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132A - 피칭 머신 - Google Patents

피칭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132A
KR20180044132A KR1020160137851A KR20160137851A KR20180044132A KR 20180044132 A KR20180044132 A KR 20180044132A KR 1020160137851 A KR1020160137851 A KR 1020160137851A KR 20160137851 A KR20160137851 A KR 20160137851A KR 20180044132 A KR20180044132 A KR 20180044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e
pitching machine
frame
coupled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3651B1 (ko
Inventor
강수연
Original Assignee
강수연
주식회사 퓨젼스포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수연, 주식회사 퓨젼스포츠코리아 filed Critical 강수연
Priority to KR1020160137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6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4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8Baseball, rounders or similar g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칭머신을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피칭머신의 볼 가이드를 구체가 노출되는 레일 구조로 구성하는 한편, 볼 가이드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공급되는 구체가 단일의 공급 휠과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부 접지용 누름패드 사이를 통과하여 발사되는 피칭 머신을 구성한 것이고, 이에따라 구체 피더장치(볼 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구체가 노출된 상태에서 피칭머신으로 공급되면서 타격 연습자가 구체의 공급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타격 연습자가 피칭머신으로부터 일정속도로 발사되는 구체의 발사시점에 대한 타이밍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면서 타격 연습의 효율성을 높이고, 특히 단일의 공급 휠 구성으로부터 종래 3개의 공급 휠 구성시 초래되었던 배치 각도 설정의 어려움을 개선하고, 3개의 공급 휠 구성에 따른 피칭머신의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피칭 머신 {Pitching machines}
본 발명은 구체(球體)를 일정속도로 발사하는 피칭 머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체 피더장치(볼 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구체가 노출된 상태에서 피칭머신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노출된 상태에서 공급되는 구체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부 접지용 누름패드를 통과하면서 하나의 공급 휠을 통해 일정속도로 발사될 수 있도록 하는 피칭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체(球體)는 야구, 테니스, 축구, 탁구, 배구 등과 같은 각종 스포츠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포츠에서 선수가 실력 향상을 위한 연습을 하는 경우에는 다른 선수의 도움을 필요로 하게 된다. 예컨대, 야구에서 타자가 타격연습을 하기 위해서는 야구공을 던져주는 투수가 필요하게 되며, 테니스 또는 탁구에서 서브에 대한 리시브를 연습하기 위해서는 서브를 넣어주는 선수가 필요하게 된다.
한편, 야구공과 같은 구체를 발사하는 피칭머신은 공급 휠의 스피드를 달리하여 미묘한 구종 변화를 시도하면서 야구공을 발사하는 것으로, 이러한 피칭머신은 등록특허공보 제10-1130348호(등록일 2012.03.19)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피칭 머신은 구체 피더장치와 연결되는 피칭머신의 볼가이드가 폐쇄적인 관계로, 구체피더장치에서 피칭머신으로의 구체 공급 상태가 전혀 노출되지 않았으며, 이에따라 타격 연습자는 피칭머신으로부터 일정속도로 발사되는 구체의 발사시점에 대한 타이밍을 전혀 예측할 수 없게 되면서, 타격 연습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피칭 머신은 구체를 일정속도로 발사하기 위한 공급 휠이 일정각도(예; 120°)로 3개가 배치되면서, 3개의 공급 휠 사이에서 구체를 발사하는 것으로서, 3개로 이루어진 공급 휠 구성에 따른 제작 비용 상승은 물론, 3개의 공급 휠에 대한 설치 각도가 정교하게 배치되어야 하고, 만약 그 설치 각도에 오차가 발생시에는 구체의 발사가 정해진 궤적을 따라 발사되지 못하거나, 공급 휠이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구체 발사 자체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따라 종래에는 공급 휠에 대한 유지 보수에 상당한 신경을 써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피칭머신의 볼 가이드를 구체가 노출되는 레일 구조로 구성하는 한편, 볼 가이드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공급되는 구체가 단일의 공급 휠과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부 접지용 누름패드 사이를 통과하여 발사되는 피칭 머신을 구성함으로써, 구체 피더장치(볼 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구체가 노출된 상태에서 피칭머신으로 공급되면서 타격 연습자가 구체의 공급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타격 연습자가 피칭머신으로부터 일정속도로 발사되는 구체의 발사시점에 대한 타이밍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면서 타격 연습의 효율성을 높이고, 특히 단일의 공급 휠 구성으로부터 종래 3개의 공급 휠 구성시 초래되었던 배치 각도 설정의 어려움을 개선하고, 3개의 공급 휠 구성에 따른 피칭머신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피칭머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피칭머신은, 캐스터와 다리부가 결합되는 받침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 1 고정프레임;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에 축부를 중심으로 설치 각도가 조절되도록 결합되는 제 2 고정프레임;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상단에 연장되고, 손잡이가 형성되는 제 3 고정프레임;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고, 구체피더장치로부터 구체가 공급시 이를 노출된 상태로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측으로 가이드하는 볼 가이드; 상기 제 2 고정프레임내에 회전 가능하고 결합되고, 상기 볼 가이드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공급되는 구체를 일정속도로 발사하도록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공급 휠; 및, 상기 제 3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공급 휠을 통해 구체가 일정속도로 발사되도록 상기 볼 가이드로부터 공급되는 구체의 상부와 접지되는 한 쌍의 상부 접지용 누름패드;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일면에는 접촉판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에는 구체의 발사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접촉판에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각도조절부재를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에 형성되면서 내측 나사산이 마련되는 가이더; 및, 상기 가이더를 관통하면서, 일단은 상기 접촉판에 접촉되는 접촉패드를 형성하고, 타단은 절곡 형태로서 회전손잡이가 형성되는 각도조절나사;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일면에는 제어패널을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에는 상기 다리부의 끼움 탈부착을 위한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다리부의 끼움 결합시 그 끼움 결합상태를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체결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피칭머신의 볼 가이드를 구체가 노출되는 레일 구조로 구성하는 한편, 볼 가이드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공급되는 구체가 단일의 공급 휠과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부 접지용 누름패드 사이를 통과하여 발사되는 피칭 머신을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구체 피더장치(볼 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구체가 노출된 상태에서 피칭머신으로 공급되면서 타격 연습자가 구체의 공급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타격 연습자가 피칭머신으로부터 일정속도로 발사되는 구체의 발사시점에 대한 타이밍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면서 타격 연습의 효율성을 높이고, 특히 단일의 공급 휠 구성으로부터 종래 3개의 공급 휠 구성시 초래되었던 배치 각도 설정의 어려움을 개선하고, 3개의 공급 휠 구성에 따른 피칭머신의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칭 머신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칭 머신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칭 머신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칭 머신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칭 머신과 구체피더장치의 연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칭 머신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칭 머신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칭 머신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칭 머신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칭 머신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칭 머신과 구체피더장치의 연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피칭 머신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6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칭 머신(A)은, 받침프레임(10), 제 1,2,3 고정프레임(20)(30)(40), 볼 가이드(50), 그리고 공급 휠(60)과 상부 접지용 누름패드(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프레임(10)은 캐스터(11)와 다리부(12)가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다리부(12)는 상기 캐스터(11)를 통해 피칭머신(A)의 이동시 상기 받침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를 위해, 상기 받침프레임(10)에는 상기 다리부(12)의 끼움 탈부착을 위한 결합부(13)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3)에는 상기 다리부(12)의 끼움 결합시 그 끼움 결합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조임부(14)를 체결한 것이다.
상기 제 1 고정프레임(20)은 상기 받침프레임(10)의 상면에 결합되는 구조물로서, 상기 제 2 고정프레임(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 2 고정프레임(30)은 상기 제 1 고정프레임(20)에 축부(30a)를 중심으로 설치 각도가 조절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고정프레임(30)의 일면에는 접촉판(31)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정프레임(20)에는 구체(100)의 발사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접촉판(31)에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 2 고정프레임(3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80)를 결합하는 것이다
즉, 상기 각도조절부재(80)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20)에 형성되면서 내측 나사산(미도시)이 마련되는 가이더(81), 그리고 상기 가이더(81)를 관통하면서 일단은 상기 접촉판(31)에 접촉되는 접촉패드(82a)를 형성하고, 타단은 절곡 형태로서 회전손잡이(82b)가 형성되는 각도조절나사(82)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3 고정프레임(40)은 상기 제 2 고정프레임(30)의 상단에 연장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는 피칭머신(A)에 대한 이동을 위해 손잡이(41)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볼 가이드(50)는 상기 제 2 고정프레임(3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구체피더장치(B)로부터 구체(100)가 공급시 이를 노출된 상태로 상기 제 2 고정프레임(30)측으로 가이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공급 휠(60)은 상기 제 2 고정프레임(30)내에서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볼 가이드(50)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공급되는 구체(100)를 일정속도로 발사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접지용 누름패드(70)는 상기 공급 휠(60)의 상단에서 상기 제 3 고정프레임(40)에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공급 휠(60)을 통해 구체가 일정속도로 발사되도록 상기 볼 가이드(50)로부터 공급되는 구체(100)의 상부와 접지되는 한 쌍의 구조물인 것이다.
즉, 상기 공급 휠(60)은 하나만 구성하고, 그 상부에는 한 쌍의 상기 상부 접지용 누름패드(60)를 구성하여, 상기 공급 휠(60)과 상기 상부 접지용 누름패드(60)의 사이에서 상기 구체(100)가 위치하게 되는 발사구를 구성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급 휠(60)이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회전시, 상기 구체(100)는 타격 연습자에게 일정 속도로 발사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고정프레임(30)의 일면에는 제어패널(90)이 결합 구성되며, 상기 제어패널(90)은 전원공급은 물론, 상기 공급 휠(6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칭머신(A)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우선 받침프레임(10)의 결합부(13)에 다리부(12)를 결합하여 피칭머신(A)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피칭머신(A)에 구체피더장치(B)를 연결한다.
이후, 상기 구체피더장치(B)에서 구체(100)를 하나씩 공급하게 되면, 상기 구체(100)는 피칭머신(A)의 볼 가이드(50)를 통해 노출된 상태에서 공급 휠(6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공급 휠(60)의 상부에는 한 쌍의 상부 접지용 누름패드(7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체(100)는 상기 공급 휠(60)에 안착된 상태에서 그 상부는 상기 누름패드(70)에 접지된다.
즉, 상기 구체(100)는 하나의 공급 휠(60)과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부 접지용 누름패드(70)의 사이에 마련되는 발사구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구동부가 제어패널(90)에 의해 구동하면서 상기 공급 휠(60)을 회전시키면, 상기 발사구에 위치하는 구체(100)는 타격 연습자에게 일정속도로 발사되면서, 타격 연습자의 타격 연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발사구를 통해 발사되는 상기 구체(100)의 발사속도는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고, 그 변경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패널(90)에 탑재되는 제어프로그램으로부터 가능하며, 특히 구체(100)가 야구공이고, 타자가 타격 연습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체(100)의 발사속도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발사되는 구체의 미묘한 구종 변화를 유도할 수 있고, 이에따라 타자는 타격연습시 미묘한 구종변화를 가지는 구체(100)를 타격하는 타격 연습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발사구를 통해 발사되는 상기 구체(100)의 발사 궤적은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고, 그 변경은 각도조절부재(80)를 통해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 제 2 고정프레임(30)의 일면에는 접촉판(3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접촉판(31)에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20)에 고정되는 각도조절부재(80)가 결합되어 있는 바, 상기 각도조절부재(80)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나사(82)의 회전손잡이(82b)를 통해 상기 각도조절나사(82)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각도조절나사(82)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20)에 마련되는 가이더(81)내의 나사산을 통해 전진하게 되면서, 상기 각도조절나사(82)의 일단에 마련되는 접촉패드(82a)가 상기 접촉판(31)에 접촉하여 상기 접촉판(31)을 밀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제 2 고정프레임(30)의 설치 각도(θ) 즉, 기울기가 변경되면서, 상기 공급 휠(60)의 고속 회전으로부터 발사되는 구체(100)의 발사 궤적은 포물선 즉,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떨어지는 커브와 같은 포물선을 이루면서 타격 연습자의 방향으로 발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피칭 머신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받침프레임 11; 캐스터
12; 다리부 13; 결합부
14; 조임부 20; 제 1 고정프레임
30; 제 2 고정프레임 30a; 축부
31; 접촉판 40; 제 3 고정프레임
41; 손잡이 50; 볼 가이드
60; 공급 휠 70; 상부 접지용 누름패드
80; 각도조절부재 81; 가이더
82; 각도조절나사 82a; 접촉패드
82b; 회전손잡이 90; 제어패널
100; 구체 A; 피칭머신
B; 구체피더장치

Claims (4)

  1. 캐스터와 다리부가 결합되는 받침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 1 고정프레임;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에 축부를 중심으로 설치 각도가 조절되도록 결합되는 제 2 고정프레임;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상단에 연장되고, 손잡이가 형성되는 제 3 고정프레임;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고, 구체피더장치로부터 구체가 공급시 이를 노출된 상태로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측으로 가이드하는 볼 가이드;
    상기 제 2 고정프레임내에 회전 가능하고 결합되고, 상기 볼 가이드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공급되는 구체를 일정속도로 발사하도록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공급 휠; 및,
    상기 제 3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공급 휠을 통해 구체가 일정속도로 발사되도록 상기 볼 가이드로부터 공급되는 구체의 상부와 접지되는 한 쌍의 상부 접지용 누름패드;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칭머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일면에는 접촉판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에는 구체의 발사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접촉판에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각도조절부재를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칭머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에 형성되면서 내측 나사산이 마련되는 가이더; 및,
    상기 가이더를 관통하면서, 일단은 상기 접촉판에 접촉되는 접촉패드를 형성하고, 타단은 절곡 형태로서 회전손잡이가 형성되는 각도조절나사;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칭머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에는 상기 다리부의 끼움 탈부착을 위한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다리부의 끼움 결합시 그 끼움 결합상태를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체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칭머신.
KR1020160137851A 2016-10-21 2016-10-21 피칭 머신 KR101873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851A KR101873651B1 (ko) 2016-10-21 2016-10-21 피칭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851A KR101873651B1 (ko) 2016-10-21 2016-10-21 피칭 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132A true KR20180044132A (ko) 2018-05-02
KR101873651B1 KR101873651B1 (ko) 2018-07-03

Family

ID=62183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851A KR101873651B1 (ko) 2016-10-21 2016-10-21 피칭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8443A (zh) * 2019-08-09 2019-12-06 西交利物浦大学 一种带有视觉识别功能的乒乓球陪练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768B1 (ko) 2014-10-17 2015-01-26 주식회사 스마츠 휴대형 피칭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651B1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0013B1 (en) Pitching machine
US6546924B2 (en) Ball throwing machine and method for profiling pitches
US6186133B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pitch parameters in a ball-throwing machine
KR101239527B1 (ko) Led 광 센서가 구비된 야구 타격 및 피칭 연습시스템
US7383832B2 (en) Change up pitching machine
KR101248830B1 (ko)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KR101728659B1 (ko) 타격용 볼 공급장치
US9579554B1 (en) System and method to pitch balls using one powered wheel
KR101873651B1 (ko) 피칭 머신
KR20150146137A (ko) 공 자동 발사 장치
KR100946970B1 (ko) 자동캐디기와 이를 구비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180355B1 (en) System and method to pitch balls with fine adjustment
US7878917B2 (en) Golf club grip alignment using laser aligning device
US8371963B2 (en) Pivoting training device for a baseball batter
US10130865B2 (en) Micro adjustment mechanism for a pitching machine
KR101762793B1 (ko) 골프 스윙 분석기
US6983741B2 (en) Pitching machine
KR101420085B1 (ko) 다양한 속도와 높이 및 방향으로 공의 공급이 가능한 테니스 연습기
KR101822403B1 (ko) 야구공의 투척각도 조절이 가능한 피칭머신
KR20160143193A (ko) 피칭머신용 각도조절장치
KR101983783B1 (ko) 다양한 구종 및 구질을 구현 가능한 피칭 머신
JP2007020646A (ja) ボール送球装置
KR101934727B1 (ko) 족구 연습용 공 배급장치
KR101622908B1 (ko) 골프공 회전안내라인 자동화 형성 시스템
KR20010026429A (ko) 스윙연습용 투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