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310B1 -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310B1
KR102014310B1 KR1020170144730A KR20170144730A KR102014310B1 KR 102014310 B1 KR102014310 B1 KR 102014310B1 KR 1020170144730 A KR1020170144730 A KR 1020170144730A KR 20170144730 A KR20170144730 A KR 20170144730A KR 102014310 B1 KR102014310 B1 KR 102014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rotating plate
ball collecting
collecting devic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9168A (ko
Inventor
이승진
권한조
김형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Priority to KR1020170144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3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49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50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y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공 수집부(100); 및 상기 공 수집부(100)의 후면(13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공 삽입구(210)가 형성된 회전판(200)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200)의 전면에는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200)과 일체로서 회전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Ball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an element that prevent of pinching for hard-bal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여 공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의 끼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야구는 실제 야구 경기와 유사하게 진행되는 일종의 가상 야구이다. 구체적으로,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 및 스크린의 후측에 위치되는 피칭 머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투사되는 영상을 보며 실제 공이 피칭되는 느낌을 받을 수 있고, 피칭된 공을 타격하기 위해 사용자가 야구 배트를 휘두르며 실제 야구 경기장에서 경기하는 느낌을 얻을 수 있다(도 1 참조).
스크린 야구에서 사용자의 토출 신호 입력에 따라 피칭 머신에서 공이 즉각적으로 토출되기 위해서는, 공 수집 장치가 수집한 공이 공 이송 장치를 거쳐 피칭 머신에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공 수집 장치는, 스크린 야구 진행 중 흩어진 공들을 수집하여, 경사가 형성된 공간에 수집된 공들이 회전판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 후, 회전판이 회전하여 공 이송 장치로 이동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다수의 공들이 좁은 공간에 뭉쳐 있게 되어 공들의 자중에 의해 공들이 뭉치는 경우가 발생하여, 공이 회전판의 홈에 삽입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공 이송 장치에 공이 공급되지 못하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기술들이 개시된 바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513152호는 저장부 하측에 분리턱을 형성하여, 회전 플레이트에 형성된 수용홈에 수용된 골프공과 수용된 골프공의 상부에 위치된 골프공을 분리시켜 골프공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골프공 공급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골프공 공급장치는 골프공이 수용홈에 수용된 후에야 골프공의 끼임이 방지되므로, 수용 전의 골프공의 뭉침에 의한 끼임을 방지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야구공의 경우 골프공에 비해 탄성력, 반발력 및 마찰력이 높아 이러한 방식의 공급장치는 스크린 야구에 적용되기 어렵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0032호는 볼 공급부의 일 측에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골프공을 이탈시키기 위한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골프공의 이탈만 가능할 뿐, 볼 삽입홈에 삽입되기 전 골프공의 뭉침에 의한 끼임을 방지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야구공의 경우 골프공에 비해 탄성력, 반발력 및 마찰력이 높아 이러한 방식의 티업장치는 스크린 야구에 적용되기 어렵다.
이 외에도 골프공을 수용하여 배분하는 과정에서 골프공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기술들이 개시된 바 있으나, 골프공의 경우 저속 및 순차적으로 배분하는 것이 중요하여 회전판이 저속으로 회전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야구공의 경우 고속으로 빠르게 분배하는 것이 중요하여 회전판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골프공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들을 야구공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513152호 (2015.04.17)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480032호 (2016.04.0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 야구 진행에서 사용되는 공, 특히 경식구인 공을 수집하여 공 이송 장치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끼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끼임 현상이 발생할 경우 해당 위치를 감지하여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 수집부(100); 및 상기 공 수집부(100)의 후면(13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공 삽입구(210)가 형성된 회전판(200)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200)의 전면에는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200)과 일체로서 회전되는 공 수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는 삼각뿔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 삽입구(210)의 깊이는 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 수집부(100)의 후면(130)의 외측에 위치되는 동력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부(400)는 모터(410) 및 벨트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부(420)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벨트부(420)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장력 조절 풀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공 수집 장치(36)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으로서, 대기자가 위치하는 안전 구역(10); 상기 안전 구역(10)의 일측에 위치하여 스크린 야구가 진행되는 게임 구역(20); 및 상기 피칭 머신(32)이 위치하는 피칭 구역(30)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 구역(10)과 상기 게임 구역(20)은 안전망(12)으로 구획되고, 상기 게임 구역(20)과 상기 피칭 구역(30)은 스크린(24)으로 구획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 수집 장치(36)에 사용되는 제어 방법으로서, (a) 회전판 센서(150)가 상기 회전판(200)의 회전 여부 및 회전 횟수를 감지하는 단계; (b) 회전 여부 판단 모듈(510)이 상기 회전판 센서(150)가 감지한 회전판(200)의 회전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판(200)의 정지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회전 여부 판단 모듈(510)이 판단한 회전판(200)의 정지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회전 여부 판단 모듈(510)이 상기 회전판(200)에 공 걸림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d) 전원 제어 모듈(530)이 상기 동력부(4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d) 단계 이전에, (c1) 상기 회전 여부 판단 모듈(510)이 판단한 회전판(200)의 정지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미만인 경우, 회전 횟수 판단 모듈(520)이 상기 회전판 센서(150)가 감지한 회전판(200)의 회전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판(200)의 회전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2) 상기 회전 횟수 판단 모듈(520)이 판단한 회전판(200)의 회전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회전 횟수 판단 모듈(520)이 상기 회전판(200)의 역회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 이후에, (d1) 전원 제어 모듈(530)이 상기 동력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판(200)을 역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판이 회전할 때 공 수집부에 뭉쳐 있는 공들과 회전판의 전면에 형성된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의 충돌에 의해 공들이 흩어지게 되므로, 회전판의 공 삽입구에 공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끼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판 센서를 이용하여 공 걸림 현상의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공 수집 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문제 발생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공이 삽입되는 공 삽입구의 깊이를 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공이 공 삽입구에 완전히 삽입되어 회전판에 의해 이동되므로, 삽입된 공과 다른 공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장력 조절 풀리를 이용하여 회전판과 모터를 연결하는 벨트부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벨트부의 수명이 향상되고 모터의 과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경기장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 수집 장치를 보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 수집 장치를 보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공 수집 장치에 형성된 공 삽입구의 깊이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공 삽입구에 공이 삽입되는 과정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2의 공 수집 장치의 후면에 위치하는 장력 조절 풀리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장력 조절 풀리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6의 장력 조절 풀리에 의해 벨트부의 장력이 조절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공 수집 장치에 형성된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보이는 부분 상세도이다.
도 11은 도 9의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에 의해 공이 흩어지는 과정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2의 공 수집 장치에 구비되는 회전판 센서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2의 공 수집 장치에 구비되는 회전판 센서를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보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설명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경기장은 크게 안전 구역(10), 게임 구역(20) 및 피칭 구역(30)으로 분류될 수 있다.
안전 구역(10)은 스크린 야구가 진행되는 동안 대기자가 안전하게 자기 순서를 기다릴 수 있는 구역이다. 대기자의 편안한 대기를 위해, 안전 구역(10)에는 티테이블 또는 소파 등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가구가 구비될 수 있다.
안전 구역(10)에는 안전망(12), 출입문(12a) 및 단말기(16)가 위치된다. 안전 구역(10)과 게임 구역(20)은 안전망(12)으로 구분된다.
안전망(12)은 게임 구역(20)에서 토출되는 공 또는 물체를 차단하여 안전 구역(10)에서 대기하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게 한다. 안전망(12)은 후술될 피칭 머신(32)에서 토출된 공 또는 게임 구역(20)에서 사용자가 놓친 야구 배트 등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철망 등 강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망(12)에는 출입문(12a)이 형성된다. 대기자는 출입문(12a)을 통해 게임 구역(20)에 진입할 수 있다. 출입문(12a)은 안전망(12)의 일부를 형성하므로 안전망(12)과 동일하게 철망 등 강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기(16)는 안전 구역(10)의 일 측면에 위치된다. 사용자 또는 운영자는 단말기(16)를 통해 스크린 야구의 진행 방식을 조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단말기(16)를 통해 야구의 회 수, 사용자 수 등 스크린 야구의 일반적인 사항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16)는 안전 구역(10)에서 대기하며 스크린 야구를 관람하는 대기자의 시선을 가로막지 않도록 안전 구역(10)의 벽 쪽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단말기(16)는 스크린 야구 경기장 밖의 운영 구역(미도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게임 구역(20)은 스크린 야구가 진행되는 구역이다. 안전 구역(10)에서 대기하던 사용자는 출입문(12a)을 통해 게임 구역(20)으로 진입할 수 있다.
게임 구역(20)에는 토출 신호 장치(22), 스크린(24), 스크린 홀(24a), 센서(26a, 26b), 야구공 수집부(28) 및 영상부(14)가 위치된다.
토출 신호 장치(22)는 피칭 머신(32)에서 공이 토출되도록 사용자가 토출 신호를 입력하는 장치이다. 사용자는 토출 신호 장치(22)를 발로 밟아 토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토출 신호 장치(22)는 사용자가 손으로 눌러 토출 신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토출 신호 장치(22)에 토출 신호를 입력하면, 토출 신호가 피칭 머신(32)에 전달되어 공이 토출된다. 토출 신호가 피칭 머신(32)에 전달되어 공이 토출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크린(24)은 후술될 영상부(14)에서 출력된 영상 정보가 투사되는 부분이다. 스크린(24)은 후술될 피칭 머신(32)에서 토출된 공이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후 스크린(24)에 충격을 가하더라도 파손되지 않도록 충분히 강하면서도, 동시에 연질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24)의 중앙에는 스크린 홀(24a)이 형성된다. 스크린 홀(24a)은 구멍으로 형성되며, 스크린(24)의 후측에 위치된 후술될 피칭 머신(32)에서 토출된 공이 스크린(24)을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스크린 홀(24a)의 직경은 토출된 공의 진로가 방해받지 않도록 피칭 머신(32)에서 토출되는 공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26a, 26b)는 피칭 머신(32)에서 토출된 공이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후, 공의 위치와 속도를 감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센서(26a, 26b)는 게임 구역(20)의 중앙으로부터 토출 신호 장치(22)에 인접하게 바닥에 위치된 막대 형상의 센서(26a) 및 스크린(24)의 상측에 위치된 카메라 형상의 센서(26b)로 구비된다.
센서(26a, 26b)는 사용자가 타격한 공의 위치와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의 센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그 개수 및 위치에도 제한이 없다.
야구공 수집부(28)는 사용자에게 타격된 공이 수집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야구공 수집부(28)는 주변 바닥보다 약간 하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타격된 공은 스크린(24)에 충돌한 후 굴러서 야구공 수집부(28)를 통해 게임 구역(20)에서 빠져나갈 수 있다.
영상부(14)는 스크린(24)에 투사되는 영상 정보가 출력되는 부분이다. 영상부(14)는 게임 구역(20)에 진입한 사용자에 의해 영상 정보가 가려지지 않도록 충분히 높게 안전망(12) 상측에 위치된다.
영상부(14)에서 출력된 영상 정보를 통해 사용자는 실제 야구 경기에서 타석에 진입한 타자의 시점으로 스크린 야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야구가 피칭 모드(투수 모드)로 진행될 경우, 사용자는 실제 야구 경기에서 마운드에 위치한 투수의 시점으로 스크린 야구를 진행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피칭 구역(30)은 스크린(24)의 후측에 형성되며, 공이 토출되는 피칭 머신(32)이 위치되는 구역이다. 피칭 구역(30)과 게임 구역(20)은 스크린(24)에 의해 구획된다.
피칭 머신(32)은 피칭 구역(30)의 중앙에 위치하며, 실제 투수가 공을 피칭하듯이 공을 토출한다. 사용자가 토출 신호 장치(22)에 토출 신호를 입력하면, 토출 신호가 피칭 머신(32)에 전달되어 공이 토출된다.
피칭 머신(32)은 공을 토출하기 위해 어떤 구조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피칭 머신(32)의 토출구의 직경은 공의 직경과 같거나 더 크되, 스크린(24)에 형성된 스크린 홀(24a)의 직경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칭 머신(32)은 회전 가능한 휠 구조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휠 구조체(미도시)의 회전 속도의 변경에 의해 피칭 머신(32)에서 토출되는 공의 구속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휠 구조체(미도시)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의 변경에 의해 피칭 머신(32)에서 토출되는 공의 로케이션이 변경될 수 있다.
피칭 머신(32)이 회전 가능한 휠 구조체(미도시)를 두 개 이상 포함할 경우, 상술한 공의 구속 및 로케이션 외에도 공의 구질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즉, 각 휠 구조체(미도시)의 회전 속도 및 회전 각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르게 변경되어 피칭 머신(32)에서 토출되는 공의 구질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은 후술될 공 수집 장치(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공 수집 장치(36)는 피칭 머신(32)에 인접하도록 피칭 구역(30)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2. 공 수집 장치(36)의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 수집 장치(36)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방", "후방", "좌측", "우측", "상측", "하측"이라는 용어는 도 2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또한, "경식구"라 함은 실제 야구 경기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야구공으로, 타격 시의 충격을 버티도록 외면을 가죽으로 두르고 가죽을 꿰매기 위한 실밥이 외면에 형성되고, 내부는 코르크, 고무, 실 등으로 형성된 야구공을 의미한다.
공 수집 장치(36)는 스크린 야구 진행 중에 야구공 수집부(28)에서 수집된 공을 공 이송 장치(미도시)에 공급하여 피칭 머신(32)에서 토출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야구공 수집부(28)에서 공 수집 장치(36)로 공을 전달하는 별도의 공 전달 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공 수집 장치(36)는 공 수집부(100), 회전판(200), 공 배출부(300), 동력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1) 공 수집부(100)의 설명
공 수집부(100)는 야구공 수집부(28)에서 전달된 공이 수용되는 부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공 수집부(100)는 공 수집 장치(36)의 하측에 위치되나, 공 수집부(100)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 수집부(100)는 공 수집 공간(110), 측면(120), 후면(130), 지지 프레임(140) 및 회전판 센서(150)를 포함한다.
공 수집 공간(110)은 전달된 공이 모이는 공간이다. 공들의 자유로운 유입이 가능하도록, 공 수집 공간(110)의 전방 측과 상측은 개방된다.
공 수집 공간(110)의 바닥부(112)는 공이 자연스럽게 굴러서 후술될 회전판(200)의 공 삽입구(2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판(200)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 수집 공간(110)의 바닥부(112)는 수집된 공들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좌측 및 우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120)은 공 수집 공간(110)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펜스의 일종이다. 측면(120)으로 인해 공 수집 공간(110)에 수집된 공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후면(130)은 공 수집 공간(110)의 후측에 판형 부재로 형성되며, 내측에 후술될 회전판(2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후면(130)의 외측에는 후술될 공 배출부(300)가 형성되어, 회전판(200)에 의해 회전 이동된 공이 공 이송 장치(미도시)로 공급될 수 있다.
후면(130)은 지면과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130)의 경사에 의해 후면(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술될 회전판(200) 또한 지면과 경사를 이루게 되어, 공 수집 공간(110)에 수집된 공이 후술될 회전판(200)의 공 삽입구(210)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될 공 배출부(300)로 공이 전달되는 과정에서도 공이 자연스럽게 굴러나갈 수 있게 된다.
지지 프레임(140)은 공 수집부(100)의 하측에 위치하며, 공 수집부(100)를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프레임(140)은 판형 부재들의 결합으로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공 수집 장치(36)는 회전판 센서(150)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전판 센서(150)는 공 수집 장치(36)의 우측 측면(120)에 위치되며, 후술될 회전판(200)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어떤 위치에라도 위치될 수 있다.
회전판 센서(150)는 포토 회전판 센서일 수 있으며, 회전판(200)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여타 종류의 회전판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판 센서(150)는 회전판(200)의 회전 여부, 회전 속도 및 회전 횟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 수집 장치(36)는 회전판 센서(150)에 의해 감지된 회전판(200)의 회전 여부를 이용하여 작동 여부가 제어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2) 회전판(200)의 설명
회전판(200)은 공 수집 공간(110)에 수집된 공을 회전 이동을 통해 상측에 있는 후술될 공 배출부(30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회전판(200)은 공 수집부(100)의 후면(13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판(200)은 공 삽입구(210), 마찰력 감소부(220) 및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를 포함한다.
공 삽입구(210)는 공 수집 공간(110)에 모인 공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공 삽입구(210)의 직경은 공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 삽입구(210)는 회전판(20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는, 공 삽입구(210)의 전방 측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공이 회전 이동되어 공 삽입구(210)의 후방 측 개구부를 통해 상측의 공 배출부(300)로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공 삽입구(210)의 깊이는 공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공 삽입구(210)는 네 개로 형성되며, 공 삽입구(210)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공 삽입구(210)의 후측 모서리(212)는 공 삽입구(210)에 삽입된 공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공 수집부(100)의 후면(130)에 접촉되거나, 소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소정 거리는 공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 삽입구(210)의 외주면(214)에는 후술될 마찰력 감소부(220)가 결합된다.
마찰력 감소부(220)는 공 삽입구(210)에 삽입된 공이 회전판(200)에 의해 회전 이동되어 후술될 공 배출부(300)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공의 무단 이탈을 방지한다.
마찰력 감소부(220)는 고정 부재(222) 및 마찰력 감소 부재(224)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222)는 공 삽입구(210)의 외주면(214)에 인접하도록 회전판(200)의 후측에 연결된다. 이 때, 고정 부재(222)는 회전판(200)과 수직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부재(222)의 일측에는 마찰력 감소 부재(224)가 힌지 결합된다. 즉, 마찰력 감소 부재(224)는 고정 부재(222)와 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마찰력 감소 부재(224)는 공 삽입구(210)에 삽입된 공이 공 배출구(320)로 배출되기 전, 공 삽입구(210)로부터 임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마찰력 감소 부재(224)는 공과의 마찰력에 의해 공이 공 삽입구(210)과 마찰력 감소 부재(224) 사이에 걸리지 않도록, 직물(천)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공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어떤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찰력 감소 부재(224)는 회전판(200)이 회전하는 동안 공 수집부(100)의 후면(130)에 의해 공 삽입구(210)의 후방 측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접혀 있게 된다.
공이 삽입된 공 삽입구(210)가 공 배출부(300)의 위치에 도달하면, 공 배출부(300)에 형성된 공 배출 공간(310)에 의해 마찰력 감소 부재(224)가 펴지게 되어, 공 삽입구(210)의 후방 측 개구부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공 삽입구(210)에 삽입되었던 공은 후술될 공 배출 펜스부(330)가 형성하는 공 배출 공간(310)을 통과하여 공 배출구(3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는 회전판(200)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회전판(200)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복수 개의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가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는 총 네 개로 구성되어, 각각 90도의 각도를 형성하며 회전판(200)의 전면에 형성된다.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의 개수는 회전판(200)의 회전 속도 및 후술될 공 배출부(300)에서 공이 배출되는 시간 간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는 회전판(200)과 일체로서 회전한다. 이를 통해 공 수집 공간(110)에 수집된 공들이 흩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는 삼각뿔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충돌에 의해 공 수집 공간(110)에 수집된 공들을 흩을 수 있는 여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3) 공 배출부(300)의 설명
공 배출부(300)는 회전판(200)의 공 삽입구(210)에 삽입된 후 회전 이동하여 이동된 공이 공 이송 장치(미도시)에 공급되기 위해 공 수집 장치(36)를 빠져 나가는 부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공 배출부(300)는 공 수집부(100)의 후면(130)의 외측으로, 후면(130)의 상측에 위치되나, 공 배출부(300)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 배출부(300)는 공 배출 공간(310), 공 배출구(320) 및 공 배출 펜스부(330)를 포함한다.
공 배출 공간(310)은 공 삽입구(210)에 삽입되어 있던 공이 후술될 공 배출구(320)를 통해 배출되기 위해 통과하는 공간이다. 공 배출 공간(310)은 공 수집부(100)의 후면(130)이 후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형성된다. 공 배출 공간(310)은 후술될 공 배출 펜스부(33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공 배출 공간(310)에 의해 마찰력 감소 부재(224)가 펴지게 되어, 공 삽입구(210)의 후방 측 개구부가 개방될 수 있다.
공 배출구(320)는 공 배출 공간(310)을 통과한 공이 공 이송 장치(미도시)에 공급되기 위해 배출되는 부분이다. 공 배출구(320)는 후술될 공 배출 펜스부(330)의 일측 면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공 배출구(320)는 원형으로 형성되나, 공 배출구(32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 배출 펜스부(330)는 공 수집부(100)의 후면(130)의 후측으로부터 일부 돌출되어 형성된다. 공 배출 펜스부(330)에 의해 공 배출 공간(310)이 형성된다.
공 배출 펜스부(330)의 일측 면에는 공 배출구(320)가 형성되어, 공이 공 이송 장치(미도시)로 공급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4) 동력부(400)의 설명
동력부(400)는 회전판(200)이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한다. 동력부(400)는 공 수집부(100)의 후면(130) 외측에 공 배출부(300)의 하측으로 위치된다.
동력부(400)는 모터(410), 벨트부(420), 회전판 풀리(430) 및 장력 조절 풀리(440)를 포함한다.
모터(410)는 회전판(200)이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한다. 모터(410)는 별도의 전선(미도시) 등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모터(410)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모터(410)의 회전 방향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판(200)의 회전 방향도 변경될 수 있다.
벨트부(420)는 모터(410)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을 후술될 회전판 풀리(430)에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체인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판 풀리(430)는 회전판(200)의 회전축(미도시)에 연결되며, 벨트부(420)에 연결된다. 회전판 풀리(430)의 회전에 의해 회전판(200)이 회전될 수 있다.
장력 조절 풀리(440)는 벨트부(420)의 상측에 벨트부(420)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공 수집부(100)의 후면(130)에 결합된다. 장력 조절 풀리(440)는 후술될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되어 벨트부(420)에 접촉할 수 있는 어떤 위치에도 위치될 수 있다.
장력 조절 풀리(440)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장력 조절 풀리(440)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부(442)가 구비될 수 있다.
장력 조절 풀리(440)는 벨트부(420)와의 접촉을 통해 벨트부(420)의 장력을 조절한다. 이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5) 제어부(500)의 설명
제어부(500)는 공 수집 장치(36)의 작동과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일 예로, 제어부(500)는 동력부(400)에의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여, 공 수집 장치(36)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회전 여부 판단 모듈(510), 회전 횟수 판단 모듈(520) 및 전원 제어 모듈(530)을 포함한다.
회전 여부 판단 모듈(510)은 회전판 센서(150)에서 감지된 회전판(200)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회전판(200)이 회전하고 있는지 여부 및 이를 통해 공 수집 장치(36)에 공 걸림 현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회전 횟수 판단 모듈(520)은 회전판 센서(150)에서 감지된 회전판(200)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회전판 센서(150)에 의해 감지되는 시간 동안 회전판(200)이 회전한 횟수 및 이를 통해 회전판(20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킬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원 제어 모듈(530)은 회전 여부 판단 모듈(510) 및 회전 횟수 판단 모듈(520)에 의해 판단된 공 걸림 현상 발생 여부 및 역방향 회전의 필요 여부에 상응하게 회전판(200)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회전 여부 판단 모듈(510)이 공 걸림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전원 제어 모듈(530)은 동력부(4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공 수집 장치(36)를 정지시킨다.
또한, 회전 횟수 판단 모듈(520)이 역방향 회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전원 제어 모듈(530)은 동력부(400)를 제어하여 회전판(200)을 역회전시킨다.
제어부(500)에 의해 공 수집 장치(36)가 제어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3. 회전판(200)의 공 삽입구(210)의 깊이의 설명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공 삽입구(210)의 깊이는 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공이 공 삽입구(210)에 삽입되면, 회전판(200) 전면에 노출되지 않는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회전판(200)이 회전하여 공 삽입구(210a)가 공 수집 공간(110)에 무질서하게 흩어져 있는 공들에 접근한다. 회전판(200)이 계속 회전하면, 공 수집 공간(110)에 무질서하게 흩어져 있는 공들 중 어느 한 공이 공 삽입구(210a)에 삽입된다.
이 때, 공 삽입구(210)에 삽입된 공은 공 삽입구(210)의 깊이 및 회전판(200)의 경사에 의해 공 수집부(100)의 후면(130) 또는 마찰력 감소 부재(224)에 접촉하게 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회전판(200)이 회전하여 공 삽입구(210a)에 삽입된 공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공 삽입구(210)의 깊이로 인해 공이 완전히 수용되어 회전판(200)의 전면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다른 공들의 간섭을 받지 않고 회전판(200)과 함께 회전 이동된다.
따라서, 공이 공 삽입구(210)에 삽입된 후 회전판(200)이 회전하더라도 공 수집 공간(110)에 수집되어 있는 다른 공들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된다. 마찬가지로, 공 수집 공간(110)에 수집되어 있는 다른 공들 또한 공 삽입구(210)에 삽입된 공에 의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받게 된다.
따라서, 공 삽입구(210)에 삽입된 공이 다른 공들과의 마찰 등으로 인해 공 삽입구(21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4. 장력 조절 풀리(440)에 의한 벨트부(420)의 장력 조절 과정의 설명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벨트부(420)의 상측에는 장력 조절 풀리(440)가 공 수집부(100)의 후면(13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벨트부(420)와 장력 조절 풀리(440)의 거리는 가이드부(442)의 조작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442)는 장력 조절 풀리(440)가 벨트부(420)와 인접하되 접촉되지 않도록 위치시킬 수 있고, 장력 조절 풀리(440)가 벨트부(42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벨트부(420)를 누르도록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장력 조절 풀리(440) 및 가이드부(442)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벨트부(420)의 장력이 저하되어 벨트부(420)는 하측으로 늘어져 있고, 모터(410)의 동력의 일부만 회전판 풀리(430)에 전달된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장력 조절 풀리(440)는 벨트부(420)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되어 벨트부(420)를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벨트부(420)는 팽팽해져서 모터(410)의 동력이 모두 회전판 풀리(430)에 전달된다.
이 때, 장력 조절 풀리(440)에 의해 장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벨트부(42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력 조절 풀리(440)가 이동되는 거리 및 벨트부(420)를 누르는 정도는 회전판(200)의 회전 속도를 기준으로 조절될 수 있다.
장력 조절 풀리(440)가 벨트부(420)를 누름으로써, 벨트부(420)의 장력이 상승되면, 모터(410)의 동력이 회전판 풀리(430)에 원래대로 전달된다.
따라서, 벨트부(420)의 장력이 감소되더라도 더 오래 사용할 수 있으므로, 벨트부(420)의 수명이 향상되고, 장력의 감소로 인해 모터(410)가 더 고속으로 회전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모터(410)의 과부하가 방지될 수 있다.
5.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에 의해 공의 끼임이 방지되는 과정의 설명
공 수집 공간(110)에 수집된 공들은 자중에 의해 공 더미를 형성하며 서로 끼여 있게 된다. 이는 스크린 야구에서 사용되는 야구공의 특성에 기인한다.
구체적으로, 야구공의 경우 골프공과 달리 공 간의 마찰력이 높기 때문에 공들이 뭉쳐 있을 경우 쉽게 흩어지기 어렵다.
특히, 외부 재질이 가죽으로 형성되는 경식구인 공의 경우 상술한 야구공의 특성에 더하여 가죽을 꿰매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실밥들이 공의 표면에 돌출되므로, 실밥들에 의한 끼임 현상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 수집 장치(36)는 공 수집 공간(100)에 수집된 공들 간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를 더 포함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회전판(200)의 전면에는 삼각뿔 형상의 복수의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가 회전판(200)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는 회전판(200)의 전면에서 전방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회전판(200)이 회전함에 따라,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 또한 회전하게 된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회전판(200)이 회전하면서 공 삽입구(210b)가 공들을 향해 접근한다. 공 수집 공간(110)의 바닥부(112)는 회전판(200)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공 수집 공간(110)에 수집된 공들은 회전판(200)을 향하여 몰려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식구인 공의 특성상 공들은 뭉쳐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가 회전판(200)과 함께 회전하면서 뭉쳐 있는 공들에 외력을 가하게 되고, 외력을 받은 공이 뭉쳐 있던 공 더미에서 이탈되면서, 공 더미가 흩어지게 된다.
따라서, 공 삽입구(210b)에 공이 삽입되기 전에 공 더미가 흩어지므로, 끼임 현상 없이 공이 공 삽입구(210b)에 삽입될 수 있다.
공 수집 장치(36)가 작동하는 동안 회전판(200)은 계속하여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가 뭉쳐 있는 공 더미에 주기적으로 외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뭉쳐 있는 공 더미가 주기적으로 흩어지게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 수집 장치(36)에 의해 공 수집 공간(110)에 수집된 공들이 뭉치게 되어 발생할 수 있는 공의 끼임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공이 회전판(200)의 공 삽입구(210)에 하나씩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삽입되어 공 배출부(300)에서 공 이송 장치(미도시)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회전판(200)의 공 삽입구(210)의 깊이가 공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되므로 공이 완전히 수용되어, 공 삽입구(210)에 삽입된 공이 다른 공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장력 조절 풀리(440)를 이용하여 동력부(400)의 벨트부(4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회전판(200)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벨트부(420)의 수명 연장 효과 및 모터(410)의 과부하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6. 회전판 센서(150)에 의해 감지된 회전판(200)의 움직임을 통해 공 수집 장치(36)를 제어하는 방법의 설명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 수집 장치(36)의 제어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기준 시간"이라는 용어는 공 수집 장치(36)가 오작동하지 않는 조건 하에 회전판(200)이 정지해 있을 수 있는 최대 시간을 의미하고, "기준 회전 횟수"는 회전판(200)이 역회전이 되어야 하는 최소 회전 횟수를 의미한다.
기준 시간 및 기준 회전 횟수는 공 수집 장치(36)의 작동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공 수집 장치(36)의 작동이 시작되면, 회전판(200)이 회전을 시작하고, 회전판 센서(150)가 회전판(200)의 회전을 감지한다(S110).
회전 여부 판단 모듈(510)이 회전판 센서(150)에서 감지된 회전판(200)의 회전 여부를 이용하여, 회전판(200)의 정지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도시된 실시 예에서, 기준 시간은 12초일 수 있다.
회전판(200)의 정지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일 경우, 회전 여부 판단 모듈(510)은 회전판(200)에 공 걸림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S141), 전원 제어 모듈(530)은 동력부(4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공 수집 장치를 정지시킨다(S151).
회전판(200)의 정지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미만인 경우, 회전 횟수 판단 모듈(520)이 회전판 센서(150)에서 감지된 회전판(200)의 회전 횟수를 이용하여, 회전판(200)의 회전 횟수가 기준 회전 횟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도시된 실시 예에서, 기준 회전 횟수는 10회일 수 있다.
회전판(200)의 회전 횟수가 기준 회전 횟수 미만일 경우, 회전 횟수 판단 모듈(520)은 공 수집 장치(36)에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회전판(200)의 회전 및 회전판 센서(150)의 감지가 반복된다(S110).
회전판(200)의 회전 횟수가 기준 회전 횟수 이상일 경우, 회전 횟수 판단 모듈(520)은 회전판(200)의 역회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S142), 전원 제어 모듈(530)은 동력부(400)를 제어하여 회전판(200을 역회전시킨다(S152).
따라서, 상술한 과정을 통해, 회전판 센서(150)가 감지하는 회전판(200)의 회전 여부 및 회전 수에 따라 공 수집 장치(36)에 공 걸림 현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가 실시간으로 판단되므로, 문제 발생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안전 구역
12 : 안전망
12a : 출입문
14 : 영상부
16 : 단말기
20 : 게임 구역
22 : 토출 신호 장치
24 : 스크린
24a : 스크린 홀
26a, 26b : 센서
28 : 공 배출부
30 : 피칭 구역
32 : 피칭 머신
36 : 공 수집 장치
100 : 공 수집부
110 : 공 수집 공간
112 : 바닥부
120 : 측면
130 : 후면
140 : 지지 프레임
150 : 회전판 센서
200 : 회전판
210 : 공 삽입구
210a, 210b : 공 삽입구
212 : 후측 모서리
214 : 외주면
220 : 마찰력 감소부
222 : 고정 부재
224 : 마찰력 감소 부재
230 :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
300 : 공 배출부
310 : 공 배출 공간
320 : 공 배출구
330 : 공 배출 펜스부
400 : 동력부
410 : 모터
420 : 벨트부
430 : 회전판 풀리
440 : 장력 조절 풀리
442 : 가이드부
500 : 제어부
510 : 회전 여부 판단 모듈
520 : 회전 횟수 판단 모듈
530 : 전원 제어 모듈

Claims (9)

  1. 공 수집부(100);
    상기 공 수집부(100)의 후면(13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공 삽입구(210)가 형성된 회전판(200);
    상기 회전판(200)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200)과 일체로서 회전되는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
    상기 회전판(200)이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400);
    상기 회전판(200)의 회전 여부 및 회전 횟수를 감지하는 회전판 센서(150);
    상기 회전판 센서(150)에서 감지된 회전판(200)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공 걸림 현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회전여부 판단 모듈(510); 및
    상기 동력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 모듈(530);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여부 판단 모듈(510)은 상기 회전판 센서(150)가 감지한 상기 회전판(200)의 회전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판(200)의 정지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 또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원 제어 모듈(530)은, 상기 회전 여부 판단 모듈(510)이 판단한 상기 회전판(200)의 정지 지속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동력부(4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상기 회전 여부 판단 모듈(510)이 판단한 상기 회전판(200)의 회전 횟수가 상기 기준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동력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판(200)을 역회전 시키는,
    공 수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는 삼각뿔의 형상인,
    공 수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230)를 복수 개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 삽입구(210)의 깊이는 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 수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400)는 모터(410) 및 벨트부(420)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420)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벨트부(420)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장력 조절 풀리(440)를 더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7. 제1항에 따른 공 수집 장치(36)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으로서,
    대기자가 위치하는 안전 구역(10);
    상기 안전 구역(10)의 일측에 위치하여 스크린 야구가 진행되는 게임 구역(20); 및
    피칭 머신(32)이 위치하는 피칭 구역(30)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 구역(10)과 상기 게임 구역(20)은 안전망(12)으로 구획되고, 상기 게임 구역(20)과 상기 피칭 구역(30)은 스크린(24)으로 구획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8. 제1항에 따른 공 수집 장치(36)에 사용되는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회전판 센서(150)가 상기 회전판(200)의 회전 여부 및 회전 횟수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회전 여부 판단 모듈(510)이 상기 회전판 센서(150)가 감지한 상기 회전판(200)의 회전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판(200)의 정지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회전 여부 판단 모듈(510)이 판단한 상기 회전판(200)의 정지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회전 여부 판단 모듈(510)이 상기 회전판(200)에 공 걸림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회전판(200)에 공 걸림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 제어 모듈(530)은 상기 동력부(4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d) 단계 이전에,
    (c1) 상기 회전 여부 판단 모듈(510)이 판단한 상기 회전판(200)의 정지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 미만인 경우, 회전 횟수 판단 모듈(520)이 상기 회전판 센서(150)가 감지한 상기 회전판(200)의 회전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판(200)의 회전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2) 상기 회전 횟수 판단 모듈(520)이 판단한 상기 회전판(200)의 회전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회전 횟수 판단 모듈(520)이 상기 회전판(200)의 역회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 이후에,
    (d1) 상기 회전판(200)의 역회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 제어 모듈(530)이 상기 동력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판(200)을 역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70144730A 2017-11-01 2017-11-01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4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730A KR102014310B1 (ko) 2017-11-01 2017-11-01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730A KR102014310B1 (ko) 2017-11-01 2017-11-01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168A KR20190049168A (ko) 2019-05-09
KR102014310B1 true KR102014310B1 (ko) 2019-08-26

Family

ID=66545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730A KR102014310B1 (ko) 2017-11-01 2017-11-01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3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417B1 (ko) * 2019-08-26 2020-04-21 (주) 지앤네트웍스 골프공 자동티업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819Y1 (ko) * 1999-09-06 2000-03-15 김강희 스윙연습용 투구장치
KR200256937Y1 (ko) 2001-08-02 2001-12-24 박영철 야구 타격연습기
KR101513152B1 (ko) * 2015-03-09 2015-04-17 김동수 골프공 공급장치
KR200480032Y1 (ko) 2015-11-23 2016-04-05 이미용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KR101709154B1 (ko) * 2016-09-07 2017-02-23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스크린 셔터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4808A (ja) * 1994-09-16 1996-04-02 Taito Corp ボール回収装置
KR20150004108U (ko) * 2014-05-02 2015-11-11 유니원테크주식회사 탁구공 발사장치의 공 투입부
KR20170003039U (ko) * 2016-02-22 2017-08-30 우현권 호퍼형 볼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819Y1 (ko) * 1999-09-06 2000-03-15 김강희 스윙연습용 투구장치
KR200256937Y1 (ko) 2001-08-02 2001-12-24 박영철 야구 타격연습기
KR101513152B1 (ko) * 2015-03-09 2015-04-17 김동수 골프공 공급장치
KR200480032Y1 (ko) 2015-11-23 2016-04-05 이미용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KR101709154B1 (ko) * 2016-09-07 2017-02-23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스크린 셔터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168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0013B1 (en) Pitching machine
JP6307575B2 (ja) スクリーンシャッターを含むスクリーン野球システム
US5195744A (en) Baseball batting practice apparatus with control means
TW440454B (en) Table tennis apparatus
JP5095618B2 (ja) キャッチングマシン
KR102014310B1 (ko)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1730532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이에 이용되는 볼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
KR102014311B1 (ko) 연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1766533B1 (ko) 진동감지를 통한 인/아웃 판정부를 구비하는 테니스 연습장치
JP3053366B2 (ja) ボールゲーム装置
KR101431569B1 (ko) 경품 진열장이 구비되는 게임기
KR102025395B1 (ko) 복수의 센서부를 포함하는 공 이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18959B1 (ko) 야구 피칭 스크린을 구비한 공스피드 및 정확도 측정머신
KR102016695B1 (ko) 본체 내에서 낙하한 공을 배출할 수 있는 공 이송 장치
JPH08332252A (ja) ボールゲーム装置
JP2009273613A (ja) 遊技機
KR101882761B1 (ko) 피칭머신의 볼 투척 안전장치
KR200484614Y1 (ko) 투척구 제공장치
KR102619395B1 (ko) 타구궤적 산출기능을 구비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JP2001190725A (ja) ゲートボールゲーム機
US9330534B2 (en) Game apparatus for discharging free gifts
JP2006006412A5 (ko)
KR102503227B1 (ko) 아동용 신체 및 지능발달 게임 시스템
KR102025396B1 (ko) 사용된 아이템에 따라 피칭 머신이 제어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KR101822397B1 (ko) 스크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