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939U -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939U
KR20210002939U KR2020210001741U KR20210001741U KR20210002939U KR 20210002939 U KR20210002939 U KR 20210002939U KR 2020210001741 U KR2020210001741 U KR 2020210001741U KR 20210001741 U KR20210001741 U KR 20210001741U KR 20210002939 U KR20210002939 U KR 202100029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grip
detachable
swing practi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7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김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훈 filed Critical 김상훈
Publication of KR202100029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9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32Han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andle about its longitudin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0Handles with means for indicating correct hold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4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handles, e.g. sleeves or ribb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22Adjustable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형의 골프 그립은 둥글고 손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기준점이 없기 때문에 스윙시 샤프트가 틀린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골프 헤드가 과도하게 열리거나 닫힌 경우에도 인지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형의 골프 그립에 30센티미터 자를 들고 스윙하는 느낌이 들도록 골프 그립의 수직 중심부를 따라 직선형태의 돌기(100)를 부착하여 스윙시 샤프트가 틀어 지는 것을 손가락이 인지하기 쉽도록 하여 정교한 스윙을 연습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Detachable Golf Swing Practice Aids}
본 고안은 골프 그립에 탈부착하여 사용하는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의 골프 그립에 기준이 될 수 있는 직선형 돌기(100)를 두어 직선형 돌기의 선의 방향과 면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스윙 연습을 함으로써, 그립에 부착된 돌기를 이용하여 골프헤드의 컨트롤을 용이하도록 하여 골프 스윙의 궤도나 골프 헤드의 방향성을 쉽게 느낄수 있어 정교한 스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에서 목표 방향으로 골프공을 정확하게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골프 헤드를 목표 방향으로 정확하게 놓고 어드레스, 테이크백, 하프 백스윙탑, 다운스윙, 임팩트의 스윙과정에서 처음의 어드레스 때와 같은 골프 헤드의 각도로 볼을 맞추어야 올바른 방향으로 공을 보낼 수 있다.
또한, 골프를 잘치기 위해서는 첫째, 샤프트 중심축의 변화가 적은 백스윙이 되어야 한다. 좋은 백스윙은 변화가 적은 백스윙이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드레스, 백스윙 과정에서 샤프트 중심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변화가 많은 백스윙을 함으로 다운스윙과 임팩트 과정이 어렵다. 처음부터 중심축의 회전이 적은 백스윙하여 미쓰샷을 줄여야 한다.
둘째, 골프를 잘 치기 위해서는 정확한 임팩트가 되어야 하는데, 손과의 거리가 먼 골프 헤드를 컨트롤하여 정확한 임팩트를 한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골프 헤드를 컨트롤하기 위해서 골프 헤드의 각도나 방향의 차이를 분명하게 인지할 필요성이 있으나, 골프 그립과 손이 거리가 멀어 이를 제대로 컨트롤 하기가 어렵다.
셋째, 골프채의 종류에 따라 골프 그립 위치와 방향이 달라지는 점을 잘 알아야 골프를 잘 칠 수 있다. 골프채의 길이, 볼의 위치, 척추각의 기울기 차이로 인하여 샤프트 중심축의(수직중심면)이 향하는 방향이 다르다. 드라이버보다 아이언의 수직중심면이 바닥을 향하고 있고 오른손등의 기울기도 아이언이 드라이버보다 바닥을 향하고 있다. 샤프트 중심축(수직중심면)이 향하는 방향을 유지하면서 백스윙을 들면 드라이버는 플랫한 궤도로 아이언은 가파른 궤도가 되며 이 차이를 이해하면서 다르게 스윙을 해야 한다.
드라이버 스윙방법으로 아이언을 치면 볼은 정확한 거리가 나가지 않고 하늘로 높이 뜨게 되며 아이언스윙 방법으로 드라이버스윙을 하면 슬라이스가 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 원형의 골프 그립은 어떤 기준점도 없기 때문에 골프헤드의 각도의 변화를 인지하기 어렵고 골프헤드는 손과의 거리가 멀어 헤드의 열리고 닫히는 각도의 변화를 인지하기도 어렵고, 컨트롤하기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스윙연습 기구로, 디자인 출원 제30-2012-0016169호 '골프그립용 파지위치결정 결착구'가 있으나, 기존의 스윙 연습기구는 그립 파지시 오른손 엄지손가락의 위치에 중점을 두고 제작하여 올바른 파지를 위한 방법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올바른 방향으로 스윙을 할려면 스윙 과정에서 골프헤드를 목표방향과 일치하게 만들기 쉬워야 하는데 기존의 둥근 형태의 그립은 기준점이 없기 때문에 헤드가 열리거나 닫히는 변화를 인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이 30센티미터 자를 들고 스윙 연습을 하기도 하는데. 이를 참고하면, 30센티미터 자에는 수직중심면이 눈에 보이고 양손 가락에 닿는 감각으로 수직 중심면이 느껴지기 때문에 스윙 과정에서 수직 중심면이 기준점의 역할을 하게 되어 어드레스, 다운스윙 및 임팩트과정에서 서로 각도와 방향이 일치하도록 연습한다면, 정확한 임팩트가 이루워질 확률이 높아진다.
이에, 본 고안자는 30 센티미터 자를 들고 스윙하는 것와 같은 효과를 갖도록 골프채에 탈부착하여 스윙 연습이 가능한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를 고안하게 되었다.
디자인 출원 30-2012-0016169 골프그립용 파지위치결정 결착구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골프 그립에 중심선을 인식할 수 있는 직선형 돌기를 두어 기준점이 되도록 하여 어드레스, 다운스윙 및 임팩트과정에서 서로 각도와 방향이 일치하도록 하여 정확한 임팩트가 가능하도록 골프채에 탈부착하여 골프 스윙연습할 수 있는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는 원형의 골프그립에 탈부착하여 그립의 방향과 기울기를 손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골프 그립의 일측 또는 양측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직선형 돌기(100)와, 상기 직선형 돌기(100)를 골프 그립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탈부착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탈부착부의 상단은 골프 그립 상단에 부착되고, 탈부착부 하단은 골프 그립 말단과 연결되는 샤프트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선형 돌기(100)는 그립의 좌우 양측으로 길게 그립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탈부착부(110)는 좌우 직선형 돌기의 상하측 말단에 말굽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부착부(100)에 돌기홈(120)에 형성되어 상기 직선형 돌기(100)가 돌기 홈에 끼워져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탈부착부는 그립을 감을 수 있는 천 재질로 말단에 밸크로가 형성되어 그립에 탈부착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골프 그립에 씌울 수 있도록 그립 형태로 제작되는 탈부착부(110)와, 상기 탈부착부의 일측 또는 좌우 양측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직선형태의 돌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골프 그립에 씌울 수 있도록 그립 형태로 제작되는 탈부착부(110)와, 상기 탈부착부의 일측에 직사각형 형태의 돌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골프 그립에 말아서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양쪽 말단에 밸크로를 식재한 천 재질의 탈부착부(110)와, 상기 천 재질의 탈부착부에 박음질로 고정되는 직선돌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용 골프 스윙 연습 보조기구가 부착된 골프 그립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원형의 골프 그립은 둥글고 손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기준점이 없기 때문에 스윙시 샤프트가 틀린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골프 헤드가 과도하게 열리거나 닫힌 경우에도 인지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형의 골프 그립에 30센티미터 자를 들고 스윙하는 느낌이 들도록 골프 그립의 수직 중심부를 따라 직선형태의 돌기(100)를 부착하여 스윙시 샤프트가 틀어 지는 것을 손가락이 인지하기 쉽도록 하여 정교한 스윙을 연습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손과의 거리가 멀어 골프 헤드 컨트롤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헤드 방향을 인식하기 쉽도록 골프 그립의 수직방향으로 돌기를 형성하여 골프 헤드를 인지하면서 정확한 스윙 연습이 가능하며, 돌기가 형성된 면의 기울기를 인식하면서 어드레스, 다운스윙, 임팩트를 할 수 있도록 자세 연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임팩트가 이뤄질 수 있도록 연습할 수 있다.
또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필요시에 부착하여 연습이 가능하고, 시합 중에는 보조기구사용이 안되는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30센티미터 자를 들고 있는 연습하는 종래 연습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골프채에 본 고안의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골프채에 본 고안의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를 부착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말발굽 형태를 갖는 직선형 돌기(100)를 갖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말발굽 형태를 갖는 직선형 돌기(100)를 갖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를 골프채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8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벨크로 형태의 탈부착부(110)을 갖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원형 그립 형태의 탈부착부를 갖는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직사각형 형태의 돌기(100)와 원형 그립 형태의 탈부착부(110)를 갖는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를 실시예를 들어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손과의 거리가 먼 골프 헤드를 컨트롤 하여 정확한 임팩트를 한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워서 골프 헤드가 잘못 맞아 골프공의 방향을 정확히 타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의 연습을 위하여 도 1과 같이 30센티미터 자를 이용하여, 자의 평평한 면(수직중심면)이 골프 그립을 수직으로 절반으로 자르면 나타나는 면(수직중심면)과 일치하도록 하여 연습을 진행할 수 있다.
어드레스 시 골프 헤드를 목표 방향으로 정확하게 놓은 상태에서 골프 그립을 수직 방향으로 절반을 자르면 한쪽에 직사각형의 면이 생기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수직중심면'이라고 하도록 한다. 이 수직중심면의 선이 가르키는 방향과 면의 기울기 각도를 임팩트 시 같은 선의 방향과 면의 기울기 각도를 만듬으로써 골프헤드가 목표 방향과 일치하도록 만들어야 올바른 스윙이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수직중심면을 활용한 스윙은 스윙과정에서 과도한 수직중심면의 각도와 방향의 변화를 인지하기 쉽고 손과의 거리가 먼 골프헤드를 컨트롤 하는 것이 아닌 손과의 거리가 가까운 수직중심면을 통해 골프헤드를 컨트롤하기 때문에 스윙궤도를 이해하기 쉽고 정확한 임팩트를 하기도 쉬워진다. 이러한 '수직중심면'을 인지하기 용이하도록 본 고안을 제작하게 되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골프채에 본 고안의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는 원형의 골프그립에 탈부착하여 그립의 방향과 기울기를 손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골프 그립의 일측 또는 양측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직선형 돌기(100)와, 상기 직선형 돌기(100)를 골프 그립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탈부착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골프채에 본 고안의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를 부착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탈부착부의 상단은 골프 그립 상단에 부착되고, 탈부착부 하단은 골프 그립 말단과 연결되는 샤프트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는 직선형 돌기(100)와 탈부착(110)은 제작 방식에 따라 일체형이나 분리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말발굽 형태를 갖는 직선형 돌기(100)를 갖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말발굽 형태를 갖는 직선형 돌기(100)를 갖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고하면, 상기 직선형 돌기(100)는 그립의 좌우 양측으로 길게 그립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탈부착부(110)는 좌우 직선형 돌기의 상하측 말단에 말굽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체형의 경우, 상기 직선형 돌기(100)와 탈부착(110)부를 분리하여 제작하여 용접이나 나사결합 등의 방법으로 연결하는 형태가 아닌 돌기(100)와 탈부착부(110)를 분리되지 않는 하나의 형태로 만들 수 있으며, 그 제작방법으로는 금속을 연속 가공하여 형태를 만들고 끝부분을 용접으로 연결하여 제작하는 방법과 프라스틱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사출등의 방법을 통해 하나로 제작할 수 있다.
압출성형 방법으로 성형틀의 내부에 직선형 돌기(100)를 위치시키고 열경화수지등의 재료를 금형에 넣어 형태를 만드는 방법으로 골프그립의 중심선을 따라 상부와 하부에 두곳에 직선형태의 돌기를 위치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를 골프채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골프채에 필요시에 부착하여 연습할 수 있고, 시합이나, 경기 중에는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으며, 부피가 크거나, 무겁지 않아 휴대가 간편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도 8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참고하면, 상기 탈부착부(100)에 돌기홈(120)에 형성되어 상기 직선형 돌기(100)가 돌기홈(120)에 끼워져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탈부착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당업자들이 균등범주에서 설계변경 가능할 수 있다.
도 10은 벨크로 형태의 탈부착부(110)을 갖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참고하면, 상기 탈부착부는 그립을 감을 수 있는 천 재질로 말단에 밸크로가 형성되어 그립에 쉽게 탈부착 가능하다.
도 11은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원형 그립 형태의 탈부착부를 갖는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골프 그립에 씌울 수 있도록 그립 형태로 제작되는 탈부착부(110)와, 상기 탈부착부의 일측 또는 좌우 양측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직선형태의 돌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압축성형 방법으로 성형틀의 내부에 금속등 단단한 소재의 직선형태의 돌기(100)를 위치시키고 열경화성수지를 금형에 넣어 형태를 만드는 방법으로 그립을 제작하여 샤프트에 그립의 입구를 끼워넣는 방식으로 고정하는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2는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돌기를 이용하여 수직중심면을 느끼도록 하는 방식이 아닌 골프그립의 중심선에 직사각형의 돌기를 상단부나 하단부에 만들어 샤프트에 끼워 고정한 후 사용하는 방식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돌기(100)와 원형 그립 형태의 탈부착부(110)를 갖는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고하면, 골프 그립에 씌울 수 있도록 그립 형태로 제작되는 탈부착부(110)와, 상기 탈부착부의 일측에 직사각형 형태의 돌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직선형 돌기(100)의 형태는 이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며 돌기(100)를 그립에 고정시키는 방법 또한 금속 프라스틱 고무밴드 등의 고유한 물체가 가지는 탄성의 힘을 이용하여 그립에 고정시키는 방법과 밸크로(일명 찍찍이)를 양 끝부근에 식재하여 그립에 고정하는 방법, 그립 형태로 제작 샤프트에 끼워넣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골프 그립에 말아서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양쪽 말단에 밸크로를 식재한 천 재질의 탈부착부와, 상기 천 재질의 탈부착부에 박음질로 고정되는 직선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도면 미도시).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용 골프 스윙 연습 보조기구가 부착된 골프 그립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직선형 돌기를 인지함으로써, 샤프트 중심축의(수직중심면) 회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의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는 골프 그립의 중심선 좌우 양측에 두개의 직선형 돌기(100)를 두어 그립을 잡으면 손가락에 돌기가 30센티미터 자를 잡았을 때와 같은 부위가 닿도록 하여 마치 30센티미터 자로 스윙하는 것과 같은 느낌이 들도록 하여 30센티미터 자가 가지는 선의 방향과 면의 기울기를 스윙시 기준점으로 이용하여 스윙을 하도록 하여 기준점이 없는 둥근 형태의 골프그립의 문제를 해결하여 쉽게 자세 교정과 스윙 연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골프레슨 시 스윙궤도 설명시 눈에 그립의 중심축의 기울기 변화가 보이기 때문에 이해하기 쉬워 골프레슨용 으로 이용가능성이 높다.
상기에 제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제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 고안에 의하여 본 고안의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100 : 직선형 돌기 100': 직사각형 형태의 돌기
110 : 탈부착부 120 : 돌기홈

Claims (10)

  1. 골프 스윙 연습 보조기구에 있어서,
    원형의 골프그립에 탈부착하여 그립의 방향과 기울기를 손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골프 그립의 일측 또는 양측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직선형 돌기(100)와,
    상기 직선형 돌기(100)를 골프 그립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탈부착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의 상단은 골프 그립 상단에 부착되고, 탈부착부 하단은 골프 그립 말단과 연결되는 샤프트 상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돌기(100)는 그립의 좌우 양측으로 길게 그립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탈부착부(110)는 좌우 직선형 돌기의 상하측 말단에 말굽 형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돌기와 탈부착부는 서로 이음새없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탈부착부(100)에 돌기홈(120)에 형성되어 상기 직선형 돌기(100)가 돌기홈(120)에 끼워져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는 그립을 감을 수 있는 천 재질로 말단에 밸크로가 형성되어 그립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
  7. 골프 스윙 연습 보조기구에 있어서,
    골프 그립에 씌울 수 있도록 원통형의 그립 형태로 제작되는 탈부착부(110)와, 상기 탈부착부의 일측 또는 좌우 양측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직선형태의 돌기(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
  8. 골프 스윙 연습 보조기구에 있어서,
    골프 그립에 씌울 수 있도록 그립 형태로 제작되는 탈부착부(110)와, 상기 탈부착부의 일측에 직사각형 형태의 돌기(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
  9. 골프 스윙 연습 보조기구에 있어서,
    골프 그립에 말아서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양쪽 말단에 밸크로를 식재한 천 재질의 탈부착부(110)와, 상기 천 재질의 탈부착부에 박음질로 고정되는 직선형 돌기(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탈부착용 골프 스윙 연습 보조기구가 부착된 골프 그립.


KR2020210001741U 2020-06-22 2021-06-04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 KR20210002939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75573 2020-06-22
KR1020200075573 2020-06-22
KR20200136540 2020-10-21
KR1020200136540 2020-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939U true KR20210002939U (ko) 2021-12-29

Family

ID=7917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741U KR20210002939U (ko) 2020-06-22 2021-06-04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93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253U (ko) 2022-08-03 2024-02-14 김상훈 스윙 연습용 골프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253U (ko) 2022-08-03 2024-02-14 김상훈 스윙 연습용 골프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7650A (en) Golf putter and method for putting
US6656054B2 (en) Golf grip with hand placement guide
US20070219015A1 (en) Golf club grip
US5163685A (en) Sports grip training device
US8663024B2 (en) Golf setup and swing training aid
KR20210002939U (ko)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
WO2007023693A1 (ja) パタークラブおよびパタークラブ用のグリップ
KR200231252Y1 (ko) 골프채 그립
WO2021261732A1 (ko) 골프스윙보조기구
JP2005058703A (ja) 卓球ラケ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99228A (ko) 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US10173121B2 (en) Hand wearable visual training aid device for golfing
CN201500420U (zh) 高尔夫球杆标准手型握把
US20150217177A1 (en) Golf training device
WO2008075875A1 (en) Device for swing and golf club
KR100610631B1 (ko) 스윙용 보조기구
JP2006296462A (ja) スイング練習用具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ング練習機
JP3232874U (ja) 練習用ゴルフクラブ
KR102391213B1 (ko) 골프채 그립
KR200419841Y1 (ko) 골프 자세교정용 보조기구
US11167192B2 (en) Golf swing training tool
KR101191346B1 (ko) 콕앵글가이드를 구비하는 골프글러브
KR20240000253U (ko) 스윙 연습용 골프채
US9533212B2 (en) Golf training device
KR20170082712A (ko) 골프클럽용 그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