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835B1 -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835B1
KR101783835B1 KR1020160097939A KR20160097939A KR101783835B1 KR 101783835 B1 KR101783835 B1 KR 101783835B1 KR 1020160097939 A KR1020160097939 A KR 1020160097939A KR 20160097939 A KR20160097939 A KR 20160097939A KR 101783835 B1 KR101783835 B1 KR 101783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cock
badminton
screen
us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식
Original Assignee
김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식 filed Critical 김창식
Priority to KR1020160097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1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for picking-up automatically, e.g. by apparatus moving over the play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03Nets for tennis or like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 Y10S482/902Employing specific graphic or video displ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혼자서도 배드민턴을 실전처럼 경기하거나 연습할 수 있고 셔틀콕의 공급 및 세팅이 용이하도록, 스크린과, 스크린에 영상을 투영하는 빔 프로젝터와, 스크린 맞은편 쪽에서 상기 스크린 전방에 위치하는 배드민턴코트를 촬영하여 촬영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및 라켓, 셔틀콕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동작인식카메라와, 사용자의 상대편이 되어 사용자에게 셔틀콕을 발사하는 셔틀콕발사기를 포함하는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 {Badminton Simulation Device}
본 발명은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원에 구애받지 않고 1인 또는 1팀으로 배드민턴연습이나 배드민턴경기를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구성한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턴은 코트의 중앙에 설치된 네트를 사이에 두고 양쪽 편에서 라켓으로 셔틀콕을 공중에서 치고받아 득점을 겨루는 경기이다.
배드민턴에 사용되는 셔틀콕은 라켓에 의해 타격이 이루어지는 콜크(cork) 부분과 안정되게 비행이 이루어지도록 날개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콘(cone) 부분으로 구성된다.
배드민턴은 언제 어디서나 약간의 공간만 있으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스포츠이므로 대중에게 가장 많이 보급된 라켓 종목이기도 하다.
배드민턴은 상대방이 없이 개인이 혼자서 셔틀콕을 치거나 받는 연습을 하지 못하였으나, 최근 들어 사용자에게 셔틀콕을 발사시켜주는 장치가 개발되어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09-0050205호에는 배드민턴 공을 공기 압축기를 이용해 발사하는 배드민턴 공 발사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292661호에는 탄성체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추진체가 셔틀콕을 추진시킴에 따라 셔틀콕이 발사되는 셔틀콕 발사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09-0050205호, 한국특허등록 제1292661호 등과 같이 셔틀콕을 발사시켜주는 장치의 개발로 인하여, 1인 또는 1팀이 배드민턴연습을 행하는 것은 가능하게 되었으나, 1인 또는 1팀으로 배드민턴경기를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1인 또는 2인이 이 1팀을 이루어 실제처럼 배드민턴경기나 배드민턴연습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시간이나 인원에 구애됨이 없이 간편하게 배드민턴을 즐길 수 있는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 전방에 설치되는 네트와, 상기 스크린에 영상을 투영하는 빔 프로젝터와, 상기 스크린 맞은편 쪽에서 상기 스크린 전방의 배드민턴코트를 촬영하여 촬영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및 라켓, 셔틀콕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동작인식카메라와, 상기 스크린 쪽에서 상기 배드민턴코트를 촬영하여 촬영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및 라켓, 셔틀콕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보조동작인식카메라와, 상기 사용자의 상대편이 되어 사용자에게 셔틀콕을 발사하는 셔틀콕발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스크린 전방의 배드민턴코트에 낙하하는 셔틀콕을 수취하여 일측으로 운반하는 셔틀콕 수거장치와, 상기 셔틀콕 수거장치에 의해 배드민턴코트 일측으로 운반되는 셔틀콕을 적층하는 셔틀콕 적층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셔틀콕 적층장치는 위쪽 끝면에 상기 셔틀콕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 셔틀콕의 적층이 이루어지는 수집통과, 상기 셔틀콕 수거기로부터 이송되는 셔틀콕을 일정 높이로 운반 이동시켜 상기 수집통에 투입하는 셔틀콕 투입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셔틀콕 투입기는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풀리와, 상기 한 쌍의 풀리에 감아 걸려 회전하고 외면에는 셔틀콕을 밀고 올라가는 날개를 구비하는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셔틀콕 수거장치로부터 방출되어 낙하하는 셔틀콕을 수취하며 상기 날개가 셔틀콕을 밀고 올라감에 따라 상기 수집통의 투입구로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에 의하면, 1인 또는 2인이 1팀을 이루어 실전처럼 배드민턴경기나 배드민턴연습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시간이나 인원에 구애됨이 없이 간편하게 배드민턴을 즐길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에 의하면, 배드민턴코트에 떨어진 셔틀콕을 수거한 후 사용이 편리하도록 적층이 이루어지므로 신속하게 셔틀콕을 발사기에 세팅 및 공급할 수 있고 셔틀콕의 수집 및 적층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의 셔틀콕 수거장치 및 셔틀콕 적층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셔틀콕 수집장치의 수집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셔틀콕 투입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셔틀콕 투입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기술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는, 실내의 배드민턴코트(2)에 설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는, 네트(4), 스크린(10), 빔 프로젝터(20), 동작인식카메라(30), 보조동작인식카메라(40) 그리고 셔틀콕발사기(50)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4)는 상기 배드민턴코트(2)를 양편으로 구분한다.
상기 스크린(10)은 상기 배드민턴코트(2)의 한쪽 끝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10)은 실내의 벽면이나 천장 등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10)은 뒤쪽으로 일정 각도로 눕혀져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빔 프로젝터(20)는 미리 입력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10)에 투영한다.
상기 빔 프로젝터(20)는 가상의 배드민턴코트 배경 영상, 가상의 셔틀콕 이동 영상, 가상의 상대방 영상 등을 상기 스크린(10)에 투영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인식카메라(30)는 상기 스크린(10) 반대편에서 상기 스크린(10) 전방에 위치하는 배드민턴코트(2)를 촬영하여 촬영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1) 및 라켓(6), 셔틀콕(8) 등의 움직임을 인식한다.
즉 동작인식카메라(30)는 사용자(1) 및 라켓(6), 셔틀콕(8) 등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타격된 셔틀콕(8)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 속도 등의 이동궤도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동작인식카메라(30)는 감지되는 이동궤도를 빔 프로젝터(20)에 제공하여 빔 프로젝터(20)가 이동궤도와 연관된 배드민턴코트 영상과 셔틀콕의 이동 영상을 스크린(10)에 투영시키도록 한다.
상기 보조동작인식카메라(40)는 상기 스크린(10) 상부쪽에서 배드민턴코트(2)를 촬영하여 촬영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1) 및 라켓(6), 셔틀콕(8) 등의 움직임을 인식한다.
즉 보조동작인식카메라(40)는 상기 동작인식카메라(30) 반대편 위치에서 사용자(1) 및 라켓(6), 셔틀콕(8) 등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타격된 셔틀콕(8)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 속도 등의 이동궤도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조동작인식카메라(40) 역시 감지되는 이동궤도를 빔 프로젝터(20)에 제공하며, 빔 프로젝터(20)는 동작인식카메라(30) 및/또는 보조동작인식카메라(40) 가 감지한 이동궤도와 연관된 배드민턴코트 영상과 셔틀콕의 이동 영상을 스크린(10)에 투영시키도록 한다
상기 동작인식카메라(30) 및 보조동작인식카메라(40)는 배드민턴코트(2)의 양쪽 끝부분에서 각각 동작 인식이 이루어짐에 따라 다양한 방향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므로 이동궤도를 보다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인식카메라(30) 및 보조동작인식카메라(40)는 실내의 벽이나 천장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셔틀콕발사기(50)는 사용자의 상대편이 되어 사용자에게 셔틀콕(1)을 발사한다.
즉 셔틀콕발사기(50)는 사용자(1) 반대편의 배드민턴코트(2)에서 사용자 편의 배드민턴코트(2)로 셔틀콕(8)을 발사한다.
상기 셔틀콕발사기(50)는 다양한 각도와 속도로 셔틀콕을 발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셔틀콕발사기(50)는 상기 동작인식카메라(30) 및/또는 보조동작인식카메라(40)에서 감지되는 이동궤도에 대응하여 다양한 궤도로 사용자에게 셔틀콕을 발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셔틀콕발사기(50)는 공지의 셔틀콕발사기(50)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의 셔틀콕 수거장치 및 셔틀콕 적층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시뮬레이션장치는, 상기 스크린(10) 전방의 배드민턴코트(2)에 낙하하는 셔틀콕(8)을 수취하여 일측으로 운반하는 셔틀콕 수거장치(60)와, 상기 셔틀콕 수거장치(60)에 의해 배드민턴코트(2) 일측으로 운반되는 셔틀콕(2)을 적층하는 셔틀콕 적층장치(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셔틀콕 수거장치(60)는 벨트 컨베이어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셔틀콕 수거장치(60)는 상기 네트(4)와 스크린(10) 사이 바닥에 설치된다.
상기 셔틀콕 적층장치(70)는 위쪽 끝면에 상기 셔틀콕(8)이 투입되는 투입구(72)가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72)로 투입되는 셔틀콕(8)의 적층이 이루어지는 수집통(71)과, 상기 셔틀콕 수거장치(60)로부터 이송되는 셔틀콕(8)을 수취하여 일정 높이로 운반 이동시켜 상기 수집통(71)에 투입하는 셔틀콕 투입기(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수집장치의 수집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투입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투입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집통(71)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투입구(72)로 투입되는 셔틀콕(8)이 세워져 층층이 쌓인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셔틀콕 투입기(80)는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풀리(81), (82)와, 상기 한 쌍의 풀리(81), (82)에 감아 걸려 회전하고 외면에는 셔틀콕(8)을 밀고 올라가는 복수의 날개(85)를 구비하는 이송벨트(84)와, 상기 이송벨트(84)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셔틀콕 수거장치(60)로부터 방출되어 낙하하는 셔틀콕(8)을 수취하고 상기 날개(85)가 셔틀콕(8)을 밀고 올라감에 따라 상기 수집통(71)의 투입구(72)로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레일(8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 쌍의 상기 안내레일(86)은 각각 경사부(87)를 구비시켜, 한 쌍의 안내레일(86) 사이의 간격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셔틀콕 수거장치(60)로부터 방출되어 낙하하는 셔틀콕(8)이 안내레일(86) 사이에서 측면으로 넘어지지 않고 콜크 부분이 아래에 위치하고 콘 부분이 위쪽에 위치하는 자세를 유지하면서 상기 이송벨트(84)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1 : 사용자 2 : 배드민턴코트
4 : 네트 6 : 라켓
8 : 셔틀콕 10 : 스크린
20 : 빔 프로젝터 30 : 동작인식카메라
40 : 보조동작인식카메라 50 : 셔틀콕발사기
60 : 셔틀콕 수거장치 70 : 셔틀콕 적층장치
71 : 수집통 72 : 투입구
80 : 셔틀콕 투입기 81, 82 : 풀리
84 : 이송벨트 85 : 날개
86 : 안내레일 87 : 경사부

Claims (7)

  1.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영상을 투영하는 빔 프로젝터와,
    상기 스크린 맞은편 쪽에서 상기 스크린 전방에 위치하는 배드민턴코트를 촬영하여 촬영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및 라켓, 셔틀콕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동작인식카메라와,
    상기 사용자의 상대편이 되어 사용자에게 셔틀콕을 발사하는 셔틀콕발사기와,
    상기 스크린 전방의 배드민턴코트에 낙하하는 셔틀콕을 수취하여 일측으로 운반하는 셔틀콕 수거장치를 포함하는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쪽에서 상기 배드민턴코트를 촬영하여 촬영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및 라켓, 셔틀콕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보조동작인식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전방에 설치되는 네트를 더 포함하는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 수거장치는 벨트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 수거장치에 의해 배드민턴코트 일측으로 운반되는 셔틀콕을 적층하는 셔틀콕 적층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셔틀콕 적층장치는 위쪽 끝면에 상기 셔틀콕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 셔틀콕의 적층이 이루어지는 수집통과, 상기 셔틀콕 수거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셔틀콕을 일정 높이로 운반 이동시켜 상기 수집통에 투입하는 셔틀콕 투입기를 포함하는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 투입기는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풀리와, 상기 한 쌍의 풀리에 감아 걸려 회전하고 외면에는 셔틀콕을 밀고 올라가는 날개를 구비하는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셔틀콕 수거장치로부터 방출되어 낙하하는 셔틀콕을 수취하며 상기 날개가 셔틀콕을 밀고 올라감에 따라 상기 수집통의 투입구로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레일을 포함하는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
KR1020160097939A 2016-08-01 2016-08-01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 KR101783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939A KR101783835B1 (ko) 2016-08-01 2016-08-01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939A KR101783835B1 (ko) 2016-08-01 2016-08-01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835B1 true KR101783835B1 (ko) 2017-10-10

Family

ID=60190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939A KR101783835B1 (ko) 2016-08-01 2016-08-01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83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950B1 (ko) 2017-05-02 2018-10-24 김창식 스크린 배드민턴 연습장치
WO2020004885A1 (ko) * 2018-06-25 2020-01-02 주식회사 뉴딘콘텐츠 볼의 운동에 대한 센싱장치 및 그 센싱방법
CN112774146A (zh) * 2021-01-11 2021-05-11 西安理工大学 全自动羽毛球穿球机
KR20220108349A (ko) 2021-01-27 2022-08-03 박기범 양손을 교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라켓 스포츠 장비
CN115862396A (zh) * 2023-02-07 2023-03-28 长春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体育教学的羽毛球落地角度展示装置
KR20230057127A (ko) * 2021-10-21 2023-04-28 주식회사 해피스케치 디지털 피트니스 보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8757A (ja) 2004-02-09 2005-08-18 Vr Sports:Kk バーチャルリアリティテニスゲームシステム
KR101578678B1 (ko) 2015-06-22 2015-12-18 신우섭 배드민턴 셔틀콕 수거 장치
KR101586462B1 (ko) * 2015-10-02 2016-01-19 (주)나라소프트 스크린을 이용한 테니스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8757A (ja) 2004-02-09 2005-08-18 Vr Sports:Kk バーチャルリアリティテニスゲームシステム
KR101578678B1 (ko) 2015-06-22 2015-12-18 신우섭 배드민턴 셔틀콕 수거 장치
KR101586462B1 (ko) * 2015-10-02 2016-01-19 (주)나라소프트 스크린을 이용한 테니스 연습 및 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950B1 (ko) 2017-05-02 2018-10-24 김창식 스크린 배드민턴 연습장치
WO2020004885A1 (ko) * 2018-06-25 2020-01-02 주식회사 뉴딘콘텐츠 볼의 운동에 대한 센싱장치 및 그 센싱방법
CN112774146A (zh) * 2021-01-11 2021-05-11 西安理工大学 全自动羽毛球穿球机
KR20220108349A (ko) 2021-01-27 2022-08-03 박기범 양손을 교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라켓 스포츠 장비
KR20230057127A (ko) * 2021-10-21 2023-04-28 주식회사 해피스케치 디지털 피트니스 보조 장치
KR102642221B1 (ko) * 2021-10-21 2024-02-29 주식회사 해피스케치 디지털 피트니스 보조 장치
CN115862396A (zh) * 2023-02-07 2023-03-28 长春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体育教学的羽毛球落地角度展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835B1 (ko)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
KR101894950B1 (ko) 스크린 배드민턴 연습장치
US9039547B2 (en) Personal sports simulation robot
JP6734855B2 (ja) ボールゲームの練習装置
US51601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batting skills
KR101992961B1 (ko) 자동 탁구 연습장치
US20170304705A1 (en) Novel system and method adapted to enable simultaneous play of one or more sports games in the same facility with automated ball delivery, tracking and collection
KR101434251B1 (ko)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US4021037A (en) Tennis practice machine
US20160310817A1 (en) Personal Sports Simulation Robot
CN212593870U (zh) 弹射机构以及室内足球射门训练装置
US9162134B2 (en) Lacrosse training and competitive game installation with variable trajectory control
KR101564191B1 (ko) 탁구 연습 장치
US4699386A (en) Soccer practice machine
US20050127609A1 (en) Game involving tossing object into box
JP5969665B1 (ja) サッカー練習装置
JP7301415B2 (ja) 自動卓球練習装置
CN212593869U (zh) 室内足球射门训练装置
US4955606A (en) Ball pitching device
KR20120021465A (ko) 축구공 슈팅 게임장치
CN114177593B (zh) 一种用于篮球训练的专用篮球架
KR20200034219A (ko)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CN110730682B (zh) 用于排出和收集球的系统及相关操作方法
CN114191796A (zh) 一种体育用高效排球辅助训练装置
KR101978039B1 (ko) 스크린을 이용한 다중 스포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