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361B1 - 골프연습기 - Google Patents

골프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361B1
KR101252361B1 KR1020110002131A KR20110002131A KR101252361B1 KR 101252361 B1 KR101252361 B1 KR 101252361B1 KR 1020110002131 A KR1020110002131 A KR 1020110002131A KR 20110002131 A KR20110002131 A KR 20110002131A KR 101252361 B1 KR101252361 B1 KR 101252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golf ball
pin
bal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738A (ko
Inventor
조길연
Original Assignee
조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길연 filed Critical 조길연
Priority to KR1020110002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361B1/ko
Priority to PCT/KR2011/008901 priority patent/WO2012070829A2/ko
Publication of KR20120080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0006Automatic tee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볼공급기의 티업기를 통해 골프공을 인조잔디매트 상으로 취출시켜 스윙연습을 하기 위한 골프연습기로서,
상기 볼공급기는, 골프공공급부(S)상에 설치된 슬라이드레일, 슬라이드레일을 따라 안내되어 작동하는 슬라이드블록, 슬라이드블록과 결합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연습기{golf exerciser}
본 발명은 골프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지상고를 가진 골프공급기에 구성되어 있는 티업핀에 골프공을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골퍼가 티업핀에 공급된 골프공으로 스윙연습을 함으로써 골퍼의 스윙연습에 도움을 주고, 낮은 높이의 건물 층고에서 시설 편의성을 줄 수 있는 골프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서 지상으로 골프공을 공급하는 매립형 골프연습기는 시설상의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점차 이용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매립형 골프연습기는 건축물을 신축할 때 설치할 경우에는 건축물의 바닥면의 일정부분에 개구부를 설정하고, 개구부에 골프연습기를 설치하여 매립하는 형태로 시설하거나, 완성된 건축물에 설치할 경우에는 바닥면에 매립형 골프연습기를 시설하고 골프연습기 주변의 일정 공간을 합판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높이고 그 상부를 타구공간으로 설정하여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완성된 건축물에 매립형 골프연습기를 시설할 경우에는 골프연습기의 기기 높이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타구공간의 높이가 된다.
이 타구공간 즉, 타석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으면 이용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함은 물론이고 실내공간의 한정된 높이로 인하여 이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할 때 스윙궤도를 고려하면 천정에 골프클럽이 간섭되어 설치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골프연습기의 기기 높이는 보편적인 공간에의 설치와 이용의 편의성을 크게 하기 위하여 대단히 중요하다.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번호 제20-0432332(2006.11.24)를 통해 골프공을 경사를 가지는 안내판을 통하여 티업핀의 상단 보다 높게 유도한 후, 티업핀 상단으로 골프공을 자유낙하 시키는 방식으로 골프공이 공급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방식은 골프공을 티업핀 상단으로 자연낙하하여 공급하는 방식이므로 골프연습기의 전체 높이를 높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번호 제20-2010-0000786(2010.01.25)를 통해 1차적으로 골프공을 골프연습기의 상면인 지면으로 취출시키고 지면으로 취출시킨 골프공을 자연낙하하여 적당한 이격거리에 있는 티업핀 방향으로 구름이동하게 한 후 지면부근에 있는 티업핀 상단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하고, 2차적으로는 안착된 골프공이 티업핀과 함께 일정한 높이로 상승하여 타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방식은 골프공 공급과정에서 자연낙하를 이용한 구름이동의 거리가 길어져 골프공의 공급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타격연습의 연속성이 끊겨지는 부작용이 있으며, 구름이동 과정 도중 지면의 불규칙함과 저항 등의 요인으로 골프공이 티업핀 상으로 정확하게 안착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지상고의 골프공급기를 제공함으로써 설치의 보편성을 추구하고, 골프공의 공급 대기시간을 단축하며, 또한 신뢰성 있는 작동상태를 제공하여 골퍼에게 최적인 연습환경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볼공급기를 통해 골프공을 인조잔디매트 상으로 취출시켜 스윙연습을 하기 위한 골프연습기로서,
상기 볼공급기는,
골프공공급부(S)상에 설치된 슬라이드레일, 슬라이드레일을 따라 안내되어 작동하는 슬라이드블록, 슬라이드블록과 결합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기에 의하면, 저지상고의 골프연습기를 제공함으로써 낮은 층고의 실내높이를 가진 건물에서도 도입할 수 있는 있으며, 견고한 구조와 신뢰성 있는 구조로 인해 장기간 사용하여도 구조상에 무리가 없는 골프연습기를 제공하여 골퍼의 타격연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골프연습기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골프연습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골프연습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골프연습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골프연습기의 골프공공급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티업핀승하강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공급부에 구성되는 볼공급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볼공급기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공급부에 구성되는 볼공급기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볼공급기의 분해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에 따른 볼공급기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전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골프연습기의 일예는 본 출원인에 의해서 출원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32332호(2006.11.24) "골프공 자동공급장치"에 의해서 설명되어 질 것이다.
특히, 상기 일예로 개시된 골프연습기는 다양한 변형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위 일예에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골프연습기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 본 발명이 적용된 골프연습기는 일측면으로 골프공(10)이 투입되고, 투입된 골프공(10)은 티업핀(50)에 안착되어 골프연습기의 상부 방향으로 인출되고, 티업핀(50)에 안착되어 공급되는 골프공(10)을 골퍼가 타격하여 골프연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통상 골프연습기의 최상면에는 골프공(10)을 타격할 때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하기 위해 완충재로 이루어진 인조잔디매트(170)가 구성되어 진다. 이때 인조잔디매트(170)는 충분한 완충효과를 가지기위해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골프연습기의 외부규격과 관계없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적당한 면적으로 설정되는 것이 보통이다.
또 상기한 인조잔디매트(170)에는 골프공(10) 직경 정도의 적절한 규격으로 천공이 되어있어 골프연습기에서 티업핀(50)에 안착된 골프공(10)이 인출될 수 있도록 취출홀(175)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골프연습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티업핀(50)이 하강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골프연습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티업핀(50)에 골프공(10)이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골프연습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티업핀(50)이 골프공(10)이 안착하고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2와 도 3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골프연습기는 대략적으로 평평한 상태이나, 여기서는 골프연습기를 구성하는 일부 요소를 제거하여 구조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골프연습기는 베이스(150)위에 형성되며 골프공공급부(S), 티업핀승하강부(T), 제어감지부(C)로 구성된다.
베이스(150)는 장방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골프연습기의 최저면을 이루고, 통상적인 골프연습시설의 바닥면 부근에 설치된다.
이러한 베이스(150)는 일측으로는 골프공(10)을 이송하는 골프공공급부(S)가 구성되고, 타측으로는 티업핀승하강부(T)가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골프연습기의 골프공공급부(S) 사시도이다. 도 5는 도시의 편의성을 위하여 일부분을 절개하여 표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공급부(S)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베이스(150) 상부에 형성된다.
골프공공급부(S)에 적용된 회전판(20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인입된 골프공(10)을 수용홈(205)에 수용한 후 회전판(200)의 회전력에 의해 골프공(10)을 외부로 이탈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골프공공급부(S)에는 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고, 그 외면으로 다수개의 수용홈(205)이 형성된 회전판(200)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판(200)의 수용홈(205)으로는 골프공(10)이 수용되어 있고, 회전판(200)이 회전하면 회전판(200)의 회전방향으로 수용홈(205)에 유입되어 있는 골프공(10)이 이동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수용홈(205)은 골프공(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여 유격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수용홈(205)으로 골프공(10)이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회전판(200)의 중심에는 회전모터(210)의 모터축이 회전판(200)과 베이스(150)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된다. 이 이격간격은 회전판(200)의 회전시 베이스(150)와의 마찰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므로 중요하다.
회전모터(210)는 지지판(220)에 설치되고, 이러한 지지판(220)은 골프공(10)이 투입되는 방향과 티업핀승하강부(T) 방향을 제외하고 양 측면으로 연장되어진 베이스(150)에 고정된다.
다시, 회전판(200)과 그 수용홈(205)에 수용된 골프공(10)은 회전판(200)의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골프공(10)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150)에 고정되면서 일정한 높이로 설치된 가이드판(230)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운송벨트 수용홈(205)에 수용된 골프공(10)은 회전모터(210)의 회전에 의해서 강제로 회전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때 전술한 가이드판(230)에 의해서 회전판(200)의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골프공(10)이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면서 볼이송관(250)에 투입되어 진다.
또한, 회전판(200)이 회전하면 불규칙하게 투입되어 나열되어있는 골프공(10)이 회전판(200)의 수용홈(205)만이 아니라 수용홈(205)과 수용홈(205) 사이 공간 등에 안착되거나, 군집되어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수용홈(205)과 수용홈(205) 사이의 공간 등에 있는 골프공(10)은 이탈되어 배출되어야만 골프공(10)을 볼이송관(250)으로 무리없이 투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판(230)과 지지판(220)에 각각 고정대(245)를 설치하고, 여기에 일정한 경사를 가지며 결합되는 회전자(240)를 더 구비한다. 회전자(240)는 원형의 외관을 가지며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회전자(240)는 회전판(200)의 수용홈(205)과 수용홈(205) 사이 등에 안착된 골프공(10)은 회전판(20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어 회전자(240)에 접하게 되면 회전자(240)에는 골프공(10)의 이동속도를 통하여 압력이 전달되고, 이때 회전자(240)는 회전하게 되어 수용홈(205)과 수용홈(205) 사이 공간의 골프공(10)이 배출되어 한 개의 볼이 투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볼이송관(250)으로 투입되도록 한다.
볼이송관(250)은 골프공(10)이 투입되는 입구(250-1)와 골프공(10)이 취출되는 출구(250-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볼이송관(250)은 그 입구(250-1) 부근에서부터 회전판(200)의 수용홈(205) 부분이 적당한 깊이와 폭으로 삽입되는 구조이다.
볼이송관(250)에는 입구(250-1)에서부터 가로방향 즉, 회전운동하는 회전판(200)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적당한 간극과 길이를 가지며 골프공(10)의 진행방향으로 연장된 볼투입홈(25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회전판(200)의 수용홈(205)에 수용된 골프공(10)이 볼이송관(250)으로 투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볼이송관(250)으로 나중에 투입된 골프공(10)이 먼저 투입된 골프공(10)을 회전판(200)의 구동력으로 먼저 투입된 골프공(10)을 뒤에서 밀어 골프공(10)이 점차적으로 이동하게 한다.
볼이송관(250)은 골프연습기의 높이 방향 즉 골프연습기의 상부면 방향으로 적당한 곡률반경을 가지며 휘어지면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골프공(10)의 이동방향이 상부로 향하도록 유도한다.
이렇게 연장된 볼이송관(250)은 지지판(220)을 관통하며 적절한 길이로 연장된다. 이때, 볼이송관(250)의 종단인 출구(250-2)에는 볼공급기(300) 방향으로 설정된 개구부(256)를 구성하고, 완만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이송핀(260)을 더 구성하여 볼공급기(300) 방향으로 골프공(10)이 공급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볼이송관(250)의 출구(250-2) 부분에 다다른 골프공(10)은 이송핀(260)의 안내를 받으며 개구부(256) 방향으로 진행하여 지지판(220)의 상부의 볼공급기(300)로 공급된다.
볼이송관(250)은 원형의 파이프를 적절한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절곡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 실시 예에서는 평판 형태의 금속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볼이송관(250)의 내부는 골프공(10)이 이동되는 통로이며 볼이송관(250)이 절곡되는 곳은 골프공(10)의 이동방향이 전환되는 부분이므로 이송핀(260)과 유사한 별도의 부분품을 적용하거나, 골프공(10)이 이동 가능하도록 절곡하여 골프공(10)이 이동방향이 전환될 때 최대한 간섭이 적어지도록 한다.
또 볼이송관(250)의 내부는 골프공(10)의 외경 보다 적당히 큰 크기로 형성되어 골프공(10)이 여유있게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티업핀승하강부(T)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티업핀승하강부(T)는 티업핀(50), 상기 티업핀(50)이 안착된 블록체(400), 상기 블록체(400)의 일단에 형성된 가이드롤러(470), 일면에 상기 가이드롤러(470)를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420)이 형성된 구동판(430), 상기 구동판(430)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블록체(400)가 상기 베이스(150)의 수직된 방향으로 안내되어 승, 하강 되도록 상기 블록체(400)를 관통하여 상기 블록체(400)에 수직 설치되는 가이드봉(440), 상기 구동판(430)에 회전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구동판(430)과 동력전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모터(410)로 구성된다.
티업핀(50)은 그 상단으로 골프공(10)의 안착 용이성을 위한 일정깊이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형상은 일종의 대롱 형상이다.
티업핀(50)에는 골프공(10)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강력한 힘을 지속적으로 받아야하므로 일반적으로 탄력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합성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변형에 대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볼공급기(300)에 의해서 밀린 골프공(10)이 티업핀(50)의 측면을 밀게 되며, 결과적으로 골프공(10)이 티업핀(50)의 최상단에 안착되기 때문에 골프공(10)이 안착 후 티업핀(50)의 복원이 더욱 중요하다.
골프공(10)은 골프공공급부(S)의 볼공급기(300)에 구성되어 있는 푸셔(380)에 의해 티업핀승하강부(T)의 티업핀(50)으로 투입된다.
이때 티업핀(50)의 하단은 블록체(400)의 상부에 안착되어지고, 전체적으로 보면 티업핀(50)은 블록체(400) 위에 돌출되어 있는 형상이다.
블록체(400)는 외관상으로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가이드봉(440)이 수직 하방으로 관통되어 블록체(400)가 승, 하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가이드봉(440)은 베이스(150) 상에 설치되며 2개 이상을 설치하여 블록체(400)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블록체(400)가 정해진 방향으로 승, 하강하도록 안내한다.
베이스(150)위에는 블록체(400)의 후방에서 블록체(400)가 승, 하강시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안내지지대(450)가 더 구성되어 있다.
안내지지대(450)는 단면상 "ㄷ"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베이스(150)에서 수직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높이는 대략 티업핀승하강부(T)의 상단에 이르고, 안내지지대(450)의 개방된 요홈이 블록체(400)를 향하도록 구성되며, 개방된 요홈의 내경은 티업핀(50)의 외경보다 넓게 설정된다.
블록체(400)의 측면 일단에는 가이드롤러(470)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롤러(470)는 레일(420)의 요홈 내부에서 안내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레일(420)은 "ㄷ" 형상으로 일측이 개방된 요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요홈 내부에 가이드롤러(470)가 위치한다.
레일(420)은 구동판(430)의 일면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판(430)은 일정한 곳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레일(420)은 구동판(43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레일(420)은 구동판(430)의 반경방향을 가로지르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롤러(470)는 레일(420)에 삽입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동판(430)은 구동판(4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10)와 연계되어 있으며, 이 적용 예에서는 벨트(460)를 이용한 동력전달방식을 적용하도록 한다.
또한, 구동모터(410)와 구동판(430)의 동력전달 가능한 결합구성에 있어서는 구동의 정밀성 향상을 위해 상기 구동모터(410)의 축에 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판(430)의 외주면이 기어의 형상을 취하고 있다.
이같은 기어와 구동판(430)의 외주면을 내면에 톱니가 형성된 벨트(460)로 연결함으로써 구동모터(410)의 회전량이 정확하게 구동판(430)으로 전달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위와 같은 제어를 위해 본 발명은 제어감지부(C)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어감지부(C)는 공급센서(510), 공급센서(510), 블록센서(530), 그리고 제어수단(500)으로 구성된다.
미도시 되었지만, 본 발명에 적용된 공급센서(510)는 골프공공급부(S)의 볼공급기(300)에 골프공(10)이 공급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센서(510)는 지지판(220)의 내부에 미도시된 기타 장착물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지지판(220)을 천공하여 지지판(220)의 외부이며 푸셔(380)의 앞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골프공(1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미도시 되었지만, 본 발명에 적용된 볼감지센서(520)는 상기 티업핀(50) 상에 골프공(10)이 안착되어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블록체(400)에 내설하여 구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말하면, 볼감지센서(520)는 티업핀(50) 하단의 블록체(40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티업핀(50) 상의 골프공(10) 안착 유무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블록센서(530)는 블록체(400)의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모터(410)의 동작을 제어함을 목적으로 하며, 블록체(400)의 전체 행정거리를 기준으로 적절히 안내지지대(450)의 측면 또는 미도시된 기타 장착물에 설치된다.
여기서 블록센서(530)는 안내지지대(450)의 측면에 설치되며, 블록체(400)의 전체 행정거리에서 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다.
미도시하였지만, 상기 제어수단(500)은 통상의 전자회로이며, 공급센서(510)의 골프공(10) 감지 여부에 따라 회전모터를 제어하여 골프공공급부(S)의 볼공급기(300)로 골프공(10)이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볼감지센서(520)의 골프공(10) 감지 여부에 따라 볼공급기(300)의 공급모터(310)를 제어하여 티업핀(50)으로 골프공(10)을 공급되도록 하며, 또 구동모터(410)를 제어하여 티업핀(50)이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하고, 블록센서(530)의 감지작동에 따라 구동모터(410)의 동작 시점과 끝점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수단(500)의 보다 상세한 기능은 이하의 작동 설명에서 전개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볼공급기(30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된 볼공급기(3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된 볼공급기(300)는 골프공공급부(S) 상에 설치되며, 전술한 티업핀(50)에 골프공(10)을 최종적으로 안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볼공급기(300)는 골프공공급부(S)상에 설치된 슬라이드레일(750), 슬라이드레일(750)을 따라 안내되어 작동하는 슬라이드블록(740), 슬라이드블록(740)과 결합하는 작동수단(A)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슬라이드레일(750)은 티업핀(50) 방향이며 수평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내측으로는 요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요홈으로는 슬라이드블록(740)이 삽입되어 있으며, 슬라이드블록(740)은 상기 요홈을 따라 안내되어 티업핀(50) 방향으로 수평작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레일(750)과 슬라이드블록(740)의 결합은 부수적인 부분품을 추가하거나 형상에 변화를 주어 윤활성이 극대화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그 편의성을 위하여 단순한 구조를 적용하였다.
한편, 슬라이드레일(750)은 고정브라켓(350)에 결합되며, 이 고정브라켓(350)은 다시 골프공공급부(S)상의 지지판 상부면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작동수단(A)은 일 지점을 중심으로 상승 내지 하강하도록 회동하는 공급아암(710)와, 상기 일 지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아암핀(725)과, 상기 아암핀(725)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아암홀더(720)를 포함하고 있다.
공급아암(710)은 일정한 두께(T)로 형성된 레일부(713)와, 레일부(713)를 따라 일단 및 타단이 연장되어 있으며, 특히 타단은 일단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의 선단은 걸림턱(711)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레일부(713)는 상대물을 안내하는 통상의 레일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공급아암(710)은 슬라이드레일(750)과 수평을 이루며 설치되고, 전술한 아암핀(725)이 결합된 곳이 회동 중심을 이루게 된다.
공급아암(710)의 회동지점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아암핀(725)은 아암홀더(7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아암홀더(720)는 골프공공급부(S) 상의 베이스(150)와 결합된다.
이러한 공급아암(710)의 작동은 아암핀(725)을 지점으로 회동하여 공급아암(710)의 일단 및 타단이 상승 내지 하강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즉, 공급아암(710)의 일단이 하강하게 되면 아암핀(725)을 지점으로 타단은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공급아암(710)의 일단을 하강시키도록 티업핀승하강부(T)의 블록체(400) 하부가 공급아암(710)의 일단 위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조로 작동이 가능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블록체(400)의 상부에는 연장판(335)이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공급아암(710)의 일단으로도 구름롤러(715)가 더 설치되어 연장판(335)과 공급아암(710)의 일단이 맞닿을 경우 하강시 발생하는 마찰을 구름롤러(715)에 의해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때 연장판(335)이 하강하면 구름롤러(715) 역시 하강하여 전체적으로 공급아암(710)을 하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연장판(335)은 블록체(400)의 저면이 아니라 블록체(400)의 상면 내지 상면 중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공급아암(710)의 상승 내지 하강 높이를 연장판(335)의 위치에 따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그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골프연습기의 기기높이를 낮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공급아암(710)은 후술하지만 도 11(a) 내지 도 11(e)에서와 같이 블록체(400)가 하강하면 연동하여 하강하게 되고, 타단은 수직상태에 이르기까지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공급아암(710)의 타단으로는 걸림턱(7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턱(711)의 내측으로부터 레일부(713)가 일정한 두께를 형성하면서 연장되어 있다.
걸림턱(711)으로는 공급롤러(735)가 위치하고 있으며, 이 공급롤러(735)는 공급아암(710)이 회동하게 되면 레일부(713)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을 위해서 공급롤러(735)는 작동블록(330)과 결합되어 있으며, 이때 공급롤러(735)는 작동블록(33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유롭게 회전하는 구조로 결합된다.
작동블록(330)은 공급롤러(735)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하고, 이 작동블록(330)은 다시 슬라이드블록(740)과 써포트블록(7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슬라이드블록(740)과 써포트블록(730)은 써포트블록(730)에서 돌설된 써포터(745)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써포트블록(730)에는 상기 공급롤러(735)가 결합되어 있다.
다시, 써포터(745)는 전술한 슬라이드블록(740)과 결합되어 있으며, 양 결합은 회동되지 않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공급롤러(735)가 공급아암(710)의 회동에 따라 타단의 걸림턱(711)으로부터 레일부(713)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작동블록(330)은 슬라이드블록(740)과 연동되어 슬라이드레일(750)의 안내를 받으며 티업핀(50) 방향으로 정교하게 직선운동하게 된다. 즉, 공급롤러(735)는 공급아암(710)의 회동운동을 작동블록(33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티업핀(50) 방향으로 직선운동한 작동블록(330)은 공급아암(710)의 회동이 종료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작동블록(330)의 써포트블록(730)으로 복원스프링(760)의 일단이 설치되고, 그 타단은 스프링고정판(765)에 고정시켜 항시 긴장상태로 유지시킨다.
즉, 긴장된 복원스프링(760)은 작동블록(330)의 작동으로 티업핀(50) 방향으로 이동하면 인장되고, 후술하지만 블록체(400)의 상승으로 공급아암(710)이 상승하면 복원스프링(760)은 작동블록(330)이 티업핀(50)의 후방으로 후퇴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여 결과적으로 공급아암(710)을 최초의 출발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작동블록(330)은 투입된 골프공(10)을 최종적으로 티업핀(50)에 안착시키기 위한 푸시수단(P)과 결합되어 있다.
즉, 작동블록(330)은 전술한 작동, 예를 들면 공급아암(710), 슬라이드블록(740)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공급아암(710)의 레일부(713)와 슬라이드레일(750)을 따라 티업핀(5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이동방향으로 푸시수단(P)을 안내하여 골프공(10)을 가이드봉에 안착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푸시수단(P)은 상기 작동블록(330)의 일측에 설치되되, 슬라이드레일(750)의 설치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푸시바(360); 푸시바(360)의 선단을 관통하는 결합봉(365); 결합봉(365)의 양단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푸셔(380);를 포함하고, 골프공(10)은 푸셔(380) 사이에 안착되어 작동블록(330)의 작동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푸셔(380)의 전방으로 상승핀(390)이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골프공(10)을 안내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봉(365)으로는 스페이서가 더 설치되되, 푸셔(38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구체적으로 작동블록(330)의 써포트블록(730)에는 푸시수단(P)의 일 구성인 푸시바(360)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때 작동블록(330)의 써포트블록(730)과 푸시바(360)의 결합은 일정범위 이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푸시바(360)의 타단에는 푸시홀(361)이 구비되어 있다.
푸시홀(361)을 중심으로 결합봉(365)이 결합되어 있으며, 결합봉(365)의 양단으로는 스페이서(370) 및 푸셔(380)가 각각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푸셔(380)의 바람직한 형태는 스페이서(370)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하며, 앞으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회전가능한 일종의 베어링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작동블록(330)에 결합된 푸시바(360)는 공급아암(710), 작동블록(330), 슬라이드블록(740)이 설치된 슬라이드레일(750)과 유기적으로 연동되어 푸셔(380)를 직선운동시키는 동작이 가능하다.
앞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푸셔(380)는 작동블록(330)의 이동에 따라 골프공(10)을 밀어 티업핀승하강부(T)의 티업핀(50)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결과적으로는 티업핀(50) 상단으로 골프공(10)이 안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골프공(10)이 안정적으로 푸셔(380)의 선단에 안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10)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푸시바(360)와 스페이서(370)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있으며 푸셔(380)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볼이송관(250)에서 볼공급기(300)로 투입된 골프공(10)은 양 스페이서(370)와 푸시바(360) 사이의 폭만큼의 공간에 안착되며, 푸셔(380)에 의해 양쪽이 지지되는 형상으로 자리잡게 된다.
이때 스페이서(370)를 포함한 크기로 푸시바(360)의 두께를 크게 하여 구성하면 스페이서(370)는 불필요하며 골프공(10)이 양쪽의 푸셔(380)에 의해 지지되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판(220)의 상부에는 티업핀(50)의 중앙 방향으로 상승핀(390)이 하나 또는 한 쌍으로 더 설치되어 있다.
이 상승핀(390)은 티업핀(5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삼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앞으로 설명할 블록체(400)의 이동 행정에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되며, 푸셔(380) 사이간격에 설치되어 푸셔(380)가 움직일 때 간섭이 되지 않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의 볼공급기(300)의 다른 실시 예이고, 도10은 도9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작동수단(A) 및 푸시수단(P)을 공통적으로 구비하나, 슬라이드레일(750)과 슬라이드블록(740)을 다른 예로 변형한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레일(750)과 슬라이드블록(740)을 대체하도록 안내브라켓(850)과 안내브라켓(850) 내에 설치되는 안내축(340) 및 안내축(340)에 설치되어 이동하고, 작동블록(330)의 일 구성인 써포터(745)와 결합된 안내블록(840)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안내브라켓(850)으로는 안내축(340)의 일단 및 타단이 결합된다.
안내브라켓(850)과 안내축(340)의 길이방향은 티업핀(50) 방향으로 수평을 유지하며 설치되어 있으며, 안내축(340)에 결합된 안내블록(840)은 티업핀(50) 방향으로 안내되거나 후퇴하여 작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안내축(340)이 두개 이상 설치됨이 작동의 안정성을 위해 바람직하지만 하나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특히 안내블록(840)으로는 작동홀(345)이 형성되어 안내축(340)을 정교하게 안내할 수 있다.
한편, 한 개의 안내축(340)을 사용하면 티업핀(50) 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는 별도의 판재류를 더 구성하여 작동블록(330)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작동블록(330)이 회동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공급롤러(735)가 설치된 작동블록(330)이 공급아암(710)을 따라 전술한 예와 동일하게 작동하게 되면, 안내블록(840)은 작동블록(330)과 연동되어 작동블록(330)을 정교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일 실시예의 작동으로부터 충분히 유추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도 11(a) 내지 도 11(f)는 본 발명에 따른 볼공급기(300)의 일실시예에 의한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설명하기 전 도 11(a) 내지 도 11(f)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번호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전 골프공공급부(S)의 골프공(10)의 위치는 베이스(150) 내부이며, 회전판(200)의 수용홈(205)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이고, 회전판(200)의 원주외부에 위치한 가이드판(230)의 원주내부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400)는 상부면에 티업핀(50)을 안착한 상태에서 블록체(400)의 행정거리에서 고점에 해당하는 부근에 상승하여 있다. 따라서 티업핀(50)의 상단은 인조잔디매트(170)의 취출홀(175)을 통과하여 일정 높이 상승한 상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급센서(510)는 골프공(10)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수단(500)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수단(500)은 회전모터(210)의 동작을 시작시킨다.
제어수단(500)의 신호에 따라 회전모터(210)가 회전을 시작하면 회전판(200)도 함께 회전을 시작한다. 회전판(200)이 회전하면, 골프공(10)은 가이드판(230)의 안내에 따라 회전판(200)을 따라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회전판(200)의 수용홈(205)과 수용홈(205) 사이공간의 골프공(10)은 회전판(200)을 통해 전달되는 골프공(10)의 압력을 받은 회전자(240)의 회전으로 배출되어진다.
또 회전판(200)의 수용홈(205)에 안착된 골프공(10)은 볼이송관(250)의 입구(250-1)에 이르면 수용홈(205)에 안착한 상태로 볼이송관(250)의 입구(250-1)에서부터 일정 길이로 형성된 볼투입홈(255)에 삽입되어 진다.
이때, 회전판(200)이 회전을 계속하면 골프공(10)은 회전판(200)의 수용홈(205)에서 점차 이탈하기 시작하여 볼이송관(250)에 잔류하게 되고, 골프공(10)이 안착되어 있던 회전판(200)의 수용홈(205)은 회전을 계속하며 볼이송관(250)의 외부로 벗어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이 계속되면 회전판(200)의 수용홈(205)에 안착되어 있던 골프공(10)은 볼이송관(250)에 지속적으로 투입되어 결국, 회전판(200)의 회전력으로 선단의 골프공(10)은 후단의 골프공(10)에 밀려 전진하게 된다.
앞에서도 설명하였지만 볼이송관(250)은 곡선으로 절곡된 부분을 가지고 있다. 이 볼이송관(250)이 절곡된 부분에서 골프공(10)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볼이송관(250)의 출구(250-2)에 이르게 된다.
도 2, 도 5 및 도 11(a)를 참조하면, 볼이송관(250)의 출구(250-2) 부분에 다다른 골프공(10)은 이송핀(260)의 안내를 받으며 출구(250-2)에 설정되어 있는 개구부(256) 방향으로 진행하여 지지판(220)의 상부에 위치한 볼공급기(300)로 공급된다.
골프공(10)이 볼공급기(300)에 투입되면 공급센서(510)가 골프공(10) 투입을 감지하여 제어수단(500)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수단(500)은 회전모터(210)의 동작을 정지시켜 골프공(10)의 공급을 제한한다.
이때 골프공(10)은 볼공급기(300)에 구성된 푸셔(380)의 선단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가 골프공(10)을 티업핀(50)으로 공급하기 위한 대기상태이다.
골프공(10)이 티업핀(50)의 상단에 투입되어 있지 않으면 티업핀(50)의 하단이 고정되어 있는 블록체(400)에 장착되어 있는 볼감지센서(520)는 제어수단(500)에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수단(500)이 볼감지센서(520)의 신호를 감지하면, 제어수단(500)은 티업핀승하강부(T)의 구동모터(410)에 신호를 보내어 구동모터(410)가 가동하도록 한다.
구동모터(410)가 회전하면 구동모터(410)와 동력전달 가능하게 결합된 구동판(430)이 회전을 시작하고, 구동판(430)의 반경을 가로지르며 결합되어 있는 레일(420)은 구동판(430)과 함께 회전을 시작한다.
구동판(430)이 구동모터(410)에 의해 회전하는 구성에 관해서는 앞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앞에서 설명하였지만, 블록체(400)는 베이스(150)에 수직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봉(440)에 의해 관통되어 있고, 가이드봉(440)의 안내에 의해 수직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판(430)과 함께 레일(420)이 회전을 하면, 레일(420)의 요홈에 삽입되어 있으며 블록체(400)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롤러(470)에는 구동모터(410)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구동판(430)과 함께 레일(420)이 회전을 하면, 레일(420)의 요홈을 따라 가이드롤러(470)는 가이드되고, 가이드봉(440)에 의해 수직으로 승하강되도록 구성된 블록체(400)는 티업핀(50)과 함께 하강하게 된다.
도 11(b) 및 도11(c)를 참조하면,블록체(400)가 더욱 하강하게 되면 공급아암(710)의 일단 또는 구름롤러(715)를 연장판(335)이 가압하게 되므로 공급아암(710)의 일단은 하강하게 되고, 공급아암(710)은 아암핀(725)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공급아암(710)의 타단이 티업핀(50)이 위치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공급아암(710)에 접하는 공급롤러(735)로 공급아암(710)의 회동력이 전달된다.
공급롤러(735)는 작동블록(330)의 써포트블록(730)에 설치되어 있고, 써포트블록(730)은 써포터(745)를 통하여 슬라이드블록(740)과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작동블록(330)을 이루고 있으므로 슬라이드블록(740)은 슬라이드레일(750)의 안내를 받아 공급아암(710)의 회동방향인 티업핀(50)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블록체(400)가 하강하면 공급아암(710)이 회동하면서 작동블록(330)이 슬라이드레일(750)의 안내를 받으며 티업핀(50)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이때 작동블록(330)의 써포트블록(730)에 결합되어 있는 복원스프링(760)은 작동블록(330)이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인장되며 복원력을 가지기 시작한다.
전술하였지만, 골프공(10)은 스페이서(370)와 푸시바(360)에 의해 일정한 이격거리를 가지며 구성된 푸셔(380)와 푸셔(380) 사이의 공간에 안착되어 있다.
작동블록(330)이 진행하면 푸셔(380)는 선단에 골프공(10)을 안착한 상태로 티업핀(50) 방향으로 진행하기 시작한다.
도 11(c)를 참조하면, 골프공(10)은 티업핀(50)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지지판(220) 상부에 구성된 상승핀(390)의 위치에서 상승핀(390)의 경사각도에 따라 점차 상승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골프공(10)의 앞부분은 블록체(400)의 하강운동으로 점차 하부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는 티업핀(50)의 측면에 접하게 되고, 골프공(10)의 아랫부분은 상승핀(390)에 접하는 위치에 이르게 된다.
도 3 및 도 11(d)를 참조하면, 블록체(400)가 하부로 더 진행하면 결과적으로 푸셔(380)가 골프공(10)을 더욱 밀게 된다.
이때, 골프공(10)은 상승핀(390)의 경사에 따라 진행하며 점차 상승하고, 동시에 블록체(400)에 고정되어 있는 티업핀(50)은 블록체(400)의 하강으로 점차 하부방향으로 진행하여 티업핀(50)의 고유의 특성인 탄성에 의해 상단부로부터 골프공(10)의 압력에 의해 골프공(10)의 진행과 반대방향으로 변형되어지면서 안내지지대(450)의 요홈으로 삽입된다.
여기서 푸셔(380)가 골프공(10)을 더욱 밀면, 골프공(10)은 회전가능한 일종의 베어링구조로 구성된 푸셔(380)와 슬립이 발생하면서 티업핀(50)의 측면을 따라 인조잔디매트(170)에 구성된 취출홀(175) 방향인 티업핀(50) 상단부로 계속 진행한다.
동시에 작동블록(33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푸시바(360)는 회전하며 푸셔(380)를 티업핀(50) 상단부 방향으로 안내하여 결과적으로 골프공(10)을 더욱 높게 상승시킨다.
도 4 및 도 11(e)를 참조하면, 골프공(10)의 하부가 티업핀(50)의 상부 부근에 이르게 되면 탄성을 가진 티업핀(50)은 탄성에 의한 복원되며, 이때의 탄성력으로 인조잔디매트(170)의 취출홀(175) 방향으로 골프공(10)을 더욱 밀어 올리며 골프공(10)의 하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가 티업핀(50)이 탄성에 의한 복원력으로 본래의 상태로 복원된 상태이며 골프공(10)은 인조잔디매트의 취출홀 부분의 두께 즉 높이와 직경으로 인하여 외부로 유출하지 않고 취출홀에 잔류하며 티업핀(50) 상단에 안착한 상태이다.
여기서 블록체(400)의 하강은 베이스(150) 직전까지만 진행시키도록 구동모터(410)의 회전이 골프연습기의 저점에 위치한 블록센서(530)에 의해 감지되는 지점까지만 지속되도록 한다. 이는 구동모터(410)에 지나친 과부하가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블록센서(530)에 의해 블록체(400)가 감지되면 블록센서(530)는 제어수단(500)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수단(500)은 구동모터(41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때가 작동블록(330)에 결합되어 있는 복원스프링(760)은 최대한 인장되는 상태이며 복원력은 최대로 된 상태이다.
한편, 푸셔(380)와 상승핀(390)은 각각 한개 또는 한쌍과 한 개의 조합으로 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보다 안정적으로 티업핀(50)에 골프공(10)을 투입하기 위해서는 푸셔(380)와 상승핀(390)을 각각 한쌍으로 구성하여 적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더욱이 상승핀(390)은 제거하고 푸셔(380)만을 구성하여 적용할 수도 있으나, 보다 안정적으로 티업핀(50)에 골프공(10)을 투입하고, 저지상고의 골프연습기를 이루기 위해서는 상승핀(390)의 작용이 필요하다.
티업핀(50)에 골프공(10)이 안착되면 티업핀(50)의 하단이 고정되어 있는 블록체(400)에 내설되어 있는 볼감지센서(520)는 티업핀(50) 상단에 골프공(10)이 투입되었음을 감지하여 제어수단(500)에 신호를 전송한다.
도 6 및 도 11(f)를 참조하면, 골프공(10)이 티업핀(50) 상단에 투입되면 제어수단(500)의 신호에 의해 티업핀승하강부(T)의 구동모터(410)가 역회전을 시작한다.
따라서 블록체(400)는 앞에서 자세히 설명한 것과 반대로 상승하기 시작하고 블록체(400)와 일체화되어 있는 티업핀(50)은 골프공(10)을 안착한 상태에서 상승하기 시작한다.
블록체(400)가 상승하기 시작하면 연장판(335)의 하부에 위치한 공급아암(710)의 일단 또는 구름롤러(715)에 가해지고 있는 블록체(400)의 가압하중이 제거된다.
따라서 인장되어 있는 복원스프링(760)은 수축되기 시작하고, 이때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블록(330)은 푸셔(380)와 함께 슬라이드레일(750)의 가이드에 따라 티업핀(50)의 반대방향으로 후진하며, 공급아암(710)은 작동블록(330)에 위치한 공급롤러(735)에 의해 아암핀(725)을 중심으로 티업핀(50)의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며 후진한다.
이때 작동블록(330)과 푸셔(380)의 후진은, 골프공공급부(S)의 개구부(256)가 완전히 개방되어 골프공공급부(S)의 볼이송관에서 골프공(10)이 볼공급기 방향으로 투입되는 것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지점까지 지속되도록 설정한다.
티업핀(50)에 골프공(10)이 안착되어 있는 블록체(400)가 일정한 높이까지 상승하면 제어수단(500)은 구동모터(410)를 정지하게 한다.
구동모터(410)가 정지하면 골프공(10)은 이용자가 골프공(10)을 타격할 수 있는 상태이고 골프연습기에서 티업핀(50) 위로 골프공(10)의 투입이 완료된 상태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예를 제어수단(500)과 함께 적용되는 볼감지센서(520)와 블록센서(530)를 적용하여 예시하였다. 여기에 더하여 블록체(400)가 상승할 때의 높이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 즉, 블록체(400)가 골프공(10)을 안착한 티업핀(50)과 함께 구동모터(410)의 작동으로 상승할 때 지정된 거리만큼 이동한 후 정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센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센서는 블록체(400)가 이동하는 거리를 여러 가지를 지정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의 센서는 블록체(400)가 이동하여 정지하는 위치가 센서가 위치하는 곳으로 정해지게 되므로 한정된 몇 가지 티업핀(50)의 높이에서 골프공(10)을 타격할 수 밖에 없어 이용에 불편을 초래하게 되고, 적용 시에는 오히려 제작비의 상승을 가져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블록체(400)가 이동하는 거리를 기설치 되는 제어수단(500)에서 구동모터(410)의 회전수 및 회전각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블록체(400)를 원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킨 후 정지하도록 하면 상기의 센서는 불필요하고 오히려 경제적으로 골프연습기의 구성이 가능해 진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골프공공급부(S)의 이송관을 합성수지재질 등의 연질의 플렉시블관으로 변경할 수도 있으며, 골프공공급부(S)로 투입되는 골프공(10)의 투입위치를 전술한 실시 예인 푸셔(380)의 측면 방향이 아닌 푸셔(380)의 하부 방향에서 공급할 수도 있으며, 티업핀승하강부(T)의 블록체(400)의 구동방식을 변경하여 다른 방식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골프공공급부(S)의 일부 구성요소를 티업핀승하강부(T)와 별도로 분리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특허의 범위 내의 것이다.

Claims (11)

  1. 볼공급기의 티업기를 통해 골프공을 인조잔디매트 상으로 취출시켜 스윙연습을 하기 위한 골프연습기로서,
    상기 볼공급기는, 골프공공급부(S)상에 설치된 슬라이드레일, 슬라이드레일을 따라 안내되어 작동하는 슬라이드블록, 슬라이드블록과 결합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일 지점을 중심으로 상승 내지 하강하도록 회동하는 공급아암과, 상기 일 지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아암핀과, 상기 아암핀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아암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아암은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 레일부를 형성하되,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일단 및 타단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타단은 일단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의 선단은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블록체를 더 포함하고, 블록체의 상부에는 연장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아암의 일단으로는 구름롤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공급기는, 공급아암의 걸림턱에 설치된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가 결합된 작동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작동블록은 공급롤러가 결합되는 슬라이드블록과 상기 슬라이드블록과 결합된 써포드블록을 포함하고, 써포드블록에서 돌설된 써포터에 의해서 슬라이드블록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공급기는 푸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푸시수단은 티업핀 방향으로 설치된 푸시바; 푸시바의 선단을 관통하는 결합봉; 결합봉의 양단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푸셔;를 포함하고, 골프공은 푸셔 사이에 안착되어 티업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의 전방으로는 상승핀이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골프공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봉으로는 스페이서가 더 설치되되, 푸셔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기.
  10. 삭제
  11. 삭제
KR1020110002131A 2010-11-22 2011-01-10 골프연습기 KR101252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131A KR101252361B1 (ko) 2011-01-10 2011-01-10 골프연습기
PCT/KR2011/008901 WO2012070829A2 (ko) 2010-11-22 2011-11-22 골프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131A KR101252361B1 (ko) 2011-01-10 2011-01-10 골프연습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299A Division KR101407227B1 (ko) 2013-03-05 2013-03-05 골프연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738A KR20120080738A (ko) 2012-07-18
KR101252361B1 true KR101252361B1 (ko) 2013-04-08

Family

ID=46713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131A KR101252361B1 (ko) 2010-11-22 2011-01-10 골프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3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895B1 (ko) * 2017-12-29 2019-01-31 ㈜에스엠이엔지텍 골프공 티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32600B2 (es) * 2019-12-10 2021-10-21 Cardama Diego Roel Sistema y método para lanzar una pelota sobre un terreno de un campo de jueg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584A (ja) * 1996-04-22 1997-11-04 Wada Kinzoku Kogyo Kk ゴルフ練習機のティーアップ装置
KR200418251Y1 (ko) 2006-03-29 2006-06-08 조완제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20090000776U (ko) * 2008-12-26 2009-01-29 조완제 다단 유도형 골프공 자동 티업기
KR100958294B1 (ko) 2009-08-28 2010-05-19 박종환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584A (ja) * 1996-04-22 1997-11-04 Wada Kinzoku Kogyo Kk ゴルフ練習機のティーアップ装置
KR200418251Y1 (ko) 2006-03-29 2006-06-08 조완제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20090000776U (ko) * 2008-12-26 2009-01-29 조완제 다단 유도형 골프공 자동 티업기
KR100958294B1 (ko) 2009-08-28 2010-05-19 박종환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895B1 (ko) * 2017-12-29 2019-01-31 ㈜에스엠이엔지텍 골프공 티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738A (ko)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830B1 (ko)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JP5485340B2 (ja) ゴルフボール自動ティーアップ供給装置
KR101104525B1 (ko) 골프공자동공급장치
KR200480032Y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KR100958294B1 (ko)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1252361B1 (ko) 골프연습기
KR101407227B1 (ko) 골프연습기
KR101992681B1 (ko) 퍼팅 연습장치
US20170294066A1 (en) Chip sorting devices and related assemblies, components and methods
KR200432332Y1 (ko)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101180189B1 (ko) 골프연습기
KR200452459Y1 (ko) 다단 유도형 골프공 자동 티업기
KR101941895B1 (ko) 골프공 티업장치
EP2465587A2 (en) Powerless automatic tee up machine
KR200452395Y1 (ko)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200296809Y1 (ko) 골프 연습장치
CN113559485A (zh) 推杆练习器用高尔夫球回球装置
KR200447970Y1 (ko) 왼손잡이 및 오른손잡이 겸용 골프공 공급기
KR101176346B1 (ko) 골프 시스템을 위한 골프공 자동 이송장치
JP5177415B2 (ja) ゴルフボール供給装置
KR100235342B1 (ko)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101192933B1 (ko) 직투입 골프연습기
KR19990011336A (ko) 골프공 자동티업장치
KR100329976B1 (ko) 실내골프연습장용 지정타석 지하에 설치되는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20170000342U (ko) 배팅 연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