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768B1 - 휴대형 피칭 머신 - Google Patents

휴대형 피칭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768B1
KR101485768B1 KR1020140141079A KR20140141079A KR101485768B1 KR 101485768 B1 KR101485768 B1 KR 101485768B1 KR 1020140141079 A KR1020140141079 A KR 1020140141079A KR 20140141079 A KR20140141079 A KR 20140141079A KR 101485768 B1 KR101485768 B1 KR 101485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hole
frame
bal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진
진무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츠
Priority to KR1020140141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6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rotating discs, wheels or pulleys gripping and propelling the balls or bodies by 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50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11Ca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피칭 머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형 피칭 머신은, 본 발명의 휴대형 피칭 머신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각도조절휠(200)과; 상기 각도조절휠(200)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며, 내부에 투척휠(5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투척휠(500)과 이격되어 투척휠(500)과의 사이로 볼(1)을 마찰시켜 통과시키는 마찰블록(700)과; 상기 프레임(10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엔진(1200)이 설치되어 있는 지지장치(1100)와; 상기 엔진(1200)에서 발생하는 회전 구동력을 투척휠(500)에 전달하는 케이블(1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다양한 종류의 투구 및 제구가 가능하며, 케이블 꼬임이 방지되는 피칭 머신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형 피칭 머신{A Portable Pitching Machine}
본 발명은 휴대형 피칭 머신에 관한 것으로, 전기 모터가 아닌 엔진을 이용하여 작동되도록 하여 강력한 속력 및 회전수를 갖는 볼이 투구될 수 있도록 하고, 볼에 회전을 가하는 투척휠이 케이스와 함께 수평, 수직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져 볼에 상하 및 좌우 스핀을 가해 다양한 회전 방향을 통한 다양한 구질이 투구될 수 있도록 하며, 프레임 자체가 회전하도록 하여 투구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각 구성요소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여 휴대가 용이한 것은 물론, 투척휠의 다양한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케이블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휴대형 피칭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칭 머신(pitching machine)이라 함은 야구에서 타격이나 수비 연습에 사용하기 위해 타자에게 볼을 던져주는 기계를 뜻하는 것으로, 최근 들어 야구 동호인과 아마추어 야구단 등이 급속도로 확산됨에 따라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최근 피칭 머신에 관련된 다수의 특허가 출원되고 있는데, 이러한 피칭머신은 크게 타이머 방식과 피칭암 방식으로 구분된다.
먼저, 타이머 방식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타이어 사이에 볼을 투입하여 두 타이어와 볼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볼을 투척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타이머 방식의 피칭머신과 관련된 기술로, "피칭 머신"(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0348호, 특허문헌 1)에는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모터 및 이와 연결된 구동횔을 회전시키키는 한편, 볼투입부의 내측에 볼 플런저를 다수 설치하여 투수가 볼을 잡는 그립과 같은 역할을 하도록 하여 다양한 속도 및 구질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 "피칭 머신"(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8612호, 특허문헌 2) 역시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작동되며, 볼 투척부 하부를 전후 이동시킴에 따라 목적지에 도달하는 볼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 2의 기술들은 모두 전기를 이용하는 모터 구동 방식으로 작동되는데, 이러한 모터 구동 방식은 전기 공급이 어려운 야외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또, 배터리를 이용하여 야외에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동시킬 수 있는 배터리와 모터의 용량 한계로 인해 모터의 구동시간이 짧고 그 힘도 약해 정규 야구공은 사용이 어려우며, 가벼운 전용 고무공만을 사용할 수 밖에 없고, 구속도 70km/h에 불과한 한계점이 있었다.
또다른 방식인 피칭암 방식은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피칭암에 볼을 장전하여 투척하는 방식으로 볼을 안정적으로 투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피칭암 방식의 피칭 머신은 단순히 볼을 원하는 방향 및 속도로 안정적으로 투척하는 것에만 주목적이 있을 뿐, 실제 투수가 던지는 다양한 구질의 볼을 투척할 수 없어 다양한 구질의 볼을 투척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실제 야구경기에서 투수들이 던지는 볼의 구질은 크게 직구와 변화구로 나뉘고, 직구는 다시 투심, 라이징 패스트볼, 포심 패스트볼로 구분되며, 변화구 역시 커브, 슬라이더, 싱커, 체인지업 등 다양한 종류로 세분화되는데, 이와 같은 다양한 구질의 볼은 투척되는 볼의 회전 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최근까지 개발된 피칭머신은 투척되는 볼의 구질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없거나, 있다 하더라도 구동부에서 볼을 발사하는 부분까지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이 복잡하여 볼의 회전 방향을 360도 자유롭게 변형할 수 없는 한계가 있어 투척되는 공에 부여될 수 있는 회전 방향을 모두 제공하여 모든 구질의 볼을 투척하는 피칭머신은 전무한 실정이다.
KR 10-1130348 (2012.03.19) KR 10-1188612 (2012.11.21)
본 발명의 휴대형 피칭 머신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볼이 진행하는 방향을 축으로 투척휠을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투구되는 볼의 속도 및 구질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구되는 볼이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제구될 수 있는 피칭 머신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 전기 구동 모터 대신 고 출력의 엔진을 이용함으로써 전기 모터에 비해 더욱 강력한 속력과 회전수를 가지는 볼이 투구될 수 있게 하고,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곳에서도 간편하게 설치하여 실제 시합 수준의 연습을 할 수 있는 휴대형 피칭 머신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투척휠이 내장된 케이스가 프레임에 구비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하, 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스핀이 발생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하여, 케이스가 연결된 프레임이 지자장치에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볼의 진행 방향이 목적지를 향해 지면과 평행하지 않고 경사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투구되는 볼의 높낮이 제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프레임, 각도조절휠, 케이스, 투척휠, 마찰블록, 지지장치 등의 구성요소가 볼트나 핀 등을 이용하여 쉽게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어 승용차를 통해 쉽게 운반하여 야외에서 쉽사리 사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케이블이 투척휠에 연결된 구동샤프트와 연결됨에 있어서 호 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에 핀이 끼워지는 결합을 통해 투척휠의 회전에 의한 케이블의 꼬임이 방지되고, 원할한 투척휠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마찰블록은 브라켓을 통해 케이스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공을 이용한 피칭이 가능케 하고, 마찰블록 마모시 용이하게 분리 교체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형 피칭 머신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각도조절휠(200)과; 상기 각도조절휠(200)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며, 내부에 투척휠(5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투척휠(500)과 이격되어 투척휠(500)과의 사이로 볼(1)을 마찰시켜 통과시키는 마찰블록(700)과; 상기 프레임(10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엔진(1200)이 설치되어 있는 지지장치(1100)와; 상기 엔진(1200)에서 발생하는 회전 구동력을 투척휠(500)에 전달하는 케이블(1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투척휠(500)과 케이블(1300)은 서로 끼움 결합되어 연결되되, 90 내지 180도의 범위 내에서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엔진(1200)의 일측에는 관연결부(1220)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되, 관연결부(1220)에는 핀체결홀(1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척휠(500)은 타측구동샤프트(520)가 중앙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구동샤프트(520)는 플랜지(1500)의 내부에 삽입되며, 플렌지(1500)의 일측에 조절핀삽입홀(5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1300)의 일측 단부에 엔진연결부(1310)가 형성되어 있고, 엔진연결부(1310)에는 엔진고정핀체결홀(1311)이 형성되어 있어 엔진고정핀(1320)이 상기 핀체결홀(1221)과 엔진고정핀체결홀(1311)을 관통 연결하며, 케이블(1300)의 타측 단부에는 샤프트연결부(1330)가 형성되어 있고, 샤프트연결부(1330)에는 90 ~ 180도 각도 범위로 절개된 슬롯 형상의 핀가이드홈(133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핀가이드홈(1331)과 조절핀삽입홀(523)에 각도조절핀(524)이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마찰블록(700)은 투척휠(500)보다 경도가 큰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휠(200)은 휠고정핀(230)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 상태에서 고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케이스는 케이스고정핀(340)에 의해 각도조절휠(200)에 고정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피칭 머신에 따르면 볼이 발사되는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투척휠 및 케이스를 360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실제 투수들이 던지는 다양한 구질이 발사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틸팅하우징을 통한 프레임 회전을 통해 그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실전과 동일한 정도의 훈련이 가능케 된다.
더불어, 전기모터가 아닌 고 출력의 엔진을 이용함으로써 전기모터에 비하여 더욱 강력한 속력과 회전수를 가지는 볼이 투구될 수 있으며, 전기 사용이 제한된 곳에서도 간편하게 설치하여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고가의 외국 장비에 비해 제작단가가 저렴하며 오작동이 줄어들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 다방향의 투척휠 회전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플렉시블한 케이블이 꼬이는 현상이 최대한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형 피칭 머신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형 피칭 머신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케이스, 각도조절휠, 프레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마찰블록과 케이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케이스와 투척휠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케이블과 엔진 및 타측구동샤프트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상태에서 케이스가 각도조절휠에 의해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지지장치를 기준으로 한 프레임의 회전에 따른 타측구동샤프트와 케이블과의 연결 상태 변화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휴대형 피칭 머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볼(1)이 투척되어 진행하는 방향은 전방, 그 반대 방향은 후방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칭 머신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0), 각도조절휠(200), 휠고정핀(230), 케이스(300, 400), 투척휠(500), 마찰블록(700), 틸팅하우징(1000), 지지장치(11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프레임(100)은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수직부(120)를 구비한 "U"자 형상을 이룬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 수직부(120)의 하단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부(11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평부(110) 일측에는 제1축관통홀(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축관통홀(111)과 이격된 위치에는 스토퍼삽입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양측의 수직부(120) 상부에는 서로 일직선을 이루는 제2축관통홀(121)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2축관통홀(121)에는 케이스회전축(130)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때, 두 수직부(12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축관통홀(121)과 이격된 위치에 제1휠각도조절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각도조절휠(200)는 상기 두 수직부(120) 중 어느 하나에 케이스회전축(13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때, 일측과 타측이 각각 각도조절휠(200) 및 프레임(100)과 연결되어 각도조절휠(200)을 고정시키는 휠고정핀(230)이 구비된다.
도 3을 살펴보면, 각도조절휠(200)에는 중앙에 제3축관통홀(210)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 형상을 취하여 상기 두 케이스회전축(130) 중 하나가 제3축관통홀(210)을 관통하여 각도조절휠(200)이 케이스회전축(13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더불어, 각도조절휠(200)은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호 형상을 이루도록 중심에서 일정한 반경의 범위로 제2휠각도조절홀(2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휠고정핀(230)이 상기 제1휠각도조절홀(122)과 제2휠각도조절홀(220)을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구조이다.
고정을 위한 방법은 휠고정핀(230)을 나사산이 구비된 형태로 형성되어 나사산이 제2휠각도조절홀(220)을 통과하면서 나사산의 요철이 제2휠각도조절홀(220) 둘레에 걸리도록 하는 간단한 방법으로부터, 제2휠각도조절홀(220)을 따라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여 휠고정핀(230)이 삽입된 상태에서 각도조절휠(200)이 회전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미도시된 방식으로 휠고정핀(230) 외주면과 제2휠각도조절홀(220) 내주면을 서로 치합되는 기어 방식으로 형성하여 각도조절휠(220)의 회전을 휠고정핀(230)으로 조절하고, 그 상태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휠고정핀(230)에 손잡이를 구비하거나, 모터를 연결하고, 모터를 후술하는 컨트롤장치(1400)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각도조절휠(220)로 하여금 자동화된 방식으로 회전, 정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각조조절휠(200)에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3축관통홀(210)과 이격된 위치에 제1케이스고정핀삽입홀(240)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스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케이스는 일측이 각도조절휠(2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각도조절휠(200)과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그 자체가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힌지나 플랜지 방식을 통한 개폐방식, 일측 및 타측의 케이스가 볼팅에 의해 결합, 분리되는 방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케이스가 일측케이스(300) 및 타측케이스(400)로 구성되고, 두 케이스는 케이스연결볼트(420)에 의해 연결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일측케이스(300)는 중앙의 수직플레이트부(310)와, 그 좌우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날개부(320) 및 날개부 측면 선단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절곡부(330), 케이스고정핀(3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직플레이트부(310)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된 장방형의 블록고정가이드홀(311)이 형성되어 있어 브라켓(600)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날개부(320)는 상기 수직플레이트부(310)의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더하여, 절곡부(330)는 상기 날개부(320) 측면 선단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케이스회전축(130)이 관통하는 제4축관통홀(3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4축관통홀(331)과 이격된 채 상기 제1케이스고정핀삽입홀(240)과 일직선을 이루는 제2케이스고정핀삽입홀(332)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고정핀(340)은 상기 제1케이스고정핀삽입홀(240)과 제2케이스고정핀삽입홀(332)을 관통하여 각도조절휠(200)에 일측케이스(300)가 고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케이스(300)는 각도조절휠(200)에 분리 및 고정이 가능하며, 고정된 상태에서는 각도조절휠(200)과 함께 케이스회전축(13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타측케이스(400)는 일측케이스(300)를 향하는 부분 둘레가 상기 일측케이스(300)에 케이스연결볼트(420)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케이스(300)와의 사이 내측 공간에 휠수용공간(410)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보조케이스(430)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케이스(430)는 도시된 것처럼 타측케이스(400) 내부에 삽입되지만, 일측케이스(300)에 볼트 결합된다.
도5를 살펴보면, 일측케이스(300)와 보조케이스(430)의 중앙에는 각각 원형의 개구부(431)가 형성되어 있는데, 개구부(431)를 통해 일측구동샤프트(510) 및 타측구동샤프트(520) 일부가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은 일측구동샤프트(510) 및 타측구동샤프트(520)가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플랜지(1500)가 끼워지며, 이 플랜지(1500)들은 각각 케이스고정볼트(1510)에 의해 일측케이스(300) 일측면 및 보조케이스(430) 타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타측구동샤프트(520)의 내부에는 사각형상의 구동케이블이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투척휠(500)은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되, 외주면을 따라 볼(1)이 안착되는 볼안착홈(530)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투척휠(500)은 상기 휠수용공간(410) 내부에 설치되어 있되, 일측케이스(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일측구동샤프트(510)가 상기 플랜지(150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 타측케이스(4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타측구동샤프트(520)가 타측면 중앙에 상기 일측구동샤프트(510)와 일직선을 이룬 채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타측케이스(400)는 일측케이스(300)와 연결 관계를 이루고, 일측케이스(300)는 보조케이스(430)와 연결 관계를 이루며, 보조케이스(430)에 연결된 플랜지(1500)에 타측구동샤프트(520) 일측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삽입됨으로써 타측구동샤프트(520)는 타측케이스(400)와 연결 관계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케이블(1300)을 통해 엔진(1200)의 구동력이 타측구동샤프트(520)에 전달되면, 타측구동샤프트(520)의 회전에 의해 투척휠(50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케이스고정볼트(1510)가 일측의 플랜지(1500)와 일측케이스(300)를, 타측의 플랜지(1500)와 보조케이스(430)을 서로 고정시키고, 타측구동샤프트(520)의 축부(522)는 플랜지(1500)를 관통하여 타측케이스(400)의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타측구동샤프트(520)의 내부에는 케이블(1300) 내부에 구비된 사각형상의 구동케이블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사각형상의 삽입홀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플랜지(1500)의 돌출된 부분에는 조절핀삽입홀(523)이 형성되어 있고, 조절핀삽입홀(523)에는 각도조절핀(524)이 끼워진다.
또한, 타측구동샤프트(520)가 휠고정볼트(540)를 통해 투척휠(500)에 고정되어 있어 타측구동샤프트(520)의 회전에 의해 투척휠(500)이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케이블(1300)의 내부에 구비된 사각형상의 구동케이블은 타측구동샤프트(520)를 회전시키고, 케이블(1300)의 외부는 플랜지(1500)에 각도조절핀(524)에 의하여 고정될 뿐 회전하지 않는다.
투척휠(500)의 일측 역시 일측구동샤프트(510)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며, 일측구동샤프트(510)의 축이 되는 부분이 플랜지(1500) 내부로 끼워져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투척휠(500)이 좌우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일측구동샤프트(510)와 타측구동샤프트(520)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중앙에 휠연결돌기(525)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투척휠(500) 중앙에는 휠연결돌기(525)가 결합되는 돌기삽입홀(501)이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며, 이를 통해 투척휠(500)의 얼라인이 원할히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투척휠(500)은 외주면을 따라 볼(1)이 안착되는 볼안착홈(530)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하면서 볼(1)과 접촉한 부분에 마찰을 통한 회전력을 가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마찰블록(700)은 케이스 특히 일측케이스(300)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함과 더불어 분리가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저부에는 볼가이드홈(7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볼(1)이 투입되는 볼투입구(900)가 연결되어 있다.
즉, 볼투입구(900)를 통해 볼(1)이 유입된 후 마찰블록(700)의 저부와 접촉함과 더불어, 상기 투척휠(500)의 회전력을 공급받으면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4에는 마찰블록(700)이 브라켓(600)에 의해 일측케이스(300)와 연결되고, 연결대(800)에 의해 볼투입구(900)와 연결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600)은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브라켓볼트체결홀(610)이 형성되어 있어 브라켓고정볼트(611)가 상기 블록고정가이드홀(311)과 브라켓볼트체결홀(610)을 관통하여 연결되되, 블록고정가이드홀(311)을 따라 높이가 조절된 채 상기 일측케이스(300)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은 브라켓고정볼트(611)를 푼 후 일측케이스(300)를 기준으로 브라켓(600)의 상하 높이를 조정한 후 브라켓고정볼트(611)로 블록고정가이드홀(311)과 브라켓볼트체결홀(610)을 관통하여 위치 고정하도록 된 구성이다.
더불어, 브라켓(600) 상부 일측에 블록고정볼트체결홀(620)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타측에 연결대고정볼트체결홀(630)이 형성되어 있다.
마찰블록(700)은 상부에 상기 블록고정볼트체결홀(620)과 일직선을 이루는 브라켓연결볼트체결홀(710)이 형성되어 있고, 도 6에 도시된 블록고정볼트(720)가 상기 블록고정볼트체결홀(620)과 브라켓연결볼트체결홀(710)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브라켓(600)에 고정된다.
더불어, 마찰블록(700) 저부에는 "∧" 형상의 볼가이드홈(730)이 형성되어 있어 볼(1) 상부와 경사진 면이 서로 접하면서 투척휠(5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볼(1)이 마찰블록(700) 저부의 볼가이드홈(730) 접촉면과 마찰을 일으키며 이동하게 된다.
이때, 마찰블록(700)의 재질은 엔진 동력을 볼(1)에 잘 전달할 수 있도록 투척휠(500)보다 경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고 경도를 갖는 우레탄 재질로 구성되어 장기간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대(800)는 일측에 상기 연결대고정볼트체결홀(630)과 일직선을 이루는 제1연결대볼트체결홀(8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연결대고정볼트(811)가 상기 연결대고정볼트체결홀(630)와 제1연결대볼트체결홀(810)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브라켓(600)에 고정된다.
더불어, 연결대(800)의 타측에는 제2연결대볼트체결홀(8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부에 투입구체결홈(830)이 형성되어 있다.
볼투입구(90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움돌기(91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투입구체결홈(830)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끼움돌기(910)에는 상기 제2연결대볼트체결홀(820)과 일직선을 이루는 투입구볼트체결홀(911)이 형성되어 있어 투입구고정볼트(920)가 상기 제2연결대볼트체결홀(820)과 투입구볼트체결홀(911)을 관통함으로써 연결대(800)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910) 하부에는 내부로 상기 볼(1)이 통과하는 원통형의 관 형상을 이루는 투입부(9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볼투입구(900)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가 빈 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되, 일측이 라운드진 형태로 되어 있어 볼을 투입하도록 구성된 볼안내구(160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볼안내구(1600)는 상기 볼투입구(900)에 대하여 특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볼안내구(1600)를 회전시키고 나면 상기 끼움돌기(910)에 구비된 별도의 볼트체결홀에 고정볼트를 삽입하여 볼안내구(1600)를 고정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가 볼안내구(1600)로 볼(1)을 투입하면 중력에 의해 볼(1)이 미끄러져 이동하여 볼투입구(900) 내부로 이동한 후 투척휠(500)의 회전력을 받으면서 마찰블록(700)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회전력을 가진 채 투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틸팅하우징(1000)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되, 스토퍼(1030)에 의해 회전각이 고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틸팅하우징(10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수평부(110)을 감싸도록 바닥면 양단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두 측벽(1010)이 형성된 "┗┛" 형상을 취하는데, 두 측벽(1010)에는 상기 프레임(100) 수평부(110)의 제1축관통홀(111)과 일직선을 이루는 프레임회전축삽입홀(1011)이 형성되어 있어 프레임회전축(1020)이 상기 제1축관통홀(111)과 프레임회전축삽입홀(1011)을 관통 연결함으로써 상기 프레임(100)이 프레임회전축삽입홀(101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더불어, 프레임회전축삽입홀(1011)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갖는 호 형상의 프레임고정홀(10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토퍼(1030)가 상기 스토퍼삽입홀(112)과 프레임고정홀(1012) 상의 임의의 지점을 관통함으로써 프레임(100)이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는 미도시된 예로 프레임회전축(1020)을 원통형 기어 형태로 형성하고, 별도의 미도시된 모터를 통해 기어 연결하는 기어 연결 방식을 통해 스토퍼(1030)의 기능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지지장치(1100)는 상부가 상기 틸팅하우징(1000)과 연결되며, 하부는 케이블(1300)에 의해 투척휠(500)과 연결된 엔진(1200)이 장착된다.
구체적인 예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장치(1100)는 지지판(1110), 지지다리(1120), 엔진안착판(1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판(1110)은 상기 틸팅하우징(1000)에 연결되어 있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지다리(1120)는 다수 개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단은 상기 지지판(1110) 둘레에 각각 힌지 결합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각각은 다중관 형태로 이루어져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엔진안착판(1130)은 상기 다수의 지지다리(1110)에 의해 둘러쌓인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외측 둘레가 각 지지다리에 연결부재(113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1131)는 상기 지지다리(1110)에 결합분리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휴대용 피칭머신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연결부재(1131)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엔진안착판(1130)에는 가솔린 등을 연료로 하는 내연기관으로 이루어진 엔진(1200)이 장착된다. 통상적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모터를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모터의 회전속력은 4,000 ~ 5,000 rpm의 수준에 불과하나, 가솔린 등을 연료로 하는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8000 rpm 이상의 회전속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 엔진(1200)은 도시된 것처럼 연료통(12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에 관연결부(1220)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관연결부(1220)에는 핀체결홀(1221)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300)은 엔진(1200)의 구동력을 타측구동샤프트(520)를 통해 투척휠(500)에 제공하여 투척휠(5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부의 사각형상의 구동케이블과 외부의 원형형상의 외부케이블로 이루어져 있다. 내부의 사각형상의 구동케이블은 엔진의 회전력을 투척휠(500)에 전달하며, 외부케이블은 플랜지(1500)와 엔진(1200)에 연결고정되어 내부의 회전하는 구동케이블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외부케이블 일측은 상기 엔진(1200)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플랜지(1500)와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케이블 일측 단부에는 엔진연결부(1310)가 형성되어 있고, 엔진연결부(1310)에는 엔진고정핀체결홀(1311)이 형성되어 있어 엔진고정핀(1320)이 상기 핀체결홀(1221)과 엔진고정핀체결홀(1311)을 관통 연결되어 있다.
또, 타측 단부에는 샤프트연결부(1330)가 형성되어 있고, 샤프트연결부(1330)에는 90 ~ 180도 각도 범위로 절개된 슬롯 형상의 핀가이드홈(133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핀가이드홈(1331)에 상기 각도조절핀(524)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사각형상의 구동케이블의 일단은 엔진(1200) 내부에 있는 사각형상의 삽입홈에 삽입결합되고, 타단은 타측구동샤프트(520)의 내부에 있는 사각형상의 삽입홈에 삽입결합된다. 구동케이블과 삽입홈은 모두 사각형상이므로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핀이 필요하지 않다.
이처럼 각도조절핀(524)과 핀가이드홈(1331)의 연결 구조는 일측케이스(300) 및 타측케이스(400)가 투척휠(500)과 함께 회전하거나, 프레임(100)이 틸팅하우징(100)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케이블(1300)이 타측구동샤프트(520)와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됨과 별개로 그 외측의 샤프트연결부(1330)는 타측구동샤프트(520)의 각도조절핀(524)과 유격을 가진 채 연결됨에 따라 플렉시블한 구조인 것과 더하여 케이블(1300)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케이블(1300)의 꼬임을 가일층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 더하여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장치(1100)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은 상기 엔진(1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엔진(1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장치(1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장치(1400)는 기본적으로 엔진(1200)의 온, 오프를 조절하고, 그 외에 출력을 조절하여 볼의 속력을 조절하는 것을 기본 기능으로 한다.
더하여, 상술한 것처럼 소형 모터를 이용하여 케이스 및 프레임(100)을 회전시키는 경우 그 출력, 정지 등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볼의 구질, 높낮이를 결정하면 이에 따른 케이스 및 프레임(100)을 회전시키도록 키보드와 같은 입력부, 액정 화면과 같은 화면출력부 및 엔진(1200) 및 모터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휴대형 피칭 머신은 도 1에 조립이 완료되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볼(1)을 볼안내구(1600)에 투입하면 되며, 엔진(1200)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투척휠(500)과 그 맞은 편에 고정되어 있는 마찰블록(700) 사이로 투입된 볼(1)은 회전력을 전달받은 상태에서 마찰이 해소되는 순간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일직선상으로 투구된다.
이 상태에서 각도조절휠(200)을 프레임(100)에 고정시키고 있는 휠고정핀(230)을 분리한 후, 각도조절휠(200)을 회전시키면, 일측케이스(300)가 케이스고정핀(340)에 의해 각도조절휠(200)과 고정되어 있는 바, 각도조절휠(200)의 회전에 의해 일측케이스(300)가 회전하고, 일측케이스(300)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투척휠(50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의 각이 180도의 범위가 되면 볼이 정반대 방향 회전으로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또,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90도의 범위가 되면 볼이 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마치 슬라이더와 같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더하여, 미도시된 경사진 방향으로 투척휠(500)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볼을 투구하게 되면 마치 사이드암, 언더핸드 등이 투구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일으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토퍼(1030)를 스토퍼삽입홀(112)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프레임회전축(1020)을 기준으로 프레임(100)을 도 8의 우측 도면과 같이 회전시키게 되면, 볼이 투구되는 방향이 지면과 평행한 방향이 아닌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화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프레임(100)의 회전을 도 7과 같이 케이스회전축(130)을 통한 투척휠(500)의 회전과 병행하게 되면 볼의 회전 방향과 볼의 투구되는 높낮이, 좌우 방향의 위치까지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1의 상태에서 도 8과 같은 방식의 케이스회전축(130)을 기준으로 한 회전시에는 상기 엔진은 정지 상태에서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케이블(1300)이 종축 방향을 기준으로 비틀림이 발생하게 된다.
도 8과 같이 프레임(100)이 프레임회전축(1020)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면, 특히 도 7과 같은 회전과 병행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케이블(1300)에는 비틀어지는 힘이 작용하게 되는 바, 케이블(1300)의 유동이 원할하지 않고 케이블(1300)이 꼬아지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케이블(1300)이 꼬이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도 6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1300)의 핀가이드홈(1331)이 90 ~ 180도 정도의 각도 범위로 형성되고, 샤프트연결부(1330) 외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된 핀가이드홈(1331)에 각도조절핀(524)이 끼워지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케이블(1300)을 비트는 힘이 최대한 덜 발생하도록 하여 꼬임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형 피칭 머신은 기본적인 분해 및 조립 상태로 도 2와 같이 일측케이스(300), 타측케이스(400) 및 투척휠(500) 및 일측구동샤프트(510), 타측구동샤프트(520), 플랜지(1500) 등을 연결한 상태에서 일측케이스(300) 및 각도조절휠(200)을 프레임(100)에 연결하여 하나의 어셈블리를 이루고, 마찰블록(700)에 브라켓(600), 연결대(800), 볼투입구(900) 및 볼안내구(1600)을 조립하여 하나의 어셈블리를 이루는 한편, 틸팅하우징(1000), 지지장치(1100)를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하고, 엔진(1200) 및 케이블(1300)을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하여, 각 어셈블리를 승용차의 트렁크 등에 수납한 상태로 야외로 이동하여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화석연료를 연료로 하여 작동하는 엔진(1200)의 힘에 의해 작동되는 바, 휴대형임에도 불구하고 전기 모터로 작동되는 피칭 머신에 비해 훨씬 더 높은 속력을 낼 수 있게 된다.
1 : 볼 100 : 프레임
110 : 수평부 111 : 제1축관통홀
112 : 스토퍼삽입홀 120 : 수직부
121 : 제2축관통홀 122 : 제1휠각도조절홀
130 : 케이스회전축 200 : 각도조절휠
210 : 제3축관통홀 220 : 제2휠각도조절홀
230 : 휠고정핀 240 : 제1케이스고정핀삽입홀
300 : 일측케이스 310 : 수직플레이트부
311 : 블록고정가이드홀 320 : 날개부(320)
330 :절곡부 331 : 제4축관통홀
332 : 제2케이스고정핀삽입홀 340 : 케이스고정핀
400 : 타측케이스 410 : 휠수용공간
420 : 케이스연결볼트 430 : 보조케이스
431 : 개구부 500 : 투척휠
501 : 돌기삽입홀 510 : 일측구동샤프트
520 : 타측구동샤프트 522 : 축부
523 : 조절핀삽입홀 524 : 각도조절핀
525 : 휠연결돌기 530 : 볼안착홈
540 : 휠고정볼트 600 : 브라켓
610 : 브라켓볼트체결홀 611 : 브라켓고정볼트
620 : 블록고정볼트체결홀 630 : 연결대고정볼트체결홀
700 : 마찰블록 710 : 브라켓연결볼트체결홀
720 : 블록고정볼트 730 : 볼가이드홈
800 : 연결대 810 : 제1연결대볼트체결홀
811 : 연결대고정볼트 820 : 제2연결대볼트체결홀
830 : 투입구체결홈 900 : 볼투입구
910 : 끼움돌기 911 : 투입구볼트체결홀
920 : 투입구고정볼트 930 : 투입부
1000 : 틸팅하우징 1010 : 측벽
1011 : 프레임회전축삽입홀 1012 : 프레임고정홀
1020 : 프레임회전축 1030 : 스토퍼
1100 : 지지장치 1110 : 지지판
1120 : 지지다리 1130 : 엔진안착판
1131 : 연결부재 1200 : 엔진
1210 : 연료통 1220 : 관연결부
1221 : 핀체결홀 1300 : 케이블
1310 : 엔진연결부 1311 : 엔진고정핀체결홀
1320 : 엔진고정핀 1330 : 샤프트연결부
1331 : 핀가이드홈 1400 : 컨트롤장치
1500 : 플랜지 1510 : 케이스고정볼트
1600 : 볼안내구

Claims (9)

  1. 볼(1)을 투척하는 피칭 머신에 있어서,
    프레임(100)과;
    상기 볼(1)의 투척방향을 회전축으로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각도조절휠(200)과;
    상기 각도조절휠(200)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며, 내부에 투척휠(5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휠수용공간(410)을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투척휠(500)과 이격되어 투척휠(500)과의 사이로 볼(1)을 마찰시켜 통과시키는 마찰블록(700)과;
    상기 프레임(100)이 틸팅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엔진(1200)이 설치되어 있는 지지장치(1100)와;
    상기 엔진(1200)에서 발생하는 회전 구동력을 투척휠(500)에 전달하는 케이블(1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피칭 머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300)은 내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사각형상의 구동케이블과 이격되어 상기 구동케이블을 감싸는 외부케이블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케이블은 일단에서 엔진고정핀체결홀(1311)이 형성된 엔진연결부(1310)와, 타단에서 90 ~ 180도 각도 범위로 절개된 슬롯 형상의 핀가이드홈(1331)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샤프트연결부(1330)를 포함하고,
    상기 투척휠(500)은 타측구동샤프트(520)에 연결되어 구동되고,
    상기 타측구동샤프트(520)는 플랜지(1500)를 관통하여 상기 사각형상의 구동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플랜지(1500)의 일측에는 조절핀삽입홀(5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피칭 머신.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블록(700)과 상기 투척휠(500)은 모두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마찰블록(700)의 경도가 상기 투철휠(500)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피칭 머신.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케이스고정핀(340)에 의해 각도조절휠(200)에 고정 또는 분리되고, 상기 각도조절휠(200)은 휠고정핀(230)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 상태에서 고정분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피칭 머신.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 상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장방형의 형상을 취한 블록고정가이드홀(3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찰블록(700)은 상부 일측에 블록고정볼트체결홀(620)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600)에 고정되며,
    상기 브라켓(600)은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브라켓볼트체결홀(610)이 형성되어 있어 브라켓고정볼트(611)가 상기 블록고정가이드홀(311)과 브라켓볼트체결홀(610)을 관통하여 연결되되, 블록고정가이드홀(311)을 따라 높이가 조절된 채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피칭 머신.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600)의 상부 타측에는 저부에 투입구체결홈(830)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대(800)가 추가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대(800)의 하부에서 투입구체결홈(830)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910)를 형성하고, 상기 볼이 통과하는 원통형의 관 형상을 이루는 투입부(930)가 형성되어 있는 볼투입구(900)를 구비하고,
    상기 볼투입구(900)의 입구 측에 연결되고, 내부가 빈 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되, 전체적인 형상이 'ㄴ'자로 휘어져 있어 볼을 투입하도록 구성된 볼안내구(160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피칭 머신.
  7.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두 개의 수직부(120)와 하나의 수평부(110)를 포함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부(110) 일측에는 제1축관통홀(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축관통홀(111)과 이격된 위치에 스토퍼삽입홀(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장치(1100)는 틸팅하우징(1000)을 포함하고,
    상기 틸팅하우징(10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수평부(110)을 감싸도록 바닥면 양단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수직 방향으로 두 측벽(1010)이 형성된 "┗┛" 형상을 취하며, 두 측벽(1010)에는 상기 프레임(100) 수평부(110)의 제1축관통홀(111)과 일직선을 이루는 프레임회전축삽입홀(1011)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회전축삽입홀(1011)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갖는 호 형상의 프레임고정홀(1012)이 형성되어 있어 스토퍼(1030)가 상기 스토퍼삽입홀(112)과 프레임고정홀(1012) 상의 임의의 지점을 관통함으로써 프레임(100)이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피칭 머신.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척휠(500)의 일면 중앙에 연결되고 케이블(1300)과 연결되는 타측구동샤프트(520)와;
    상기 투척휠(500)의 타면 중앙에 연결되고 투척휠(500)의 회전을 지지하는 일측구동샤프트(510)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구동샤프트(510)와 타측구동샤프트(520)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중앙에 휠연결돌기(525)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척휠(500)의 중앙에는 상기 휠연결돌기(525)가 결합되는 돌기삽입홀(50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피칭 머신.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1200)은 소형 내연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피칭 머신.
KR1020140141079A 2014-10-17 2014-10-17 휴대형 피칭 머신 KR101485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079A KR101485768B1 (ko) 2014-10-17 2014-10-17 휴대형 피칭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079A KR101485768B1 (ko) 2014-10-17 2014-10-17 휴대형 피칭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768B1 true KR101485768B1 (ko) 2015-01-26

Family

ID=52592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079A KR101485768B1 (ko) 2014-10-17 2014-10-17 휴대형 피칭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7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861B1 (ko) * 2016-11-23 2018-02-0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칭머신 및 이를 이용한 피칭시스템
KR101873651B1 (ko) 2016-10-21 2018-07-03 강수연 피칭 머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6782U (ja) * 2004-07-26 2005-01-20 文豪 李 投球装置
JP2006305041A (ja) * 2005-04-28 2006-11-09 Hiroshi Miyamoto ピッチング装置
KR20120021583A (ko) * 2010-08-10 2012-03-09 주식회사지피에이코리아 엔진 구동 피칭머신
KR101188612B1 (ko) * 2011-11-04 2012-11-28 박용재 피칭 머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6782U (ja) * 2004-07-26 2005-01-20 文豪 李 投球装置
JP2006305041A (ja) * 2005-04-28 2006-11-09 Hiroshi Miyamoto ピッチング装置
KR20120021583A (ko) * 2010-08-10 2012-03-09 주식회사지피에이코리아 엔진 구동 피칭머신
KR101188612B1 (ko) * 2011-11-04 2012-11-28 박용재 피칭 머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651B1 (ko) 2016-10-21 2018-07-03 강수연 피칭 머신
KR101827861B1 (ko) * 2016-11-23 2018-02-0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칭머신 및 이를 이용한 피칭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1904B2 (en) Dynamic group target stand
US8893698B2 (en) System and method to pitch soccer balls
KR101485768B1 (ko) 휴대형 피칭 머신
US7686739B2 (en) Climbing arrangement with climbing surface
CN106861174A (zh) 射击游戏装置及射击游戏方法
CA2730488C (en) Magnetic drive bypass system for paintball loader
US5848945A (en) Powered moveable batting tee
JP2022530387A (ja) 移動ロボット
US10881940B1 (en) Belt driving ball sports training machine
US4531504A (en) Ball expelling device
CN106730749A (zh) 一种网球发射器
US20050103319A1 (en) Variable trajectory kit for a ball pitching mechanism
US20220296982A1 (en) A turning device for a ball launcher
CN204246812U (zh) 位置调节装置及其使用的射击游戏装置
CN109939430A (zh) 一种羽毛球发球机
CN202168140U (zh) 摄像头角度调整装置
CN204159027U (zh) 一种对战玩具坦克
CN101444665A (zh) 一种乒乓球发射器
US6471606B1 (en) Device for creating ball spins
US20120325193A1 (en) Ball throwing machine
JP2006197988A (ja) トスマシーン
KR20120021583A (ko) 엔진 구동 피칭머신
CN110939750A (zh) 一种气动钻机的联锁开关装置
KR101281907B1 (ko) 선풍기의 좌, 우 선회각 조절장치
KR101130348B1 (ko) 피칭 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