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883B1 - 골프 타격 연습기 - Google Patents

골프 타격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883B1
KR101212883B1 KR1020110058894A KR20110058894A KR101212883B1 KR 101212883 B1 KR101212883 B1 KR 101212883B1 KR 1020110058894 A KR1020110058894 A KR 1020110058894A KR 20110058894 A KR20110058894 A KR 20110058894A KR 101212883 B1 KR101212883 B1 KR 101212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guide
swing
golf
slider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섭
김대영
Original Assignee
김대영
김장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영, 김장섭 filed Critical 김대영
Priority to KR102011005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883B1/ko
Priority to PCT/KR2011/004988 priority patent/WO201217329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63B69/36211Mechanical guides guiding the club head end during the complete swing, e.g. r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타격 궤도를 유도하는 가이드로서, 원통 환형 궤도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방은 낮고 후방은 높게 형성되어 측방에서 보았을 때 경사지게 형성되는 스윙 가이드와; 상기 스윙 가이드에 삽입되는 동축환이 결합되어 상기 스윙 가이드의 경로를 연장 또는 복원시키는 보조 궤도와; 상기 스윙 가이드의 정면(우측 단부에서 시계방향으로 90°부분)에 돌출판으로 형성된 정면 결합부와; 상기 스윙 가이드의 우측 단부와 좌측 수평부(우측 단부에서 180°부분)에 돌출판으로 형성된 측면 결합부와; 상기 정면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정면 수직봉과; 상기 측면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측면 수직봉과; 상기 정면 수직봉과 측면 수직봉이 결합되며 중심부에 사용자가 위치할 수 있도록 받침대가 구비된 마운트와; 상기 스윙 가이드에 슬라이딩 되는 외통으로서, 슬라이딩시 상기 정면 결합부와 측면 결합부의 방해를 받지 않도록 통의 일부가 절개 개방되며, 통의 외측으로 골프채를 탈착 고정시키는 골프채 홀더가 형성된 슬라이더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스윙 가이드의 중심축에 서서 상기 스윙 가이드가 안내시키는 궤도를 따라 골프 타격 연습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타격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프 타격 연습기{GOLF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골프 타격 궤도를 유도하는 가이드로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중심축을 기준으로 0°위치에 우측 단부가 형성되며 시계방향으로 200° ~ 240°회전하여 좌측 단부가 형성되는 원통 환형 궤도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방은 낮고 후방은 높게 형성되어 측방에서 보았을 때 경사지게 형성되는 스윙 가이드와; 상기 스윙 가이드의 좌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윙 가이드에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스윙 가이드에 삽입되는 동축환이 결합되어 상기 동축환이 상기 스윙 가이드에서 인출 또는 복원되면서 상기 스윙 가이드의 경로를 연장 또는 복원시키는 보조 궤도와; 상기 스윙 가이드의 정면(우측 단부에서 시계방향으로 90°부분)에 돌출판으로 형성된 정면 결합부와; 상기 스윙 가이드의 우측 단부와 좌측 수평부(우측 단부에서 180°부분)에 돌출판으로 형성된 측면 결합부와; 상기 정면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정면 수직봉과; 상기 측면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측면 수직봉과; 상기 정면 수직봉과 측면 수직봉이 결합되며 중심부에 사용자가 위치할 수 있도록 받침대가 구비된 마운트와; 상기 스윙 가이드에 슬라이딩 되는 외통으로서, 슬라이딩시 상기 정면 결합부와 측면 결합부의 방해를 받지 않도록 통의 일부가 절개 개방되며, 통의 외측으로 골프채를 탈착 고정시키는 골프채 홀더가 형성된 슬라이더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스윙 가이드의 중심축에 서서 상기 스윙 가이드가 안내시키는 궤도를 따라 골프 타격 연습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타격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프 타격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골프는 바른 스윙 자세에서 강한 임팩트가 생겨고 페어웨이나 그린 위에 공을 정확하게 안착시키는 정확성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골프 타격 연습기는 이와 같은 골프의 바른 스윙 자세를 익히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이다.
골프 타격 연습기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골프의 바른 스윙자세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골프 공을 바로치기 위해서는 올바른 그립과 스탠스 자세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립은 골프채를 잡는 요령으로서, 오버랩핑그립(OVERAPPING GRIP)과 인터로킹그립(INTERLOKING GRIP)이 있는데, 전자는 손바닥과 손가락이 크고 길며 힘이센 사람들에게 알맞은 방법이며, 인터로킹 그립은 손이 비교적 작고 힘이 없는 사람에게 유리하므로 골프를 처음시작하는 청장년층에 많이 권유되고 있다.
오버랩핑그립은 오른손 새끼 손가락을 왼손 집게손가락위에, 또는 집게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의 틈을 겹치는 그립으로 비거리를 내는데 유리하다.
그립을 잡은 요령은 왼손 새끼 손가락부터 잡아 들어가며 새끼 손가락에 힘을 주어 클럽의 길이를 확보 하도록 하여야 하며 엄지 손가락으로 힘의 균형을 잡도록 하여야 한다. 오른손은 약지를 그립에걸고 새끼 손가락을 왼손 검지 위를 감싸 단단히 고정시킨 후, 손목을 시계반대 방향으로 약간 비틀어 왼손 엄지를 덮는다. 양손목을 이용하여 단단히 죄면 그립이 완성된다.
골프 스윙의 연속 동작은 백스윙과 탑오브스윙(Top of the swing)과 다운스윙(Down swing)과 어드레스(Address)와 테이크어웨이(Take away)와 임팩트(Impact)와 팔로우 스로우(Follow through)와 피니쉬(Finish)로 구분된다.
골프에서 공을 칠 때 반동을 주기 위해 클럽을 뒤로 들어올리는 백스윙(Back swing)은 테이크어웨이 동작이 지나면서 코킹이 시작되고 어깨와 힙이 하나가 되어 턴이 이루어진다. 하프백스윙시 왼팔은 목표와 평행이 되며 클럽과 왼손의 각도는 90도로 알파벳의 L자모양이 되게 한다.
탑스윙에서는 클럽의 샤프트가 오른팔과 직각을 이루어야 하는데, 클럽 샤프트는 왼쪽 오른쪽도 아닌 목표 방향에 평행이 되어야 하고 옆에서 보면 가슴선상에서 왼팔과 오른팔의 삼각형을 유지해야 한다.
다운스윙시엔 왼팔이 클럽 샤프트 각이 풀리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하여 내려와야 하고 오른발은 지면에서 목표방향 안쪽으로 서서히 떨어지기 시작하며 체중이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어드레스(Address)는 골프에서, 경기자가 스탠스(stance)를 취하고 클럽을 지면에 대었을 때를 말한다. 스탠스를 너무 넓게 벌리면 유연성과 기동성이 떨어져 스윙을 할 때 필수적인 신체 회전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되므로, 힘도 떨어지고 방향성도 잃게 되고, 반대로 너무 좁으면 스윙이 지지기반이 좁아지기에 스윙 시 몸 전체의 균형이 깨지기 쉬워 자신 있는 스윙을 할 수가 없게 된다.
테이크어웨이(Take away)는 백스윙을 하기 위해 클럽 헤드를 뒤쪽으로 천천히 움직이는 일을 말하며, 스윙의 최초 단계인 테이크 어웨이부터 천천히 이뤄져야 백스윙의 전체 템포가 천천히 되고 그 다음 백스윙도 천천히 시작할 수 있다.
임팩트(Impact)는 타격 순간을 말하며, 임팩트 직전 손목의 코킹은 클럽헤드가 볼을 바로 직전에 풀리는데,이때 클럽의 속도는 최고가 되고 클럽 끝은 배꼽을 향하고 머리는 공 뒤편에 있으며 왼팔과 샤프트는 평행이 되며 왼발은 곧게 펴져야 한다.
모든 체중은 왼발에 이동이 되는 것이 파워 있고 올바른 임팩트라 할 수 있는데, 여기서 왼쪽 다리가 곧게 펴져야 하는 이유는 임팩트 후 팔로우스루 회전 공간을 열어주는 것과 몸과 클럽이 하나가 되어 파워 있는 임팩트를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팔로우 스로우(Follow through)는 볼을 임팩트 한 후에 자연스러운 릴리스가 되는 것으로서, 오른손이 왼손 위에 오는 것은 클럽 헤드를 자연스럽게 풀었다는 의미가 되며 임팩트 후 팔로우는 최대한 양팔과 클럽의 삼각형을 유지하면서 타겟방향으로 크게 던져주어야 한다.
피니쉬(Finish)는 힙과 어깨가 풀턴이 이루어지고 클럽은 자연스럽게 머리 뒤쪽으로 두고, 눈은 타겟을 바라보며 오른발은 지면에서 떨어지게 왼발 허벅지에 붙이고 모든 체중은 왼발에 있으며 밸런스를 유지한다.
좋은 발란스의 피니시는 골퍼의 스윙이 올바르게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골프의 스윙은 백스윙(back swing), 임팩트(impact), 팔로스로우(follow through)로 이어지는 전체적인 스윙 자세를 올바르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골프채를 뒤로 젖힌 상태에서 스윙이 종료될 때까지 스윙 경로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골프는 상기와 같은 바른 스윙 자세를 배우는 것에서 출발한다고 할 수 있는데, 골프의 초보자가 바르지 못한 자세로 골프를 치게되면 나중에는 자세를 교정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전반적인 골프 스윙의 기술 향상을 이룰 수 없으므로, 초보자들은 골프의 바른 스윙 자세를 익히는데 많은 연습량을 투자하여야 한다.
그런데, 초보자들이 자신의 체형에 맞는 바른 스윙 자세를 배우기 위해서, 전문가에게 장기간 지도 받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골프 타격 연습기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골프 타격 스윙 궤도를 강제적으로 따라가면서 연습할 수 있는 장치로서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방식의 골프 타격 연습기는 골프가 요구하는 상기의 바른자세 전부를 나타낼 수 없어서, 골프 타격 연습기가 오히려 초보자의 스윙 자세를 망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골프 타격 연습기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스탠스가 유지되어져야 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요구가 되며, 백스윙(back swing), 임팩트(impact), 팔로스로우(follow through)로 이어지는 전체적인 스윙 자세가 올바르게 유지되면서 스윙 궤적을 안내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방식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변형이 불가하여, 사용자에 최적의 스탠스를 제공할 수 없으며, 골프채와 장치가 결합되어 백스윙(back swing), 임팩트(impact), 팔로스로우(follow through)로 이어지는 전체적인 스윙 자세가 올바르게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방식의 경우는 장치에 연습용 골프채가 별도로 부착되어 자기의 골프채에 대한 그립감을 연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변형이 가능하여, 사용자에 최적의 스탠스를 제공할 수 있고, 자신의 골프채를 사용하므로 글립감이 익숙해지며, 백스윙(back swing), 임팩트(impact), 팔로스로우(follow through)로 이어지는 전체적인 스윙 자세가 올바르게 제공되는 골프 타격 연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골프 타격 궤도를 유도하는 가이드로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중심축을 기준으로 0°위치에 우측 단부가 형성되며 시계방향으로 200° ~ 240°회전하여 좌측 단부가 형성되는 원통 환형 궤도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방은 낮고 후방은 높게 형성되어 측방에서 보았을 때 경사지게 형성되는 스윙 가이드와; 상기 스윙 가이드의 좌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윙 가이드에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스윙 가이드에 삽입되는 동축환이 결합되어 상기 동축환이 상기 스윙 가이드에서 인출 또는 복원되면서 상기 스윙 가이드의 경로를 연장 또는 복원시키는 보조 궤도와; 상기 스윙 가이드의 정면(우측 단부에서 시계방향으로 90°부분)에 돌출판으로 형성된 정면 결합부와; 상기 스윙 가이드의 우측 단부와 좌측 수평부(우측 단부에서 180°부분)에 돌출판으로 형성된 측면 결합부와; 상기 정면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정면 수직봉과; 상기 측면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측면 수직봉과; 상기 정면 수직봉과 측면 수직봉이 결합되며 중심부에 사용자가 위치할 수 있도록 받침대가 구비된 마운트와; 상기 스윙 가이드에 슬라이딩 되는 외통으로서, 슬라이딩시 상기 정면 결합부와 측면 결합부의 방해를 받지 않도록 통의 일부가 절개 개방되며, 통의 외측으로 골프채를 탈착 고정시키는 골프채 홀더가 형성된 슬라이더;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스윙 가이드의 중심축에 서서 상기 스윙 가이드가 안내시키는 궤도를 따라 골프 타격 연습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타격 연습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골프 타격 연습기는 상기 정면 수직봉과 측면 수직봉에 높이 조절 수단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키에 따라 상기 스윙 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타격 연습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은 동축 슬라이딩 봉 및 상기 동축 슬라이딩 봉을 고정시키는 조인트로 형성되어 높이가 가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타격 연습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면 수직봉은 상기 마운트와 결합된 부분에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의 가변에 연동되어 사용자와의 거리를 조절시키는 거리 조절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의 키나 위치에 따라 상기 스윙 가이드의 측방 경사각을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타격 연습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궤도에는 상기 슬라이더로 상기 보조 궤도를 상기 스윙 가이드에서 밀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보조 궤도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보조 궤도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프링 핀이; 포함되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플랜지에 접촉되어 상기 보조 궤도를 밀어올릴 때 상기 스프링 핀에 체결되는 결합구를 형성시켜, 상기 플랜지로 상기 슬라이더의 보조 궤도 인출력이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스프링 핀으로 상기 보조 궤도 복원력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타격 연습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골프채 홀더는 상기 슬라이더에 돌설된 홀더 마운트에 고정된 반원형 고정쇠와; 상기 반원형 고정쇠에 링크 핀으로 결합되며 상기 반원형 고정쇠와 고리를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링크 핀 결합 부분을 지레축으로 하는 잠금쇠 누름판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고리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하는 반원형 잠금쇠와; 상기 반원형 고정쇠와 반원형 잠금쇠를 링크 결합시키며 상기 반원형 잠금쇠를 열림 방향으로 지향력을 가하는 잠금쇠 스프링이 끼워진 링크 핀과; 상기 반원형 잠금쇠의 잠금쇠 누름판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쇠와; 상기 반원형 잠금쇠가 닫힘 상태가 되면 상기 걸림쇠에 걸려서 상기 잠금쇠 스프링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상기 반원형 잠금쇠를 고정시키는 노리쇠와; 상기 홀더 마운트 내측에 상기 슬라이더를 관통하며 형성된 통공에 안내되어 상기 스윙 가이드 표면에 단부가 접촉되며 상기 통공에 삽입된 복원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 하단으로 지향력이 형성되는 노리쇠 지지봉과; 상기 노리쇠 단부와 상기 노리쇠 지지봉 상단을 링크 결합시키며 상기 노리쇠가 상기 걸림쇠가 걸리는 방향으로 지향력을 제공하는 노리쇠 스프링이 포함된 노리쇠 링크와; 상기 홀더 마운트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노리쇠 중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노리쇠 지지봉의 승강시 상기 노리쇠의 구동을 구속하는 받침쇠와; 상기 스윙 가이드의 우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시 상기 노리쇠 지지봉이 접촉되어 상기 노리쇠 지지봉의 승강 운동을 안내시키는 테이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스윙이 종료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스윙 가이드의 우측 단부에 도착하면, 상기 노리쇠 받침핀이 상기 테이퍼에 안내되어 수직 운동하여 상기 반원형 잠금쇠의 고정 상태를 변동시키고, 이에 따라 스윙 후 골프채가 상기 스윙 가이드에서 자동으로 해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타격 연습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골프채 홀더는 상기 슬라이더에 베어링으로 결합되어 골프채 홀더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타격 연습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원형 잠금쇠 또는 반원형 고정쇠는 탄성체로 내측을 향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잠금 상태에서 골프채를 잡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타격 연습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운트의 받침대에는 받침대 상단 좌측에 발의 방향에 수평하게 형성된 직선형 부재와; 상기 직선형 부재와 마운트 받침대에 길이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직선형 부재의 설치 거리를 조정하는 발 위치 조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발 위치 조정대로 사용자의 자세에 맞는 발폭을 조정하고, 스윙시 상기 직선형 부재에 왼쪽 발을 지지시켜 타격 자세를 교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타격 연습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변형이 가능하여, 사용자에 최적의 스탠스를 제공할 수 있고, 자신의 골프채를 사용하므로 글립감이 익숙해지며, 백스윙(back swing), 임팩트(impact), 팔로스로우(follow through)로 이어지는 전체적인 스윙 자세가 올바르게 제공되는 골프 타격 연습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윙 가이드 평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윙 가이드가 확장된 때의 평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이 슬라이더 측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슬라이더 단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보조 궤도가 확장된 때의 스윙 가이드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보조 궤도가 복원된 때의 스윙 가이드 단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골프채 홀더가 닫힌 때의 측면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골프채 홀더가 열린 때의 측면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슬라이더와 골프채 홀더의 결합 부분 단면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골프채 홀더의 노리쇠 부분 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의 골프채 홀더 노리쇠 구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3은 스윙 가이드에서 도 12의 노리쇠 구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중 백스윙 자세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중 임팩트 자세의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중 피니시 자세의 정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 구조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스윙 가이드 평면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스윙 가이드가 확장된 때의 평면 구조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이 슬라이더 측면 구조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슬라이더 단면 구조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보조 궤도가 확장된 때의 스윙 가이드 단면 구조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보조 궤도가 복원된 때의 스윙 가이드 단면 구조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골프채 홀더가 닫힌 때의 측면 구조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골프채 홀더가 열린 때의 측면 구조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슬라이더와 골프채 홀더의 결합 부분 단면 구조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골프채 홀더의 노리쇠 부분 구조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골프채 홀더 노리쇠 구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13은 스윙 가이드에서 도 12의 노리쇠 구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중 백스윙 자세의 정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중 임팩트 자세의 정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중 피니시 자세의 정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받침대 평면 구조도이다.
본 발명은 골프 타격 궤도를 유도하는 가이드로서, 크게 스윙 가이드(10)와 동축환(110)과 보조 궤도(100)와 정면 결합부(530)와 측면 결합부(510)와 정면 수직봉(53)과 측면 수직봉(51)과 마운트(50)와 골프채 홀더(30)와 슬라이더(20)와 높이 조절 수단(13)과 거리 조절 수단(54)과 반원형 고정쇠(302)와 반원형 잠금쇠(301)와 링크 핀(303)과 노리쇠(311)로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스윙 가이드(10)는 골프 타격 궤도를 유도하는 가이드로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중심축을 기준으로 0°(3시방향)위치에 우측 단부가 형성되며 시계방향으로 200° ~ 240°회전하여 좌측 단부가 형성되는 원통 환형 궤도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방은 낮고 후방은 높게 형성되어 측방에서 보았을 때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골프 타격 궤도를 안내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스윙 가이드(10)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안정된 골프 자세를 빠르게 잡아주는 골프 스윙 교정기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스윙 가이드(10)의 중심에 마련된 받침대(52)에 서서 골프채를 휘두르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윙 가이드(10)는 사용자의 위치를 중심축으로 하는 회전하는 환형 궤도를 가진다.
상기 환형 궤도는 사용자가 서게 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지면에 수평한 우측 단부에서 출발하여 시계방향으로 200 ~ 240도의 회전하여 좌측 단부에서 종료하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측방향에서 보았을 때 정면골프 스윙 궤도시 형성되는 대각 경사를 가진다.
본 발명의 보조 궤도(100)는 도 2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윙 가이드(10)의 좌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윙 가이드(10)의 일부가 분리되면서 확장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궤도(100)에는 도 3과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윙 가이드(10)에 삽입되는 동축환(110)이 결합되어 상기 동축환(110)이 상기 스윙 가이드(10)에서 인출 또는 복원되면서 상기 스윙 가이드(10)의 경로를 연장 또는 복원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윙 가이드(10)는 원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궤도(100)는 상기 스윙 가이드(10)의 일부이면서도, 상기 원통 내부로 안내되는 동축환(110)에 의하여 상기 스윙 가이드(10)에 결합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의 골프 백스윙 동작이 도 1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좌측에서 형성되면 상기 보조 궤도(100)의 동축환(110)이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치 칼집에서 칼이 빠지듯이 상기 스윙 가이드(10)에서 빠져서 스윙 가이드(10)를 연장시키게 되며, 스윙 후에는 다시 스윙 가이드(10)에 들어가 복원된다.
본 발명의 상기 슬라이더(2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윙 가이드(10)에 슬라이딩 되는 외통으로서, 슬라이딩시 상기 정면 결합부(530)와 측면 결합부(510)의 방해를 받지 않도록 통의 일부가 절개 개방되며, 통의 외측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채(1)를 탈착 고정시키는 골프채 홀더(30)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슬라이더(20)는 상기 스윙 가이드(1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장치로서, 상기 스윙 가이드(10)에 사용자의 골프채(1)를 결합시키는 부분이면서, 골프 스윙 궤도를 따라 운동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20)에는 상기 스윙 가이드(10)에 결합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골프채를 결합시키는 수단과 상기 스윙 운동을 위한 슬라이딩 수단을 갖추어야 한다.
상기 스윙 가이드(10)에 결합시키는 수단과 스윙 운동을 위한 슬라이딩 수단은 같은 구조에 의하여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상기 슬라이더(20)는 상기 스윙 가이드(10)에 결합되는 원통체로 형성되되, 상기 원통체의 일부가 절개된 형상을 가진다.(즉, 원형 단면의 일부가 절개된 단면을 가진다.)
상기 구조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20)는 스윙 가이드(10)의 동축 외통처럼 형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및 슬라이딩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은 상기 스윙 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환형 슬라이딩을 발생시키는 이외에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통 구조로 인하여 상기 스윙 가이드의 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슬라이딩도 발생된다.
이러한 동축 슬라이딩은 상기 슬라이더가 스윙 가이드를 따라 안내될 때, 위치 자유도를 제공하므로 자유로운 스윙 동작이 가능해지게 한다.
상기 슬라이더(20)의 절개부에서 형성되는 특징은 상기 스윙 가이드(10)에 상기 슬라이딩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 정면 결합부(530)와 측면 결합부(510)를 형성시키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정면 결합부(530)와 측면 결합부(510)는 동일 구조(이하 동일 구조를 설명하는 돌출판(11)과 링크(12)와 지지봉(13-1)은 동일 도번으로 설명함.)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윙 가이드(10)에서 돌설되는 돌출판(11)과 상기 날개부에 링크(12)된 지지대(13)로 구성되어 상기 스윙 가이드(10)와 지지봉(13-1)은 회동되는 결합관계를 가진다.
한편, 상기 보조 궤도(100)의 연장 및 복원을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보조 궤도(100)에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11)와 스프링 핀(113)을 마련하며, 상기 슬라이더(20)에 상기 스프링 핀(113)에 결합되는 결합구(21)를 마련한다.
상기 스프링 핀(113)은 예를 들어 우산대에 형성된 잠금쇠와 같이 구성되는데, 탄성체에 의하여 항상 돌설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백스윙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20)로 상기 보조 궤도(100)의 플랜지(111)를 밀어 올리게 되며, 이때 상기 슬라이더(20)와 보조 궤도(100)는 상기 스프링 핀(113)과 결합구(21)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의 백스윙 이후에 타격 동작이 시작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20)와 스프링 핀(113)에 의해 결합된 보조 궤도(100)가 당겨져서 원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스프링 핀(113)은 슬라이더(20)를 미는 힘에 의하여 마치 우산이 잠길 때와 같은 작동으로 핀 결합이 해제된다.
본 발명의 스윙 가이드(10)는 마운트(50)에 의하여 지면에 고정되는데, 상기 마운트(50)와 스윙 가이드(10)를 연결시키는 부분이 정면 결합부(530)와 정면 수직봉(53) 및 측면 결합부(510)와 측면 수직봉(51)이다.
즉, 상기 스윙 가이드(10)는 삼각대처럼 정면 결합부(530)와 양측의 측면 결합부(510)에 의하여 3점 지지된다.
상기 정면 결합부(530)는 상기 스윙 가이드(10)의 정면(우측 단부에서 시계방향으로 90°부분)에 돌출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 결합부(510)는 상기 스윙 가이드의 양측(우측 단부와 좌측 수평부(우측 단부에서 180°부분))에 돌출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판(11)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윙 가이드(10)에서, 상기 슬라이더(20)의 절개면에 의하여 슬라이딩 궤적에서 벗어난 곳에 형성되어 스윙 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정면 수직봉(53)은 상기 정면 결합부(530)에 링크(12)로 힌지 결합되는 지지봉(13-1)의 연장이며, 상기 측면 수직봉(51)은 상기 측면 결합부(510)에 링크(12)로 힌지 결합되는 지지봉(13-1)의 연장이다.
상기 힌지 결합은 상기 스윙 가이드(10)의 설치 경사각을 최적 조정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상기 정면 수직봉(53)과 측면 수직봉(51)은 각각 높이 조절 수단(13)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키에 따라, 상기 스윙 가이드(10)의 높이를 최적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정면 수직봉(53)과 측면 수직봉(51)이 결합되는 마운트(50)의 중심부에는 사용자가 위치할 수 있도록 받침대(52)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윙 가이드(10)의 정면 결합부(530)의 높이를 조정하여 결합 경사각을 조절하는데, 이런 경우에 이에 연동하여 정면 결합부(530)와 마운트(50)의 결합거리도 변동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운트(50)의 정면 수직봉(53)을 동축 슬라이딩 봉 및 상기 동축 슬라이딩 봉을 고정시키는 조인트(531)로 형성시켜 높이 조절 수단(13)으로 기능하게 하며, 상기 마운트(50)의 정면 수직봉(53) 설치 위치에도 상기 높이의 가변에 연동되어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거리 조절 수단(5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의 스탠스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데, 사용자의 키에 따라 상기 높이 조절 수단(13)을 조절하여 상기 스윙 가이드(10)가 최적 높이가 되도록 하고, 스윙 동작에 따라 상기 스윙 가이드(10)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다양한 스윙 자세가 연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리 조절 수단(54) 또는 상기 높이 조절 수단(13)은 상기의 실시예 이외에도 헬스 기구에서 흔히 보듯이 등간격으로 통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핀으로 고정시키는 등 다양한 구성이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높이 조절 수단(13)과 거리 조절 수단(54)에 의하여 상기 스윙 가이드(10)의 대각 경사와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설치 이후, 교습 내용에 따라 최적 스윙 궤도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마운트 받침대(52)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 상단 좌측에 발의 방향에 수평하게 형성된 직선형 부재(52-1)와 상기 직선형 부재와 마운트 받침대에 길이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직선형 부재의 설치 거리를 조정하는 발 위치 조정대(52-2)를 형성시킨다.
사용자는 상기 받침대(52)에 서서 상기 발 위치 조정대(52-2)로 자신의 자세에 맞는 발폭을 조정한다. 또한, 드라이버와 아이언은 클럽의 길이에 있어 차이가 있기 때문에 어드레스 자세도 조금씩 다르게 가져가야 하므로, 상기 발 위치 조정대(52-2)로 연습 동작에 맞는 발폭을 정한다.
상기 직선형 부재(52-1)는 스윙시 왼쪽 발이 틀어지지 않도록 지지시켜 타격 자세를 교정시킨다.
골프시 볼을 타격하는 순간 집중되었던 힘을 자연스럽게 풀어주어야 하는데, 이때, 몸의 체중은 80% 이상 왼발 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발은 견고하게 유지되고 오른 발은 뒷꿈치가 자연스럽게 들리면서 틀어져야야 힘의 손실을 막고 정확한 타격이 된다.
따라서, 임팩트 이후, 체중의 이동은 왼발에 집중되며 왼발을 유지하는것은 자세 교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인데, 본 발명은 상기 직선형 부재(52-1)에 왼발을 지지하여 자세가 교정되도록 한다.
상기 골프채(1)를 고정시키는 수단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20)에 형성된 골프채 홀더(30)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골프채 홀더(30)는 골프채(1)를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해방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골프채(1) 스윙 운동시에는 골프 스윙 궤도가 강제로 안내되도록 스윙 가이드(10)에 고정시키고, 스윙 운동 종료시에는 골프채(1)를 스윙 가이드(10)에서 자동 해방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스윙 종료시 팔로우 스로우가 자연스럽게 안내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골프채 홀더(30)는 반원형 고정쇠(302)와 반원형 잠금쇠(301)와 링크 핀(303)과 노리쇠(311)로 형성된다.
상기 반원형 고정쇠(302)는 상기 슬라이더(20)에 고정된 반원 고리이다.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는 상기 반원형 고정쇠(302)에 선택적으로 회전탈착되어 고리를 형성시키거나 고리를 해제시키는 반원 고리이다.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와 반원형 고정쇠(302)의 회전 탈착을 위하여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와 반원형 고정쇠(302)는 일측 단부가 링크 결합되는데, 본 발명의 링크 핀(303)이 상기 링크 결합 부분에 끼워진다.
상기 링크 핀(303)에는 잠금쇠 스프링(미도시)을 개입시켜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가 항상 열림 방향으로 힘이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노리쇠(311)는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에 연결되며,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가 닫힘 상태가 되면 이를 고정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노리쇠(311)는 반원형 잠금쇠(301)를 연장한 걸림쇠(304)에 결합되는 후크로서 형성되는데, 이외에도 기타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를 고정시키는 다양한 구조가 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걸림쇠(304)는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가 닫힘 상태일 때 상기 노리쇠(311)가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시키며, 이를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 부분을 상기 노리쇠(311)를 향하도록 연장하여 형성시킨다.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는 상기 링크 핀(303)을 지레 중심으로 하는 지레 운동을 하는 고리 부분으로서, 상기 링크 핀(303)의 반대측으로는 지레 작용점의 기능을 수행하는 잠금쇠 누름판(305)이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쇠 누름판(305)을 누르면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가 도 8과 같은 잠금 상태로 전환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 어드레스 동작에서 골프채로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의 잠금쇠 누름판(305)을 누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힘 상태로 되면서 상기 노리쇠(311)에 상기 걸림쇠(304)가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노리쇠(311)의 작동이 상기 슬라이더(20)가 스윙 가이드(10)의 우측 단부를 벗어날 때 형성되면, 스윙 운동의 종료시 팔로스로우(follow through)에 따라 자연스럽게 골프채(1)가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8과 도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원형 고정쇠(302)의 연장된 부분으로서 상기 슬라이더(20)에 고정되는 부분인 홀더 마운트(313)를 형성시키는데, 상기 홀더 마운트(313)는 상기 슬라이더(20)에 베어링(33)을 개입시켜 결합되어 홀더 마운트(313) 축을 중심으로 회전 자재가 되도록 한다.
상기 홀더 마운트(313)의 베어링(33)에 의한 결합으로 골프 스윙시 골프채(1)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회전 운동들이 제거되어 스윙 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상기 노리쇠(311)는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이동하는 노리쇠 지지봉(314)과 노리쇠 링크핀(315)에 의해 힌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노리쇠 링크핀(315)에는 노리쇠 스프링(미도시)를 삽입하여 상기 노리쇠가 항상 상기 걸림쇠(304)를 거는 방향으로 지향력이 생기도록 한다.
상기 홀더 마운트(313) 내부에는 상기 노리쇠 지지봉(314)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노리쇠 지지봉 홀(317)을 형성시키며, 상기 노리쇠 지지봉 홀(317) 내부에는 상기 노리쇠 지지봉(314)에 작용하는 복원 스프링(316)을 삽입하여 상기 노리쇠 지지봉(314)이 항상 하방 지향성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노리쇠 지지봉(314)은 상기 노리쇠 지지봉 홀(317)을 관통하여 스윙 가이드 표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 홀더 마운트(313) 내부에는 상기 노리쇠 지지봉(314)의 수직 이동시 상기 노리쇠(311)에 접촉하는 받침쇠(312)를 형성시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리쇠 지지봉(314)이 수직 상승하면 상기 노리쇠(311)가 상기 받침쇠(312)에 구속되어 작동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스윙 가이드(10)의 우측 단부에는 상기 노리쇠(311)에 접촉되는 테이퍼(120)를 형성하여 상기 노리쇠(311)가 스윙 가이드(10)의 우측 단부에 도착하면 노리쇠(311)가 수직 운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노리쇠(311)는 스윙 운동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윙 가이드(10)의 우측 단부에서 테이퍼(120)를 타고 상승되면서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를 풀어주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스윙 운동시 팔로스로우 자세에서 상기 스윙 가이드(10)의 테이퍼(120) 부분이 상기 노리쇠(311)를 구동시키는 방아쇠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노리쇠(311)에는 항상 스윙 가이드(10)를 향하도록 복원 스프링(316)에 의해 스윙 가이드(10)의 접촉 상태가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테이퍼(120)가 없는 부분에서는 항상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구조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윙 운동시 팔로스로우 자세에서 상기 슬라이더(20)가 상기 스윙 가이드(10)의 우측 단부에 도착하면, 상기 노리쇠(311)가 상기 스윙 가이드(10)의 테이퍼(120)를 따라 수직 상승하여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의 고정 상태를 풀림으로 변동시키고, 이에 따라 스윙 후 골프채(1)가 상기 스윙 가이드(10)에서 자동으로 해방되어 골프 스윙 종료 운동이 자연스럽게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후 골프채(1)가 상기 스윙 가이드(10)에서 자동으로 해방되는 것이 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와 반원형 고정쇠(302)는 완전하게 닫힌 구조가 아니라 잠금 상태에서도 일부가 개방되도록 길이를 조정한다.
이러한 상태에 의하면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이 열리는 순간, 골프채가 해방되어 자연스러운 골프 스윙 종료 자세가 나오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는 링크 핀(303)에 형성된 잠금쇠 스프링(315)에 의하여 항상 열리는 방향으로 잠적적인 힘이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의 링크 핀(303) 반대측으로 연장된 부분이 상기 반원형 고정쇠(302)에 대하여 돌출 노출되도록 형성시킨다.
상기 노출 정도는 이를 누르면 상기 링크 핀을 지레 중심으로 하여 상기 노리쇠(311)에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의 걸림쇠(304)가 걸리는 정도가 되도록 하며, 이를 이유로 상기 노출된 부분을 잠금쇠 누름판(305)이라 명명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골프 스윙 연습을 위하여 사용자가 어드레스 자세에서 골프채(1)로 상기 잠금쇠 누름판(305)을 누르면,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는 닫힘 상태로 되면서 상기 노리쇠(311)에 고정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올바른 스탠스를 유지하면서 골프 스윙을 개시한다.
상기 골프채 홀더(30) 부분은 팔을 뒤로 제끼는 백스윙 동작에서부터 스윙 종료되어 골프채가 풀리는 팔로스로우까지 자연스러운 뒤틀림이 형성되어져야 하는데, 이는 도 5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0)의 구조와 베어링(33)에 의하여 발생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반원형 잠금쇠(301) 또는 반원형 고정쇠(302)에는 또한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채를 잡아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측을 향하는 돌기(302-1)를 형성시킨다.
상기 돌기(302-1)는 금속 프레임 외부에 덮어 씌우는 탄성 커버로 형성시키거나, 스프링에 의하여 돌출되는 핀으로 형성시켜 골프채의 잡히는 위치에 따라 단면 직경이 가변되더라도 골프채를 굳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의 골프채로 골프 타격 연습이 가능하므로 자기의 골프채에 대한 그립감을 익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 상태에 대하여 살펴보면, 우선 골프는 올바른 스탠스 자세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의 받침대(52) 위에서 양발을 공이 나갈 방향으로 가지런히 맞추어 자신의 어깨 넓이 정도로 벌리고, 무릎은 약간 구부리고 안쪽 허벅지 방향으로 힘을 주어 스탠스를 굳히고 그립과 양어깨사이의 삼각형을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어드레스 동작에서 본 발명의 골프채 홀더(30)에 골프채(1)의 길이를 확보하면서 고정시키고 그립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스윙 가이드(10)는 이 상태의 스탠스에 최적화 되도록 높이와 경사를 조절한다.
테이크 어웨이 자세로 골프채(1)를 뒤로 들어올리면 보조 궤도()가 연장되어 스윙 궤도를 유지시키면서 도 14와 같이 백스윙 자세로 이동된다.
탑스윙 시에는 상기 보조 궤도(100)가 복원되며 골프채의 샤프트가 오른팔과 직각을 이루어지도록 상기 스윙 가이드(10)가 안내한다.
다운스윙시엔 슬라이더(20)가 일정하게 궤도를 유지하여 내려우게 되며. 사용자의 오른발은 지면에서 목표방향 안쪽으로 서서히 떨어지기 시작하며 체중이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윙 가이드(10)에서 임팩트 후 왼쪽 다리를 곧게 펴면서 팔로우스루 회전각에 도달되면, 오른손이 왼손 위로 가도록 골프채 헤드를 자연스럽게 풀어주어, 도 16과 같은 피니쉬 자세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스윙 가이드 11 : 돌출판
12 : 링크 13 : 높이 조절 수단
13-1 : 지지봉
20 : 슬라이더 30 : 골프채 홀더
50 : 마운트 51 : 측면 수직봉
53 : 정면 수직봉 54 : 거리 조절 수단
100 : 보조 궤도 110 : 동축환
301 : 반원형 잠금쇠 302 : 반원형 고정쇠
303 : 링크 핀 304 : 걸림쇠
311 : 노리쇠 312 : 받침쇠
313 : 홀더 마운트 314 : 노리쇠 지지봉
315 : 노리쇠 링크핀 316 : 복원 스프링
317 : 노리쇠 지지봉 홀 510 : 측면 결합부
530 : 정면 결합부

Claims (9)

  1. 골프 타격 궤도를 유도하는 가이드로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중심축을 기준으로 0°위치에 우측 단부가 형성되며 시계방향으로 200° ~ 240°회전하여 좌측 단부가 형성되는 원통 환형 궤도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방은 낮고 후방은 높게 형성되어 측방에서 보았을 때 경사지게 형성되는 스윙 가이드와;
    상기 스윙 가이드의 좌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윙 가이드에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스윙 가이드에 삽입되는 동축환이 결합되어 상기 동축환이 상기 스윙 가이드에서 인출 또는 복원되면서 상기 스윙 가이드의 경로를 연장 또는 복원시키는 보조 궤도와;
    상기 스윙 가이드의 정면(우측 단부에서 시계방향으로 90°부분)에 돌출판으로 형성된 정면 결합부와;
    상기 스윙 가이드의 우측 단부와 좌측 수평부(우측 단부에서 180°부분)에 돌출판으로 형성된 측면 결합부와;
    상기 정면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정면 수직봉과;
    상기 측면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측면 수직봉과;
    상기 정면 수직봉과 측면 수직봉이 결합되며 중심부에 사용자가 위치할 수 있도록 받침대가 구비된 마운트와;
    상기 스윙 가이드에 슬라이딩 되는 외통으로서, 슬라이딩시 상기 정면 결합부와 측면 결합부의 방해를 받지 않도록 통의 일부가 절개 개방되며, 통의 외측으로 골프채를 탈착 고정시키는 골프채 홀더가 형성된 슬라이더;
    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스윙 가이드의 중심축에 서서 상기 스윙 가이드가 안내시키는 궤도를 따라 골프 타격 연습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타격 연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타격 연습기는
    상기 정면 수직봉과 측면 수직봉에 높이 조절 수단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키에 따라 상기 스윙 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타격 연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은
    동축 슬라이딩 봉 및 상기 동축 슬라이딩 봉을 고정시키는 조인트로 형성되어 높이가 가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타격 연습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수직봉은
    상기 마운트와 결합된 부분에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의 가변에 연동되어 사용자와의 거리를 조절시키는 거리 조절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의 키나 위치에 따라 상기 스윙 가이드의 측방 경사각을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타격 연습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궤도에는 상기 슬라이더로 상기 보조 궤도를 상기 스윙 가이드에서 밀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보조 궤도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보조 궤도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프링 핀이; 포함되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플랜지에 접촉되어 상기 보조 궤도를 밀어올릴 때 상기 스프링 핀에 체결되는 결합구를 형성시켜,
    상기 플랜지로 상기 슬라이더의 보조 궤도 인출력이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스프링 핀으로 상기 보조 궤도 복원력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타격 연습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골프채 홀더는
    상기 슬라이더에 돌설된 홀더 마운트에 고정된 반원형 고정쇠와;
    상기 반원형 고정쇠에 링크 핀으로 결합되며 상기 반원형 고정쇠와 고리를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링크 핀 결합 부분을 지레축으로 하는 잠금쇠 누름판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누르면 고리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하는 반원형 잠금쇠와;
    상기 반원형 고정쇠와 반원형 잠금쇠를 링크 결합시키며 상기 반원형 잠금쇠를 열림 방향으로 지향력을 가하는 잠금쇠 스프링이 끼워진 링크 핀과;
    상기 반원형 잠금쇠의 잠금쇠 누름판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쇠와;
    상기 반원형 잠금쇠가 닫힘 상태가 되면 상기 걸림쇠에 걸려서 상기 잠금쇠 스프링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상기 반원형 잠금쇠를 고정시키는 노리쇠와;
    상기 홀더 마운트 내측에 상기 슬라이더를 관통하며 형성된 통공에 안내되어 상기 스윙 가이드 표면에 단부가 접촉되며 상기 통공에 삽입된 복원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 하단으로 지향력이 형성되는 노리쇠 지지봉과;
    상기 노리쇠 단부와 상기 노리쇠 지지봉 상단을 링크 결합시키며 상기 노리쇠가 상기 걸림쇠가 걸리는 방향으로 지향력을 제공하는 노리쇠 스프링이 포함된 노리쇠 링크와;
    상기 홀더 마운트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노리쇠 중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노리쇠 지지봉의 승강시 상기 노리쇠의 구동을 구속하는 받침쇠와;
    상기 스윙 가이드의 우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시 상기 노리쇠 지지봉이 접촉되어 상기 노리쇠 지지봉의 승강 운동을 안내시키는 테이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스윙이 종료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스윙 가이드의 우측 단부에 도착하면, 상기 노리쇠 받침핀이 상기 테이퍼에 안내되어 수직 운동하여 상기 반원형 잠금쇠의 고정 상태를 변동시키고, 이에 따라 스윙 후 골프채가 상기 스윙 가이드에서 자동으로 해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타격 연습기.
  7. 제6항에 있어서 반원형 잠금쇠 또는 반원형 고정쇠는
    탄성체로 내측을 향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잠금 상태에서 골프채를 잡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타격 연습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홀더는
    상기 슬라이더에 베어링으로 결합되어 골프채 홀더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타격 연습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의 받침대에는
    받침대 상단 좌측에 발의 방향에 수평하게 형성된 직선형 부재와;
    상기 직선형 부재와 마운트 받침대에 길이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직선형 부재의 설치 거리를 조정하는 발 위치 조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발 위치 조정대로 사용자의 자세에 맞는 발폭을 조정하고, 스윙시 상기 직선형 부재에 왼쪽 발을 지지시켜 타격 자세를 교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타격 연습기.
KR1020110058894A 2011-06-17 2011-06-17 골프 타격 연습기 KR101212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894A KR101212883B1 (ko) 2011-06-17 2011-06-17 골프 타격 연습기
PCT/KR2011/004988 WO2012173299A1 (ko) 2011-06-17 2011-07-07 골프 타격 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894A KR101212883B1 (ko) 2011-06-17 2011-06-17 골프 타격 연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2883B1 true KR101212883B1 (ko) 2013-01-09

Family

ID=4735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894A KR101212883B1 (ko) 2011-06-17 2011-06-17 골프 타격 연습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12883B1 (ko)
WO (1) WO20121732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573A (ko) * 2016-07-19 2018-01-29 주식회사 에이티엔씨 골프 스윙 연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732207A (en) * 2014-12-05 2018-06-29 Bellasilky Invest Pty Ltd Golf swing training device
CN104971489A (zh) * 2015-06-19 2015-10-14 中山市迈进高尔夫用品有限公司 一种高尔夫姿势练习机
CN104941184B (zh) * 2015-06-19 2017-06-23 李新亚 轨道秋千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165A (ja) * 1994-06-15 1995-12-19 Yukio Yoshishita ゴルフのスイング練習装置
JP2005218784A (ja) 2004-02-09 2005-08-18 Akira Yuasa ゴルフスウィングの練習器
KR200447218Y1 (ko) 2007-11-13 2010-01-06 김성태 골프 스윙연습기
KR100991487B1 (ko) 2010-05-18 2010-11-04 박태조 골프 스윙자세 교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0531A (en) * 1972-03-13 1973-05-01 F Zega Golf swing practice device
US5312107A (en) * 1993-05-13 1994-05-17 Kordun, Ltd. Golf club swing training and exercise device
KR20000030377A (ko) * 2000-02-25 2000-06-05 조웅래 골프 스윙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165A (ja) * 1994-06-15 1995-12-19 Yukio Yoshishita ゴルフのスイング練習装置
JP2005218784A (ja) 2004-02-09 2005-08-18 Akira Yuasa ゴルフスウィングの練習器
KR200447218Y1 (ko) 2007-11-13 2010-01-06 김성태 골프 스윙연습기
KR100991487B1 (ko) 2010-05-18 2010-11-04 박태조 골프 스윙자세 교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573A (ko) * 2016-07-19 2018-01-29 주식회사 에이티엔씨 골프 스윙 연습기
KR101864784B1 (ko) 2016-07-19 2018-06-05 주식회사 에이티엔씨 골프 스윙 연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73299A1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95583A (en) Training device
US7081053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and training method
KR19980701823A (ko) 골프 보조기구
KR101212883B1 (ko) 골프 타격 연습기
US6994633B2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JPH04231081A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訓練装置
JPH0857099A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装置
JP4106081B2 (ja) ゴルフグローブ
US6371863B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JPS5985683A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装置
US4919433A (en) Golf putting trainer
EP3226986B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20070149301A1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KR102079001B1 (ko) 퍼팅 연습기
KR101731690B1 (ko) 골프 풀스윙 연습장치
US9914036B2 (en) Golf training aid
KR20200029325A (ko) 스윙 연습용 클럽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20160099228A (ko)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JPS60501840A (ja) スポ−ツのストロ−ク練習装置
US11717736B2 (en) Golf training apparatus
TWM611221U (zh) 高爾夫球揮桿練習裝置
KR20220110651A (ko)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
KR100487022B1 (ko) 골프 장갑
JPH0271772A (ja) ゴルフ練習用具
CA2387116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