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046A - 이동형 볼 토스 머신 - Google Patents

이동형 볼 토스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046A
KR20230137046A KR1020220034695A KR20220034695A KR20230137046A KR 20230137046 A KR20230137046 A KR 20230137046A KR 1020220034695 A KR1020220034695 A KR 1020220034695A KR 20220034695 A KR20220034695 A KR 20220034695A KR 20230137046 A KR20230137046 A KR 20230137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toss
moving
main whee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8331B1 (ko
Inventor
김혜련
Original Assignee
김혜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련 filed Critical 김혜련
Priority to KR1020220034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331B1/ko
Publication of KR20230137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6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rotating discs, wheels or pulleys gripping and propelling the balls or bodies by 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2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8Baseball, rounders or similar g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볼 토스 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구, 테니스, 탁구 등의 구기종목을 혼자서 연습할 수 있게 자동으로 볼을 공급해주는 이동형 볼 토스 머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볼 토스 머신은 전면에 토스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된 볼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수용부와, 수용부로부터 공급된 볼이 이동 가능한 이동로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이동로를 따라 이동된 볼을 토스하는 토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형 볼 토스 머신{MOVABLE MACHINE FOR BALL TOSS}
본 발명은 이동형 볼 토스 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구, 테니스, 탁구 등의 구기종목을 혼자서 연습할 수 있게 자동으로 볼을 공급해주는 이동형 볼 토스 머신에 관한 것이다.
야구는 두 팀이 공격과 수비를 번갈아 가며 얻은 점수로 승패를 겨루는 구기 종목으로서, 공격팀의 타자는 상대 투수의 볼을 배트로 페어지역으로 타격하고 1, 2, 3루를 순차적으로 이동해 홈으로 돌아오면 1점을 얻고, 수비팀은 타자의 볼을 캐치함으로써 투수의 이동을 저지한다.
반복적인 타격 연습 또는 캐치 연습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연습 장치가 존재한다. 구체적으로는 볼을 토스해 주는 토스 머신(Toss Machine), 실제 투수가 타자를 향해 공을 던지는 것처럼 볼을 피칭해 주는 피칭 머신(Pitching Machine), 지지대에 고정된 볼을 타격하는 히트 어웨이 머신(Hit-Away Machine)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토스 머신은 볼이 정렬되어 이동되는 이동로를 갖는 관과, 이동로를 따라 이동된 볼을 외부로 토스하는 한 쌍의 휠과, 휠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토스 머신은 볼이 토스될 때 높은 압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이 모터의 회전축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회전축 파손으로 인해 잦은 고장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여 모터의 회전축 파손이 방지되는 토스 머신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됐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0857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여 모터의 회전축 파손이 방지되는 토스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전면에 토스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된 볼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수용부와, 수용부로부터 공급된 볼이 이동 가능한 이동로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이동로를 따라 이동된 볼을 토스하는 토스부를 포함하고, 토스부는 하우징부의 빈 공간에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이동로의 배출구 측에 설치되는 주휠과, 하우징부의 빈 공간에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주휠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이동로의 배출구 측에 설치되는 보조휠과, 하우징부에 설치되며 주휠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와, 제1모터의 회전축과 주휠의 샤프트를 연결하는 죠 카플링을 포함하는 이동형 볼 토스 머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죠 카플링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죠(jaw)를 구비하고, 제1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1허브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죠를 구비하고, 주휠 샤프트에 연결되는 제2허브와, 제1허브와 제2허브의 죠 사이에 삽입되어 진동 및 충격흡수를 위한 탄성 재질의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부는 기본적인 뼈대를 이루며, 상부에 핸들이 형성되고, 하부에 이동휠 및 지지대가 결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부가 개구된 빈 공간을 형성하며, 전면에 토스구가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지지대는 프레임에 결합되며 내주연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삽입 정도가 조절되는 기둥부재와, 기둥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며 지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용부는 내부에 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 개구와 하부 개구가 형성되는 바스켓과, 하부 개구에 고정 설치되며, 하나의 볼이 이동 가능한 이동공이 가이드부와 연결되게 형성되는 고정 디스크와, 고정 디스크의 상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의 위치에 복수의 안착구가 형성되는 회전 디스크와, 고정 디스크에 결합되며, 회전 디스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와, 이동공과 대응되게 위치하며 고정 디스크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상부에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는 블록을 포함하고, 블록은 안착구 내 비안착된 볼의 이동공으로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은 안착구의 이동 경로를 따라 원호형으로 굽어진 이동홈이 상호 수직한 측면과 하면에 걸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휠의 샤프트와 모터의 회전축이 죠 카플링에 의해 연결되어 볼이 외부로 토스될 때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이 죠 카플링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회전축의 파손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볼 토스 머신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볼 토스 머신을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볼 토스 머신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볼 토스 머신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볼 토스 머신의 일부를 제거하고 내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볼 토스 머신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볼 토스 머신의 수용부의 일부를 제거하고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볼 토스 머신의 토스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죠 카플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저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볼 토스 머신(1)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볼 토스 머신(1)을 도시하는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볼 토스 머신(1)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볼 토스 머신(1)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이동형 볼 토스 머신(1)은 볼을 외부로 토스하여 구기 종목의 연습을 돕는 장치로서, 하우징부(10), 수용부(20), 가이드부(30) 및 토스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0)는 이동형 볼 토스 머신(1)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가이드부(30) 및 토스부(40)를 수용하는 빈 공간(121)을 가지며, 토스부(40)와 대응되는 위치에 토스구(12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하우징부(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하우징부(10)는 이동형 볼 토스 머신(1)의 기본적인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11) 및 프레임(11)에 결합되어 상부가 개구된 빈 공간(121)을 형성하고, 전면에 토스구(1221)가 형성되는 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은 상부에 손으로 잡고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핸들(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핸들(111)이 장착된 부위와 대응하는 하부에 이동형 볼 토스 머신(1)의 이동을 위한 한 쌍의 이동휠(13)이 결합되고, 하부에 이동휠(13)의 결합 부위와 대응하는 일측에 이동형 볼 토스 머신(1)의 지면 안착을 위한 한 쌍의 지지대(14)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대(14)는 프레임(11)에 결합되며 하부가 개구된 내주연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재(141), 상부가 베이스부재(141)로 삽입되어 베이스부재(141)에 나사 결합되는 기둥부재(142) 및 기둥부재(142)의 하부에 결합되며 지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둥부재(142)는 회전에 따라 삽입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이동형 볼 토스 머신(1)은 기둥부재(142)의 삽입 정도 조절을 통해 지면에 대한 수평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케이스(12)는 복수의 판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빈 공간(121)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2)의 전면판(122)은 전방으로 볼록하게 곡률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판(123) 및 후면판(124)은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바닥판(125)은 후면판(124)을 향해 절곡된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면판(122)은 토스구(1221)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판(123)은 공기 순환구(1231)가 대각선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0)는 내부에 수용된 볼(B)을 빈 공간(121)에 위치한 가이드부(30)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하단부가 빈 공간(121)으로 삽입되어 하우징부(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수용부(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수용부(20)는 내부에 볼(B)을 수용하는 바스켓(21), 바스켓(21)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디스크(22), 고정 디스크(22)의 상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디스크(23), 회전 디스크(23)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24) 및 바스켓(21)의 내부에 마련되는 블록(25)을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21)은 내부에 다수의 볼(B)이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211)이 형성되며, 수용공간(211)과 연결되게 상부 개구(212)와 하부 개구(2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개구(212)는 하부 개구(213)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하부 개구(213)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디스크(22)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개구(213)에 고정 설치되며, 이동공(22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공(221)은 하나의 볼(B)이 이동 가능한 크기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30)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 디스크(23)는 고정 디스크(22)의 상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안착구(231)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구(231)는 하나의 볼(B)이 안착 가능한 크기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공(221)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디스크(23)는 상부에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경사부(232)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모터(24)는 고정 디스크(22)의 하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그 회전축이 회전 디스크(23)와 연결되어 회전 디스크(23)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블록(25)은 이동공(221)과 대응되며 고정 디스크(22)의 상측에 위치하며 회전 디스크(23)를 일부 덮도록 수용공간(211)의 모서리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블록(25)은 상부에 하나 이상의 경사면(25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에 안착구(231)의 이동 경로를 따라 원호형으로 굽어진 이동홈(25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면(251)은 수용공간(211)의 모서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홈(252)은 측면과 하면에 걸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동형 볼 토스 머신(1)은 블록(25)에 의해 안착구(231) 내 비 안착된 볼이 이동공(221)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됨과 동시에 회전 디스크(23)의 회전에 따라 일정 주기로 가이드부(30)에 볼(B)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30)는 빈 공간(121)에 설치될 수 있으며, 관 형태로 수용부(20)로부터 공급된 볼(B)이 이동 가능한 이동로(31)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부(30)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곡률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로(31)의 인입구 측은 수용부(20)와 결합되어 이동공(221)과 연결될 수 있다.
토스부(40)는 이동로(31)를 따라 이동한 볼(B)을 외부로 토스하는 구성요소로서, 빈 공간(121)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토스부(4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토스부(40)는 빈 공간(121)에 이동로(31)의 배출구 측에 설치되는 주휠(41), 빈 공간(121)에 주휠(41)과 대응되게 주휠(41)의 상측에 설치되는 보조휠(42), 주휠(41)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43) 및 제1모터(43)와 주휠(41)을 연결하는 죠 카플링(44)을 포함할 수 있다.
주휠(41)은 샤프트(41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빈 공간(12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동로(31)의 배출구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주휠(41)은 보조휠(42)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조휠(42)은 샤프트(미도시)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빈 공간(12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동로(31)의 배출구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주휠(41)과 보조휠(42)은 각각 외주연을 따라 볼(B)보다 큰 직경을 갖는 반원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모터(43)는 프레임(11) 또는 케이스(12)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그 회전축(431)이 주휠(41)과 연결되어 주휠(4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죠 카플링(44)은 제1모터(43)의 회전축(431)과 연결되는 제1허브(441), 주휠(41)의 샤프트(411)와 연결되는 제2허브(442) 및 제1허브(441)와 제2허브(442) 사이에 마련되어 탄성 변형을 통해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 인서트(4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허브(441)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죠(jaw, 44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 제1모터(43)의 회전축(431)이 삽입 결합되는 중공(441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허브(442)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죠(jaw, 44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 주휠(41)의 샤프트(411)가 삽입 결합되는 중공(44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443)는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제1허브(441)와 제2허브(442)의 죠(4411, 4421) 사이에 삽입되는 돌기(44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허용하는 변형공(443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443)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동형 볼 토스 머신(1)은 주휠(41)의 샤프트(411)와 모터(43)의 회전축(431)이 죠 카플링(44)에 의해 연결되어 볼(B)이 외부로 토스될 때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이 죠 카플링(44)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회전축의 파손이 방지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이동형 볼 토스 머신
10 : 하우징부
20 : 수용부
30 : 가이드부
40 : 토스부

Claims (5)

  1. 전면에 토스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된 볼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공급된 볼이 이동 가능한 이동로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된 볼을 토스하는 토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스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빈 공간에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이동로의 배출구 측에 설치되는 주휠과,
    상기 하우징부의 빈 공간에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주휠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로의 배출구 측에 설치되는 보조휠과,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며 상기 주휠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주휠의 샤프트를 연결하는 죠 카플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볼 토스 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죠 카플링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죠(jaw)를 구비하고,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1허브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죠를 구비하고, 상기 주휠 샤프트에 연결되는 제2허브와,
    상기 제1허브와 상기 제2허브의 죠 사이에 삽입되어 진동 및 충격흡수를 위한 탄성 재질의 인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볼 토스 머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기본적인 뼈대를 이루며, 상부에 핸들이 형성되고, 하부에 이동휠 및 지지대가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부가 개구된 빈 공간을 형성하며, 전면에 토스구가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내주연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삽입 정도가 조절되는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며 지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볼 토스 머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내부에 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 개구와 하부 개구가 형성되는 바스켓과,
    상기 하부 개구에 고정 설치되며, 하나의 볼이 이동 가능한 이동공이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게 형성되는 고정 디스크와,
    상기 고정 디스크의 상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의 위치에 복수의 안착구가 형성되는 회전 디스크와,
    상기 고정 디스크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디스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와,
    상기 이동공과 대응되게 위치하며 상기 고정 디스크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상부에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는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안착구 내 비안착된 볼의 상기 이동공으로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볼 토스 머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기 안착구의 이동 경로를 따라 원호형으로 굽어진 이동홈이 상호 수직한 측면과 하면에 걸쳐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볼 토스 머신.
KR1020220034695A 2022-03-21 2022-03-21 이동형 볼 토스 머신 KR102638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695A KR102638331B1 (ko) 2022-03-21 2022-03-21 이동형 볼 토스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695A KR102638331B1 (ko) 2022-03-21 2022-03-21 이동형 볼 토스 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046A true KR20230137046A (ko) 2023-10-04
KR102638331B1 KR102638331B1 (ko) 2024-02-19

Family

ID=8829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695A KR102638331B1 (ko) 2022-03-21 2022-03-21 이동형 볼 토스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3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8059A (ja) * 1992-01-30 1993-08-20 Kinki Kuresuko:Kk 投球マシン
KR200208446Y1 (ko) * 2000-06-19 2001-01-15 신영철 온열치료용 의자의 축커플링 장치
KR20020018185A (ko) * 1999-02-04 2002-03-07 친 뮤직 엘엘씨 컴퓨터 제어식 정밀, 다축 물체발사기
KR101308571B1 (ko) 2012-01-30 2013-09-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피칭머신
CN209137916U (zh) * 2018-10-24 2019-07-23 湖北工业大学 一种网球自动发球机器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8059A (ja) * 1992-01-30 1993-08-20 Kinki Kuresuko:Kk 投球マシン
KR20020018185A (ko) * 1999-02-04 2002-03-07 친 뮤직 엘엘씨 컴퓨터 제어식 정밀, 다축 물체발사기
KR200208446Y1 (ko) * 2000-06-19 2001-01-15 신영철 온열치료용 의자의 축커플링 장치
KR101308571B1 (ko) 2012-01-30 2013-09-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피칭머신
CN209137916U (zh) * 2018-10-24 2019-07-23 湖北工业大学 一种网球自动发球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331B1 (ko) 202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0013B1 (en) Pitching machine
US3926432A (en) Table soccer or football game structure
US20140235374A1 (en) Soccer rebounder
CN108159672B (zh) 一种自动网球发球装备
US4823763A (en) Ball projecting apparatus
US4025073A (en) Table soccer or football game structure
US5333864A (en) Table soccer playing figure
US5566948A (en) Bouncing ball game
KR102638331B1 (ko) 이동형 볼 토스 머신
EP0115490B1 (en) Ballsport training aid
CN102120076B (zh) 乒乓球拾球装置
US2926914A (en) Game apparatus
KR102392807B1 (ko) 각도 가변형 볼 자동 공급 장치
US4195614A (en) Rotatable coacting members for projecting a ball
KR101822403B1 (ko) 야구공의 투척각도 조절이 가능한 피칭머신
KR102504832B1 (ko) 볼 피칭 머신
CN108970064B (zh) 一种无序活动立式沙袋
WO2004035143A2 (en) Foul ball basket for baseball backstops
US3854724A (en) Game board and associated apparatus
US3920246A (en) Ball Target Game
US20010033054A1 (en) Deep well air hockey game
CN219517752U (zh) 一种单机头棒球发球机
WO2004022167A2 (en) Golf tee
KR102585157B1 (ko) 타격용 볼 공급장치
KR101130348B1 (ko) 피칭 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