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366B1 -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366B1
KR100927366B1 KR1020090055345A KR20090055345A KR100927366B1 KR 100927366 B1 KR100927366 B1 KR 100927366B1 KR 1020090055345 A KR1020090055345 A KR 1020090055345A KR 20090055345 A KR20090055345 A KR 20090055345A KR 100927366 B1 KR100927366 B1 KR 100927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pport
golf
screen golf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성
Original Assignee
서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6051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2736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서경성 filed Critical 서경성
Priority to KR1020090055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6Revolving targets ; Moving targets, e.g. moving or revolving on impa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37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on a target surface or at impact on the ground
    • A63B2024/0043Systems for locating the point of impact on a specific su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을 지지하는 지지대 부재; 및 상기 지지대 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에서 주로 타격되는 부분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을 이송시키는 이송 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에 의하면, 이송 부재에 의해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회전되면,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에서 주로 타격되는 부분이 변경될 수 있어서,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의 교체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의 이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Screen transfer apparatus for screen golf}
본 발명은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실내 공간에서 골프를 즐길 수 있도록 제작된 시스템으로, 골프 시뮬레이터라고도 한다.
이러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로는 플레이어가 타격한 공의 탄도, 방향, 스피드 등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골프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스크린 골프 영상을 조사하는 프로젝터와, 상기 프로젝터에 의해 조사된 영상을 구현하는 스크린과, 자동으로 골프공을 플레이어에게 공급하는 오토 티업기 등이 있다.
플레이어는 오토 티업기에 의해 공급되는 골프공을 골프채를 이용하여 타격하고, 그 타격된 골프공이 스크린의 소정 부분에 타격되면, 센서가 골프공의 탄도, 방향, 스피드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그에 적합한 영상 신호가 구현되도록 프로젝터에 명령을 내리게 되어, 결국 플레이어의 타격에 적합한 영상이 스크린에 구현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있어서는, 스크린이 지지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크린 중 일정한 부분만 주로 타격되어 그 부분이 상대적으로 빨리 손상되는데, 그 손상되는 부분이 스크린 중 일부에 국한됨에도 불구하고, 스크린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스크린의 낭비가 초래될 수 있고, 스크린의 빈번한 교체로 인한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고,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유지 비용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의 이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을 지지하는 지지대 부재; 및 상기 지지대 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에서 주로 타격되는 부분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을 이송시키는 이송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을 피설치부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의 상측을 가로지르는 상측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 말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 회전축 지지부를 포함하는 상측 지지대 부재; 상기 피설치부에 상기 상측 회전축 지지부를 연결하는 걸이 부재; 및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의 하측을 가로지르는 하측 회전축과, 상기 하측 회전축의 양 말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당겨지도록 상기 걸이 부재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피설치부에 연결되는 하측 회전축 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측 지지대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걸리는 이동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가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이 동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걸린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되어,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에서 주로 타격되는 부분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에 의하면,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을 지지하는 지지대 부재; 및 상기 지지대 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에서 주로 타격되는 부분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을 이송시키는 이송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이송 부재에 의해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회전되면,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에서 주로 타격되는 부분이 변경될 수 있어서,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의 교체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의 이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에 의하면,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을 지지하는 지지대 부재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으므로, 높이가 다른 다양한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에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에 의하면, 이송 부재가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타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이송되도록 외력을 인가하는 구동부와,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의 타격되는 횟수에 따라 구동부에 구동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경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타격되는 횟수가 소정 횟수 에 도달되면,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에서 주로 타격되는 부분이 변경되도록,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자동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의 작동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를 구성하는 지지대 유닛들이 스크린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를 구성하는 제 1 지지대 유닛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를 구성하는 제 2 지지대 유닛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100)는 제 1 지지대 부재(110)와, 제 2 지지대 부재(150)와, 이송 부재(190)를 포함한다.
도면 번호 10은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고, 도면 번호 11은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을 고정하는 고정부이다.
상기 제 1 지지대 부재(110)와, 상기 제 2 지지대 부재(150)는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의 양 측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이 펼쳐지도록 지지한다. 그러면,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의 펼쳐진 면에 플레이어가 골프공을 타격함으로써,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지지대 부재(110)는 제 1 받침대(140)와, 제 1 삽입 지지대(120)와, 제 1 피삽입 지지대(125)와, 제 1 상판(130)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지대 부재(150)는 제 2 받침대(160)와, 제 2 삽입 지지대(170)와, 제 2 피삽입 지지대(175)와, 제 2 상판(18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받침대(140)와 상기 제 2 받침대(160)는 각각 받침대 지지부(141, 161)와, 받침대 지지 홀(142, 162)과, 받침대 돌출부(143, 163)와, 받침대 관통홀부(144, 164)와, 받침대 고정체(145, 165)로 구성되고, 각각 상기 제 1 삽입 지지대(120)와 상기 제 2 삽입 지지대(17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지지대 부재(110)와 상기 제 2 지지대 부재(150)가 각각 설치 장소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받침대 지지부(141, 161)는 각각 상기 받침대 관통홀부(144, 164)에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받침대 지지부(141, 161) 상에 상기 받침대 지지 홀(142, 16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 지지 홀(142, 162)에 각각 상기 받침대 고정체(145, 165)가 관통되어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설치되는 장소의 피설치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 지지대 부재(110)와 상기 제 2 지지대 부재(150)가 상기 피설치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받침대 관통홀부(144, 164)는 상기 받침대 지지부(141, 161)와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받침대 돌출부(143, 163)가 상기 제 1 삽입 지지대(120)와 상기 제 2 삽입 지지대(170)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상기 받침대 돌출부(143, 163)와 상기 받침대 관통홀부(144, 164) 사이에는 베어링이 적용되어, 상기 받침대 돌출부(143, 163)가 상기 받침대 관통홀부(144, 164)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삽입 지지대(120)와 상기 제 2 삽입 지지대(170)는 각각 지지대 몸체(121, 171)와, 삽입 지지대 하측 고정 홀(122, 172)과, 지지대 하측 고정체(123, 173)와, 삽입 지지대 상측 고정 홀(124, 174)로 구성되고, 각각 상기 제 1 피삽입 지지대(125)와 상기 제 2 피삽입 지지대(175)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피삽입 지지대(125)와 상기 제 2 피삽입 지지대(175)에 각각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 1 지지대 부재(110)와 상기 제 2 지지대 부재(150)의 길이를 각각 결정한다.
상기 지지대 몸체(121, 171)는 내부가 비어 있고 그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 삽입 지지대 상측 고정 홀(124, 174)과 상기 삽입 지지대 하측 고정 홀(122, 17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 지지대 하측 고정 홀(122, 172)에는 상기 지지대 하측 고정체(123, 173)가 각각 관통되고, 상기 관통된 지지대 하측 고정체(123, 173)는 각각 상기 받침대 돌출부(123, 163)에 형성된 고정 홀(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받침대(140)와 상기 제 1 삽입 지지대(120) 사이 및 상기 제 2 받침대(160)와 상기 제 2 삽입 지지대(170) 사이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피삽입 지지대(125)와 상기 제 2 피삽입 지지대(175)는 각각 지지대 몸체(126, 176)와, 피삽입 지지대 하측 고정 홀(127, 177)과, 지지대 중간 고정체(128, 178)와, 피삽입 지지대 상측 고정 홀(129, 179)로 구성되고, 그 외주면에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이 감기고, 그 내부에 상기 제 1 삽입 지지대(120)와 상기 제 2 삽입 지지대(170)가 각각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 몸체(126, 176)는 내부가 비어 있고 그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 피삽입 지지대 상측 고정 홀(129, 179)와 상기 피삽입 지지대 하측 고정 홀(127, 177)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 몸체(126, 176)의 내경은 상기 제 1 삽입 지지대(120) 및 상기 제 2 삽입 지지대(170)의 지지대 몸체(121, 17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삽입 지지대(120) 및 상기 제 2 삽입 지지대(170)의 지지대 몸체(121, 171)가 그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피삽입 지지대 하측 고정 홀(127, 177)은 각각 상기 지지대 몸체(126, 176)에 높이차를 가지면서 복수 개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피삽입 지지대 하측 고정 홀(127, 177)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지지대 중간 고정체(128, 178)가 각각 관통되고, 상기 관통된 지지대 중간 고정체(128, 178)가 각각 상기 제 1 삽입 지지대(120)와 상기 제 2 삽입 지지대(170)에 형성된 상기 삽입 지지대 상측 고정 홀(124, 17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피삽입 지지대(125)와 상기 제 1 삽입 지지대(120) 사이 및 상기 제 2 피삽입 지지대(175)와 상기 제 2 삽입 지지대(170) 사이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삽입 지지대 하측 고정 홀(127, 177)이 각각 높이차를 가지면서 복수 개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대 부재(110)와 상기 제 2 지지대 부재(150)가 각각 요구되는 높이를 이루도록, 상기 제 1 삽입 지지대(120)와 상기 제 1 피삽입 지지대(125) 사이 및 상기 제 2 삽입 지지대(170)와 상기 제 2 피삽입 지지대(175) 사이의 삽입 정도를 조절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피삽입 지지대 하측 고정 홀(127, 177) 중 상기 삽입 지지대 상측 고정 홀(124, 174)에 맞추어지는 고정 홀에 상기 지지대 중간 고정체(128, 178)가 각각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 지지대 부재(110)와 상기 제 2 지지대 부재(15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이가 다른 다양한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에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100)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판(130)과 상기 제 2 상판(180)은 각각 상판 지지부(131, 181)와, 상판 지지 홀(132, 182)과, 지지대 상측 고정체(133, 183)와, 상판 고정 홀(134, 184)과, 상판 돌출부(135, 185)와, 상판 고정체(136, 186)와, 상판 관통홀부(137, 187)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피삽입 지지대(125)와 상기 제 2 피삽입 지지대(175)의 상부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상판 지지부(131, 181)는 각각 상기 상판 관통홀부(137, 187)에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상판 지지부(131, 181) 상에 상기 상판 지지 홀(132, 18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판 지지 홀(132, 182)에 각각 상기 상판 고정체(136, 186)가 관통되어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설치되는 장소의 피설치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 지지대 부재(110)와 상기 제 2 지지대 부재(150)가 상기 피설치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상판 관통홀부(137, 187)는 상기 상판 지지부(131, 181)와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상판 돌출부(135, 185)가 상기 제 1 피삽입 지지대(125)와 상기 제 2 피삽입 지지대(175)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상판 돌출부(135, 185)와 상기 상판 관통홀부(137, 187) 사이에는 베어링이 적용되어, 상기 상판 돌출부(135, 185)가 상기 상판 관통홀부(137, 187)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판 돌출부(135, 185)에는 각각 상기 상판 고정 홀(134, 184)이 관통되고, 상기 상판 고정 홀(134, 184)에는 각각 상기 지지대 상측 고정체(133, 183)가 관통된다. 상기 상판 고정 홀(134, 184)을 각각 관통한 상기 지지대 상측 고정체(133, 183)는 상기 피삽입 지지대 상측 고정 홀(129, 179)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상판(130)과 상기 제 1 피삽입 지지대(125) 사이 및 상기 제 2 상판(180)과 상기 제 2 피삽입 지지대(175) 사이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이송 부재(190)는 상기 제 2 삽입 지지대(170)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 2 지지대 부재(150)를 회전시키는 회전 레버(190)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지지대 부재(110) 및 상기 제 2 지지대 부재(150)에 의해 지지된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에서 주로 타격되는 부분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을 이송시킨다.
여기서, 상기 회전 레버(190)가 상기 제 2 삽입 지지대(170)에 연결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제 1 삽입 지지대(110)에 연결될 수도 있고, 양자에 모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레버(190)는 상기 제 1 피삽입 지지대(125)와 상기 제 2 피삽입 지지대(175)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 레버(190)는 레버 회전부(191)와, 레버 관통홀부(192)와, 레버 고정 홀(193)과, 레버 돌출부(194)와, 레버 아암(195)과, 핸들 관통 홀(196)과, 핸들(197)과, 핸들 고정부(198)로 구성된다.
상기 레버 회전부(191)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상기 레버 관통홀부(192)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받침대(160)를 향해 상기 레버 돌출부(194)가 돌출된다. 상기 레버 돌출부(194)에 상기 레버 관통 홀(193)이 형성된다. 상기 레버 아암(195)은 상기 레버 회전부(191)에서 소정 길이로 길게 연장되고, 그 연장된 말단부에 상기 핸들 관통 홀(196)이 형성된다. 상기 핸들 관통 홀(196)에 상기 핸들(197)이 관통되고, 상기 관통된 핸들(197)의 말단에 상기 핸들 고정부(198)가 결합되어, 상기 핸들(197)이 상기 레버 아암(19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돌출부(194)는 상기 받침대 돌출부(163)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삽입 지지대(170)의 지지대 몸체(171)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지지대 하측 고정체(173)가 상기 삽입 지지대 하측 고정 홀(172) 및 상기 레버 고정 홀(19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회전 레버(190)와 상기 제 2 삽입 지지대(170)가 서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회전 레버(190)의 상기 핸들(197)을 작업자가 잡고 상기 회전 레버(190)를 돌리면, 상기 회전 레버(190)와 고정된 상기 제 2 삽입 지지대(170)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2 피삽입 지지대(175)도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 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 1 지지대 부재(110)와 상기 제 2 지지대 부재(150)를 피설치부에 고정한 다음,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을 상기 제 1 지지대 부재(110)와 상기 제 2 지지대 부재(150)를 감싸도록 덮은 다음, 상기 고정부(11)로 고정한다.
그 후, 플레이어가 골프공을 치면서 플레이를 하면, 그 골프공에 의해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이 타격되는데, 이 때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에서 주로 타격되는 부분이 먼저 손상되게 된다.
이러한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의 손상이 발생되면, 작업자가 상기 회전 레버(19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2 지지대 부재(150)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도 회전된다. 이 때, 상기 제 1 지지대 부재(110)도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이 회전되면,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에서 주로 타격되는 부분이 변경될 수 있어서,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의 교체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의 이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이 상기 제 1 지지대 부재(110)와 상기 제 2 지지대 부재(150)를 감싸면서 닫힌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제 1 지지대 부재(110)에 사용 전의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복수 회 감긴 형태를 이루고, 그 말단이 상기 제 2 지지대 부재(150)에 연결 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예 등도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2 지지대 부재(150)의 회전에 따라, 타격에 의해 손상된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의 부분은 상기 제 2 지지대 부재(150)에 감기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지지대 부재(110)에 감겨져 있던 사용 전의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의 부분이 그 자리를 대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200)는 제 1 지지대 부재(210)와, 제 2 지지대 부재(250)와, 이송 부재(29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부재(290)는 구동 모터(291)와, 원동 기어(292)와, 종동 기어(294)와, 종동 기어 돌출부(293)와, 감지 센서(295)와, 제어부(296)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 모터(291)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원동 기어(292)는 상기 구동 모터(291)의 회전축 상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종동 기어(294)는 상기 원동 기어(292)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종동 기어 돌출부(293)는 상기 제 2 지지대 부재(250)의 제 2 받침대(260)를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고, 제 2 삽입 지지대(270)와 서로 고정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 모터(291)의 구동에 따라, 상기 원동 기어(292), 상기 종동 기어(294), 상기 제 2 지 지대 부재(250)가 순차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291), 상기 원동 기어(292), 상기 종동 기어(294) 및 상기 종동 기어 돌출부(293)는 구동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295)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타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홀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96)는 상기 감지 센서(295)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의 타격되는 횟수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구동 명령을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296)가 구동 명령을 내리게 되는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의 타격되는 횟수는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의 재질 등에 따라 실험에 의해 미리 정해진 테이블값에서 정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타격되는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되는 경우,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에서 주로 타격되는 부분이 변경되도록,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자동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200)의 작동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300)는 상측 지지대 부재(310)와, 하측 지지대 부재(350)와, 제 1 걸이 부재(390)와, 제 2 걸이 부재(395)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지지대 부재(310)는 상측 회전축(320)과, 상측 스크린 접촉봉(325)과, 상측 회전축 좌측 지지부(330)와, 상측 회전축 우측 지지부(340)를 포함하여,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을 상측에서 가로질러 지지한다.
상기 하측 지지대 부재(350)는 하측 회전축(360)과, 하측 스크린 접촉봉(365)과, 하측 회전축 좌측 지지부(370)와, 하측 회전축 우측 지지부(380)를 포함하여,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을 하측에서 가로질러 지지한다.
상기 제 1 걸이 부재(390)는 제 1 상측 고정부(391)와, 제 1 상측 연결선(392)과, 제 1 높이 조절부(393)와, 제 1 하측 연결선(394)과, 제 1 하측 고정부(394a)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걸이 부재(395)는 제 2 상측 고정부(396)와, 제 2 상측 연결선(397)과, 제 2 높이 조절부(398)와, 제 2 하측 연결선(399)과, 제 2 하측 고정부(399a)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걸이 부재(390) 및 상기 제 2 걸이 부재(395)는 상기 상측 지지대 부재(310)의 양 측 말단인 상기 상측 회전축 좌측 지지부(330) 및 상기 상측 회전축 우측 지지부(340)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을 천정 등의 피설치부에 고정시킨다.
상기 상측 스크린 접촉봉(325)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상측 관통홀(326)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관통홀(326)에는 상기 상측 회전축(32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상측 스크린 접촉봉(325)은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상측 스크린 접촉봉(325)과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 사이의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회전축(320)의 양 말단부는 상기 상측 회전축 좌측 지지부(330)와 상기 상측 회전축 우측 지지부(3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면,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이 상기 상측 스크린 접촉봉(325)의 외주면에 걸린 상태로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상측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하측 스크린 접촉봉(365)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하측 관통홀(366)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관통홀(366)에는 상기 하측 회전축(36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측 스크린 접촉봉(365)은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하측 스크린 접촉봉(365)과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 사이의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회전축(360)의 양 말단부는 상기 하측 회전축 좌측 지지부(370)와 상기 하측 회전축 우측 지지부(38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면,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이 상기 하측 스크린 접촉봉(365)의 외주면에 걸린 상태로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하측 회전축(360)을 중심으로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회전축 좌측 지지부(330), 상기 상측 회전축 우측 지지부(340), 상기 하측 회전축 좌측 지지부(370) 및 상기 하측 회전축 우측 지지부(380)에는 각각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상측 회전축(320) 및 상기 하측 회전축(360)이 매끄럽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측 고정부(391) 및 상기 제 2 상측 고정부(396)는 천정 등 피설치부에 각각 직접 고정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 1 상측 고정부(391) 및 상기 제 2 상측 고정부(396)의 각 하단에는 상기 제 1 상측 연결선(392) 및 상기 제 2 상측 연결선(397)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 1 상측 연결선(392) 및 상기 제 2 상측 연결선(397)은 강철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상측 연결선(392) 및 상기 제 2 상측 연결선(397)의 각 하단에는 상기 제 1 높이 조절부(393) 및 상기 제 2 높이 조절부(397)가 연결된다. 상기 제 1 높이 조절부(393) 및 상기 제 2 높이 조절부(397)는 그 자체의 길이 변화로 상기 제 1 걸이 부재(390) 및 상기 제 2 걸이 부재(395)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의 걸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 1 높이 조절부(393) 및 상기 제 2 높이 조절부(397)로는 턴버클(turnbuckl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높이 조절부(393) 및 상기 제 2 높이 조절부(397) 하측에는 제 1 하측 연결선(394) 및 제 2 하측 연결선(399)이 연장된다. 상기 제 1 하측 연결선(394) 및 상기 제 2 하측 연결선(399)은 복수 가닥으로 갈라져 연장될 수 있고, 강철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하측 연결선(394) 및 상기 제 2 하측 연결선(399)의 각 하단에는 제 1 하측 고정부(394a) 및 제 2 하측 고정부(399a)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1 하측 고정부(394a) 및 상기 제 2 하측 고정부(399a)는 각각 상기 상측 회전축 좌측 지지부(330) 및 상기 상측 회전축 우측 지지부(340)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걸이 부재(390)와 상기 제 2 걸이 부재(395)에 의해 상기 상측 지지대 부재(310)가 천정 등의 피설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하측 지지대 부재(350)의 상기 하측 회전축 좌측 지지부(370)와 상기 하측 회전축 우측 지지부(380)가 바닥 등의 피설치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이 상기 상측 지지대 부재(310) 및 상기 하측 지지대 부재(35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그 후, 고정부(11)의 결합에 의해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의 양 말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높이 조절부(393)와 상기 제 2 높이 조절부(398)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상기 제 1 높이 조절부(393)와 상기 제 2 높이 조절부(398)를 조절하면, 상기 상측 지지대 부재(310)가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이 상측으로 당겨져서 스크린 골프가 가능하도록 탱탱하게 펼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에 일정 횟수의 골프공 타격이 이루어지면, 작업자가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에서 주로 타격되는 부분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높이 조절부(393)와 상기 제 2 높이 조절부(398)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상기 제 1 높이 조절부(393)와 상기 제 2 높이 조절부(398)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에 적용되는 이동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400)는 걸이 부재(410)와, 이송 부재(42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부 재(420)는 이동 부재(440)와, 이동 레일(430)을 포함한다.
상기 걸이 부재(410)는 피설치부에 결합되는 상측 고정부(412)와, 상기 이동 레일(430)에 결합되는 하측 고정부(413)와, 상기 상측 고정부(412)와 상기 하측 고정부(413)를 연결하는 연결선(411)을 포함한다.
도면 번호 415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측 걸이 탄성 부재로서, 탄성을 가지면서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의 하부에 걸리는 것이다. 이러한 하측 걸이 탄성 부재(415)에 의해,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의 하부가 당겨지면서,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이 평평하게 펴질 수 있다.
상기 이동 레일(430)은 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이동 부재(440)가 그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동 부재(440)는 이동 부재 몸체(441)와, 롤러(446)와, 회전축(445)과, 스크린 걸이부(447)를 포함하여,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이 걸리는 것이다.
상기 이동 부재 몸체(441)는 상하 연장부(443)와, 연결부(444)와, 롤러 연결부(445)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 연장부(443)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 레일(430)이 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444)는 상기 한 쌍의 상하 연장부(443)를 그 하측에서 연결한다. 상기 롤러 연결부(445)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 상기 한 쌍의 상하 연장부(443)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 형상을 이루며, 각각에 상기 회전축(445)이 하나씩 연결된다.
상기 각 회전축(445) 상에는 상기 롤러(446)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롤러(446)는 경사진 형태로 상기 이동 레일(430)에 접촉되고, 그러한 상태로 상기 이동 레일(430)을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걸이부(447)는 상기 연결부(444)에 결합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448)와, 상기 연장부(448)에서 굽혀진 형태의 굽힘부(449)로 구성되어,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이 걸리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동 부재(440)는 상기 이동 레일(430) 상에 서로 이격되면서 복수 개 설치되고, 그 복수 개의 이동 부재(440)에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이 걸릴 수 있다. 그러면,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이동 레일(430)을 따라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이 걸린 상기 이동 부재(440)가 이동되어,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10)에서 주로 타격되는 부분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에 의하면,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의 이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를 구성하는 지지대 유닛들이 스크린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를 구성하는 제 1 지지대 유닛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를 구성하는 제 2 지지대 유닛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에 적용되는 이동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Claims (9)

  1.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을 지지하는 지지대 부재; 및
    상기 지지대 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에서 가장 많이 타격되는 부분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을 이송시키는 이송 부재;를 포함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부재의 길이는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부재는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감기고, 높이차를 가지는 복수 개의 고정 홀이 형성되는 피삽입 지지대와,
    상기 피삽입 지지대에 삽입되고, 상기 피삽입 지지대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지지대 부재의 길이를 결정하는 삽입 지지대와,
    상기 삽입 지지대의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피삽입 지지대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과,
    상기 피삽입 지지대와 상기 삽입 지지대가 서로 고정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고정 홀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홀에 삽입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부재는 상기 삽입 지지대와 상기 피삽입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대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부재는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타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이송되도록 외력을 인가하는 구동부와,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의 타격되는 횟수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구동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
  6.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을 피설치부에 설치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의 상측을 가로지르는 상측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 말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 회전축 지지부를 포함하는 상측 지 지대 부재;
    상기 피설치부에 상기 상측 회전축 지지부를 연결하는 걸이 부재; 및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의 하측을 가로지르는 하측 회전축과, 상기 하측 회전축의 양 말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당겨지도록 상기 걸이 부재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피설치부에 연결되는 하측 회전축 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측 지지대 부재;를 포함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 부재는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당겨지도록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
  8.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걸리는 이동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가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이동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걸린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되어,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에서 가장 많이 타격되는 부분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이동 부재 몸체와,
    상기 이동 부재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시에 상기 이동 레일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는 롤러와,
    상기 이동 부재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이 걸리는 스크린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
KR1020090055345A 2009-06-22 2009-06-22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 KR100927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345A KR100927366B1 (ko) 2009-06-22 2009-06-22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345A KR100927366B1 (ko) 2009-06-22 2009-06-22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366B1 true KR100927366B1 (ko) 2009-11-19

Family

ID=4160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345A KR100927366B1 (ko) 2009-06-22 2009-06-22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3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641B1 (ko) * 2010-01-22 2012-05-10 이재혁 스크린골프의 스크린 회전장치
KR101412880B1 (ko) 2013-04-15 2014-06-26 이재혁 스크린골프용 스크린장치
KR102176338B1 (ko) * 2020-06-09 2020-11-10 주식회사 엔터미디어 듀얼 스크린이 구비된 엔터테인먼트용 장치
KR102343750B1 (ko) * 2021-07-28 2021-12-28 이솔정보통신(주) 이동식 항균필름장치가 구비된 전자교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968A (ja) 1997-12-24 1999-07-06 Taisei Corp スキー練習装置
KR200221256Y1 (ko) 2000-10-16 2001-04-16 윤상호 골프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968A (ja) 1997-12-24 1999-07-06 Taisei Corp スキー練習装置
KR200221256Y1 (ko) 2000-10-16 2001-04-16 윤상호 골프연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641B1 (ko) * 2010-01-22 2012-05-10 이재혁 스크린골프의 스크린 회전장치
KR101412880B1 (ko) 2013-04-15 2014-06-26 이재혁 스크린골프용 스크린장치
KR102176338B1 (ko) * 2020-06-09 2020-11-10 주식회사 엔터미디어 듀얼 스크린이 구비된 엔터테인먼트용 장치
KR102343750B1 (ko) * 2021-07-28 2021-12-28 이솔정보통신(주) 이동식 항균필름장치가 구비된 전자교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366B1 (ko)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
JP6571769B2 (ja) テニス練習装置
KR101425052B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KR200480032Y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US20130172092A1 (en) Low ground clearance-type ball supply device
KR10173105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308571B1 (ko) 다목적 피칭머신
KR101579903B1 (ko) 원격제어형 피칭머신
KR101188612B1 (ko) 피칭 머신
KR101440071B1 (ko) 세탁물 건조대 승/하강 장치
KR101822402B1 (ko)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
KR101965644B1 (ko) 공 자동 발사 장치
KR200221256Y1 (ko) 골프연습장치
KR101210824B1 (ko) 인형극용 인형 제어장치
KR200431940Y1 (ko) 골프공 티업장치
KR20090012392U (ko) 배구공 투척장치
KR101252361B1 (ko) 골프연습기
KR20010026429A (ko) 스윙연습용 투구장치
KR20120005174U (ko) 경사면이 형성되는 골프 연습대 구조
KR100506155B1 (ko) 골프공 공급 장치
KR101753713B1 (ko) 라켓용 스트링 작업기
KR200165068Y1 (ko) 골프공공급장치
KR102351260B1 (ko) 암타입 피칭머신
KR101332296B1 (ko) 탁구 연습 장치
KR101335022B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504

Effective date: 2013022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