헤드에 홀드된 볼을 플레이어가 손으로 타격하면, 상기 방전헤드가 벌어지면서 볼이 앞으로 튀어나가고 램프로부터 공급된 볼은 상기 방전스트로브의 방전헤드에 홀드된다. 그러나 위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볼배급장치는 램프로부터 공급된 연습볼을 방전스트로브의 끝부분에서 홀드하기 때문에 정지된 볼을 스파이킹 할 수 있을 뿐 공중에서 날아오는 볼을 타격하거나 잡아서 던지는 등의 볼 연습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농구 등과 같은 연습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공중에서 날아온 볼을 킥(KICK)하거나 슛(shoot)을 하고, 배구에서 토스 등의 연습을 할 수 없었다.
일본공개특허 평 9-276463(1997. 10. 28. 공개)
미국특허공보 8,371,964 B2(2013. 2. 12.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축구·풋살·족구·배구·농구 등과 같은 각각의 구기 종목에 따라 미리 규격화된 구장(ball field)으로 연습볼을 자동으로 발사하는 볼 발사장치와, 상기 구장으로 발사된 연습볼을 자동으로 회수하여 상기 볼 발사장치로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써 최소의 비용과 시간을 이용하여 일반인들이 즐겨하는 볼 게임을 보다 손쉽게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볼 게임 연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장에 있는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위치를 향해 볼을 발사하여 리시브 동작을 연습하거나, 구장의 상부에서 아래로 볼을 낙하시켜 스파이크 동작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볼 게임 연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연습볼을 다양한 방향으로 발사할 수 있는 볼 발사장치와, 구장으로 발사된 볼을 자동으로 구장의 골라인 또는 엔드라인(goal line or end line) 방향의 코너 또는 중앙으로 수집되도록 하여 상기 볼 발사장치로 자동공급하는 구성을 갖는 볼 게임 연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장의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볼을 발· 등의 신체부위로 타격하여 상대방의 코트로 넘기거나 손으로 잡아 던지는 볼 게임을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볼배급기를 갖는 볼 게임 연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장 내에 있는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그 방향으로 볼을 일정한 간격으로 발사하거나 플레이어의 예정된 움직임 검출에 의하여 발사하는 볼 발사장치를 구비한 볼 게임 연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압 어큐물레이터에 의해 높은 압력으로 작동하는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중공체의 발사점에 놓인 볼을 타격하여 볼을 발사하는 볼 발사장치를 갖는 볼 게임 연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축구장 또는 풋살 구장의 골라인 부분에 설치된 골대의 통과 구역별로 점수화하여 연습 효과를 극대화하고,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볼 게임 연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장에 있는 플레이어를 향해 볼을 발사하여 상기 플레이어가 리시브 동작 연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구기 연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에서 구장(ball field)라 함은 볼 게임을 할 수 있는 축구장, 농구코트, 배구코트, 족구코트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장의 상부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볼을 신체의 일부로 타격하여 상대방 코트로 넘기는 볼 게임 연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트의 사이드라인과 엔드라인 중 어느 한 라인에 근접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부 일측은 개구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를 공저장기와 배출공간을 구획하고 하부가 개구된 격벽과, 상기 공저장기의 하면에서 상기 배출공간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면과, 상기 배출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에서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배출관과, 상기 격벽에 설치되어 상기 공저장기로부터 상기 배출공간으로 형성된 공 이송경로를 개폐하는 회전 개폐판으로 구성된 볼배급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apect)에 따른 볼 게임 연습 장치는 일정 크기의 공간부를 가지며, 전방향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에서 투입되는 연습볼을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연습볼을 경사진 바닥면을 통해 하부 배출구로 배출하는 공수용기와; 상기 몸체의 공간부의 상부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브래킷을 가지며, 상기 회전브래킷의 양측면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축이음된 발사대와; 중공체로 상기 발사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수용기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습볼을 상기 중공체 일단부의 상부개구를 통해 단부 발사점에 안착시키고 상기 중공체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체의 내부로 출입되는 실린더 피스톤의 단부에 결합된 타격기의 타격에 의하여 상기 발사점에 놓아진 연습볼을 전방향(forward direction)으로 발사하는 연습볼 발사기와;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유압장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를 구동하여 상기 피스톤을 전후 방향으로 출몰시키는 실린더 구동기와; 회전방향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 브래킷을 수직축선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축이음 발사대를 축이음 수평축선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발사제어기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 구동기는 유압이 저장된 유압탱크와, 질소가 충전된 질소튜브를 내부에 가지며 상기 질소튜브의 질소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계를 갖는 유압 어큐믈레이터와, 상기 유압탱크의 유압을 질소탱크로 공급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질소탱크내의 질소압력을 체크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실린더의 유압배출구와 상기 유압탱크의 유입구와 상기 유압펌프의 배출구와 상기 질소탱크의 유입구 및 상기 질소탱크의 배출구와 상기 실린더의 유압유입구 사이에 연결된 회수, 공급 및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들 및 상기 유압펌프를 발사모드와 발사주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순서로 작동시켜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을 출몰시키는 제어기로 구성된 연습볼 발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 게임 연습 장치는 하프라인으로부터 터치라인을 따라 골대가 설치된 골라인으로 하향 경사진 바닥면과, 상기 골라인의 일측 코너에서 타측 코너쪽으로 하향 경사진 이송골이 형성된 구장의 터치라인과 골라인이 접하는 코너영역에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골대의 앞부분 또는 뒷부분 중 어느 한 부분에는 사각틀 형상으로 제작되어 수평 일측과 수직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어레이가 설치되고, 수평 타측과 수직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광소자어레이가 설치된 볼센싱게이트와; 상기 볼센셍게이트의 수평 및 수직 일측에 설치된 발광소자어레이를 점등시키고, 수평 및 수직 타측에 설치된 수광소자어레이의 출력을 읽어 상기 골대의 공 통과구역을 판별하고, 상기 골대 또는 상기 볼센셍게이트 중 어느 한 부분에 설치된 충격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충격신호와 상기 골대의 후방에 설치된 스피드건의 출력에 의해 스코어를 환산하는 스코어제어기 및 상기 스코어제어기에서 환산된 점수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른 볼 게임 연습 장치는 구장의 하프라인으로부터 사이드라인을 따라 엔드라인으로 하향 경사진 바닥면과, 상기 엔드라인의 일측 코너에서 타측 코너으로 하향 경사진 이송골이 형성된 족구장과; 상부에서 낙하되는 연습볼을 저장하는 공수용기를 구비하여 상기 족구장의 코너 부분에 위치되며, 공수용기에 수용된 연습볼을 상기 족구장의 상대방 코트로 발사하는 연습볼 발사장치와; 상기 족구장에 설치된 네트 폴의 위치보다 높게 설치되어 상면 공투입구로 낙하된 연습볼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연습볼을 배출제어신호에 의해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낙하통로를 통해 상기 족구장의 코트로 배출하는 볼배급기와; 일단부가 상기 볼배급기의 상면 공투입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탄부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공이송라인과; 상기 이송골의 하향 종단 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설치된 회수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원통체의 아랫부분의 입구로 모아진 연습볼을 상부로 이송시켜 상부 측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연습볼 발사장치의 상부와 상기 공이송라인의 상부로 낙하시키는 공회수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른 볼 게임 연습 장치는 구장의 하프라인으로부터 사이드라인을 따라 엔드라인으로 하향 경사진 바닥면과, 상기 엔드라인의 일측 코너에서 타측 코너쪽으로 하향 경사진 이송골이 형성된 구장과; 상부에서 낙하되는 연습볼을 저장하는 공수용기를 구비하여 상기 구장의 코너 부분에 위치되며, 공수용기에 수용된 연습볼을 상기 구장의 상대방 코트로 발사하는 연습볼 발사장치와; 상기 이송골의 하향 종단 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설치된 회수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원통체의 아랫부분의 입구로 모아진 연습볼을 상부로 이송시켜 상부 측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연습볼 발사장치의 상부와 볼 배급기로 낙하시키는 공회수기와; 상기 구장의 사이드라인과 평행한 위치에서 이격 설치된 가이드 레일과; 상단이 상기 구장에 설치된 네트 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는 롤러 바퀴가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 상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서 상기 구장의 코트를 향하여 결합되며, 상기 기둥이 상기 공회수기의 배출구에 근접하였을 때 상면 공투입구로 낙하된 연습볼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연습볼을 배출제어신호에 의해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배급관을 통해 상기 구장의 코트로 배출하는 볼배급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른 볼 게임 연습 장치는 구장의 하프라인으로부터 사이드라인을 따라 엔드라인으로 하향 경사진 바닥면과, 상기 엔드라인과 사이드라인이 접하는 양 코너에서 엔드라인이 중앙부분으로 하향 경사진 이송골이 형성된 농구장과; 상기 엔드라인의 중앙부분의 뒤쪽에 세워진 농구골대와; 외부에서 투입되는 연습볼을 저장하는 공수용기를 구비하여 상기 농구골대의 뒤편에 위치되며, 상기 공수용기에 수용된 연습볼을 상기 농구장의 코트로 발사하는 연습볼 발사장치와; 상기 이송골에서 가장 낮은 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설치된 회수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원통체의 아랫부분의 입구로 모아진 연습볼을 상부로 이송시켜 상기 연습볼 발사장치의 연습볼 투입개구로 배출하는 공회수기 및 상부에 마련된 공저장기에 저장된 볼을 하부의 배출관을 통하여 농구장의 슛 영역으로 볼을 낙하시키는 볼배급기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 연습 장치.
상기 중공체의 일단부의 구경은 상기 연습볼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연습볼이 상기 중공체의 단부에 설정된 발사점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구장에는 원통체로 상부에 설치된 회수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원통체의 아랫부분의 입구로 모아진 연습볼을 상부로 이송시켜 상부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볼 발사장치의 공수용기의 상부로 배출하는 공회수기(ball reclaimer)가 상기 이송골의 하향 종단 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회수기는 하부의 일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배출개구를 가지고 상기 이송골의 하향 종단 부분에 수직하게 세워진 원통형 수집관과, 외주연에 나선형 스크류가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수집관의 내부 중심에 설치된 회수모터의 축에 결합되며 상기 회수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연습볼을 상기 나선형 스크류를 따라 상기 수집관의 상부 배출개구 쪽으로 이송하는 스크류 이송기로 구성된다.
상기 공회수기는 수집모터의 회전에 의해 진동되어 상기 이송골의 하향 종단에 위치된 연습볼을 상기 원통형 수집관의 투입구로 공급하는 수집진동판이 상기 이송골로부터 상기 원통형 수직관의 투입구 측으로 경사지게 더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실린더 구동기는 유체가 저장된 유압탱크와, 질소가 충전된 질소튜브를 내부에 가지며 상기 질소튜브의 질소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계를 갖는 유압 어큐물레이터(oil pressure accumulator)(이하 '질소탱크' 라 칭함)와, 상기 유압탱크의 유체를 질소탱크로 공급하여 압력을 높이는 유압모터와, 상기 질소탱크내의 질소압력을 체크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실린더의 유압배출구와 상기 유압탱크의 유입구와 상기 유압펌프의 배출구와 상기 질소탱크의 유입구 및 상기 질소탱크의 배출구와 상기 실린더의 유압유입구 사이에 연결된 회수, 공급 및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들을 발사모드와 발사주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순서로 작동시켜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을 출몰시키는 발사제어기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의 서로 다른 측면에는 상기 구장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설치되며, 상기 발사제어기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에 의해 구장에 있는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검출하며, 상기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움직임일 때 상기 유압장치를 구동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 게임 연습 장치는 유압 실린더 작동에 의해 볼을 발사하는 연습볼 발사장치를 축구장의 코너 또는 농구장에 설치된 농구골대 뒷부분에 설치하여 페널티킥·킥·슛 등을 연습할 수 있도록 구장으로 연습볼을 설정모드에 따라 발사하여 플레이어로 하여금 상기 발사된 연습볼을 발로 차거나 손으로 잡아 던지거나 타격함으로써 다양한 볼 게임을 연습할 수 있다. 또한, 구장 바닥면의 상부의 수평방향에서 구장을 향해 연습볼을 날리거나 수직방향에서 구장 바닥면으로 연습볼을 낙하시켜 스파이크, 토스 등의 볼을 연습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볼 게임을 연습할 수 있다. 그리고 구장의 바닥으로 떨어진 연습볼을 골라인 또는 엔드라인 측에서 자동으로 수집하여 연습볼 발사장치로 공급함으로써 무인으로 볼 게임 연습장을 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습볼 발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습볼 발사장치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습볼 발사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습볼 발사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습볼 발사를 위한 중공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습볼 발사기의 제어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습볼 발사장치의 작동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습볼 발사장치의 작동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회수기의 구체적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배급기의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축구 연습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구장의 단면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볼 발사장치와 공회수기의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대의 통과 구역별 점수를 감지하기 위한 볼 센싱 게이트의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코어 카운터의 회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족구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구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구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농구장 엔드라인의 뒤편에 형성된 이송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축구, 배구, 농구 및 한국인의 고유 구기 종목인 족구 게임을 연습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축구와 배구, 농구 및 족구 게임의 구장 규격과 구장에 그려진 각 라인의 명칭은 서로 다르나, 축구의 하프라인, 농구, 배구 및 족구의 센터라인은 모두 경기장 중앙에 그어져 경기장을 양분하는 선으로 동일한 것이며, 본 발명은 게임의 중목에 관계없이 중앙에 그려진 선을 하프라인이라 칭한다.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볼 발사장치(10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볼발사장치(100)는 몸체(102)의 내부에 일정 크기의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몸체(102)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측은 개방된 구조로 제공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연습볼을 발사하기 위한 연습볼 발사기(105)가 위치된다. 이때,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연습볼 발사기(105)를 좌우, 상하로 회전시키고 연습볼 발사기(105)를 작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구성요소가 내장되어 이들 상호간에 작동상 긴밀한 연결 관계를 가지는 바, 이들 내부 구성요소와 그 작동관계는 뒤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연습볼이라 함은 실제 사용하는 통상의 축구공·공·공 등이 사용될 있다. 또한, 상기 연습볼 발사장치(100)의 전면과 측면에는 카메라1(CAM1)와 카메라2(CAM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CAM1, CAM2)는 몸체(102)의 전방과 측면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그에 대응하는 영상정보를 취득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연습볼 발사장치(100) 몸체(102)의 하단이 모서리 부분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몸체(102)를 고정시키기 위해 바퀴의 전,후방 어느 일측에 이의 회전을 방지하는 공지된 형태의 고정수단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방측 바퀴는 몸체(102)의 이동시 모든 방향으로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회전이 자유로운 공지의 구조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2)의 상측에는 상기 연습볼을 수용하기 위한 일정 크기의 외벽을 갖는 공수용기(104)가 결합된다. 상기 공수용기(104)는 상하가 개방된 사각통 형상으로 제작되며, 적재된 연습볼의 양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그물망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02)의 상면에는 상기 공수용기(104)로부터 공급되는 연습볼을 몸체(102) 내부로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일정 크기의 유입구(107)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02)의 상면은 연습볼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유입구(107)를 향해 소정 각도의 하향 경사면으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몸체(102)와 그 상부에 결합된 공수용기(104)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몸체(102)의 상면의 가장자리 측에는 끼움홈을 형성하고, 공수용기(104)의 하면 가장자리 측에 끼움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끼움돌기가 끼움홈에 끼움결합되면서 공수용기(104)가 상기 몸체(102)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몸체(102)의 외부에는 작동스위치,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조작키 버튼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로서는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몸체(102)의 공간부에 설치된 연습볼 발사기(105)는 몸체(100)의 상부에 결합된 공수용기(104)로부터 연습볼을 공급받아 이를 발사시키는 것이다. 연습볼의 이송을 위해 상기 몸체(100)의 경사면(103)에 형성된 유입구(107)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소정 직경의 연결관(주름관)(116)이 인입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116)은 연습볼 발사기(105)를 구성하는 도 4에 도시된 중공체(114)의 앞부분의 상부에 개구된 유입공(11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중공체(114)의 유입공(115)으로 유입된 연습볼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 지점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중공체(114)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라운드된 돌부(114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유입공(115)으로 유입된 연습볼은 타격이 없이는 발사체인 중공체(114)의 외부로 흘러나가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중공체(114)의 단부에는 연습볼의 유무를 판별하여 도 6과 같이 구성되는 제어기(MPU)로 제공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센서로서는 포토센서(photo sensor) 등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공체(114)는 이 하부에 구비되는 축이음 발사대(112)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축이음 발사대(114)는 그 하부에 구비되는 회전 브래킷(110)에 양측면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상태로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축이음 발사대(112)의 일 측면에는 랙기어(118)가 일체로 구비되고, 이 랙기어(118)와 상기 축이음 발사대(112)의 일측단에 구동기어(119)는 상호 치합된 상태로 제공되어 구동기어(119)에 연결된 경사모터(117)에 의해 중공체(114)가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 브래킷(110)은 그 하부에 구비되는 회전모터(120)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판(128)에 나사로 체결되어 상기 회전 모터(120)의 구동에 의해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습볼 발사장치(100)의 연습볼 발사기(105)는 회전브래킷(110)의 좌우회전과 발사대(112)의 상하 회전에 의해 중공체(114)의 단부에 위치된 연습볼을 상· 또는 좌·방향으로 발사가 가능해진다.
상기 중공체(114)에 유입된 연습볼은 중공체(114)의 후단에 결합된 실린더(130)의 작동에 의해 전방향으로 발사된다. 실린더(130)의 피스톤(13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체(112)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으며, 피스톤(132)의 단부에는 타격판(134)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132)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나, 연습볼을 보다 멀리 발사하기 위해서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압실린더(132)는 일반적인 것과 같이 유압유입구와 유압배출구를 가지며, 유압유입구에는 유압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150)를 경유하여 질소탱크(144)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유압배출구는 유압 회수 솔레노이드 밸브(146)를 통해 유압탱크(14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유압탱크(140)와 상기 질소탱크(144) 사이에는 유압펌프(142)가 연결되어 있고, 이때, 유압펌프(142)와 상기 질소탱크(144) 사이에는 유압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148)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질소탱크(144)의 내부에는 질소가 충전된 질소튜브를 내부에 가지며 상기 질소튜브의 질소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계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질소탱크(114)에 유압이 공급되면 공급되는 유압량에 비례하여 질소튜브에 압력이 가하여 짐으로써 질소튜브의 내부 압력이 증가한다. 내부 압력의 증가정보는 제어기(MPU)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회로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실린더(30)의 피스톤(132)을 전방향으로 돌출시키기 위해서, 제어기는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148)를 개방한 상태에서 유압펌프(142)를 구동하여 유압탱크(140)내의 유압을 질소탱크(144)로 공급한다. 지속적인 펌핑에 의하여 질소탱크(144) 내로 공급되는 유압량이 증가하면, 그 내부에 설치된 질소튜브에 압력이 가해지고 이 압력증가 정보는 제어기로 제공된다. 질소튜브의 압력 감지정보가 미리 설정된 압력 값을 가지면 유압펌프(142)의 작동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148)를 닫는다. 따라서, 질소탱크(148)내에는 높은 압력으로 유압이 채워진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발사명령이 외부(터치스크린)으로부터 제어기로 입력되거나,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발사주기가 되면 상기 제어기는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150)를 일정시간 동안만 개방한다. 상기의 동작에 의해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150)가 개방되면, 질소탱크(144)에 높은 압력으로 채워진 유압이 실린더(130)의 유압유입구로 공급됨으로써 실린더(130)내의 피스톤(130)이 전방향으로 돌출되며, 이러한 동작에 의해 그 단부에 부착된 타격판(134)이 중공체(114)의 단부에 놓여진 연습볼을 타격하여 전방향으로 발사한다.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150)를 일정시간 동안만 개방 구동한 제어기가 회수 및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146, 148)를 개방하고 유압펌프(142)를 구동하면, 실린더(130)내에 채워진 유압이 유압탱크(140)로 회수됨으로써 피스톤(132)은 실린더의 내부로 들어간다.
상기 제어기는 전술한 유압회로의 구동은 물론 회전브래킷(110)의 하부에 결합된 회전모터(120)와 측면에 결합된 경사모터(117)의 회전을 제어하여 중공체(114)의 단부를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향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발사기의 발사제어기의 블록도로서, 연습볼발사장치(100) 몸체(102)의 내부공간부에 마련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사제어기는 몸체(102)의 네면 중 적어도 1면 이상에 구장(10)을 비추는 카메라 1, 2(CAM1, CAM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카메라(CAM1, CAM2)는 공이 발사되는 연습볼 발사장치(100)의 정면과 하프라인 쪽을 촬영하도록 각각 설치된다. 또한, 터치스크린(TS)은 몸체(102)의 측면 중 어느 한 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스위치,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키 버튼이 터치스크린 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TS)으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선택행위(수동, 자동, 카메라모드, 방향 설정모드, 패널티킥모드, 헤딩슛 모드, 발리슛 모드설정 등)의 정보와 상기 카메라1 ,2(CAM1, CAM2)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신호는 제어기(MPU)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기(MPU)는 상기 연습볼 발사장치(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크게는 수동모드, 자동모드, 카메라 모드로 구분되어 동작된다.
수동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기(MPU)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방향 설정 키(수직, 수평)의 입력에 의하여 회전모터(120)와 경사모터(117)를 구동하여 연습볼 발사기(105)의 발사 방향을 설정하고,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발사명령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 구동부(SOD)를 통해 유압장치의 실린더(130)를 작동시켜 연습볼을 발사한다. 자동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기(MPU)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방향 설정 키(수직, 수평)의 입력에 의하여 회전모터(120)와 경사모터(117)를 구동하여 연습볼 발사기(105)의 발사 방향을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 주기(예를 들면 매 15초)마다 솔레노이드밸브 구동부(SOD)를 통해 유압장치의 실린더(130)를 작동시켜 연습볼을 발사한다. 카메라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기(MPU)는 카메라 1, 2(CAM1, CAM2)에서 촬영된 구장의 플레이어의 방향으로 연습볼 발사기(105)가 향하도록 회전모터(120)와 경사모터(117)를 제어한 후 플레이어가 미리 설정된 움직임으로 움직일 때(예를 들면, 플레이어가 팔을 위로 높이 쳐들었을 때) 1 내지 2초 후에 솔레노이드밸브 구동부(SOD)를 통해 유압장치의 실린더(130)를 작동시켜 연습볼을 발사하도록 상기 연습볼 발사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습볼 발사장치의 작동 순서도로서, 이는 수동모드와 자동모드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습볼 발사장치의 작동순서도로서, 이는 몸체(102)의 측면에서 설치된 카메라 1, 2(CAM1, CAM2)에 의해 발사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카메라 1, 2(CAM1, CAM2)에 의해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연습볼을 발사하는 것이다.
우선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연습볼 발사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연습볼 발사장치(10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몸체(102)의 외부에 터치스크린(TS)이 구비되며, 이 터치스크린(TS)은 상기 몸체(102) 속에 내장된 제어기(MPU)에 연결되어 있는바, 터치스크린(TS)을 통한 데이터 입력에 의해 제어기(MPU)는 상기 몸체(102) 내부에 구비된 각 작동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기가 상기 몸체(102) 내부의 경사모터(117)과 회전모터(120), 유압펌프(142) 및 각종 솔레노이드밸브(146, 148, 1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시작한다.
연습볼 발사장치(100)는 상기 제어기(MPU)의 제어에 의해 수동설정모드와 움직임감지모드로 운전이 가능하다. 수동설정모드는 사용자가 몸체(102)에 설치된 터치스크린(TS)을 이용하여 운동모드(페널티킥, 코너킥 세트 플레이, 땅볼슛, 발리슛볼, 헤딩슛볼, 서브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와 발사 주기(예를 들면, 약 15초마다 공이 발사)를 설정한 후 발사 버튼을 눌렀을 때마다 연습볼을 구장(10)으로 발사하거나 땅볼 코너킥, 발리슛 코너킥, 헤딩슛 코너킥, 서브볼 중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혼합모드를 선택하고 발사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선택된 운동모드에 따라 중공체(114)의 발사각도(경사 및 회전 모터117, 120)를 조절하고 연습볼을 미리 설정된 주기로 연속하여 발사하는 것이다. 이때 발사버튼은 터치스크린(TC)에 있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통상의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여 축구 플레이어가 휴대하고 있는 리모콘에 구비될 수 있다.
[연습볼 발사장치(100)의 수동/자동 설정모드]
연습볼 발사장치(100)가 동작되면, 발사기(MPU)는 S1과정에서 질소탱크(144)내의 압력을 체크하여 실린더(130)의 피스톤(132)을 미리 설정된 속도로 돌출(토출)시킬 수 있는 압력인지를 검색한다. 질소탱크(140)내의 질소튜브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제어기는 S6과정에서 솔레노이드밸브 구동부(SOD)를 통해 회수 및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146, 148)를 개방한 후 유압펌프(142)를 구동한다. 따라서, 실린더(130)내의 유압은 유압탱크(140)로 회수된 후 질소탱크(144)로 공급된다. 질소탱크(144)로 유압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그 내부에 설치된 질소튜브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여 설정 압력까지 도달된다.
상기 S2과정에서 질소탱크의 압력이 설정 압력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기(MPU)는 S3과정에서 솔레노이드밸브 구동기(SOD)를 통하여 회수,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146, 148, 150)를 폐쇄하고, S4과정에서 터치스크린 또는 리모콘의 발사버튼이 눌러졌는가를 검색한다. 상기 S4과정에서 발사버튼이 눌러졌다고 판단되면, 제어기(MPU)는 S5과정에서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148)를 미리 설정된 시간(T) 동안 개방한다. 이때, 질소탱크(144)에 높은 압력으로 충진된 유압이 압축된 질소튜브의 팽창으로 인하여 고속으로 상기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148)를 통하여 실린더(130)의 유입구로 공급된다.
따라서, 실린더(130)는 매우 높은 압력으로 유입되는 유압에 의해 그 내부에 위치된 피스톤(132)을 전방향으로 돌출시키며, 상기 피스톤(132)의 전방향 돌출에 의하여 그 단부에 결합된 타격판(134)이 중공체(114)의 단부에 놓여진 연습볼을 타격하여 전방향으로 발사한다. 이때, 연습볼 발사장치(100)의 몸체(102)의 공간부에 위치된 연습볼 발사기(105)의 발사각은 전술한 경사모터(117)와 회전모터(120)를 제어기가 제어하여 설정한 것으로 결정된다.
상기 S5과정을 수행한 제어기(MPU)는 S6과정에서 솔레노이드밸브 구동기(SOD)를 통해 회수,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146, 148)를 개방한 후 S7과정에서 유압펌프(142)를 구동하여 질소탱크(142)에 유압을 충진시킨다.
만약, 전술한 S4과정에서 터치스크린(TS에 표시된 발사버튼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라면, 제어기(MPU)는 S8과정에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 연습볼 발사기(105) 중공체(114)의 수평, 수직각과 발사 인터발을 조절한 후 전술한 S5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S8과정에서 설정된 모드라 함은 자동발사모드, 카메라모드로의 설정을 의미한다.
만약, S8과정에서 설정모드가 자동발사모드인 경우, 제어기(MPU)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방향 설정 키(수직, 수평)의 입력에 의하여 회전모터(120)와 경사모터(117)를 구동하여 연습볼 발사기(105)의 발사 방향을 설정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솔레노이드밸브 구동부(SOD)를 통해 유압장치의 실린더(130)를 작동시켜 연습볼을 발사한다. 또한, S8과정에서 설정모드가 카메라 모드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기(MPU)는 도 8의 수순으로 연습볼 발사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며, S8과정에서 정지모드인 경우에는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다.
[움직임 감지모드]
움직임 감지모드는 몸체(102)의 측면에서 설치된 카메라 1, 2(CAM1, CAM2)에 의해 발사방향을 설정한 후 상기 카메라 1, 2(CAM1, CAM2)에 의해 전방 또는 측면에 있는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연습볼을 발사하는 것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제어기(MPU)는 S104과정에서 현재의 모드가 카메라동작모드인지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결과 카메라 동작모드가 아닌 경우라면 S17과정으로 점프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동/자동모드 조작에 따라 연습볼을 발사한다.
상기 S12과정에서 카메라 동작모드로 판단되면, 제어기(MPU)는 S11과정에서 몸체(102)의 측면에서 설치된 카메라1, 2(CAM1, CMA2)에서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S12과정에서 연습볼 발사장치(100)의 전방 또는 측방에 있는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검출한 제어기(MPU)는 검출된 플레이어가 있는 위치를 파악 후 S13과정에서 경사모터(117)과 수평모터(120)를 제어하여 수직각과 수평각을 조절하여 연습볼 발사기(105) 발사각도를 설정한다.
이후 상기 제어기(MPU)는 S14과정에서 카메라 1, 2(CAM1, CAM2)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피사체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S15과정에서 플레이어의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움직임인지를 검색한다. 예를 들면, 플레이어가 팔을 높이 치켜 들은 상태인지를 검색한다. 이러한 검색은 1초 전의 프레임영상과 현재 프레임의 영상을 비교하여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상기 S15과정에서 카메라 1, 2(CAM1, CAM2)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플레이어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움직임이라고 판단되면, 제어기(MPU)는 S16과정에서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기(SOD)를 제어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린더(130) 피스톤(132)의 앞부분에 설치된 타격판(134)이 연습볼을 타격하여 연습볼이 피사체를 향하여 발사되도록 한다.
상기 연습볼 발사장치(100)의 발사된 작동모드에 따라 연습볼 발사기(105)의 발사구가 어느 한 부분을 향할 것이고, 플레이어를 향하여 발사된 연습볼이 플레이어의 신체(예컨대, 발, 손 등)에 맞아 터치라인 또는 꼴라인 쪽으로 날아가거나 굴러가 결국에는 구장 바닥면에 떨어질 것이다.
상기한 실시 예에서는 연습볼 발사기(105)의 구동기를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것을 일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의 명세서를 이해한 통상의 기술자라면 공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회수기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구장(10)의 바닥의 일측에 설치된 것을 보인 것이다. 이때, 상기 구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 게임을 할 수 있는 축구장, 농구코트, 배구코트, 족구코트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구장(10)으로 떨어진 연습볼은 하프라인(또는 하프라인)으로부터 골라인(또는 엔드라인) 방향으로 굴러가도록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경사지게(θ2)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공회수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장(10)의 골라인 또는 엔드라인의 뒷부분에 형성된 이송골(14)에 설치된다.
상기 이송골(14)은 일측 코너에서 타측 코너쪽 또는 중앙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프라인(HL) 또는 하프라인으로부터 양측 골라인 또는 엔드라인으로 경사진 구장(10)으로 떨어지는 연습볼은 상기 하프라인(HL)로부터 골라인 방향으로 굴러가며, 종국에는 이송골(14)로 모아진다. 상기 이송골(14)로 모아진 연습볼은 원통형 수집관, 즉, 공회수기(200)의 하단측으로 굴러가며, 상기 공회수기(200)의 하단측으로 유입된 연습볼은 공회수기(200)의 하단 게이트(G)로 유입된다.
도 9와 같이 공회수기(200)의 상부에 설치된 회수모터(206)가 회전되면, 그에 연결된 회전축(208)이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208)의 외주 면에는 연습볼의 지름보다 약 1cm 정도 넓은 피치(예를 들면 220mm)를 갖는 나선형 스크류(2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회전축(208)과 공회수기(200)의 내측면간의 거리(r1)는 연습볼의 직경(r2)보다 2mm~3mm정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208)이 회전되면, 공회수기(200)의 하단 게이트(G)로 유입된 연습볼은 회전축(208)과 나선형 스크류(210)로 구성된 스크류 이송기(212)를 따라 상부로 이송된다. 이때 회전축(208)과 공회수기(200)의 내측면간의 거리(r2)는 연습볼의 지름(r1)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연습볼이 약간 찌그러지므로 상부로의 이송이 원활하게 된다.
상기 공회수기(200)의 게이트(G)의 앞부분의 이송골(14)에는 진동모터(216)의 회전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진동되는 진동판(214)이 매설되어 있다. 상기 진동모터(216)는 공 회수 동작 시 회수모터(206)와 동시에 회전되어 하향 경사진 이송골(14)의 단부에 모아진 연습볼을 공회수기(200)의 게이트(G) 쪽으로 원활하게 들어가게 한다.
상기 공회수기(200)의 스크류 이송기(212)의 상부로 이송된 연습볼은 나선형 스크류(210)의 회전에 의하여 공배출관(202)으로 배출된다. 상기 공배출관(202)을 통해 배출되는 연습볼은 도 1 내지 도 8과 같이 구성되어 공회수기(200)에 인접하여 설치된 연습볼 발사장치(100)의 공수용기(104)의 상부 개구를 통해 그 안으로 넣어진다.
상기 실시 예에서 공회수기(200)는 원통형 수집관(204)의 내부에 나선형 스크류(210)의 회전축(208)을 설치하여 상기 나선형 스크류(210)와 원통형 수집관(204)의 내측벽을 따라 상부로 이송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와 등가 구성을 갖는 스크류 이송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선형 스크류(210)의 회전축(208)으로부터 연습볼이 굴러 유입되는 게이트의 방향으로 연습볼의 직경(r2)보다 1mm~2mm정도 짧은 거리의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두 개의 폴(pole)을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공회수기의 게이트로 연습볼이 굴러 유입되면, 회전축(208)과 두 개의 폴의 사이에 위치되며, 나선형 스크류가 회전되면 연습볼은 상기 회전축과 두 개의 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연습볼 발사장치(100)의 공수용기(104)의 상부 개구를 통해 그 안으로 넣어진다.
상기한 도 9의 구성에서 공회수기(200)의 상부에 설치된 공배출관(202)은 도면에서 "R"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수집관(204)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수동으로 회전 또는 모터에 의해 링기어 등을 회전시켜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볼배급기(300)의 상세구성도로서, 구장(10)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기둥(25)에 설치되어 구장(10)으로 연습볼을 낙하시키거나 수평방향에서 연습볼을 비행시켜 구장(10)에 있는 플레이어를 행해 볼을 배급하는 것으로, 족구 및 배구의 스파이킹, 농구의 3점 슛 등을 연습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볼배급기(300)는 기둥(250)의 상부 일측면에 결합된 하우징(301)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301)의 상부 일측은 개구되어 그 내부에 공저장기(304)를 형성하며, 상기 공저장기(304)의 내부는 격벽(308)에 의해 분리되어 배출공간(306)을 형성한다. 상기 공저장기(304)의 바닥면(305)은 배출공간(306) 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배출공간(306)의 바닥면에는 연습볼을 배출하는 배출관(316)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공간(306)의 아래에 형성된 배출개구의 일측에는 스토퍼(314)가 수직하게 설치되며, 격벽(308)에는 회전개폐판(310)이 하우징(301)내의 일측에 고정된 개폐모터(302)의 회전축에 나사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개폐판(310)은 상기 개폐모터(302)의 회전에 의해 격벽(308)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멍을 개폐하여 공 저장공간(304)에 수용된 연습볼이 배출구멍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관(316)의 상단부에는 하우징(302)의 아랫부분에 마련된 설치공간의 내부로 삽입되며 그 주위에는 직선베벨기어(318)의 랙기어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직선베벨기어(318)의 구동기어는 설치공간에 고정된 스윙모터(320)의 회전축(322)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개폐모터(302)와 스윙모터(320)와 제어기(MCU)(324)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출관(316)은 하향 경사져 구성되며, 단부에는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낙하출구(316a), 경사진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출구(316b)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316)으로 유입된 공은 상기 낙하출구(316a)와 수평출구(316b)의 사이에 결합된 댐퍼(316c)에 의해 상기 수직낙하출구(316a) 또는 수평출구(316b)로 배출된다.
상기 댐퍼(316c)는 모터 등으로 구성되는 댐퍼구동기(316d)에 의해 상기 수직낙하출구(316a) 또는 수평출구(316b) 중 어느 한 쪽을 개방한다. 댐퍼구동기(316d)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통상의 수동댐퍼(개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댐퍼구동기(316d)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댐퍼구동기(316d)는 리모컨의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기(324)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면, 상기 댐퍼구동기(316d)가 댐퍼(316c)를 수직방향으로 구동하면, 상기 수직낙하출구(316a)는 개방되고 수평출구(316b)는 닫히므로 배출관(316)으부터 배출되는 연습볼은 아랫방향으로 직하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댐퍼구동기(316d)가 댐퍼(316c)를 수평방향으로 구동하면, 상기 낙하출구(316a)은 닫히고 수평출구(316b)가 개방됨으로써 배출관(316)으부터 배출되는 연습볼은 수평출구(316b)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비상하면서 낙하된다.
도 10에 도시된 제어기(324)의 제어에 의해 개폐모터(302)가 1회전되면, 상기 개폐모터(302)의 회전축(312)에 축결합된 회전개폐판(310)이 열린 후 닫힘으로 1개의 연습볼이 배출관(316)의 단부에 마련된 수직낙하출구(316a)를 통해 연습볼을 구장(10)의 바닥면(코트) 상부에서 직접 떨어지게 하거나, 수평출구(316b)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비상 후 구장(10)의 바닥(코트)으로 떨어지게 하여 플레이어는 위로부터 다양한 방향으로 떨어지는 볼을 타격하거나 날아오는 연습볼을 잡아 슛하는 연습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구장(10)의 바닥면(코트)의 상부에서 직하로 떨어지거나 수평방향에서 날아온 연습볼을 손으로 강하게 타격하는 스파이크공격을 연습하거나 발로 킥하는 연습 등을 다양하게 할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윙모터(320)의 회전에 의해 배출관(316)의 단부의 방향을 조절하여 공의 낙하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위치에서 연습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324)는 연습볼 발사장치(100)의 제어기(324)와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볼 배급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개폐모터(302)와 스윙모터(320)를 제어하거나, 리모컨 단독으로 제어할 수 있다. 리모컨 단독으로 제어하는 경우, 제어기(324)를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되는 원격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모터(302)와 스윙모터(320)를 구동하여 공저장기(304)에 수용된 연습볼을 구장(10)의 바닥(코트)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습볼 발사장치(100), 공회수기(200) 및 볼배급기(300)는 구기 종목, 예를 들면, 축구, 족구, 배구 및 농구에 적용할 수 있으며, 각 구기 종목에 따라 구장의 설치되는 위치가 적절하게 선정되어야 한다. 아래 도 11, 도 16, 도 17 및 도 18은 축구 연습 장치, 족구 연습 장치, 배구 연습장치 및 농구연습장치의 예시를 보여준다.
축구연습장치의 실시예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축구 연습 장치(1)는 소정의 넓이로 마련된 구장(10)을 갖는다. 상기 구장(10)의 골라인의 코너영역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습볼을 구장(10)을 향해 발사하는 연습볼 발사장치(100)와 골라인측으로 모아진 연습볼을 자동으로 수집하여 상기 연습볼 발사장치(100)로 공급하는 공회수기(200)가 구장(10)의 대각선 방향의 끝부분에 2개의 그룹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장(10)의 양측 골라인에는 통상의 축구장에 설치된 골대(12)가 설치된다.
도 11에 도시된 구장(1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라인(HL)으로부터 양측의 골라인으로 1 내지 5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골라인측,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골대(12)의 뒤쪽에는 일측 코너에서 타측 코너 쪽으로 하향 경사진 이송골(transfer furrow)(14)이 형성되어 상기 구장(10)의 바닥면으로 떨어진 연습볼은 경사면을 따라 골라인으로 굴러가 이송골(14)로 유입되며, 상기 이송골(14)로 유입된 연습볼은 이송골(14)의 경사면을 따라 코너측에 설치된 공회수기(200)의 게이트(G) 쪽으로 모아진다.
도 11과 같이 구성된 축구 연습 장치(1)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구장(10)의 양측에 설치된 연습볼 발사장치(100)들 중 하나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이러한 활성화는 플레이어가 가지고 있는 리모컨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리모컨을 이용하여 활성화된 연습볼 발사장치(100)의 동작모드가 '수동/자동설정모드' 또는 '움직임감지모드'로 설정되면, 해당 연습볼 발사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장(10)의 플레이어를 향해 연습볼을 발사한다. 따라서, 구장(10)에 있는 플레이어는 연습볼 발사장치(100)로부터 페널티킥, 코너킥 세트 플레이, 땅볼슛, 발리슛볼, 헤딩슛볼의 형태로 발사되는 연습볼을 킥하거나 헤딩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어가 연습볼 발사장치(10)에서 발사된 볼을 골대(12)를 향해 킥 또는 슛하면, 상기 연습볼은 골대(12)로 들어간다.
본 발명은 골대(12)안으로 연습볼이 들어가는 것을 감지하여 점수화하는 기술적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골대(12)의 앞 또는 뒷부분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센싱게이트(ball sensing gate)(BSG)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기론 볼센싱게이트(BSG)는 골대(12)의 뒷부분에서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볼센싱게이트(BSG)는 골대(12)과 같이 파이프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골대(12)의 뒷부분에 사각틀 형상으로 설치된다. 사각틀 형상을 갖는 볼센싱게이트(BSG)의 상부측과 좌측에는 다수의 발광소자(발광다이오드, 적외선발광다이오드 등) 어레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볼센싱게이트(BSG)의 하부측과 우측에는 수광소자(예를 들면, 적외선포토다이오드 또는 포토트랜지스터 등) 어레이가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볼센싱게이트(BSG)는 연습볼이 골대(12)를 통과하였을 때, 골대(12)의 어느 부분(영역)을 통과하였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후술하는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기 볼센싱게이트(BSG)의 후방에는 골대(12)를 향하여 날아오는 연습볼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스피트 건(Speed Gun, SG)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축구 연습 장치(1)는 다수의 인원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축구의 예를 들고 있으나, 풋살(futsal)과 같이 실내에서 행해지는 5인제 미니 축구 경기에서도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축구 연습과 풋살 경기를 번갈아 가면서 이용할 수 있는데, 축구 또는 풋살의 경기에 따라 구장(10)에 설치된 골대(12)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골대(12)의 하면에 이동할 수 있는 바퀴 등을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즉, 구장은 실내에서 손쉽게 구성할 수 있는 풋살 구장에 축구 연습 장치(1)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풋살구장으로 사용하다가, 개인 또는 수명이 축구 연습을 할 수 있는 연습장으로 용이하게 변경 사용할 수 있도록 골대(12)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습볼이 골대를 통과시 축구 골 점수 환산모드]
도 11에 도시된 골대(12)에 연습볼이 통과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볼센싱게이트(BSG)의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볼센싱게이트(BSG)의 센세들 각각은 발광소자어레이(XL1~XL4, YL1~YL10)와 이에 대응하여 반대쪽에 설치되는 수광소자어레이(XP1~XP4, YP1~YP10)로 구성된다.
도 13은 볼센싱게이트(BSG)의 실시 예시도로서, 축구 골대를 40개의 구역으로 분할하여 구역별 점수를 정하고, 해당 구역이 연습볼이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의 볼센싱게이트(BSG)의 내부에 표기된 아라비아 숫자 "0~10"은 구역별 점수를 표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골대(12)의 뒷부분에 결합된 볼센싱게이트(BSG)는, 볼센싱게이트(BSG)의 좌측과 상측에 발광소자어레이(XL1~XL4, YL1~YL10)가 설치되고, 상기 볼센싱게이트(BSG)의 우측과 하부측에 수광소자어레이(XP1~XP4, YP1~YP10)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사각틀 형상으로 제작되는 볼센싱게이트(BSG)의 좌측과 우측에 설치된 발광소자어레이(XL1~XL4)와 수광소자어레이(XP1~XP4)는 축구 골대(12)의 높이(2440mm)를 4등분하여 매 610mm의 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볼센싱게이트(BSG)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설치된 수광소자어레이(XP1~XP4와 YP1~YP10)는 축구 골대(12)의 가로 길이(7320mm)를 10등분하여 매 732mm의 간격으로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발광소자어레이(XL1~XL4, YL1~YL10)들 각각의 내부에는 적어도 3개의 발광소자가 등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XL1~XL4, YL1~YL10)에 대응하여 그 반대편에 설치된 수광소자어레이(XP1~XP4, YP1~YP10)들 각각의 내부에도 적어도 3개의 수광수자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발광소자어레이(XL1~XL4, YL1~YL10)들 각각은 X축 및 Y축 구동신호에 따라 발광 구동되며, 상기 수광소자어레이(XP1~XP4, YP1~YP10)는 발광소자어레이(XL1~XL4, YL1~YL10)의 광원을 감지한다.
상기한 실시 예에서는 발광소자어레이(XP1~XP4, YP1~YP10)와 수광소자어레이(XP1~XP4, YP1~YP10)의 내부에 3개의 소자를 설치한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센싱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보다 많은 개수를 설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볼센싱게이트(BSG)의 광소자어레이(XL1~XL4, YL1~YL10)를 구동하고 수광소자어레이(XP1~XP4, YP1~YP10)의 출력을 읽어 연습볼이 골대(12)의 어느 부분으로 통과하였는지를 감지하고, 스피드건(SG)에 감지된 연습볼의 볼 스피드에 따라 점수를 환산하여 표시하는 스코어 카운터(SCNT)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스코어 카운터(SCNT)는 발광제어신호에 의해 볼센셍게이트(BSG)의 X축과 Y축에 설치된 발광소자어레이(XLi, YLj)(여기서 i는 '1~4'이며, j는 '1~10'의 정수이다)를 구동하는 발광구동부(LD1, LD2)와, 상기 볼센싱게이트(BSG)의 X축과 Y축의 발광소자어레이(XLi, YLj)의 대향면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소자어레이(XLi, YLj)로부터 비추어지는 광원(또는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소자어레이(XPi, YPj)의 출력을 읽는 광수신기(PR1, PR2)와, 상기 발광구동부(LD1, LD2)를 구동하여 상기 볼센셍게이트(BSG)의 X축과 Y축에 설치된 발광소자어레이(XLi, YLj)를 점등시키고, 볼센셍게이트(BSG)의 X축과 Y축에 설치된 수광소자어레이(XPi, YPj)의 출력을 읽는 광수신기(PR1, PR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골대(12)의 공 통과구역을 판별 후 골대(12) 또는 볼센셍게이트(BSG)에 설치된 충격감지센서(IS)(Impact sensor)로부터 출력되는 충격신호와 골대(12)의 후방에 설치된 스피드건(SG)의 출력에 의해 스코어를 환산하는 스코어제어기(SCNT) 및 상기 스코어제어기(SCNT)에서 환산된 점수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기(DISP)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발광구동부(LD1, LD2)와 광수신기(PR1, PR2)를 구비한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스코어제어기(SCNT)가 발광소자어레이(XLi, YLj)를 집적 구동하고, 수광소자어레이(XPi, YPj)의 출력을 집적 읽어 들일 경우에는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연습볼이 골대를 통과시 점수 환산의 동작을 설명한다.
축구 연습 장치(1)가 동작되면, 도 14에 도시된 스코어제어기(SCNT)는 발광구동부(LD1, LD2)로 발광제어신호를 제공하여 도 13에 도시된 볼센셍게이트(BSG)의 X축과 Y축에 설치된 발광소자어레이(XLi, YLj)를 모두 점등시킨다. 이때, 상기 X축의 왼쪽과 Y축의 상부에 설치된 발광소자어레이(XLi, YLj)내의 모든 발광소자들은 점등되며, 상기 점등에 의한 빛은 X축의 오른쪽과 Y축의 하부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된 수광소자어레이(XPi, YPj)에 비추어진다. 이때, 상기 수광소자에레이(XPi, YPj)는 상기 발광소자어레이(XLi, YLj)에 비추어지는 빛을 수광(감지)하여 해당 감지신호를 광수신기(PR1, PR2)로 입력시킨다.
평상시에는 골문(12)으로 공이 들어가지 않는 상태이므로 X축의 왼쪽과 Y축의 상부에 설치된 발광소자어레이(XLi, YLj)에서 비추어지는 빛은 차단 없이 수광소자에레이(XPi, YPj)로 제공된다. 따라서 골문(12)으로 공이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수광소자에레이(XPi, YPj)에서 감지된 신호는 모두 동일하며, 이 감지신호를 광수신기(PR1, PR2)를 통해 스코어제어기(SCNT)로 제공된다.
상기 스코어제어기(SCNT)는 상기 광수신기(PR1, PR2)를 통해 수신되는 수광소자에레이(XPi, YPj)의 감지신호를 차단여부를 감지하여 골문(12)의 어느 구역으로 공이 통과하였는지를 판별한다. 공이 골문(12)을 통과하지 않은 경우 수광소자에레이(XPi, YPj)의 감지신호는 모두 활성화(논리 "하이") 상태를 유지함으로 골을 인정하지 않는다.
연습자가 슛한 연습볼이 도 13의 "A"구역을 통과한 경우, 발광소자어레이(XL1, YL1)에서 비추어지는 빛이 "A"구역을 통과하는 연습볼에 의해 순간 차단됨으로써 두 개의 수광수자어레이(XP1, YP1)의 출력만이 순간적으로 비활성화(논리 "로우")로 된 상태가 발생하며, 이는 곧 광수신기(PR1, PR2)를 통해 스코어제어기(SCNT)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스코어제어기(SCNT)는 두 개의 수광수자어레이(XP1, YP1)의 출력이 비활성상태를 감지하여 연습볼이 도 13의 "A"구역을 통과하였음을 인지하고 프로그램된 점수내용에 따라 "10"점을 부여한다.
이후, 상기 스코어제어기(SCNT)는 골문(12)의 후방에 설치된 스피드건(SG)에서 감지된 연습볼의 스피드 정보를 읽어 들인 후 스피드 정보에 따른 가중치를 상기 골문통과 점수 "10"에 부여하여 골문통과점수를 확정하고, 연습볼 통과 구역과 상기 골문통과점수를 표시기(DISP)로 표시하여 연습자로 하여금 자신이 찬 공이 어느 부분으로 골인되었는지를 확인케 한다. 따라서 연습자는 보다 흥미를 갖고 연습에 임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가중치라 함은 볼의 스피드가 강슛(시속 60Km/h) 이상인 경우 1을 부여하여, 그 이하인 경우 0.5를 부여함으로써 동일한 구역을 통과하였다 하더라고 공의 스피드에 따라 점수를 달리한다.
만약, 연습자가 슛한 연습볼이 볼센싱게이트(BSG)의 "A"구역과 "B"구역을 걸쳐서 들어가면, 두 구역의 평균값을 골문통과점수로 확정한 후 스피드건(SG)에서 감지된 속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골문통과점수를 표시기(DISP)에 표시한다. 또한, 연습볼이 상기 볼센셍게이트(BSG)의 통과구역으로 공이 들어간 상태에서, 골문(12)에 설치된 충격감지센서(IS)가 충격을 감지한 경우, 상기 스코어제어기(SCNT)는 연습볼의 통과구역에 상관없이 골문통과점수를 '10'점으로 하여 표시한다.
위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구 연습 장치는 연습자가 골문을 향해 볼을 슛하였을 때, 골문의 통과영역과 공의 스피드를 감지하여 골문의 통과영역과 골문통과점수를 표시기에 표시함으로써 연습자는 보다 흥미를 갖고 연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자신이 슛한 공이 어느 구역을 통과 하였는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슛 자세 등을 보다 빠르게 교정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았지만, 골대(12)의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에 적외선 또는 광센서를 공의 지름 간격으로 설치하여 연습볼이 골대(12)를 통과하는 지점을 감지할 수 있고, 연습볼이 골대(12)를 지나가는 구역별로 점수를 부여하여 플레이어 자신이 킥한 점수를 확인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골대(12)의 네귀퉁이 부근을 통과할 경우를 10점으로 설정하고 골대(12)의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점수를 점차적으로 적게 하여 점수를 표시할 수 있다.
족구연습장치의 실시예
족구는 두 팀 간에 네트를 두고 머리와 발을 이용하여 상대 팀으로 볼을 넘겨 승부를 겨루는 볼 게임으로, 서브(serve)에 의해 상대방 코트로부터 날아오는 연습볼을 리시브(receive)하고, 네트보다 높은 위치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연습볼을 타격하여 볼을 상대편 코드로 넘기는 공격(스파이크, spike)을 효율적으로 연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족구 연습 장치(1)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라인, 사이드라인 및 하프라인으로 규격화된 코트가 그려진 구장(10)을 갖는다. 상기 구장(10)의 엔드라인과 사이드라인이 접하는 코너 부분에는 연습볼을 구장(10)의 코트를 향해 발사하는 3개의 연습볼 발사장치(100)(G1, G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장(10)의 코너 쪽에는 엔드라인 측으로 모아진 연습볼을 자동으로 수집하여 상기 연습볼 발사장치(100)로 공급하는 공회수기(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족구장(10)의 사이드라인 또는 엔드라인 부근의 어느 한 부분, 바람직하기로는, 네트(NET)가 설치되는 네트폴(POL)에 인접한 부분에는 공저장기(304)에 저장된 볼을 하부의 배급관(316)을 통하여 구장(10)의 코트로 낙하시키는 볼배급기(300)가 설치된다. 실시 예에서는 볼배급기(300)의 위치를 족구장(10)에 그려진 사이드라인에 근접하여 설치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볼배급기(300)의 설치 장소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곳에 설치가 가능함을 인식하여야 한다.
상기 볼배급기(300)는 구장(10)의 코트 상부에서 횡으로 또는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파이프 등에 매달리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둥(250)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연습볼 발사장치(100) 및 (G1, G2)의 전면에는 전방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CAM)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회수기(200)의 공배출관(202)의 단부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공이송라인(251)의 일단부가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공이송라인(251)의 타단부는 상기 볼배급기(300)의 공저장기(304)의 개구를 향하여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공이송라인(521)의 일단부가 타단부 보다 높게 위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단부에 연습볼이 놓여지는 경우 공의 자중에 의하여 타단부 쪽으로 자연스럽게 이송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족구장(10)의 중앙부분에는 가로방향으로 네트(NET)가 설치된다.
도 16에 도시된 구장(1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라인(HL)으로부터 양측의 엔드라인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하향 경사각은 1 내지 5도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엔드라인의 뒤쪽에는 일측 코너에서 타측 코너 쪽으로 하향 경사진 이송골(transfer furrow)(14)이 형성되어 상기 족구장(10)의 바닥면으로 떨어진 연습볼은 경사면을 따라 엔드라인으로 굴러가 이송골(14)로 유입되며, 상기 이송골(14)로 유입된 연습볼은 이송골(14)의 경사면을 따라 코너측에 설치된 공회수기(200)의 게이트(G) 쪽으로 모아져 회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에 도시된 연습볼 발사장치(G1, G2) 또한, 공수용기(104)가 구비된다. 상기 측면 코너 부분에 설치된 연습볼 발사장치(G1, G2)의 공수용기(104)에는 수동으로 연습볼이 투입되거나 앞서 설명한 공회수기(200)를 이용할 수 있다.
[족구 리시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구연습장치(2)의 구장(10)에 설치된 연습볼 발사장치(100, G1, G2)들도 축구연습장치(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모컨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만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리모컨을 이용하여 활성화된 연습볼 발사장치(100, G1, G2)의 동작모드가 '수동/자동설정모드' 또는 '움직임감지모드'로 설정되면, 해당 연습볼 발사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장(10)의 네트(NET)의 다른 코트 면에 위치한 플레이어를 향해 연습볼을 발사한다. 이때, 플레이어가 연습볼 발사장치(10)에서 발사된 볼을 발 또는 머리 등으로 받아서 네트(NET)를 넘김으로써 족구 리시브 연습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족구연습장치(2)는 도 10에서 설명된 볼배급기(200)가 구장(10)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측에 설치되어 있다.
[족구스파이크 모드]
족구연습장치(2)의 스파이크 모드 또한 연습볼 발사장치(100)의 몸체(102)에 마련된 터치스크린(TS) 리모컨에 의해 설정된다.
상기 터치스크린(TS)의 키 버튼에 의해 스파이크 모드가 설정되면, 제6도에 도시된 제어부(MPU)는 도 10에 도시된 볼배급기(300) 내의 제어기(324)로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제6도의 제어부(MPU)와 볼배급기(300)내의 제어기(324)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카메라(CAM)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에 의한 스파이크 볼배급 제어신호로 전송된다. 예를 들면, 동작모드가 스파이크모드인 상태에서 카메라(CAM)에 의해 연습자의 예정된 움직임(예를 들면, 팔을 치켜드는 모습)이 검출되거나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리모컨으로부터 스파이크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볼배급 제어신호를 볼배급기(300)의 제어기(324)로 전송한다.
만약, 사용자가 리모컨을 이용하여 스파이크 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볼배급기(300)가 구동된다. 볼배급기(300)가 구동되면, 전술한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배급기(300)의 배급관(316)의 수직낙하출구(316a) 또는 수평출구(316b)로부터 연습볼이 배출되어 구장(10)의 상부에서 수직낙하되거나 수평방향으로 낙하되는 연습볼이 구장(10)의 코트면 위로 떠어짐으로써 플레이어는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거나 수평방향에서 떨어지는 연습볼을 타격하는 스파이크를 연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기 연습 장치는 족구 코트의 엔드라인에서 서비스 볼을 발사하고, 사이드라인에 근접한 상부에서 볼을 수직 낙하 또는 수평으로 비상시켜 떨어지게 함으로써 족구 연습자는 서브 리시브 동작과, 스파이크의 연습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볼배급기로의 볼 공급]
공회수기(300)로부터 볼배급기(200)로의 볼 공급은 도 9의 구성에서 공회수기(200)의 상부에 설치된 공배출관(202)은 "R"방향으로 회전시켜 공 이송라인(251)의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서 자동으로 공급된다. 상기 공배출관(202)의 배출구가 공 이송라인(251)의 상부로 위치시키면, 그로부터 배출되는 회수된 연습볼은 경사진 공 이송라인(251)을 따라 볼배급기(300)의 상부 개구를 통해 공저장기(304)에 수용된다.
배구연습장치의 실시예
배구는 두 팀 간에 네트를 두고 팔과 손을 이용하여 상대 팀으로 볼을 넘겨 승부를 겨루는 구기로서, 상대방 코트에서 서브하여 날아오는 연습볼을 서브 리시브(serve receive)하고,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연습볼을 상대편 코트로 세게 내리치는 공격(스파이크, spike)을 효율적으로 연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구연습장치(3)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된 구장(10)에 설치된다. 상기 구장(10)의 엔드라인과 사이드라인이 접하는 코너영역의 부분에는 연습볼을 구장(10)을 향해 발사하는 연습볼 발사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엔드라인 측으로 모아진 연습볼을 자동으로 수집하여 상기 연습볼 발사장치(100)로 공급하는 공회수기(2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구연습장치(3)는 연습볼 발사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연습볼 발사장치(100a)가 구장(10)의 사이드라인 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연습볼 발사장치(100a)의 연습볼 공급은 수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몰론 공회수기(200)와 같은 구성을 연습볼 발사장치(100a)에 근접 설치하여 볼을 자동으로 공급하거나, 공회수기(200)의 공배출관(202)과 상기 연습볼 발사장치(100a)의 윗 부분에 구비된 공저장기의 사이에 공 이송라인을 설치하여 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구장(10)의 사이드라인 부근의 어느 한 부분, 예를 들면, 네트(NET)가 설치되는 네트폴(POL)에 인접한 부분에는 상부 공저장기(304)에 저장된 볼을 하부의 배급관(316)을 통하여 구장(10)의 코트 내부로 떨어뜨리는 볼배급기(3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볼배급기(300)는 구장(10)의 코트의 상부에서 횡으로 또는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파이프 등에 매달리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둥(250)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연습볼 발사장치(100)와 사이드라인 측에 설치된 연습볼 발사장치(100a)의 전면에는 전방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CAM)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둥(250)은 상기 구장(10)의 사이드라인과 평행한 위치에서 이격 설치된 가이드 레일(252)의 상부에 안치되어 구장(10)의 사이드라인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기둥(250)의 상단은 상기 구장(10)에 설치된 네트 폴(net pol)(POL)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52)에 안착되는 롤러 바퀴(251)가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252) 상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물론 롤러 바퀴(251)에는 고정수단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52)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에 볼배급기(300)가 결합된 기둥(250)이 가이드레일(252)의 상부에서 이동되어 상기 공회수기(200)의 공배출관(202)에 근접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공회수기(200)의 공배출관(202)을 회전시켜 볼배급기(300)의 상부로 향하게 하면 공회수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연습볼은 볼배급기(300)의 공저장기(304)로 들어간다.
[배구 리시브 및 스파이크 모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구연습장치(3)의 구성과 그 동작은 족구연습장치(2)와 유사하다. 예를 들면, 상대방의 코트로부터 플레이어가 위치한 코트로 서비스볼이 날아왔을 때 리시브하는 연습은 족구연습장치(2)의 리시브모드와 그 동작이 같다. 또한, 배구연습의 리시브모드는 앞서 설명한 연습볼 발사장치(100)의 수동/자동설정모드와 움직임 감지모드가 그대로 적용된다.
스파이크 모드 역시 도 10에 도시된 볼배급기(300)를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장(10)의 사이드라인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비상시키거나 또는 수직방향으로 낙하시킨다. 이때, 구장(10)의 코트에 위치하고 있는 플레이어는 위에서 수직으로 떨어지거나 수평방향으로 떨어지는 연습볼을 타격하는 스파이크를 연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구 연습 장치는 배구 코트의 엔드라인에서 서비스 서브 볼을 발사하고, 코트와 근접한 사이드 라인 상부에서 볼을 낙하시킴으로써 배구 연습자는 서브 리시브 동작과, 스파이크 동작의 연습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볼배급기로의 볼공급]
볼배급기(300)의 공저장기(304)에 저장된 연습볼이 없는 경우, 기둥(250)을 도 1의 공회수기(200) 방향으로 밀면, 레일(252)의 상부에 결합된 상기 기둥(250)은 저면에 결합된 롤러바퀴(251)에 의해 상기 레일(252)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볼배급기(300)를 공회수기(200)의 공배출관(20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 후, 공회수기(200)의 공배출관(202)의 배출방향을 볼배급기(300)의 상부에 형성된 공저장기(304)의 상부개구 쪽으로 향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공회수기(200)가 동작되어 이송골(14)에 모아진 연습볼을 회수하여 상부 배급관(316)으로 배출하면, 회수되는 연습볼은 볼배급기(300)의 공저장기(304)로 넣어진다.
농구연습장치의 실시예
농구는 5명씩으로 이루어진 두 팀이 볼을 패스하거나 드리블하여 상대방의 바스켓(골대)에 던져 넣어 득점을 겨루는 게임으로서, 농구 코트로 패스의 형태로 연습볼을 발사하거나 3점 슛 영역으로 볼을 떨어뜨려 연습자가 3점 슛 등을 연습할 수 있어야 한다.
위와 같은 동작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구연습장치(4)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된 구장(10)에 설치된다. 상기 구장(1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라인(HL)로부터 엔드라인으로 일정한 경사각(θ)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엔드라인 뒤쪽에는 엔드라인 쪽으로 굴러온 농구 연습볼이 유도되는 이송골(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골(14)은 농구코트인 농구장(10)의 사이드라인 측으로부터 중앙부분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송골(14) 중 가장 낮은 부분에는 이송골(14)로 모아진 연습볼을 상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공회수기(2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농구장(10)의 엔드라인 부근에는 통상의 농구장과 같이 볼 바스켓이 위치하도록 농구골대(BG)가 설치된다.
도 19에 도시된 공회수기(200)는 전술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체의 형상으로 아랫부분의 입구로 모아진 연습볼을 상부로 이송시켜 상단의 일측에 결합된 연습볼 발사장치(100)의 연습볼 투입 개구로 공급한다. 상기 연습볼 발사장치(100)는 상기 공회수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연습볼(training ball)을 저장하는 공수용기(104)를 구비하여 상기 농구골대(BG)의 뒤편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공회수기(200)의 상부에 결합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구 연습 장치(4)는 엔드라인에 설치된 연습볼 발사장치(100)의 인접한 부분, 즉, 엔드라인 부분에 설치된 공회수기(200)의 측면에 볼배급기(3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볼배급기(300)는 상부에 마련된 공저장기(304)에 저장된 볼을 하부의 배출관(316)을 통하여 3점슛 영역으로 볼을 낙하시키는 것으로, 상기 배출관(316)의 하부로 낙하하거나 배출관(316)의 경사단부를 통해 공이 날아가는 형태로 배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볼배급기(300)의 위치를 농구장(10)에 그려진 엔드라인에 근접하여 설치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볼배급기(300)의 설치 장소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사이드라인의 외부 쪽 등 다양한 곳에 설치가 가능함을 인식하여야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농구연습장치(4)의 연습볼 발사장치(10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수동/자동설정모드 및 움직임 감지모드로 동작된다. 볼배급기(300)의 동작에 의한 3점슛 동작모드 또는 공중으로 날아온 연습볼의 케치 동작 또한 배구연습장치(3)의 스파이크 모드와 거의 같다.
즉, 도 10에 도시된 제어기(324)의 제어에 의해 개폐모터(302)가 1회전되면, 상기 개폐모터(302)의 회전축(312)에 축결합된 회전개폐판(310)이 열린 후 닫힘으로 1개의 연습볼이 배출관(316)의 단부에 마련된 낙하출구(316a)를 통해 연습볼을 구장(10)의 3점 슛 영역의 상부에서 직접 떨어지게 하거나, 수평출구(316b)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비상후 떨어지게 하여 연습볼을 구장의 3점슛 영역에서 슛 연습을 할 수 있다. 이때, 연습자는 코트의 상부에서 직하로 떨어지거나 수평방향에서 날아온 연습볼을 손으로 잡아 농구골대(BG)를 향해 슛을 하여 3점 슛 등을 연습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윙모터(320)의 회전에 의해 배출관(316)의 낙하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324)는 연습볼 발사 장치(100)의 제어기(324)와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볼 배급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개폐모터(302)와 스윙모터(320)를 제어하거나, 리모컨 단독으로 제어할 수 있다. 리모컨 단독으로 제어하는 경우, 제어기(324)를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되는 원격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모터(302)와 스윙모터(320)를 구동하여 공저장기(304)에 수용된 연습볼을 구장(10)의 3점 슛 영역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
볼배급기(300)로의 연습볼 공급은 인접하여 설치된 공회수기(200)의 상단에 마련된 공배출관(202)의 상단을 볼배급기(300)의 상단개구 쪽으로 회전시켜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구 연습 장치는 농구 코트를 향해 볼을 발사하고, 3점 슛 영역을 비롯한 다양한 구역으로 볼을 공급함으로써 농구 연습자는 다양한 위치에서 공급되는 연습볼을 잡아 3점 슛을 비롯한 다양한 슛 연습을 할 수 있고, 바닥에 떨어진 볼을 자동으로 연습볼 발사장치(100)와 볼배급기(300)로 공급할 수 있어 농구 연습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Claims (15)

  1. 볼 게임 연습 장치에 있어서, 구장의 상부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볼을 신체의 일부로 타격하여 상대방 코트로 넘기는 볼 게임 연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트의 사이드라인과 엔드라인 중 어느 한 라인에 근접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부 일측은 개구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를 공저장기와 배출공간을 구획하고 하부가 개구된 격벽과, 상기 공저장기의 하면에서 상기 배출공간 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면과, 상기 배출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에서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배출관과, 상기 격벽에 설치되어 상기 공저장기로부터 상기 배출공간으로 형성된 공이송경로를 개폐하는 회전 개폐판으로 구성된 볼배급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 연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개폐판은 하우징의 내면 일측에 고정된 개폐모터의 회전축에 나사로 결합되며, 상기 개폐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공 이송경로를 개폐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구 연습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상단부는 하우징의 아랫부분에 마련된 설치공간의 내부를 통해 상기 개구에 삽입되며, 상기 개구에 삽입된 외주면에는 직선베벨기어의 랙기어가 결합되며, 상기 직선베벨기어의 구동기어는 설치공간에 고정된 스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구동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구 연습 장치.
  4. 볼 게임 연습 장치에 있어서, 일정 크기의 공간부를 가지며, 전방향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에서 투입되는 연습볼을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연습볼을 경사진 바닥면을 통해 하부 배출구로 배출하는 공수용기와; 상기 몸체의 공간부의 상부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브래킷을 가지며, 상기 회전브래킷의 양측면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축이음된 발사대와; 중공체로 상기 발사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수용기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연습볼을 상기 중공체 일단부의 상부개구를 통해 단부 발사점에 안착시키고 상기 중공체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체의 내부로 출입되는 실린더 피스톤의 단부에 결합된 타격기의 타격에 의하여 상기 발사점에 놓여진 연습볼을 전방향으로 발사하는 연습볼 발사기와;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유압장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를 구동하여 상기 피스톤을 전후 방향으로 출몰시키는 실린더 구동기와; 회전방향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 브래킷을 수직축선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축이음 발사대를 축이음 수평축선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발사제어기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 구동기는 유압이 저장된 유압탱크와, 질소가 충전된 질소튜브를 내부에 가지며 상기 질소튜브의 질소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계를 갖는 유압 어큐믈레이터와, 상기 유압탱크의 유압을 질소탱크로 공급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질소탱크내의 질소압력을 체크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실린더의 유압배출구와 상기 유압탱크의 유입구와 상기 유압펌프의 배출구와 상기 질소탱크의 유입구 및 상기 질소탱크의 배출구와 상기 실린더의 유압유입구 사이에 연결된 회수, 공급 및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들 및 상기 유압펌프를 발사모드와 발사주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순서로 작동시켜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을 출몰시키는 제어기로 구성된 연습볼 발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 연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 게임 연습 장치는 하프라인으로부터 터치라인을 따라 골대가 설치된 골라인으로 하향 경사진 바닥면과, 상기 골라인의 일측 코너에서 타측 코너 쪽으로 하향 경사진 이송골이 형성된 구장의 터치라인과 골라인이 접하는 코너영역에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 연습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골대의 앞부분 또는 뒷부분 중 어느 한 부분에는 사각틀 형상으로 제작되어 수평 일측과 수직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어레이가 설치되고, 수평 타측과 수직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광소자어레이가 설치된 볼센싱게이트와; 상기 볼센싱게이트의 수평 및 수직 일측에 설치된 발광소자어레이를 점등시키고, 수평 및 수직 타측에 설치된 수광소자어레이의 출력을 읽어 상기 골대의 공 통과구역을 판별하고, 상기 골대 또는 상기 볼센싱게이트 중 어느 한 부분에 설치된 충격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충격신호와 상기 골대의 후방에 설치된 스피드건의 출력에 의해 스코어를 환산하는 스코어제어기 및 상기 스코어제어기에서 환산된 점수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 연습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구동기는 유체가 저장된 유압탱크와, 질소가 충전된 질소튜브를 내부에 가지며 상기 질소튜브의 질소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계를 갖는 질소탱크와, 상기 유압탱크의 유체를 질소탱크로 공급하여 압력을 높이는 유압모터와, 상기 질소탱크내의 질소압력을 체크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실린더의 유압배출구와 상기 유압탱크의 유입구와 상기 유압펌프의 배출구와 상기 질소탱크의 유입구 및 상기 질소탱크의 배출구와 상기 실린더의 유압유입구 사이에 연결된 회수, 공급 및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들을 발사모드와 발사주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순서로 작동시켜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을 출몰시키는 발사제어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 연습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몸체의 서로 다른 측면에는 상기 구장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설치되며, 상기 발사제어기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에 의해 구장에 있는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검출하며, 상기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움직임일 때 상기 유압장치를 구동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 연습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체의 일단부의 구경은 상기 연습볼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연습볼이 상기 중공체의 단부에 설정된 발사점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 연습 장치.
  10. 볼 게임 연습 장치에 있어서, 하프라인으로부터 사이드라인을 따라 엔드라인으로 하향 경사진 바닥면과, 상기 엔드라인의 일측 코너에서 타측 코너으로 하향 경사진 이송골이 형성된 구장과; 상부에서 낙하되는 연습볼을 저장하는 공수용기를 구비하여 상기 구장의 코너 부분에 위치되며, 공수용기에 수용된 연습볼을 상기 구장의 상대방 코트로 발사하는 연습볼 발사장치와; 상기 구장에 설치된 네트 폴의 위치보다 높게 설치되어 상면 공투입구로 낙하된 연습볼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연습볼을 배출제어신호에 의해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낙하통로를 통해 상기 구장의 코트로 배출하는 볼배급기와; 일단부가 상기 볼배급기의 상면 공 투입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탄부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공 이송라인과; 상기 이송골의 하향 종단 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설치된 회수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원통체의 아랫부분의 입구로 모아진 연습볼을 상부로 이송시켜 상부 측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연습볼 발사장치의 상부와 상기 공 이송라인의 상부로 낙하시키는 공회수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 연습 장치.
  11. 볼 게임 연습 장치에 있어서, 하프라인으로부터 사이드라인을 따라 엔드라인으로 하향 경사진 바닥면과, 상기 엔드라인의 일측 코너에서 타측 코너쪽으로 하향 경사진 이송골이 형성된 구장과; 상부에서 낙하되는 연습볼을 저장하는 공 수용기를 구비하여 상기 구장의 코너 부분에 위치되며, 공 수용기에 수용된 연습볼을 상기 구장의 상대방 코트로 발사하는 연습볼 발사장치와; 상기 이송골의 하향 종단 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설치된 회수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원통체의 아랫부분의 입구로 모아진 연습볼을 상부로 이송시켜 상부 측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연습볼 발사장치 및 볼 배급기로 공급하는 공회수기와; 상기 구장의 사이드라인과 평행한 위치에서 이격 설치된 가이드 레일과; 상단이 상기 구장에 설치된 네트 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는 롤러 바퀴가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 상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서 상기 구장의 코트를 향하여 결합되며, 상기 기둥이 상기 공회수기의 배출구에 근접하였을 때 상면 공 투입구로 낙하된 연습볼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연습볼을 배출제어신호에 의해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배급관을 통해 상기 구장의 코트로 배출하는 볼배급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 연습 장치.
  12. 볼 게임 연습 장치에 있어서, 하프라인으로부터 사이드라인을 따라 엔드라인으로 하향 경사진 바닥면과, 상기 엔드라인과 사이드라인이 접하는 양 코너에서 엔드라인이 중앙부분으로 하향 경사진 이송골이 형성된 구장과; 상기 엔드라인의 중앙부분의 뒤쪽에 세워진 농구골대와; 외부에서 투입되는 연습볼을 저장하는 공수용기를 구비하여 상기 농구골대의 뒤편에 위치되며, 상기 공수용기에 수용된 연습볼을 상기 구장의 코트로 발사하는 연습볼 발사장치와; 상기 이송골에서 가장 낮은 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설치된 회수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원통체의 아랫부분의 입구로 모아진 연습볼을 상부로 이송시켜 상기 연습볼 발사장치의 연습볼 투입개구로 배출하는 공회수기 및 상부에 마련된 공저장기에 저장된 볼을 하부의 배출관을 통하여 구장의 슛 영역으로 볼을 낙하시키는 볼배급기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 연습 장치.
  13. 제5항, 제10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구장에는 원통체로 상부에 설치된 회수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원통체의 아랫부분의 입구로 모아진 연습볼을 상부로 이송시켜 상부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볼 발사장치의 공수용기의 상부로 배출하는 공회수기가 상기 이송골의 하향 종단 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 연습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수기는 하부의 일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배출개구를 가지고 상기 이송골의 하향 종단 부분에 수직하게 세워진 원통형 수집관과, 외주연에 나선형 스크류가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수집관의 내부 중심에 설치된 회수모터의 축에 결합되며 상기 회수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연습볼을 상기 나선형 스크류를 따라 상기 수집관의 상부 배출개구 쪽으로 이송하는 스크류 이송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 연습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수기는 수집모터의 회전에 의해 진동되어 상기 이송골의 하향 종단에 위치된 연습볼을 상기 원통형 수집관의 투입구로 공급하는 수집진동판이 상기 이송골로부터 상기 원통형 수직관의 투입구 측으로 경사지게 더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 연습 장치.
PCT/KR2016/000429 2015-01-15 2016-01-15 볼 게임 연습 장치 WO2016114616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L16737580T PL3246075T3 (pl) 2015-01-15 2016-01-15 Urządzenie treningowe do gry w piłkę
CN201680005521.3A CN107106901B (zh) 2015-01-15 2016-01-15 球类运动练习装置
EP16737580.7A EP3246075B1 (en) 2015-01-15 2016-01-15 Ball game training apparatus
JP2017535452A JP6734855B2 (ja) 2015-01-15 2016-01-15 ボールゲームの練習装置
US15/537,944 US20170348582A1 (en) 2015-01-15 2016-01-15 Ball game-related training system
ES16737580T ES2770864T3 (es) 2015-01-15 2016-01-15 Aparato de entrenamiento de juego con baló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230A KR101564190B1 (ko) 2015-01-15 2015-01-15 축구 연습 장치
KR10-2015-0007230 2015-01-15
KR1020150144882A KR101600761B1 (ko) 2015-10-16 2015-10-16 배구 연습 장치
KR1020150144907A KR101622890B1 (ko) 2015-10-16 2015-10-16 농구 연습 장치
KR10-2015-0144907 2015-10-16
KR10-2015-0144882 2015-10-16
KR10-2015-0144895 2015-10-16
KR1020150144895A KR101622889B1 (ko) 2015-10-16 2015-10-16 구기 연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14616A1 true WO2016114616A1 (ko) 2016-07-21

Family

ID=56406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0429 WO2016114616A1 (ko) 2015-01-15 2016-01-15 볼 게임 연습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348582A1 (ko)
EP (1) EP3246075B1 (ko)
JP (1) JP6734855B2 (ko)
CN (1) CN107106901B (ko)
ES (1) ES2770864T3 (ko)
PL (1) PL3246075T3 (ko)
WO (1) WO201611461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5446A (zh) * 2018-04-16 2018-07-20 刘知非 一种学生体育用的可旋转篮球架
JP2018187383A (ja) * 2017-05-02 2018-11-29 昌植 金 スクリーンバドミントン練習装置
CN112587897A (zh) * 2020-12-10 2021-04-02 安徽晨风游乐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的用于足球射门训练设备
CN113041580A (zh) * 2021-04-23 2021-06-29 西南石油大学 一种负压式乒乓球自动拾取小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6145B2 (en) 2017-06-05 2021-02-23 Chatem Llc Soccer train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08042994A (zh) * 2017-12-13 2018-05-18 郑州赫恩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体育教学练习投篮用篮球回收装置
US10818152B2 (en) * 2018-01-15 2020-10-27 Universal City Studios Llc Interactive systems and methods with feedback devices
CN108853986A (zh) * 2018-06-28 2018-11-23 安徽省白嘉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篮球传球训练组合装置
ES2884836T3 (es) * 2018-07-06 2021-12-13 Byoung Koo Cho Estructura inclinada de suelo de cancha para suministro automático en el juego de pelota.
JP6979390B2 (ja) * 2018-07-06 2021-12-15 ク チョ,ビョン 球技種目自動供給のためのコート床傾斜構造
US10806990B2 (en) * 2018-07-06 2020-10-20 Byoung Koo CHO Inclined structure of court floor for automatic supply in ball game
KR101977362B1 (ko) * 2018-07-09 2019-05-13 조병구 공 상승 장치
JP7060297B2 (ja) * 2018-07-10 2022-04-26 ク チョ,ビョン ボールの自動回収および供給が可能な多種目多重コート構造(multi‐sport and multi‐court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collecting and supplying ball)
JP7005012B2 (ja) * 2018-09-13 2022-01-21 スポーツ・ワ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ピッチングマシーン
WO2020198078A1 (en) 2019-03-22 2020-10-01 Home Run Dugout LLC Pitching machine and batting bay systems
CA3134897C (en) * 2019-03-27 2023-12-12 Bok-yeon WOO Automatic table tennis training apparatus
CN109999455B (zh) * 2019-04-02 2020-07-21 瑞安市信博工艺品制造有限公司 一种乒乓球运动辅助装置
CN110833684B (zh) * 2019-11-25 2021-05-04 南京林业大学 一种具备排球收纳及自动出球功能的训练型排球场
CN111144421B (zh) * 2019-12-10 2024-02-13 深圳市优必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物体颜色识别方法、装置及投掷设备
ES2832600B2 (es) 2019-12-10 2021-10-21 Cardama Diego Roel Sistema y método para lanzar una pelota sobre un terreno de un campo de juego
CN111330246B (zh) * 2020-03-17 2021-06-25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足球射门训练装置
CN111701209B (zh) * 2020-06-28 2021-06-22 西安工业大学 一种足球训练专用的足球存取装置
CN113209585A (zh) * 2021-05-20 2021-08-06 陈葆春 一种投篮训练系统
CN113617011B (zh) * 2021-09-08 2022-07-12 滨州学院 一种体育训练用具有输球功能的定点投篮机
CN113750503B (zh) * 2021-10-13 2023-04-25 九江学院 一种篮球训练用接球练习装置
US11660514B1 (en) * 2021-12-16 2023-05-30 5th Down LLC Interactive projectile g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149A (ko) * 2001-03-09 2002-09-14 탑에이스엔지니어링(주) 볼 이송장치
US7001289B1 (en) * 2005-02-24 2006-02-21 Timothy Polega Volleyball training apparatus
KR20110056804A (ko) * 2009-11-23 2011-05-31 이태환 옥상용 골프 스윙 유기장
KR20120086171A (ko) * 2011-01-25 2012-08-02 장동수 축구공 발사체
US8371964B2 (en) * 2010-12-22 2013-02-12 Acu-Pac, Inc. Volleyball spiking trai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5460A (en) * 1947-03-03 1949-10-18 Rocco Ernesto Christmas tree stand
US3905349A (en) * 1972-12-07 1975-09-16 John Nielsen Induced air device for discharging spherical members
US4021036A (en) * 1975-12-05 1977-05-03 Nelson David M Tennis teaching machine with ball projector
US4027646A (en) * 1976-06-08 1977-06-07 Prince Manufacturing, Inc. Propulsion device for tennis balls and like spherical objects
US4054197A (en) * 1976-09-24 1977-10-18 Oscar Bock Golf ball vendor
US4094294A (en) * 1977-01-31 1978-06-13 Richard Speer Ball projecting device
US4168695A (en) * 1977-10-11 1979-09-25 Rallymaster, Inc. Portable ball throwing machine having oscillatory feature
US4207857A (en) * 1978-05-18 1980-06-17 Balka William J Jr Automatic ball server
US4233953A (en) * 1978-10-30 1980-11-18 Prince Manufacturing Co., Inc. Propulsion device for tennis balls and like spherical objects having an improved programmed discharge of the oscillatory type
US4291665A (en) * 1979-10-26 1981-09-29 Prince Manufacturing Co., Inc. Propulsion device for spherical objects having an oscillating support frame providing a programmed discharge of said objects
DE3133551A1 (de) * 1981-08-25 1983-03-10 Harald 7240 Horb Merkt Foerdereinrichtung fuer baelle
NO167441C (no) * 1989-02-20 1991-11-06 Kristen Jarle Blindheim Anordning ved bordtennisrobot
US5853332A (en) * 1995-08-21 1998-12-29 Briggs; Rick A. Participatory play structure having discrete play articles
US5097985A (en) * 1990-05-31 1992-03-24 Jones Kenneth E Baseball soft-toss pitching machine and method
EP0903166A3 (en) * 1997-09-17 1999-12-29 Konami Co., Ltd. Table tennis training apparatus
US6460530B1 (en) * 2000-03-27 2002-10-08 Dean A. Backeris Automatic ball dispenser for multiple uses
US6237583B1 (en) * 2000-09-01 2001-05-29 Richard W. Ripley Baseball pitching device
US6539931B2 (en) * 2001-04-16 2003-04-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all throwing assistant
US6974396B2 (en) * 2002-01-11 2005-12-13 Quickswing, Inc. Batting aid device
AU2002950433A0 (en) * 2002-07-29 2002-09-12 Nicholas Guy Clifford Recreation range
US6830044B2 (en) * 2003-01-21 2004-12-14 Howard E. Hansen Pneumatic ball projecting apparatus
US20060287137A1 (en) * 2005-05-20 2006-12-21 Jeffrey Chu Virtual Batting Range
US7722485B2 (en) * 2006-10-18 2010-05-25 Ramesh Balasubramanyan Tennis serve ball machine cum training device
US8113970B2 (en) * 2007-11-01 2012-02-14 Donald Mauer Batting aid device having automatic ball feed
KR101069272B1 (ko) * 2010-01-25 2011-10-04 안종진 탁구 연습장치
CN102151399A (zh) * 2010-02-11 2011-08-17 李敬群 计算机控制乒乓球发球装置
CN101898032B (zh) * 2010-04-02 2012-02-01 哈尔滨工程大学 网球练习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149A (ko) * 2001-03-09 2002-09-14 탑에이스엔지니어링(주) 볼 이송장치
US7001289B1 (en) * 2005-02-24 2006-02-21 Timothy Polega Volleyball training apparatus
KR20110056804A (ko) * 2009-11-23 2011-05-31 이태환 옥상용 골프 스윙 유기장
US8371964B2 (en) * 2010-12-22 2013-02-12 Acu-Pac, Inc. Volleyball spiking training device
KR20120086171A (ko) * 2011-01-25 2012-08-02 장동수 축구공 발사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87383A (ja) * 2017-05-02 2018-11-29 昌植 金 スクリーンバドミントン練習装置
CN108295446A (zh) * 2018-04-16 2018-07-20 刘知非 一种学生体育用的可旋转篮球架
CN112587897A (zh) * 2020-12-10 2021-04-02 安徽晨风游乐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的用于足球射门训练设备
CN113041580A (zh) * 2021-04-23 2021-06-29 西南石油大学 一种负压式乒乓球自动拾取小车
CN113041580B (zh) * 2021-04-23 2022-05-24 西南石油大学 一种负压式乒乓球自动拾取小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34855B2 (ja) 2020-08-05
CN107106901B (zh) 2020-01-07
ES2770864T3 (es) 2020-07-03
EP3246075A4 (en) 2018-10-24
EP3246075B1 (en) 2019-11-06
PL3246075T3 (pl) 2020-05-18
EP3246075A1 (en) 2017-11-22
JP2018505716A (ja) 2018-03-01
US20170348582A1 (en) 2017-12-07
CN107106901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14616A1 (ko) 볼 게임 연습 장치
KR101564190B1 (ko) 축구 연습 장치
KR101622889B1 (ko) 구기 연습 장치
KR101600761B1 (ko) 배구 연습 장치
KR101622890B1 (ko) 농구 연습 장치
US7094164B2 (en) Trajectory detection and feedback system
KR101992961B1 (ko) 자동 탁구 연습장치
WO2020197117A1 (ko) 자동 탁구 연습장치
US9162134B2 (en) Lacrosse training and competitive game installation with variable trajectory control
US5487540A (en) Apparatus for use in practicing the fundamentals of basketball
US5133548A (en) Pitching trainer with automatic ball return
KR101894950B1 (ko) 스크린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564191B1 (ko) 탁구 연습 장치
KR101783835B1 (ko)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
KR101782898B1 (ko) 실내 스크린 야구 투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서비스 방법
MX2012008074A (es) Metodo, sistema y aparato de recogida automatica y entrega de elementos esfericos de juego.
WO2011078494A4 (ko) 타격상태 출력 기능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 및 방법
WO2018038392A1 (ko)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좌완투수 및 우완투수의 구현방법
US20080096697A1 (en) Tennis serve ball machine cum training device
WO2019039747A1 (ko) 가상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
WO2016208976A1 (ko) 심판 기능이 포함된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RU164165U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игр с мячом
WO2021049705A1 (ko) 배드민턴 셔틀콕 슈팅장치
JPH11155992A (ja) 投球練習装置
KR101985670B1 (ko)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3758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737580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37944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53545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