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640B1 - 골프스윙연습기 - Google Patents

골프스윙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640B1
KR101263640B1 KR1020130011147A KR20130011147A KR101263640B1 KR 101263640 B1 KR101263640 B1 KR 101263640B1 KR 1020130011147 A KR1020130011147 A KR 1020130011147A KR 20130011147 A KR20130011147 A KR 20130011147A KR 101263640 B1 KR101263640 B1 KR 101263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wing
golf
golf club
guid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호
Original Assignee
최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호 filed Critical 최태호
Priority to KR1020130011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골프스윙연습기는 전방에 위치하는 몸체, 상기 몸체(100)와 전방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받침대, 상기 몸체를 지지하며 상기 받침대 후방부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높이 조절을 위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스윙연습기{MACHINE FOR PRACTICING SWING OF GOLF}
본 발명은 골프채의 스윙을 연습하며 스윙자세를 교정하는 골프스윙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제 골프채와 실제 골프공으로 실외에서는 현실감을 느끼면서 스윙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실내에서는 실제상황과 유사하게 연습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골퍼의 신체특성에 따라 바람직한 스윙자세가 나올 수 있도록 스윙의 궤도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골프스윙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코스 위에 정지하여 있는 골프공을 클럽으로 쳐서 정해진 홀에 넣어 그때까지 소요된 타수로 우열을 겨루는 경기이다. 즉 골프는 골프공을 멀리 그리고 정확하게 타격하여 타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골프는 온몸을 이용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운동으로서 스윙을 할 때 약간의 오차만 있어도 모두 골프공의 비거리나 방향에 그대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골프공을 멀리 그리고 정확하게 타격하기 위해서는 클럽의 스윙자세가 중요하다. 골퍼는 바람직한 스윙 자세가 나오게 하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하여야 하는데 자신의 스윙 자세를 잘 모르고 쉽게 교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바른 스윙 자세를 몸에 익히기가 그렇게 쉽지 않다.
스윙의 원리는 잘 알지만 혼자서 고치기 힘들고 프로에게 배운다고 해도 느낌과 몸에 꼬임 정도를 인식하기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골프스윙연습기는 혼자서 연습을 해도 골프 스윙의 정석을 배울 수 있는 연습기이기 때문에 많은 골퍼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종래에 골프 클럽의 스윙 자세를 바람직한 자세로 교정하기 위한 연습기구가 많이 공지되어 있으나 실제 골프채로 연습하기 불편했고, 신장이 맞게 높이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웠고, 연습과정에서 스윙진행상황을 알기 어렵고, 부품이 많아 구성이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가정에서 사용하기가 어려웠으며, 조립시 연결할 부분이 많아 설치에 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 골프 클럽을 가지고 연습이 가능하며, 신장에 맞게 쉽게 높이 조절할 수 있으며, 연습과정에서 스윙진행상황을 피드백 받을 수 있으며, 부품 수가 적어 구성이 간단하고, 부피가 작은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며, 조립이 간단하여 설치시간이 짧은 골프스윙연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스윙연습기는 전방에 위치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와 전방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받침대(200); 상기 몸체(100)를 지지하며 상기 받침대 후방부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100)의 높이 조절을 위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는 상기 골프채로 스윙을 연습할 때 대칭을 이루는 스윙이 되기 위해 골프채샤프트가 맞닿아 미끄러지도록 안내하는 대칭형태의 원형 가이드링(101); 상기 가이드링(101)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어 골프채의 스윙의 진행상황을 시각적으로 지시하는 시각지시부(102); 상기 가이드링(101)의 저부에서 연장된 판형의 몸체하판(104); 상기 몸체하판(104)의 하부에 연장된 관형의 회동연결부(105); 상기 가이드링(101)의 상부 중앙에서 연장되며 하부가 개방된 관형의 지지상관삽입부(106);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받침대(200)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연결부(105)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고정연결부(201); 상기 받침대(200)의 후방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연결부(201)에서 연장되며 상부가 개방된 관형의 지지하관삽입부(20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지지대(3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하관삽입부(202)에 삽입되는 지지하관(301); 상기 지지대(3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상관삽입부(106)에 상부가 삽입되며 하부는 상기 지지하관(301)의 상부에 삽입되는 지지상관(3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골프스윙연습기는 상기 몸체(100)가 상기 가이드링(101)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며 미끄러지는 골프채샤프트에 닿아 골프채의 스윙의 진행상황을 촉각적으로 지시하는 촉각지시부(10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골프스윙연습기는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몸체(100) 및 상기 받침대(200)와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몸체(100)와 상기 받침대(200)가 상기 고정연결부(201)에 연결된 상기 회동연결부(105)의 회동운동으로 접혀지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골프스윙연습기는 상기 지지대(300)가 상기 지지하관(30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상관(303)이 상기 지지하관(301)과 고정결합 하거나 길이조절을 위해 상하로 슬라이드 되도록 고정을 풀어주는 길이조정부(30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300)의 길이조정을 통해 골프스윙 연습자의 신장에 맞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스윙연습기는 실제 골프 클럽을 가지고 연습이 가능하며, 신장에 맞게 쉽게 높이 조절할 수 있으며, 연습과정에서 스윙진행상황을 피드백받을 수 있으며, 부품 수가 적어 구성이 간단하고, 부피가 작은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며, 조립이 간단하여 설치시간이 짧은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연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연습기의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연습기의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연습기의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연습기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연습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연습기의 후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연습기의 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골프스윙연습기는 몸체(100), 받침대(200), 지지대(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몸체(100)는 가이드링(101), 시각지시부(102), 촉각지시부(103), 몸체하판(104), 회동연결부(105), 지지상관삽입부(10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링(101)은 상기 골프채로 스윙을 연습할 때 대칭을 이루는 스윙이 되기위해 골프채샤프트가 맞닿아 미끄러지도록 안내한다. 스윙은 원형과 대칭운동이므로, 특히 골프채를 들어올리는 백스윙과 내려서 휘두르는 스윙이 대칭이어야 하므로 상기 가이드링(101)의 형상도 대칭형의 원형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링(101)은 유통, 배송과정에서 포장 부피를 줄이기 위해 두 개 이상의 파트로 분리가능하도록 두 개 이상의 원호관의 결합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원호관의 양단에 나사산이 있는 너트(미도시)를 구비하여 볼트(미도시)를 통해 고정하거나 풀러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시각지시부(102)는 상기 가이드링(101)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어 골프채의 스윙의 진행상황을 시각적으로 지시한다. 상기 가이드링(101)과 마찬가지의 이유로 각각의 시각지시부(102)가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야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형의 돌출 형태의 시각지시부를 구현했지만 그 형태는 시각적으로 대조를 이루는 것이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12개의 시각지시부(102)를 시계의 시간표시와 같은 배치로 1시부터 12시방향 위치까지 배치하였다.
한편, 상기 촉각지시부(103)는 상기 가이드링(101)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며 미끄러지는 골프채샤프트에 닿아 골프채의 스윙의 진행상황을 촉각적으로 지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고무밴드나 테이프, 스티커 등으로 촉각지시부를 구현했지만 가이드링(101)과 마찰계수가 달라 촉각으로 샤프트에 걸리는 느낌을 주는 것이라면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몸체하판(104)는 상기 가이드링(101)의 저부에서 연장되며 판형이다.
한편, 상기 회동연결부(105)는 상기 몸체하판(104)의 하부에 연장되며 관형이다.
한편, 상기 지지상관삽입부(106)는 상기 가이드링(101)의 상부 중앙에서 연장되며 하부가 개방된 관형이다.
한편, 상기 받침대(200)는 고정연결부(201), 지지하관삽입부(202)를 포함한다.
이때, 고정연결부(201)는 상기 받침대(200)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연결부(105)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있다.
한편, 지지하관삽입부(202)는 상기 받침대(200)의 후방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연결부(201)에서 연장되며 상부가 개방된 관형이다.
한편, 상기 지지대(300)는 지지하관(301), 길이조정부(302), 지지상관(303)을 포함한다.
이때, 지지하관(301)은 상기 지지대(3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하관삽입부(202)에 삽입된다.
한편, 지지상관(303)은 상기 지지대(3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상관삽입부(106)에 상부가 삽입되며 하부는 상기 지지하관(301)의 상부에 삽입된다.
한편, 길이조정부(302)는 상기 지지하관(30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상관(303)이 상기 지지하관(301)과 고정결합하거나 길이조절을 위해 상하로 슬라이드 되도록 고정을 풀어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나사를 이용해 고정을 했지만 고정핀, 조임장치 등 다양한 고정부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기의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골프연습기는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몸체(100) 및 상기 받침대(200)와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몸체(100)와 상기 받침대(200)가 상기 고정연결부(201)에 연결된 상기 회동연결부(105)의 회동운동으로 접혀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스윙연습기를 사용하여 골프스윙연습을 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링(101)과 맞닿게 사용자의 골프채 샤프트를 배치한다.
시각지시부(102)중 하나와 골프채 샤프트가 일치하도록 골프채를 들어올리고, 상기 시각지시부(102)와 쌍을 이루는 대칭인 시각지시부(102)까지 스윙을 실시한다.
즉, 상기 가이드링(101)은 골프채의 회전운동 궤적을 안내하고, 시각지시부(102)는 백스윙의 최고점과 스윙의 최고점이 대칭이 되도록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S1, S2, S3, S4)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 몸체, 200 : 받침대, 300 : 지지대
101 : 가이드링, 102 : 시각지시부, 103 : 촉감지시부
104 : 몸체하판, 105 : 회동연결부, 106 : 지지상관삽입부
201 : 고정연결부, 202 : 지지하관삽입부
301 : 지지하관, 302 : 길이조정부, 303 : 지지상관

Claims (3)

  1. 골프채로 스윙을 연습하는 골프스윙연습기에 있어서,
    전방에 위치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와 전방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받침대(200);
    상기 몸체(100)를 지지하며 상기 받침대 후방부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100)의 높이 조절을 위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300);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00)는,
    상기 골프채로 스윙을 연습할 때 대칭을 이루는 스윙이 되기위해 골프채샤프트가 맞닿아 미끄러지도록 안내하는 대칭형태의 원형 가이드링(101);
    상기 가이드링(101)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대칭으로 쌍을 이루며 배치되어 골프채의 스윙의 진행상황을 시각적으로 지시하는 시각지시부(102);
    상기 가이드링(101)의 저부에서 연장된 판형의 몸체하판(104);
    상기 몸체하판(104)의 하부에 연장된 관형의 회동연결부(105);
    상기 가이드링(101)의 상부 중앙에서 연장되며 하부가 개방된 관형의 지지상관삽입부(106);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받침대(200)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연결부(105)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고정연결부(201);
    상기 받침대(200)의 후방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연결부(201)에서 연장되며 상부가 개방된 관형의 지지하관삽입부(20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지지대(3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하관삽입부(202)에 삽입되는 지지하관(301);
    상기 지지대(3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상관삽입부(106)에 상부가 삽입되며 하부는 상기 지지하관(301)의 상부에 삽입되는 지지상관(303);
    상기 지지하관(30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상관(303)이 상기 지지하관(301)과 고정결합하거나 길이조절을 위해 상하로 슬라이드되도록 고정을 풀어주는 길이조정부(30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300)의 길이조정을 통해 골프스윙 연습자의 신장에 맞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연습기.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몸체(100)가
    상기 가이드링(101)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며 미끄러지는 골프채샤프트에 닿아 골프채의 스윙의 진행상황을 촉각적으로 지시하는 촉각지시부(10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연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101)은 두 개 이상의 파트로 분리 가능하도록 두개 이상의 원호관의 결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몸체(100) 및 상기 받침대(200)와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몸체(100)와 상기 받침대(200)가 상기 고정연결부(201)에 연결된 상기 회동연결부(105)의 회동운동으로 접혀지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스윙연습기.
KR1020130011147A 2013-01-31 2013-01-31 골프스윙연습기 KR101263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147A KR101263640B1 (ko) 2013-01-31 2013-01-31 골프스윙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147A KR101263640B1 (ko) 2013-01-31 2013-01-31 골프스윙연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640B1 true KR101263640B1 (ko) 2013-05-10

Family

ID=48666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147A KR101263640B1 (ko) 2013-01-31 2013-01-31 골프스윙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6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573A (ko) 2016-07-19 2018-01-29 주식회사 에이티엔씨 골프 스윙 연습기
KR20210026480A (ko) * 2019-08-30 2021-03-10 최장민 골프 스윙 연습기
KR20220099809A (ko) 2021-01-07 2022-07-14 주식회사 휴앤텍 스윙자세 훈련시스템
KR102497348B1 (ko) 2022-03-30 2023-02-08 이승구 골프 스윙 연습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989B1 (ko) 2007-09-21 2009-03-11 성민경 궤도 가변형 골프 스윙연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989B1 (ko) 2007-09-21 2009-03-11 성민경 궤도 가변형 골프 스윙연습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573A (ko) 2016-07-19 2018-01-29 주식회사 에이티엔씨 골프 스윙 연습기
KR20210026480A (ko) * 2019-08-30 2021-03-10 최장민 골프 스윙 연습기
KR102257519B1 (ko) 2019-08-30 2021-05-27 최장민 골프 스윙 연습기
KR20220099809A (ko) 2021-01-07 2022-07-14 주식회사 휴앤텍 스윙자세 훈련시스템
KR102497348B1 (ko) 2022-03-30 2023-02-08 이승구 골프 스윙 연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90911A (en) Training device for golfers
KR101263640B1 (ko) 골프스윙연습기
JP2011518594A (ja) ゴルフのパッティング練習装置
US10258858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20130244804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JP6228930B2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器具
CN203483812U (zh) 高尔夫挥杆动作练习仪
KR20170080003A (ko) 스윙 교정용 골프 매트
CN203989785U (zh) 一种练习高尔夫球推杆动作的健身器材
CN203954636U (zh) 练习高尔夫球挥杆动作的健身器材
CN103566556A (zh) 挥杆辅助装置及其辅助轨架
JP2008295911A (ja) ゴルフ練習器
CN204767282U (zh) 乒乓球专用训练装置
CN104127999A (zh) 一种练习高尔夫球转身动作的健身器材
CN202892852U (zh) 一种高尔夫挥杆定位指示装置
CN204050900U (zh) 一种练习高尔夫球转身动作的健身器材
CN203736820U (zh) 高尔夫挥杆训练指示装置
CN203899100U (zh) 一种高尔夫推杆练习架
KR100419956B1 (ko) 골프의 스윙 연습장치
CN109381848A (zh) 一种篮球训练用旋转摸高器
CN104128000A (zh) 一种练习高尔夫球推杆动作的健身器材
GB2440625A (en) Golf putting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645871B1 (ko) 어프로치 샷 스윙반경 연습장치
CN104128001B (zh) 练习高尔夫球加力动作的健身器材
CN104127997A (zh) 练习高尔夫球挥杆动作的健身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