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670B1 -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670B1
KR101985670B1 KR1020190015089A KR20190015089A KR101985670B1 KR 101985670 B1 KR101985670 B1 KR 101985670B1 KR 1020190015089 A KR1020190015089 A KR 1020190015089A KR 20190015089 A KR20190015089 A KR 20190015089A KR 101985670 B1 KR101985670 B1 KR 101985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drones
stadium
baseball
field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병기
이상훈
박희범
Original Assignee
(주)드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론아이 filed Critical (주)드론아이
Priority to KR1020190015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6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 A63F7/0604Type of ball game
    • A63F7/0608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03Driving vehicles or craft, e.g. cars, airplanes, ships, robots or tan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2Ball games, e.g. soccer 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24Devices controlled by the player to project or roll-off the playing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5/04Landing aids; Safety measures to prevent collision with earth's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17Driving on land or water; Fl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을 발사하는 공 발사기와, 공 발사기에서 발사된 공의 낙하지점을 검출하는 경기장 매트 및 경기장 매트의 상측에서 비행하면서 공 발사기에서 발사된 공을 캐치하는 수비 드론을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육시 많은 사람이 참여 가능하고, 경기 진행시 골대 앞에 모든 드론이 밀집되어 있는 드론 축구와 달리 구역이 지정되어 있어서 혼란스럽지 않고, 드론 축구와 같이 드론 들이 서로 부딪치는 경기가 아니기 때문에 경기장 전체를 폐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Baseball stadium system with drones}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을 투구(投球)함으로서 공격을 구현하고, 투구된 공을 드론이 포구(捕球)함으로써 수비를 구현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은 비행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고, 그중에는 드론을 이용한 수화물의 운송 및 다양한 감시역할을 하는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드론은 위험성과 장소의 제약으로 인해 일반인으로 하여금 쉽게 접하기가 어렵고, 취미 등으로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도 연습을 위한 마땅한 장소를 찾기가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취미나 오락용으로 드론을 이용하는 자의 실력을 구체적으로 검증할만한 마땅한 수단이 전무한 상황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별도의 실내 공간이나, 별도로 마련된 경기장에서 놀이기구로써 다양한 형태로 서로 경쟁하는 다양한 드론 경기가 실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드론을 고속으로 비행제어하여 게이트를 통과하면서 서로 경주하는 드론 레이싱 경기가 있다.
그리고, 공을 소지한 공격수 드론이 상대방 골대를 향해 비행하여 골대를 통과해서 득점을 얻고, 수비수 드론이 공격수 드론의 비행경로를 가로막아 골대를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드론 축구가 있다.
상술한 종래의 드론을 이용한 경기들은, 드론을 단순히 비행제어하는 것에 불과한 매우 단조로운 경기 방식이기에 관중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무인 항공기인 드론을 원격으로 조정하면서 실제 야구와 같은 경기 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드론 야구는 현재까지 전무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5792호(2018년 03월 09일 공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타자가 공을 투구함으로서 공격을 구현하고, 투구된 공을 수비 드론이 포구함으로써 수비를 구현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으로서, 공을 발사하는 공 발사기, 상기 공 발사기에서 발사된 공의 낙하지점을 검출하는 경기장 매트 및 상기 경기장 매트의 상측에서 비행하면서 상기 공 발사기에서 발사된 공을 캐치하는 수비 드론을 포함한다.
상기 경기장 매트에는 상기 공의 낙하충격을 감지하는 센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공의 낙하충격 신호가 수신되는 수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에 수신되는 감지 신호 중, 최초 감지 신호를 선별하여 공의 낙하지점을 검출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검출된 공의 낙하지점에 따른 경기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모듈을 구비한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의 저장모듈에 저장된 경기 데이터가 출력되는 출력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공이 상기 공 발사기에서 예각의 발사각으로 발사되도록 공 발사기의 전방에 설치되는 안전 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 네트는,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고, 길이가 가변되는 액츄에이터가 각각 장착된 한 쌍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그물망 및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장착된 캐스터를 포함한다.
상기 그물망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관통홀을 폐쇄하는 닫힘 용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 발사기가 안착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와 상기 공 발사기가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 및 상기 받침대에 상기 공 발사기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공 발사기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공의 발사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 발사기는, 상기 공을 발사시키는 발사 스위치, 상기 공이 발사되는 발사 속도를 조절하는 조절 스위치 및 상기 공이 발사되는 발사 시간을 설정하는 설정 타이머를 포함한다.
상기 수비 드론에는 외측을 감싸는 보호체가 장착되고, 상기 보호체에는, 상기 공이 부착되는 부착 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비 드론은, 상기 보호체의 외측 일부를 감싸는 스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기장 매트의 외측에는 경기장 구조물이 더 설치되며, 상기 경기장 구조물은, 이동형 개별 유닛의 조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닛은, 결합 돌기와 결합 홈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내측에는 결합 돌기와 결합 홈이 형성된 연장 프레임이 수용된 기둥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고 하기 권취릴에 권취된 와이어 및 상기 연장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되며, 내부에 스파이럴 스프링이 장착된 권취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교육시 많은 사람이 참여 가능하고, 경기 진행시 골대 앞에 모든 드론이 밀집되어 있는 드론 축구와 달리 구역이 지정되어 있어서 혼란스럽지 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대1 경기가 가능하며, 팀이 필요 없이 기술 연습할 수 있는 1대1 교육도 가능하고, 연습시 넓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론 축구와 같이 드론 들이 서로 부딪치는 경기가 아니기 때문에 경기장 전체를 폐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에서 경기장 매트에 낙하된 공의 낙하지점에 따른 경기 데이터가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에서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에서 안전 네트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에서 공 발사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에서 수비 드론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에서 드론 야구의 경기 방식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에서 경기장 구조물을 나타낸 외부 사시도,
도 10은 상기 도 9의 경기장 구조물을 구성하는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경기장 매트에 낙하된 공의 낙하지점에 따른 경기 데이터가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4는 안전 네트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공 발사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수비 드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은, 공 발사기(100), 경기장 매트(200) 및 수비 드론(300)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에서의 드론 야구는, 스크린 야구와 같이 타자가 날아오는 공을 타격하여 공격하는 방식이 아닌, 타자가 공을 투구하여 공격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드론 야구에 사용되는 공(B)은, 지름이 약 63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벨크로 원단이 공(B)의 표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타자가 공(B)을 직접 투구하는 경우에는, 무게가 가볍고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진 전용구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전용구의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타자가 공(B)을 원거리로 던질 수 없게 된다. 이는, 공(B)이 날아가는 속도의 제한을 두기 위함이다.
또한, 경기가 아니더라도 아빠가 던지고 아이가 수비 드론(300)을 조종하여 드론으로 공을 받는 취미 생활이 가능하다. 이벤트로는 사회인 야구에서 공(B)을 타격하고 수비 드론(200)이 공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수비 드론(200)에 팬텀4+ 가드를 적용하면 GPS모드가 가능하여 야외에서도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공(B)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공 발사기(100)를 통해 공(B)을 발사하는 경우에는, 공 발사기(100) 전용 공인구가 사용되는데, 타자가 직접 투구하는 공인구보다는 무게가 무거운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 발사기(100) 사용시와 사람의 직접 투구 방법에 따라 공인구가 다르게 적용된다.
한편, 공 발사기(100)는, 발사 스위치(120), 조절 스위치(130) 및 설정 타이머(140)를 구비한다.
발사 스위치(120)는, 공 발사기(100)에 장전된 공(B)을 발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조절 스위치(130)는, 공 발사기(100)에 장전된 공(B)이 발사되는 발사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공 발사기(100)에서 공(B)이 빠른 속도로 수비 드론(300)을 향해 직선으로 발사될 경우, 수비 드론(300)에 공(B)이 강하게 충격되어 수비 드론(3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공(B)의 발사속도를 3단계로 하되, 최대 발사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 타이머(140)를 통해 공(B)이 발사되는 발사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경기 진행상 투구가 부담이 된다면, 자동 발사기로 타자를 대체하여 양팀 투구를 하지 않고 수비만 하는(스크린 야구방식) 경기 룰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상대편이 없어도 받기 게임이 가능하다. 이는, 수비 능력 향상을 위한 연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공 발사기(100)가 안착되는 받침대(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대(700)와 공 발사기(100)가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110, 710)가 구비되며, 힌지부(110, 710)에 의해 공 발사기(10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공(B)의 발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대(700)에 공 발사기(100)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800)를 포함하는데, 고정 볼트와 같은 고정 부재(800)가 힌지부(110, 710)를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공(B)의 발사각이 조절된 공 발사기(100)를 받침대(700)에 견고히 고정되게 한다.
경기장 매트(200)는, 공 발사기(100)에서 발사된 공(B)의 낙하지점을 검출한다. 그리고, 경기장 매트(200)에는, 공(B)의 낙하충격을 감지하는 센서부(210)가 구비된다. 즉, 공(B)이 낙하한 지점에 따라 안타, 파울 및 아웃 등을 판단할 수 있다.
경기장 매트(200)는, 공(B)이 구르지 않고 경기장 매트(200)에 붙을 수 있도록 경기장 매트(200)의 표면이 벨크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경기장 매트(200)는 롤러로 감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비 드론(300)은, 조종석(10)에 위치한 수비수가 조종기(20)로 원격 비행제어하게 되는데, 수비 드론(300)이 경기장 매트(200)의 상측에서 비행하면서 공 발사기(100)에서 발사된 공(B)을 캐치한다. 이렇게 수비 드론(300)이 공을 캐치하게 되면 타자는 아웃이 된다.
이때, 수비 드론(300)에는 외측을 감싸는 보호체(310)가 장착될 수 있다. 보호체(310)는, 곡선의 단위 프레임들이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보호체(310)가 구형으로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수비 드론(300)이 양력을 받을 수 있도록 단위 프레임들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보호체(310)에는, 공(B)이 부착되는 벨크로와 같은 부착 부재(320)가 장착되고, 보호체(310)의 외측 일부를 감싸는 스킨부(3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스킨부(311)는 보호체(3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천, 가죽 및 벨크로 원단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킨부(311)의 표면에는 사용 용도와 함께 팀을 구분하는 다양한 색상과 더불어 다양한 패턴이 프린팅될 수 있고, LED와 같은 광원이 더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은, 관리서버(400)와 출력수단(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관리서버(400)는, 수신모듈(410)과 제어모듈(420) 및 저장모듈(430)로 구성될 수 있다.
수신모듈(410)은, 경기장 매트(200)에 마련된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된 공(B)의 낙하충격 신호가 수신된다.
제어모듈(420)은, 수신모듈(410)에 수신되는 감지 신호 중, 최초 감지 신호를 선별하여 공(B)의 낙하지점을 검출한다. 즉, 공(B)이 경기장 매트(200)에 낙하되어 최종적으로 공(B)이 멈춘 지점이 아닌, 경기장 매트(200)에 공(B)이 최초로 충격된 지점이 낙하지점이 되는 것이다.
저장모듈(430)은, 제어모듈(420)에 의해 검출된 공(B)의 낙하지점에 따른 경기 데이터가 저장된다. 여기서, 경기 데이터란, 공(B)의 낙하지점에 대한 루수, 파울 및 도루 등을 일컫는다.
출력수단(500)은, 관리서버(400)의 저장모듈(430)에 저장된 경기 데이터가 출력되는데, 본 발명에서의 출력수단(500)이 전광판인 것을 실시예로 설명한다.
전광판에는 수비 드론(300)의 번호와 교체 드론이 기록된다. 그리고, 타자의 이름과 투구 방법이 기록된다. 그리고, 회차 점수가 기록되며, 회차 시간이 체크된다. 그리고, 타자의 루타가 기록되어 주자의 움직임이 표시된다. 그리고, 3아웃을 관리하여 공수 교대를 관리한다. 마지막으로, 3분 제한시간을 표시한다.
한편, 공(B)이 공 발사기(100)에서 예각의 발사각으로 발사되도록 공 발사기(100)의 전방에 설치되는 안전 네트(600)를 포함한다.
안전 네트(600)는,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고, 길이가 가변되는 액츄에이터(611)가 각각 장착된 한 쌍의 지지대(610)와, 지지대(610) 사이에 설치되는 그물망(620) 및 지지대(610)의 하부에 장착된 캐스터(63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610)는, 캐스터(630)가 장착되는 하부 지지대(610a)와 그물망(620)이 장착되는 상부 지지대(61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그물망(6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621)이 형성되며, 관통홀(621)의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관통홀(621)을 폐쇄하기 위한 지퍼와 같은 닫힘 용구(622)가 더 구비된다.
부연하면, 안전 네트(600)는, 가로/세로의 크기가 약 2,200mm 내지 2,50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 네트(600)는, 수비 드론(300)으로 부터 타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공 발사기(100)에서 발사되는 공(B)의 궤적을 포물선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단, 공(B)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621)이 그물망(620)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공 발사기(100) 사용시에는 공(B)이 관통홀(621)을 통과하도록 발사하고, 타자가 공(B)을 직접 투구하거나 공 발사기(100)를 견착한 상태로 발사시에는 안전 네트(600)를 넘어 투구할 수 있다.
이때, 그물망(620)에 형성된 관통홀(621)의 크기 및 위치(높이)는 경기 전에 협의 하여 경기의 난이도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공 발사기(100) 사용시에는 관통홀(621)의 상,하,좌,우의 제한을 정할 수 있으며, 직접 투구하거나 공 발사기(100)를 견착한 상태로 발사시에는 안전 네트(600) 위로 비행되기 때문에 직구로 인한 수비 드론(300)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공(B)이 안전 네트(600)에 맞고 2회 떨어지면 아웃으로 처리 된다. 성인팀과 유소년팀의 경기 진행시 관통홀(621)의 높이와 크기의 조절을 통해 어드벤티지를 유소년팀에게 줄 수 있다. 즉, 안전 네트(600)의 목적은 타자가 쉽게 투구하지 못하도록 하는데 있다(난이도 조절).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에서 드론 야구의 경기 방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스크린 야구에서는 날아오는 공을 타격한다면. 드론 야구는 날아오는 공을 캐치하는 방식으로, 1대1 또는 1대3 등의 최대 5명 가능(타자 1명, 수비수 1명 또는 3명, 최대 5명)하다.
스크린 야구는 투수와 타자로 구성되지만, 드론 야구는 타자와 수비수(1루수, 2루수 및 3루수)로 구성된다. 타자는 상대편 또는 같은편으로 구성된다. 타자는 직접 사람이 공(B)을 던질 수 있고, 공 발사기(100)를 사용하여 공(B)을 발사시킬 수 있다.
드론 야구는, 1대1의 경우, 타자 1명과 수비수 1명으로 구성(수비수 1명이 1루, 2루, 3루를 전담)된다. 드론 야구 3대3의 경우, 타자 3명과 수비수 3명으로 구성(각 1루수, 2루수, 3루수 1명씩 전담)된다. 드론 야구 5대5의 경우, 타자 5명과 수비수 5명으로 구성(1루수 1명, 2루수 2명, 3루수 3명)된다.
3대3일 경우, 타자는 3명이 돌아가며 공(B)을 투구한다. 이때, 투구 시간을 제한하는 10초 룰이 적용되는데, 타석에 들어서서 공(B)을 장전하는 시간을 포함한다.
수비 드론(300)은, 선수 개인당 1개가 마련되고, 3대3시에는 6개가 마련된다. 그리고, 예비용 공(B)은 팀당 2개가 마련된다. 이때, 공(B)은 경기 시작 전 수비 드론(300)에 부착되는지 여부를 확인 후 사용하게 된다.
또한, 경기 전, 공(B) 표면의 벨크로 원단의 정상 여부를 확인하는 벨크로 판(미도시)은, 각 팀원수의 수와 더불어 추가로 2개가 마련된다.
그리고, 경기전 공 발사기(100)를 선택하여 경기의 난이도를 협의할 수 있다. 이때, 수비하는 수비 드론(300)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하기 위해 투구 제한 시간은 1인당 10초로 제한 한다. 공수 교대시, 투구와 공 발사기(100) 사용을 선택할 수 있다.
드론 야구의 투구 방법 중, 공 발사기(100)의 사용시, 안전 네트(600)의 기능을 빼고 투구 높이의 제한방법으로 가슴높이 이하에서 투구를 제한할 수 있다. 관통홀(621)의 위치를 정하는 방법으로 관통홀(621)의 높이와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공(B)의 포물선 궤적을 만들려면 높이가 높아야 하는데, 공간의 제한으로 타자는 앉아서 투구를 해야 하는 룰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안전 네트(600)에 관통홀(621)을 만들지 않고, 가슴 밑으로 공 발사기(100)의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공(B)의 발사시 부심의 주관적인 기준 적용하여 주심의 권한을 확대할 수 있다. 가슴높이 위에서 공(B)의 발사시 1스트라이크 및 2회시 아웃된다. 발사된 공(B)이 안전 네트(600)에 맞고 떨어지면 1스트라이크가 적용된다.
공(B)이 통과하는 관통홀(621)의 위치를 고정하여 정한다. 각도와 높이를 관통홀(621)을 통해 제한한다. 공(B)이 통과하는 관통홀(621)을 미리 알 수 있어 수비수는 수비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는 점수를 많이 낼 수 없게 하고, 타자도 타석에서 부담을 갖게 설계하는 것이다. 즉, 공격과 수비 모두 신중하게 진행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드론 야구는 드론 축구처럼 부딪치는 경기 방식이 아니므로 직사각형 안전망이 필요 없다. 단, 관중과 수비수의 안전을 위해 안전망(30)을 좌우에 준비한다.
경기장의 루타 경계 선은, 경기장 매트(200)의 색상과 파울라인의 색상과 명확히 구분되어야 한다. 여기서, 파울선은 하얀선을 사용한다. 그리고, 루타 및 파울 경계선은 공(B)의 크기의 두께인 약 63mm 로 그려야 한다. 이때, 공(B)이 선에 붙으면 루타를 올릴것인가 내릴것인가를 사전 협의해야 한다.
그리고, 타석의 안전 네트(600)와 타자 사이의 간격은 약 1m 로 한다. 이는, 난이도 조정 및 관통홀(621)에서의 공(B)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덕아웃(40)은 말팀이 우측, 초팀이 좌측을 사용한다. 이때, 덕아웃(40)은, 공격시 수비 드론(300)의 대기 장소로, 수비시 공(B)을 받은 수비 드론(300)의 선수 교체 장소로 사용된다.
그리고, 홈런 표시 지역에는, 난이도를 위해 홈런전용 판을 설치한다. 이때, 홈런전용 판은 최대 3개까지 설치 가능하다. 조정석(10)의 전방에는 가로/세로 약 2m 이상으로 조종자가 비상시 몸을 피할 수 있는 안전망(30)을 설치한다. 그리고, 비거리 제한을 위해 홈런을 제외한 곳은 파울로 정한다. 파울 2회시 아웃, 파울 1회와 투구시 안전 네트(600)에 1회 걸리면 스트라이크로 인정되어 아웃 된다(파울1회 + 스트라이크 1회).
좌우 파울라인에 도루 라인(50)을 설치하여 도루 라인(50)에 공(B)이 붙으면 주자는 1베이스 이동한다. 이때, 루상에 주자 1명만 있을 때만 도루로 인정되고, 1루, 2루에 주자 있을 시 도루로 인정하지 않고 파울처리된다. 파울라인에서 공(B)을 잡아도 아웃처리된다.
공(B)이 라인에 붙으면 상위 루타로 인정된다. 즉, 2루타 경계에 붙으면 3루타로 인정된다. 단, 3루타와 파울/홈런 라인에 붙으면 3루타로 인정된다.
경기 회수는 3회 내지 6회로 제한한다(협의). 3아웃시 공수가 교대된다. 3분이 넘어도 3아웃이 되지 않으면 3분 후, 자동으로 공수 교대가 이루어 진다. 이는, 3분 시간을 제한하지 않으면 실력차로 점수가 많이 날수 있으며, 수비 드론(300)의 배터리를 경기 진행중 교체 해야 하기 때문이다.
6회차 게임중 4회말까지 점수차가 10점 이상 이면, 콜드게임이 선언된다. 이때, 콜드게임은 경기전 협의하여 주심에게 알린다. 여기서, 6회까지 무승부 진행시 승부치기 룰이 적용 된다. 승부치기는 주자 1루, 2루 상황에서 경기를 진행한다.
그리고, 대회에 출전하는 선수단은 9인으로 제한하되, 8인 이하의 선수와 1인 지도자로 구성된다. 양팀은 7명 이하 선수와 7개 이하의 수비 드론(300)으로 구성된다.
한팀은 1명의 1루수, 2명의 2루수, 3명의 3루수, 덕아웃에 예비드론 2개로 구성된다. 수비 드론(300)의 포지션은 타자가 타석에 들어 설때까지 정렬이 완료 되어야 하며, 타자가 투구를 시작하면 포지션에 상관없이 공을 잡을 수 있다.
타자가 타석에 들어서도 수비 드론(300)이 정렬이 되어 있지 않으면 포볼로 인정되어 1루로 출루한다. 이때, 타자의 교체는 이루어지지 않으며 루상에 표시만 한다.
한편, 드론 야구는 최대 3대3 내지 5대5로 정한다.
3대3시에는 1루 1명, 2루 1명, 3루 1명이고, 4대4시에는 1루 1명, 2루 1명, 3루 2명이고, 5대5시에는 1루 1명, 2루 2명, 3루 2명이고, 6대6시에는 1루 1명, 2루 2명, 3루 3명이다.
덕아웃에 2개의 드론은 수비 드론(300)에 공(B)이 붙으면 예비드론과 교체가 가능하다. 만약, 예비드론이 없다면 공(B)이 붙은 상태로 진행가능하다. 어느 한팀이 3명보다 적으면 공수 교대가 이루어지며 3분 이내에 정비를 완료해야 한다. 3분 이내에 정비가 완료되지 않아 3명 보다 적으면 콜드승이 선언된다.
선수교체는 타자가 아웃되고 다음 타자가 타석에 들어 서기전에 가능하다. 공(B)을 받은 수비 드론(300)은 덕아웃 드론과 자유롭게 교체가 가능하다. 덕아웃에 있는 드론과 타자 아웃 처리 동시에 자유롭게 교체가 가능하다.
1루수 자리에 수비 드론(300)이 많으면 타자에게 불리하게된다. 즉, 앞에서 공(B)을 다 잡을려고 몰려 있는 상황 연출되기 때문이다.
아웃카운트가 올라가면 수비위치 정렬을 해야 한다. 그래야 2루수에 실력이 가장 좋은 사람으로 구성된다. 2루수가 도루까지 저지해야 한다. 이는 일반 야구에서도 내야수가 가장 수비력이 좋기 때문이다.
수비범위로는, 1루수는 직구 또는 번트를 막는다. 2루수는 도루 또는 내/외야를 막는다. 3루수는 홈런방지와 장타를 막기 위해 수비범위가 고정될수 있다. 아웃카운트시 정렬 시간때문이라도 3루수는 많은 이동을 하지 않을수 있다.
덕아웃 예비드론은, 드론의 파손시 대체 선수로 기용할 수 있다. 아웃되면 공(B)이 드론에 붙어있어 다음 공(B)을 잡기 불편하기 때문에 경기중 공(B)을 손으로 떼어내도 무방하다. 이는 안전망만 설치 했을때 가능하고, 만약 밀폐된 곳이라면 불가능하다.
타자는 팀당 최대 8명까지 가능하다. 타자는 팀 선수들이 돌아가면서 투구한다. 투구 방법은 사람이 직접 투구 하거나 공 발사기(100)를 사용한다. 투구 방법은 가슴높이 제한과 관통홀(621) 선택 방법으로 진행된다. 가슴높이 제한시에는 가슴높이 이상에서 투구시 1스트라이크가 적용된다. 투구 시간은 10초 이내로 제한 한다.
10초 이내로 투구하지 않으면 1스트라이크가 적용된다. 2스트라이크시 아웃처리 된다. 안전 네트(600)에 맞고 떨어지면 1스트라이크 적용하되 2회 맞으면 아웃처리 된다.
진루타는 공(B)이 낙하하여 경기장 매트(200)에 붙는 지점으로 정한다. 안전 네트(600)와 타자의 거리는 약 1m 를 유지해야 하며 1m 안에서 투구시 1스트라이크 적용된다.
1루 파울선상에 도루 지점을 표시하여 주자가 1루에 있을 때만 도루가 가능하다. 이때, 1루와 2루시에는 파울로 인정한다. 파울 2회시 아웃으로 처리된다.
타자의 공(B)이 루상의 선상에 붙으면 상위 루타로 인정된다. 3루타와 홈런 선상은 3루타로 인정된다. 홈런지역에 공이 붙으면 모든 주자는 득점처리 된다.
3아웃시 공수가 교대 되며 3분동안 3아웃이 되지 않으면 시간제한으로 공수가 교대된다.
최소 3회부터 6회까지 경기 회는 제한되며, 4회 10점차가 나면 콜드게임이 선언된다. 6회까지 무승부가 진행되면 승부치기 룰이 적용된다.
수비는 팀당 최대 8명까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1루, 2루, 3루, 덕아웃으로 구성된다. 1루수는 경기 인원 룰에 상관없이 1명으로 구성된다. 1루수는 1명, 2루수는 최대 2명, 3루수는 최대 3명, 덕아웃에는 2개의 예비드론으로 구성된다.
수비 드론(300)이 공을 잡으면 덕아웃 드론과 자유롭게 교체가 가능하다. 이때, 선수의 판단으로 수비 드론에 공을 부착한 상태로 진행이 가능하다. 그리고, 타자가 타석에 들어 서기 전까지 포지션 별로 위치를 정렬해야 한다. 만약 정렬이 안되어 있다면 타자는 포볼로 1루로 이동한다. 이때, 전광판에만 표시하며 다음 타자로 바뀌지는 않는다.
타자가 투구를 시작하여 공(B)이 발사되면, 포지션에 상관없이 공(B)을 잡을 수 있다. 파울지역으로 날아간 공(B)을 잡으면 아웃처리 된다. 받지 못하면 파울 처리 된다.
파손된 수비 드론(300)이 있다면 덕아웃 드론과 타자가 타석에 들어서기 전까지 또는 공수 교대시 자유롭게 교체가 가능하다
한편, 주심은 1명으로 구성되며, 타자를 관리한다. 그리고, 주심은 투구시간 10초 룰을 체크한다. 그리고, 투구시 가슴높이 제한을 판단하고, 공인 발사기를 사용하는지 점검한다. 그리고, 도루 적용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부심은 1명으로 구성되며, 수비수를 관리한다. 그리고, 공(B)의 착지 지점을 정확히 확인하여 파울과 인(in)을 판단한다. 파울 횟수를 기록하여 아웃을 선언한다. 수비 드론(300)의 포지션 정렬상태를 확인하여 포볼을 선언한다. 홈런과 도루지점을 정확히 판단한다. 그리고, 드론의 교체시 등록된 선수 유무를 체크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에서 경기장 구조물을 나타낸 외부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도 9의 경기장 구조물을 구성하는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드론 야구 경기장은, 하나의 경기장 매트로 드론 야구 이외에 드론 축구 및 드론 농구가 가능하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론 야구 경기장은, 드론축구 및 드론농구와 규격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즉, 경기장 바닥에 설치되는 경기장 매트만 변경하면 3가지 종목을 한곳에서 할 수 있게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드론 축구와 드론 농구는 경기장 높이에 영향을 받지 않으나, 드론 야구는 경기가 높이가 높아야 하므로 야구 돔구장처럼 천장이 개폐될 수 있게 설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경기장 매트(200)의 외측에는 경기장 구조물(90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경기장 구조물(900)은, 이동이 용이한 각각의 개별 유닛(910)들이 서로 결합되면서 하나의 조립체로 완성된다. 또한, 경기장 구조물(900)은, 관중들을 보호하기 위해 경기장의 둘레를 따라 유닛(910)들이 수직으로 세워진다.
그리고, 경기장 구조물(900)을 구성하는 유닛(91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유닛(110)은 베이스 프레임(911), 기둥 프레임(912), 와이어(914) 및 권취릴(915)로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911)은, 유닛(910)이 경기장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지면에 수평으로 안착되는 부분이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911)의 측면에는 다수의 결합 돌기(911a)와 결합 홈(911b)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 돌기(911a)가 다른 유닛(910)에 형성된 결합 홈(911b, 913b)에 끼워지고, 결합 홈(911b)에는 다른 유닛(910)의 결합 돌기(911a, 913a)가 끼워지게 된다. 이렇게 유닛(910)들이 서로 간에 끼움결합되면서 하나의 경기장 구조물(900)로 조립되는 것이다.
기둥 프레임(912)은, 베이스 프레임(911)의 양단부에 각각 수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유닛(910)의 전체적인 길이가 가변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 프레임(913)이 기둥 프레임(912)의 내측에 수용된다. 이렇게 연장 프레임(913)이 기둥 프레임(912)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거나 기둥 프레임(912)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돌출되면서 유닛(910)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이다.
이때, 연장 프레임(913)의 측면에는 다수의 결합 돌기(913a)와 결합 홈(913b)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 돌기(913a)가 다른 유닛(910)에 형성된 결합 홈(911b, 913b)에 끼워지고, 결합 홈(913b)에는 다른 유닛의 결합 돌기(911a, 913a)가 끼워지게 된다. 이렇게 유닛(910)들이 서로 간에 끼움결합되면서 하나의 경기장 구조물(900)로 조립되는 것이다.
그리고, 유닛(910)의 길이를 연장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기둥 프레임(912)의 일측에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에 대응하도록 연장 프레임(913)의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고정 볼트가 기둥 프레임(912)과 연장 프레임(913)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을 차례로 관통하여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와이어(914)는, 베이스 프레임(911)에 일단이 연결되고 후술하는 권취릴(915)의 외경에 권취된다. 여기서, 와이어(914)는 수비 드론(300)의 충돌시 수비 드론(3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릴(915)은, 외경에 와이어(914)가 권취되고 연장 프레임(913)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내부에는 스파이럴 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된다. 부연하면, 연장 프레임(913)이 기둥 프레임(912) 내부에서 돌출되면, 권취릴(915)이 연장 프레임(913) 사이에서 수평한 상태로 일방향 회전하면서 외경에 권취된 와이어(914)가 권출된다.
반대로, 연장 프레임(913)이 기둥 프레임(912) 내부로 삽입되면, 권취릴(915) 내부에 장착된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해 권취릴(915)이 자동으로 역방향 회전되면서 와이어(914)가 외경에 권취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인해 와이어(914)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공 발사기 110, 710: 힌지부
120: 발사 스위치 130: 조절 스위치
140: 설정 타이머 200: 경기장 매트
210: 센서부 300: 수비 드론
310: 보호체 311: 스킨부
320: 부착 부재 400: 관리서버
410: 수신모듈 420: 제어모듈
430: 저장모듈 500: 출력수단
600: 안전 네트 610: 지지대
611: 액츄에이터 620: 그물망
621: 관통홀 622: 닫힘 용구
630: 캐스터 700: 받침대
800: 고정 부재 900: 경기장 구조물
910: 유닛 911: 베이스 프레임
911a, 913a: 결합 돌기 911b, 913b: 결합 홈
912: 기둥 프레임 913: 연장 프레임
914: 와이어 915: 권취릴

Claims (12)

  1. 공(B)을 발사하는 공 발사기(100);
    상기 공 발사기(100)에서 발사된 공(B)의 낙하지점을 검출하는 경기장 매트(200); 및
    상기 경기장 매트(200)의 상측에서 비행하면서 상기 공 발사기(100)에서 발사된 공(B)을 캐치하는 수비 드론(300);
    을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장 매트(200)에는 상기 공(B)의 낙하충격을 감지하는 센서부(210); 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된 상기 공(B)의 낙하충격 신호가 수신되는 수신모듈(410)과, 상기 수신모듈(410)에 수신되는 감지 신호 중, 최초 감지 신호를 선별하여 공(B)의 낙하지점을 검출하는 제어모듈(420)과, 상기 제어모듈(420)에 의해 검출된 공(B)의 낙하지점에 따른 경기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모듈(430)을 구비한 관리서버(400); 및
    상기 관리서버(400)의 저장모듈(430)에 저장된 경기 데이터가 출력되는 출력수단(500);
    을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B)이 상기 공 발사기(100)에서 예각의 발사각으로 발사되도록 공 발사기(100)의 전방에 설치되는 안전 네트(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네트(600)는,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고, 길이가 가변되는 액츄에이터(611)가 각각 장착된 한 쌍의 지지대(610);
    상기 지지대(610) 사이에 설치되는 그물망(620); 및
    상기 지지대(610)의 하부에 장착된 캐스터(630);
    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6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62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621)의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관통홀(621)을 폐쇄하는 닫힘 용구(62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 발사기(100)가 안착되는 받침대(700);
    상기 받침대(700)와 상기 공 발사기(100)가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110, 710); 및
    상기 받침대(700)에 상기 공 발사기(100)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800); 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110, 710)에 의해 상기 공 발사기(10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공(B)의 발사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 발사기(100)는,
    상기 공(B)을 발사시키는 발사 스위치(120);
    상기 공(B)이 발사되는 발사 속도를 조절하는 조절 스위치(130); 및
    상기 공(B)이 발사되는 발사 시간을 설정하는 설정 타이머(140);
    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비 드론(300)에는 외측을 감싸는 보호체(310); 가 장착되고,
    상기 보호체(310)에는, 상기 공(B)이 부착되는 부착 부재(320); 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비 드론(300)은,
    상기 보호체(310)의 외측 일부를 감싸는 스킨부(31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장 매트(200)의 외측에는 경기장 구조물(900); 이 더 설치되며,
    상기 경기장 구조물(900)은, 이동형 개별 유닛(910)의 조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910)은,
    결합 돌기(911a)와 결합 홈(911b)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911);
    상기 베이스 프레임(911)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내측에는 결합 돌기(913a)와 결합 홈(913b)이 형성된 연장 프레임(913)이 수용된 기둥 프레임(912);
    상기 베이스 프레임(911)에 일단이 연결되고 하기 권취릴(915)에 권취된 와이어(914); 및
    상기 연장 프레임(913)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되며, 내부에 스파이럴 스프링이 장착된 권취릴(915);
    을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KR1020190015089A 2019-02-08 2019-02-08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KR101985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089A KR101985670B1 (ko) 2019-02-08 2019-02-08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089A KR101985670B1 (ko) 2019-02-08 2019-02-08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670B1 true KR101985670B1 (ko) 2019-06-05

Family

ID=66845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089A KR101985670B1 (ko) 2019-02-08 2019-02-08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4396A (zh) * 2019-07-17 2019-11-29 中国人民解放军91388部队 一种助飞式水声对抗器材落点测量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5631A (ko) * 2009-12-10 2011-06-16 박용덕 실내 야구게임장치
KR20170127963A (ko) * 2016-05-13 2017-11-22 (주)아카데미과학 야구 게임 장치
KR20180025792A (ko) 2016-09-01 2018-03-09 주식회사 신드론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5631A (ko) * 2009-12-10 2011-06-16 박용덕 실내 야구게임장치
KR20170127963A (ko) * 2016-05-13 2017-11-22 (주)아카데미과학 야구 게임 장치
KR20180025792A (ko) 2016-09-01 2018-03-09 주식회사 신드론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4396A (zh) * 2019-07-17 2019-11-29 中国人民解放军91388部队 一种助飞式水声对抗器材落点测量方法
CN110514396B (zh) * 2019-07-17 2021-01-05 中国人民解放军91388部队 一种助飞式水声对抗器材落点测量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862B1 (ko) 드론을 이용한 농구 경기장 시스템
US7661679B2 (en) Electronic target system for sports
US5725444A (en) Device for training soccer players
US10124200B2 (en) Battle trampoline game
US4911443A (en) Football game system and method of play
US20170065877A1 (en) Projectile Target Game
US20100330544A1 (en) Goal shot training system and methods
US7611427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ayer competitive recreation
KR101055572B1 (ko) 실내 야구게임장치
US4995607A (en) Interactive sports training device
US7753375B1 (en) Amusement ball receiving and return
US9427643B2 (en) Ball hurling target game and associated apparatus
US200701973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ame
US6045466A (en) Football game for reduced size playing areas, especially indoor playing areas
KR101985670B1 (ko)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US5056795A (en) Recreational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060178236A1 (en) Device for detecting and recording characterstics of a projectile
US7163474B1 (en) Portable backstop and sport equipment set, baseball related game, and playing field
US20070259741A1 (en) Method for a court ball game
US3920245A (en) Ball game
US20110201457A1 (en) Sports Stations
US6251033B1 (en) Paintball game field and method of play
US4497492A (en) Game with shields for deflecting hurled projectile
US20220032146A1 (en) Game playing apparatus
WO2019161476A1 (ru) Игровая система, ворота и мяч для игровой систем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