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792A -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792A
KR20180025792A KR1020170047793A KR20170047793A KR20180025792A KR 20180025792 A KR20180025792 A KR 20180025792A KR 1020170047793 A KR1020170047793 A KR 1020170047793A KR 20170047793 A KR20170047793 A KR 20170047793A KR 20180025792 A KR20180025792 A KR 20180025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gimbal
ball
panel
stadium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3810B1 (ko
Inventor
장성기
정미진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드론
주식회사 헬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드론, 주식회사 헬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드론
Publication of KR20180025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6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 A63F7/0604Type of ball game
    • A63F7/0616Football or socc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6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64U10/14Flying platforms with four distinct rotor axes, e.g. quadcop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02Input by manual operation
    • A63F2009/241Touch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83Other characteristics
    • A63F2009/2488Remotely play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52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with a remot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공역할을 하는 기준짐볼드론을 서로 경쟁하면서 이동시키면서 드리블하여 상기 기준짐볼드론을 스크린부에 접촉 또는 상기 기준짐볼드론이 골대프레임을 통과함에 따라 점수를 얻으면서 경기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Game system using drones}
본 발명은 공역할을 하는 기준짐볼드론을 서로 경쟁하면서 이동시키면서 드리블하여 상기 기준짐볼드론을 스크린부에 접촉 또는 상기 기준짐볼드론이 골대프레임을 통과함에 따라 점수를 얻으면서 경기를 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모형 축구경기는 비디오게임 또는 단순한 방식의 기계식 게임, 그리고 로봇 자동차를 이용한 로봇축구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무선조종 모형 자동차를 소형화하고 개량하여 전용경기장에서 무선조종 모형 자동차를 이용하여 축구경기를 할 수 있는 무선조종 축구경기가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0-0004562호로 제안된 바 있으나, 무인항공기인 드론을 이용하여 축구와 같은 경기를 할 수 있는 사항은 제안된 바 없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0-000456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공역할을 하는 기준짐볼드론을 서로 경쟁하면서 이동시키면서 드리블하여 상기 기준짐볼드론을 스크린부에 접촉 또는 상기 기준짐볼드론이 골대프레임을 통과함에 따라 점수를 얻으면서 경기를 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기장구조물과; 상기 경기장구조물의 내부에 비행가능하게 구비되는 기준짐볼드론과, 상기 기준짐볼드론을 기준으로 상기 경기장구조물의 내부 일측과 내부 타측에 각각 비행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기준짐볼드론과 충돌하여 상기 기준짐볼드론을 이동시키는 일측짐볼드론 및 타측짐볼드론으로 구성되는 짐볼드론과; 상기 경기장구조물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기준짐볼드론과 접하고, 상기 기준짐볼드론과의 접촉위치를 검출하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의 검출신호를 근거로 상기 기준짐볼드론의 접촉위치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기장구조물과; 상기 경기장구조물의 내부에 비행가능하게 구비되는 기준짐볼드론과, 상기 기준짐볼드론을 기준으로 상기 경기장구조물의 내부 일측과 내부 타측에 각각 비행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기준짐볼드론과 충돌하여 상기 기준짐볼드론을 이동시키는 일측짐볼드론 및 타측짐볼드론으로 구성되는 짐볼드론과; 상기 경기장구조물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기준짐볼드론이 통과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골대프레임과; 상기 골대프레임을 통과하는 상기 기준짐볼드론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기준짐볼드론이 상기 골대프레임의 관통구를 통과하는데 따른 점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경기장구조물은 투명재질의 일측패널 및 투명재질의 타측패널과; 상기 일측패널의 전측과 상기 타측패널의 전측 사이 및 상기 일측패널의 후측과 상기 타측패널의 후측 사이에 구비되는 투명재질의 전측패널 및 투명재질의 후측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경기장구조물은 투명재질의 상부패널 및 투명재질의 하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의 모서리부위와 상기 하부패널의 모서리부위 사이에 각각 수직구비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부는 감압식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감지부는 상기 골대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자력발생부재와; 상기 기준짐볼드론에 구비되어 상기 자력발생부재가 발생시키는 자력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가 산출한 점수데이터가 저장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에 저장된 점수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기준짐볼드론, 상기 일측짐볼드론 및 상기 타측짐볼드론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준짐볼드론, 상기 일측짐볼드론 및 상기 타측짐볼드론에 발광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기준짐볼드론의 발광부재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 상기 일측짐볼드론의 발광부재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 상기 타측짐볼드론의 발광부재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이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짐볼드론에 보호가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측짐볼드론과 타측짐볼드론을 통해 공역할을 하는 기준짐볼드론을 서로 경쟁하면서 이동시키면서 드리블하여 상기 기준짐볼드론을 스크린부에 접촉 또는 상기 기준짐볼드론이 골대프레임을 통과함에 따라 점수를 얻으면서 경기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짐볼드론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스크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기준짐볼드론이 골대프레임을 통과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골대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8은 짐볼드론에 색상띠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짐볼드론에 발광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짐볼드론에 보호가드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짐볼드론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경기장구조물(10), 짐볼드론(20), 스크린부(30) 및 제어부(도 7의 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경기장구조물(10)은 일예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패널(110), 타측패널(120), 전측패널(130)및 후측패널(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패널(110), 타측패널(120), 전측패널(130) 및 후측패널(140)은 투명재질의 강화유리 또는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측패널(130)은 상기 일측패널(110)의 전측과 상기 타측패널(120)의 전측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패널(140)은 상기 일측패널(110)의 후측과 상기 타측패널(120)의 후측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짐볼드론(2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충돌에 안전하도록 탄소섬유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프레임(201)과; 상기 프레임(201)의 내측에 고정구비되는 드론(20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와 같은 짐볼드론(20)은 공지된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짐볼드론(20)은 상기 경기장구조물(10)의 내부에 비행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경기장구조물(10)의 내부에 비행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짐볼드론(2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기준짐볼드론(210), 일측짐볼드론(220) 및 타측짐볼드론(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준짐볼드론(210)을 기준으로 상기 경기장구조물(10)의 내부 일측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복수의 상기 일측짐볼드론(220)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준짐볼드론(210)을 기준으로 상기 경기장구조물(10)의 내부 타측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복수의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짐볼드론(220)과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을 조종을 위한 컨트롤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을 실행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방향키를 터치하여 상기 일측짐볼드론(220) 또는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을 조종할 수 있다.
상기 기준짐볼드론(210)은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전원공급부(도 6의 6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경기장구조물(10)의 내부에서 일정고도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일측짐볼드론(220)과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은 상기 기준짐볼드론(210)과 충돌하여 상기 기준짐볼드론(2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크린부(30)는 상기 경기장구조물(10)의 내부 일측 상부와 내부 타측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각각 고정구비되는 일측스크린부(310)와 타측스크린부(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부(3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투명 전극층이 코팅되어 있는 두 장의 기판을 도트 스페이서를 사이에 두고 투명 전극층이 서로 마주보게 합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응답속도와 경제성이 높은 감압식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크린부(30)를 이룰 수 있는 감압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기준짐볼드론(210)과의 접촉위치를 검출한다.
도 3은 도 1의 스크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스크린부(30)의 일측스크린부(310) 및 타측스크린부(320)의 검출신호를 근거로 상기 기준짐볼드론(210)의 접촉위치에 따른 점수를 팀별로 산출하게 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30)는 격자형태로 구획되어 복수의 구역으로 나뉘어질 수 있고, 상기 제어부(60)의 메모리에는 각 구역에 해당하는 점수값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기준짐볼드론(210)이 상기 스크린부(30)의 복수의 구역 중 어느 한 부위에 충돌할 경우, 상기 스크린부(30)는 상기 기준짐볼드론(210)이 충돌한 구역의 좌표값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6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스크린부(30)가 송신하는 좌표값을 수신하여 상기 기준짐볼드론(210)의 접촉위치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로부터 수신한 좌표값에 해당하는 점수값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일측짐볼드론(220)을 조종하는 어느 한 팀의 사용자들 및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을 조종하는 다른 한 팀의 사용자들이 원하는 점수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30)의 각 구역에는 숫자로 이루어진 점수가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화면출력될 수 있다.
상기 기준짐볼드론(210) 이외에 상기 일측짐볼드론(220) 또는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이 상기 스크린부(30)에 충돌하여 상기 제어부(60)가 산출하지 않아야 할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예로, 상기 일측짐볼드론(220)과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에는 거리측정센서(도 7의 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리측정센서(70)는 상기 일측짐볼드론(220)과 상기 스크린부(30)사이의 거리 및 상기 타측짐볼드론(230)과 상기 스크린부(30)사이의 거리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거리측정센서(70)가 측정한 측정거리값과 상기 제어부(60)의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거리범위값을 비교하여 상기 일측짐볼드론(220) 또는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이 상기 스크린부(3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거리측정센서(70)가 측정한 측정거리값이 기준거리범위값내에 속할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스크린부(30)에 상기 일측짐볼드론(220) 또는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이 충돌한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일측짐볼드론(220) 또는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이 제자리에서 일정고도를 유지한 상태로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 등의 알림부에서 사이렌소리 또는 '충돌위험이 있습니다. 스크린부에서 드론을 멀리 이동시키십시오.'와 같은 안내정보가 음성출력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크린부(30)에 근접한 해당 일측짐볼드론(220) 또는 해당 타측짐볼드론(230)을 조종하는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일측짐볼드론(220) 또는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이 상기 스크린부(30)로부터 상기 제어부(60)에 설정된 기준거리값을 초과한 상태로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거리측정센서(70)가 측정한 측정거리값이 기준거리범위값내에 속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스크린부(30)에 상기 일측짐볼드론(220) 또는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에 충돌할 위험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림부의 작동을 중지시킴과 더불어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일측짐볼드론(220) 또는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을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은 경기장구조물(10), 상기 짐볼드론(20), 골대프레임(40), 감지부(도 7의 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기장구조물(10)은 다른예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패널(150), 하부패널(160), 기둥프레임(170) 및 줄부재(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패널(150)과 상기 하부패널(160)은 투명재질의 강화유리 또는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둥프레임(170)은 상기 상부패널(150)의 모서리부위와 상기 하부패널(160)의 모서리부위 사이에 각각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줄부재(180)는 상기 기둥프레임(170) 일정간격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패널(150)과 상기 하부패널(160)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줄부재(180)를 통해 상기 짐볼드론(20)이 상기 경기장구조물(10)의 외부로 이탈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짐볼드론(20)의 시인성 또한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환형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골대프레임(40)은 상기 경기장구조물(10)의 내부 일측 상부와 내부 타측 상부에 일정높이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기준짐볼드론이 골대프레임을 통과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상부패널(150)의 하부 일측과 상기 상부패널(150)의 하부 타측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골대프레임(40)의 상부와 각각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부재(19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5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골대프레임(40)의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구(도 4의 410)를 통과하는 상기 기준짐볼드론(210)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감지부(50)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기준짐볼드론(210)이 상기 골대프레임(40)을 통과하는데 따른 점수를 팀별로 산출하게 된다.
도 6은 골대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감지부(5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크게, 자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자력발생부재(510)와 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력발생부재(510)는 상기 골대프레임(40)의 내측에 환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홀센서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기준짐볼드론(2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센서가 상기 자력발생부재(510)가 발생시키는 자력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기준짐볼드론(210)이 상기 골대프레임(40)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함과 더불어 점수를 산출하게 된다.
상기 홀센서가 상기 자력발생부재(510)가 발생시키는 자력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기준짐볼드론(210)이 상기 골대프레임(40)을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함과 더불어 점수를 산출하지 않게 된다.
상기 감지부(50)를 통해 상기 기준짐볼드론(210) 이외에 상기 일측짐볼드론(220) 또는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이 상기 골대프레임(40)을 통과할 때 상기 제어부(60)가 산출하지 않아야 할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리서버(80)와 출력부(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80)에는 상기 제어부(60)가 산출한 점수데이터가 팀별로 합산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90)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80)로부터 상기 관리서버(80)에 팀별로 저장된 점수데이터를 수신받아 화면출력하는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짐볼드론에 색상띠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속한 팀에 해당하는 일측짐볼드론(220) 또는 타측짐볼드론(230)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기준짐볼드론(210)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예로, 상기 기준짐볼드론(210), 상기 일측짐볼드론(220) 및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의 프레임(201)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갖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기준짐볼드론(210), 상기 일측짐볼드론(220) 및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의 프레임(201)에는 서로 다른 색상의 도료가 도포될 수 있고, 특히 야간에도 상기 짐볼드론(20)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기준짐볼드론(210), 상기 일측짐볼드론(220) 및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의 프레임(201)에 형광도료가 도포되는 것이 좋다.
또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짐볼드론(220) 및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의 프레임(201)에는 서로 다른 색상의 형광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색상띠(203)가 접착테이프,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짐볼드론에 발광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는, 다른예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준짐볼드론(210), 상기 일측짐볼드론(220) 및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의 프레임(201)에는 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발광부재(2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기준짐볼드론(210)의 발광부재(204)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 상기 일측짐볼드론(220)의 발광부재(204)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의 발광부재(204)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10은 짐볼드론에 보호가드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짐볼드론(20)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짐볼드론(20)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짐볼드론(20)의 프레임(201)에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구(도 9의 205)의 내측에는 상기 관통구(205)와 대응되는 형상의 보호가드(100)가 상기 관통구(205)의 외측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억지끼움고정 또는 일체형으로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호가드(10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특히, 상기 짐볼드론(20)의 경량화를 위해, 무게가 매우 가볍고, 부식에 강하며,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면서, 탄성과 강도가 무게 대비 우수한 카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의 경기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예로, 상기 짐볼드론(20)에 상기 발광부재(204)를 구비시킨 다음 기본팀(드론팀A)과 상대팀(드론팀B)을 지정한 후, 상기 기준짐볼드론(210)의 발광부재(204), 상기 일측짐볼드론(220)의 발광부재(204),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의 발광부재(204)가 서로 상이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도록 하여 기본팀(드론팀A)이 조종하는 일측짐볼드론(220), 상대팀(드론팀B)이 조종하는 타측짐볼드론(230) 및 공 역할을 하는 기준짐볼드론(210)이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팀내 기체 구분을 위하여 복수의 상기 일측짐볼드론(220)과 복수의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에 각각 넘버링이 추가 부착될 수 있다.
경기 중 공 역할을 하는 기준짐볼드론(210)은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고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일측짐볼드론(220) 또는 상기 타측짐볼드론(230)과 부딪칠 경우, 튕겨나가도록 제작될 수 있다.
팀당 4 ~ 6 대의 일측짐볼드론(220) 및 타측짐볼드론(230)이 한 팀을 이룰 수 있으며, 경기 시간안 3 ~ 5분 내외로 할 수 있다.
또는, 농구경기와 같은 4쿼터 형식으로 진행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점수를 높게 얻는 팀이 이기는 게임방식으로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30) 또는 골대프레임(40)으로 기준짐볼드론(210)를 서로 경쟁하며 드리블하면서 점수를 얻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은 대형 스크린부(30)에 구역별 난이도에 따라 다양한 점수가 화면출력될 수 있도록 한 뒤, 상기 기준짐볼드론(210)을 드리블하며 상기 스크린부(30)에 맞혀 맞힌 부분의 해당 점수를 얻는 방식이다.
터치패널을 이용한 점수합산 시스템으로서, 저항막 방식(감압식)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기준짐볼드론(210)의 충격과 압력을 통해 터치인식을 할 수 있으며, 구역별 다양한 점수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경기장구조물(10)은 관중이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내경기장구조물(농구 경기장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안전과 비행성 향상을 위해 상기 경기장구조물(10)의 일측, 타측, 전측 및 후측에는 칸막이 또는 그물이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의 점수획득에 따른 승부결정방식은 다음과 같다.
1) 아크릴 재질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경기장구조물(10)설치,
2) 상기 짐볼드론(20)의 고도유지범위 설정,
3) 경기시작,
4) 기준짐볼드론(210)을 튕겨내 스크린부(30) 터치,
5) 해당 터치부위에 해당하는 점수 획득,
6) 1경기를 일정시간으로 진행하는 동안에 획득한 점수합산,
7) 같은 방식으로 총 4경기(4쿼터)진행,
8) 모든 경기 후 합산된 점수를 통해 승부 결정,
9) 경기종료.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일측짐볼드론(220)과 상기 타측짐볼드론(230)을 통해 공역할을 하는 상기 기준짐볼드론(210)을 서로 경쟁하면서 이동시키면서 드리블하여 상기 기준짐볼드론(210)을 상기 스크린부(30)에 접촉 또는 상기 기준짐볼드론(210)이 상기 골대프레임(40)을 통과함에 따라 점수를 얻으면서 경기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경기장구조물, 20; 짐볼드론,
30; 스크린부, 40; 골대프레임,
50; 감지부, 60; 제어부.

Claims (10)

  1. 경기장구조물과;
    상기 경기장구조물의 내부에 비행가능하게 구비되는 기준짐볼드론과, 상기 기준짐볼드론을 기준으로 상기 경기장구조물의 내부 일측과 내부 타측에 각각 비행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기준짐볼드론과 충돌하여 상기 기준짐볼드론을 이동시키는 일측짐볼드론 및 타측짐볼드론으로 구성되는 짐볼드론과;
    상기 경기장구조물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기준짐볼드론과 접하고, 상기 기준짐볼드론과의 접촉위치를 검출하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의 검출신호를 근거로 상기 기준짐볼드론의 접촉위치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
  2. 경기장구조물과;
    상기 경기장구조물의 내부에 비행가능하게 구비되는 기준짐볼드론과, 상기 기준짐볼드론을 기준으로 상기 경기장구조물의 내부 일측과 내부 타측에 각각 비행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기준짐볼드론과 충돌하여 상기 기준짐볼드론을 이동시키는 일측짐볼드론 및 타측짐볼드론으로 구성되는 짐볼드론과;
    상기 경기장구조물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기준짐볼드론이 통과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골대프레임과;
    상기 골대프레임을 통과하는 상기 기준짐볼드론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기준짐볼드론이 상기 골대프레임의 관통구를 통과하는데 따른 점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장구조물은 투명재질의 일측패널 및 투명재질의 타측패널과;
    상기 일측패널의 전측과 상기 타측패널의 전측 사이 및 상기 일측패널의 후측과 상기 타측패널의 후측 사이에 구비되는 투명재질의 전측패널 및 투명재질의 후측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장구조물은 투명재질의 상부패널 및 투명재질의 하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의 모서리부위와 상기 하부패널의 모서리부위 사이에 각각 수직구비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는 감압식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골대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자력발생부재와;
    상기 기준짐볼드론에 구비되어 상기 자력발생부재가 발생시키는 자력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산출한 점수데이터가 저장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에 저장된 점수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짐볼드론, 상기 일측짐볼드론 및 상기 타측짐볼드론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짐볼드론, 상기 일측짐볼드론 및 상기 타측짐볼드론에 발광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기준짐볼드론의 발광부재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 상기 일측짐볼드론의 발광부재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 상기 타측짐볼드론의 발광부재가 발광하는 빛의 색상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짐볼드론에 보호가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
KR1020170047793A 2016-09-01 2017-04-13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 KR101883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12571 2016-09-01
KR1020160112571 2016-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792A true KR20180025792A (ko) 2018-03-09
KR101883810B1 KR101883810B1 (ko) 2018-07-31

Family

ID=6172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793A KR101883810B1 (ko) 2016-09-01 2017-04-13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810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404B1 (ko) * 2018-01-11 2018-08-09 박민경 무인 비행체의 레이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985670B1 (ko) 2019-02-08 2019-06-05 (주)드론아이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KR102001862B1 (ko) 2019-02-08 2019-07-19 (주)드론아이 드론을 이용한 농구 경기장 시스템
KR20200064342A (ko) * 2018-11-29 2020-06-08 김성민 실내 소형 드론 체험장치
KR20200067372A (ko) 2018-12-04 2020-06-12 (주)퓨스포 드론충돌경기 시스템
WO2020179983A1 (ko) * 2019-03-04 2020-09-10 주식회사 제주드론파크 드론 통과 다중 감지 센서 게이트 및 이를 이용한 드론 게임 시스템
KR102159089B1 (ko) * 2019-04-04 2020-09-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스포츠용 드론 장치
KR20210015462A (ko) * 2019-08-02 2021-02-10 이상훈 스포츠 드론
KR20210044389A (ko) 2019-10-15 2021-04-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무선전력 전송 가능한 드론 경기장 시스템
KR20210044392A (ko) 2019-10-15 2021-04-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검출센서를 이용한 무선전력 전송 가능한 드론 경기장 시스템
KR102276791B1 (ko) * 2020-01-17 2021-07-12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짐벌드론
KR102366823B1 (ko) * 2021-10-22 2022-02-25 정현우 이동형 접이식 드론 축구 경기장
KR20220096154A (ko) * 2020-12-30 2022-07-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축구 연습용 무인심판 시스템
KR20220101294A (ko) * 2021-01-11 2022-07-1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축구 연습용 무인심판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539B1 (ko) 2018-09-20 2020-04-21 황용구 내구성이 강화된 드론 축구골대 및 이를 적용한 드론 축구경기장
KR20200053086A (ko) 2018-11-08 2020-05-18 황용구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비행 경기 시스템
KR102186697B1 (ko) 2019-06-24 2020-12-04 박준모 드론볼용 프레임
KR20210012701A (ko) 2019-07-26 2021-02-03 김용호 드론을 이용한 경기 운영 시스템
KR20210084940A (ko) 2019-12-30 2021-07-08 황용구 튜브형 무인 항공기 경기장
KR102594691B1 (ko) 2020-12-04 2023-10-27 주식회사 웨이브쓰리디 드론 감지형 게이트
KR102481607B1 (ko) 2021-11-09 2022-12-27 티마텍 주식회사 드론축구 시뮬레이터의 드론볼 체크인 시스템
WO2023136630A1 (ko) 2022-01-12 2023-07-20 이동원 드론과 드론모선을 포함하는 드론 시스템 및 방법
KR102575528B1 (ko) * 2023-01-27 2023-09-0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포츠드론을 이용한 스포츠 게임 시스템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404B1 (ko) * 2018-01-11 2018-08-09 박민경 무인 비행체의 레이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4342A (ko) * 2018-11-29 2020-06-08 김성민 실내 소형 드론 체험장치
KR20200067372A (ko) 2018-12-04 2020-06-12 (주)퓨스포 드론충돌경기 시스템
KR101985670B1 (ko) 2019-02-08 2019-06-05 (주)드론아이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KR102001862B1 (ko) 2019-02-08 2019-07-19 (주)드론아이 드론을 이용한 농구 경기장 시스템
US11890552B2 (en) 2019-03-04 2024-02-06 Madventure Co., Ltd. Drone-passing multiple detection sensor gate and drone game system using same
WO2020179983A1 (ko) * 2019-03-04 2020-09-10 주식회사 제주드론파크 드론 통과 다중 감지 센서 게이트 및 이를 이용한 드론 게임 시스템
KR102159089B1 (ko) * 2019-04-04 2020-09-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스포츠용 드론 장치
KR20210015462A (ko) * 2019-08-02 2021-02-10 이상훈 스포츠 드론
KR20210044389A (ko) 2019-10-15 2021-04-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무선전력 전송 가능한 드론 경기장 시스템
KR20210044392A (ko) 2019-10-15 2021-04-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검출센서를 이용한 무선전력 전송 가능한 드론 경기장 시스템
KR102276791B1 (ko) * 2020-01-17 2021-07-12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짐벌드론
KR20220096154A (ko) * 2020-12-30 2022-07-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축구 연습용 무인심판 시스템
KR20220101294A (ko) * 2021-01-11 2022-07-1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축구 연습용 무인심판 모듈
KR102366823B1 (ko) * 2021-10-22 2022-02-25 정현우 이동형 접이식 드론 축구 경기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810B1 (ko)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810B1 (ko) 드론을 이용한 경기시스템
KR101170147B1 (ko) 가상 현실 스크린 야구 시스템
US20090117525A1 (en) Sensory Coordination System for Sports, Therapy and Exercise
US20040160336A1 (en) Interactive system
KR102513743B1 (ko) 몰입형 및 반응형 게임 플레이 레인지, 시스템, 및 방법
US9984587B2 (en) Virtual and live play hybrid golf attraction
CN210027938U (zh) 用于风洞的交互式模块化系统及洞间系统
US11458398B2 (en) Trampoline video game
US20220409942A1 (en) Hopscotch trampoline
JP2013515555A (ja) 打撃状態出力機能のスクリーンゴルフシステム及び方法
JP7076510B2 (ja) 仮想ゴルフシステム
US9383814B1 (en) Plug and play wireless video game
CA2516151A1 (en) Interactive system
KR102521041B1 (ko)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26253B1 (ko) 전자 경기 시스템, 전자 경기 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1756947B1 (ko) 스크린 게이트볼 게임 시스템
KR20220056167A (ko)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378555B1 (ko) 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131786B1 (ko) 실내 소형 드론 체험장치
TW202115553A (zh) 沉浸式多媒體系統、沉浸式互動方法及可移動互動單元
EP3564617A1 (en) Optical sensing target
KR20240001566A (ko) 스마트 틱텍토 게임 시스템
WO2007121749A1 (en) Game system with a virtual ball
KR20210047382A (ko)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