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068B1 - 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068B1
KR101835068B1 KR1020160162859A KR20160162859A KR101835068B1 KR 101835068 B1 KR101835068 B1 KR 101835068B1 KR 1020160162859 A KR1020160162859 A KR 1020160162859A KR 20160162859 A KR20160162859 A KR 20160162859A KR 101835068 B1 KR101835068 B1 KR 101835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crew member
screw
shaf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훈
김진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프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프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프존
Priority to KR1020160162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5Installations continuously collecting balls from the playing areas, e.g. by gravity, with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0006Automatic tee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연습 시스템이나 스크린 골프 시스템과 같은 사용자가 골프클럽으로 볼을 타격하여 골프 스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에 의해 타격되어 날아간 볼이 회수되어 타석으로 이송됨으로써 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볼이 회수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볼의 이송의 직진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볼과 장치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고 볼의 마모 및 훼손을 저감시킴으로써 볼 이송 및 공급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볼 이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침투한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동불량이나 파손 등의 문제를 예방하여 볼 이송 및 공급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볼 이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볼 이송장치{BALL TRANSPORTING DEVICE}
본 발명은 골프 연습 시스템이나 스크린 골프 시스템 등에서 사용자가 골프클럽으로 타격한 볼을 회수하여, 타석으로 볼을 공급하는 볼 공급장치로 볼을 이송시키는 볼 이송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골프 인구가 증가하면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등을 이용한 골프 연습 및 가상의 골프경기를 즐길 수 있는 이른바 스크린 골프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실내에 가상 골프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스크린을 설치하고, 골퍼가 골프공을 상기 스크린을 향해 타격을 하면 골프공의 속도, 방향 등을 감지하여 상기 스크린상에 골프공의 진행을 표시해주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등에서는 골프 연습장에서 골프공을 타격하는 것과 동일하게 골프공을 타격하면서 실제로 골프장에서 라운드를 하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크린 골프 시스템 등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골퍼들의 편의를 위해 볼이 자동으로 타석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또 타격되어 날아간 볼이 다시 회수되어 타석으로 재공급되도록 하는 볼 공급 시스템에 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볼 공급 시스템에 대해, 등록특허공보 제10-1262786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0362호, 공개특허공보 제2010-0009931호 등의 선행기술문헌들이 볼 이송에 관한 기술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볼 이송장치는 스크류를 사용하여 볼을 이송하여 배출할 때 스크류가 한 쪽에서 볼을 이송하기 때문에 볼의 방향과 스크류의 힘의 방향이 상이하여 볼이 심하게 마모되거나 훼손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볼이 회수되어 볼 이송장치에서 볼을 이송할 때, 한 쪽에서 스크류 등으로 볼을 이송하기 때문에 볼이 이송되어 배출되기까지의 이송의 직진성이 제대로 유지되지 않아 볼 이송장치의 케이스 내부 벽면 등에 부딪혀서 심한 마찰이 발생하는 등의 이유로 볼이 마모되거나 훼손될 뿐만 아니라 볼과의 마찰이나 마모 또는 훼손된 볼을 이송하는 볼 이송장치 역시 작동불량이나 파손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볼이 타석으로 이송되어 공급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기타 여하한 이유로 볼 끼임이 발생하는 경우 장치의 작동불량이나 장치의 파손 등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골프 연습 시스템이나 스크린 골프 시스템과 같은 사용자가 골프클럽으로 볼을 타격하여 골프 스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에 의해 타격되어 날아간 볼이 회수되어 타석으로 이송됨으로써 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볼이 회수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볼의 이송의 직진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볼과 장치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고 볼의 마모 및 훼손을 저감시킴으로써 볼 이송 및 공급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볼 이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침투한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동불량이나 파손 등의 문제를 예방하여 볼 이송 및 공급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볼 이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는, 볼이 유입되도록 개방되어 형성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볼이 이송되어 토출되는 토출부를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볼을 상기 토출부로 이송하는 제1 스크류부재; 및 상기 제1 스크류부재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스크류부재와의 사이에 놓인 볼이 상기 토출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2 스크류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스크류부재 및 제2 스크류부재는 각각 스크류 날개를 구비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각각의 스크류 날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스크류부재 및 제2 스크류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볼을 상기 토출부로 이송하도록 하는 구동 스크류부재로서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스크류부재는 스크류 날개를 구비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 날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스크류부재 및 제2 스크류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볼을 상기 토출부로 이송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스크류부재로서 구성되며, 상기 제2 스크류부재는 상기 제1 스크류부재의 스크류 날개에 의해 이송되는 볼의 이송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스크류부재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스크류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 스크류 날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스크류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스크류부재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 스크류 날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스크류부재와 제2 스크류부재 사이에 놓인 볼이 상기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이 각각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스크류 날개 및 제2 스크류 날개에 의해 상기 토출부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스크류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스크류 날개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 날개가 회전하여 볼을 상기 토출부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스크류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회전축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상기 토출부 쪽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스크류부재와 함께 상기 볼을 상기 토출부로 이송하도록 하는 이송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스크류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스크류 날개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 날개가 회전하여 볼을 상기 토출부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스크류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볼이 상기 제1 스크류부재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스크류부재의 스크류 날개에 의해 볼이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상기 토출부 쪽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스크류부재의 스크류 날개에 의해 이송되는 볼을 상기 스크류 날개와 함께 상기 토출부로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이송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 가이드는, 상기 스크류 날개와 반대 방향의 하나 또는 두 주기의 나선형 날개를 포함하여, 상기 스크류 날개를 따라 이송되는 볼이 상기 스크류 날개와 상기 나선형 날개에 의해 상기 토출부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1 회전축에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와,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제2 회전축으로 전달하며 상기 제2 회전축이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회전방향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방향 전환부는, 상기 제1 회전축에 연결된 제1 기어와 상기 제2 회전축에 연결된 제2 기어가 맞물리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 사이에 짝수개의 연결기어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부에 연결되며, 다수개의 링이 지지대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나란히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볼이 상기 다수개의 링을 통과하며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볼이 중력에 의해 상기 다수개의 링 하부에 압력을 가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진동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부에 연결되며, 이동하는 볼을 지지하며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가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볼이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 바 사이가 개방되어 구성되는 개방레일과, 상기 개방레일에 연결되며, 다수개의 링이 지지대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나란히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개방레일을 통과한 볼이 상기 다수개의 링을 통과하며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볼이 중력에 의해 상기 다수개의 링 하부에 압력을 가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진동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는, 볼이 유입되도록 개방되어 형성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볼이 이송되어 토출되는 토출부를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볼을 상기 토출부로 이송하는 구동 스크류부재; 및 상기 구동 스크류부재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동 스크류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볼의 이송의 직진성을 유지하도록 상기 볼이 이송되는 것을 지지하는 지지 스크류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스크류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 회전축과, 상기 구동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구동 스크류 날개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 스크류 날개가 회전하여 볼을 상기 토출부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 스크류부재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구동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지지 회전축과, 상기 지지 회전축의 상기 토출부 쪽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스크류부재가 볼을 상기 토출부로 이송하도록 가이드하는 지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볼 이송장치는, 골프 연습 시스템이나 스크린 골프 시스템과 같은 사용자가 골프클럽으로 볼을 타격하여 골프 스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에 의해 타격되어 날아간 볼을 회수하여 타석으로 이송함으로써 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볼을 회수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볼의 이송의 직진성을 유지하여 볼과 장치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고 볼의 마모 및 훼손을 저감시킴으로써 볼 이송 및 공급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침투한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동불량이나 파손 등의 문제를 예방하여 볼 이송 및 공급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가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적용되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볼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볼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에 대해 케이싱의 상단부를 분리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볼 이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볼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개방레일 및 진동레일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볼 이송장치 관한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가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적용되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볼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볼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골프 부스(Booth)의 전면에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영상이 투영되는 스크린(30)이 구비되고, 바닥(10)에는 골퍼가 올라서서 골프 스윙을 하는 타석(20)과 볼(1)이 놓이는 골프매트(22)가 구비되며, 도면상으로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골퍼가 볼을 타격하는 것을 센싱하는 센싱장치가 구비된다.
또한, 부스의 일측에는 상기 센싱장치에서 센싱된 결과에 따라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을 위한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스크린(30)으로 투영할 시뮬레이션 영상을 구현하도록 하는 시뮬레이터(S)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공급 시스템의 볼 이송장치(100)는 부스의 바닥(10) 아래에 형성되는 설치공간(50)에 설치되며, 스크린(30)과 바닥(10) 사이에는 경사면(32)이 형성되어 골퍼가 타격한 볼(1)이 스크린(30)을 맞고 상기 경사면(32)을 따라 굴러 내려와 상기 설치공간(50) 내의 볼 이송장치(1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간(50)을 덮개판(52)이 덮을 수 있도록 하여 볼 이송장치(100)가 보호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타석(20) 아래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마련되고 그 공간에는 볼을 티 업(Tee-Up)하는 방식의 볼 공급장치(500)가 설치되어 골프매트(22)로 볼이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볼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볼 공급 시스템(볼 이송장치, 이송연결관 및 볼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임)은, 볼 이송장치(100)와 볼 공급장치(500)가 이송연결관(300)으로 연결되고, 상기 볼 이송장치(100)가 이송하는 볼이 상기 이송연결관(300)을 따라 이동하여 볼 공급장치(500)로 이송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이송연결관(300)은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바닥(10) 아래에 매설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서는 볼 이송장치(100), 이송연결관(300) 및 볼 공급장치(500)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이송장치(100)는 일측에 볼(1)이 유입되도록 개방되어 형성되는 유입부(103)와, 다른 일측에 볼이 토출되는 토출부(미도시, 케이싱(101)의 개방레일(210) 쪽에 형성됨)가 형성되는 케이싱(101)의 내부에 구동모터(미도시)와 스크류부재(미도시) 등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입부(103)에는 안내판(104)이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103)로 볼(1)이 유입되는 것을 안내하며, 상기 유입부(103)로 유입되는 볼(1)은 스크류부재(미도시)에 의해 이송되어 토출부(미도시)를 통해 토출되어 이송연결관(300)을 따라 볼 공급장치(500)로 이송된다.
상기 볼 이송장치(100)는 케이싱(101)의 토출부(미도시)와 이송연결관(300)을 연결하는 개방레일(210) 및 진동레일(220)을 구비하여 상기 토출부(미도시)에서 토출되어 개방레일(210) 및 진동레일(220)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볼(1)에 묻어 있거나 볼과 볼 사이에 끼어 있는 이물질 등이 제거될 수 있다.
도면 상으로는 개방레일(210)과 진동레일(220)이 함께 구비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으나, 개방레일(210)만 구비하거나 진동레일(220)만 구비하여도 볼의 이물질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개방레일(210)과 진동레일(220)을 함께 이용하는 경우에 더욱 확실한 이물질 제거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이송연결관(300)은 볼 이송장치(100)와 볼 공급장치(500)를 연결하여 볼이 이송되는 통로를 형성하는데, 이송연결관(300)에는 볼이 가득 차 있고 상기 볼 이송장치(100)가 볼(1)을 토출시킴으로써 가득 찬 볼이 밀리면서 볼 공급장치(500)로 이송되는 방식이다.
상기 볼 공급장치(500)는 볼(1)을 티 업 시키도록 하는 방식에 의해 볼을 공급하는 장치인데, 티 부재(510)를 구비하고 볼 공급 구동부(520)가 상기 티 부재(510)를 수직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이송연결관(300)은 볼 공급장치(500)의 연결부(502)와 연결되어 볼을 볼 공급장치(500) 안쪽으로 이송시키며, 이송된 볼이 티 부재(510) 위에 안착되면 상기 볼 공급 구동부(520)가 티 부재(510)를 상승시켜 볼이 골퍼에게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의 구체적인 구성과 동작에 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100)에 대해 케이싱(101)의 상단부를 분리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볼 이송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100)는 볼이 유입되는 유입부(103)와 볼이 토출되는 토출부(106)를 형성하는 케이싱(101)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10), 제1 스크류부재(120), 제2 스크류부재(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는, 회수된 볼을 이송시키는 이송 수행 수단으로서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제1 스크류부재(120) 및 제2 스크류부재(130)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스크류부재(120) 및 제2 스크류부재(130) 사이에 위치하는 볼을 이송이 직진성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 스크류부재와 제2 스크류부재는, 하나는 실질적으로 볼을 이송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구동 스크류부재로, 다른 하나는 이송되는 볼을 지지하는 지지 스크류부재로서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 스크류부재는 스크류 날개를 구비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 날개를 이용하여 제1 스크류부재와 제2 스크류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볼을 토출부로 이송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스크류부재로서 구성하고, 제2 스크류부재는 제1 스크류부재의 스크류 날개에 의해 이송되는 볼의 이송을 지지하는 지지 스크류부재로서 구성함으로써 두 스크류부재가 볼을 토출부까지 직진성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스크류부재로서 구현되는 제1 스크류부재는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볼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지지 스크류부재로서 구현되는 제2 스크류부재는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지 않은채 회전할 수 있도록만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크류부재와 제2 스크류부재를 각각 구동력을 가지고 함께 볼을 이송하도록 하는 구동 스크류부재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1 스크류부재 및 제2 스크류부재가 각각 스크류 날개를 구비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각각의 스크류 날개를 이용하여 제1 스크류부재 및 제2 스크류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볼을 토출부로 이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에 적용되는 제1 스크류부재(120) 및 제2 스크류부재(130)는, 상기 제1 스크류부재(120)가 상기한 구동 스크류부재로서 구현되고 상기 제2 스크류부재(130)는 상기한 지지 스크류부재로서 구현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물론, 지지 스크류부재라고 하여 볼이 이송할 때의 구동력을 전혀 제공하지 않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 스크류부재(130)가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이상 볼이 이송될 때의 구동력을 제공하게 되지만 주된 기능이 제1 스크류부재(120)에 의해 볼이 이송되는 것을 지지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는 케이싱(101) 내부에 구동모터(110)가 구비되고, 제1 스크류부재(120)와 제2 스크류부재(130)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110)의 회전력은 회전력 전달부(150)에 의해 제1 스크류부재(120)로 전달되고, 그 전달되는 회전력은 회전방향 전환부(160)에 의해 제2 스크류부재(130)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크류부재(120)는, 구동모터(110)의 회전력을 회전력 전달부(150)에 의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회전축(121)과, 상기 제1 회전축(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나선형 날개(SB)에 의해 형성되는 스크류 날개(122)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며, 일단은 상기 회전력 전달부(150)와 연결되고 타단은 토출부(106) 쪽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제1 스크류부재(120)의 제1 회전축(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스크류 날개(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날개(SB)가 다수의 주기(T)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주기(T)는 나선형 날개(SB)가 제1 회전축(121)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한바퀴 돌아 형성되는데, 제1 스크류부재(120)의 스크류 날개(122)는 다수의 주기(T)의 나선형 날개(SB)를 구비하며, 나선형 날개(SB) 사이의 나선형 골(SG)에 볼(1)이 안착되어 스크류 날개(122)가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토출부(106) 쪽으로 이송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크류부재(130)의 제2 회전축(131)이 상기 제1 스크류부재(120)와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구비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볼(1)이 나선형 골(SG)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상태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크류부재(130)는, 구동모터(110)의 회전력을 회전방향 전환부(160)에 의해 전달받아 상기 제1 스크류부재(120)의 제1 회전축(121)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축(131)이 상기 제1 회전축(121)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구비되며(일단은 상기 회전방향 전환부(160)에 연결되고 타단은 토출부(106) 쪽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됨), 상기 제2 회전축(131)의 토출부(106) 쪽 단부에 나선형 날개로써 형성되는 이송 가이드(132)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스크류부재(130)는 케이싱(101)의 유입부(103)로 유입되는 볼(1)이 제1 스크류부재(120)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유입구(103)로 유입되는 볼(1)이 상기 제2 스크류부재(130)의 제2 회전축(131)에 접촉되고, 이때 상기 제2 회전축(131)이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하면 볼(1)이 상기 제2 회전축(131)의 회전에 따라 제1 스크류부재(120) 쪽으로 넘어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스크류부재(130)의 제2 회전축(131)은 상기 제1 스크류부재(120)의 스크류 날개(122)에 의해 볼(1)이 이송되는 것을 지지하고 가이드 하여 토출부(106)로 직진성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스크류부재(130)는 제2 회전축(131)의 토출부(106) 쪽 단부에 이송 가이드(132)를 구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 가이드(132)는 제1 스크류부재(120)가 볼을 이송하면서 토출부(106) 쪽에서 볼이 이송되는 직진성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토출부(106)를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볼이 쉽게 이송될 수 있도록 구동력까지 제공한다.
상기 이송 가이드(132)는 제2 회전축(131)의 토출부(106) 쪽 단부에 구비되어 제1 스크류부재(120)의 스크류 날개(122)와 함께 볼(1)을 이송하면서 토출부(106)로 가이드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형상으로든 구현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이송 가이드(132)로서 제2 회전축(131)의 끝부분에 하나의 주기(T)에 해당하는 나선형 날개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나선형 날개는 제1 스크류부재(120)의 스크류 날개(122)와 동일하면서 나선형 날개의 나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토출부(106) 부근에서 제1 스크류부재(120)의 스크류 날개(122)의 끝부분인 나선형 날개와 제2 스크류부재(130)의 이송 가이드(132)의 나선형 날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볼(1)을 토출부(106)로, 마치 양손으로 감싸듯이 밀어넣어 주게 되어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으로 볼(1)을 토출시킬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이송 가이드(132)가 한 주기(T)의 나선형 날개로써 구현되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나, 두 주기의 나선형 날개로써 구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송 가이드(132)의 구간이 길어지면 유입구(103)를 통해 유입되는 볼이 유입되는데 방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유입되는 볼을 방해하지 않는 구간에 이송 가이드(132)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133은 제2 회전축(131)의 후단에 구비되어 볼이 그 후단 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후단지지부를 지칭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회전력 전달부(150)와 회전방향 전환부(160)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의 회전력 전달부(150)는, 케이싱(101)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110)의 모터축에 연결된 제1 풀리(151)와, 제1 스크류부재(120)의 제1 회전축(121)에 연결된 제2 풀리(152)와, 상기 제1 풀리(151) 및 제2 풀리(152)를 연결하여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구동모터(110)의 회전력을 제1 스크류부재(120)의 제1 회전축(121)으로 전달하는 연결부재(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53)는 제1 풀리(151) 및 제2 풀리(152)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벨트나 체인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력 전달부(150)는 연결부재를 생략하고 제1 풀리 및 제2 풀리 대신 복수개의 기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어로 구현하는 경우, 예컨대 모터축과 제1 회전축에 각각 기어를 고정시키고 그 사이에 중간 기어를 맞물려서, 모터축과 제1 회전축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중간 기어를 생략하고 두 기어를 직접적으로 맞물려서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회전방향 전환부(160)는 기어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축(121)에 연결된 제1 기어(G1)와 제2 회전축(131)에 연결된 제2 기어(G2)의 사이에 두 개의 기어축(Sa 및 Sb)와 각각의 기어축에 기어(Ga 및 Gb)를 설치하여, G1, Ga, Gb, G2의 4개의 기어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회전축(121)이 구동모터(110)로부터 회전력 전달부(15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기어(G1)가 Ga 기어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며, Ga 기어는 Gb 기어를 다시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Gb 기어는 제2 기어(G2)를 회전시키면서 제2 회전축(131)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회전축(121)과 제2 회전축(131)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c1, ca, cb, c2는 각각 축고정부로서, c1은 제1 회전축(121)을, c2는 제2 회전축(131)을, 그리고 ca와 cb는 각각 Sa 및 Sb 기어축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4개의 기어(G1, Ga, Gb, G2)를 이용하면 제1 스크류부재(120)와 제2 스크류부재(13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할 수 있으며, 반드시 기어가 4개일 필요는 없고 기어를 짝수개로 구성하면, 예컨대 제1 기어(G1)와 제2 기어(G2)가 서로 맞물려 돌아가게 하거나 그 사이에 두 개, 네 개 등 짝수개의 기어를 배치함으로써 제1 스크류부재(120)와 제2 스크류부재(130)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만약 제2 스크류부재(130)의 회전 방향이 제1 스크류 부재(120)와 같은 방향이 되면, 볼(1)은 제2 회전축(131)의 회전때문에 유입부(103) 안쪽으로 유입되기 어려워지고, 이송 가이드(132)가 오히려 볼(1)이 직진하는 것을 방해하게 되므로, 상기 제1 스크류부재(120)와 제2 스크류부재(13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1)의 토출부(106)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개방레일(210) 및 진동레일(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크류부재(120) 및 제2 스크류부재(130)에 의해 볼(1)이 토출부(106)를 통해 토출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이 개방레일(210)을 통과한 후 진동레일(220)을 통과하여 이송 연결관(미도시)으로 진입하게 된다.
토출부(106)를 통해 토출되는 볼(1)이 개방레일(210) 및 진동레일(220)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볼(1)에 뭍어있는 이물질 등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진동레일(220)의 후단에는 이송 연결관(300, 도 2 참조)이 연결되는 연결부(228)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는 기본적으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에서 회전방향 전환부(160)가 생략된 형태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는, 제1 스크류부재만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제2 스크류부재는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고 단지 회전 가능하도록만 설치된 형태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에서는 제1 스크류부재(120)가 주된 볼의 이송구동수단이지만 제2 스크류부재(130)도 볼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어느 정도 제공하였었다(제2 스크류부재(130)도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간접적으로 전달받아 회전하므로).
그러나, 본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에서는 볼의 이송구동수단이 하나의 스크류부재이고 다른 하나의 스크류부재는 볼의 이송을 지지하여 볼의 이송의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1 스크류부재 및 제2 스크류부재 대신 구동 스크류부재 및 지지 스크류부재라는 용어를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는, 구동모터(110)의 회전력을 회전력 전달부(150)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볼(1)을 토출부(106) 쪽으로 이송하는 구동 스크류부재(120a) 및 상기 구동 스크류부재(120a)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 스크류부재(130a)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스크류부재(120a)는, 구동모터(1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 회전축(121a)과, 상기 구동 회전축(12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구동 스크류 날개(122a)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 회전축(121a)이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 스크류 날개(122a)가 회전하여 볼(1)을 토출부(106)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스크류부재(130a)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구동 회전축(121a)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지지 회전축(131a)과, 상기 지지 회전축(131a)의 토출부(106) 쪽 단부에 구비되어 구동 스크류부재(120a)가 볼(1)을 토출부(106)로 이송하도록 가이드하는 지지 가이드(132a)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동 스크류부재(120a)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제1 스크류부재(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한 지지 스크류부재(130a)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제2 스크류부재(13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양 스크류부재의 구조 자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에서는 구동 스크류부재(120a)가 볼을 이송하는 동안 지지 스크류부재(130a)가 그 직진성을 지지하는데, 지지 가이드(132a)에 도달하여 지지 가이드(132a)가 볼(1)과의 마찰에 의해 함께 회전하여 볼이 토출되는 것을 가이드한다.
따라서, 볼에 대한 마찰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하여 조금 더 높을 수 있지만 회전방향 전환부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에 비하여 구동모터의 용량을 더 작게 할 수도 있고 다수의 기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도 5에서 설명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들은 이미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는, 앞서 설명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와 비교할 때 제2 스크류부재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 스크류부재가 긴 구간을 나선형 날개 없이 회전축으로만 구비하고 토출부 쪽 짧은 구간에서만 나선형 날개에 의한 이송 가이드를 구비하는 구조였었는데,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 스크류부재(140)가 실질적으로 제1 스크류부재(120)와 동일한 구조이고 나선형 날개의 회전 방향이 반대로 형성된 경우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는, 제1 스크류부재(120)가 제1 회전축(121)과 나선형 날개(SB) 및 나선형 골(SG)을 형성하도록 제1 스크류 날개(122)를 구비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2 스크류부재(140)는 제2 회전축(141)과 반대 방향의 나선형 날개(SB) 및 나선형 골(SG)을 형성하는 제2 스크류 날개(14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스크류 날개(122)의 나선형 날개(SB)와 제2 스크류 날개(142)의 나선형 날개(SB)의 주기(T)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여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볼의 안정적인 이송에 유리하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는, 제1 스크류부재(120)의 제1 스크류 날개(122)에 형성되는 다수의 주기(T)의 나선형 날개(SB) 사이의 나선형 골(SG) 및 이에 대응되는 제2 스크류부재(140)의 제2 스크류 날개(142)에 형성되는 다수의 주기(T)의 나선형 날개(SB) 사이의 나선형 골(SG)에 볼(1)이 안착되어 제1 스크류 날개(122) 및 제2 스크류 날개(142)가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토출부(106) 쪽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1 스크류부재(120)의 제1 스크류 날개(122) 및 제2 스크류부재(140)의 제2 스크류 날개(14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각자가 가지고 있는 나선형 골(SG)에 볼을 하나씩 수용하여 각각 회전하면서 볼을 토출부(106) 쪽으로 이송하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 케이싱(101)에 형성되는 유입부는 측면 방향으로 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유입부를 통해 볼이 유입되는 것이 제2 스크류부재(140)의 스크류 날개(142)에 의해 방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볼이 측면 쪽으로 유입되도록 구성하기 보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1)의 상단에 볼 유입부(103u)를 형성하여, 회수되는 볼이 케이싱(101) 상단의 볼 유입부(103u)를 통해 제1 스크류부재(120) 및 제2 스크류부재(140)의 사이로 유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 설명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들은 이미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도 3 등에 도시된 개방레일(210) 및 진동레일(220)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의 (a)은 상기한 개방레일(210) 및 진동레일(220)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7의 (b)는 볼이 개방레일(210) 및 진동레일(220)을 통과하는 것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상기 개방레일(210)은, 케이싱(101)의 토출부(106)에 연결되며, 이동하는 볼을 지지하며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바(212)가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어 토출부(106)로부터 토출되는 볼이 상기 가이드 바(212)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 바(212) 사이가 개방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레일(210)을 통과하는 볼은 가이드 바(212) 사이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이물질 등을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개방레일(210)을 통과한 볼을 진동레일(22)을 통과하면서 마찰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켜 볼에 뭍은 이물질 등을 더욱 적극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진동레일(220)은 개방레일(210)에 연결되며, 다수개의 링(222)이 지지대(221)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나란히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개방레일(210)을 통과한 볼(1)이 상기 다수개의 링(222)을 통과하며, 볼(1)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볼(1)이 하중에 의해 다수개의 링(222) 하부에 압력을 가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마찰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도록 하여 그 진동으로 볼(1)에 묻어 있는 작은 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도 7의 (b)에서 A 부분 및 이에 대한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을 보면, 볼(1)은 다수개의 링(222) 위를 지나갈 때 볼(1)의 진행 방향(d)으로의 힘과 하중(W) 방향으로의 힘에 의해 다수개의 링(222) 하단에 각각 힘을 가하면서 진행하고 그 힘에 의해 각각의 링(222)이 튕기듯이 볼이 진행하는데, 각각의 링(222)이 튕김으로 인하여 약하지만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와 같은 약한 진동은 볼에 묻어 있는 작은 입자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에는 충분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장치는 볼이 개방레일(210)과 진동레일(220)을 차례대로 통과하면서, 개방레일(210)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진동레일(220)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여, 이중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볼을 이송시키기 때문에 볼 이송과정에서 외부에서 침투하거나 볼의 마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이물질을 상당히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한 개방레일(210)과 진동레일(220)을 함께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볼 이송장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개방레일(210)만 사용하거나 진동레일(220)만 사용하는 경우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볼 이송장치, 101:케이싱
103:유입부, 106:토출부
110:구동모터, 120:제1 스크류부재
121:제1 회전축, 122:스크류 날개
130:제2 스크류부재, 131:제2 회전축
132:이송 가이드, 150:회전력 전달부
160:회전방향 전환부, 210:개방레일
220:진동레일, 300:이송연결관

Claims (13)

  1. 볼이 유입되도록 개방되어 형성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볼이 이송되어 토출되는 토출부를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볼을 상기 토출부로 이송하는 제1 스크류부재; 및
    상기 제1 스크류부재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스크류부재와의 사이에 놓인 볼이 상기 토출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2 스크류부재;
    를 포함하는 볼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류부재 및 제2 스크류부재는 각각 스크류 날개를 구비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각각의 스크류 날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스크류부재 및 제2 스크류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볼을 상기 토출부로 이송하도록 하는 구동 스크류부재로서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류부재는 스크류 날개를 구비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 날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스크류부재 및 제2 스크류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볼을 상기 토출부로 이송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스크류부재로서 구성되며,
    상기 제2 스크류부재는 상기 제1 스크류부재의 스크류 날개에 의해 이송되는 볼의 이송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스크류부재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류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 스크류 날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스크류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스크류부재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 스크류 날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스크류부재와 제2 스크류부재 사이에 놓인 볼이 상기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이 각각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스크류 날개 및 제2 스크류 날개에 의해 상기 토출부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류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스크류 날개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 날개가 회전하여 볼을 상기 토출부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스크류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회전축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상기 토출부 쪽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스크류부재와 함께 상기 볼을 상기 토출부로 이송하도록 하는 이송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류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스크류 날개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 날개가 회전하여 볼을 상기 토출부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스크류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볼이 상기 제1 스크류부재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스크류부재의 스크류 날개에 의해 볼이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상기 토출부 쪽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스크류부재의 스크류 날개에 의해 이송되는 볼을 상기 스크류 날개와 함께 상기 토출부로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이송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이송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가이드는,
    상기 스크류 날개와 반대 방향의 하나 또는 두 주기의 나선형 날개를 포함하여, 상기 스크류 날개를 따라 이송되는 볼이 상기 스크류 날개와 상기 나선형 날개에 의해 상기 토출부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이송장치.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1 회전축에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와,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제2 회전축으로 전달하며 상기 제2 회전축이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회전방향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이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향 전환부는,
    상기 제1 회전축에 연결된 제1 기어와 상기 제2 회전축에 연결된 제2 기어가 맞물리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 사이에 짝수개의 연결기어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이송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에 연결되며, 다수개의 링이 지지대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나란히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볼이 상기 다수개의 링을 통과하며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볼이 중력에 의해 상기 다수개의 링 하부에 압력을 가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진동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이송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에 연결되며, 이동하는 볼을 지지하며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가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볼이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 바 사이가 개방되어 구성되는 개방레일과,
    상기 개방레일에 연결되며, 다수개의 링이 지지대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나란히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개방레일을 통과한 볼이 상기 다수개의 링을 통과하며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볼이 중력에 의해 상기 다수개의 링 하부에 압력을 가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진동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이송장치.
  12. 볼이 유입되도록 개방되어 형성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볼이 이송되어 토출되는 토출부를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볼을 상기 토출부로 이송하는 구동 스크류부재; 및
    상기 구동 스크류부재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동 스크류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볼의 이송의 직진성을 유지하도록 상기 볼이 이송되는 것을 지지하는 지지 스크류부재;
    를 포함하는 볼 이송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스크류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 회전축과, 상기 구동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구동 스크류 날개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 스크류 날개가 회전하여 볼을 상기 토출부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 스크류부재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구동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지지 회전축과, 상기 지지 회전축의 상기 토출부 쪽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스크류부재가 볼을 상기 토출부로 이송하도록 가이드하는 지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이송장치.
KR1020160162859A 2016-12-01 2016-12-01 볼 이송장치 KR101835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859A KR101835068B1 (ko) 2016-12-01 2016-12-01 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859A KR101835068B1 (ko) 2016-12-01 2016-12-01 볼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068B1 true KR101835068B1 (ko) 2018-03-07

Family

ID=6168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859A KR101835068B1 (ko) 2016-12-01 2016-12-01 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0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1433A (zh) * 2018-09-07 2018-12-18 昆明理工大学 一种多功能智能球类回收车
KR102025376B1 (ko) 2018-08-20 2019-09-25 (주)지앤서비스 스크린골프의 골프공 회수공급장치
WO2022225318A1 (ko) * 2021-04-21 2022-10-27 조병구 탁구장 자동화 시스템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5527B1 (de) * 1983-02-23 1986-12-10 STABEG Apparatebaugesellschaft m.b.H. Anlage zum fördern von tennisbällen
KR20020072149A (ko) * 2001-03-09 2002-09-14 탑에이스엔지니어링(주) 볼 이송장치
KR200430362Y1 (ko) * 2006-08-24 2006-11-13 박상원 골프공 공급 장치
KR200435097Y1 (ko) * 2006-09-13 2007-01-09 한재복 골프공 자동공급이송장치
KR200442369Y1 (ko) * 2008-08-06 2008-11-05 강인성 골프공 공급장치
CN201249015Y (zh) * 2008-08-25 2009-06-03 卢宝慈 一种用于乒乓球发球机的送球装置
CN201249014Y (zh) * 2008-08-25 2009-06-03 卢宝慈 乒乓球发球机的送球装置
KR100953356B1 (ko) * 2009-08-07 2010-04-20 (주) 골프존 티 업 장치, 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0970476B1 (ko) * 2010-02-22 2010-07-16 (주)다성테크놀로지 골프공 자동세척기
KR20130003928A (ko) * 2011-07-01 2013-01-09 (주) 골프존 볼 이송장치, 볼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볼 공급 시스템과, 볼 이송 제어방법
KR20140101256A (ko) * 2013-02-08 2014-08-19 (주) 골프존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
KR101525413B1 (ko) * 2014-06-10 2015-06-09 주식회사 골프존유원홀딩스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대한 제어방법 및 골프 연습 시스템에 대한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5527B1 (de) * 1983-02-23 1986-12-10 STABEG Apparatebaugesellschaft m.b.H. Anlage zum fördern von tennisbällen
KR20020072149A (ko) * 2001-03-09 2002-09-14 탑에이스엔지니어링(주) 볼 이송장치
KR200430362Y1 (ko) * 2006-08-24 2006-11-13 박상원 골프공 공급 장치
KR200435097Y1 (ko) * 2006-09-13 2007-01-09 한재복 골프공 자동공급이송장치
KR200442369Y1 (ko) * 2008-08-06 2008-11-05 강인성 골프공 공급장치
CN201249015Y (zh) * 2008-08-25 2009-06-03 卢宝慈 一种用于乒乓球发球机的送球装置
CN201249014Y (zh) * 2008-08-25 2009-06-03 卢宝慈 乒乓球发球机的送球装置
KR100953356B1 (ko) * 2009-08-07 2010-04-20 (주) 골프존 티 업 장치, 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0970476B1 (ko) * 2010-02-22 2010-07-16 (주)다성테크놀로지 골프공 자동세척기
KR20130003928A (ko) * 2011-07-01 2013-01-09 (주) 골프존 볼 이송장치, 볼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볼 공급 시스템과, 볼 이송 제어방법
KR20140101256A (ko) * 2013-02-08 2014-08-19 (주) 골프존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
KR101525413B1 (ko) * 2014-06-10 2015-06-09 주식회사 골프존유원홀딩스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대한 제어방법 및 골프 연습 시스템에 대한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376B1 (ko) 2018-08-20 2019-09-25 (주)지앤서비스 스크린골프의 골프공 회수공급장치
CN109011433A (zh) * 2018-09-07 2018-12-18 昆明理工大学 一种多功能智能球类回收车
CN109011433B (zh) * 2018-09-07 2023-12-26 昆明理工大学 一种多功能智能球类回收车
WO2022225318A1 (ko) * 2021-04-21 2022-10-27 조병구 탁구장 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068B1 (ko) 볼 이송장치
US7226011B2 (en) Stacker reclaimer method and apparatus
US10245489B2 (en) Automatic batting tee apparatus
JP6562400B2 (ja) 物体回収装置
US7708003B1 (en) Football throwing system
KR100836565B1 (ko) 자연낙하방식을 이용한 골프공 이송장치
CN101011630B (zh) 在高尔夫球练习场使用的高尔夫球传送设备
CN107970589B (zh) 自动篮球发球装备
JP6243966B1 (ja) ゴルフ練習場設備
JP2888824B1 (ja) 球技場におけるボール揚げ装置
KR20090117126A (ko) 골프공 자동 공급기용 골프공 이송 공급장치
KR100299353B1 (ko) 골프연습장용골프공수평이송장치
KR100235207B1 (ko) 인도어(in door)용 골프 연습장의 골프공 공급장치
JP5380757B1 (ja) ゴルフボール搬送装置
KR200367108Y1 (ko) 테니스공수집기
KR101728702B1 (ko) 골프공 수거장치
JP2010088677A (ja) ゴルフ練習場におけるボール配給装置
JP4936089B2 (ja) ゴルフボール搬送装置
KR200393299Y1 (ko)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JP2000296906A (ja) バケットエレベ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梅実前処理装置
KR200282886Y1 (ko)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
US3964744A (en) Bowling pin and ball sorting apparatus
KR100485286B1 (ko)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
CN209141474U (zh) 一种抽屉滚轮自动上铆钉装置
KR101774372B1 (ko) 볼 수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