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022B1 - 골프 장갑 - Google Patents

골프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022B1
KR100487022B1 KR1020040056256A KR20040056256A KR100487022B1 KR 100487022 B1 KR100487022 B1 KR 100487022B1 KR 1020040056256 A KR1020040056256 A KR 1020040056256A KR 20040056256 A KR20040056256 A KR 20040056256A KR 100487022 B1 KR100487022 B1 KR 100487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main body
hand
swing
gl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준
사진학
황기남
Original Assignee
황기남
김경준
사진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기남, 김경준, 사진학 filed Critical 황기남
Priority to KR1020040056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022B1/ko
Priority to JP2005208112A priority patent/JP4106081B2/ja
Priority to US11/186,678 priority patent/US20060015983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6Golf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를 연습하거나 플레이할 때 스윙자세의 정확한 유지 및/또는 교정을 통하여 스윙시 클럽 헤드를 최대한 가속시키고 좋은 방향성을 유지하며, 클럽 헤드를 공에 대해 정확히 직각으로 임팩트시킬 수 있음으로써 비거리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골프 장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프를 연습하거나 플레이할 때 착용하는 장갑에 있어서, 착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고 손을 에워싸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내장되어 탄성력을 부여하고 상기 본체부가 손에 밀착되도록 하는 조임수단;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띠형상의 걸이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걸이수단을 골프 클럽의 그립 후단에 걸어서 어드레스한 후에 골프 스윙을 하도록 구성된 골프 스윙자세의 유지 및/또는 교정을 위한 골프 장갑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확한 스윙자세를 취하고 쉽게 자세 교정을 통하여 다운 스윙시 클럽 헤드를 최대한 가속시키고, 클럽 헤드를 스퀘어 상태로 공에 대해 정확히 임팩트시킬 수 있음으로써 좋은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비거리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골프 장갑{GOLF GLOVE}
본 발명은 골프 스윙의 자세 교정을 위한 골프 장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골프를 연습하거나 플레이할 때 스윙자세의 정확한 유지 및/또는 교정을 통하여 스윙시 클럽 헤드를 최대한 가속시키고 좋은 방향성을 유지하며, 클럽 헤드를 공에 대해 정확히 직각으로 임팩트시킬 수 있음으로써 비거리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골프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치는 방법과 골프채(클럽)를 쥐는(파지하는) 자세 또는 스윙 방법 등이 다양하여 초보자들이 그 많은 자세와 방법을 단시간에 익히기에는 시간적, 경제적 무리가 뒤따르게 된다.
특히, 초보자의 경우 골프 클럽을 파지하는 자세부터 다양하여 초기에는 정확한 자세를 익히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숙련자도 처음의 잘못된 자세로 시작하여 그 자세가 몸에 익게 되면, 후에 올바른 자세로 교정하기란 쉽지 않게 된다.
즉, 사람마다 각각 체형이나 자세가 다르기 때문에 골프 클럽의 그립을 파지하는 방향이나 자세가 다양하여 어떤 사람은 자신의 체형에 맞는 자세를 단시간에 쉽게 익혀 숙달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다른 사람들은 장기간에 걸쳐 연습을 하여야 한다. 또한, 숙달된 골퍼인 경우에도 나쁜 자세로 인하여 능률이 잘 오르지 않거나 잘 진전되지 않고, 자세도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며, 수시로 자세를 바꾸면서 갈팡 질팡하여 효과적인 골프를 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골프에 있어서 골퍼의 스윙자세는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스윙 자세는 타구의 정확도와 비거리 측면에서 큰 영향을 준다. 특히, 타구의 비거리는 백 스윙의 크기와 클럽 헤드의 스윙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즉, 공을 치는 순간 백 스윙의 크기가 크고 클럽 헤드의 스윙 속도가 빠를 수록, 그리고 정확한 클럽 헤드의 스윗 스폿(sweet spot)에서 타격이 이루어지면 공은 멀리 날아간다.
보다 멀리, 그리고 본인이 원하는 곳으로 정확히 볼을 보내기 위해서는 공을 치기 위한 첫 단계인 백 스윙이 상당히 중요하다. 오른손 잡이의 경우 이상적인 백 스윙 자세에서는 왼쪽의 손등이 손등 쪽이나 손바닥 쪽으로 꺾이지 않고 왼팔과 일직선을 이룸과 동시에 골프채는 목표선과 평행을 이루어야 한다.
한편, 비거리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손목을 카킹(cocking, 또는 '코킹'이라고도 함)(꺽임)할 때, 정상적인 경우 왼쪽 손등이 왼팔과 일직선을 이룬 상태로 손목이 꺾여져야 되나 손목이 손등 쪽이나 손바닥 쪽으로 꺾여지게 됨으로써 카킹의 효과가 저하됨과 동시에 정확한 임팩트가 이루어지지 않아 미스 샷의 원인이 된다.
또한, 백스윙의 최종 단계에서 골프채는 목표선과 평행을 이루어야 하지만,대부분은 아마튜어들, 혹은 심지어는 숙련자라 할지라도 백스윙의 정점부분에서 골퍼의 왼팔은 팔굼치 부분에서 굽어지고, 골프채는 평행선을 지나쳐서 과도하게 넘어가는 오버 스윙 상태를 빈번하게 초래하는 것이고, 이러한 과도한 오버 스윙은정확하지 못한 임팩트를 초래하여 미스 샷과 비거리의 손실을 초래하는 것이다.
한편, 일반적인 종래의 골프 장갑(10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고 손을 감싸는 본체부(110)를 갖고, 상기 본체부(110)의 손등부분에는 조임수단(120)을 구비하며, 상기 조임수단(120)은 탄성력을 갖는 재료로 이루짐으로써 손에 착용시 상기 본체부(110)를 손에 밀착시키는 구조이다.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골프 장갑(100)은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절개부(130)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130)의 일측에 마련된 덮개(132)의 안쪽부위와 장갑(100)의 손등부위에는 암,수의 매직테이프(140)(일명, 찍찍이)를 형성하여 상기 덮개(132)를 당겨서 손목을 조여주는 상태로 골프 장갑(100)을 골퍼의 손에 밀착시키는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의 골프 장갑(100)을 끼고, 골퍼들이 올바른 자세로 능률적으로 골프를 치려면 골프 장갑(100)을 낀 왼손에 의해 골프 클럽의 그립(Grip)을 올바르게 잡아야 하고, 골퍼의 손과 클럽이 일체감을 느껴서 올바른 백스윙과 다운 스윙이 이루어짐으로써 스윙 자세를 흐트리지 않고, 타구를 원하는 방향으로 보내야 한다. 그렇지만, 종래의 골프 장갑(1)은 클럽의 그립과의 일체감을 쉽게 느끼도록 된 구조는 아니어서 안정된 스윙을 이루는 데에 별도움이 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서 항상 불규칙하고 불안정한 스윙자세를 반복하게 되어 비거리도 마음대로 조절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골프를 연습하거나 플레이할 때, 스윙자세의 정확한 유지및 교정을 통하여 스윙시 클럽 헤드를 최대한 가속시키고, 좋은 방향성을 유지하며 클럽 헤드를 공에 대해 정확히 직각으로 임팩트시킬 수 있음으로써 비거리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골프 장갑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골프를 연습하거나 플레이할 때 착용하는 장갑에 있어서,착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고 손을 에워싸는 본체부;상기 본체부에 내장되어 탄성력을 부여하고 상기 본체부가 손에 밀착되도록 하는 조임수단;및상기 본체부의 손등 부위에 연결되는 띠형상의 걸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걸이수단은 그 일측 단부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박음질등으로 고정 연결되고, 타측 부분은 연결수단을 통하여 골퍼가 착용시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그 길이가 조절가능하며, 상기 걸이수단을 골프 클럽의 그립 후단에 걸어서 스윙을 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자세의 유지 및/또는 교정을 위한 골프 장갑을 제공함에 의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를 연습하거나 플레이할 때 착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1)은 착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고 손을 감싸는 본체부(110)를 구비하는 바, 상기 본체부(110)는 가죽,헝겁 또는 합성수지 피혁등의 통상적인 장갑재료들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0)에는 이를 손에 착용하는 경우, 밀착시키도록 탄성 조임력을 부여하는 조임수단(120)이 구비되는 바, 이는 본체부(110)에 내장 박음질된 고무 밴드등으로 이루어져 골퍼가 장갑을 착용하면 상기 조임수단(120)의 고무 밴드는 다소 늘어난 상태로 부터 그 탄성 복원력으로 인하여 골퍼의 손에 본체부(110)가 밀착되어 착용감및 일체감을 좋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1)은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띠형상의 걸이수단(10)을 포함하여, 골프 클럽을 어드레스한 후에 상기 걸이수단(10)을 골프 클럽(15)의 그립 후단(20)에 걸어서 골프 스윙을 하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걸이수단(10)은 둥근 고리형의 띠로서 폐회로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그 양측 단부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바람직하게는 손등부분에 박음질 연결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둥근 고리를 형성하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1)은 도 2a)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퍼가 손에 착용하고 상기 걸이수단(10)을 골프 클럽(15)의 그립 후단(20)에 걸어서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 다음, 골프 클럽(15)을 정상적으로 스퀘어 상태로 어드레스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걸이수단(10)이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탄성재료의 띠로서 이루어진다면, 이와 같은 어드레스후에 골퍼는 장갑(1)과 골프 클럽(15)의 그립부분이 걸이수단(10)에 의해서 다소 긴장된 상태로 연결되기 때문에 골퍼는 그의 왼손이 골프 클럽(15)의 그립에 더욱 일체화되는 느낌을 확실하게 받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은 골퍼가 정확한 그립 위치에서 클럽의 그립을 쥐어 올바른 어드레스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2a)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수단(10)이 그립 끝단에 걸리도록 하고 왼손으로 편안하게 그립을 쥐면, 그립의 정확한 위치에서 골퍼의 왼손이 위치하도록 한다.
만일, 상기 걸이수단(10)의 길이(또는, 크기)가 골퍼의 손에 맞추어 사전에 길이 맞춤 되어 있는 것이라면, 이러한 걸이수단(10)에 의해서 그립을 쥐는 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될 것이고, 이 위치에서 정확한 어드레스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일측에 절개부(130)를 구비하고, 상기 절개부(130)의 일측에 마련된 덮개(132)의 바깥쪽 부위와 본체부(110)의 손등 안쪽부위에 암,수의 매직테이프(30)(일명, 찍찍이)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부(110)의 손등부분을 덮개(132)의 윗부분으로 당겨서 손목을 조여주는 상태로 골프 장갑(1)을 골퍼의 손에 밀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수단(10)은 본체부(110)의 손등부분에서 그 양단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골퍼가 이를 착용하는 경우, 절개부(130)를 통하여 쉽게 착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매직 테이프(30)를 통하여 상기 본체부(110)의 손등부분을 덮개(132)의 윗부분으로 당겨 부착시킴으로써 손목을 조여주는 상태로 착용한다. 그리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수단(10)을 통하여 골프 클럽(15)의 그립 후단(20)에 걸어서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 다음, 골프 클럽(15)을 정상적으로 스퀘어 상태로 어드레스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절개부(130)에 마련된 덮개(132)의 바깥쪽 부위와 본체부(110)의 손등 안쪽부위에 암,수의 매직테이프(30)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골퍼의 손이 크거나 작은 경우에도 모두 쉽게 장갑(1)을 착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10)의 손등부분을 절개부(130)측으로 당겨서 손목을 조여주는 상태로 골프 장갑(1)을 조일 수 있으며, 매직 테이프(30)의 접착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본체부(110)의 겉모습이 간단하고, 걸이수단(10)을 그립 후단(20)에 쉽게 걸 수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상기 걸이수단(10)의 길이가 조절가능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고 손을 감싸는 본체부(110)를 갖고, 상기 본체부(110)의 손등부분에는 조임수단(120)을 구비하며, 본체부(110)의 일측으로는 절개부(130)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130)의 일측에 마련된 덮개(132)의 안쪽부위와 장갑의 손등부위에는 암,수의 매직테이프(30)를 형성하여 상기 절개부(130)를 당겨서 손목을 조여주는 상태로 골프 장갑(1)을 골퍼의 손에 밀착시키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걸이수단(10)은 둥근 고리형의 띠로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일측 단부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박음질(10a)등으로 고정 연결되고, 타측 부분은 연결수단(40)을 통하여 골퍼가 착용시에 고정하도록 된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수단(40)은 본체부(110)의 손등부분 외측에 암(female) 또는 수(male) 매직 테이프(30)를 고정 형성하고, 그 반대측의 걸이수단(10)에는 수 또는 암 매직 테이프(30)를 고정 형성하여 사용시에 이를 연결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으로 둥근 고리를 형성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걸이수단(10)은 본체부(110)에 연결되는 지점이 손등부분의 윗부분 혹은 아랫부분일 수 있으며, 연결수단(40)이 형성되는 지점도 그 반대의 본체부(110) 손등 부분의 아랫부분 혹은 윗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40)은 상기에서는 암,수의 매직 테이프(30)로 이루어졌지만, 다른 변형 구조, 예를 들면 걸이수단(10)에는 구멍(미도시)을 형성하고, 본체부(110)에는 고리(미도시)등을 형성하여 고리를 구멍에 끼워 연결하는 구조등으로 변형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수단(40)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여러가지로 변형가능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변형 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도 4의 a),b)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골퍼가 본 발명의 장갑(1)을 착용하고, 상기 덮개(132)의 안쪽부위와 장갑의 손등부위에 마련된 암,수의 매직테이프(30)를 이용하여 상기 덮개(132)를 손등부위로 당겨서 손목을 조여주는 상태로 손에 끼운 다음, 걸이수단(10)을 이용하여 그립의 후단(20)으로 돌려 걸고, 그 개방단부를 본체부(110)에 당겨 연결시키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골퍼가 손 크기 혹은 장갑 크기등에 따른 걸이수단(10)의 길이편차부분을, 본 발명의 장갑(1) 사용시에 즉시 조절하여 최적의 길이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걸이수단(10)을 통하여 왼손과 골프 클럽(15)의 그립 후단(20)을 연결하여 일체감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골프 장갑(1)은 사용자가 착용후에 어드레스하고, 백스윙및 다운 스윙을 하여 샷을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다양하고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걸이수단(10)에 의해서 백스윙과 피니쉬때에 왼손 약지와 새끼 손가락사이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때문에 왼손이 골프 클럽(15)의 그립에 밀착되어 클럽과 손이 일체화되는 느낌을 확실하게 받을 수 있음으로써 골퍼는 그립을 힘주어 쥐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백스윙및 다운 스윙시 왼쪽 손목의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2) 백스윙시 정점(top) 부분에서 도5의 2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럽의 그립을 쥔 골퍼의 손 내부에서 클럽 헤드의 무게로 인하여 그립의 끝부분이 들리고, 클럽 헤드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클럽이 전체적으로 목표물을 향하여 수평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3) 백스윙시 골퍼의 왼손이 클럽의 그립과 일체감을 느낄수 있고, 왼쪽 손목의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정점 부분에서는 골프 클럽(15)의 그립 후단(20)이 걸이수단(10)에 의해서 상부측으로 들리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자연스럽게 클럽이 목표물을 향하여 수평으로 유지되면서 자세가 안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골퍼는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백스윙시 왼팔의 굽어짐을 방지하여 과도한 오버스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왼손이 왼팔뚝에 대해 일직선을 이루지 못하고 꺽어지면서 클럽이 목표물을 향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된 백스윙 자세를 유지하고, 편안한 다운스윙으로 이어지도록 한다.
4) 본 발명은 손목의 유연성 유지로 백스윙시 어깨에 들어가는 과도한 힘을 감소시킴으로써 유연성 유지로 인한 일정한 백스윙 상태를 항상 유지하며, 편안한 다운스윙으로 이어지도록 할 수 있다.
5) 백스윙시, 왼팔 구부러짐 방지및 손목 꺽임의 방지로 인해 항상 일정한 백스윙 정점 높이를 유지할 수 있고, 보다 안정되고 깨끗한 백스윙을 보장할 수 있다.
6) 초보자들의 가장 흔한 잘못 중의 하나인 백스윙시 그립에 점점 힘이 들어가면서 클럽 헤드를 너무 인사이드로 당기는 잘못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너무 플랫트(flat)한 스윙이 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인-투-아웃(in-to-out) 스윙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정확한 스윙평면을 유지하도록 도와 준다.
7) 본 발명은 걸이수단(10)을 통하여 골퍼의 왼손과 클럽의 그립을 고정시켜 일체감을 느끼도록 함으로써 손목의 과도한 움직임 방지로 백스윙시 유발되는 클럽페이스가 닫히는 동작을 방지하여 좀더 클럽페이스가 볼에 스퀘어(square)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고, 풀샷(pull shot)이나 훅(hook)성 구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8) 백스윙시 손목의 유연성과 걸이수단(10)의 그립 당김으로 인한 압박감에 의해 오버스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체의 힘을 뺄수 있고 그에 따른 하체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좀 더 강력한 샷을 날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많은 골퍼들의 문제점인 조기 타격(early hit) 혹은 캐스팅(casting)이라고 불리는 문제점을 한번에 어려움 없이 교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임팩트 전에는 오른쪽 손목의 바깥쪽 각도가 풀어지고 클럽과 왼팔이 거의 일직선을 형성하며, 임팩트 시에는 두 손의 주걱 모양 자세(퍼 올리는 자세) 즉, 두 손이 볼과 같은 위치 혹은 그 뒤에 있게 되며, 임팩트 후에는 왼 손목이 풀리면서 오른손이 왼손 위를 자연스럽게 감싸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임팩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대부분의 아마튜어 골퍼들은 우드(Woods) 클럽은 비교적 잘 치는데 반해 아이언(Irons) 클럽은 그립이 견고하지 못하고, 디보트(Divot)도 파지지 않는 샷을 만든다는 것이다. 골퍼가 이러한 문제를 겪고 있다면 이는 조기 릴리스(early release)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우드 샷의 경우는 볼을 쓸어가기 때문에 이러한 조기 릴리스의 문제가 심각하게 표출되지 않을 수 있으나, 경쾌하고 정확한 아이언 샷을 내기 위해서는 임팩트시 왼손목이 클럽 헤드보다 앞서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는 좀더 릴리스를 지연시켜 레이트 히팅(late hitting)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힘찬 임팩트가 가능해진다.
9) 본 발명은 아이언 클럽의 다운 스윙시, 걸이수단(10)에 의해서 골퍼의 왼손과 클럽의 그립 부분은 연결되어 일체감을 주면서 내려오기 때문에, 캐스팅(손목의 일찍 풀림 현상) 방지로 파워 증대를 이루고, 견고한 임팩트가 이루어져 볼의 타격후에 확실하게 디보트(Divot)를 형성하고, 정확한 탄도의 아이언 샷 구질을 얻을 수 있다.
10) 본 발명은 골퍼의 임팩트 후, 팔로스로(follow through) 상황에서 상기 걸이수단(10)이 임팩트 후에도 그립의 후단에 걸린 상태로 골퍼의 왼손과 클럽은 일체감을 주기 때문에 왼손의 과도한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알맞은 손목의 모양을 만들어 항상 일정하고 깨끗한 피니쉬를 유지해 주며, 볼 구질이 과도한 훅(hook) 또는 슬라이스(slice)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체의 힘이 빠지면 머리와 어깨를 유연하게 해서 회전을 촉진시켜 척추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고, 올바른 체중이동을 할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유연성 유지로 일정한 피니쉬를 유지할 수 있다.
11) 올바른 백스윙자세로 부터 안정된 스윙 평면(swing plane)을 따라 움직이는 왼팔의 올바른 스윙은 오른팔에 오는 부담을 줄여, 올바른 오른팔의 모양을 유지하도록 하고 훨씬 안정적인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12)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백 스윙상태로 부터 다운 스윙을 시작하면 걸이수단(10)에 의해서 그립의 후단(20)에 걸린 상태로 골퍼의 왼손과 클럽은 일체감을 주면서 내려오기 때문에 손목고정으로 팔을 이용한 다운스윙을 막아 주고, 골퍼의 몸을 이용한 회전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며, 이로 인해 자연스러운 인-투-인(In-to-In) 스윙을 유도하고, 클럽페이스의 닫힘 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13) 그리고, 초급자에게 가장 많이 나오는 푸쉬(Push) 혹은 슬라이스(slice)현상의 타구 구질을 방지한다. 이는 골퍼가 다운 스윙하여 클럽을 내릴 때, 걸이수단(10)에 의해서 골퍼의 왼손과 클럽은 일체감을 주면서 내려오기 때문에 그립을 무리하게 쥘 필요가 없고, 그에 따라서 카킹의 유지를 위한 손목의 과도한 힘을 빼고 임팩트하며 자연스럽게 릴리스(release)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공이 우측으로 밀리는 푸쉬(Push) 혹은 슬라이스(slice)현상을 최소화하여 보다 멀리, 그리고 똑바로 날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14)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골퍼가 정확한 백스윙, 다운 스윙, 임팩트, 팔로 스루, 피니쉬등을 정확한 자세로 임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타격이 가능하고, 원하는 착지 지점으로 볼을 날릴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비거리의 향상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를 연습하거나 플레이할 때, 걸이수단(10)을 통하여 왼손과 골프 클럽(15)의 그립 후단(20)을 연결하여 일체감을 형성하고, 이러한 느낌이 백스윙이나 다운 스윙시에 항상 느낄수 있기 때문에 안정된 백스윙, 다운 스윙, 임팩트, 팔로스루및 피니쉬로 이어지는 스윙자세를 정확하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스윙자세를 취하고 쉽게 자세 교정을 통하여 다운 스윙시 클럽 헤드를 최대한 가속시키고, 클럽 헤드를 스퀘어 상태로 공에 대해 정확히 임팩트시킬 수 있음으로써 좋은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원하는 지점의 볼 착지를 용이하게 하고, 비거리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 2도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의 착용 상태도;
제 3도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b)는 도 3a)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c)는 도 3a)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제 4도는 a)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b)는 도 4a)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걸이 수단의 사용 상태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을 이용한 백 스윙시 사용 상태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을 이용한 백 스윙시, 백 스윙 정점에서의 사용 상태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을 이용한 다운 스윙시 사용 상태도;
제 8도의 a),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골프 장갑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골프 장갑 10.... 걸이수단
15... 골프 클럽 20.... 그립 후단
30.... 매직 테이프 40.... 연결수단
100.... 골프 장갑 110.... 본체부
120.... 조임수단 130.... 절개부
132.... 덮개 140.... 매직테이프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골프를 연습하거나 플레이할 때 착용하는 장갑에 있어서,
    착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고 손을 에워싸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에 내장되어 탄성력을 부여하고 상기 본체부(110)가 손에 밀착되도록 하는 조임수단(120);및
    상기 본체부(110)의 손등 부위에 연결되는 띠형상의 걸이수단(10);을 포함하고,
    상기 걸이수단(10)은 그 일측 단부가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박음질(10a)등으로 고정 연결되고, 타측 부분은 연결수단(40)을 통하여 골퍼가 착용시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그 길이가 조절가능하며, 상기 걸이수단(10)을 골프 클럽(15)의 그립 후단(20)에 걸어서 스윙을 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자세의 유지 및/또는 교정을 위한 골프 장갑.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40)은 암,수의 매직 테이프(30)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자세의 유지 및/또는 교정을 위한 골프 장갑.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10)은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재료의 띠로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자세의 유지 및/또는 교정을 위한 골프 장갑.
KR1020040056256A 2004-07-20 2004-07-20 골프 장갑 KR100487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256A KR100487022B1 (ko) 2004-07-20 2004-07-20 골프 장갑
JP2005208112A JP4106081B2 (ja) 2004-07-20 2005-07-19 ゴルフグローブ
US11/186,678 US20060015983A1 (en) 2004-07-20 2005-07-20 Golf glo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256A KR100487022B1 (ko) 2004-07-20 2004-07-20 골프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7022B1 true KR100487022B1 (ko) 2005-05-17

Family

ID=37302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256A KR100487022B1 (ko) 2004-07-20 2004-07-20 골프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7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051B1 (ko) 2020-10-12 2021-04-20 허남원 골프용 핑거장갑 및 상기 장갑을 이용한 골프스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051B1 (ko) 2020-10-12 2021-04-20 허남원 골프용 핑거장갑 및 상기 장갑을 이용한 골프스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8658B2 (en) Sports training device and method
AU761164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and training method
US5149099A (en) Golf club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7156748B2 (en) Golf training device and method
JP4106081B2 (ja) ゴルフグローブ
US9295896B1 (en) Wearable golf training aids
US200702757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a golf swing
US3700245A (en) Golfer{40 s wrist attachment
US20170259149A1 (en) Method of enhancing a participant&#39;s performance in a sporting activity
US9233290B2 (en) Wrist training device for a golf swing and putting stroke
US8425339B2 (en) Systems and devices of enhancing power grip on an athletic apparatus
US11911679B2 (en) Wrist and elbow stabilizer for sports training
US7399232B1 (en) Golf club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KR100487022B1 (ko) 골프 장갑
US5976037A (en) Head movement restraining device for baseball batters
KR200396681Y1 (ko) 걸이띠가 분리 결합가능한 골프장갑
US11577138B1 (en) Adjustable wrist support stabilizer that keeps the wrist straight at impact during the golf-swing
US7112150B2 (en) Method for chipping and club
KR100767818B1 (ko) 골프 스윙 교정구
JP6644387B1 (ja) グリップ角制御によるゴルフスイング練習具
US20210052963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419841Y1 (ko) 골프 자세교정용 보조기구
JPH0423587Y2 (ko)
JP2003265668A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具
WO2003080194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