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573A - 골프 스윙 연습기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573A
KR20180009573A KR1020160091451A KR20160091451A KR20180009573A KR 20180009573 A KR20180009573 A KR 20180009573A KR 1020160091451 A KR1020160091451 A KR 1020160091451A KR 20160091451 A KR20160091451 A KR 20160091451A KR 20180009573 A KR20180009573 A KR 20180009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s
fixing
rail
swing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4784B1 (ko
Inventor
우강섭
윤태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엔씨
윤태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엔씨, 윤태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엔씨
Priority to KR1020160091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78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63B69/36211Mechanical guides guiding the club head end during the complete swing, e.g. rails
    • A63B69/3644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채가 제1가이드레일과 제2가이드레일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실제 타격과 같은 스윙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루하지 않고 오랜 시간 연습할 수 있게 하고, 골퍼의 신체특성에 따라 바람직한 스윙자세가 나올 수 있도록 스윙궤도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연습기{TRAINING DEVICE FOR GOLF SWING}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채가 제1가이드레일과 제2가이드레일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현실감을 느끼면서 스윙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루하지 않고 오랜 시간 연습할 수 있게 하고, 골퍼의 신체특성에 따라 바람직한 스윙자세가 나올 수 있도록 스윙궤도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골프(golf)는 코스 위에 정지하여 있는 볼을 클럽으로 쳐서 정해진 홀에 넣어 그때까지 소요된 타수로 우열을 겨루는 경기로, 자연 속에서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서 점차로 대중화되고 있는 추세임에 반하여, 골프를 즐길 수 있는 골프장은 대부분이 교외에 위치하고 있음은 물론 그 이용료가 매우 비싸서, 많은 연습이 요구되는 골프 입문자 및 시간이나 경제력이 부족한 사람들에게는 적절한 대체 연습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타격 자세에 의해 타구의 방향이 결정되므로 올바른 자세습득이 대단히 요구되며, 힘과 세심한 기교를 동시에 필요하므로 반복연습이 다른 스포츠에 비해 더욱 많이 요구되는 스포츠이다.
하지만, 개인이 스스로 올바른 자세를 습득하기란 대단히 곤란하여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교습을 받게 되는데, 이 또한 지도자의 자질에 따라 차이가 많이 발생하게 되며, 한번 잘못 습득한 자세는 교정이 힘들어서 처음 시작이 대단히 중요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하기에 예시한 선행기술문헌에서처럼 다수의 스윙 연습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스윙 연습기들은 골프공을 멀리 그리고 정확하게 타격하기 위한 스윙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하나의 호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골퍼가 골프채를 가이드레일에 대고 이를 따라 인위적으로 힘을 주면서 스윙연습을 하도록 구성된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올바른 스윙 자세를 몸에 익히기 매우 어려웠고, 골퍼의 신체조건에 맞춰 스윙 구도를 조정하지 못하여 다양한 신체조건을 갖는 골퍼들을 모두 충족시킬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스위 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고가의 스윙 연습기들은 비용이 비싼 것도 문제지만 구조도 매우 복잡하여 설치 사용하기도 어렵고, 고장나기도 쉬워 유지 보수상 한계도 가지고 있다.
더구나, 백 스윙을 고려한 스윙 궤도를 정확하게 교정할 수 있는 올바른 자세 교정용이면서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저렴한 골프 스윙 연습기는 개시된 바 없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18410호(2010-11-05) '골프스윙연습기'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63640호(2013-05-06) '골프스윙연습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77340호(2004-09-04) '골프 스윙 연습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08343호(2014-09-05) '골프 풀스윙 연습장치' 대한민국 실용 등록번호 제20-0244763호(2001-08-20) '골프스윙연습기' 대한민국 실용 등록번호 제20-0259041호(2001-12-17) '골프자세 교정 및 연습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골프채가 제1가이드레일과 제2가이드레일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현실감을 느끼면서 스윙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루하지 않고 오랜 시간 연습할 수 있게 하고, 골퍼의 신체특성에 따라 바람직한 스윙자세가 나올 수 있도록 스윙궤도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반원형상을 갖고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나란하게 배열된 한 쌍의 제1,2가이드레일; 상기 제1,2가이드레일의 상단을 연결 고정하는 고정블럭; 상기 고정블럭을 지지하는 고정포스트; 일단은 상기 고정포스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연결된 탄성고정바;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단부를 지지하면서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1레일고정대;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단부를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레일고정바를 갖고 바닥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2레일고정대;를 포함하고, 링 형태인 제1,2가이드레일 사이에 골프채가 들어가고, 한쪽으로 클럽헤드가 돌출된 형태에서 제1,2가이드레일을 따라 스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블럭에는 일정간격을 갖고 상기 제1,2가이드레일의 각 단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U형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U형관에는 일정간격을 갖는 다수의 위치조절구멍이 길이방향으로 더 형성되며, 상기 제1,2가이드레일의 각 단부에는 상기 위치조절구멍과 일치되는 구멍을 형성한 상태에서 고정볼트를 끼운 후 상기 위치조절구멍 중 하나에 체결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1레일고정대와 상기 제2레일고정대는 한 몸체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1,2가이드레일의 길이 일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제1,2가이드레일을 서로 마주보고 흡인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1,2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제1,2자석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양측에는 회전축이 직경방향으로 관통고정되며, 제1가이드레일이 제2가이드레일을 바라보는 쪽 일부 면은 절개되고, 절개된 공간을 통해 회동바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동바의 타단은 제2가이드레일에 접촉지지된 상태에서 회전축 양측이 스프링에 걸려 회동바가 항상 제2가이드레일을 향해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는 상태로 스윙 연습을 할 수 있으므로 골퍼의 스윙자세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게 하며 골퍼들의 신체조건을 고려하여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어 스윙궤도를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두 개의 가이드레일 사이에 골프채를 삽입한 채로 스윙을 하기 때문에 골프채가 가이드레일에서 이탈할 염려가 없으며, 상부고정프레임을 이용하여 높이조절을 하고 높이조절을 함에 따라 휘어질 수 있는 가이드레일의 각도를 연결부재가 조절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의 사용예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의 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를 구성하는 제1,2가이드레일의 변형예를 보인 예시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를 이용하여 실제 타격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또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는 실제 타격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루하지 않고 오랜 시간 연습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골퍼의 신체특성에 따라 바람직한 스윙자세가 나올 수 있도록 스윙궤도를 교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한 쌍의 제1,2가이드레일(100,2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2가이드레일(100,200)은 대략 반원형상을 갖는 파이프로서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이격된 채 배치된다.
특히, 상기 제1,2가이드레일(100,200)의 상단은 이들이 원을 이루었을 때 상부정점을 지난 지점에서 고정블럭(300)에 의해 고정된다.
때문에, 상기 제1,2가이드레일(100,200)은 상기 고정블럭(300)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데, 이 간격은 골프채, 즉 클럽샤프트를 끼울 수 있고, 클럽헤드는 빠져나오지 못하는 범위면 족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전 선행기술들과 달리 클럽샤프트를 상기 제1,2가이드레일(100,200) 사이의 공간에 끼워 통과시킨 후 클럽헤드가 제1,2가이드레일(100,200)의 외주면에 걸린 상태에서 이를 따라 활주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스윙을 할 때 큰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럽게 정해진 곡률을 그리게 하고, 이것을 반복 숙달케 함으로써 정교한 자세교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상기 고정블럭(300)은 제1,2가이드레일(100,200)이 그리는 원의 상부정점을 지난 지점에 있기 때문에 오버스윙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더 효과적인 스윙 자세 교정이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종래에는 대부분 원형상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이므로 오버스윙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없었다.
이에 더하여, 도 4의 예시와 같이, 상기 고정블럭(300)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조립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더욱 더 효과적이고 정확하면서 정교한 자세 교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블럭(300)에는 일정간격을 갖고 상기 제1,2가이드레일(100,200)의 각 단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U형관(U type pipe)(310)을 구비하고, 상기 U형관(310)에는 일정간격을 갖는 다수의 위치조절구멍(3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가이드레일(100,200)의 각 단부에는 상기 위치조절구멍(312)과 일치되는 구멍을 형성한 상태에서 고정볼트(314)를 끼운 후 상기 위치조절구멍(312) 중 하나에 체결함으로서 상기 고정블럭(300)이 방지할 오버스윙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블럭(300)은 메인지지구(320)를 통해 고정포스트(330) 상에 견고히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포스트(330)는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는데, 도 1과 도 2에 그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포스트(330)의 하단에는 안정적인 고정 지지를 위해 머리가 절단된 원추형상의 무게중심구(332)가 연결되고, 상기 무게중심구(332)의 하단면 중심에는 도 2에 확대 도시한 단면도에서와 같이 끼움구(334)가 돌출된다.
아울러, 상기 무게중심구(332)의 하측에는 조절판(340)이 후술될 제2레일고정대(220)와 마주보고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조절판(340)의 상면에는 일직선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위치고정홈(342)이 요입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위치고정홈(342)은 상기 끼움구(334)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다단 단차진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끼움구(334)도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예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위치고정홈(342)을 레일 형태로 구성하여 끼움구(334)로 하여금 레일을 타고 이동하면서 위치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고, 그 외 또다른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도 가능하나 일일이 열거하고 도시 설명할 수 없으므로 도 1의 예시로 갈음한다.
특히, 상기 조절판(340)에 형성된 위치고정홈(342)은 도 1에서 별도 예시한 바와 같이, 위치고정홈(342)의 위치마다 '드라이버, 3번우드, 5번우드, .....' 등과 같이 사용할 클럽명을 표시해 두면 해당 클럽으로 스윙 연습시 고정포스트(330)의 위치가 원하는 위치, 예를 들어 '드라이버'로 연습하고자 할 때 고정포스트(330)가 드라이버 위치에 있도록 해당 위치고정홈(342)에 끼움구(334)를 끼우게되면 제1,2가이드레일(100,200)이 드라이버 스윙에 적합하도록 비틀려 휘어진 상태, 즉 스윙 연습용 아크를 만들게 되므로 스윙 자세를 완벽하게 교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지지구(320)는 곡률을 갖는 곡관 형태가 바람직한데, 이것은 골프 클럽을 휘두를 때 충격이 발생하므로 이를 탄성적으로 완충시킴으로써 원활한 스윙 연습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구나, 상기 메인지지구(320)의 하단을 상기 고정포스트(330)에 끼워지게 한 후 고정구(미도시)로 체결시킴으로써 도 2에서와 같이, 필요에 따라 메인지지구(320)를 빼내어 높이조절가능하게 하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하기 쉽다.
그리고, 상기 제1,2가이드레일(100,200) 중 어느 하나는 기준이 되도록 견고히 고정되어야 하므로 상기 고정포스트(330)의 길이 일부로부터 연장된 탄성고정바(110)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고정바(110)의 단부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00)에 결속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고정바(110)의 연결 접속지점은 골프 클럽이 스윙하면서 지나갈 때 간섭되지 않아야 하므로 바깥을 향한 외주면에 접속 고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탄성고정바(110)를 사용하는 이유, 즉 리지드(Rigid)하게 고정하니 아니하고 탄성을 갖도록 하는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클럽이 부딪히거나 충격을 가했을 때 제1,2가이드레일(100,200)이 탄성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 완충하도록 하여 충격량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제1,2가이드레일(100,200)의 변형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고정포스트(330)의 위치조절, 즉 위치가변에 따라 탄성고정바(110)도 움직여야 하므로 신축성있게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텔레스코프 형태로 인출입가능하고 양단에 스프링이 내장되어 탄성적으로 당기고 밀도록 구성하면 더욱 좋다.
아울러, 상기 제1가이드레일(100)의 하단은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1레일고대(120)를 통해 고정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1레일고정대(120)는 직접 제1가이드레일(100)을 고정할 수도 있고, 도 2에서처럼 곡률을 갖는 곡률지지바(122)를 통해 탄성적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10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2가이드레일(200)는 하단부만 레일고정바(210)를 통해 고정되는데, 상기 레일고정바(210)는 한 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곡률을 가진 상태에서 고정지지토록 하여 탄성 완충력을 구비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더구나, 상기 레일고정바(210)는 제2레일고정대(220) 상에 지지된 채 고정되도록 하고, 제2레일고정대(220)는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배치 고정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렇게 구성된 골프 스윙 연습기를 이용하여 스윙 연습을 할 때는 도 3과 같이 제1,2가이드레일(100,200) 사이에 클럽샤프트를 끼우고 클럽헤드가 제1,2가이드레일(100,200) 사이의 바깥쪽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스윙을 하게 되면 항상 스윙되는 경로가 일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스윙 연습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오버스윙도 막을 수 있어 정교하고 올바른 스윙 연습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도 2와 도 3에서는 구성의 일부를 생략한 채 주요 부분만 예시적으로 도시하였기 때문에 주된 설명은 도 1을 참고하고, 도 2,3은 보조적으로 이해하면 된다.
아울러, 상기 제1,2가이드레일(100,200)는 상하방향으로 볼 때 약간 경사지면서 휘어지게 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스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제1,2레일고정대(120,220)의 위치를 옮겨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레일고정대(120,220)의 위치 이동을 쉽게 하기 위해 도 4에서와 같이, 이들을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와 같이 일체로 구성하게 되면 위치 이동의 편리성과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스윙시 클럽헤드가 끝까지 빠져나가지 못하고 걸리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 부분은 클럽헤드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방향으로 충분히 큰 요홈을 상기 제1레일고정대(120)의 표면에 형성하면 쉽게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 도 5의 예시와 같이 제1,2가이드레일(100,200)의 상호 간격이 클럽 스윙시 항상 안정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간격유지수단(4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것은 제1가이드레일(100)에 비해 상대적으로 2지점만 고정된 제2가이드레일(200)이 클럽샤프트를 강하게 당길 때 벌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것마저 완벽하게 차단하여 보다 완벽한 스윙 교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간격유지수단(400)이 설치되었다고 해서 클럽샤프트가 지나가지 못하면 안되기 때문에 상기 간격유지수단(400)는 좀 독특한 구성을 갖는다.
예컨대,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수단(400)은 상기 제1,2가이드레일(100,200)의 길이 일부 혹은 다수 곳에는 서로 마주보고 흡인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1,2자석(M1,M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2자석(M1,M2)은 자력이 강한 네오븀자석을 사용토록 하여 제1,2가이드레일(100,200)이 쉽게 떨어지지 않고 항상 강한 자력으로 당겨지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2자석(M1,M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100)의 양측에는 회전축(R1,R2)이 직경방향으로 관통고정되고, 제1가이드레일(100)의 일부, 즉 상기 제2가이드레일(200)을 마주보고 있는 쪽 일부 면은 절개되어 있으며, 그 절개된 공간을 통해 회동바(BA1,BA2)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R1,R2)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걸려 있어 상기 회동바(BA1,BA2)가 움직이면 스프링은 항상 상기 회동바(BA1,BA2)를 도시된 예처럼 항상 제2가이드레일(20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정렬시키게 된다.
즉, 골프채를 스윙할 때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할 때, 클럽샤프트는 먼저 첫번째 회동바(BA1)를 타격하게 된다.
그러면, 첫번째 회동바(BA1)는 도시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올라가 클럽샤프트가 지나갈 수 있도록 개방되게 된다.
이때, 제1,2자석(M1,M2)이 당기는 힘이 강하게 작용하여 제1,2가이드레일(100,200)을 서로 당겨 흡착되려고 하지만, 두번째 회동바(BA2)는 제1,2가이드레일(100,200) 사이에 걸쳐진 상태로 서로 가까워지려는 것을 억제하고 있으므로 제1,2가이드레일(100,200)은 벌어지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후, 클럽샤프트가 첫번째 회동바(BA1)를 완전히 통과하면 첫번째 회동바(BA1)는 스프링의 복귀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돌아와 제1,2가이드레일(100,20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그런 다음, 클럽샤프트가 두번째 회동바(BA2)를 타격하면서 첫번째 회동바(BA1)를 통과할 때와 동일한 양상으로 두번째 회동바(BA2)를 통과하게 되면 이번에는 첫번째 회동바(BA1)가 자력에 의해 제1,2가이드레일(100,200)의 흡착을 억제하기 때문에 제1,2가이드레일(100,200)은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클럽샤프트는 큰 문제없이 원활하게 제1,2가이드레일(100,200) 사이를 활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2가이드레일(100,200)은 도 6의 예시와 같이, 각각 다수개로 분절하여 몇개의 조각으로 나누고, 각 조각들은 끼움연결구(500)를 통해 끼워져 서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하나의 제1가이드레일(100) 혹은 제2가이드레일(200)을 만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분절하여 가이드레일을 구성하는 이유는 제1,2레일고정대(120,220)를 이동시켜 가이드레일의 경사도를 조절할 때 가이드레일이 휘거나 엇갈려 어긋나는 것을 최대한 완충시켜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경사도 조절을 위해 당겨질 때 비틀림이 발생되면 끼움연결구(500)를 사이에 두고 위, 아래 분절된 레일조각들이 회전되면서 비틀림을 해소시키게 되어 휨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끼움연결구(500)의 둘레면에는 홈(510)을 두고, 제1,2가이드레일(100,200)의 각 분절부 내주면에는 상기 홈(51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DLT)를 두어 상호 끼움되게 하면 더욱 더 안정적인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도 7의 예시와 같이 제1레일고정대(120)가 제2레일고정대(220)와 일체로 이루어진 경우, 제1,2가이드레일(100,200)이 통과하는 직하방 위치의 제1레일고정대(120) 상에는 실린더와 같은 수단에 의해 시퀀스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몰되는 출몰로드(600)를 구비하고, 상기 출몰로드(600)의 상단에는 접시형 볼컵(610)을 고정하며, 상기 접시형 볼컵(610)에는 골프공이 안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연습자가 연습위치로 들어서면 온도센서나 근접센서 등을 이용하여 센싱한 후 출몰로드(600)를 상승시켜 골프공을 안착시킬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혹은 골프공 자동 공급 구조라면 자동으로 골프공이 위치되게 된다.
그러면, 연습자가 스윙할 때 골프공을 실제로 타격할 수 있어 타격감은 물론 타격시 충격량 등을 실제로 가늠해 볼 수 있어 비거리 향상에도 도움을 주게 된다.
이 경우에도 골프공을 자동으로 접시형 볼컵(610)에 공급하는 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들 수단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출몰로드(600)의 존재로 인해 골프샤프트를 제1,2가이드레일(100,200) 사이로 끼우기 어려울 수 있다. 즉, 제1,2가이드레일(100,200)의 하단은 개방된 구조이므로 출몰로드(600)가 없을 때는 끼우기 쉬웠으나 출몰로드(600)의 존재로 인해 끼우기 어려운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물론, 출몰로드(600)가 하강된 상태일 때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상승되어 있는 경우라면 문제가 되므로 이를 배제시킬 구성도 포함시키는 것이 안전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토션스프링을 이용하여 간단한 힌지식 잠금구조를 갖춘 카라비너를 응용하여, 제1,2가이드레일(100,200) 중 어느 하나의 길이 일부를 절단하고, 절단 부위를 힌지식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힌지축에 토션스프링을 끼워 항상 잠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구성하면 클럽샤프트를 끼울 때는 그냥 밀어 끼우고, 끼워진 후에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자동 잠금되므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다만, 카라비너에 적용된 힌지식 잠금구조는 너무 일반적이라 아주 간단히 단면 형태로 참고를 위해 부분 도시하였다.
100: 제1가이드레일 200: 제2가이드레일
300: 고정블럭 400: 간격유지수단

Claims (4)

  1. 반원형상을 갖고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나란하게 배열된 한 쌍의 제1,2가이드레일;
    상기 제1,2가이드레일의 상단을 연결 고정하는 고정블럭;
    상기 고정블럭을 지지하는 고정포스트;
    일단은 상기 고정포스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연결된 탄성고정바;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단부를 지지하면서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1레일고정대;
    상기 제2가이드레일의 단부를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레일고정바를 갖고 바닥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2레일고정대;를 포함하고, 링 형태인 제1,2가이드레일 사이에 골프채가 들어가고, 한쪽으로 클럽헤드가 돌출된 형태에서 제1,2가이드레일을 따라 스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에는 일정간격을 갖고 상기 제1,2가이드레일의 각 단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U형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U형관에는 일정간격을 갖는 다수의 위치조절구멍이 길이방향으로 더 형성되며, 상기 제1,2가이드레일의 각 단부에는 상기 위치조절구멍과 일치되는 구멍을 형성한 상태에서 고정볼트를 끼운 후 상기 위치조절구멍 중 하나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고정대와 상기 제2레일고정대는 한 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가이드레일의 길이 일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제1,2가이드레일을 서로 마주보고 흡인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1,2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제1,2자석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양측에는 회전축이 직경방향으로 관통고정되며, 제1가이드레일이 제2가이드레일을 바라보는 쪽 일부 면은 절개되고, 절개된 공간을 통해 회동바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동바의 타단은 제2가이드레일에 접촉지지된 상태에서 회전축 양측이 스프링에 걸려 회동바가 항상 제2가이드레일을 향해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KR1020160091451A 2016-07-19 2016-07-19 골프 스윙 연습기 KR101864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451A KR101864784B1 (ko) 2016-07-19 2016-07-19 골프 스윙 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451A KR101864784B1 (ko) 2016-07-19 2016-07-19 골프 스윙 연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573A true KR20180009573A (ko) 2018-01-29
KR101864784B1 KR101864784B1 (ko) 2018-06-05

Family

ID=61028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451A KR101864784B1 (ko) 2016-07-19 2016-07-19 골프 스윙 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7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831A (ko) * 2021-03-15 2022-09-22 주식회사 에스유엔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
KR102497348B1 (ko) * 2022-03-30 2023-02-08 이승구 골프 스윙 연습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763Y1 (ko) 2001-04-02 2001-10-10 김부양 골프스윙연습기
KR200259041Y1 (ko) 2001-09-04 2002-01-04 (주) 부성케미칼 골프자세 교정 및 연습기
KR20040077340A (ko) 2003-02-28 2004-09-04 박진상 골프 스윙 연습기
KR20090004672U (ko) * 2007-11-13 2009-05-18 김성태 골프 스윙연습기
KR20100096592A (ko) * 2009-02-25 2010-09-02 유무영 골프스윙 연습장치
KR20100118410A (ko) 2009-04-28 2010-11-05 김명두 골프스윙연습기
KR20120098984A (ko) * 2012-04-06 2012-09-06 (주)엠씨텍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1212883B1 (ko) * 2011-06-17 2013-01-09 김대영 골프 타격 연습기
KR101263640B1 (ko) 2013-01-31 2013-05-10 최태호 골프스윙연습기
KR20140108343A (ko) 2012-02-02 2014-09-05 한웨이 리 골프 풀스윙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763Y1 (ko) 2001-04-02 2001-10-10 김부양 골프스윙연습기
KR200259041Y1 (ko) 2001-09-04 2002-01-04 (주) 부성케미칼 골프자세 교정 및 연습기
KR20040077340A (ko) 2003-02-28 2004-09-04 박진상 골프 스윙 연습기
KR20090004672U (ko) * 2007-11-13 2009-05-18 김성태 골프 스윙연습기
KR20100096592A (ko) * 2009-02-25 2010-09-02 유무영 골프스윙 연습장치
KR20100118410A (ko) 2009-04-28 2010-11-05 김명두 골프스윙연습기
KR101212883B1 (ko) * 2011-06-17 2013-01-09 김대영 골프 타격 연습기
KR20140108343A (ko) 2012-02-02 2014-09-05 한웨이 리 골프 풀스윙 연습장치
KR20120098984A (ko) * 2012-04-06 2012-09-06 (주)엠씨텍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1263640B1 (ko) 2013-01-31 2013-05-10 최태호 골프스윙연습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831A (ko) * 2021-03-15 2022-09-22 주식회사 에스유엔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
KR102497348B1 (ko) * 2022-03-30 2023-02-08 이승구 골프 스윙 연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784B1 (ko)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7781B2 (en) Variable gravity training device
US7815518B2 (en) Training apparatus for improving a golf swing
US200702757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a golf swing
US8277331B2 (en) Golf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50217175A1 (en) Multipurpose golf training aid
KR101864784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US20020173370A1 (en) Putting trainer device and method
US20070087856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102079001B1 (ko) 퍼팅 연습기
KR200425800Y1 (ko) 골프연습용 스윙교정장치
KR102523698B1 (ko) 골프 스윙의 체중 이동 및 힙 턴 연습장치
KR101991824B1 (ko) 골프 임팩트존 에이밍 포인트 연습기구
KR101234080B1 (ko)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20100118410A (ko) 골프스윙연습기
US8079917B2 (en) Training apparatus for improving an athletes swing
KR200259041Y1 (ko) 골프자세 교정 및 연습기
KR101007581B1 (ko) 골프 스윙자세 교정기구
US5879164A (en) Golf swing trainer with angle guide
KR102229757B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골프퍼팅 연습기
JP5740579B2 (ja) ゴルフ練習装置
KR102519222B1 (ko) 골프 타격자세 연습장치 및 그 이용방법
KR102160654B1 (ko) 골프 클럽
CN113262455B (zh) 可移动式跆拳道训练装置
KR102598054B1 (ko) 골프 스윙 연습 및 자세 교정장치
KR200290653Y1 (ko) 골프 퍼팅 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