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937Y1 - 야구 타격연습기 - Google Patents

야구 타격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937Y1
KR200256937Y1 KR2020010024236U KR20010024236U KR200256937Y1 KR 200256937 Y1 KR200256937 Y1 KR 200256937Y1 KR 2020010024236 U KR2020010024236 U KR 2020010024236U KR 20010024236 U KR20010024236 U KR 20010024236U KR 200256937 Y1 KR200256937 Y1 KR 200256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throwing
plate
attached
accommod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철
Original Assignee
박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철 filed Critical 박영철
Priority to KR2020010024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9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937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구경기에서 투수가 공을 던져주는 상황과 유사한 조건으로 투구되는 공을 받아치므로 타격연습을 할 수 있는 야구 타격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타격연습기는 모우터축(10)과 벨트(12)와 풀리(14)로 연결된 구동축(20)과, 상기 구동축(20)의 일단에 부착되며 일면에는 내외 측의 원호선상 소정영역에 공급판재(32)와 투척판재(34)의 일부가 부착되는 회전판(30)과, 상기 회전판(30)을 수용하고, 일 측의 소정영역에 개방부(52)를 갖는 구획부재(50)를 부착하여 내부가 제1수용실(54)과 제2수용실(56)로 구획되는 투척안내통(60)과, 상기 투척안내통(60)에 주기적으로 공을 공급하는 공급관(70)과, 공을 주기적으로 투척하는 배출관(8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 간편하고 경제적인 제작을 이루고, 마찰방식이 아닌 투척 식에 의해 공을 제공하므로 공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공의 충격력을 작게 작용하여 공의 수명을 연장하고, 좁은 공간에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여 안정되고 일률적인 투구력을 제공하여 타격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야구 타격연습기{Pitching Machine for Batter Training}
본 고안은 야구 타격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구경기에서 투수가 공을 던져주는 상황과 유사한 조건으로 투구되는 공을 받아치므로 타격연습을 할 수 있는 야구 타격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야구는 과거에 비해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려진 대중적인 스포츠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야구경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운동의 특성상 타격연습이 수반되어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야구의 타격연습은 한 사람이 공을 던져주면 다른 사람이 받아치는 2인 1조의 타격연습이 통상적인 방법이었다.
이러한 타격연습은 항상 2인 1조로 편성되어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혼자서는 타격연습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혼자서 연습할 수 없는 문제를 개선하여 야구공 투척이 가능한 투구기로는 투척부에서 벨트장치를 사용하여 공을 일정속도로 투구함으로써 타격자가 타격연습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나 마찰력이 미흡하므로 단거리의 투구만이 가능할 뿐 먼 거리(통상 야구경기에서 투수의 투구거리)에서의 투구를 이룰 수 없기 때문에 실전과 같은 타격감각을 익힐 수 없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투구거리를 만족하면서 배팅감각을 배양할 수 있는 투구기가 본원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8649호에 의해 소개된바 있다.
상기 투구기는 회전하는 한 쌍의 드럼표면에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주름부를마련하여 야구공을 드럼의 사이에서 주름부의 마찰력으로 소정거리로 투구하여 타격자가 타격 함으로써 혼자서도 타격연습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잦은 마찰투구로 인한 공의 마모상태에 따라 회전하는 드럼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서 항상 일정한 속도의 공을 투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투구될 공은 드럼사이에서 마찰되기 때문에 공의 손상이 일어나 사용수명이 단축될 뿐만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새로운 공을 구입하여 헌 공과 교체하여야 만이 올바른 투구력을 유지하게 되고, 타격자가 만족할 수 있으므로 공의 구입에 따른 비용지출로 비경제적인 사용이 되었다. 또한 회전드럼의 마찰계수는 항상 일률적으로 조정되어 있어서 투구될 공의 마찰상태가 일률적이지 않거나 편 마찰을 이루기 때문에 불규칙적인 투구상태가 되어 불안정한 타격을 이루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8764호를 통해 마찰방식이 아닌 아암구동방식에 의하여 투구할 수 있는 투구기를 제시한 바 있다. 이 투구기는 투구시 공의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공의 수명을 연장함과 동시에 공의 마모상태나 크기와 무관하게 항상 일률적인 속도로 투구가 이루어지며, 또한 우천시에 공의 표면부위에 수분이 함유되더라도 공의 용이한 컨트롤로 자유로운 투구를 이루어 타격 자에 지속적인 공의 배급을 이루어 타격감각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경제적인 공의 사용을 이루게 한다.
그러나 상기의 투구기는 수직 운동하는 투척암이 투척 후 제동수단에 의한 제동력이 미흡하여서 기계적인 부하가 커지기 때문에 기구의 손상이나 이상으로 제사용을 다하지 못하고, 또한 직각운동력을 갖는 투척암은 무스냅상태의 투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투구되는 공이 투구점으로부터 상향되거나 원하는 거리까지 투구되지 못하고 중간에 낙하되므로 타격연습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야구경기시 투수로부터 던져지는 공을 받아치는 상황과 유사한 조건으로 타격연습을 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기계적 마찰이나 부하의 장애가 일어남이 없이 안정되고 지속적인 투구상태를 이루게 함으로써, 타격능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간단한 구조로 경제적인 제작을 이룰 수 있는 야구 타격연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야구 타격연습기에 있어서, 모우터축과 벨트와 풀리로 연결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부착되며 일면에는 내외 측의 원호선상 소정영역에 공급판재와 투척판재의 일부가 부착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수용하고, 일 측의 소정영역에 개방부를 갖는 구획부재를 부착하여 내부가 제1수용실과 제2수용실로 구획되는 투척안내통과, 상기 제2수용실에서 투척안내통의 내면에 부착되는 볼스토크와, 상기 투척안내통에 주기적으로 공을 공급하는 공급관과, 공을 주기적으로 투척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야구 타격연습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판의 공급판재와 투척판재는 상기 투척안내통의 제1수용실과 제2수용실에 각각 수용 배치되어 투입되는 공이 회전 모우멘트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구획부재의 개방부는 130° ∼140° 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판은 공급판재가 부착된 제1원판과, 투척판재가 부착된 제2원판으로 분리하고, 상기 제1원판을 제1회전축에 그리고 제2원판을 제2회전축에 부착하여 각각 구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볼스토크는 하나 이상의 링체가 삼각형태의 단면으로 분배되어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배열된 반원형태의 고정구의 내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타격연습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격연습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타격연습기를 투구상태 작동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투척안내통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모우터축 12 ; 벨트
14 ; 풀리 20 ; 구동축
22 ; 베어링케이스 30 ; 회전판
32,320 ; 공급판재 34,322 ; 투척판재
50 ; 구획부재 52 ; 개방부
54 ; 제1수용실 56 ; 제2수용실
60 ; 투척안내통 66 ; 공급공
70 ; 공급관 80 ; 배출관
300 ; 제1원판 302 ; 제2원판
340 ; 제1회전축 360 ; 제2회전축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타격연습기를 분해하여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격연습기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종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타격연습기의 투구상태를 작동설명도로 도시하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급휠의 개방부 각도를 단순구성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야구 타격연습기는, 모우터축(10)과 벨트(12)와 풀리(14)로 구동축(20)을 연결하고, 상기 구동축(20)에 회전판(30)을 부착하며, 그 회전판(30)을 투척안내통(60)에 수용하여 공급관(70)으로 투입되는 공을 볼스토크(90)로 유도한 후 배출관(80)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투구되도록 한다.
구동축(20)은 모우터축(10)에 벨트(12)와 풀리(14)로 연결되며 안전한 고정과 작동중 유동을 최소화하기 의하여 길이방향의 소정지점에 베어링케이스(22)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20)의 일단에는 회전판(30)이 부착되어 동일방향으로 구동을 이루게 된다.
회전판(30)은 상기 구동축(20)의 일단에 부착되며, 다른 일면에는 내외 측의 원호선상 소정영역에 공급판재(32)와 투척판재(34)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기 공급판재(32)와 투척판재(34)는 적어도 하나이상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공급판재(32)가 수직선상에 배열되면 투척판재(34)는 가로선상에 배열하는 것이 회전모우멘트를 고려하여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판재(320)가 부착된 제1원판(300)과, 투척판재(322)가 부착된 제2원판(302)으로 각각 구성하고, 상기 제1원판(300)은 제1회전축(340)에 부착되고, 상기 제2원판(302)은 제2회전축(360)에 부착하여 별도의 모우터(도시생략)에 의하여 각각 구동되도록 하한다.
투척안내통(60)은 상기 회전판(30)을 수용하고 있으며, 구획부재(50)로 내부를 제1수용실(54)과 제2수용실(56)로 구성하고, 상기 구획부재(50)는 일측의 소정영역에 개방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개방부(52)의 각도는 130° ∼140°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30)의 공급판재(32)는 투척안내통(60)의 제1수용실(54)에, 상기 투척판재(34)는 제2수용실(56)에 수용 배치되어 공급관(70)을 통하여 제1수용실(54) 유입되는 공이 밀어서 제2수용실(56)로 이동시키고, 제2수용실로 옮겨진 공은 볼스토크(90)에 안착된 상태로 제2수용실(56)에 배치되어 있는 투척판재(34)의 밀어내기 위한 회동에 의하여 배출관(80)으로 공을 보냄과 동시에 외부로 투구를 이룬다.
상기 볼스토크(90)는 상기 제2수용실(56)에서 투척안내통(60)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링체(92)가 삼각형태의 단면으로 분배되어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배열된 반원형태의 고정구(94) 내측에 고정되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공이 제2수용실에서 볼스토크(90)로 이동되면 반원부위만이 삼각형태의 단면으로 배열되어 있는 링체(92)와 점접촉되기 때문에 투척판재(34)로 볼을 드리블하면 볼이 자연스럽고 안정되면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링체(92)를 따라 배출관(80)으로 이동된다.
상기 투척안내통(60)의 일측에는 공급공(66)이 마련되어 공급관(70)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공을 공급하고 있으며, 상부에는 기역자형태의 배출관(80)을 일체성 있게 부착하여 공을 주기적으로 투척한다. 또한 배출관(80)은 투척안내통(60)의 원호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결된 공간부를 형성하여 투척판재(34)로 드리블되는 공이 상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배출관(80)을 따라 외부로 투척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야구 타격연습기의 사용 및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야구 타격연습기의 초기 상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우터축(10)에 벨트(12)와 풀리(14)로 구동축(20)이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축(20)의 일단에는 회전판(30)이 부착되고, 회전판(30)은 투척안내통(60)에 수용되어 있다. 이때 회전판(30)의 공급판재(32)는 투척안내통(60)의 제1수용실(54)에 배치되고, 투척판재(34)는 제2수용실(56)에 배치되어 공급관(70)을 통하여 유입된 공이 제1수용실(54)에서 제2수용실(56)을 경유하여 볼스토크(90)에 안내되어 배출관(80)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투척되므로 야구공을 반복적으로 쳐내면서 타격연습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모우터축(10)을 구동하고 공급관(70)에 공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면, 도 3에서와 같이 초기에 공이 투척안내통(60)의 제1수용실(54)에 수용되고 모우터축(10)과 연결되어 회동하는 구동축(20)에 의하여 일체성 있게 회전하는 회전판(30)이 상기 투척안내통(60) 내부에서 회전하고, 회전판(30)의 공급판재(32)가 제1수용실(54)에 투입된 공을 끌고 회전함과 동시에 구획부재(50)의 130° ∼140°를 유지하는 개방부(52)를 통하여 원심력에 의한 공이 외곽으로 내던져지므로 공은 제2수용실(56)로 보내어 진다.
이렇게 제2수용실(56)로 옮겨진 공은 제2수용실(56)의 내면에 링체(92)에 의하여 배열되고 고정구(94)로 조합되어 반원형태로 이루어진 볼스토크(90)에 반원만이 안착되고 있어서 투척판재(34)의 회전력으로 드리블되어 하단에서 상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배출관(80)의 일측에 상부로 높게 개방되어 있는 공간으로 투척되고, 그 원심력에 의한 투척으로 배출관(80)을 경유하며 외부로 일정한 투척력으로 투척되어 타격연습자가 야구공을 반복적으로 쳐내면서 타격연습을 행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회전판(30)을 도 5에서와 같이, 제1원판(300)과 제2원판(302)으로 각각 배치하고 제1원판(300)에는 공급판재(320)가 그리고 제2원판(302)에는 투척판재(322)를 부착하며, 제1회전축(340)과 제2회전축(360)을 각각 배치하여 투척안내통(60)내에서 제1원판(300)과 제2원판(302)이 별개로 회동되게 함으로써, 제1원판(300)과 제2원판(302)에 부착되는 공급판재(320)와 투척판재(322)의 중심에 대한 균형이 조화롭지 못하더라도 공의 이동역할 및 투구역할을 수행하여 안정적인 공의 이동을 이루게 하고 연속적인 투구로 타격연습을 이루게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부재(50)의 개방부(52)가 130° ∼140°로 유지되고 있어서, 공급판재(32)(320)에 의하여 유도되는 공이 구획부재(50)로 구획된 제1수용실(54)로부터 제2수용실(56)로 안전하게 유도되어 옮겨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야구 타격연습용 투구기는 간단한 구조로 제작을 간편하고 경제적이고, 마찰방식이 아닌 투척식에 의해 고무공 내지는 가죽공 등 어떠한 형태의 것을 가리지 않고 공을 투척하여도 공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공의 충격력을 작게 작용하기 때문에 공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또한 좁은 공간에서도 기계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여 안정되고 일률적인 투구력을 제공하여 타격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야구 타격연습기가 제공된다.

Claims (5)

  1. 야구 타격연습기에 있어서;
    모우터축(10)과 벨트(12)와 풀리(14)로 연결된 구동축(20)과;
    상기 구동축(20)의 일단에 부착되며 개방 면에는 내외 측의 원호선상 소정영역에 공급판재(32)와 투척판재(34)의 일부가 부착되는 회전판(30)과;
    상기 회전판(30)을 수용하고, 일 측의 소정영역에 개방부(52)를 갖는 구획부재(56)를 부착하여 내부가 제1수용실(54)과 제2수용실(56)로 구획되는 투척안내통(60)과;
    상기 제2수용실(56)에서 투척안내통(60)의 내면에 부착되는 볼스토크(90)와;
    상기 투척안내통(60)에 주기적으로 공을 공급하는 공급관(70)과, 공을 주기적으로 투척하는 배출관(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 타격연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30)의 공급판재(32)와 투척판재(34)는 상기 투척안내통(60)의 제1수용실(54)과 제2수용실(56)에 각각 수용 배치되어 투입되는 공이 회전모우멘트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 타격연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50)의 개방부(52)는 130° ∼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타격연습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30)은 공급판재(320)가 부착된 제1원판(300)과, 투척판재(322)가 부착된 제2원판(302)으로 분리하고, 상기 제1원판(300)을 제1회전축(340)에 그리고 제2원판(302)을 제2회전축(360)에 부착하여 각각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 타격연습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스토크(90)는 하나 이상의 링체(92)가 삼각형태의 단면으로 분배되어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배열된 반원형태의 고정구(94)의 내측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 타격연습기.
KR2020010024236U 2001-08-02 2001-08-02 야구 타격연습기 KR200256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236U KR200256937Y1 (ko) 2001-08-02 2001-08-02 야구 타격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236U KR200256937Y1 (ko) 2001-08-02 2001-08-02 야구 타격연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937Y1 true KR200256937Y1 (ko) 2001-12-24

Family

ID=73068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236U KR200256937Y1 (ko) 2001-08-02 2001-08-02 야구 타격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93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168A (ko) *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190058094A (ko)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연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168A (ko) *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4310B1 (ko) 2017-11-01 2019-08-26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190058094A (ko)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연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4311B1 (ko) 2017-11-21 2019-08-26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연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8187E1 (en) Puck for use on a non-ice surface
JPS6110715Y2 (ko)
JP4169014B2 (ja) ゴルフ練習用クラブおよびクラブ
US4076263A (en) Ball skate
US4197827A (en) Coacting wheel ball projecting device
CN211132951U (zh) 一种跳远沙坑整理装置
KR100552601B1 (ko) 탁구 연습장치
US7100594B2 (en) Tennis ball serving device
KR200256937Y1 (ko) 야구 타격연습기
US5413545A (en) Training device, especially for downhill skiers
KR200170819Y1 (ko) 스윙연습용 투구장치
KR200259315Y1 (ko) 야구 타격연습기
US20020187848A1 (en) Adjustable golf practice mat
US7494420B1 (en) Sports swing aid
US4195614A (en) Rotatable coacting members for projecting a ball
KR101242025B1 (ko) 골프 퍼팅 연습 장치
CN210728619U (zh) 一种网球训练辅助装置
CN2286059Y (zh) 一种球类运动训练用发球机
KR200167338Y1 (ko) 골프 타격연습기
US5593154A (en) Baseball tethened ball training apparatus
KR200197044Y1 (ko) 타격연습용 투구기
KR200263791Y1 (ko) 레저용 컬링스톤
KR20100038860A (ko) 퍼팅 연습장치
KR20080001279U (ko)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
US20040147337A1 (en) Ground contact pu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