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051B1 - 골프용 핑거장갑 및 상기 장갑을 이용한 골프스윙방법 - Google Patents

골프용 핑거장갑 및 상기 장갑을 이용한 골프스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051B1
KR102243051B1 KR1020200131458A KR20200131458A KR102243051B1 KR 102243051 B1 KR102243051 B1 KR 102243051B1 KR 1020200131458 A KR1020200131458 A KR 1020200131458A KR 20200131458 A KR20200131458 A KR 20200131458A KR 102243051 B1 KR102243051 B1 KR 102243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 finger
finger
scale
golf
w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남원
김명희
Original Assignee
허남원
김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남원, 김명희 filed Critical 허남원
Priority to KR1020200131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6Golf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7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용 장갑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골프 클럽의 그립부분을 쥐는 손의 힘을 뺀 상태에서도 골프 클럽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양손 검지에 착용하여 검지에만 힘을 주어 골프채를 잡을 수 있도록 훈련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가늠자가 장착되어 골프채의 스윙방향이 바른지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할 있는 골프용 핑거장갑 및 상기 장갑을 이용한 골프스윙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프용 핑거장갑 및 상기 장갑을 이용한 골프스윙방법{Golf finger gloves and golf sw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골프용 장갑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골프 클럽의 그립부분을 쥐는 손의 힘을 뺀 상태에서도 골프 클럽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양손 검지에 착용하여 검지에만 힘을 주어 골프채를 잡을 수 있도록 훈련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가늠자가 장착되어 골프채의 스윙방향이 바른지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할 있는 골프용 핑거장갑 및 상기 장갑을 이용한 골프스윙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프에 있어서는, 초심자이든 숙련자이든, 그립을 얼마나 안정감 있게 잘 유지하고 스윙을 할 수 있는가하는 점이 골프 기술의 향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즉, 골프의 스윙(swing)은 골프 클럽의 손잡이 부분이 사용자의 손아귀에 쥐어져 허리와 어깨를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이 골프 클럽의 헤드(head)로 지면에 놓인 볼을 치는 것인데, 사용자가 의도한 대로의 정확한 비거리와 방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스윙 동작이 자연스러워야 하며, 특히 정확한 히트를 위해서는 골프 클럽의 손잡이를 쥔 손의 모양 및 세기(이하, '그립'(grip) 또는 '그립핑'(gripping)이라 한다)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스윙은 하나의 흐름 속에 어드레스(address), 백스윙(back swing), 톱스윙(top swing), 다운스윙(down swing), 팔로스루(follow through) 및 피니시(finish)로 이어지는데, 볼을 정확하고 멀리 보내기 위해서는 다운스윙과 팔로스루 사이에 이루어지는 임팩트(impact)와 팔로스루 동작이 정확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스윙 동작에 있어 그립핑에 과도하게 힘이 들어가게 되면, 팔과 어깨 근육이 경직되어 부드러운 스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더하여 골프 클럽의 헤드의 속도가 떨어지게 되어 볼의 비거리와 방향에 좋지 아니한 결과가 초래된다. 반면, 그립핑에 너무 약한 힘을 주면, 스윙시 골프 클럽의 무게에 의하여 골프 클럽의 손잡이와 손아귀 사이에 틈새가 생겨 골프 클럽이 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임팩트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손아귀에 골프 클럽의 손잡이와의 마찰로 물집이 발생될 수도 수 있다.
결국, 골프에 있어서 그립핑은 볼의 비거리와 방향을 조절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골프 클럽이 따로 놀지 않되 과도하지 않은 적당한 힘이 들어가면서 동시에 골프 클럽과 손아귀 사이에 틈새가 없이 견고히 밀착되어야 바람직한 그립핑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소재와 기능을 갖는 골프 장갑 및 보조수단이 개발되었는데, 특허공개 제10-2005-017392호의'장갑의 중앙부분에 삽입되는 골프 장갑용 삽입 장치'에는 전체적으로'부메랑'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장갑에 삽입되는 것을 주요한 구성으로 하여, 비거리 향상의 효과만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국내 특허등록 제10-0487022호(2005.04.25 등록)의 '골프 장갑'은 골프 클럽의 그립과 손의 일체감을 향상시켜 백스윙이나 다운스윙, 임펙트, 팔로스루 및 피니쉬로 이어지는 스윙 자세를 정확하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나, 그 구성상 골프 클럽의 그립에 거는 정도의 일체감만으로는 임펙트시 그립의 요동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고 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스윙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올바른 골프 스윙을 위해서는 손과 손목에 힘을 빼고 골프채를 가볍게 쥔 상태에서 어깨와 허리의 힘을 이용해 마치 진자 운동을 하듯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스윙을 할 것이 요구되는데, 이처럼 손에 힘을 빼고 골프채를 잡은 상태로 스윙을 한다는 것은 말은 쉽지만 실제로 제대로 실행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데에 문제의 근원이 있었다. 따라서 골퍼가 손에 힘을 뺀 상태에서도 숙련된 골퍼가 그립을 잡는 것처럼 안정적으로 골프채의 그립을 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골프 장갑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특허등록번호 제10-1230928호 국내 특허등록 제10-0487022호 국내특허공개번호 제10-2005-017392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장갑이 착용되거나 착용되지 않은 양 손 검지에 착용한 상태에서 골프 클럽을 엄지와 검지의 힘만으로 잡을 수 있어 골프 클럽을 잡을 때 손에 힘을 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늠자가 설치되어 골프스윙방향을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구조의 골프용 핑거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된 골프용 핑거장갑을 골프장갑이 착용되거나 착용되지 않은 양 손 검지에 착용한 상태에서 백스윙시 골프채가 바르게 이동하는지 여부, 퍼팅시 손목이 돌아가는지 여부, 어드레스시 골프공이 원하는 목표방향으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착용자가 스스로 인지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골프스윙을 연습하고 필드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골프스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목적 역시 당연히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검지의 손끝 마디와 중간 마디 사이의 제2관절부분 하부에 그 상단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검지에 착용되는 본체부; 상기 검지에 착용된 본체부의 손등 측에서 상기 검지의 손바닥 마디와 중간 마디 사이의 제1관절부분 중 손등측 상면부분 및 상기 상면부분과 연결되는 각각의 측면부분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본체부의 손등 측에서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검지의 손바닥 마디측 정면 중심부에서 그 표면에 수직하게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가늠자 및 상기 검지의 중간 마디측 정면 중심부에서 그 표면에 수직하게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가늠자를 포함하는 방향기준부;를 포함하는 골프용 핑거장갑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검지에 착용된 상태에서 그 손바닥측 하단부 일측이 상기 손바닥 마디 시작부에 위치하고 그 타측은 상기 일측보다 길게 형성되어 착용시 손잡이로 작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본체부의 손등 측에서 봤을 때 전체적으로 상기 개구부 상부를 이루는 밑변이 상기 중간마디에 위치하고 상기 밑변에 대향되는 제1꼭지점이 상기 손바닥마디에 위치하는 이등변 역삼각형상으로 상기 밑변과 인접하는 제2꼭지점 및 제3꼭지점이 둥근 형상을 이룬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가늠자 및 상기 제2가늠자는 그 상단부를 이루는 각각의 모서리가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일직선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상기 본체의 중심선에 대해 상기 일직선은 7°내지 13°범위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가늠자 및 상기 제2가늠자는 그 상단부를 이루는 각각의 모서리는 길이비가 1.7~2.3 : 0.7~1.3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천연가죽, 합성피혁, 합성수지 및 실리콘소재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늠자 및 제2가늠자는 하나 이상의 금속제 클립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어느 하나의 골프용 핑거장갑을 오른손 검지 및 왼손 검지에 각각 착용하는 단계; 상기 왼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의 제2가늠자가 오른손의 새끼손가락과 약지손가락 사이에 위치하고 양손 검지와 엄지손가락에 힘이 들어가도록 골프클럽을 잡는 단계; 상기 왼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에서 제1가늠자의 몸 쪽 단부의 방향은 오른쪽 어깨를 향하도록 하고, 상기 오른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에서 제1가늠자의 방향은 골프공을 향하도록 어드레스 하는 단계; 상기 오른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의 제1가늠자가 일자로 가도록 백스윙 하면서 코킹시 상기 왼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의 제1가늠자의 면이 보이도록 백스윙 하는 단계; 및 상기 오른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의 제1가늠자의 방향이 상기 골프공이 있던 자리를 향하도록 다운스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프용 핑거장갑을 활용한 골프스윙방법을 제공한다.
상술된 본 발명의 골프용 핑거장갑에 의하면 골프장갑이 착용되거나 착용되지 않은 양 손 검지에 착용한 상태에서 골프 클럽을 엄지와 검지의 힘만으로 잡을 수 있어 골프 클럽을 잡을 때 손에 힘을 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늠자가 설치되어 골프스윙방향을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골프스윙방법에 의하면, 상술된 골프용 핑거장갑을 골프장갑이 착용되거나 착용되지 않은 양 손 검지에 착용한 상태에서 백스윙시 골프채가 바르게 이동하는지 여부, 퍼팅시 손목이 돌아가는지 여부, 어드레스시 골프공이 원하는 목표방향으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착용자가 스스로 인지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골프스윙을 연습하고 필드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범위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 내용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 역시 당연히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핑거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골프용 핑거장갑의 정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골프용 핑거장갑의 본체부의 전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골프용 핑거장갑에 사용되는 가늠자의 구현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골프용 핑거장갑의 실물사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골프용 핑거장갑을 장시간 사용하여 성형이 완료된 상태의 실물사진이다.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실물 골프용 핑거장갑을 검지에 착용한 상태의 사진이고, 도 6b는 착용한 상태에서 검지를 구부린 상태의 사진이며, 도 6c는 장갑을 낀 검지에 실물 골프용 핑거장갑을 착용한 상태 및 착용상태에서 구부린 상태의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골프용 핑거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골프클럽을 잡은 상태의 사진이다.
도 8a는 도 7과 같이 골프클럽을 잡은 상태에서 퍼팅시 골프용 핑거장갑의 가늠자가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8b는 퍼팅이 진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특히,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이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골프 클럽을 엄지와 검지의 힘만으로 잡을 수 있어 골프 클럽을 잡을 때 손에 힘을 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늠자가 설치되어 골프스윙방향을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구조의 골프용 핑거장갑 및 상기 장갑을 양손 검지에 착용한 상태에서 어드레스, 백스윙 및 다운 스윙시 착용자가 스스로 골프 클럽이 바른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어 올바른 방향으로 골프스윙을 연습하고 필드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골프스윙방법에 있다.
즉, 골프스윙은 어드레스(address), 백스윙(back swing or take-back), 다운스윙(down swing), 임팩트(impact), 팔로스루(follow-through)에 이르는 일련의 흐름으로, 상기의 일련의 동작이 원할하게 행해지고, 또한 클럽 헤드(club head)가 원궤도를 그리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막상 스윙에 임하여 볼을 강하게 치려는 의식이 골퍼에게 작용하면, 왼손목이 소지측과 손등측으로 굽혀져 왼쪽 옆구리가 열리게 되어 버리는 현상이 왕왕 관찰되는데, 이렇게 골퍼의 왼쪽 옆구리가 열리면, 클럽 헤드는 아웃사이드-인(outside-in)의 궤적을 그리게 되며, 따라서 임팩트 시에 클럽 페이스(스윗 스폿)이 적절히 볼에 맞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볼은 골퍼가 생각한 방향으로 날아가지 못하고, 슬라이스 또는 훅이 나게 되며, 게다가 비거리도 나오지 않게 되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골프용 핑거장갑은 검지의 손끝 마디와 중간 마디 사이의 제2관절부분 하부에 그 상단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검지에 착용되는 본체부; 상기 검지에 착용된 본체부의 손등 측에서 상기 검지의 손바닥 마디와 중간 마디 사이의 제1관절부분 중 손등측 정면관절부분 및 상기 정면관절부분과 연결되는 각각의 측면관절부분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본체부의 손등 측에서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검지의 손바닥 마디측 정면 중심부에서 그 표면에 수직하게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가늠자 및 상기 검지의 중간 마디측 정면 중심부에서 그 표면에 수직하게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가늠자를 포함하는 방향기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골프용 핑거장갑을 활용한 골프스윙방법은 골프용 핑거장갑을 오른손 검지 및 왼손 검지에 각각 착용하는 단계; 상기 왼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의 제2가늠자가 오른손의 새끼손가락과 약지손가락 사이에 위치하고 양손 검지와 엄지손가락에 힘이 들어가도록 골프클럽을 잡는 단계; 상기 왼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에서 제1가늠자의 몸 쪽 단부의 방향은 오른쪽 어깨를 향하도록 하고, 상기 오른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에서 제1가늠자의 방향은 골프공을 향하도록 어드레스 하는 단계; 상기 오른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의 제1가늠자가 일자로 가도록 백스윙 하면서 코킹시 상기 왼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의 제1가늠자의 면이 보이도록 백스윙 하는 단계; 및 상기 오른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의 제1가늠자의 방향이 상기 골프공이 있던 자리를 향하도록 다운스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용 핑거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골프용 핑거장갑의 정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골프용 핑거장갑의 본체부의 전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골프용 핑거장갑에 사용되는 가늠자의 구현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골프용 핑거장갑의 실물사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골프용 핑거장갑을 장시간 사용하여 성형이 완료된 상태의 실물사진이다.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실물 골프용 핑거장갑을 검지에 착용한 상태의 사진이고, 도 6b는 착용한 상태에서 검지를 구부린 상태의 사진이며, 도 6c는 장갑을 낀 검지에 실물 골프용 핑거장갑을 착용한 상태 및 착용상태에서 구부린 상태의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골프용 핑거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골프클럽을 잡은 상태의 사진이고, 도 8a는 도 7과 같이 골프클럽을 잡은 상태에서 퍼팅시 골프용 핑거장갑의 가늠자가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8b는 퍼팅이 진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검지(2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손가락을 의미하고, 손바닥마디(210), 중간마디(230) 및 손끝마디(250)는 검지를 구성하는 3개의 마디를 손바닥 쪽에서 시작하여 손끝까지 특정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프용 핑거장갑(100)은 검지(200)의 중간마디(230) 및 손바닥마디(210)를 감싸는 형태의 핑거장갑으로서, 본체부(110), 개구부(120) 및 방향기준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본체부(110)는 전체적으로 상면 및 하면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검지(200)의 손바닥마디(210) 및 중간마디(2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본체부(110)는 검지(200)에 착용된 상태에서 중간마디(230) 및 손끝마디(250)가 구부러질 때 제1관절부분(220) 및 제2관절부분(230)을 기준으로 일정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부드럽지만 어느 정도 강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천연가죽, 합성피혁, 실리콘소재,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활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이들이 적어도 한 개 이상 적층되어 형성된 복합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본체부(110)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부가 전체적으로 일측(111a)과 타측(111b)이 서로 다른 길이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착용된 상태로 손바닥 측면에서 봤을 때 그 일측(111a)이 중지와 검지(200)사이의 손바닥마디(210)시작부에 위치하고 그 타측(111b)은 일측(111a)보다 길게 형성되어 착용시 손잡이로 작용되는 형상(111b-1)을 가질 수 있다.
상술된 구조를 갖는 입체 형태의 본체부(110)는 전개된 상태에서 개략적으로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원뿔대가 전개된 형상일 수 있는데, 일 구현예로서 입체적으로 구현된 본체부(110)를 평면적으로 펼친 전개도가 도시된 도 3a를 참조하면, 하단부(111), 상단부(112) 및 2개의 측단부(115)로 이루어진 평면에서, 하단부(111), 상단부(112) 및 2개의 측단부(115)를 이루는 모서리의 형태가 상술된 바와 같은 구조의 본체부(110) 및 후술하는 구조의 개구부(120)를 반영하기 위해 변형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개구부(120)는 본체부(110)에 형성되어 검지(200)의 손끝마디(250) 및 중간마디(230)가 구부러지는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요소로서 본체부(110)에 관통구멍으로 형성되는데, 검지(200)에 착용된 본체부(110)의 손등 측으로 검지(200)의 손바닥마디(210)와 중간마디(230) 사이의 제1관절부분(220) 중 손등 측 상면부분 및 상면부분과 연결되는 각각의 측면부분의 일부가 노출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20)는 검지(200)에 착용된 본체부(110)의 손등 측에서 봤을 때 개구부(120)의 개구상부(121)를 이루는 밑변(121a)이 중간마디(230)에 위치하고 밑변(121a)에 대향되는 제1꼭지점(122c)이 손바닥마디(210)에 위치하는 형상을 이루는 전체적으로 역삼각형상일 수 있는데, 특히 밑변(121a)과 인접하는 제2꼭지점(121b) 및 제3꼭지점(121c)이 둥근 형상을 갖는 이등변 역삼각형상일 수 있다.
개구부(120)의 구조를 도 3a 및 도 6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개구상부(121)인 밑변(121a)을 이루는 모서리가 중심부에서 양단부 즉 제2꼭지점(121b) 및 제3꼭지점(121c) 직전까지 직선적이다가 제2꼭지점(121b) 및 제3꼭지점(121c) 부분이 둥글게 곡면을 이루는 형상이고, 개구하부(122)인 하부측 모서리가 제2꼭지점(121b) 및 제3꼭지점(121c)에서 일정각도를 갖고 각각 연장되는 동일한 길이의 2개의 변 즉 제1경사모서리(122a) 및 제2경사모서리(122b)가 밑변(121a) 중심부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만나서 제1꼭지점(122c)를 형성하게 되므로, 대략적으로 개구부(120)는 제1 및 제2 꼭지점이 둥근 형상을 갖는 이등변 역삼각형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개구부(120)가 상술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게 되면, 착용된 상태에서 검지(200)의 제1관절부분(220)의 상면부분과 연결되는 측면일부 및 상하로 연결되는 손바닥마디(210) 및 중간마디(230)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데,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바닥마디(210) 측 상면이 중간마디(230)측 상면보다 더 크게 노출될 수 있도록 검지를 구부릴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되므로, 제1관절부분(220) 및 제2관절부분(240)이 일정 각도를 갖도록 제어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방향기준부(130)는 본 발명의 골프용 핑거장갑(100)을 양손 검지에 착용한 상태에서 골프클럽을 잡고 골프스윙시 골프클럽이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골퍼가 인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가늠자(131) 및 제2가늠자(13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가늠자(131) 및 제2가늠자(132)는 본체부(110)와 다른 재질을 갖고, 본체부(110)에 수직하게 고정될 수 있기만 하면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현예로서 제1가늠자(131) 및 제2가늠자(132)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크기의 금속제 클립을 하나 이상 사용하여 각각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제 클립은 높이는 동일하지만 그 폭이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사용되는 클립의 폭에 반비례하여 제1가늠자(131) 및 제2가늠자(132)를 구성하는 클립의 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클립의 형태는 방향지시가 용이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내각이 직각을 이루지 않고, 서로 대각선으로 대향되는 2쌍의 내각 중 한 쌍은 예각을 이루고, 다른 쌍은 둔각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제1가늠자(131)는 본체부(110)의 손등 측에서 개구부(120)가 형성되지 않은 검지(200)의 손바닥마디(210)측 정면 중심부에서 그 표면에 수직하게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가늠자(132)는 검지(200)의 중간마디(230)측 정면 중심부에서 그 표면에 수직하게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가늠자(131) 및 제2가늠자(120)는 그 상단부를 이루는 각각의 모서리(131a, 132a)가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일직선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본체의 중심선(114)에 대해 상기 일직선 즉 제1가늠자(131) 및 제2가늠자(120)의 상단모서리(131a, 132a)가 7°내지 13°범위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각의 범위는 노소 및 성별에 따라 상이한 골퍼들의 손크기를 고려가 결정되었는데, 골프를 시작하는 어린이의 연령 대에 비추어 가장 작은 사이즈는 경사각이 7°일 수 있고, 성인남성의 손이 매우 큰 경우에도 경사각이 13°이하이면 커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개구부(120)의 형성위치를 고려하여 제1가늠자(131) 및 제2가늠자(120)는 그 상단부를 이루는 각각의 모서리의 길이비가 1.7~2.3 : 0.7~1.3일 수 있다. 즉 제1가늠자(131)의 전체길이가 제2가늠자(120)의 전체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체적으로 구현된 본체부(110)를 평면적으로 펼친 전개도가 도시된 도 3a를 참조하여 상술된 본체부(110), 개구부(120) 및 방향기준부(130)를 살펴본다.
먼저 본체부(110)에서 상단부(112)는 양측단부보다 중심선(114)을 기준으로 거의 대칭을 이루고 중심선(114) 측이 오목해지는 곡선형 모서리를 이룰 수 있다.
본체부(110)에서 하단부(111)의 경우도 전체적으로는 중심선(114)을 기준으로 중심선(114) 측이 오목해지는 곡선형 모서리를 갖도록 구현되어야 하지만, 상술된 바와 같이 입체적 형태에서 하단부(111)의 타측(111b)이 일측(111a)보다 길게 형성되어 착용시 손잡이로 작용되는 형상(111b-1)을 이룰 수 있도록, 본체부(110)를 입체적 조립할 때 중심선(114)을 기준으로 접혀져서 전개도 상 2개의 측단부(115)가 서로 고정되어 입체적 형태로 구현되므로, 실질적으로 하단부(111)의 타측(111b)에 대응하는 중심선(114)에서 인접한 일측 영역이 돌출되어 손잡이부 형상(111b-1)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체부(110)에서 2개의 측단부(115)는 상술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가 입체로 구현되기 위해 서로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착용된 상태에서 본체부(110)의 손등측 정면중심부를 이루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2개의 측단부(115)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방향기준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술된 바와 같이 개구부(120)는 본체부(110)에 관통구멍으로 형성되므로, 본체부(110)를 형성하는 평면 영역을 삭제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측단부(115) 모서리 영역 중 상단부에 인접한 일정위치에서 특정영역을 일정부분 삭제하여 개구부(120)를 형성하고, 삭제되지 않고 남은 2개의 측단부(115)를 서로 대향되게 면접시킨 후 도 3b에 도시된 형태의 금속제 클립을 끼워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제1가늠자(131) 및 제2가늠자(132)를 형성하게 되면 본 발명의 골프용 핑거장갑(100)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방향기준부(130)에 포함된 제1가늠자(131) 및 제2가늠자(132)의상단모서리(131a, 132a)는 실질적으로 본체부(110)를 이루는 2개의 측단부(115)와 평행하게 되므로, 본체부(110)를 형성하기 위해 최초 재단시부터 중심선(114)과 2개의 측단부(115)중 어느 하나의 측단부(115)가 이루는 각도를 7°내지 13°범위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체부(110)의 내부공간(113)의 크기는 중심선(114)과 양측 측단부(115)사이의 거리와 비례하므로 착용자의 남녀노소를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6a와 같이 상술된 구조를 갖는 오른손 용 골프용 핑거장갑(100)을 오른손 검지에 착용하고,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왼손 용 골프용 핑거장갑(100)을 왼손 검지에 착용한 후 양손 검지를 구부리게 되면 도 6b와 같이 양손 검지가 일정각도까지만 구부러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골프용 핑거장갑(100)을 양손에 착용한 후 검지를 구부리는 연습을 하게 되면 검지의 손가락 힘을 기를 수 있다. 또한 골프용 핑거장갑(100)을 양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골프클럽을 잡고 골프스윙을 하게 되면 골프 클럽을 엄지와 검지의 힘만으로 잡을 수 있어 임팩트시 손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관절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프클럽이 손바닥에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모든 골퍼들의 원하지만 실제로 하기 어려웠던 골프 클럽을 잡을 때 손에 힘을 뺄 수 있다. 더욱이, 가늠자가 설치되어 어드레스, 백스윙 및 다운 스윙시 착용자가 스스로 골프 클럽이 바른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올바른 방향으로 골프스윙을 연습하고 필드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데,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골프용 핑거장갑(100)이 착용자의 손에 맞게 성형되어, 즉 골퍼의 검지의 모양이 선명하게 성형되어 착용자의 손에 가장 적합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재착용 시 매우 자연스럽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골프용 핑거장갑을 활용한 골프스윙방법을 오른손 골퍼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먼저, 상술된 구조의 골프용 핑거장갑(100)을 맨손 또는 골프장갑을 낀 오른손 검지 및 왼손 검지에 각각 착용한다. 이 때 본체부(110)가 검지의 손끝 마디와 중간 마디 사이의 제2관절부분 하부에 그 상단부가 위치하고, 그 하단부의 일측은 검지와 중지사이 시작부에 타측은 엄지손가락측에 인접한 손바닥측으로 손잡이 형상이 연장되도록 손잡이 형상을 깊게 잡아당겨 착용한다. 도 3과 같이 성형이 완료된 경우에는 그 형상에 맞게 착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 후, 골프클럽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의 제2가늠자가 오른손의 새끼손가락과 약지손가락 사이에 위치하고 양손 검지와 엄지손가락에 힘이 들어가도록 골프클럽을 잡는다. 이와 같이 양손 엄지와 검지에 힘을 주어 골프클럽을 잡게 되므로 손바닥이나 다른 손가락에 물집이 잡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골프클럽을 잡은 후 어드레스 할 때는 왼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에서 제1가늠자의 몸 쪽 단부의 방향은 오른쪽 어깨를 향하도록 하고, 상기 오른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에서 제1가늠자의 방향은 골프공을 향하도록 어드레스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백스윙을 할 때는 특히 오른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의 제1가늠자가 일자로 가도록 인지하면서 특히 코킹시 상기 왼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의 제1가늠자의 면이 보이도록 하면서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다운스윙을 수행할 때는 오른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의 제1가늠자의 방향이 골프공이 있던 자리를 향하도록 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골프용 핑거장갑을 활용한 골프스윙방법에 의하면 골퍼가 골프스윙을 할 때 본인의 양손에 착용된 본 발명의 골프용 핑거장갑(100)의 방향기준부(130)를 기준으로 올바른 골프클럽의 스윙을 위해 골프클럽이 진행해야 하는 방향을 미리 기억하기만 하면, 실제로 연습 스윙이나 실제로 필드에서 골프클럽을 스윙할 때 올바른 방향으로 골프클럽이 진행되는지를 본인이 확인하면서 자세를 교정할 수 있으므로 올바른 골프스윙을 할 가능성이 높아져서 골프실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골프용 핑거장갑(100)을 양손에 착용한 후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클럽을 잡은 상태로 도 8b와 같이 퍼팅을 수행하게 되면 왼손에 착용된 골프용 핑거장갑의 제1가늠자(131)의 방향과 오른손에 착용된 골프용 핑거장갑의 제1가늠자(131)의 방향을 목표물 즉 골프공과 일직선으로 맞출 수 있다.
또한 올바른 퍼팅을 위해서는 양손에 착용된 핑거장갑의 제1가늠자(131)가 일직선으로 이동되도록 골프클럽이 스윙되어야 하는데, 착용자는 퍼팅하면서도 8a와 같이 제1가늠자를 기준으로 스스로 손목이 돌아가서 잘못된 스윙을 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골프용 핑거장갑
110 : 본체부 111 : 하단부
112 : 상단부 113 : 내부공간
120 : 개구부 121 : 개구상부
122 : 개구하단 130 : 방향기준부
131 : 제1가늠자 132 : 제2가늠자
200 : 검지 210 : 손바닥마디
220 : 제1관절부분 230 : 중간마디
240 : 제2관절부분 250 : 손끝마디

Claims (7)

  1. 검지의 손끝 마디와 중간 마디 사이의 제2관절부분 하부에 그 상단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검지에 착용되는 본체부;
    상기 검지에 착용된 본체부의 손등 측에서 상기 검지의 손바닥 마디와 중간 마디 사이의 제1관절부분 중 손등측 상면부분 및 상기 상면부분과 연결되는 각각의 측면부분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본체부의 손등 측에서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검지의 손바닥 마디측 정면 중심부에서 그 표면에 수직하게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가늠자 및 상기 검지의 중간 마디측 정면 중심부에서 그 표면에 수직하게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가늠자를 포함하는 방향기준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개구부는 상기 검지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손등 측에서 봤을 때 전체적으로 상기 개구부 상부를 이루는 밑변이 상기 중간마디에 위치하고 상기 밑변에 대향되는 제1꼭지점이 상기 손바닥마디에 위치하는 이등변 역삼각형상으로 상기 밑변과 인접하는 제2꼭지점 및 제3꼭지점이 둥근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핑거장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검지에 착용된 상태에서 그 손바닥측 하단부 일측이 상기 손바닥 마디 시작부에 위치하고 그 타측은 상기 일측보다 길게 형성되어 착용시 손잡이로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핑거장갑.
  3. 삭제
  4. 검지의 손끝 마디와 중간 마디 사이의 제2관절부분 하부에 그 상단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검지에 착용되는 본체부;
    상기 검지에 착용된 본체부의 손등 측에서 상기 검지의 손바닥 마디와 중간 마디 사이의 제1관절부분 중 손등측 상면부분 및 상기 상면부분과 연결되는 각각의 측면부분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본체부의 손등 측에서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검지의 손바닥 마디측 정면 중심부에서 그 표면에 수직하게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가늠자 및 상기 검지의 중간 마디측 정면 중심부에서 그 표면에 수직하게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가늠자를 포함하는 방향기준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1가늠자 및 상기 제2가늠자는 그 상단부를 이루는 각각의 모서리가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일직선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상기 본체의 중심선에 대해 상기 일직선은 7°내지 13°범위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핑거장갑.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늠자 및 상기 제2가늠자는 그 상단부를 이루는 각각의 모서리는 길이비가 1.7~2.3 : 0.7~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핑거장갑.
  6. 검지의 손끝 마디와 중간 마디 사이의 제2관절부분 하부에 그 상단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검지에 착용되는 본체부;
    상기 검지에 착용된 본체부의 손등 측에서 상기 검지의 손바닥 마디와 중간 마디 사이의 제1관절부분 중 손등측 상면부분 및 상기 상면부분과 연결되는 각각의 측면부분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본체부의 손등 측에서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검지의 손바닥 마디측 정면 중심부에서 그 표면에 수직하게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가늠자 및 상기 검지의 중간 마디측 정면 중심부에서 그 표면에 수직하게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가늠자를 포함하는 방향기준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본체부는 천연가죽, 합성피혁, 합성수지 및 실리콘소재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늠자 및 제2가늠자는 하나 이상의 금속제 클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핑거장갑.
  7.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골프용 핑거장갑을 오른손 검지 및 왼손 검지에 각각 착용하는 단계;
    상기 왼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의 제2가늠자가 오른손의 새끼손가락과 약지손가락 사이에 위치하고 양손 검지와 엄지손가락에 힘이 들어가도록 골프클럽을 잡는 단계;
    상기 왼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에서 제1가늠자의 몸 쪽 단부의 방향은 오른쪽 어깨를 향하도록 하고, 상기 오른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에서 제1가늠자의 방향은 골프공을 향하도록 어드레스 하는 단계;
    상기 오른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의 제1가늠자가 일자로 가도록 백스윙 하면서 코킹시 상기 왼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의 제1가늠자의 면이 보이도록 백스윙 하는 단계; 및
    상기 오른손 검지에 착용된 핑거장갑의 제1가늠자의 방향이 상기 골프공이 있던 자리를 향하도록 다운스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프용 핑거장갑을 활용한 골프스윙방법.
KR1020200131458A 2020-10-12 2020-10-12 골프용 핑거장갑 및 상기 장갑을 이용한 골프스윙방법 KR102243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458A KR102243051B1 (ko) 2020-10-12 2020-10-12 골프용 핑거장갑 및 상기 장갑을 이용한 골프스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458A KR102243051B1 (ko) 2020-10-12 2020-10-12 골프용 핑거장갑 및 상기 장갑을 이용한 골프스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051B1 true KR102243051B1 (ko) 2021-04-20

Family

ID=7574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458A KR102243051B1 (ko) 2020-10-12 2020-10-12 골프용 핑거장갑 및 상기 장갑을 이용한 골프스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0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392A (ko) 2003-08-15 2005-02-22 정영훈 골프 장갑용 삽입 장치
KR100487022B1 (ko) 2004-07-20 2005-05-17 황기남 골프 장갑
KR20110000214U (ko) * 2009-07-01 2011-01-07 이기준 골프용 손가락 밴드
KR101230928B1 (ko) 2012-07-09 2013-02-07 하성의 골프용 장갑
KR102028672B1 (ko) * 2018-04-26 2019-10-04 정승철 골프장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392A (ko) 2003-08-15 2005-02-22 정영훈 골프 장갑용 삽입 장치
KR100487022B1 (ko) 2004-07-20 2005-05-17 황기남 골프 장갑
KR20110000214U (ko) * 2009-07-01 2011-01-07 이기준 골프용 손가락 밴드
KR101230928B1 (ko) 2012-07-09 2013-02-07 하성의 골프용 장갑
KR102028672B1 (ko) * 2018-04-26 2019-10-04 정승철 골프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6000B1 (en) Training grip for a tennis racquet
US8146173B2 (en) Golf glove for right grip and suitable swing
US4146935A (en) Glove for hobbling grip
US106883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golf putting accuracy using a birdie-line golf glove and straight-edged putter grip
US8663024B2 (en) Golf setup and swing training aid
KR100511507B1 (ko) 골프 장갑
KR102243051B1 (ko) 골프용 핑거장갑 및 상기 장갑을 이용한 골프스윙방법
KR20210002939U (ko)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
KR100414618B1 (ko) 골프의 타점보정용 스윗스팟테이프
KR200419841Y1 (ko) 골프 자세교정용 보조기구
KR101302080B1 (ko) 골프용 장타 골무
JP6886744B1 (ja) ゴルファー用トレーニング団扇
KR101835959B1 (ko) 골프 클럽의 그립 및 이러한 그립과 골프 장갑의 조립체
KR102530191B1 (ko) 골프 장갑
JP6716640B2 (ja) 打撃練習用バット
KR20090007471U (ko) 그립 고정력이 향상되게 한 양손형 골프장갑
JP2023120064A (ja) 打撃練習具
KR200244780Y1 (ko) 카킹 동작의 보완이 가능한 골프장갑
KR200199859Y1 (ko) 골프장갑
KR200351973Y1 (ko) 그립용 골프장갑
KR20080107644A (ko) 골프그립 강화용 악력기
KR200292519Y1 (ko) 바른 스윙 자세 유지용 골프 장갑
KR200296089Y1 (ko) 골프장갑
KR100981807B1 (ko) 골프용 팔꿈치 고정대
JP3157421U (ja) バント練習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