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571B1 - 다목적 피칭머신 - Google Patents

다목적 피칭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571B1
KR101308571B1 KR1020120008967A KR20120008967A KR101308571B1 KR 101308571 B1 KR101308571 B1 KR 101308571B1 KR 1020120008967 A KR1020120008967 A KR 1020120008967A KR 20120008967 A KR20120008967 A KR 20120008967A KR 101308571 B1 KR101308571 B1 KR 101308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unit
firing
pair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7800A (ko
Inventor
명태식
고준빈
이화랑
서홍철
박홍경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8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571B1/ko
Publication of KR20130087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6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rotating discs, wheels or pulleys gripping and propelling the balls or bodies by 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5Installations continuously collecting balls from the playing areas, e.g. by gravity, with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95Volleyb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다목적 피칭머신이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피칭머신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투입된 볼이 이동하도록 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볼 이동가이드유닛;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볼 이동가이드유닛으로 안내된 볼을 전방으로 발사하는 한 쌍의 볼 발사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주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타격된 볼을 상기 볼 이동가이드유닛 측으로 안내하는 볼 안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볼 안내유닛, 볼 이동가이드유닛 및 볼 발사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볼을 다시 사용자를 향해 발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혼자서도 쉽게 타격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피칭머신{A MULTIPURPOSE PITCHING MACHINE}
본 발명은, 다목적 피칭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볼을 다시 사용자를 향해 발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혼자서도 쉽게 타격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다목적 피칭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은 바쁜 일상 업무에 따른 스트레스 해소 및 건강 증진을 목표로 다양한 운동을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운동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운동장치의 일 예가 아래의 특허문헌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9859호와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2392호(이하, '종래기술들'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들은 각각 사용자가 야구 또는 배구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장치로서 자동으로 야구공 또는 배구공을 발사 가능한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한편, 점차적으로 1인 가구가 증가함과 더불어 개인주의적인 사회 풍토가 증가하는 현 추세에서, 1인이 쉽게 운동할 수 있는 운동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들은 단지 복수의 야구공 또는 배구공을 순차적으로 발사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을 뿐, 1인이 쉽게 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래기술들은 1인의 사용자가 운동을 실시한 후, 사용자가 직접 주변에 떨어진 공을 다시 수거해야 하는 불편한 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1인의 사용자가 쉽게 운동을 하는데 있어서 불편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편리성을 갖는 운동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9859호 (2002. 03. 14 등록)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2392호 (2009. 12. 03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볼을 다시 사용자를 향해 발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혼자서도 쉽게 타격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다목적 피칭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직경 사이즈를 갖는 볼을 발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의 발사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목적 피칭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투입된 볼이 이동하도록 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볼 이동가이드유닛;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볼 이동가이드유닛으로 안내된 볼을 전방으로 발사하는 한 쌍의 볼 발사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주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타격된 볼을 상기 볼 이동가이드유닛 측으로 안내하는 볼 안내유닛을 포함하는 다목적 피칭머신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볼 발사유닛은 각각,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되 회전축의 상단이 상기 장착 프레임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로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회전휠은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되, 하부 회전휠; 및 상기 하부 회전휠의 상측에 상기 하부 회전휠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설치되는 상부 회전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 발사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볼 발사유닛을 서로 이격되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발사유닛 위치조절부가 마련되되, 상기 발사유닛 위치조절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정방향 및 역방향 스크루가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도록 설치되되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이동가이드; 및 상기 정방향 및 역방향 스크루에 각각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이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볼 발사유닛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볼 이동가이드유닛을 지지하도록 상부 플레이트가 더 설치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장착 프레임에는, 상기 발사유닛 위치조절부에 의한 상기 한 쌍의 볼 발사유닛의 상호 간격 조절시 상기 한 쌍의 볼 발사유닛의 상부 영역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발사유닛 상부 가이더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사유닛 상부 가이더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복수의 이동 가이드레일; 및 상기 장착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레일이 측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슬롯이 마련되는 가이드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 이동가이드유닛은, 외부 곡선형 덕트; 상기 외부 곡선형 덕트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곡선형 덕트; 상기 외부 곡선형 덕트의 상단과 상기 내부 곡선형 덕트의 상단 사이의 이격된 영역을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볼 발사유닛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곡선형 덕트의 상단 개구로 투입된 볼이 상기 내부 곡선형 덕트의 내부를 따라 이동한 후 상기 한 쌍의 볼 발사유닛 사이로 안내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볼 이동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 안내유닛은, 설치 포스트; 및 외부에서 타격된 볼이 상기 내부 곡선형 덕트의 상단 개구로 안내되도록 상기 설치 포스트에 설치되는 그물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다목적 피칭머신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볼 안내유닛, 볼 이동가이드유닛 및 볼 발사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볼을 다시 사용자를 향해 발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혼자서도 쉽게 타격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둘째, 한 쌍의 볼 발사유닛의 사이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직경 사이즈를 갖는 볼을 발사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피칭머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볼 안내유닛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피칭머신에서 발사유닛 위치조절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의 (a),(b)는 발사하고자 하는 볼과 볼 발사유닛간의 위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피칭머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볼 안내유닛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피칭머신에서 발사유닛 위치조절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5의 (a),(b)는 발사하고자 하는 볼과 볼 발사유닛간의 위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피칭머신(이하, '피칭머신'이라 한다)은, 사용자가 혼자 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보조해주는 장치로서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축구, 족구, 야구, 테니스 등의 다양한 운동을 수행 가능하다. 설명에 앞서, 이하 설명하는 볼(ball)은 축구공, 족구공, 야구공 및 테니스공 중 어느 하나로 적용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피칭머신은, 베이스 프레임(100), 베이스 프레임(100)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투입된 볼이 이동하도록 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볼 이동가이드유닛(200), 베이스 프레임(100)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볼 이동가이드유닛(200)을 따라 이동하는 볼을 전방으로 발사하는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 및 베이스 프레임(100) 주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볼을 볼 이동가이드유닛(200) 측으로 안내하는 볼 안내유닛(400)을 포함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은 설치하고자 대상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프로파일로서, 무게 절감을 위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100)은 일 예로 'U'자형 고정핀에 의해 지면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이동가이드유닛(200)은, 베이스 프레임(100)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볼이 후술하는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 측으로 이동하도록 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볼 이동가이드유닛(200)은, 외부 곡선형 덕트(210), 외부 곡선형 덕트(210)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곡선형 덕트(220), 외부 곡선형 덕트(210)의 상단과 내부 곡선형 덕트(220)의 상단 사이의 이격된 영역을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230) 및 내부 곡선형 덕트(220) 내부를 따라 이동한 볼이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 사이로 안내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볼 이동레일(240)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곡선형 덕트(210)는 실질적으로 'L'자 형상의 절곡된 구조를 가지며, 상단 및 측방 개구를 갖는다. 이러한 외부 곡선형 덕트(210)는 후술하는 상부 플레이트(250)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플레이트(250)에는 외부 곡선형 덕트(210)의 상부 영역이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외부 곡선형 덕트(210)와 상부 플레이트(250)의 접촉 부위는 용접되어 외부 곡선형 덕트(210)는 상부 플레이트(250)에 고정 설치된다.
내부 곡선형 덕트(220)는 외부 곡선형 덕트(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가지면서 마찬가지로 'L'자 형상의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단 및 측방 개구를 갖는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볼은 내부 곡선형 덕트(220)의 상단 개구를 통해 내측으로 이동하여 내부 곡선형 덕트(220)의 내면을 따라 이동한 후 내부 곡선형 덕트(220)의 측방 개구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내부 곡선형 덕트(220)의 측방 개구를 통해 배출된 볼은 후술하는 볼 이동레일(240) 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내부 곡선형 덕트(220)의 상단 개구 및 측방 개구는 다양한 직경을 갖는 볼의 내부 이동을 허용하도록 충분한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플레이트(230)는, 외부 곡선형 덕트(210)의 상단과 내부 곡선형 덕트(220)의 상단 사이의 이격된 영역을 커버하는 것으로서, 볼이 보다 용이하게 내부 곡선형 덕트(220)의 상단 개구 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내부 곡선형 덕트(220)의 상단과 외부 곡선형 덕트(210)의 상단과의 사이에 일정 이상의 높이차가 발생하도록, 내부 곡선형 덕트(220)는 외부 곡선형 덕트(2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커버 플레이트(230)는 그 상단이 외부 곡선형 덕트(210)의 상단에 접합되고, 그 하단이 내부 곡선형 덕트(220)의 상단에 접합되며, 이때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커버 플레이트(230)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진 상태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볼은 경사진 커버 플레이트(230)를 따라 이동한 후 더 용이하게 내부 곡선형 덕트(220)의 상단 개구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볼 이동레일(240)은, 내부 곡선형 덕트(220)의 전방 측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00)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볼 이동레일(240)에는 볼의 하부 영역이 일부 삽입되어 볼의 전방 이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오목홈부(24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피칭머신의 전방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사용자가 손, 발 및 타격 도구 등을 이용하여 볼을 타격한 후, 이러한 볼이 내부 곡선형 덕트(220)의 상단 개구 측으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볼 안내유닛(400)이 설치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안내유닛(400)은, 베이스 프레임(100) 주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볼을 볼 이동가이드유닛(200) 측으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설치 포스트(410) 및 설치 포스트(410)에 설치되는 그물망(420)을 포함한다.
설치 포스트(410)는 실질적으로 사각틀 형태로 마련되며, 베이스 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U'자형 고정핀 등에 의해 지면 상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설치 포스트(410)의 전방(사용자가 볼을 타격하기 위해 준비하는 위치)에서 바라보았을 때, 그물망(420)은 설치 포스트(410)의 전방은 개방시키면서 양 측방 및 후방을 폐쇄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볼을 타격하면, 타격된 볼은 그물망(420)에 걸려서 하강 이동한 후 커버 플레이트(230)를 따라 내부 곡선형 덕트(220)의 상단 개구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이동가이드유닛(200)을 통해 안내된 볼을 사용자가 위치하는 전방으로 발사할 뿐만 아니라, 베이스 프레임(100)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이 설치된다. 부연하자면, 볼은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의 사이 공간으로 이동한 후 전방으로 발사되는데,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의 사이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직경 사이즈를 갖는 볼을 발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야구공, 축구공, 테니스공, 배구공 등으로 적용 가능하며,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장치를 통해 다양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은 각각, 장착 프레임(310), 장착 프레임(310)에 고정 설치되되 회전축의 상단이 장착 프레임(3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모터(320), 구동모터(320)의 회전축에 설치되되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로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휠(330)을 포함한다.
장착 프레임(310)은 구동모터(320)가 고정 설치되는 지지체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전술한 상부 플레이트(250)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장착 프레임(310)의 하부에는 구동모터(320)가 설치되며, 이러한 구동모터(320)의 회전축 단부는 장착 프레임(310)의 상부 판에 베어링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볼의 종류, 구체적으로 다양한 직경의 볼 사이즈에 관계없이 볼을 전방으로 발사하도록 복수의 회전휠(330)이 구비된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회전휠(330)은, 하부 회전휠(332) 및 하부 회전휠(332)의 상측에 하부 회전휠(332)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설치되는 상부 회전휠(331)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회전휠(330)은 2개 이상 설치 가능하다.
여기서, 하부 회전휠(332)은 야구공 및 테니스공과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공을 전방으로 발사하고자 할 때 사용되며, 반대로 상부 회전휠(331)은 축구공 및 족구공과 같인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공을 전방으로 발사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볼 이동가이드유닛(200)을 통해 안내된 볼은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에 구비된 복수의 회전휠(330) 사이를 통과하게 되며, 이때 회전휠(330)의 고속 회전 상태와, 회전휠(330)의 외주면과 볼의 표면 사이의 접촉 마찰력에 의해 볼은 전방으로 발사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휠(330)의 외주면과 볼의 표면과의 사이에 충분한 접촉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즉 회전휠(330)과 볼의 표면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회전휠(330)의 외주면에는 부직포 등과 같은 마찰부재가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공은 그 중앙 부분이 하부 회전휠(332)의 외주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발사되며,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공은 그 중앙 부분이 상부 회전휠(331)의 외주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발사된다.
이러한 볼 발사유닛(300)에는, 구동모터(320)의 회전속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즉 사용자가 볼의 발사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속도조절 스위치(미도시)가 더 구비한다. 이러한 속도조절 스위치는 일종의 인버터로서 장착 프레임(310) 또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설치 가능하다.
한편, 사용(운동)하고자 하는 볼의 직경에 따라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의 사이 거리, 즉 측 방향으로 이격된 회전휠(330)간의 거리를 조절해야 할 필요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축구공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 간의 거리는 증가해야 하며, 테니스공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 간의 거리는 감소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 간의 사이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구체적으로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을 서로 이격되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발사유닛 위치조절부(500)가 마련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사유닛 위치조절부(50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정방향 및 역방향 스크루(511,512)가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이동가이드(510), 및 정방향 및 역방향 스크루(511,512)에 각각 결합되는 이동 플레이트(520)를 포함한다.
이동가이드(510)는, 하우징 내부에 정방향 스크루(511)와 역방향 스크루(512)가 연결구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정방향 스크루(511) 또는 역방향 스크루(512)의 일측을 회전시키면 둘 다 동시에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정방향 및 역방향 스크루(511,512)는 나사산의 형성 방향에 따라 구분되며, 이러한 정방향 및 역방향 스크루를 이용하여 간극 조절을 하는 스테이지 블록에 대한 기술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구체적인 추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정방향 및 역방향 스크루(511,512)는 일반적인 스크루, 볼스크루(ball-screw)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동 플레이트(520)는, 정방향 스크루(511) 및 역방향 스크루(512)의 회전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정방향 스크루(511) 및 역방향 스크루(512)에 각각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 구체적으로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의 장착 프레임(310)에 구비된 장착판은 각각 이동 플레이트(520)에 스크루 체결 등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일 예로 사용자가 정방향 스크루(51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각의 이동 플레이트(520)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의 사이 거리는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정방향 스크루(51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각의 이동 플레이트(520)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의 사이 거리는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정방향 스크루(511) 또는 역방향 스크루(512)를 회전시키는 방법은 수동 및 자동 방식으로 구분되며, 수동 방식은 사용자가 통상의 렌치 공구를 이용하여 렌치를 정방향 스크루(511) 또는 역방향 스크루(512)의 회전축 중앙홈부에 삽입한 후 강제로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방식이며, 자동 방식은 별도의 모터를 이용하여 정방향 스크루(511) 또는 역방향 스크루(512)를 회전시키는 방식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상부 플레이트(250) 및 장착 프레임(310)에는, 발사유닛 위치조절부(500)에 의한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의 상호 간격 조절시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의 상부 영역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발사유닛 상부 가이더(60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발사유닛 위치조절부(500)는 볼 발사유닛(300)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의 좌우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발사유닛 상부 가이더(600)는 볼 발사유닛(300)이 안정적으로 좌우 이동하도록 볼 발사유닛(300)의 상부 영역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러한 발사유닛 상부 가이더(600)는, 상부 플레이트(250)에 구비되는 복수의 이동 가이드레일(610), 장착 프레임(310)에 구비되며 이동 가이드레일(610)이 측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슬롯(미도시)이 마련되는 가이드 브래킷(620)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수동 또는 모터에 의한 자동 동작에 의해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이 좌우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 브래킷(620) 또한 이동 가이드레일(610)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칭머신의 작동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볼의 종류 및 사이즈에 따라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의 사이 거리를 적절히 조절한다.
다음, 사용자는 피칭머신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피칭머신의 전방 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볼을 볼 안내유닛(400)의 그물망(420) 측으로 타격한다. 이러한 볼은 그물망(420)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내부 곡선형 덕트(220)의 상단 개구로 들어간 후 내부 곡선형 덕트(22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후, 볼은 볼 이동레일(240)을 따라 이동한 후, 한 쌍의 볼 발사유닛(300), 구체적으로 회전하는 상태인 복수의 회전휠(330)과의 마찰 접촉력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발사된 볼을 다시 그물망(420)측으로 타격하며, 이러한 트레이닝 과정은 반복적으로 실시 가능하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베이스 프레임 200: 볼 이동가이드유닛
220: 내부 곡선형 덕트 240: 볼 이동레일
300: 볼 발사유닛 330: 회전휠
400: 볼 안내유닛 410: 설치 포스트
420: 그물망 500: 발사유닛 위치조절부
511: 정방향 스크루 512: 역방향 스크루
510: 이동가이드 520: 이동 플레이트
600: 발사유닛 상부 가이더

Claims (9)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투입된 볼이 이동하도록 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볼 이동가이드유닛;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볼 이동가이드유닛으로 안내된 볼을 전방으로 발사하는 한 쌍의 볼 발사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주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타격된 볼을 상기 볼 이동가이드유닛 측으로 안내하는 볼 안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볼 발사유닛은 각각,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되 회전축의 상단이 상기 장착 프레임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로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휠을 포함하는 다목적 피칭머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전휠은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되,
    하부 회전휠; 및
    상기 하부 회전휠의 상측에 상기 하부 회전휠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설치되는 상부 회전휠을 포함하는 다목적 피칭머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발사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다목적 피칭머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볼 발사유닛을 서로 이격되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발사유닛 위치조절부가 마련되되,
    상기 발사유닛 위치조절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정방향 및 역방향 스크루가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도록 설치되되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이동가이드; 및
    상기 정방향 및 역방향 스크루에 각각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이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볼 발사유닛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다목적 피칭머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 이동가이드유닛을 지지하도록 상부 플레이트가 더 설치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장착 프레임에는, 상기 발사유닛 위치조절부에 의한 상기 한 쌍의 볼 발사유닛의 상호 간격 조절시 상기 한 쌍의 볼 발사유닛의 상부 영역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발사유닛 상부 가이더가 더 구비되는 다목적 피칭머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유닛 상부 가이더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복수의 이동 가이드레일; 및
    상기 장착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레일이 측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슬롯이 마련되는 가이드 브래킷을 포함하는 다목적 피칭머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이동가이드유닛은,
    외부 곡선형 덕트;
    상기 외부 곡선형 덕트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곡선형 덕트;
    상기 외부 곡선형 덕트의 상단과 상기 내부 곡선형 덕트의 상단 사이의 이격된 영역을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볼 발사유닛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곡선형 덕트의 상단 개구로 투입된 볼이 상기 내부 곡선형 덕트의 내부를 따라 이동한 후 상기 한 쌍의 볼 발사유닛 사이로 안내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볼 이동레일을 포함하는 다목적 피칭머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볼 안내유닛은,
    설치 포스트; 및
    외부에서 타격된 볼이 상기 내부 곡선형 덕트의 상단 개구로 안내되도록 상기 설치 포스트에 설치되는 그물망을 포함하는 다목적 피칭머신.
KR1020120008967A 2012-01-30 2012-01-30 다목적 피칭머신 KR101308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967A KR101308571B1 (ko) 2012-01-30 2012-01-30 다목적 피칭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967A KR101308571B1 (ko) 2012-01-30 2012-01-30 다목적 피칭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800A KR20130087800A (ko) 2013-08-07
KR101308571B1 true KR101308571B1 (ko) 2013-09-13

Family

ID=4921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967A KR101308571B1 (ko) 2012-01-30 2012-01-30 다목적 피칭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5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263A (ko) 2020-05-15 2021-11-23 권예찬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
KR20220022221A (ko) * 2020-08-18 2022-02-25 나정현 볼 자동 발사장치
KR102504832B1 (ko) 2022-03-28 2023-02-27 김혜련 볼 피칭 머신
KR20230137046A (ko) 2022-03-21 2023-10-04 김혜련 이동형 볼 토스 머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5477A (zh) * 2017-04-06 2017-07-18 重庆大学 一种足球发射器
CN107970589B (zh) * 2018-01-08 2023-10-10 东莞市斯波阿斯体育用品科技有限公司 自动篮球发球装备
CN112973088A (zh) * 2021-03-05 2021-06-18 郑州大学体育学院 一种用于球类运动训练的发球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429A (ko) * 1999-09-06 2001-04-06 김강희 스윙연습용 투구장치
KR20110023945A (ko) * 2009-09-01 2011-03-09 최복균 야구 타격 연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429A (ko) * 1999-09-06 2001-04-06 김강희 스윙연습용 투구장치
KR20110023945A (ko) * 2009-09-01 2011-03-09 최복균 야구 타격 연습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263A (ko) 2020-05-15 2021-11-23 권예찬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
KR20220022221A (ko) * 2020-08-18 2022-02-25 나정현 볼 자동 발사장치
KR102387170B1 (ko) * 2020-08-18 2022-04-14 나정현 볼 자동 발사장치
KR20230137046A (ko) 2022-03-21 2023-10-04 김혜련 이동형 볼 토스 머신
KR102504832B1 (ko) 2022-03-28 2023-02-27 김혜련 볼 피칭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800A (ko)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571B1 (ko) 다목적 피칭머신
US7553244B2 (en) Ball receiving and launching machine
US9737782B1 (en) Racket-free tennis training device
US5911214A (en) Soccer ball projecting apparatus
US9050520B2 (en) Ball pitching machine
CA2631284C (en) Shuttlecock launching apparatus
US20100292033A1 (en) Receive-and-return apparatus and methods
WO2020253859A1 (zh) 室内足球射门训练装置以及室内足球射门训练系统
CN108014480A (zh) 一种防卡球的自动发球装置
KR20120028645A (ko)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CN105126350A (zh) 一种足球机器人整体结构
US9302165B2 (en) Basketball net testing device
US7628147B2 (en) Apparatus for underhand tossing of a ball
US20190247733A1 (en) Sport ball projecting method, machine, based on the flywheel for efficient training of athletes
CN201959515U (zh) 智能全方位投篮机
KR101815131B1 (ko) 이동간 연습볼 자동 슈팅 머신
WO2016174484A2 (en) Ball serving apparatus
CN211215333U (zh) 一种网球发球装置
KR101965644B1 (ko) 공 자동 발사 장치
US6966853B1 (en) Hockey training device
KR20180126947A (ko) 볼 캐칭장치
KR100927366B1 (ko)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
TWM624321U (zh) 投籃遊戲機
KR100962964B1 (ko) 골프 퍼팅 연습기
TWM469100U (zh) 自動發球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