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6137A - 공 자동 발사 장치 - Google Patents

공 자동 발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6137A
KR20150146137A KR1020140076224A KR20140076224A KR20150146137A KR 20150146137 A KR20150146137 A KR 20150146137A KR 1020140076224 A KR1020140076224 A KR 1020140076224A KR 20140076224 A KR20140076224 A KR 20140076224A KR 20150146137 A KR20150146137 A KR 20150146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motor
adjusting
uni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필
Original Assignee
문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필 filed Critical 문상필
Priority to KR1020140076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6137A/ko
Publication of KR20150146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1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을 원하는 방향과 속도로 자동으로 발사하여 선수들의 훈련에 사용할 수 있는 공 자동 발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면을 통해 공이 발사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설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휠의 외측에 결합된 회전롤러의 사이로 진입하는 공을 전방을 향해 발사하는 발사부; 상기 바디부를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바디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를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높이 조절부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받침부; 상기 발사부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발사부로 공이 투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된 모터의 전원과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 자동 발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공을 자동으로 발사할 수 있고, 다양한 방향, 각도 및 속도로 쉽게 공을 발사할 수 있어 슈팅, 세트플레이 등 여러 가지 훈련에 반복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조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선수들의 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 자동 발사 장치{Automatic ball launcher}
본 발명은 공 자동 발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을 원하는 방향과 속도로 자동으로 발사하여 선수들의 훈련에 사용할 수 있는 공 자동 발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기종목에서 공을 이용하여 운동하는 선수들은 공격과 수비에 대한 개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감독, 코치 및 다른 선수 등을 포함한 보조자가 공을 손으로 던지거나 발로 차서 선수들에게 제공함으로써 훈련을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공을 공급해 주는 보조자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이러한 보조자는 선수들의 다양한 개인 기술의 향상을 위하여 필요한 위치에 정확하게 공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보조자가 많은 선수들을 상대하면서 반복적으로 일정한 방향과 속도로 공을 손으로 던지거나 발로 차야 되므로, 불편하고, 보조자의 체력이 점점 소모되어 피로도가 증가하며, 정확도가 떨어져 선수들에 대한 지속적인 훈련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을 자동으로 발사하여 선수들의 개인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종류의 발사 장치가 개발되었는데, 스프링 기계를 이용하는 발사 장치, 회전휠을 채용한 발사 장치, 유압을 이용하는 발사 장치, 및 타격을 이용한 발사 장치 등이 있다.
예컨대, 스프링 기계를 이용하는 발사 장치로서, J.G.하워스의 미합중국 특허 3,757,759호에는 자동 변환 진동형 볼 투구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폴에스 지오바그노리의 미합중국 특허 4,524,749에는 스프링형 볼피칭 머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타격을 이용한 발사 장치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9723호에는 본체에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타격대로 구성된 타격부와, 축구공 공급망을 통해 공급되는 축구공을 받치는 공받침대로 구성된 공 공급부와, 타격부, 공급부 및 각도조절모터를 제어하는 제어판으로 이루어진 축구 연습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들 중 스프링을 이용한 발사 장치는 내구성이 떨어지고, 방향과 속도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타격을 이용한 발사 장치는 공을 발사하기 위한 타격과 공의 방향 조절이 각각 개별적인 구성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조작이 불편하며, 공이 공급망을 빠져나와 공받침대로 진입할 때 가이드 내에서 공을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공이 가이드의 외부로 쉽게 이탈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회전휠을 채용한 발사 장치로서, 노만 에스 세라의 미합중국 특허 3,815,567호의 공동휠 볼추진장치와, 후지오 노자토의 미합중국 특허 4,583,514의 볼투구머신에는 회전하는 휠 사이 또는 휠과 플레이트의 사이의 닙(nip)으로 투입되는 공을 발사하는 피칭머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은 다른 구질이나 발사 속도 및 각도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발사 장치의 대규모적인 조정과 재편성을 필요로 하고, 정밀 제어가 곤란하여 효율적인 훈련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축구경기에서 공격 방법으로서 직접적으로 골대를 향해 슈팅을 하여 골인을 시키는 방법과, 골대 주위에 공격자가 배치된 상태에서 공격자의 위치로 정확하게 공을 전달하여 슈팅을 하는 세트플레이를 통하여 골인을 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슈팅 및 세트플레이를 위한 공격 연습을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향, 각도 및 속도로 공을 전달해 줄 발사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공을 자동으로 발사할 수 있고, 다양한 방향, 각도 및 속도로 쉽게 공을 발사할 수 있어 슈팅, 세트플레이 등 여러 가지 훈련에 반복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조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선수들의 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 자동 발사 장치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소형 및 경량으로서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여 어디든지 쉽게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고, 투입된 공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발사대를 통하여 정확히 발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면을 통해 공이 발사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설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휠의 외측에 결합된 회전롤러의 사이로 진입하는 공을 전방을 향해 발사하는 발사부; 상기 바디부를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바디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를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높이 조절부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받침부; 상기 발사부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발사부로 공이 투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된 모터의 전원과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 자동 발사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바디부는, 하측이 개방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면을 통해 공이 통과되는 발사대와, 상기 발사대의 후방의 상·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된 고정판과, 상기 하부 고정판의 하측에 설치된 회동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사부는, 상기 고정판의 양측에 구비된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의 선단부에 고정 결합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모터축의 상단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상에 결합된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의 외주에 결합된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회전롤러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회동브라켓이 삽입 설치되고 회동핀에 의해 상기 회동브라켓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조절브라켓과, 상기 조절브라켓의 내부 수용공간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전방 하부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돌기와, 상기 조절브라켓의 후방에 고정 설치된 조절모터와, 상기 조절모터의 조절모터축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조절볼트와, 일단은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발사대의 수용공간에 구비된 가이드브라켓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조절볼트의 회전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조절편과, 일측은 상기 제1조절편의 중간부에 회동핀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 회동핀에 의해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1조절편을 지지하는 제2조절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회전받침부는, 하측이 개방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면에 회전모터축공과 연결축공이 관통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수용공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모터축공을 관통하는 회전모터축이 연결된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연결축공과 상기 조절브라켓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상부와 상기 회전모터축의 상부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모터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축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타이밍 벨트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선단 양측이 만곡되어 서로 대칭되게 돌출 연장 형성되고 만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가이드홈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의 회전 이동이 가능한 받침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판 상의 양측에 고정 결합되어 투입한 공의 외부 이탈을 단속하는 단속편과, 상기 단속편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가 고정되는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외측에 지지되어 결합되고 투입된 공을 하측에 구비된 상기 발사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후방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구동모터와 조절모터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 스위치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구동모터 스위치와, 상기 조절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조절하는 조절모터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 수신부가 구비되어 리모트 컨트롤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와 조절모터의 전원과 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하여, 상기 제어부는 Wi-Fi 및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수단을 갖춘 휴대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와 조절모터의 전원과 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공을 자동으로 발사할 수 있고, 다양한 방향, 각도 및 속도로 쉽게 공을 발사할 수 있어 슈팅, 세트플레이 등 여러 가지 훈련에 반복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조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선수들의 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형 및 경량으로서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여 어디든지 쉽게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고, 투입된 공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발사대를 통하여 정확히 발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 자동 발사 장치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 자동 발사 장치의 평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 자동 발사 장치의 평면도.
도 3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 자동 발사 장치의 단면도.
도 3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 자동 발사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 자동 발사 장치의 사용 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 자동 발사 장치(1)는 바디부(100)와, 발사부(200)와, 높이조절부(300)와, 회전받침부(400)와, 가이드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부(100)는 상부면을 통해 공이 발사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발사대(110)와 고정판(1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발사대(110)는 하측이 개방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가이드브라켓(111)이 설치되며, 상부면을 통하여 공이 통과되면서 전방으로 발사된다.
상기 발사대(110)의 상부면에는 발사되는 공의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로 된 진행방향표시(1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20)은 상기 발사대(110)의 후방의 상·하부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발사대(110)의 상부에는 상부 고정판(121)이 양측을 향해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발사대(110)의 하부에는 하부 고정판(122)이 양측을 향해 돌출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발사대(110)와 함께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고정판(122)의 하측에 회동브라켓(130)이 설치되어 높이조절부(300)와 연결된다.
상기 발사부(200)는 상기 바디부(100)의 양측에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롤러(270)의 사이로 진입하는 공을 전방을 향해 발사하는 것으로, 회전암(210), 회전축(220), 고정브라켓(230), 구동모터(240), 회전판(250), 구동휠(260) 및 회전롤러(27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암(210)은 회전축(220)을 통하여 상기 고정판(120)의 선단부에 결합되되, 상부편(211), 하부편(212), 상부편(211)과 하부편(212)의 사이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편(2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양측의 상기 회전암(210)은 회전축(220)을 축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회전롤러(270) 사이인 닙(N)의 간격을 공의 크기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230)은 상기 회전암(210)의 선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230)에 회전하는 구동모터축(241)이 연결된 구동모터(24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회전판(250)은 상기 구동모터(240)의 구동모터축(241)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4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상기 구동휠(260)은 상기 회전판(250) 상에 고정볼트(261)를 통하여 견고하게 결합되고,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판(250)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240)의 구동력을 회전롤러(270)로 전달한다.
상기 회전롤러(270)는 상기 구동휠(260)의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휠(260)과 함께 회전하고, 가이드부(500)에 의해 가이드되어 한 쌍의 회전롤러(270)의 사이인 닙(N)으로 투입된 공을 전방을 향해 발사한다.
이때, 상기 회전롤러(270)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경량이고, 표면 마찰이 증가하여 미끄럼이 방지되므로 공을 원하는 방향과 각도 및 속도로 정확하게 발사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우수하다.
더불어, 상기 고정브라켓(230)의 상부에 회전롤러보호판(S)이 더 구비될 수 있어 상기 회전롤러보호판(S)은 상기 회전롤러(270)의 외측 일부를 감싸 외부 충격으로 인한 상기 회전롤러(270)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상기 바디부(100)를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바디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을 이루며, 조절브라켓(310), 지지대(320), 조절모터(330), 조절볼트(340) 및 조절편(3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브라켓(310)은 내부 수용공간에 상기 바디부(100)의 회동브라켓(130)이 삽입 설치되어 상기 바디부(100)를 지지하고, 회동핀(P)에 의해 상기 회동브라켓(130)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지지대(320)는 상기 조절브라켓(310)의 내부 수용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고정 설치되고, 전방 하부에 한 쌍의 가이드돌기(32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조절모터(330)는 상기 조절브라켓(310)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고, 회전하는 조절모터축(331)을 구비한다.
상기 조절볼트(340)는 상기 조절모터(330)의 조절모터축(331)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편(350)은 일단은 상기 조절볼트(340)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발사대(110)의 수용공간에 구비된 가이드브라켓(111)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조절모터(330)가 구동되어 상기 조절볼트(34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볼트(340)의 회전에 따라 제1조절편(351)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일측은 상기 제1조절편(351)의 중간부에 회동핀(P)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대(320)의 선단에 회동핀(P)에 의해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1조절편(351)을 지지하는 제2조절편(352)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발사대(110)와의 상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됨으로써, 상기 발사대(11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받침부(400)는 상기 높이조절부(300)을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높이조절부(3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회전을 조절하는 구성을 이루며, 받침대(410), 회전모터(420), 연결축(430), 타이밍벨트(440) 및 받침판(4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410)는 하측이 개방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면에 회전모터축공(411)과 연결축공(41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회전모터(420)는 상기 받침대(410)의 수용공간에 고정 설치되고, 회전하는 회전모터축(421)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모터축(421)은 상기 회전모터축공(411)을 관통한다.
상기 연결축(430)은 상기 회전모터(420)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연결축공(421)과 상기 조절브라켓(310)을 관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회전모터축(421)의 상부와 상기 연결축(430)의 상부는 타이밍 벨트(44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터축(4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축(43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축(430)과 연결된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상기 받침판(450)은 상기 받침대(4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선단 양측이 만곡되어 서로 대칭되게 돌출 연장 형성되며, 만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45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451)에 상기 가이드돌기(321)가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상기 가이드홈(451)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500)는 상기 발사부(200)의 후방의 고정판(120) 상에 결합되어 상기 발사부(200)로 공이 투입되도록 가이드하며, 가이드브라켓(510), 가이드레일(520) 및 손잡이(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브라켓(510)은 상기 고정판(120) 상의 양측에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고정 결합되어 투입된 공의 외부 이탈을 단속하는 단속편(511)과, 상기 단속편(511)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520)의 내측에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는 지지편(512)과, 상기 지지편(512)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600)가 고정되는 고정편(5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530)는 상기 가이드레일(520)의 상부에 연결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530)의 높이를 원하는 만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마치 여행용 캐리어의 이동손잡이에 적용된 것과 같이 상부바의 하측에 다단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지지간이 연결되어, 상기 상부바를 누르거나 당겨서 다단이 지지간으로 이루어진 상기 손잡이(530)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가이드브라켓(510)의 고정편(513)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바디부(100)에 설치된 모터의 전원과 동작을 제어하고, 전원스위치(610), 구동모터 스위치(620) 및 조절모터 스위치(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스위치(610)는 양측의 상기 구동모터(240)와 조절모터(330)의 전원을 각각 온/오프 시키는 것이고, 상기 구동모터 스위치(620)는 상기 구동모터(24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며,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 스위치(620)는 좌·우 양측에 구비된 구동모터(240)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모터 스위치(630)는 상기 조절모터(330)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600)는 무선 수신부가 구비되어 리모트 컨트롤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240)와 조절모터(330)의 전원과 동작의 제어가 무선으로 제어가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Wi-Fi 및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수단을 갖춘 휴대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와 조절모터의 전원과 동작의 제어도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 자동 발사 장치(1)의 작용에 관하여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축구공을 사용하여 세트플레이를 위한 공격 연습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먼저 보조자는 공 자동 발사 장치(1)를 바퀴(W)를 이용하여 공(B)이 발사될 페널티박스 부근이나 코너로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 전 또는 이동 후에, 양측의 회전암(210)을 회전축(220)을 축으로 하여 회전시켜서 닙(N)의 간격을 축구공의 크기에 맞게 조절한다.
그리고, 보조자는 제어부(600)의 전원스위치(610)를 온 시키고, 조절모터(330)가 조절모터축(33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조절모터 스위치(630)를 조작하여, 제1조절편(351)의 일단이 조절볼트(340) 상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하여, 지지대(320)와 발사대(110)와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발사대(110)의 높이를 상승시켜 발사대(110)의 발사 각도를 조정한다.
다음에, 구동모터 스위치(620)를 조작하여 구동모터(24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공의 속도를 조절하고, 이때 좌·우 양측에 구비된 구동모터(24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되 양측 구동모터(240)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조절하여 공격자에게 스핀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공격자가 골대를 향해 슈팅을 하는 것을 막는 골키퍼 훈련을 하기 위해서는 보조자는 다시 공 자동 발사 장치(1)를 바퀴(W)를 이용하여 공(B)이 발사될 페널티박스 부근으로 이동시키고, 조절모터(330)가 조절모터축(331)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조절모터 스위치(630)를 조작하여, 제1조절편(351)의 일단이 조절볼트(340) 상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하여, 지지대(320)와 발사대(110)와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발사대(110)의 높이를 하강시켜 슈팅에 맞는 발사 각도를 조정하며, 구동모터 스위치(620)를 조작하여 구동모터(24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슈팅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때 좌·우 양측에 구비된 구동모터(24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되 양측 구동모터(240)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조절하여 골키퍼에게 스핀킥을 전달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공 자동 발사 장치(1)는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공을 자동으로 발사할 수 있고, 다양한 방향, 각도 및 속도로 쉽게 공을 발사할 수 있어 슈팅, 세트플레이 등 여러 가지 훈련에 반복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조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선수들의 기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소형 및 경량으로서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여 어디든지 쉽게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고, 투입된 공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발사대를 통하여 정확히 발사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공 자동 발사 장치 100. 바디부 110. 발사대
111. 가이드브라켓 112. 진행방향표시 120. 고정판
121. 상부 고정판 122. 하부 고정판 130. 회동브라켓
200. 발사부 210. 회전암 211. 상부편
212. 하부편 213. 연결편 220. 회전축
230. 고정브라켓 240. 구동모터 241. 구동모터축
250. 회전판 260. 구동휠 261. 고정볼트
270. 회전롤러 300. 높이조절부 310. 조절브라켓
320. 지지대 321. 가이드돌기 330. 조절모터
331. 조절모터축 340. 조절볼트 350. 조절편
351. 제1조절편 352. 제2조절편 400. 회전받침부
410. 받침대 411. 회전모터축공 412. 연결축공
420. 회전모터 421. 회전모터축 430. 연결축
440. 타이밍벨트 450. 받침판 451. 가이드홈
500. 가이드부 510. 가이드브라켓 511. 단속편
512. 지지편 513. 고정편 520. 가이드레일
530. 손잡이 600. 제어부 610. 전원스위치
620. 구동모터 스위치 630. 조절모터 스위치 B. 공
N. 닙(nip) P. 회동핀 S. 회전롤러보호판
W. 바퀴

Claims (10)

  1. 상부면을 통해 공이 발사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설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휠의 외측에 결합된 회전롤러의 사이로 진입하는 공을 전방을 향해 발사하는 발사부;
    상기 바디부를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바디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를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높이 조절부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받침부;
    상기 발사부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발사부로 공이 투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된 모터의 전원과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 자동 발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하측이 개방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면을 통해 공이 통과되는 발사대와, 상기 발사대의 후방의 상·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된 고정판과, 상기 하부 고정판의 하측에 설치된 회동브라켓을 포함하는 공 자동 발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부는, 상기 고정판의 양측에 구비된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의 선단부에 고정 결합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모터축의 상단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상에 결합된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의 외주에 결합된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공 자동 발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자동 발사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회동브라켓이 삽입 설치되고 회동핀에 의해 상기 회동브라켓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조절브라켓과, 상기 조절브라켓의 내부 수용공간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전방 하부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돌기와, 상기 조절브라켓의 후방에 고정 설치된 조절모터와, 상기 조절모터의 조절모터축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조절볼트와, 일단은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발사대의 수용공간에 구비된 가이드브라켓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조절볼트의 회전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조절편과, 일측은 상기 제1조절편의 중간부에 회동핀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 회동핀에 의해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1조절편을 지지하는 제2조절편을 포함하는 공 자동 발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받침부는, 하측이 개방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면에 회전모터축공과 연결축공이 관통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수용공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모터축공을 관통하는 회전모터축이 연결된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연결축공과 상기 조절브라켓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상부와 상기 회전모터축의 상부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모터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축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타이밍 벨트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선단 양측이 만곡되어 서로 대칭되게 돌출 연장 형성되고 만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가이드홈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의 회전 이동이 가능한 받침판을 포함하는 공 자동 발사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판 상의 양측에 고정 결합되어 투입한 공의 외부 이탈을 단속하는 단속편과, 상기 단속편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가 고정되는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외측에 지지되어 결합되고 투입된 공을 하측에 구비된 상기 발사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공 자동 발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후방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구동모터와 조절모터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 스위치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구동모터 스위치와, 상기 조절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조절하는 조절모터 스위치를 포함하는 공 자동 발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 수신부가 구비되어 리모트 컨트롤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와 조절모터의 전원과 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자동 발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Wi-Fi 및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수단을 갖춘 휴대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와 조절모터의 전원과 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자동 발사 장치.
KR1020140076224A 2014-06-23 2014-06-23 공 자동 발사 장치 KR20150146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224A KR20150146137A (ko) 2014-06-23 2014-06-23 공 자동 발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224A KR20150146137A (ko) 2014-06-23 2014-06-23 공 자동 발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137A true KR20150146137A (ko) 2015-12-31

Family

ID=55128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224A KR20150146137A (ko) 2014-06-23 2014-06-23 공 자동 발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613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688B1 (ko) * 2016-06-08 2016-11-18 황인헌 공 자동 발사 장치
KR101721553B1 (ko) * 2016-10-13 2017-03-30 허태부 볼 자동 슈팅 머신
CN107213614A (zh) * 2017-07-14 2017-09-29 钟志勇 一种自动射球机
WO2018151584A1 (ko) * 2017-02-14 2018-08-23 주식회사 클라우드게이트 피칭 장치
KR102025241B1 (ko) 2019-04-04 2019-09-25 최유식 공 발사기
KR20190002615U (ko) 2018-04-11 2019-10-21 김춘순 축구공 발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688B1 (ko) * 2016-06-08 2016-11-18 황인헌 공 자동 발사 장치
KR101721553B1 (ko) * 2016-10-13 2017-03-30 허태부 볼 자동 슈팅 머신
WO2018151584A1 (ko) * 2017-02-14 2018-08-23 주식회사 클라우드게이트 피칭 장치
CN107213614A (zh) * 2017-07-14 2017-09-29 钟志勇 一种自动射球机
CN107213614B (zh) * 2017-07-14 2023-09-15 钟志勇 一种自动射球机
KR20190002615U (ko) 2018-04-11 2019-10-21 김춘순 축구공 발사장치
KR102025241B1 (ko) 2019-04-04 2019-09-25 최유식 공 발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46137A (ko) 공 자동 발사 장치
KR101434251B1 (ko)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KR101721553B1 (ko) 볼 자동 슈팅 머신
US20070149326A1 (en) Ball receiving and launching machine
KR10191505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20070072704A1 (en) Batting trainer for inexperienced players
WO2015089140A1 (en) Ball launching device
KR10173105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677688B1 (ko) 공 자동 발사 장치
KR10094346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760132B1 (ko) 배드민턴 셔틀콕 다방향 자동발사장치
US9579554B1 (en) System and method to pitch balls using one powered wheel
KR20120127891A (ko) 슈팅 놀이기구
KR101815131B1 (ko) 이동간 연습볼 자동 슈팅 머신
KR101965644B1 (ko) 공 자동 발사 장치
KR20150002652U (ko) 축구훈련장비
KR20200119104A (ko) 공 발사 장치
KR101508523B1 (ko) 자동궤적설정을 위한 피칭 머신
KR100506810B1 (ko) 공 발사 장치
US10688370B2 (en) Training device for ball sports
GB2518362A (en) New UK Patent Application in the name of Paul J Gainford "Ball Curler"
KR20100038860A (ko) 퍼팅 연습장치
CN110124292A (zh) 一种足球技能训练用发射器
KR101983783B1 (ko) 다양한 구종 및 구질을 구현 가능한 피칭 머신
KR200332244Y1 (ko) 스쿼시 볼 자동 발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