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155B1 - 골프공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공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155B1
KR100506155B1 KR1020050007950A KR20050007950A KR100506155B1 KR 100506155 B1 KR100506155 B1 KR 100506155B1 KR 1020050007950 A KR1020050007950 A KR 1020050007950A KR 20050007950 A KR20050007950 A KR 20050007950A KR 100506155 B1 KR100506155 B1 KR 100506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rail
golf
tee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환
Original Assignee
(주) 알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알디텍 filed Critical (주) 알디텍
Priority to KR1020050007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1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0006Automatic tee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공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스 본체의 일측으로 골프공의 수납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에 수납된 골프공이 일렬로 정렬되어 인출될 수 있도록 출구측에 가이드를 위한 안내편이 형성된 호퍼부; 상기 호퍼부의 출구측에 모터의 샤프트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원판형상의 회전 드럼이 설치되고, 그 회전 드럼의 구동에 의해 상기 호퍼부의 공간부에 수납된 골프공을 로딩시키는 복수의 로딩 부재가 설치된 로딩구동부; 상기 로딩구동부의 배출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레일이 설치되고, 그 레일의 끝단에 골프공의 이송을 일시 중지시키기 위한 정지수단이 형성된 보조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레일의 양측으로 가이드벽이 설치되고, 그 가이드벽의 일측에 골프공의 공급대기 적재량의 조절을 위한 감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 레일의 정지수단에 의해 상기 레일의 끝단 부분에서 이송이 정지된 골프공을 상기 보조 레일로 공급하는 공급부재를 구비한 레일부; 및 상기 보조 레일로 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케이스 본체상에 골프공이 위치되는 홀이 형성되고, 그 홀의 내부로 골프공이 안치되는 티가 위치되며, 그 티의 하부로 상기 티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골프공의 유무를 감지하는 골프공 감지부가 설치되고, 그 일측으로 상기 티의 높이 조절을 위한 승하강 수단을 구비한 티-업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실내 골프연습장에 낮은 높이로 설치가 가능하고 시공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골프공의 자동공급과 티 높이의 미세 조정을 통해 각 골퍼가 자신의 스윙 특성에 맞는 효율적인 골프 연습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프공 공급 장치{SUPPLY DEVICE OF GOLF BALL}
본 발명은 골프공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골프연습장에 설치시 바닥에 매설하지 않고도 낮은 높이로 시공이 가능하고 각 골퍼의 스윙 특성에 맞게 티 높이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며 골프공이 티의 상부로 원활하게 자동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골프공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골프공 공급 장치들은 여러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이 골프공 공급 아암에 모터와 솔레노이드를 결합시켜 골프공 공급 아암이 솔레노이드에 의해 골프공을 협지하고, 모터의 작동으로 골프공 공급 아암을 골프티까지 회전시켜 골프공이 공급되도록 한 것으로서, 골프공 공급 아암의 협지부의 마모 등으로 인해 골프공의 협지력이 약화되어 공급 도중 골프공을 놓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모터의 제동력 역시 정확하게 골프티까지 회전하지 못하고 골프티에 못 미치거나 골프티를 지나쳐 멈추는 오동작이 발생하는 등 사용상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하강 수단을 구비한 골프공 공급 장치가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승하강 수단이 설치된 골프공 공급 장치는 일반적으로 골프장 바닥의 지면을 파낸 후 매설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높이가 낮은 실내 골프연습장에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설치하기 위한 방법이나 설치 작업이 복잡하고, 그에 따른 시공비용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매설이 아닌 골프연습장의 바닥에 직접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승하강 수단이 구비된 종래의 골프공 공급 장치의 높이가 250mm 이상의 높이를 가짐에 따라 높이가 낮은 실내 골프연습장 등 설치 장소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골퍼의 스윙 특성에 맞는 티 높이의 미세 조정과 골프공의 원활한 자동 공급이 가능하며, 낮은 높이의 공간적 제약을 가지는 실내 골프연습장에 설치시 바닥공사를 통한 매설 작업없이 낮은 높이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골프공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골프공 공급 장치는, 케이스 본체의 일측으로 골프공의 수납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에 수납된 골프공이 일렬로 정렬되어 인출될 수 있도록 출구측에 가이드를 위한 안내편이 형성된 호퍼부;
상기 호퍼부의 출구측에 모터의 샤프트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원판형상의 회전 드럼이 설치되고, 그 회전 드럼의 구동에 의해 상기 호퍼부의 공간부에 수납된 골프공을 로딩시키는 복수의 로딩 부재가 설치된 로딩구동부;
상기 로딩구동부의 배출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레일이 설치되고, 그 레일의 끝단에 골프공의 이송을 일시 중지시키기 위한 정지수단이 형성된 보조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레일의 양측으로 가이드벽이 설치되고, 그 가이드벽의 일측에 골프공의 공급대기 적재량의 조절을 위한 감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 레일의 정지수단에 의해 상기 레일의 끝단 부분에서 이송이 정지된 골프공을 상기 보조 레일로 공급하는 공급부재를 구비한 레일부; 및
상기 보조 레일로 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케이스 본체상에 골프공이 위치되는 홀이 형성되고, 그 홀의 내부로 골프공이 안치되는 티가 위치되며, 그 티의 하부로 상기 티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골프공의 유무를 감지하는 골프공 감지부가 설치되고, 그 일측으로 상기 티의 높이 조절을 위한 승하강 수단을 구비한 티-업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 공급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 공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전체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프공 공급 장치는 케이스 본체(100)와, 호퍼부(200)와, 로딩구동부(300)와, 레일부(400), 및 티-업 구동부(50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100)는 실내 골프연습장의 각 골퍼 타석의 바닥위에 설치되는 판상의 플레이트로서, 본 발명의 각 구성이 내장 또는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그 판상의 플레이트 상에는 골프연습용 인조 매트(101)가 설치되고, 그 판상의 플레이트 일측에는 골퍼가 위치하여 골프연습을 할 수 있는 골퍼 공간부(102)가 마련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케이스 본체(100)는 150mm 이내의 낮은 높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호퍼부(200)는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골프공의 수납을 위한 공간부(201)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201)에 수납된 골프공이 일렬로 정렬되어 인출될 수 있도록 출구측에 가이드를 위한 안내편(20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로딩구동부(300)는 상기 호퍼부(200)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모터(301)의 샤프트(302)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원판형상의 회전 드럼(303)이 설치되고, 그 회전 드럼(303)의 구동에 의해 상기 호퍼부(200)의 공간부(201)에 수납된 골프공을 로딩시키는 복수의 로딩부재(304)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로딩부재(304)는 상기 회전 드럼(303)의 양쪽면에서 마주하는 하나의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퍼부(200)에 수납된 골프공이 퍼올려질 수 있도록 끝단 부분이 일정한 각도로 절곡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딩부재(304)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드럼(303)의 180도 분할된 위치에 마주하는 하나의 쌍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딩구동부(300)의 배출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레일(401)이 설치되고, 그 레일(401)의 끝단에 골프공의 이송을 일시 중지시키기 위한 정지수단이 형성된 보조 레일(402)이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레일(401)의 양측으로는 가이드벽(403)이 설치되고, 그 가이드벽(403)의 일측에 골프공의 공급대기 적재량의 조절을 위한 감지부(404)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 레일(402)의 정지수단에 의해 상기 레일(401)의 끝단 부분에서 이송이 정지된 골프공을 상기 보조 레일(402)로 공급하는 공급부재(406)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404)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도 4에는 상기 공급부재(406)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레일(402)의 정지수단은 상기 레일(401) 보다 높게 형성된 단차이고, 상기 레일(401) 보다 높게 위치하는 단차로 인해 상기 보조 레일(402)이 일정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 경사진 보조 레일(402)을 통해 공급되는 골프공은 가속되어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공급 부재(406)는 상기 레일(401)의 끝단 부분에 사각형상의 개구홈(405)을 형성하고, 그 개구홈(405)이 형성된 상기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로 승하강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티-업 구동부(5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레일(402)로 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케이스 본체(100)상에 골프공이 위치되는 홀(501)이 형성되고, 그 홀(501)의 내부로 골프공이 안치되는 티(502)가 위치되며, 그 티(502)의 하부로 상기 티(502)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홀(503)을 통해 골프공의 유무를 감지하는 골프공 감지부(504)가 설치되고, 그 일측으로 상기 티(502)의 높이 조절을 위한 승하강 수단(51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골프공 감지부(504)는 빛의 유무를 검출하는 조도감지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티(502)의 관통홀(503)을 통해 외부의 빛을 검출하여 공프공이 안착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하강 수단(5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프공 감지부(504)가 내장된 케이스(511)의 하부로 지지대(512)가 설치되고, 한 쌍의 안내봉(513)을 따라 상하로 승하강되는 승강대(514)가 상기 지지대(512)와 일측에서 결합되며, 그 승강대(514)의 일측으로 모터(M)의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풀리(515)와 그 구동풀리(515)와 연동되도록 벨트(516)로 감겨진 한 쌍의 피동풀리(517)가 삼각형상으로 설치되고, 상하로 위치하는 한 쌍의 피동풀리(517) 사이에 감겨진 벨트(516)의 하부에서 상기 승강대(514)와 벨트(516)가 체결편(518)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골프공 공급 장치의 동작 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골퍼가 골프 타석에 위치한 후 구동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여 티(502)의 높이를 자신의 스윙 궤도에 맞게 조정하고 동작 모드를 구동시키면, 상기 호퍼부(200)의 공간부(201)로 다수개의 골프공이 외부로부터 투입되고, 그 공간부(201)에 투입된 골프공은 출구측에 설치된 안내편(202)에 의해 일렬로 정렬된다.
상기 호퍼부(200)의 출구측에 정렬된 골프공들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로딩구동부(300)내 후크 형상의 로딩부재(304)에 의해 퍼올려져 로딩된 후 상기 레일부(400)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로딩구동부(300)의 구동은 상기 모터(301)의 샤프트(302)와 연결된 원판형상의 회전 드럼(303)이 샤프트(302)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고, 그 회전 드럼(30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후크 형상의 로딩 부재(304)가 회전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로딩구동부(300)에 의해 로딩되어 공급된 골프공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레일(401)을 따라 이송되고, 그 레일(401)의 끝단에 단차로 형성된 정지수단에 의해 상기 보조 레일(402)로의 골프공의 이송이 일시 중지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벽(403)에는 골프공의 공급대기 적재량의 조절을 위한 감지부(404)가 발수광 소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감지부(404)의 구동과 상기 로딩구동부(300)의 로딩 동작이 연동된다.
즉, 상기 감지부(404)가 위치한 곳에 골프공이 채워질 때 까지 상기 로딩구동부(300)의 로딩 동작은 연속하여 구동된다.
한편, 상기 레일부(400)의 레일(401) 끝단에 위치된 골프공은 도 4에서 보여지는 공급부재(406)의 승하강 구동에 의해 상기 보조 레일(402)로 이송되고, 그 보조 레일(402)에 공급된 골프공은 경사에 의한 가속으로 도 5에서 보여지는 홀(501)에 신속하고 정확히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홀(501)에 위치한 골프공은 상기 승하강 수단(5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티(502)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골퍼가 설정한 높이로 상승하여 위치하게 된다.
상기 승하강 수단(510)의 구체적인 구동은 도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모터(M)의 동력을 전달받은 구동풀리(515)가 회전됨에 따라 벨트(516)에 감겨진 한 쌍의 피동풀리(517)가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벨트(516)와 체결편(518)을 통해 고정된 승강대(514)가 벨트(516)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그 승강대(514)와 결합된 지지대(512)가 연동하여 승하강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대(512) 상에 설치된 티(502)가 홀(501)을 통해 골프공이 안치된 상태로 상승하게 되고, 골퍼에 의해 타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티(502)의 하부에 설치된 골프공 감지부(504)에 의해 외부의 빛이 감지되고, 그에 따라 골프공이 없음을 판단한 구동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승하강 수단(510)의 모터(M) 회전이 반대로 구동되어 상기 일정 높이 상승한 티(502)가 상기 승하강 수단(510)의 역순의 동작에 의해 하강된다.
상술한 동작이 골퍼에 의해 설정된 골프공이 소진될 때 까지 반복적으로 연속하여 구동되며, 골퍼는 연속하여 공급되는 골프공을 자신의 스윙 특성에 맞게 티(502) 높이가 조정된 상태로 효율적인 연습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골프공 공급 장치에 의하면, 실내 골프연습장에 설치시 바닥에 매설하지 않고도 낮은 높이로 시공이 가능하고, 각 골퍼의 스윙 특성에 맞게 티 높이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며, 골프공이 티의 상부로 원활하게 자동 공급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낮은 높이의 제약된 실내 공간을 갖는 골프연습장에 별도의 작업없이 설치가 가능해짐에 따라 시공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골프공의 원활한 자동공급과 티 높이의 미세 조정을 통해 각 골퍼가 자신의 스윙 특성에 맞는 효율적인 골프 연습을 지연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공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공급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공급 장치중 로딩구동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공급 장치중 레일부 끝단 부분에 설치된 공급부재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공급 장치중 티-업 구동부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6은 도 5에 따른 티-업 구동부중 티와 골프공 감지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따른 티-업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 본체 101 : 인조 매트
102 : 골퍼 공간부 200 : 호퍼부
201 : 공간부 202 : 안내편
300 : 로딩구동부 301 : 모터
302 : 샤프트 303 : 회전 드럼
304 : 로딩부재 400 : 레일부
401 : 레일 402 : 보조 레일
403 : 가이드벽 404 : 감지부
405 : 개구홈 406 : 공급부재
500 : 티-업 구동부 501 : 홀(hole)
502 : 티(tee) 503 : 관통홀
504 : 골프공 감지부 510 : 승하강 수단
511 : 케이스 512 : 지지대
513 : 안내봉 514 : 승강대
515 : 구동풀리 516 : 벨트
517 : 피동풀리 518 : 체결편

Claims (7)

  1. 케이스 본체의 일측으로 골프공의 수납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에 수납된 골프공이 일렬로 정렬되어 인출될 수 있도록 출구측에 가이드를 위한 안내편이 형성된 호퍼부;
    상기 호퍼부의 출구측에 모터의 샤프트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원판형상의 회전 드럼이 설치되고, 그 회전 드럼의 구동에 의해 상기 호퍼부의 공간부에 수납된 골프공을 로딩시키는 복수의 로딩 부재가 설치된 로딩구동부;
    상기 로딩구동부의 배출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레일이 설치되고, 그 레일의 끝단에 골프공의 이송을 일시 중지시키기 위한 정지수단이 형성된 보조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레일의 양측으로 가이드벽이 설치되고, 그 가이드벽의 일측에 골프공의 공급대기 적재량의 조절을 위한 감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 레일의 정지수단에 의해 상기 레일의 끝단 부분에서 이송이 정지된 골프공을 상기 보조 레일로 공급하는 공급부재를 구비한 레일부; 및
    상기 보조 레일로 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케이스 본체상에 골프공이 위치되는 홀이 형성되고, 그 홀의 내부로 골프공이 안치되는 티가 위치되며, 그 티의 하부로 상기 티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골프공의 유무를 감지하는 골프공 감지부가 설치되고, 그 일측으로 상기 티의 높이 조절을 위한 승하강 수단을 구비한 티-업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실내 골프연습장의 각 타석의 바닥위에 설치되는 판상의 플레이트로서 공급장치의 각 구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그 판상의 플레이트 상에는 골프연습용 인조 매트가 설치되고, 일측에 골퍼가 위치하는 골퍼 공간부가 마련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부재는, 상기 회전 드럼의 양쪽면에서 마주하는 하나의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퍼부에 수납된 골프공이 퍼올려질 수 있도록 끝단 부분이 일정한 각도로 절곡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 감지부는 빛의 유무를 검출하는 조도감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수단은, 상기 골프공 감지부가 내장된 케이스의 하부로 지지대가 설치되고, 안내봉을 따라 상하로 승하강되는 승강대가 상기 지지대와 일측에서 결합되며, 그 승강대의 일측으로 모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풀리와 그 구동풀리와 연동되도록 벨트로 감겨진 한 쌍의 피동풀리가 삼각형상으로 설치되고, 상하로 위치하는 한 쌍의 피동풀리 사이에 감겨진 벨트의 하부에서 상기 승강대와 벨트가 체결편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레일의 정지수단은 상기 레일 보다 높게 형성된 단차이고, 상기 레일 보다 높게 위치하는 단차로 인해 상기 보조 레일이 일정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공급 부재는 상기 레일의 끝단 부분에 사각형상의 개구홈을 형성하고, 그 개구홈이 형성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로 승하강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 장치.
KR1020050007950A 2005-01-28 2005-01-28 골프공 공급 장치 KR100506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950A KR100506155B1 (ko) 2005-01-28 2005-01-28 골프공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950A KR100506155B1 (ko) 2005-01-28 2005-01-28 골프공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6155B1 true KR100506155B1 (ko) 2005-08-05

Family

ID=3730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950A KR100506155B1 (ko) 2005-01-28 2005-01-28 골프공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1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1314A (ja) * 2010-09-15 2012-03-29 Rd-Tek Co Ltd 低地上高型ボール供給装置
KR102256433B1 (ko) 2020-08-28 2021-05-25 이승환 골프공 자동 공급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1314A (ja) * 2010-09-15 2012-03-29 Rd-Tek Co Ltd 低地上高型ボール供給装置
KR101248830B1 (ko) * 2010-09-15 2013-03-29 (주) 알디텍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CN103096984A (zh) * 2010-09-15 2013-05-08 (株)阿尔迪泰 一种低地面间隙式供球装置
US8840482B2 (en) 2010-09-15 2014-09-23 Rd-Tek Co., Ltd. Low ground clearance-type ball supply device
KR102256433B1 (ko) 2020-08-28 2021-05-25 이승환 골프공 자동 공급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052B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KR101248830B1 (ko)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KR100506155B1 (ko) 골프공 공급 장치
KR100835344B1 (ko) 홀 이송벨트 타입 골프공 이송장치
KR200432332Y1 (ko)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100807658B1 (ko) 골프연습기의 골프공 자동 공급 장치
KR100934020B1 (ko) 무동력 자동 티업기
KR100641888B1 (ko) 골프공 공급 장치
KR101335022B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KR200452395Y1 (ko)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200219853Y1 (ko) 골프 연습기의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JPH0956865A (ja) ティーアップ装置
KR19990011336A (ko) 골프공 자동티업장치
KR200431940Y1 (ko) 골프공 티업장치
KR102501012B1 (ko) 골프공 피딩 일체형 자동 티업장치
KR100329976B1 (ko) 실내골프연습장용 지정타석 지하에 설치되는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JPH1033739A (ja) ゴルフボールの自動ティーアップ装置
JP5177415B2 (ja) ゴルフボール供給装置
KR100243980B1 (ko) 실내 골프장의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200158706Y1 (ko) 골프용 공급장치
KR200296187Y1 (ko) 골프 자동 연습 기계
JPH0741495Y2 (ja) ボール貯溜装置
KR200296809Y1 (ko) 골프 연습장치
KR101180189B1 (ko) 골프연습기
KR20120004002A (ko) 직투입 골프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