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0651A -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10651A KR20220110651A KR1020210013805A KR20210013805A KR20220110651A KR 20220110651 A KR20220110651 A KR 20220110651A KR 1020210013805 A KR1020210013805 A KR 1020210013805A KR 20210013805 A KR20210013805 A KR 20210013805A KR 20220110651 A KR20220110651 A KR 202201106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belt
- stick
- chest
- sw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6—Measurement devices associated with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e.g. baseball bats with impact indicators or bracelets for measuring the golf sw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는 골프 퍼팅을 연습하기 위한 기구로서, 스윙의 일관성을 추구하여 공의 방향성과 헤드 스피드의 일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교정장치는 가슴지지부(100)에 의해 연습자의 가슴 중앙부에 접촉되어 연결되며 지지부(300)에 의해 퍼터 헤드의 상면에 안착되어 연습 세팅이 완료된다. 이 지지부(300)와 가슴지지부(100) 사이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틱의 상단부(501)와, 상단부(501)와 연결되는 중간부(502)와, 중간부(502)와 연결되는 하단부(503)가 구성된다. 고정구(201, 202)는 상단부(501), 중간부(502), 하단부(503)간의 견고한 결합을 하거나 해제시키거나 하여 전체적으로 스틱의 길이를 조절하는 작용한다. 중간부(502)에 내장되는 스윙감지부(400)는 퍼터가 사용자가 의도한대로 똑바로 스윙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스마트폰으로 그 데이타를 전송하여 시각적으로 다양한 정보를 피드백 받을 수 있게 한다. 벨트부(600)는 사용자의 몸통(양쪽 겨드랑이)에 끼워져 사용자의 팔과 상체 윗부분이 연결되어 일체감을 주는 것은 물론 벨트부에 연결된 벨트스틱연결부(602)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가 사용자의 가슴중앙부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속적인 연습이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프에 있어서 퍼팅을 연습하기 위한 퍼팅 동작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골퍼들이 자신의 골프 스윙을 올바르게 가져가기 위하여 많은 비용과 시간을 들여 골프 연습장 등에서 골프채를 가지고 연습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골퍼들이 골프게임의 한 분야인 퍼팅을 연습함에 있어서 보다 기술적이고 자연스러우며 일관성 있는 스윙을 가질 수 있도록 퍼팅을 연습할 수 있는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다른 스포츠종목과는 달리 플레이어의 자세, 스윙 폼, 그립의 파지상태 등에 따라 매우 예민하게 반응하는 스포츠종목이다.
특히 퍼팅의 경우에는 힘의 조절 및 방향의 조절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더욱더 요구되는 것이기에 그 스윙에 있어서 섬세함이 더욱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그에 따라 많은 골퍼들이 퍼팅을 함에 있어서, 목적하는 위치에 따라 볼의 출발방향, 스윙의 스피드, 스윙의 진폭 등을 일정하게 가져가기 위해서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연습을 하게 된다.
한편, 퍼팅에 있어서는 그 힘의 조절만큼이나 직진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퍼팅을 통하여 공을 얼마나 똑바로 앞으로 보내느냐가 퍼팅의 우열을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골프 퍼팅을 함에 있어서, 그 직진성 및 일정한 스피드의 스윙을 갖추기 위한 연습용 도구가 이미 수없이 개발되어 특허등록이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습용 도구들은 퍼팅의 기본적인 자세 내지는 원리를 잘 이해하지 못한 것으로서, 오로지 퍼팅을 똑바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것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러한 연습용 도구들은 볼의 출발방향과 스윙스피드(거리조절능력), 핵심적인 퍼팅동작의 교정을 포함하고 수치화된 데이터로 피드백을 줄 수 있는 종합적인 기능을 가진 퍼팅연습도구는 없는 상태이다.
골프 퍼팅을 단순히 팔로만 하는 것으로는 좋은 퍼팅을 할 수 없는 것이며, 어깨와 팔이 고정되어 함께 움직일 때 좋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결국 어깨와 팔의 조화로운 움직임을 이용한 스윙이 되어야 좋은 퍼팅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 퍼팅 연습용 기구들은 이러한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퍼팅에 대한 올바른 연습이 되지 못하는 것들이고, 따라서 퍼팅의 원리를 제대로 반영하여 올바른 퍼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퍼팅 연습용 기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져 왔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퍼팅 연습을 장소와 상관없이 안전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는 골프 퍼팅의 원리를 그대로 반영하여 상체의 윗부분인 어깨부위와 팔이 함께 움직이면서 퍼팅을 하는 연습용 기구로서, 하체는 고정하고 상체를 이용한 퍼팅이 되도록 함으로써 공의 직진성 및 목표하는 강약의 조절을 확보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는 동작센서를 사용하여 스윙의 패턴을 감지하게 되는데, 센서와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상호교신을 통하여 퍼팅연습의 결과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습자의 가슴 중앙부에 접촉되는 가슴지지부(100)와. 가슴지지부와 연결되며, 교정장치의 상단에 해당하는 상단부(501)와, 상단부와 연결되는 중간부(502)와, 중간부와 연결되는 하단부(503)와, 하단부의 끝단에 설치되며, 퍼터의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부(300)와, 중간부(502)에 내장되는 스윙감지부(미도시) 및
상단부(501), 중간부(502), 하단부(503)들을 결합 및 고정시켜 교정장치의 길이를 조절하는 작용을 하는 고정구(201, 202)를 포함하고,
스윙감지부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스윙의 정보 데이타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주는 것을 과제의 해결의 기술적 수단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교정장치가 벨트스틱연결부(602)에 의해서 벨트부(600)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벨트부(600)는 사용자의 양쪽 겨드랑이에 끼워져 팔과 상체의 윗부분이 일체가 되어 어깨와 팔이 동시에 움직이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로써 벨트부(600)와 벨트스틱연결부(602)에 의하여 상체 윗부분과 팔의 일체감을 느끼는 동시에 가슴부위에 있는 벨트부에 교정장치의 상단부(501)가 고정되어 연습중에 스틱의 이탈을 방지하여 원활한 퍼팅연습이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벨트부(600)는 벨트접합부(606)에 접합되어 결합되고, 상기 상단부(501)는 스틱결합부(604)에 끼워져 결합되며, 벨트접합부(606) 및 스틱결합부(604)는 회전이 가능한 힌지 결합인 것을 과제의 해결의 기술적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는 사용자가 퍼팅 연습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함과 경제성을 그 효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는 그 연습을 통하여 사용자의 상체의 윗부분과 팔이 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어깨와 팔의 조화로운 움직임을 이용한 퍼팅이 되도록 하는 훈련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의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는 어깨와 팔의 일체감 있는 움직임을 이용한 스윙이 되도록 훈련시킴으로써 손목을 사용하는 스윙을 교정하고, 일관성 있는 스윙과 헤드 페이스 중앙에 맞히는 정타율을 높임으로써 퍼팅의 세기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능력을 가지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그에 맞추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어린이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층에 대하여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스윙감지부(400)는 퍼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하여 사용자의 스마프폰으로 그 데이타를 전송하여 시각적으로 다양한 정보를 피드백 받을 수 있게 한다. 퍼터가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는지, 움직이는 시간과 거리는 얼마인지, 움직인 시간과 거리의 비율은 어떻게 되는지, 퍼팅 예상 거리와 임팩트 시 페이스 앵글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일관성 있는 퍼팅연습이 되고 있는지 반복적으로 체크하면서 연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의 교정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의 교정장치에 있어서 고정구(201, 202)의 일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에 있어서 벨트스틱연결부(602)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에 있어서 벨트부(600)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의 교정장치에 있어서 고정구(201, 202)의 일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에 있어서 벨트스틱연결부(602)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에 있어서 벨트부(600)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의 교정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의 고정구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는 퍼터와 나란하게 위치시키고 그 상단을 사용자의 가슴 중앙부위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퍼터와 함께 스윙을 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교정장치가 퍼터의 움직임과 동일하게 움직이도록 한 것이고, 이러한 결과로서 사용자가 단순히 팔로 하는 스윙이 아니라 가슴부와 어깨부를 포함한 상체 윗부분과 팔을 일체감 있게 사용하는 퍼팅이 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가슴지지부(100)는 연습자의 가슴 중앙부에 직접 접촉되거나 벨트스틱연결부(602)에 접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대한 교정장치가 사용자의 몸체에 접촉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는 3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단부(501)는 가슴지지부(100)와 연결되며, 교정장치의 상단에 해당한다. 가슴지지부(100)는 사용자의 가슴 중앙부에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고정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사용감을 좋게 하기 위해 고무 등의 소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중간부(502)는 상단부와 연결되는 부분이고, 하단부(503)는 중간부와 연결된다. 상단부(501), 중간부(502), 하단부(503)는 서로 그 지름을 달리함으로써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로써 교정장치의 전체적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의 교정장치는 3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2단, 4단 및 그 이상의 분절로 되어도 얼마든지 가능한 것이고, 이러한 변형 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단순한 실시예의 변경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지지부(300)는 하단부의 끝단에 설치되며, 퍼터의 상면에 안착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의 교정장치는 퍼터 샤프트와 나란하게 위치시키고 그 상단을 사용자의 가슴 중앙부위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퍼터와 함께 스윙을 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 때 지지부(300)는 퍼터의 헤드에 안착되어 퍼터 헤드에 고정되어 그 움직임을 같이 하는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가슴부와 어깨부를 포함한 상체의 윗부분과 팔이 일체가 되어 손목을 사용하지 않고 일관성 있는 스윙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만약 팔로만 스윙을 하거나 손목사용이 과도하게 되면 나란한 방향으로 되어 있던 퍼터 샤프트와 교정장치는 서로 X자로 교차하거나 처음의 나란한 방향을 잃어버리게 된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잘못된 동작을 하게 되면 퍼터 헤드 위에 있는 지지부(300)와 사용자의 가슴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는 가슴지지부(100)가 정확한 위치에서 벗어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심하면 퍼터 헤드와 사용자의 몸에서 이탈하게 된다. 가슴지지부(100)의 경우 벨트스틱연결부(602)에 결합고정되었다 할지라도 잘못된 동작이 심하면 그 결합이 해체되어 사용자의 가슴부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로 퍼터가 일정한 아크를 그리면서 스윙이 되므로 퍼팅을 반복했을 때 그 일관성이 높아져 결국은 정타율을 높여 방향과 거리조절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퍼터샤프트와 연습용 스틱이 나란히 유지되면서 좋은 스윙을 만들 때 백스윙과 다운스윙, 백스윙과 전체 포워드스윙 등 다양한 템포와 리듬훈련을 결합하면 연습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연습용스틱을 사용하면서도 실제로 공을 치면서 퍼팅연습이 가능하므로 실전훈련에서 공을 치면서 사용자의 퍼팅자세를 체크하고 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습용 스틱을 통하여 일관성 있는 자세와 스윙 진폭의 크기, 퍼터 페이스의 진행방향, 스윙의 리듬(스피드, 강도) 등을 체크할 수 있으므로 방향과 거리감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스윙을 감지하는 동작센서를 활용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으로 골퍼의 퍼팅 스윙을 점검하는 방식도 포함된다.
스윙감지부(400)는 교정장치의 내부에 장착되거나 외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써 동작 감지센서의 한 종류이다. 스윙감지부는 퍼터가 사용자가 의도한대로 똑바로 스윙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스마프폰으로 그 데이타를 전송하여 시각적으로 다양한 정보를 피드백 받을 수 있게 한다.
스윙감지부(400)는 핵심기능은 다음과 같다. 퍼터의 스윙 속도를 체크하여 퍼팅 예상 거리를 알려준다. 볼이 퍼터 헤드에 맞는 순간 퍼터 페이스가 얼마나 열리고 닫히는지 페이스 앵글을 알려준다. 포워드 스윙에서 퍼터헤드의 움직이는 방향이 볼보다 앞쪽에서 등 뒤쪽으로 당겨치는(out-in) 스윙인지, 등 뒤쪽에서 볼보다 앞쪽방향으로 밀어치는(in-out) 스윙인지 감지하여 알려준다. 퍼팅의 총 시간과 백스윙부터 임팩트까지의 시간 등 퍼팅 시 소요시간을 알려준다. 퍼터 헤드의 움직인 거리를 감지하여 백스윙의 길이와 포워드스윙의 길이를 비율로 표시하여 알려준다. 이상의 내용은 핵심내용이고 이보다 더 정밀한 분석까지 가능한 감지센서와 분석장치가 설치된다. 사용자는 본 발명을 통해 나의 퍼터가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는지, 움직이는 시간과 거리는 얼마인지, 움직인 시간과 거리의 비율은 어떻게 되는지, 퍼팅 예상 거리와 임팩트 시 페이스 앵글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일관성 있는 퍼팅연습이 되고 있는지 반복적으로 체크하면서 연습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하고, 스윙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를 통하여 간편하게 스마트폰을 통해 자신의 스윙을 분석 및 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윙감지부(400)는 중간부(502)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용이하나, 상단부(501) 또는 하단부(503)에 설치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고정구(201, 202)는 상단부(501), 중간부(502), 하단부(503)들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는 스틱의 길이를 조절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고정구(201, 202)는 손잡이부를 당기면 해제되고, 손잡이부를 원래의 위치로 돌리면 고정구(201, 202)는 스틱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는 상단부(501), 중간부(502), 하단부(503)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각각은 그 지름이 서로 달라 서로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원리에 의해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 때 고정구(201, 202)는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의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단부(501), 중간부(502), 하단부(503)를 서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는 작용을 한다. 고정구는 상기한 클립형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교정장치의 내부에서 상단부(501), 중간부(502), 하단부(503)의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여 길이조절이 되는 길이조절 장치 등 다양한 길이조절 장치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를 미사용 시 보관하는 경우에는 그 길이를 최대한 줄일 수가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는 보관상의 편리함도 가져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에 있어서 벨트스틱연결부(602)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스틱에 있어서 벨트부(600)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진이다.
벨트스틱연결부(602)는 연습 시에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가 사용자의 몸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스윙 연습을 반복적으로 하다 보면, 교정장치가 몸통에서 이탈될 수가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는 교정장치의 이탈을 막기 위해 무리하게 교정장치를 가슴쪽으로 잡아당길 수가 있고, 이런 경우 자연스러운 스윙 연습이 되지 아니한다. 또한 교정장치가 몸통에서 이탈되는 빈도가 높아지면 연습의 집중도가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벨트와 교정장치의 연결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 벨트스틱연결부(602)이다. 한편, 벨트부(600)는 벨트스틱연결부(602)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와 연결되어 결합된다.
벨트부(600)는 벨트접합부(606)에 의하여 벨트스틱연결부(602)와 결합된다. 교정장치의 상단부(501)에 있는 가슴지지부(100)는 스틱결합부(604)에 끼워져 결합된다. 가슴지지부(100)가 스틱결합부(604)에 끼워지는 결합은 착탈이 용이하게 끼움결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언제든지 분리가 가능한 정도의 강도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슴지지부(100)가 스틱결합부(604)에 끼움결합되기 위해서 가슴지지부(100)는 그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스틱결합부(604)가 알맞게 끼움되도록 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스틱결합부(604)는 회전이 가능한 힌지 결합을 하고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스틱의 하방 각도를 체형 및 신장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벨트부(600)는 사용자의 가슴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신체곡선에 따라 약간의 변형이 가능한 탄성을 가지는 강선 계열의 소재로 구성된 것이거나 고무 소재의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부(600)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의 상단부(501)를 벨트스틱연결부(602)를 통하여 사용자의 상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자신의 상체에 끼우고 또한 쉽게 벗을 수 있는 구성이 바람직 할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기능을 만족하는 범위 내라면, 그 소재는 강선, 고무, 수지계열의 플라스틱 등 그 어느 것이어도 무방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벨트부(600)의 가장 큰 기능은 사용자의 팔과 가슴부와 어깨부를 포함한 상체 윗부분이 일체감 있게 움직이는 퍼팅을 하게 만드는 것이다. 벨트부(600)를 양쪽 겨드랑이에 끼고 퍼팅 연습을 하게 되면 양쪽 겨드랑이가 자연스럽게 조여져서 양 팔과 상체 윗부분이 밀착되게 되어 양 팔이 몸에서 떨어져서 팔로만 스윙하지 않고 몸에 밀착되어 몸통의 움직임으로 스윙이 가능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어떠한 방식으로 사용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시된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교정방치와는 직접적으로 무관한 것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퍼터의 헤드 위에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의 지지부(300)를 안착시켜 놓은 뒤 상단부(501)를 벨트부와 연결하기 위하여 벨트스틱연결부(602)를 통하여 결합한다. 사용자는 벨트를 양쪽 겨드랑이에 껴 줌으로 해서 벨트가 가슴에 밀착되고 스틱 또한 벨트와 결합되면서 가슴중앙부에 밀착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와 퍼터가 처음 준비자세에서의 모양과 각도를 유지하면서 일체적으로 움직이도록 연습을 하게 되면, 사용자가 팔로만 스윙을 하게 되는 동작을 방지하여 자연스럽게 팔과 상체 윗부분이 함께 움직이는 스윙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에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의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습을 통하여 사용자는 공의 직진성은 물론, 목표하는 거리에 따른 강약의 조절도 더욱 용이해 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벨트부(600)가 없다 하더라도 가슴지지부(100)를 가슴중앙에 밀착시켜 얼마든지 연습이 가능하다. 다만 벨트부(600)가 있으면 스틱 상단부가 가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팔과 상체 윗부분의 일체감을 더욱 잘 느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의 단순한 치환은 본 발명의 단순한 설계 변경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가슴지지부 : 100
고정구 : 201, 202
지지부 : 300
스윙감지부 : 400
상단부 : 501 중간부 : 502 하단부 :503
벨트부 : 600 벨트스틱연결부 : 602
스틱결합부 : 604 벨트접합부 : 606
고정구 : 201, 202
지지부 : 300
스윙감지부 : 400
상단부 : 501 중간부 : 502 하단부 :503
벨트부 : 600 벨트스틱연결부 : 602
스틱결합부 : 604 벨트접합부 : 606
Claims (2)
- 연습자의 가슴 중앙부에 접촉되는 가슴지지부(100);
상기 가슴지지부(100)와 연결되며, 교정장치의 상단에 해당하는 상단부(501);
상기 상단부(501)와 연결되는 중간부(502);
상기 중간부(502)와 연결되는 하단부(503);
상기 하단부(503)의 끝단에 설치되며, 퍼터의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부(300);
상기 중간부(502)에 내장 또는 외장되는 스윙감지부(400); 및
상기 상단부(501), 상기 중간부(502), 상기 하단부(503)들을 결합 및 고정시켜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하는 작용을 하는 고정구(201, 2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윙감지부(40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스윙의 정보 데이타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스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501)에 연결된 상기 가슴지지부(100)는 벨트스틱연결부(602)에 의해서 벨트부(600)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벨트부(600)는 사용자의 몸통(양쪽 겨드랑이)에 끼워져 사용자로부터 교정장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벨트부(600)는 벨트접합부(606)에 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가슴지지부(100)는 스틱결합부(604)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스틱결합부(604)는 상하좌우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으로서 벨트접합부(604)와 힌지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스틱.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3805A KR102520878B1 (ko) | 2021-01-31 | 2021-01-31 |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3805A KR102520878B1 (ko) | 2021-01-31 | 2021-01-31 |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0651A true KR20220110651A (ko) | 2022-08-09 |
KR102520878B1 KR102520878B1 (ko) | 2023-04-11 |
Family
ID=82844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3805A KR102520878B1 (ko) | 2021-01-31 | 2021-01-31 |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087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50901A (en) * | 1992-01-27 | 1992-09-29 | Stawicki Raymond J | Golf swing training device |
JP3164869U (ja) * | 2010-09-15 | 2010-12-24 | 隆則 獅々戸 | スイング練習具及び保持具 |
KR101509129B1 (ko) * | 2013-10-18 | 2015-04-09 | 오연수 | 핑거형 스윙분석장치와 연동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골프연습 시스템 |
KR102079001B1 (ko) * | 2019-08-16 | 2020-02-19 | 김종기 | 퍼팅 연습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64869B2 (ja) * | 1992-01-30 | 2001-05-14 | 松下冷機株式会社 | 冷凍冷蔵庫の制御装置 |
-
2021
- 2021-01-31 KR KR1020210013805A patent/KR10252087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50901A (en) * | 1992-01-27 | 1992-09-29 | Stawicki Raymond J | Golf swing training device |
JP3164869U (ja) * | 2010-09-15 | 2010-12-24 | 隆則 獅々戸 | スイング練習具及び保持具 |
KR101509129B1 (ko) * | 2013-10-18 | 2015-04-09 | 오연수 | 핑거형 스윙분석장치와 연동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골프연습 시스템 |
KR102079001B1 (ko) * | 2019-08-16 | 2020-02-19 | 김종기 | 퍼팅 연습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0878B1 (ko) | 2023-04-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595583A (en) | Training device | |
KR100817500B1 (ko) | 골프 스윙 연습장치 | |
US20120108351A1 (en) | Device for instructing downswing in golf swing | |
US5529306A (en) | Golf swing training device | |
JP2007508051A (ja) | 筋肉トレーニング機及び筋肉トレーニング方法 | |
JP2022000273A (ja) | スポーツトレーニング補助具 | |
US20090011846A1 (en) | Align-assure by GolfMasters | |
US6206787B1 (en) | Golf training device | |
KR101959171B1 (ko) | 골프용 스윙연습용구 | |
US20020094879A1 (en) | Golf swing practice device and method of use | |
US20070219010A1 (en) | Golf swing aid | |
KR20210010727A (ko) | 골프 연습장치 | |
KR20220110651A (ko) | 골프 퍼팅 동작 교정장치 | |
KR101731690B1 (ko) | 골프 풀스윙 연습장치 | |
US11617931B2 (en) | Portable golf swing exerciser and golf swing mo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having the same | |
KR20150054181A (ko) | 골프 스윙 자세 교정 장치 | |
KR102129403B1 (ko) | 퍼팅 연습기 | |
JP2014131521A (ja) | ゴルフスイングに於けるダウンスイング指示装置。(打撃運動に於ける捻り戻しの機能効果をセンサで測定して、コンピューターで助勢する運動教示装置) | |
US20130274028A1 (en) | Pendulum putting trainer | |
US7857706B2 (en) | Peripheral target stand training system | |
KR200441958Y1 (ko) | 골프 스윙 자세 교정기 | |
US11717736B2 (en) | Golf training apparatus | |
KR100419956B1 (ko) | 골프의 스윙 연습장치 | |
KR102546889B1 (ko) | 골프 스윙 연습기 | |
KR200467311Y1 (ko) | 골프 연습용 회전 운동 보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