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221A - 볼 자동 발사장치 - Google Patents

볼 자동 발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221A
KR20220022221A KR1020200103129A KR20200103129A KR20220022221A KR 20220022221 A KR20220022221 A KR 20220022221A KR 1020200103129 A KR1020200103129 A KR 1020200103129A KR 20200103129 A KR20200103129 A KR 20200103129A KR 20220022221 A KR20220022221 A KR 20220022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rollers
screw
right rollers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7170B1 (ko
Inventor
나정현
Original Assignee
나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정현 filed Critical 나정현
Priority to KR1020200103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170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6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rotating discs, wheels or pulleys gripping and propelling the balls or bodies by 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구, 족구, 풋살 등과 같은 운동 종목에 사용되는 볼을 자동 발사하여 훈련하는 볼 자동 발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설치 프레임(10) 상부 중앙에 볼(5)을 굴려 공급하는 볼 안내 레일(20) 전방의 볼 발사부 양 측방에서 구동 모터(31)(31')에 의해 서로 대향 회전하는 좌우 롤러(32)(32')에 의해 볼(5)을 전방으로 발사하되, 상기 볼 발사수단에 의해 발사되는 볼의 사이즈에 따라 조절 스크류(45)를 회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절 스크류 양측방의 왼나사와 오른 나사에 결합되어 있는 좌우 롤러(32)(32')를 좌우로 서로 대향 이동 조절되도록 하므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조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간단히 설치 사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 볼 사이즈에 상관없이 좌우 롤러 사이 간격을 간단히 조절하면서 간편하게 사용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볼 자동 발사장치{AUTOMATIC BALL LAUNCHER}
본 발명은 축구, 족구, 풋살 등과 같은 운동 종목에 사용되는 볼을 자동 발사하여 훈련하는 볼 자동 발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조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볼 사이즈에 상관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볼을 원하는 방향과 속도로 정확히 발사하도록 하는 볼 자동 발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구, 족구, 풋살 등과 같이 볼을 이용하는 운동 종목의 운동 선수들의 경우에 공격과 수비에 대한 개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훈련 도우미가 볼을 손으로 던지거나 발로 차서 제공해 주는 것에 의해 훈련을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훈련 도우미가 반드시 필요하고, 상기 훈련 도우미가 볼을 손으로 던지거나 발로 차 주는 것을 반복적으로 제공함은 물론 볼을 원하는 방향과 속도로 공급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훈련 도우미가 볼을 원하는 방향과 속도로 정확히 제공하지 못함은 물론 체력이 점점 소모되면서 반복적인 훈련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볼을 자동으로 발사하여 운동 선수들의 개인 훈련을 더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볼 발사 장치가 다수 형태로 개시된 바 있다.
특히, 한쌍의 회전롤러에 의해 볼을 자동 발사하는 타입의 종래 볼 자동 발사 장치는 등록특허 제10-1677688호에서와 같이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설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구동휠에 결합된 한쌍의 회전롤러 사이로 진입하는 공을 전방을 향해 발사하는 발사부와, 상기 바디부의 높이로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를 하측에서 받쳐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바디부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발사부로 공이 투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경사에 의해 볼을 굴려 한쌍의 회전 롤러 사이로 진입시킨 볼을 한쌍의 회전롤러가 서로 대향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발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볼의 사이즈에 따라 한쌍의 회전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며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볼 발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볼을 굴려 공급하는 가이드부와 볼을 발사대로 공급하는 바디부를 각각 별도 설치하고, 한쌍의 회전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각각 별도 설치하며, 상기 볼의 사이즈에 따라 한쌍의 회전롤러 사이 간격을 조절함과 함께 가이드부와 바디부의 높낮이 위치를 별도 조절하도록 설치하는 등 전체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설치 사용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볼의 사이즈 또는 볼의 공기압 특성 등에 따라 한쌍의 회전롤러 간격을 조절하되, 회전휠을 잠금 해제한 후 받침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위치 이동시키고 다시 잠금하는 작동을 좌우에서 각각 조절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절 작업이 번거롭고, 특히 한쌍의 회전롤러를 좌우 위치로 정확히 대칭 위치키도록 조절하면서 설치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볼의 사이즈 또는 볼의 공기압 특성 등에 따라 볼을 한쌍의 회전롤러의 정중앙 높낮이로 위치시키기 위해 가이드부와 바디부를 받침부에서 별도로 높낮이 조절하므로 높낮이 조절이 번거롭고, 특히 한쌍의 회전롤러의 정중앙 높낮이 위치로 정확히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상기와 같이 볼의 사이즈 또는 볼의 공기압 특성 등에 따라 볼을 한쌍의 회전롤러 사이에 정확히 공급함과 한쌍의 회전롤러의 정중앙 높낮이 위치로 정확히 공급함이 곤란하면서 볼 발시 볼의 슬립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볼을 원하는 방향과 속도로 정확히 발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677688호(2016년11월14일) 공개특허 재10-2018-0031135호(2018년03월28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조 비용을 절감하되, 볼 사이즈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볼 사이즈에 따라 좌우 롤러를 좌우로 서로 대향 이동시키되 좌우 롤러 사이 간격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조절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볼 사이즈에 상관없이 볼을 좌우 롤러 사이로 정확히 안내 공급함은 물론 볼의 사이즈에 따라 승하강 조절되면서 좌우 롤러의 정 중앙 높낮이 위치로 정확히 공급하여 볼을 원하는 방향과 속도로 정확히 발사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설치 프레임과; 상기 설치 프레임 상부 중앙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어 볼을 굴려 공급하는 볼 공급부와 공급된 볼을 전방으로 발사하기 위한 볼 발사부를 전후로 형성하는 볼 안내 레일과; 상기 볼 발사부의 양 측방에서 구동 모터에 의해 서로 대향 회전하는 좌우 롤러에 의해 볼을 전방으로 발사하는 볼 발사 수단 및; 상기 볼 발사수단에 의해 발사되는 볼의 사이즈에 따라 좌우 롤러를 좌우로 서로 대향 이동시키면서 간격 조절하는 롤러 간격 조절수단으로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롤러 간격 조절수단은 설치 프레임의 좌우 방향으로 축 설치되는 조절 스크류의 좌우에 왼 나사와 오른 나사를 대향 형성하고, 상기 왼 나사와 오른 나사에 좌우 이동 너트를 나사 결합하되, 상기 좌우 이동너트는 좌우 롤러가 각각 설치되는 좌우 이동 브라켓을 고정 설치하여 조절 스크류의 정,역 회전 조절에 의해 좌우 롤러를 좌우로 서로 대향 이동 조절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롤러는 중앙을 오목한 오목부로 형성하여 볼이 롤러의 정 중앙 높낮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볼 안내 레일은 전방이 개구되어 있는 U자형 형태로 형성하여 내부의 이격 삽입부에 볼이 삽입 안착되어 구름 작동하도록 설치하되, 상기 이격 삽입부는 볼 공급부에서 볼 발사부로 갈수록 점차 이격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하여 볼 공급부 보다 볼 발사부에서 볼의 위치가 승강 위치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볼 안내 레일은 내부에 탄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심재와 상기 심재 외측에 쿠션 커버체로 형성하되, 상기 심재의 좌우 선단을 좌우 이동 브라켓에 연결 설치하여 좌우 롤러의 이격 간격에 따라 볼 안내 레일 전방의 이격 삽입부 간격이 자동 조절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설치 프레임 상부 중앙에 볼을 굴려 공급하는 볼 안내 레일 전방의 볼 발사부 양 측방에서 구동 모터에 의해 서로 대향 회전하는 좌우 롤러에 의해 볼을 전방으로 발사하되, 상기 볼 발사수단에 의해 발사되는 볼의 사이즈에 따라 조절 스크류를 회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절 스크류 양측방의 왼나사와 오른 나사에 결합되어 있는 좌우 롤러가 좌우로 서로 대향 이동 조절되도록 하므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조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간단히 설치 사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 볼 사이즈에 상관없이 좌우 롤러 사이 간격을 간단히 조절하면서 간편하게 사용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볼 안내 레일을 U자형 와이어 구조로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하되 상기 볼 안내 레일의 좌우 선단이 좌우 롤러 간격 조절과 비례하여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조절하면서 볼 사이즈에 상관없이 볼을 좌우 롤러 사이로 정확히 안내 공급함은 물론 볼의 사이즈에 따라 승하강 조절되면서 좌우 롤러의 정중앙 높낮이 위치로 정확히 공급하게 되므로 볼을 원하는 방향과 속도로 정확히 발사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발명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측면 구성도.
도 4는 도 1의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발쉐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볼 안내 레일을 보여주는 요부 측면도로서,
도 7은 볼이 볼 발사부에서 승강 위치되게 안내되는 도면이고,
도 8은 볼 사이즈에 따라 볼 발사부에서 높낮이가 승하강 조절되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볼 안내 레일을 보여주는 요부 평면도로서,
도 9는 볼 안내 레일의 폭 조절 전 상태이고,
도 10은 볼 안내 레일의 폭을 확장 조절한 상태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볼 자동 발사장치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한 구조로 볼 사이즈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조절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볼을 원하는 방향과 속도로 정확히 발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설치 프레임(10), 볼 안내 레일(20), 볼 발사 수단(30) 및 롤러 간격 조절수단(40)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 프레임(10)은 사각 틀 형태로 형성하되, 하부에 브레이크 기능이 있는 이동 바퀴(12)를 설치하여 이동 후 정지 상태로 설치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볼 안내 레일(20)은 설치 프레임(10) 상부 중앙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어 볼(5)을 굴려 공급하는 볼 공급부(25)와 공급된 볼(5)을 전방으로 발사하기 위한 볼 발사부(26)를 전후로 연결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볼 안내 레일(20)은 와이어 구조로 전방이 개구되어 있는 U자형 형태로 형성하여 내부의 이격 삽입부(24)에 볼이 삽입 안착되어 구름 작동하도록 설치하되, 상기 이격 삽입부(24)는 볼 공급부(25)에서 볼 발사부(26)로 갈수록 점차 이격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하여 볼 공급부 보다 볼 발사부에서 볼의 위치가 승강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볼 공급부 보다 볼 발사부에서 볼의 위치가 승강 위치하도록 안내되기 때문에 후술되는 볼 발사 수단에 의한 볼 발사시 볼의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더욱 원활히 발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볼 발사 수단(30)은 볼 발사부의 양 측방에서 구동 모터(31)(31')에 의해 서로 대향 회전하는 좌우 롤러(32)(32')에 의해 볼(5)을 전방으로 발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좌우 롤러(32)(32')는 우레탄 소재로 형성하여 공과 우레탄의 반발력에 의해 발사하되 상기 구동모터(31)(31')의 회전력에 의해 발사 속도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좌우 롤러(32)(32')는 중앙을 오목한 오목부(32a)(32a')로 형성하여 볼이 롤러의 정 중앙 높낮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롤러 간격 조절수단(40)은 볼 발사수단에 의해 발사되는 볼의 사이즈에 따라 좌우 롤러(32)(32')를 좌우로 동시에 서로 대향 이동시키면서 간편하게 간격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롤러 간격 조절수단(40)은 설치 프레임의 좌우 방향으로 축 설치되는 조절 스크류(45)의 좌우에 왼 나사(45a)와 오른 나사(45b)를 대향 형성하고, 상기 왼 나사(45a)와 오른 나사(45b)에 좌우 이동 너트(46)(46')를 나사 결합하되, 상기 좌우 이동너트(46)(46')는 좌우 롤러(32)(32')가 각각 설치되는 좌우 이동 브라켓(47)(47')을 고정 설치하여 조절 스크류의 정,역 회전 조절에 의해 좌우 롤러(32)(32')를 좌우로 동시에 서로 대향 이동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 안내 레일(20)은 내부에 탄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심재(21)와 상기 심재 외측의 쿠션 커버체(22)로 형성하여 상기 심재(21)의 좌우 선단(21a)(21b)을 좌우 이동 브라켓(47)(47')에 연결 설치하므로 좌우 롤러의 이격 간격에 따라 볼 안내 레일 전방의 이격 삽입부(24) 간격이 자동 조절되도록 구성한다.
즉, 볼의 사이즈에 따라 좌우 롤러의 사이 간격을 좌우로 서로 대향 이동시키면서 간격 조절함과 동시에 볼 안내 레일(20) 전방의 이격 삽입부(24)가 비례적으로 이격 조절되면서 볼 사이즈에 상관없이 볼을 좌우 롤러 사이로 정확히 안내 공급함은 물론 좌우 롤러의 정중앙 높낮이 위치로 정확히 공급하여 발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볼의 사이즈에 따라 볼이 승하강 조절되며면서 좌우 롤러의 정중앙 높낮이 위치로 정확히 공급되는 것은 볼 사이즈가 커져 볼 발사부(25)의 이격 삽입부(24)가 벌어지면 볼의 높낮이 위치가 하강 위치하게 되고, 볼 사이즈가 작아져 볼 발사부(25)의 이격 삽입부(24)가 오므라지면 볼의 높낮이 위치가 승강 위치하게 되면서 볼 사이즈에 상관없이 볼을 좌우 롤러(32)(32')의 정중앙 높낮이 위치로 정확히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볼의 사이즈 뿐만 아니라 볼의 공기압이나 계절에 따라 변하는 볼의 특성에 상관없이 볼(5)을 좌우 롤러(32)(32') 사이로 정확히 안내 공급함은 물론 좌우 롤러(32)(32')의 정중앙 높낮이 위치로 정확히 공급할 수 있어 볼을 원하는 방향과 속도로 발사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미 설명 부호로서, 15는 안내 레일, 18은 콘트롤 박스, 45c는 조절 스크류 일측에 결합되는 핸들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볼을 발사하고자 하는 위치로 설치 프레임(10)을 이동 바퀴(12)에 의해 이동시킨 후 이동 바퀴의 브레이크 기능에 의해 정지 상태로 고정 설치한다.
이와 같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축구, 족구, 풋살 등과 같이 운동 종목에 해당되는 볼(5)을 설치 프레임(10) 상부 중앙에서 설치되어 있는 볼 안내 레일(20) 후방의 볼 공급부(25)로 투입 공급한다.
이때, 상기 볼 안내 레일(20)은 전방이 개구되어 있는 U자형 형태로 형성하여 내부의 이격 삽입부(24)에 볼이 삽입 안착되는데, 상기 볼 공급부(25)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볼 공급부(25)로 투입된 볼(5)이 전방의 볼 발사부(26)로 구름 작동하면서 공급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볼 안내 레일(20)의 이격 삽입부(24)는 볼 공급부(25)에서 볼 발사부(26)로 갈수록 점차 이격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하여 볼(5)이 좌우 롤러(32)(32') 사이에 중앙으로 이동 안내됨과 동시에 볼 공급부 보다 볼 발사부에서 볼의 위치가 승강 위치하도록 공급되는 것이다(도 7 참조).
또한, 상기 상기 좌우 롤러(32)(32')는 중앙을 오목한 오목부(32a)(32a')로 형성하고 있어 볼(5)이 좌우 롤러의 정 중앙 높낮이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공급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좌우 롤러(32)(32')가 구동 모터(31)(31')에 의해 서로 대향 회전하면서 볼(5)을 원하는 방향과 속도로 발사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볼이 볼 발사부(26)에서 승강 위치하면서 볼의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고, 좌우 롤러의 정 중앙 높낮이 위치에 정확히 위치하게 되면서 볼을 원하는 방향과 속도로 정확히 발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볼의 종류 또는 볼의 공기압 차이 등에 따라 볼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 종래와 같이 좌우 롤러의 설치 위치를 각각 재 셋팅하는 과정없어 롤러 간격 조절수단(50)의 핸들 조작에 의해 좌우 롤러(32)(32') 사이 간격을 동시에 간단히 조절하는 것이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롤러 간격 수단(40)의 핸들(45a)에 의해 조절 스크류(45)를 정,역 회전 조절하면, 상기 조절 스크류의 양 측방에서 형성된 왼 나사(35a)와 오른 나사(35b)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좌우 이동 너트(36)(36')가 좌우 이동 브라켓(37)(37')을 좌우로 서로 대향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좌우 이동 브라켓(37)(37')에 설치된 좌우 롤러(32)(32')가 좌우로 서로 대향 이동하면서 좌우 롤러(32)(32') 사이의 간격을 발사하고자 하는 볼 사이즈에 맞추어 간단하고 정확하게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좌우 이동 브라켓(37)(37')에는 U자형 형태로 쿠션 커버체(22)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스테인레스 심재(21)의 좌우 선단(21a)(21b)이 연결 설치되어 있어 좌우 롤러의 이격 간격에 따라 좌우로 벌어지거나 오므라지게 조절되면서 볼 발사부(26)에 형성되는 이격 삽입부(25)의 이격 간격이 자동 조절되는 것이다(도 9 및 도 10 참조).
이때, 상기 볼(5)의 사이즈가 큰 경우에 좌우 롤러(32)(32')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도록 이격 조절됨과 동시에 상기 볼 발사부(25)의 이격 삽입부(24)가 벌어지게 되므로 볼을 좌우 롤러 사이로 정확히 공급함과 함께 볼의 높낮이 위치를 하강하면서 좌우 롤러의 정 중앙 높낮이 위치로 정확히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도 8 참조).
또한, 상기 볼(5)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 좌우 롤러(32)(32')의 사이 간격으로 오므라지도록 이격 조절됨과 동시에 상기 볼 발사부(25)의 이격 삽입부(24)가 오므라지게 되므로 볼을 좌우 롤러 사이로 정확히 공급함과 함께 볼의 높낮이 위치가 승강하면서 좌우 롤러의 정 중앙 높낮이 위치로 정확히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도 8 참조).
이와 같이 발사하고자 하는 볼 사이즈에 따라 좌우 롤러(32)(32') 사이 간격을 간단히 서로 대향되게 이격 조절함과 동시에 상기 볼 안내 레일의 볼 발사부(25)를 좌우로 벌려주거나 오므려 이격 삽입부(24)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볼 사이즈에 상관없이 볼을 좌우 롤러 사이로 정확히 공급함과 동시에 볼을 좌우 롤러의 정 중앙 높낮이 위치, 즉 롤러 중앙의 오목부(32a)(32a') 위치로 정확히 공급하게 되면서 볼을 원하는 방향과 속도로 정확히 발사하게 되는 것이다.
5: 볼 10: 설치 프레임
20: 볼 안내 레일 21: 스테인레스 심재
22: 쿠션 커버체 24: 이격 삽입부
25: 볼 공급부 26: 볼 발사부
30: 볼 발사 수단 31,31': 구동 모터
32,32': 좌우 롤러 32a,32a': 오목부
40: 롤러 간격 조절수단 45: 조절 스크류
45a: 왼 나사 45b: 오른 나사
46,46': 좌우 이동 너트 47,47': 좌우 이동 브라켓

Claims (5)

  1. 설치 프레임(10)과;
    상기 설치 프레임(10) 상부 중앙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어 볼(5)을 굴려 공급하는 볼 공급부(25)와 공급된 볼(5)을 전방으로 발사하기 위한 볼 발사부(26)를 전후로 형성하는 볼 안내 레일(20)과;
    상기 볼 발사부의 양 측방에서 구동 모터(31)(31')에 의해 서로 대향 회전하는 좌우 롤러(32)(32')에 의해 볼(5)을 전방으로 발사하는 볼 발사 수단(30) 및;
    상기 볼 발사수단에 의해 발사되는 볼의 사이즈에 따라 좌우 롤러(32)(32')를 좌우로 서로 대향 이동시키면서 간격 조절하는 롤러 간격 조절수단(4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자동 발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간격 조절수단(40)은 설치 프레임의 좌우 방향으로 축 설치되는 조절 스크류(45)의 좌우에 왼 나사(45a)와 오른 나사(45b)를 대향 형성하고,
    상기 왼 나사(45a)와 오른 나사(45b)에 좌우 이동 너트(46)(46')를 나사 결합하되, 상기 좌우 이동너트(46)(46')는 좌우 롤러(32)(32')가 각각 설치되는 좌우 이동 브라켓(47)(47')을 고정 설치하여 조절 스크류의 정,역 회전 조절에 의해 좌우 롤러(32)(32')를 좌우로 서로 대향 이동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자동 발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롤러(32)(32')는 중앙을 오목한 오목부(32a)(32a')로 형성하여 볼이 롤러의 정 중앙 높낮이에 삽입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자동 발사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 안내 레일(20)은 전방이 개구되어 있는 U자형 형태로 형성하여 내부의 이격 삽입부(24)에 볼이 삽입 안착되어 구름 작동하도록 설치하되, 상기 이격 삽입부(24)는 볼 공급부(25)에서 볼 발사부(26)로 갈수록 점차 이격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하여 볼 공급부 보다 볼 발사부에서 볼의 위치가 승강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자동 발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 안내 레일(20)은 내부에 탄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심재(21)와 상기 심재 외측에 쿠션 커버체(22)로 형성하되, 상기 심재(21)의 좌우 선단(21a)(21b)을 좌우 이동 브라켓(47)(47')에 연결 설치하여 좌우 롤러의 이격 간격에 따라 볼 안내 레일 전방의 이격 삽입부(24) 간격이 자동 조절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자동 발사장치.
KR1020200103129A 2020-08-18 2020-08-18 볼 자동 발사장치 KR102387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129A KR102387170B1 (ko) 2020-08-18 2020-08-18 볼 자동 발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129A KR102387170B1 (ko) 2020-08-18 2020-08-18 볼 자동 발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221A true KR20220022221A (ko) 2022-02-25
KR102387170B1 KR102387170B1 (ko) 2022-04-14

Family

ID=8049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129A KR102387170B1 (ko) 2020-08-18 2020-08-18 볼 자동 발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1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6171A (ko) * 2011-01-25 2012-08-02 장동수 축구공 발사체
KR101308571B1 (ko) * 2012-01-30 2013-09-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피칭머신
KR101677688B1 (ko) 2016-06-08 2016-11-18 황인헌 공 자동 발사 장치
KR20180031135A (ko) 2016-09-19 2018-03-28 황인헌 테니스공 자동 발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6171A (ko) * 2011-01-25 2012-08-02 장동수 축구공 발사체
KR101308571B1 (ko) * 2012-01-30 2013-09-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피칭머신
KR101677688B1 (ko) 2016-06-08 2016-11-18 황인헌 공 자동 발사 장치
KR20180031135A (ko) 2016-09-19 2018-03-28 황인헌 테니스공 자동 발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170B1 (ko)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553B1 (ko) 볼 자동 슈팅 머신
US7383832B2 (en) Change up pitching machine
US9389039B2 (en) Adjustable limb systems for archery bows
KR101308571B1 (ko) 다목적 피칭머신
KR102387170B1 (ko) 볼 자동 발사장치
US20190299077A1 (en) Football Receiving and Throwing Machine
KR20120086171A (ko) 축구공 발사체
KR20170072097A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장용 스윙 플레이트
KR101815131B1 (ko) 이동간 연습볼 자동 슈팅 머신
US3473810A (en) Golf training apparatus
KR101420085B1 (ko) 다양한 속도와 높이 및 방향으로 공의 공급이 가능한 테니스 연습기
DE102007030835A1 (de) Mit Ball bespielbares Sportgerät in verschiedenen Stellungen
KR101108851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장치
KR20160143193A (ko)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
KR20130132358A (ko) 골프공 자동 티업 장치
KR20110051927A (ko) 필드하키볼 슈팅머신
KR20180009573A (ko) 골프 스윙 연습기
GB2199754A (en) Putting practice aid
KR20160143192A (ko) 야구공의 투척각도 조절이 가능한 피칭머신
KR102498843B1 (ko) 연습용 볼 공급장치
GB2293979A (en) Ball ejection machine
US20190255380A1 (en) Passive-type treadmill
KR20180044132A (ko) 피칭 머신
CN114949812A (zh) 一种足球射门的力度控制调节训练器
KR101306926B1 (ko) 리얼 퍼팅 환경이 구현된 퍼팅그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