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831A -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8831A
KR20220128831A KR1020210033471A KR20210033471A KR20220128831A KR 20220128831 A KR20220128831 A KR 20220128831A KR 1020210033471 A KR1020210033471 A KR 1020210033471A KR 20210033471 A KR20210033471 A KR 20210033471A KR 20220128831 A KR20220128831 A KR 20220128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ing
trainer
park golf
bars
hole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0218B1 (ko
Inventor
임철홍
임윤정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유엔
임윤정
박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유엔, 임윤정, 박정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유엔
Priority to KR1020210033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218B1/ko
Publication of KR20220128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63B69/36211Mechanical guides guiding the club head end during the complete swing, e.g. r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01Games specially adapted for handicapped, blind or bed-ridden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63F9/0204Targe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olf Clubs (AREA)
  • Eyeglass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시각장애인의 파크골프 진입을 위한 트레이닝도구로서의 트레이너세트(TS)를 제공하고, 상기 트레이너세트(TS)는 퍼팅연습을 수행하는 퍼팅트레이너(50)와, 상기 퍼팅트레이너(50)에 의하여 퍼팅된 파크골프공을 가이드하여 퍼팅결과를 지득하게 하는 홀컵타겟(100)을 가지고; 상기 퍼팅트레이너(50)는, 설치장소 바닥면(B)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설되는 한 쌍의 세장체의 레그바아(11,12), 상기 레그바아(11,12)의 양단 각각 한 쌍 직립 체결되는 세장형의 파이프체인 버티컬바아(21,22,23,24), 상기 버티컬바아(21,22,23,24)와 체결되면서 하방으로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이격된 한 쌍의 퍼팅가이드바아(41,42)가 각각 체결되어 구성하는 프레임체이고, 상기 레그바아(11,12)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안치되고, 그 단면이 개략 "V"자형으로 절곡되어 파크골프공 가이드용의 함입한 채널인 볼가이드레일(31)을 가지는 세장 판형의 퍼팅플레이트(30)를 더 구비하며; 상기 퍼팅트레이너(50)로부터 타구된 파크골프공을 인입시켜 수용하는 골프공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TRAINER SET FOR THE VISUALLY IMPAIRED ADN THE AGED TO ENTER THE PARK GOLF}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 또는 노약자가 실제의 파크골프로 진입하기 이전에 적응연습과 근력증진을 위하여 제공되는 체력보강 및 연습용의 트레이너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체적 약자 특히, 시각장애인 또는 노약자가 파크골프를 시작하기 이전에 감각적 적응, 체력증대 및 근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트레이너세트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일반들의 유흥과 체력증진도 가능한 구성의 트레이너세트를 제공한다.
최근들어 각종 생활체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특히 모든 국민들의 체력증진을 위한 다양한 방법과 장치가 각종 지자체에서 강구되고 있다.
대부분의 생활체육 시설은 공원이나, 하천부지 등의 일정한 스페이스에 설치되는 각종의 운동기구 또는 게이트볼장, 테니스장 등으로 제공된다.
그 중, 게이트볼의 경우, 운동의 수단이외에도 노년층의 다양한 사교의 장이 된다는 점에서는 바람직한 시설로 생각되나, 그 규칙이나 운용방법의 단순성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사용자가 곧 흥미를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이트볼의 대안으로 최근들어서는 제한된 타력을 제공하는 목재의 골프 클럽과 축소된 형태와 파수의 골프장에서 운용하는 파크골프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특히, 파크골프는 사용자들이 임의로 규칙을 설정하여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나아가 건물의 실내에 설치할 수 있는 실내형 미니 파크골프장 등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므로 그 보급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실내형 미니 파크골프장의 경우, 체인점의 형태로 보급할 수 있으며 나아가 지자체의 보조가 있을 경우는 급속한 파급이 예상된다. 주거지의 근거리에 실내형 미니 파크골프장이 많이 설치되면 노년층은 접근이 매우 용이하여 생활체육으로서의 많은 장점을 가지게 된다.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의 경우 각종의 사회생활체육 시설로의 접근이 매우 어렵고 그에 따라 소외된 생활을 하기 쉬우며 특히 체력의 유지관리가 상당히 힘들게 된다.
이러한 점에 기초하여 파크골프의 경우 실내, 또는 근거리의 공휴지의 실외 등에 구성하면 시각장애인 또는 노약자의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서 생각되고 최근에는 실내에 구성된 간이형의 파크골프 역시 제안되고 있어, 그 접근이 더욱 용이하게 될 것으로서 기대된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구 장애인 등급 1 ~ 2 등급에 해당되는 전맹의 시각장애인(이하에서는 '전맹인'이라 함)과 구 장애인 등급 3 ~ 6 등급에 해당하는 약시의 시각장애인(이하에서는 '약시인'이라 함)이 1 조, 또는 시각장애인과 정상인인 보조원이 1 조를 이루어 약시인 또는 보조원이 진행을 리드 하면서 전맹인과 함께 타구를 수행하며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각장애인은 일반인들이 상식적으로 이해하지 못할 정도로, 오랜기간 동안에 방향감각의 수립과 근육의 사용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로 있어 왔고 이는 시각장애인이 육체적인 운동을 거의 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이다.
특히, 선천적인 시각장애인의 경우는 근육을 사용하여 육체운동을 하여 본 경험이 전무하므로 파크골프용의 클럽의 샤프트를 파지하여 타구하거나 퍼팅하는 것 자체가 생경하고 처음하여 보는 행위가 된다.
따라서, 시각장애인들의 생활체육과 사교성 증대를 위한 파크골프로의 진입 이전에 운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고 파크골프 운용에 최소한 필요한 근육의 형성과 룰의 숙지를 위한 보조적인 운동기구가 필요하나, 종래 이러한 목적으로 개발된 장치나 기구가 존재하지 아니하다.
나아가, 이러한 문제점은 노약자의 경우도 동일하게 발생하고 역시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없슴.
없슴.
상기와 같은 문제에 기인하여 파크골프로의 진입을 위한 기구로서 적합한 운동시설이 요청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는 그러한 목적에 부합되도록 제공되는 기구로서의 트레이너세트 기구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시각장애인의 파크골프 진입을 위한 트레이닝도구로서의 트레이너세트를 제공하고, 상기 트레이너세트는 퍼팅연습을 수행하는 퍼팅트레이너와, 상기 퍼팅트레이너에 의하여 퍼팅된 파크골프공을 가이드하여 퍼팅결과를 지득하게 하는 홀컵타겟을 가지고;
상기 퍼팅트레이너는, 설치장소 바닥면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설되는 한 쌍의 세장체의 바텀바아, 상기 바텀바아의 양단 각각 한 쌍 직립 체결되는 세장형의 파이프체인 버티컬바아, 상기 버티컬바아와 체결되면서 하방으로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이격된 한 쌍의 퍼팅가이드바아가 각각 체결되어 구성하는 프레임체이고,
상기 바텀바아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안치되고, 그 단면이 개략 "V"자형으로 절곡되어 파크골프공 가이드용의 함입한 채널인 볼가이드레일을 가지는 세장 판형의 퍼팅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퍼팅트레이너로부터 타구된 파크골프공을 인입시켜 수용하는 골프공수용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부가적이고 선택적인 구성요소로서 홀컵타겟을 제공하고, 상기 홀컵타겟은 직립하는 반원호상의 유도서클, 상기 유도서클로의 상기 파크골프공의 가이드를 수행하도록 벌어진 각도를 가지면서 설치 바닥면에 배설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아, 상기 유도서클 후방에 배설되고 골프공인입부 만을 일부 개방하여 가지는 원형상의 이너가이드서클, 상기 이너가이드서클 내에 배설되는 점수판, 인공잔디체의 홀컵필드부, 홀컵 및 상기 홀컵의 홀컵사인기를 구비하여; 상기 퍼팅트레이너에서의 퍼팅에 의한 상기 파크골프공이 상기 홀컵타겟 내로 가이드인입되어 퍼팅 또는 타구의 결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구성적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의 사용에 의하여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는 파크골프를 실제 수행함에 요구되는 운동감각을 형성할 수 있고, 나아가 요구되는 최소한의 근육도 발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 자체로도 파크골프와는 별개로 간이적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수단이 되므로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의 체력의 증진과 흥미를 유발시키고 타인과의 교류를 증대시켜 사회성을 제고시켜 줌으로써 고립감을 해소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노약자의 유흥을 위한 수단을 부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목표물인 홀컵타겟부에 윷판이나 주사위판 등을 적용하여 흥미를 유발시키고 반복적인 사용에 의하여 건강증진과 사회성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의 타구트레이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1의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의 타구트레이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2의 분해사시도 및 퍼팅가이드바아의 각각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의 홀컵타켓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1의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의 홀컵타켓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트레이너세트의 홀컵타켓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트레이너세트의 타구트레이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1의 확대사시도, 도 3은 타구트레이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2의 분해사시도 및 퍼팅가이드바아의 각각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 도 4는 트레이너세트의 홀컵타켓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1의 확대사시도, 도 5는 트레이너세트의 홀컵타켓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트레이너세트의 홀컵타켓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진으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노약자(이하에서는 '사용자'라 한다.)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TS)는 실내 또는 실외에 비치되는 한 쌍의 기구 세트로 구성되고, 대분하여 퍼팅이나 타구( 대부분 약한 강도의 타구를 수행하는 퍼팅이 되므로 이하에서는 '퍼팅'이라 통칭한다.)를 연습하는 퍼팅트레이너(50)와, 퍼팅된 골프공이 진입하여 퍼팅이나 타구의 정확도 및 감각을 시각장애인에게 체화시키기 위한 홀컵타겟(100)을 구비한다.
즉, 퍼팅트레이너(50)와 홀컵타겟(100)이 하나의 세트로서 제공되는 기구체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트레이너세트(TS)를 구성하는 주요한 부분인 퍼팅트레이너(50)는 바람직하게는 인조잔디 등으로 구성되는 실내,외의 바닥면(B)에 배설되되, 이동이 가능한 간이형 기구로서 제공되고, 저면 바닥부에는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설되는 한 쌍의 레그바아(11,12)가 파이프관체, 중실관체의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만들어져 제공된다.
레그바아(11,12)의 단부에는 레그바아(11,12)와 체결볼트(b1,b2,b3,b4)로써 체결되는 버티컬바아(21,22,23,24)가 양단에 직립하여 고정되고, 버티컬바아(21,22,23,24)은 하단의 바닥면(B) 안착용의 부재인 브릿지레그(27,28)에 용접고정된다.
이러한 레그바아(11,12)와 버티컬바아(21,22)의 볼트체결로써 퍼팅트레이너(50)는 기본적인 프레임체를 구성한다.
레그바아(11,12)가 형성하는 이격된 공간 사이에는 퍼팅플레이트(30)가 길이가 긴 철판, 합성수지 등의 판재로서 제공된다. 퍼팅플레이트(30)는 그 단면이 개략 "V"자형으로 절곡되어 가이드용의 채널을 가지는 볼가이드레일(31)과, 볼가이드레일(31)의 단면 양단에 형성되면서 레그바아(11,12)에 길이방향으로 걸림되어 고정하는 단면 'U' 형성의 레일결합채널(15,16)이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퍼팅플레이트(30)은 버티컬바아(21,22)와 조립된 레그바아(11,12) 사이에 놓여져 골프공의 가이드부재로서 사용된다.
각각의 버티컬바아(21,22,23,24)는 하단의 바닥면(B) 안착용의 브릿지레그(27,28)를 가지면서 버티컬바아(21,22,23,24)의 상단부에는 결합편(21-1,22-1,23-1,24-1)이 내방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편으로서 제공된다.
직립하는 버티컬바아(21,22,23,24) 사이에는 역시, 한 쌍의 평행한 퍼팅가이드바아(41,42)가 제공되며, 퍼팅가이드바아(41,42)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한 하방 원호체로 절곡가공된 파이프체, 중공바아 등으로 구성되며 양단부에는 상기의 버티컬바아(21,22,23,24)의 결합편(21-1,22-1,23-1,24-1)과 결합하는 다른 결합편(41-1,41-2,42-1,42-2)을 대응하여 용접하여 가진다.
상기의 구성의 버티컬바아(21,22,23,24)의 결합편(21-1,22-1,23-1,24-1)과,퍼팅가이드바아(41,42)의 결합편(41-1,41-2,42-1,42-2)은 상호 대응하여 천공된 체결공(도시하지 아니함) 간에 체결볼트(B1,B2,B3,B4)에 의하여 체결,조립된다.
상기에서 각각의 부재를 체결볼트로써 체결하여 조립하는 것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여 물류를 위한 제품체적의 저감과 운반의 용이성을 위한 것이다.
상기의 구성부재의 결합으로써 레그바아(11,12)-버티컬바아(21,22,23,24)-퍼팅가이드바아(41,42)는 상호 체결되어 완전한 프레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버티컬바아(21,22,23,24)와 퍼팅가이드바아(41,42)의 단부는 파이프체의 절단면이 되므로 사용자로의 위해를 방지하고 우수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 등의 단부캡(C)을 압입하는 형태로서 구성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평행한 퍼팅가이드바아(41,42) 사이의 공간이 사용자가 파크골프용의 클럽(도시하지 아니함)의 샤프트(도시하지 아니함)를 인입시켜 훈련을 행하는 퍼팅공간(R)이 된다.
퍼팅가이드바아(41,42)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만곡된 원호를 구성하게 되고 이는 시각장애인이 샤프트를 퍼팅공간(R)에 인입시켜 전방을 향하여 움직이면서 퍼팅감각이나 퍼팅방법을 숙지하게 되는 공간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하여 샤프트가 퍼팅가이드바아(41,42)의 어느 하나에 붙여서 퍼팅을 위하여 휘둘러질 때에 샤프트를 가이드하도록 역곡률의 원호상으로 하방 만곡하여 제공됨으로써 샤프트의 퍼팅공간 내에서의 퍼팅가이드바아(41,42)의 어느 하나를 따라서의 가이드를 수행하게 한 것이다.
샤프트를 가이드하는 퍼팅가이드바아(41,42) 상에는 샤프트의 스윙 각도상의 위치를 계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도 3A 에서와 같이, 회동각도를 표시하는 각도인덱스(I)가 정중앙의 '0 도'를 중심으로 하여 등간격의 각도로서 실크스크린 인쇄 등의 방법으로 매겨져 있으며, 각도인덱스(I)에 부가하여 1 조를 이룬 보조인인 약시인 또는 정상인이 용이하게 판독가능한 기준수치(1,2,3,4,. 또는 A,B,C,D..)가 비교적 큰 글씨로 인쇄되어 있다.
이는 전맹인 시각장애인과 약시인 시각장애인이 함께 파크골프를 플레이하는 경우, 약시인이 전맹인의 퍼팅공간(R) 내에서의 샤프트의 퍼팅가이드바아(41,42)의 어느 하나(왼쪽 또는 오른쪽이 될 것이고 통상적인 오른손잡이는 전방의 퍼팅가이드바아(41)가 된다.),상에서의 샤프트의 현재 위치를 수치로서 알려줌으로써 어느 정도의 각도로 샤프트를 올려서 퍼팅, 타구하는 경우 후술하는 홀컵타겟(100)의 홀컵에 근사하게 접근하는지를 사용자인 시각장애인이 가늠할 수 있게 하여 타구력에 따른 퍼팅 시의 거리감각을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물론 도 3B에서와 같이, 전맹인 본인이 현재의 샤프트의 각도를 촉감으로 감지하도록 각도인덱스(I)를 등간격으로 형성한 함입홈의 각도인덱스(I-1), 도 3C에서와 같이, 돌출홈의 각도인덱스(I-)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샤프트를 휘두르는 경우, 각각 돌출감과 인입감을 손으로 감지하여 퍼팅가이드바아(41,42) 상에서의 샤프트(S)의 현재 위치를 감득하게 한다.
상기의 각도인덱스(I)는 한 쌍의 퍼팅가이드바아(41,42)의 내방 측에 각각 형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좌수 또는 우수의 시각장애인 모두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퍼팅트레이너(50)의 후방 측에 직립하는 버티컬바아(23,24)는 가로바아(25)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된 개략 'ㄷ' 자 형상으로 하여도 무방하고 이러한 경우 프레임의 강도는 증대된다.
또한, 퍼팅트레이너(50)의 후방 측에는 파크골프공(G)을 다수 수납하여 두는 볼트레이(45)를 채널형상의 파이프절곡체로 하여 버티컬바아(23,24)의 체결관부(23',24')에 끼워 탈착이 가능하게 하여도 무방하나,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기의 퍼팅트레이너(50)와 협동하여 사용자에게 파크골프의 감각의 증대와 흥미를 유발시키는 협동기구로서의 홀컵타겟(100)이 제공된다.
홀컵타겟(100)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시인 또는 정상인의 보조원의 시각적인 인지를 위한 유도서클(65) 및 이 유도서클(65)로의 골프공의 가이드를 인한 한 쌍의 가이드바아(61,62) 및, 이너가이드서클(70) 및 점수판(80)과 홀컵(90), 홀컵사인기(96)로 구성되고 조립이 이동이 간편한 세트체로 제공된다.
상술의 퍼팅트레이너(50)에서 퍼팅된 파크골프공(G)을 사용자가 퍼팅하면 용이하게 내방 측의 이너가이드서클(70)로 진입 및 유도되도록 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개방되어 임의의 소정각도로 벌어져 설치 바닥면(B)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아(61,62)와, 이 한 쌍의 가이드바아(61,62)와 조합되어 목표지점임을 고지하는 유도서클(65)를 구비하는 것이다.
가이드바아(61,62)는 각각 분리된 파이프체의 바아로서, 하방으로는 바닥면(B)으로의 고정대 역활을 하는 브릿지(61-1,61-2,62-1,62-2)가 제공되어 있어, 이 브릿지(61-1,61-2,62-1,62-2)에 의하여 바닥면(B)의 임의의 장소에 퍼팅트레이너(50)에 대한 거리를 조절하면서 놓여질 수 있다.
가이드바아(61,62)와 조합되는 유도서클(65)은 도 4에 명확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형성된 반원호체의 파이프체이고 역시 하방에 용접고정되는 브릿지(65-1,65-2)에 의하여 임의의 장소에 직립하여 놓여질 수 있다.
상기의 가이드바아(61,62)를 유도서클(65)의 양단에 인접시켜 배설하면 퍼팅트레이너(50)에서 사용자가 퍼팅한 파크골프공(G)은 개방된 각도를 가지고 벌려져 있는 가이드바아(61,62)에 의하여 용이하게 가이드되어 유도서클(65)이 형성하는 하방공간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는 시각장애인 또는 노약자인 사용자가 퍼팅의 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가능하면 최대한 골지점으로 골프공이 용이하게 유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너가이드서클(70)은 통상적인 링형상의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파이프체로서 내방의 점수판(80)을 둘러싸는 형상이고 상기의 유도서클(65)과 접하는 부분만 개방된 가이드체이다.
유도서클(65)로 진입한 파크골프공(G)은 이너가이드서클(70)에 의하여 가이드됨으로서, 시각장애인이 타구한 파크골프공(G)은 밖으로 흐르지 않고 이너가이드서클(70) 내방의 점수판(80)과 홀컵(90) 쪽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홀컵(90)은 통상적인 파크골프용의 홀컵이고, 이 홀컵(90)을 수용하도록 단면 경사가 형성되고 인공잔디체인 원형상의 홀컵필드부(95)의 중앙에 묻혀있다.
홀컵사인기(96)는 홀컵(90)의 위치를 고지하기 위한 통상의 깃발이다.
점수판(80)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닐판 등으로 구성되고 동심원의 점수가 매겨져 있어 퍼팅트레이너(50)에서의 타구에 의한 골프공이 정지하는 위치에서의 점수를 약시인 또는 보조원이나 사용자가 지득할 수 있게 한다.
이상의 퍼팅트레이너(50)와 홀컵타겟(100)은 하나의 세트로서 모두 분해가능하거나 조립가능한 구성체가 됨으로써 포장, 물류, 배송에 편의성을 제공한다.
상술한 각각의 부재의 구성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는 시각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처음으로 파크골프를 시작함에 있어서 필요한 타구의 감각형성과 근력의 제공이 목적이므로, 어떠한 퍼팅이나 타구라도 모두 목표인 홀컵타겟(100)으로 인입되어 점수판(80)에 의한 득점을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흥미를 가지면서 지속적으로 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퍼팅트레이너(50)와 홀컵타겟(100)의 세트로서의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의 사용을 설명한다.
퍼팅트레이너(50)에 진입한 시각장애인(또는 노약자)은 약시인 또는 정상인인 보조인의 가이드에 따라서, 골프클럽(C)의 샤프트를 퍼팅가이드바아(41,42) 사이의 퍼팅공간(R)에 인입시켜 퍼팅플레이트(30)의 볼가이드레일(31)에 안치된 파크골프공을 촉각으로 감득하고 역시 약시인의 가이드에 따라서 퍼팅가이드바아(41,42)의 어느 하나를 따라서 샤프트를 휘두르게 됨으로써 파크골프공(G)을 퍼팅하게 된다.
타구된 파크골프공(G)은 볼가이드레일(31)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직진하면서 홀컵타겟(100)의 소정각도로 벌어진 가이드바아(61,62)에 의하여 인입가이드되어 유도서클(65)을 지나서 이너가이드서클(70)로 들어가게 되며, 타구력에 따라서 골프공은 이너가이드서클(70) 내방의 점수판(80)에 위치하거나 홀컵필드부(95), 또는 홀컵(90)으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타구 또는 퍼팅에 따른 득점이나 홀인원, 등의 상황이 발생하게 되며 이를 약시인 또는 보조인이 전맹인 또는 노약자에게 고지하여 타구한 상태의 결과를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시각장애인은 어느 정도의 각도인덱스(I)에서 타구 시에 어떠한 결과가 유발되는 지를 감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반복하여 시각장애인이 타구훈련하면, 무엇인가를 타구한다는 감각과 어느 정도의 힘과 각도로서의 타구 또는 퍼팅 시에 어떠한 결과가 유발되는 지를 반복적으로 체득할 수 있게 되어 방향감각과 자신감을 가지게 됨으로써 후행될 실제적인 파크골프장에 참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유용성은 시각장애인 뿐만 아니라 노약자 또는 정상적인 건강의 사람도 하나의 유흥으로서 본 발명의 트레이너세트(TS)를 즐길 수 있다는 것이다.
도 5 내지 6에서와 같이 상기 퍼팅트레이너(50)와 홀컵타겟(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홀컵타겟(100)의 점수판(80)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상으로 배설된 윷판형타겟(180)으로 하고, 이 윷판형타겟(180)) 상의 과녁항목(180-1)의 배열을 다양하게(예를 들면, 도, 개, 걸, 윷, 모, 뒷도) 구성하면, 퍼팅트레이너(50)에서, 또는 퍼팅트레이너(50)가 없는 상태에서 단순히 바닥면(B) 상에 표시되는 기점(S)에서 파크골프공을 타구하여 홀컵타겟(100) 내의 윷판(180) 상의 특정한 과녁 형상의 과녁항목(180-1)에 파크골프공(G)을 안착하시켜 별도의 도시하지 아니하는 윷말판 상에서 말을 이동시켜 윷놀이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시각장애인 뿐만아니라 다양한 연령의 사용자가 윷놀이를 겸한 운동을 하면서 즐길 수 있게 하여 부지불식 간에 근력의 단련과 흥미의 유발, 내기 등을 통한 사회성의 제고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유용성을 가진다.
물론, 상기의 윷판형타겟(180) 대신 주사위판(도시하지 아니함)을 설정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50: 퍼팅트레이너
100: 홀컵타겟
TS: 트레이너세트
1,12: 바텀바아
21,22,23,24: 버티컬바아
41,42: 퍼팅가이드바아

Claims (4)

  1. 시각장애인의 파크골프 진입을 위한 트레이닝도구로서의 트레이너세트(TS)를 제공하고, 상기 트레이너세트(TS)는 퍼팅연습을 수행하는 퍼팅트레이너(50)와, 상기 퍼팅트레이너(50)에 의하여 퍼팅된 파크골프공(G)을 가이드하여 퍼팅결과를 지득하게 하는 홀컵타겟(100)을 가지고;
    상기 퍼팅트레이너(50)는,
    설치장소 바닥면(B)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설되는 한 쌍의 세장체의 레그바아(11,12), 상기 레그바아(11,12)의 양단 각각 한 쌍 직립 체결되는 세장형의 파이프체인 버티컬바아(21,22,23,24), 상기 버티컬바아(21,22,23,24)와 체결되면서 하방으로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이격된 한 쌍의 퍼팅가이드바아(41,42)가 각각 체결되어 구성하는 프레임체이고,
    상기 레그바아(11,12)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안치되고, 그 단면이 개략 "V"자형으로 절곡되어 파크골프공(G) 가이드용의 함입한 채널인 볼가이드레일(31)을 가지는 세장 판형의 퍼팅플레이트(30)를 더 구비하며;
    상기 퍼팅트레이너(50)로부터 타구된 파크골프공(G)을 인입시켜 수용함으로써 타구의 결과를 발생시키는 파크골프공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수용부는 홀컵타겟(100)이고,
    상기 홀컵타겟(100)은,
    직립하는 반원호상의 유도서클(65), 상기 유도서클(65)로의 상기 파크골프공의 가이드를 수행하도록 벌어진 각도를 가지면서 설치 바닥면에 배설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아(61,62), 상기 유도서클(65) 후방에 배설되고 골프공인입부 만을 일부 개방하여 가지는 원형상의 이너가이드서클(70), 상기 이너가이드서클(70) 내에 배설되는 점수판(80), 인공잔디체의 홀컵필드부(95), 홀컵(90) 및 상기 홀컵(90)의 홀컵사인기(96)를 구비하여;
    상기 퍼팅트레이너(50)에서의 퍼팅에 의한 상기 파크골프공이 상기 홀컵타겟(100) 내로 가이드인입되어 퍼팅 또는 타구의 결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S)를 가이드하는 상기 퍼팅가이드바아(41,42) 외표면 상에 상기 샤프트(S)의 스윙 각도상의 위치를 계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회동각도를 표시하는 각도인덱스(I)를 각각 더 구비하고,
    상기 각도인덱스(I)는 보조인의 시각적 판독을 위하여 등간격의 각도로서 인쇄된 눈금과 판독용의 기준수치, 상기 샤프트(S)로의 전도되는 촉감으로 상기 샤프트(S)의 현재 각도를 인지하는 함입한 홈의 각도인덱스, 돌출홈의 각도인덱스의 어느 하나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컵타겟(100)의 점수판(80)에 대체하여,
    과녁항목(180-1)의 배열을 다양하게 구성한 윷판형타겟(180), 주사위판으로 대표되는 유흥목적의 놀이용의 판체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
KR1020210033471A 2021-03-15 2021-03-15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 KR102550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471A KR102550218B1 (ko) 2021-03-15 2021-03-15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471A KR102550218B1 (ko) 2021-03-15 2021-03-15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831A true KR20220128831A (ko) 2022-09-22
KR102550218B1 KR102550218B1 (ko) 2023-07-03

Family

ID=8344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471A KR102550218B1 (ko) 2021-03-15 2021-03-15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2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5213U (ja) * 2013-05-27 2013-08-08 美雪 神宮 遊技用マット
KR20140011736A (ko) * 2012-07-19 2014-01-29 한재현 휴대용 스틱 퍼팅 연습기
KR20180009573A (ko) * 2016-07-19 2018-01-29 주식회사 에이티엔씨 골프 스윙 연습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5213B2 (ja) * 1990-04-06 2001-07-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ソル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1736A (ko) * 2012-07-19 2014-01-29 한재현 휴대용 스틱 퍼팅 연습기
JP3185213U (ja) * 2013-05-27 2013-08-08 美雪 神宮 遊技用マット
KR20180009573A (ko) * 2016-07-19 2018-01-29 주식회사 에이티엔씨 골프 스윙 연습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218B1 (ko)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ayrullayevich Acrobat exercise and sports gimnastika sessions through the power of development method
Lieberman Fitness for individuals who are visually impaired or deafblind
Pressé et al. Adapting the sport education model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Chang et al. Teaching striking skills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using woodball
Junpalee et al. Effects of the intelligence innovative smart ladder drill training program on developing agility of female youth volleyball players at Sriracha School
KR20220128831A (ko) 시각장애인,노약자의 파크골프 진입용 트레이너세트
US20040259657A1 (en) Golf game and golf teaching method
US6780122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101468415B1 (ko) 복싱 플레이 장치
Essam-Eldeen Influence of sling exercises (TRX) on certain physical variables and performance level of high jump for female college students
Rochhausen Teaching Parkour Sports in School Gymnastics: A Practical Handbook of Parkour & Freerunning Instruction for Indoor Gymnastics Classes with Children and Teenagers
Irvan Anthropometry and Physical Factors for Determining Skills of Drive in Squash Game
Ahmed Khudair Abaas et al. The effect of rebound strength exercises to developing some physical abilities and the accuracy of stabbing by fencing weapons under 18 years
US11083946B2 (en) Multi-use ball tee
Farrenkopf et al. Physical education and health
Rhodes Effects of variations in number of strokes taught and equipment used on tennis achievement by college women
Pennington Editor Tips, Sugges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Teaching Physical Education to Pupils with Disabilities
Nikopoulos et al. Motor activity training for young people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ner et al. Rethinking Track and Field: As Sport in Public Schools
Barham Development of skills through adolescence and early adult life
Hassan Mohamed The Impact of Functional Strength Training on Some Physical Variables and the Level of Some Offensive Strikes in Tennis Players
Hassan Mohamed The Impact of Functional Strength Training on Some Physical Variables and the Level of Some Offensive Strikes in Tennis Players
Lieberman et al. Gross Motor Development Curriculum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An image of the APH logo in white.
McPherson The Forgotten Step in Tennis
Kowalski et al. Utilizing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increased participation in school and community progr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