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515B1 - 야구연습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야구연습방법 - Google Patents

야구연습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야구연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515B1
KR102467515B1 KR1020200161085A KR20200161085A KR102467515B1 KR 102467515 B1 KR102467515 B1 KR 102467515B1 KR 1020200161085 A KR1020200161085 A KR 1020200161085A KR 20200161085 A KR20200161085 A KR 20200161085A KR 102467515 B1 KR102467515 B1 KR 102467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baseball
unit
lifting
t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3215A (ko
Inventor
홍명수
설종환
허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우티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우티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우티앤씨
Priority to KR1020200161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515B1/ko
Publication of KR20220073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5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prior to kicking, striking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업모듈에 자동으로 야구공을 공급하는 한편, 티업모듈을 승강 이동시켜 사용자가 야구공을 타격하는 연습을 하기 위한 야구연습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야구연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야구연습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되 야구공이 투입되는 볼투입구와 야구공이 배출되는 티승강구가 개구되는 본체와, 볼투입구와 연통되도록 본체에 내장되어 야구공이 수용되는 호퍼와, 호퍼에 수용된 야구공을 일렬로 정렬하여 볼투입구 쪽으로 이송시키는 볼공급유닛과, 볼투입구 쪽으로 이송되는 야구공이 안착되고 안착된 야구공을 티승강구의 상측에 이격 배치시키는 볼승강유닛을 포함하고, 볼승강유닛은 안착된 야구공이 상기 티승강구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도록 피벗 운동과 연계된 승강 이동 동작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야구연습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야구연습방법{BASEBALL PRACTICE DEVICE AND BASEBALL PRACTICE METHOD USING THIS}
본 발명은 야구연습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야구연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티업모듈에 자동으로 야구공을 공급하는 한편, 티업모듈을 승강 이동시켜 사용자가 야구공을 타격하는 연습을 하기 위한 야구연습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야구연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저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운동경기를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일반 사회인들도 각종 스포츠 동호회를 구성하여 직접 몸을 움직여 뛰며 서로 간의 친목을 다지고 건강을 증진시키고 있다.
가령, 사회인 야구팀이나 축구팀 또는 농구팀 등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경기장에 모여 경기를 치르거나 체력 단력이나 기술 연습을 통해 경기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한편, 여러 스포츠 중 야구의 경우 배팅 연습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배팅 연습은, 예컨대 기술코치가 타격자에게 볼을 던져주고 타격자는 배트를 이용하여 볼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인력 방식은, 최소한 공을 던져주는 사람이 필요하고, 특히 안전사고의 위험을 안고 있다.
즉, 타격자가 타격한 볼이 공을 던져주는 사람에게 날아가거나 타격시 배트를 놓칠 경우 매우 큰 부상을 입을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에는 볼 타격연습 기계가 개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가동부재와, 일단부가 가동부재에 고정되며 반대단부에서 볼을 구비하는 볼 지지아암을 구비한 볼 타격연습 기계에 대한 내용만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82647호 (발명의 명칭 : 볼 게임용 타격연습 기계, 1999. 11. 25.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티업모듈에 자동으로 야구공을 공급하는 한편, 티업모듈을 승강 이동시켜 사용자가 야구공을 타격하는 연습을 하기 위한 야구연습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야구연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야구연습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되, 야구공이 투입되는 볼투입구와, 야구공이 배출되는 티승강구가 개구되는 본체; 상기 볼투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야구공이 수용되는 호퍼; 상기 호퍼에 수용된 야구공을 일렬로 정렬하여 상기 볼투입구 쪽으로 이송시키는 볼공급유닛; 및 상기 볼투입구 쪽으로 이송되는 야구공이 안착되고, 안착된 야구공을 상기 티승강구의 상측에 이격 배치시키는 볼승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볼승강유닛은, 안착된 야구공이 상기 티승강구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도록 피벗 운동과 연계된 승강 이동 동작을 구현한다.
여기서, 상기 볼공급유닛은, 상기 호퍼와 연통되어 상기 야구공이 수용되는 정렬브라켓; 상기 정렬브라켓의 공이 일렬로 상기 볼승강유닛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볼이송부; 상기 야구공의 정렬을 위해 상기 야구공이 하나씩 안착되는 다수의 볼안착홈이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의 원의 가장자리에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회전정렬판; 및 상기 볼안착홈에 안착된 야구공이 상기 볼이송부에 순차적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회전정렬판의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정렬판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렬브라켓과 상기 볼이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단부로부터 상기 볼승강유닛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볼이송부에는,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정렬브라켓에 공급되는 야구공들을 분산시키는 끼임방지부; 및 상기 볼승강유닛을 향해 일렬로 이송되는 야구공을 이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지지하는 볼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볼이송부는, 원통 형상인 상기 정렬브라켓의 가장자리에서 접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이송부; 및 제1이송부에서 상기 볼승강유닛을 향해 연장되는 제2이송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정렬판은, 원통 형상의 상기 정렬브라켓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원판 형상의 제1정렬판; 상기 정렬브라켓과 상기 제1정렬판 중 어느 하나에서 이격 배치되는 원판 형상의 제2정렬판; 및 상기 제1정렬판과 상기 제2정렬판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부재; 중 적어도 상기 제2정렬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렬브라켓의 바닥과 상기 제2정렬판 사이의 간격은, 야구공의 반지름과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볼승강유닛은, 상기 볼공급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야구공에 대응하여 상기 야구공을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승강구동모듈; 상기 승강모듈의 회전력에 의해 피벗 운동되는 피벗암; 상기 피벗암의 피벗 운동에 따라 상기 야구공을 높이 방향으로 승강 이동시키는 승 강모듈; 및 상기 승강모듈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승강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볼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야구공이 안착되는 티업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티업모듈의 중심 부분에는, 관통홀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볼승강유닛은, 상기 티업모듈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티업모듈에 안착되는 야구공을 감지하는 볼확인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볼확인모듈을 통해 야구공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티업모듈이 상승되도록 상기 승강구동모듈이 동작된다.
여기서, 상기 볼승강유닛은, 상기 티업모듈에 안착된 야구공이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야구공이 돌출되는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구연습장치는 상기 볼공급유닛과 상기 볼승강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구연습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야구연습장치를 이용한 야구연습방법이고, 상기 볼공급유닛과 상기 볼승강유닛이 활성화되도록 상기 볼공급유닛과 상기 볼승강유닛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단계; 기 볼승강유닛으로 야구공이 공급되도록 하는 원점을 확인하는 원점확인단계; 상기 원점확인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볼승강유닛에서 원점이 확인되면, 야구공이 상기 볼승강유닛에 안착되도록 상기 볼공급유닛을 동작시키는 회전구동단계; 상기 회전구동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볼승강유닛에서 야구공의 안착 여부를 확인하는 볼확인단계; 및 상기 볼확인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볼승강유닛에 야구공이 안착되면, 타격을 위해 야구공이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상승하도록 상기 볼승강유닛을 동작시키는 타격정위치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구연습방법은 상기 볼확인단계의 결과, 상기 볼승강유닛에 야구공이 안착되지 않으면, 야구공이 상기 볼승강유닛에 안착되도록 추가로 상기 볼공급유닛을 동작시키는 추가구동단계; 및 상기 추가구동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볼승강유닛에서 야구공의 안착 여부를 다시 확인하는 추가확인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확인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볼승강유닛에 야구공이 안착되면, 상기 타격정위치단계를 실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구연습방법은 상기 추가확인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볼승강유닛에 야구공이 안착되지 않으면, 야구연습장치에서의 오류를 검사하는 오류단계; 상기 오류단계의 검사 결과, 야구공의 이송 문제로 판단되면, 상기 볼공급유닛과 상기 볼승강유닛을 수동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하는 수동조작단계; 상기 오류단계의 검사 결과, 상기 호퍼에서 야구공이 없음으로 판단되면, 상기 호퍼에 야구공이 투입되도록 사용자를 유도하는 볼공급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타격정위치단계는, 야구공의 상승에 대한 메뉴얼이 있는지 야구공의 상승에 대해 기설정된 자동세팅값이 있는지 확인하는 자동확인단계; 상기 자동확인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메뉴얼이 있으면, 상기 메뉴얼에 따라 야구공이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상승하도록 상기 볼승강유닛을 동작시키는 설정상승단계; 및 상기 자동확인단계의 확인 결과, 기설정된 자동세팅값이 있으면, 기설정된 자동세팅값에 따라 야구공이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상승하도록 상기 볼승강유닛을 동작시키는 티상승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구연습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야구연습방법에 따르면, 티업모듈에 자동으로 야구공을 공급하는 한편, 티업모듈을 승강 이동시켜 사용자가 야구공을 타격하는 연습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공급유닛과 볼승강유닛의 상호 관계를 통해 본체를 통과하여 야구공의 수직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공급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호퍼에 수용된 야구공을 일렬로 간편하게 정렬하여 볼승강유닛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공급유닛의 세부 구성에 대한 상향 경사 구조는 정렬브라켓에서 야구공의 정렬을 명확하게 하고, 볼승강유닛으로의 야구공 순차 공급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끼임방지부를 통해 정렬브라켓에 공급되는 야구공이 회전정렬판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면서 호퍼와 정렬브라켓과 볼이송부 사이의 공간에서 야구공의 끼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지지부를 통해 볼이송부를 통과하는 야구공이 정렬브라켓 쪽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고, 볼이송부의 야구공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이송부의 구성을 통해 회전정렬판의 볼안착홈에 안착된 야구공이 부드럽게 이탈되어 제1이송부에 전달되도록 하고, 야구공의 걸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이송부의 구성을 통해 야구공이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하여 야구공이 일렬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정렬판의 세부 구성을 통해 야구공이 볼안착홈에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정렬판의 설치높이가 한정되므로, 볼안착홈에 안착된 야구공의 다른 야구공의 움직임에 의해 볼안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승강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피벗암의 피벗 운동과 연계하여 티업모듈의 수직 승강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야구공을 안정되게 높이 방향으로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확인모듈을 통해 야구공의 안착 상태를 확인하고, 티업모듈에 승강 동작을 명확하게 할 수 있으며, 관통홀부를 통한 야구공의 감지 방식을 통해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야구공의 승강 이동 동작에 있어서, 외부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감지모듈을 통해 본체로부터 야구공이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제어유닛을 통해 볼공급유닛과 볼승강유닛의 동작을 명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구연습방법의 세부 구성을 통해 볼승강유닛이 야구공을 본체의 상측으로 안정되게 돌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구연습방법에서 야구공의 공급 상태를 확인하고, 야구공이 볼승강유닛에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야구연습방법에서 오류 발생에 따라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호퍼에 야구공을 보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격정위치단계의 세부 구성을 통해 볼승강유닛에서 야구공의 승강 방식을 채택하고, 본체에서 야구공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장치에서 볼공급유닛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장치에서 볼승강유닛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장치에서 볼승강유닛의 승강구동모듈과 피벗암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장치에서 볼승강유닛의 승강모듈과 티업모듈과 볼확인모듈과 높이감지모듈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장치에서 야구공이 안착된 티업모듈의 상승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장치에서 야구공이 안착된 티업모듈의 상승 상태에 대응한 볼승강유닛의 동작 상태이고, 티업모듈이 최고 높이로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방법에서 타격정위치단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야구연습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야구연습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장치는 사용자가 야구공(B)을 타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장치는 본체(10)와, 호퍼(20)와,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와 같이 외관을 형성한다. 본체(10)에는 야구공(B)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내부의 야구공(B)이 돌출되는 티승강구(12)가 개구된다. 투입구는 본체(10)의 상부 또는 측면부에 구비될 수 있고, 티승강구(12)는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의 저면에는 본체(1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바퀴(13)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 중 적어도 볼공급유닛(30)이 지지되는 바닥부(14)가 본체(10)의 저면을 형성하고 있다.
호퍼(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투입구(11)와 연통된다. 호퍼(20)는 본체(10)에 내장된다. 호퍼(20)에는 야구공(B)이 수용된다.
볼공급유닛(3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20)에 수용된 야구공(B)을 일렬로 정렬하여 볼투입구(11) 쪽으로 이송시킨다.
볼공급유닛(30)은 호퍼(20)와 연통되어 야구공(B)이 수용되는 정렬브라켓(31)과, 정렬브라켓(31)의 공이 일렬로 볼승강유닛(40)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볼이송부(32)와, 야구공(B)의 정렬을 위해 야구공(B)이 하나씩 안착되는 다수의 볼안착홈(34)이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의 원의 가장자리에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회전정렬판(33)과, 볼안착홈(34)에 안착된 야구공(B)이 볼이송부(32)에 순차적으로 전달되도록 회전정렬판(33)의 중심에 결합되어 회전정렬판(33)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모듈(3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렬브라켓(31)과 볼이송부(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단부로부터 볼승강유닛(40)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이송부(32)에는 호퍼(20)로부터 정렬브라켓(31)에 공급되는 야구공(B)들을 분산시키는 끼임방지부(323)와, 볼승강유닛(40)을 향해 일렬로 이송되는 야구공(B)을 이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지지하는 볼지지부(3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볼이송부(32)는 원통 형상인 정렬브라켓(31)의 가장자리에서 접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이송부(321)와, 제1이송부(321)에서 볼승강유닛(40)을 향해 연장되는 제2이송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송부(321)의 상부에는 끼임방지부(3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1이송부(321)와 제2이송부(3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볼지지부(32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정렬판(33)은 원통 형상의 정렬브라켓(31)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원판 형상의 제1정렬판(331)과, 정렬브라켓(31)과 제1정렬판(331) 중 어느 하나에서 이격 배치되는 원판 형상의 제2정렬판(332)과, 제1정렬판(331)과 제2정렬판(332)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부재(333) 중 적어도 제2정렬판(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정렬브라켓(31)의 바닥과 제2정렬판(332) 사이의 간격은 야구공(B)의 반지름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야구공(B)이 볼안착홈(3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볼공급유닛(30)의 세부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렬브라켓(31)은 회전정렬판(33)이 안정되게 회전되도록 원통 형상을 나타낸다. 정렬브라켓(31)은 일단부로부터 볼승강유닛(40)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어 회전정렬판(33)의 볼안착홈(34)에 야구공(B)이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한다.
정렬브라켓(31)에서 상향 경사에 대응하여 상부 또는 하부에는 볼안착홈(34)을 일부 가리는 지지커버(311)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커버(311)는 볼안착홈(34)을 향하는 둘 이상의 야구공(B) 중 상부의 야구공(B)을 볼안착홈(34)으로부터 이격시켜 둘 이상의 야구공(B) 중 하부의 야구공(B)이 안정되게 볼안착홈(34)에 안착되도록 하고, 야구공(B)이 볼안착홈(34)에 안착된 경우, 다른 야구공(B)이 볼안착홈(34)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때, 볼공급유닛(30)은 정렬브라켓(31)의 경사를 유지시키기 위해 본체(10)의 바닥부(14)에 결합된 상태에서 경사브라켓(36)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경사브라켓(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렬브라켓(31)의 경사를 통해 호퍼(20)로부터 전달되는 야구공(B)이 볼안착홈(34)에 안정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볼이송부(32)는 원형의 정렬브라켓(31)의 가장자리에 접선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회전정렬판(33)의 회전에 대응하여 볼안착홈(34)의 야구공(B)을 볼이송부(32)에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볼이송부(32)는 일단부로 부터 볼승강유닛(40)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어 정렬브라케승로부터 전달되는 야구공(B)이 안정되게 이송되도록 한다.
볼이송부(32)는 제1경사각으로 경사브라켓(36)으로부터 볼승강유닛(40)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는 제1이송부(321)와, 제1경사각보다 큰 제2경사각으로 제1이송부(321)로부터 볼승강유닛(40)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는 제2이송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이송부(321)를 통해 경사브라켓(36)으로부터 전달되는 야구공(B)이 볼승강유닛(40)을 향해 순차적으로 안정되게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제2이송부(322)를 통해 제1이송부(321)의 야구공(B)이 끼임이나 걸림없이 일렬로 안정되게 정렬되어 야구공(B)이 볼승강유닛(40)에 순차적으로 안정되게 공급되도록 한다.
회전정렬판(33)은 원형의 정렬브라켓(31)에 대응하여 원판 형상을 나타낸다. 회전정렬판(3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정렬판(331)과, 제2정렬판(332)과, 간격부재(333) 중 적어도 제2정렬판(33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간격부재(333)는 제1정렬판(331)의 중심과 제2정렬판(332)의 중심을 연결 고정시키고, 회전구동모듈(35)에서 회전구동부(351)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정렬판(331)에는 볼안착홈(34) 중 제1안착홈(341)이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의 원의 가장자리에 등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하고, 제2정렬판(332)에는 볼안착홈(34) 중 제1안착홈(341)과 1:1 대응되는 제2안착홈(342)이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의 원의 가장자리에 등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볼안착홈(34)에서 야구공(B)의 안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정렬브라켓(31)의 바닥과 제2정렬판(332) 사이의 간격은 야구공(B)의 반지름과 같거나 크므로, 볼안착홈(34)에 안착된 야구공(B)은 회전정렬판(33)의 회전과 다른 야구공(B)에 의한 충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서라도 볼안착홈(3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끼임방지부(323)는 제1이송부(321)의 상부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야구공(B)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고, 볼지지부(324)는 제2이송부(322)의 내부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볼승강유닛(40)으로 전달되는 야구공(B)이 다시 정렬브라켓(31) 쪽으로 되돌아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구동모듈(35)은 회전정렬판(33)과 결합되어 회전정렬판(33)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351)를 포함하고, 정렬브라켓(31)의 경사에 대응하여 본체(10)의 바닥부(14)를 기준으로 회전구동부(351)를 경사지게 고정시키는 구동브라켓(3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351)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모터부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감속부(423)는 구동브라켓(352)에 고정되어 회전력이 안정되게 전달되도록 한다.
볼공급유닛(30)의 동작을 살펴보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구동모듈(35)이 동작되고 회전정렬판(33)이 회전된다. 이때, 호퍼(20)에 수용된 야구공(B)이 정렬브라켓(31)에 전달되고, 야구공(B)은 볼안착홈(34)에 하나씩 안착된다. 그리고 회전정렬판(33)의 회전에 따라 볼안착부(453)의 야구공(B)은 순차적으로 볼이송부(32)에 투입됨에 따라 야구공(B)은 일렬로 정렬되어 볼승강유닛(40)에 전달된다.
볼승강유닛(40)은 도 2와 도 3과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투입구(11) 쪽으로 이송되는 야구공(B)이 안착되고, 안착된 야구공(B)을 티승강구(12)의 상측에 이격 배치시킨다. 볼승강유닛(40)은 안착된 야구공(B)이 티승강구(12)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도록 피벗 운동과 연계된 승강 이동 동작을 구현하게 된다.
볼승강유닛(40)은 볼공급유닛(30)으로부터 전달되는 야구공(B)에 대응하여 야구공(B)을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승강구동모듈(42)과, 승강모듈(44)의 회전력에 의해 피벗 운동되는 피벗암(43)과, 피벗암(43)의 피벗 운동에 따라 야구공(B)을 높이 방향으로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모듈(44)과, 승강모듈(44)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승강모듈(44)에 결합되고 볼공급유닛(30)으로부터 공급되는 야구공(B)이 안착되는 티업모듈(4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티업모듈(45)의 중심 부분에는 관통홀부(452)가 관통 형성되고, 볼승강유닛(40)은 티업모듈(45)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티업모듈(45)에 안착되는 야구공(B)을 감지하는 볼확인모듈(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볼확인모듈(46)을 통해 야구공(B)이 감지되는 경우, 티업모듈(45)이 상승되도록 승강구동모듈(42)이 동작되도록 한다.
볼승강유닛(40)은 티업모듈(45)에 안착된 야구공(B)이 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본체(10)로부터 야구공(B)이 돌출되는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모듈(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볼승강유닛(40)의 세부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강구동모듈(42)은 본체(10)의 바닥부(14) 또는 후술하는 베이스(411)로부터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피벗구동축(421)과,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피벗구동축(421)을 정역 회전시키는 피벗구동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구동모듈(42)은 피벗구동부(422)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피벗구동축(421)에 전달하는 감속부(4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속부(423)에는 웜기어와 웜휠기어의 치합 구조가 적용되어 감속을 안정화시키고, 피벗구동축(421)의 회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피벗구동축(421)에는 한 쌍의 피벗암(43)이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므로, 피벗구동축(421)의 회전에 따라 피벗암(43)이 피벗 운동하게 된다. 피벗구동축(421)은 본체(10)의 바닥부(14) 또는 후술하는 베이스(411)와 평행하도록 후술하는 축지지브라켓(4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피벗구동부(422)와 감속부(4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후술하는 구동지지브라켓(413)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벗구동부(422)의 회전력으로 피벗구동축(421)이 정회전되면, 피벗암(43)이 상측으로 피벗 운동되고, 피벗구동부(422)의 회전력으로 피벗구동축(421)이 역회전되면, 피벗암(43)이 하측으로 피벗 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피벗암(43)에는 티업모듈(45)의 수직 상승 또는 수직 하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피벗암(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로홀부(431)가 관통 형성된다.
승강모듈(44)은 피벗암(43)과 링크 결합되는 승강블럭(441)과, 본체(10)의 바닥부(14) 또는 후술하는 베이스(411)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승강블럭(441)이 승강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블럭슬라이더(442)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블럭(441)에는 경로홀부(431)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경로홀부(43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암슬라이더(44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슬라이더(443)는 승강블럭(441)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암슬라이더(443)는 경로홀부(431)와의 마찰을 줄이고 소음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블럭슬라이더(442)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되어 한 쌍의 피벗암(43) 사이에 배치되어 승강블럭(441)의 승강 이동 과정에서 승강블럭(441)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피벗암(43)이 상측으로 피벗 운동하면, 암슬라이더(443)는 경로홀부(431)에서 슬라이드 이동되고, 승강블럭(441)은 블럭슬라이더(442)를 따라 수직으로 안정되게 상승할 수 있다. 또한, 피벗암(43)이 하측으로 피벗 운동하면, 암슬라이더(443)는 경로홀부(431)에서 슬라이드 이동되고, 승강블럭(441)은 블럭슬라이더(442)를 따라 수직으로 안정되게 하강할 수 있다.
티업모듈(45)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탄성티(451)와, 볼공급유닛(30)으로부터 공급되는 야구공(B)이 안착되도록 탄성티(451)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볼안착부(453)와, 탄성티(451)를 승강모듈(44)의 승강블럭(441)에 결합시키는 탈착브라켓(455)을 포함할 수 있다. 티업모듈(45)은 탄성티(451)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4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티업모듈(45)은 승강블럭(441)과의 결합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탄성티(451)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모듈지지부(4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티업모듈(45)은 탄성티(451)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승강모듈(44)의 승강블럭(441)에 함몰 형성되는 티업홈부(4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티(451)는 전체 또는 상부에 탄성력이 부여되어 구부러졌다가 원위치로 복귀 가능하다. 탄성티(451)의 전체 또는 상부는 사용자가 야구공(B)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타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티(451)의 상부만을 교체하기 위해 탄성티(451)는 하부를 기준으로 상부가 탈부착 가능하다. 또한, 탄성티(451)의 전체를 교체하기 위해 탈착브라켓(455)은 탄성티(451)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한편, 승강블럭(441)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다.
볼안착부(453)에는 아래로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야구공(B)이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하고, 탄성티(451)의 승강 이동 과정에서 볼안착부(453)로부터 야구공(B)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듈지지부(454)는 탄성티(45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탄성티(451)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탈착브라켓(455)을 통한 승강블럭(441)과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듈지지부(454)는 승강블럭(441)의 상부 중앙 부분에 함몰 형성된 티업홈부(456)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여 탄성티(451)와 승강블럭(441)과 탈착브라켓(455)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볼확인모듈(46)은 승강블럭(441)의 상부 중앙 부분에 함몰 형성되는 센서안착부(461)에 끼움 결합되어 탄성티(451)에 관통 형성된 관통홀부(452)와 마주보도록 하므로, 야구공(B)이 볼안착부(453)에 안착될 때, 야구공(B)이 관통홀부(452)에 노출되어 볼확인모듈(46)을 통해 볼안착부(453)에 안착되는 야구공(B) 안정되게 감지할 수 있다.
높이감지모듈(47)은 티업모듈(45)의 일측으로 이격되어 본체(10)의 바닥부(14) 또는 후술하는 베이스(411)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감지브라켓(471)과, 승강블럭(441)에 결합되어 승강블럭(441)과 함께 승강 이동되는 높이지시부(472)와, 감지브라켓(471)에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승강블럭(441)의 승강 이동에 대응하여 승강블럭(441)의 높이에 따라 높이지시부(472)를 감지하는 다수의 높이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감지부는 감지브라켓(471)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볼공급유닛(30)으로부터 공급되는 야구공(B)이 볼안착부(453)에 안착되도록 승강블럭(441)이 블럭슬라이더(442)의 하단부에 있을 때 높이지시부(472)를 감지하는 원점감지부(473)와, 승강블럭(441)이 기설정된 기준높이에서 블럭슬라이더(442)에 위치할 때 높이지시부(472)를 감지하는 기준감지부(474)와, 승강블럭(441)이 기설정된 기준높이보다 높게 블럭슬라이더(442)에 위치할 때 기준높이보다 높은 상승높이에 대응하여 단계별로 높이지시부(472)를 감지하는 다수의 상승감지부(475)와, 승강블럭(441)이 기설정된 기준높이보다 낮게 블럭슬라이더(442)에 위치할 때, 기준높이보다 늦은 하강높이에 대응하여 단계별로 높이지시부(472)를 감지하는 다수의 하강감지부(47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준높이는 본체(10)의 바닥부(14) 또는 후술하는 베이스(411)로부터 85Cm 높이로 설정하고, 상승높이는 기준높이로부터 5Cm 씩 3단계로 증가하도록 하였으며, 하강높이는 기준높이로부터 5Cm 씩 3단계로 감소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기준높이와 상승높이와 하강높이는 높이감지부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볼승강유닛(40)은 상술한 모듈들을 지지하거나 보호하기 위한 승강브라켓(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브라켓(41)은 본체(10)의 바닥부(14)에 구비되는 베이스(411)와, 승강구동모듈(42)의 피벗구동축(4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축지지브라켓(412)과, 승강구동모듈(42)의 피벗구동부(422)와 감속부(4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구동지지브라켓(413)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브라켓(41)은 피벗암(43)이 피벗 운동 가능하고 승강블럭(441)이 승강 이동 가능하며 탄성티(451)가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승강블럭(441)과 탄성티(451)를 감싸 보호하는 보호브라켓(4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브라켓(41)은 볼공급유닛(30)과 티업모듈(45)을 구획하고, 볼공급유닛(30)으로부터 공급되는 야구공(B)을 탄성티(451)의 볼안착부(453)로 안내하며 볼공급유닛(30)으로부터 공급되는 야구공(B)이 보호브라켓(414)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티업모듈(45)과 볼공급유닛(30) 사이를 구획하는 가이드브라켓(4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볼승강유닛(40)의 동작을 살펴보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원점감지부(473)가 높이지시부(472)를 감지하도록 하여 승강블럭(441)을 원점에 정위치시킨다. 승강블럭(441)이 원점에 정위치되면, 볼공급유닛(30)으로부터 야구공(B)이 공급된다. 이때, 볼공급유닛(30)은 하나의 야구공(B)이 볼안착부(453)에 공급되도록 회전정렬판(33)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야구공(B)이 볼안착부(453)에 안착되면, 볼확인모듈(46)이 야구공(B)을 감지함에 따라 야구공(B)의 공급이 정지되고 자동세팅여부에 따라 피벗구동부(422)가 동작되어 승강모듈(44)이 세팅값에 따라 상승하도록 하여 승강블럭(441)을 기설정된 세팅높이에 정위치시킨다. 이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승강블럭(441)을 단계별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타격지시에 따라 사용자는 본체(1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탄성티(451)의 볼안착부(453)에 안착된 야구공(B)을 타격할 수 있다.
타격이 완료되면, 볼안착부(453)가 비어 있으므로, 볼확인모듈(46)은 이것을 감지하고, 볼안착부(453)에 야구공(B)이 없음을 감지하면, 피벗구동부(422)가 동작되어 승강블럭(441)을 초기 위치로 하강시키고,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블럭(441)을 원점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장치는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유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제어유닛(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51)와, 기설정된 세팅높이에서 승강블럭(441)이 승강 이동되도록 승강블럭(441)의 높이를 선택하는 높이조절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제어부(51)는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인가 여부를 선택하는 전원스위치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센싱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제어부(51)는 유지보수에 있어서 승가블럭을 임의로 승강 이동시키는 수동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제어부(51)는 승강블럭(441)의 높이를 세팅하기 위한 오토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52)는 승강블럭(441)을 단계별로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스위치(521)와, 승강블럭(441)을 단계별로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스위치(522)와, 현재 승강블럭(441)의 높이를 표시하는 높이표시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표시부(523)는 높이감지부가 높이지시부(472)를 감지한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그러면, 전원스위치가 "on"으로 전환되는 경우,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과 센싱제어부가 활성화되어 상술한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스위치가 "off"로 전환되면,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과 센싱제어부의 동작이 정지되고, 센싱제어부 및 오토스위치에 의한 설정값이 초기화되도록 한다.
또한, 야구연습장치의 동작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야구공(B)의 이송에 문제가 있으면, 센싱제어부는 야구연습장치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고 사용자가 수동조작부를 조작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야구연습장치의 동작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호퍼(20)에 야구공(B)이 없으면, 센싱제어부는 알림을 통해 사용자가 호퍼(20)에 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오토스위치가 "on"으로 전환되는 경우, 센싱제어부는 기설정된 자동세팅값으로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자동세팅값을 설정할 수 있고, 별도로 승강블럭(441)의 높이 조작이 가능하다
오토스위치가 "off"로 전환되는 경우, 센싱제어부는 메뉴얼에 따라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별도로 승강블럭(441)의 높이 조작이 가능하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장치를 이용한 야구연습방법으로,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이 활성화되도록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단계(S1)와, 볼승강유닛(40)으로 야구공(B)이 공급되도록 하는 원점을 확인하는 원점확인단계(S2)와, 원점확인단계(S2)의 확인 결과 볼승강유닛(40)에서 원점이 확인되면 야구공(B)이 볼승강유닛(40)에 안착되도록 볼공급유닛(30)을 동작시키는 회전구동단계(S3)와, 회전구동단계(S3)를 거친 다음 볼승강유닛(40)에서 야구공(B)의 안착 여부를 확인하는 볼확인단계(S4)와, 볼확인단계(S4)의 확인 결과 볼승강유닛(40)에 야구공(B)이 안착되면 타격을 위해 야구공(B)이 본체(10)의 상측으로 상승하도록 볼승강유닛(40)을 동작시키는 타격정위치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인가단계(S1)는 사용자가 전원스위치를 "on"으로 전환함에 따라 외부전원이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에 인가될 수 있다.
원점확인단계(S2)는 피벗구동부(422)의 동작과 함께, 원점감지부(473)가 높이지시부(472)를 감지함에 따라 원점을 확인할 수 있다.
회전구동단계(S3)는 원점이 확인되면, 회전구동부(351)를 동작시켜 회전정렬판(33)이 회전되면서 야구공(B)이 볼이송부(32)를 통과하도록 한다. 회전구동단계(S3)에서 회전정렬판(33)은 볼안착홈(34)의 배치각에 대응하여 간헐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볼확인단계(S4)는 탄성티(451)의 볼안착부(453)에 야구공(B)이 안착될 때, 볼확인모듈(46)이 야구공(B)을 감지함에 따라 볼승강유닛(40)에서 야구공(B)의 안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타격정위치단계(S5)는 볼승강유닛(40)에서 야구공(B)이 안착되면, 피벗구동부(422)를 동작시켜 승강블럭(441)이 블럭슬라이더(442)를 따라 수직으로 상승하도록 한다. 이때, 높이감지부 중 센싱제어부가 지정한 감지부가 높이지시부(472)를 감지하는 경우, 피벗구동부(422)를 정지시켜 야구공(B)을 본체(10)의 상측으로 이격시킨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방법은 원점확인단계(S2)의 확인 결과, 볼승강유닛(40)에서 원점이 확인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에러메세지를 전파하는 에러단계(S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러단계(S21)는 센서제어부를 동작시켜 에러메세지가 사용자의 시각과 청각 중 어느 하나를 자극하도록 사용자에게 에러메세지를 전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방법은 에러단계(S21)를 거친 다음,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이 비활성화되도록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단계(S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차단단계(S22)를 거친 다음, 관리자는 야구연습장치를 유지보수할 수 있다. 전원차단단계(S22)는 사용자가 전원스위치를 "off"로 전환하는 경우,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방법은 볼확인단계(S4)의 결과 볼승강유닛(40)에 야구공(B)이 안착되지 않으면 야구공(B)이 볼승강유닛(40)에 안착되도록 추가로 볼공급유닛(30)을 동작시키는 추가구동단계(S31)와, 추가구동단계(S31)를 거친 다음 볼승강유닛(40)에서 야구공(B)의 안착 여부를 다시 확인하는 추가확인단계(S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확인단계(S41)의 확인 결과, 볼승강유닛(40)에 야구공(B)이 안착되면, 타격정위치단계(S5)를 실시하게 된다.
추가구동단계(S31)는 회전구동단계(S3)와 같이 동작되고, 추가확인단계(S41)는 볼확인단계(S4)와 같이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방법은 추가확인단계(S41)의 확인 결과 볼승강유닛(40)에 야구공(B)이 안착되지 않으면 야구연습장치에서의 오류를 검사하는 오류단계(S8)와, 오류단계(S8)의 검사 결과 야구공(B)의 이송 문제로 판단되면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을 수동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하는 수동조작단계(S82)와, 오류단계(S8)의 검사 결과 호퍼(20)에서 야구공(B)이 없음으로 판단되면 호퍼(20)에 야구공(B)이 투입되도록 사용자를 유도하는 볼공급단계(S8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류단계(S8)의 검사 결과, 야구공(B)의 이송 문제로 판단되면, 수동조작단계(S82)에 앞서,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는 일시정지단계(S8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오류단계(S8)는 회전구동부(351)의 반복적인 동작에 대응하여 볼확인모듈(46)이 야구공(B)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센싱제어부가 야구연습장치에서의 오류를 검사할 수 있다.
수동조작단계(S82)는 센싱제어부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조작하는 수동조작부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가 동작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볼공급단계(S83)는 센서제어부를 동작시켜 볼공급메세지가 사용자의 시각과 청각 중 어느 하나를 자극하도록 사용자에게 볼공급메세지를 전파할 수 있다.
일시정지단계(S81)는 센서제어부를 동작시켜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가 정지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방법에서 타격정위치단계(S5)는 야구공(B)의 상승에 대한 메뉴얼이 있는지 야구공(B)의 상승에 대해 기설정된 자동세팅값이 있는지 확인하는 자동확인단계(S51)와, 자동확인단계(S51)의 확인 결과 메뉴얼이 있으면 메뉴얼에 따라 야구공(B)이 본체(10)의 상측으로 상승하도록 볼승강유닛(40)을 동작시키는 설정상승단계(S56)와, 자동확인단계(S51)의 확인 결과 기설정된 자동세팅값이 있으면 기설정된 자동세팅값에 따라 야구공(B)이 본체(10)의 상측으로 상승하도록 볼승강유닛(40)을 동작시키는 티상승단계(S54)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확인단계(S51)를 센싱제어부를 동작시켜 오토스위치의 on/off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센싱제어부는 오토스위치가 "on"으로 전환되는 경우, 기설정된 자동세팅값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오토스위치가 "off"로 전환되는 경우, 메뉴얼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설정상승단계(S56)는 볼승강유닛(40)에서 야구공(B)이 안착되면, 메뉴얼에 따라 피벗구동부(422)를 동작시켜 승강블럭(441)이 블럭슬라이더(442)를 따라 수직으로 상승하도록 한다.
타격정위치단계(S5)는 설정상승단계(S56)를 거친 다음, 메뉴얼에 따라 야구공(B)이 정위치되도록 하는 설정정위치단계(S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정정위치단계(S57)는 높이감지부 중 메뉴얼에 의해 지정된 감지부가 높이지시부(472)를 감지하는 경우, 피벗구동부(422)를 정지시켜 야구공(B)을 본체(10)의 상측으로 이격시킨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타격정위치단계(S5)는 티상승단계(S54)를 거친 다음, 기설정된 자동세팅값에 따라 야구공(B)이 정위치되도록 하는 오토정위치단계(S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토정위치단계(S55)는 높이감지부 중 자동세팅값에 의해 지정된 감지부가 높이지시부(472)를 감지하는 경우, 피벗구동부(422)를 정지시켜 야구공(B)을 본체(10)의 상측으로 이격시킨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타격정위치단계(S5)는 자동확인단계(S51)의 확인 결과, 기설정된 자동세팅값이 있으면, 자동세팅값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높이확인단계(S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높이확인단계(S52)는 센싱제어부를 동작시켜 기설정된 자동세팅값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높이확인단계(S52)의 확인 결과, 자동세팅값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자동세팅값을 설정하는 높이세팅단계(S53)를 실시한 다음, 티상승단계(S54)를 실시하게 된다. 높이확인단계(S52)의 확인 결과, 자동세팅값을 유지하는 경우, 티상승단계(S54)를 실시하게 된다.
티상승단계(S54)는 높이감지부 중 자동세팅값에 의해 지정된 감지부가 높이지시부(472)를 감지하는 경우, 피벗구동부(422)를 정지시켜 야구공(B)을 본체(10)의 상측으로 이격시킨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타격정위치단계(S5)는 설정상승단계(S56)와, 설정정위치단계(S57)와, 티상승단계(S54)와, 오토정위치단계(S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거친 다음, 야구공(B)의 높이를 변경하는 높이조작단계(S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작단계(S58)는 높이조절부(52)의 조작에 따라 피벗구동부(422)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방법은 타격정위치단계(S5)를 거친 다음, 사용자에게 야구공(B)의 타격이 가능함을 전파하는 타격지시단계(S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격지시단계(S6)는 센싱제어부를 동작시켜 지시메세지가 사용자의 시각과 청각 중 어느 하나를 자극하도록 사용자에게 지시메세지를 전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방법은 타격정위치단계(S5)를 거친 다음, 사용자가 야구공(B)을 타격하기 위한 대기시간에 대응하여 야구공(B)의 상승 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시대기단계(S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시대기단계(S61)는 센싱제어부를 동작시켜 기설정된 대기시간 동안 야구공(B)의 높이를 유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구연습방법은 타격정위치단계(S5)를 거친 다음, 볼승강유닛(40)에서 야구공(B)의 안착 여부를 확인하는 완료단계(S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료단계(S7)는 승강모듈(44)이 상승된 상태에서 탄성티(451)의 볼안착부(453)의 야구공(B)이 타격에 의해 이탈될 때, 볼확인모듈(46)이 비어 있는 볼안착부(453)를 감지함에 따라 볼승강유닛(40)에서 야구공(B)의 안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완료단계(S7)의 확인 결과, 볼승강유닛(40)에 야구공(B)이 안착된 상태이면, 타격지시단계(S6) 이전, 타격정위치단계(S5) 이후로 복귀하여 사용자가 야구공(B)을 타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완료단계(S7)의 확인 결과, 볼승강유닛(40)에 야구공(B)이 안착되지 않은 상태이면, 볼승강유닛(40)에 야구공(B)이 공급되도록 볼승강유닛(40)을 동작시키는 티하강단계(S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티하강단계(S71)를 거친 다음에는 상술한 원점확인단계(S2)를 실시할 수 있다. 티하강단계(S71)는 피벗구동부(422)를 동작시켜 피벗암(43)이 아래로 피벗 운동하도록 하고, 승강블럭(441)이 초기 위치로 하강하도록 한다.
상술한 야구연습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야구연습방법에 따르면, 티업모듈(45)에 자동으로 야구공(B)을 공급하는 한편, 티업모듈(45)을 승강 이동시켜 사용자가 야구공(B)을 타격하는 연습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의 상호 관계를 통해 본체(10)를 통과하여 야구공(B)의 수직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볼공급유닛(30)의 세부 구성을 통해 호퍼(20)에 수용된 야구공(B)을 일렬로 간편하게 정렬하여 볼승강유닛(40)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볼공급유닛(30)의 세부 구성에 대한 상향 경사 구조는 정렬브라켓(31)에서 야구공(B)의 정렬을 명확하게 하고, 볼승강유닛(40)으로의 야구공(B) 순차 공급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끼임방지부(323)를 통해 정렬브라켓(31)에 공급되는 야구공(B)이 회전정렬판(33)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면서 호퍼(20)와 정렬브라켓(31)과 볼이송부(32) 사이의 공간에서 야구공(B)의 끼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지지부(324)를 통해 볼이송부(32)를 통과하는 야구공(B)이 정렬브라켓(31) 쪽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고, 볼이송부(32)의 야구공(B)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이송부(321)의 구성을 통해 회전정렬판(33)의 볼안착홈(34)에 안착된 야구공(B)이 부드럽게 이탈되어 제1이송부(321)에 전달되도록 하고, 야구공(B)의 걸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이송부(322)의 구성을 통해 야구공(B)이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하여 야구공(B)이 일렬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회전정렬판(33)의 세부 구성을 통해 야구공(B)이 볼안착홈(34)에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제2정렬판(332)의 설치높이가 한정되므로, 볼안착홈(34)에 안착된 야구공(B)의 다른 야구공(B)의 움직임에 의해 볼안착홈(3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승강유닛(40)의 세부 구성을 통해 피벗암(43)의 피벗 운동과 연계하여 티업모듈(45)의 수직 승강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야구공(B)을 안정되게 높이 방향으로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볼확인모듈(46)을 통해 야구공(B)의 안착 상태를 확인하고, 티업모듈(45)에 승강 동작을 명확하게 할 수 있으며, 관통홀부(452)를 통한 야구공(B)의 감지 방식을 통해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야구공(B)의 승강 이동 동작에 있어서, 외부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높이감지모듈(47)을 통해 본체(10)로부터 야구공(B)이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구동제어유닛(50)을 통해 볼공급유닛(30)과 볼승강유닛(40)의 동작을 명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야구연습방법의 세부 구성을 통해 볼승강유닛(40)이 야구공(B)을 본체(10)의 상측으로 안정되게 돌출시킬 수 있다.
또한, 야구연습방법에서 야구공(B)의 공급 상태를 확인하고, 야구공(B)이 볼승강유닛(40)에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야구연습방법에서 오류 발생에 따라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호퍼(20)에 야구공(B)을 보충할 수 있다.
또한, 타격정위치단계(S5)의 세부 구성을 통해 볼승강유닛(40)에서 야구공(B)의 승강 방식을 채택하고, 본체(10)에서 야구공(B)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본체 11: 볼투입구 12: 티승강구
13: 바퀴 14: 바닥부 20: 호퍼
30: 볼공급유닛 31: 정렬브라켓 311: 지지커버
32: 볼이송부 321: 제1이송부 322: 제2이송부
323: 끼임방지부 324: 볼지지부 33: 회전정렬판
331: 제1정렬판 332: 제2정렬판 333: 간격부재
34: 볼안착홈 341: 제1안착홈 342: 제2안착홈
35: 회전구동모듈 351: 회전구동부 352: 구동브라켓
36: 경사브라켓 40: 볼승강유닛 41: 승강브라켓
411: 베이스 412: 축지지브라켓 413: 구동지지브라켓
414: 보호브라켓 415: 가이드브라켓 42: 승강구동모듈
421: 피벗구동축 422: 피벗구동부 423: 감속부
43: 피벗암 431: 경로홀부 44: 승강모듈
441: 승강블럭 442: 블럭슬라이더 443: 암슬라이더
45: 티업모듈 451: 탄성티 452: 관통홀부
453: 볼안착부 454: 모듈지지부 455: 탈착브라켓
456: 티업홈부 46: 볼확인모듈 461: 센서안착부
47: 높이감지모듈 471: 감지브라켓 472: 높이지시부
473: 원점감지부 474: 기준감지부 475: 상승감지부
476: 하강감지부 50: 구동제어유닛 51: 구동제어부
52: 높이조절부 521: 상승스위치 522: 하강스위치
523: 높이표시부 B: 야구공
S1: 전원인가단계 S2: 원점확인단계 S21: 에러단계
S22: 전원차단단계 S3: 회전구동단계 S31: 추가구동단계
S4: 볼확인단계 S41: 추가확인단계 S5: 타격정위치단계
S51: 자동확인단계 S52: 높이확인단계 S53: 높이세팅단계
S54: 티상승단계 S55: 오토정위치단계 S56: 설정상승단계
S57: 설정정위치단계 S58: 높이조작단계 S6: 타격지시단계
S61: 지시대기단계 S7: 완료단계 S71: 티하강단계
S8: 오류단계 S81: 일시정지단계 S82: 수동조작단계
S83: 볼공급단계

Claims (6)

  1. 외관을 형성하되, 야구공이 투입되는 볼투입구와, 야구공이 배출되는 티승강구가 개구되는 본체; 상기 볼투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야구공이 수용되는 호퍼; 상기 호퍼에 수용된 야구공을 일렬로 정렬하여 상기 볼투입구 쪽으로 이송시키는 볼공급유닛; 및 상기 볼투입구 쪽으로 이송되는 야구공이 안착되고, 안착된 야구공을 상기 티승강구의 상측에 이격 배치시키는 볼승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볼승강유닛은,
    안착된 야구공이 상기 티승강구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도록 피벗 운동과 연계된 승강 이동 동작을 구현하는 야구연습장치이고,
    상기 볼공급유닛은,
    상기 호퍼와 연통되어 상기 야구공이 수용되는 정렬브라켓; 상기 정렬브라켓의 공이 일렬로 상기 볼승강유닛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볼이송부; 상기 야구공의 정렬을 위해 상기 야구공이 하나씩 안착되는 다수의 볼안착홈이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의 원의 가장자리에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회전정렬판; 및 상기 볼안착홈에 안착된 야구공이 상기 볼이송부에 순차적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회전정렬판의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정렬판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정렬브라켓과 상기 볼이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단부로부터 상기 볼승강유닛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며,
    상기 볼이송부에는,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정렬브라켓 및 볼이송부에 공급되는 야구공들을 분산시키는 끼임방지부; 및 상기 볼승강유닛을 향해 일렬로 이송되는 야구공을 이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지지하는 볼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정렬판은,
    원통 형상의 상기 정렬브라켓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원판 형상의 제1정렬판; 상기 정렬브라켓과 상기 제1정렬판 중 어느 하나에서 이격 배치되는 원판 형상의 제2정렬판; 및 상기 제1정렬판과 상기 제2정렬판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볼승강유닛은,
    상기 으로부터 전달되는 야구공(B)에 대응하여 야구공(B)을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승강구동모듈; 승강모듈의 회전력에 의해 피벗 운동되는 피벗암; 상기 피벗암의 피벗 운동에 따라 야구공(B)을 높이 방향으로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모듈; 및 상기 승강모듈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승강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볼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야구공(B)이 안착되는 티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피벗암에는 상기 티업모듈의 수직 상승 또는 수직 하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상기 피벗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로홀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승강모듈은 상기 피벗암과 링크 결합되는 승강블럭; 상기 본체의 바닥부 또는 베이스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블럭이 승강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블럭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블럭에는 상기 경로홀부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경로홀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블럭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슬라이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연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이송부는,
    원통 형상인 상기 정렬브라켓의 가장자리에서 접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이송부; 및
    제1이송부에서 상기 볼승강유닛을 향해 연장되는 제2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연습장치.




  6. 삭제
KR1020200161085A 2020-11-26 2020-11-26 야구연습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야구연습방법 KR102467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085A KR102467515B1 (ko) 2020-11-26 2020-11-26 야구연습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야구연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085A KR102467515B1 (ko) 2020-11-26 2020-11-26 야구연습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야구연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215A KR20220073215A (ko) 2022-06-03
KR102467515B1 true KR102467515B1 (ko) 2022-11-15

Family

ID=8198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085A KR102467515B1 (ko) 2020-11-26 2020-11-26 야구연습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야구연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5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737B1 (ko) * 2017-08-28 2018-09-20 골프존서비스(주) 골프공 티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2647A (ko) 1996-02-20 1999-11-25 엘 린덴 크레이그 볼 게임용 타격연습 기계
KR101235909B1 (ko) * 2009-12-16 2013-02-21 조완제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101728659B1 (ko) * 2015-07-13 2017-04-20 주식회사 더 테니스 타격용 볼 공급장치
KR102050280B1 (ko) * 2017-12-14 2019-11-29 김무성 자동화 배팅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737B1 (ko) * 2017-08-28 2018-09-20 골프존서비스(주) 골프공 티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215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6166B2 (en)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KR101104525B1 (ko) 골프공자동공급장치
KR200418251Y1 (ko)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JP5485340B2 (ja) ゴルフボール自動ティーアップ供給装置
KR200442369Y1 (ko) 골프공 공급장치
KR102467515B1 (ko) 야구연습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야구연습방법
US6585603B2 (en) Golf ball teeing device having a single-piece arm and a jogger
KR101262786B1 (ko) 볼 이송장치, 볼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볼 공급 시스템과, 볼 이송 제어방법
KR101751239B1 (ko) 고속형 골프공 오토 티업기
US6497624B2 (en) Golf practice device
KR101220934B1 (ko) 자동 타격 연습장치
KR20100026367A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기
KR200358259Y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US6666776B2 (en) Tee device for sport practice
KR101416856B1 (ko) 골프공 티업장치
KR102697541B1 (ko) 회전티업형 오토 티업기
KR20150056673A (ko) 골프공 공급기
EP2001566B1 (en) Device for a tee
KR100936658B1 (ko)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20090018427A (ko) 골프공 공급장치
KR101316666B1 (ko) 골프의 헤드업 교정장치
KR102498644B1 (ko) 테니스 레슨 및 연습을 위한 무인 로봇시스템
KR102355087B1 (ko)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JP2002028271A (ja) ゴルフ練習のティー装置
JPH06198011A (ja) ゴルフボール自動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