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279U -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 - Google Patents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279U
KR20080001279U KR2020060030000U KR20060030000U KR20080001279U KR 20080001279 U KR20080001279 U KR 20080001279U KR 2020060030000 U KR2020060030000 U KR 2020060030000U KR 20060030000 U KR20060030000 U KR 20060030000U KR 20080001279 U KR20080001279 U KR 200800012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 tennis
tennis ball
ball
launch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보
박철주
박영주
Original Assignee
박준보
박철주
박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보, 박철주, 박영주 filed Critical 박준보
Priority to KR2020060030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279U/ko
Publication of KR200800012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27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6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rotating discs, wheels or pulleys gripping and propelling the balls or bodies by 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4Table games physically beneficial for the human body, modelled on outdoor sports, e.g.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탁구공이 상부에서 하부로 공급되기 때문에 탁구공과 함께 각종 이물질도 유입되면서 탁구공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거나 자중에 의해 탁구공의 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탁구공이 정확한 시점에 공급되지 못하던 종래기술과는 달리 본 고안은 탁구공을 담배꽁초나 기타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는 관을 통해 아래에서 위로 강제로 공급함으로써 담배꽁초나 휴지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이 탁구공의 공급을 방해하지 않고 연습자에 맞게 탁구공의 공급 및 발사속도가 자유자재로 조절될 수 있다.
탁구, 탁구공, 자동 발사, 이물질, 여과.

Description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ping-pong ball automatic shooting apparatus}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3은 도1 및 도2에 개시된 탁구공 공급부의 측면도이다.
도4는 도1 및 도2에 개시된 탁구공 공급부의 주요부분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도1 및 도2에 개시된 탁구공 공급부의 주요부분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도1 및 도2에 개시된 탁구공을 공급하는 과정을 탁구공 공급부의 단면도이다.
도7은 도1 및 도2에 개시된 탁구공 발사부의 사시도이다.
도8은 도1 및 도2에 개시된 탁구공 발사부의 측면도이다.
도9는 도1 및 도2에 개시된 탁구공 발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0 내지 도12는 모터의 구동으로 탁구공의 발사방향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13 내지 도16은 조절관을 각도를 조절하여 탁구공에 스핀을 부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17 및 도18은 탁구공의 발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탁구공 발사부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4, 20 : 모터 12 : 공급관
13 : 롤러 15 : 케이스
16 : 수거함 17 : 연결관
18 : 톱니바퀴 19 : 제어박스
21 : 발사관 22 : 조절관
23, 27 : 가이드 홈 24 : 프레임
25, 36 : 브라켓 26 : 바퀴
28 : 캡 29 : 고정 뭉치
30 : 고정 링크 31 : 가동 링크
32, 33, 34, 37 : 고정 밴드 35 : 커버
38 : 스프링 관
본 고안은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탁구공을 담배꽁초나 기타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는 연결관을 통해 아래에서 위로 강제로 공급하여 담배꽁초나 휴지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이 탁구공의 공급을 방해하지 않고 연습자에 맞게 탁구공의 공급 및 발사속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탁구는 구기 종목 중 가장 작고 가벼운 공을 가지고 테이블(탁구대) 위에서 상대방과 함께 탁구공을 튕겨 겨루는 운동 종목으로서 탁구공이 매우 작고 가벼우므로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연습을 통해 각종 기술을 습득하고 숙련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대방과의 지속적인 경기 또는 상대방이 지속적으로 탁구공을 서브해 주어야 연습 또는 훈련이 가능하다.
즉, 탁구는 반드시 상대방이 있어야 할 수 있는 스포츠이므로 개인연습 또는 훈련이나 운동의 목적으로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반드시 상대방을 필요로 한다. 또한 그 상대방의 서브 또는 패싱은 매번 동일한 각도 및 힘으로 제공되는 아니라 상대방의 기술 및 체력에 따라 불규칙하게 공급 및 제공되므로 반복 훈련을 통한 기술습득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훈련량도 늘어난다.
또한 일정량의 탁구공을 가지고 연습을 하는 경우 준비된 탁구공을 모두 소진하게 되면 바닥에 떨어진 탁구공을 수거하여 다시 연습하게 되므로 연습의 지속성이 떨어지고 훈련시간이 길어진다.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86-0007941호(1986. 11. 10. 공개)의 '탁구공 서브장치'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1990-0005572호(1990. 06. 22. 공고)의 '볼 송구장치',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0088990호(2002. 11. 29. 공개)의 '탁구 연습장치' 및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0049135호(2004. 06. 11. 공개)의 '탁구 연습장치' 등에서 볼 수 있다.
여기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86-0007941호에 개시된 '탁구공 서브장치'는 하나의 단부에 서브 헤드와 다른 단부에 있는 공 유입구와 서브 헤드와 공 유입구를 상호 연결하는 공 공급통로를 가진 공 수용부와, 공 공급통로에 공을 공급하기 위한 공 공급기구와, 서브 헤드로부터 공을 서브하기 위한 공 서브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조절 가능한 비율로 궤도로 경사자에게 다수의 탁구공을 연속적으로 서브하고, 재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1990-0005572호에 개시된 '볼 송구장치'는 무단 압력 조절밸브에 의해 공기압을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볼의 속도와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마찰 판에 의해 볼의 스핀을 주어 커브볼을 구사할 수 있으므로 볼 타구의 연습을 충분히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0088990호에 개시된 '탁구 연습장치'는 탁구공을 토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연습할 때 공에 걸리는 스핀의 정도는 물론이고, 그 방향 및 토출 방향 등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트레이닝이 가능하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0049135호에 개시된 '탁구 연습장치'는 탁구공을 공급하는 호퍼와 발사대 및 조절수단으로 구성되어 탁구공에 다양한 회전력을 주어 구질을 변화시킴으로써 효과적인 기술습득을 가능케 하고, 하우징을 회전시키며 탁구대 전체에 고루 탁구공을 발사 공급함으로써 운동량을 배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탁구공을 상부에서 하부로 공급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데, 이는 탁구공과 함께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이물질로 인하여 탁구공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탁구공의 공급이 탁구공의 자중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탁구공이 정확한 시점에 공급되지 못하기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담배꽁초나 휴지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이 탁구공의 공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연습자에 맞게 탁구공의 공급 및 발사속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는, 탁구공을 수거하여 공급하는 탁구공 공급부와, 상기 탁구공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탁구공을 하나 혹은 두 개의 롤러에 의해 발사하는 탁구공 발사부를 포함하는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탁구공 공급부는, 케이스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탁구공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함과 탁구공을 이송하기 위한 공급관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수거함과 공급관을 연결하기 위한 U자 형상의 연결관이 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는 모터와 연동해서 탁구공을 강제 이송시키기 위한 톱니바퀴의 일부가 내입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탁구공 발사부는, 상기 공급관의 상부에 원호형으로 절곡된 발사관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발사관의 전방에 조절관이 회전 가능하 도록 결합되며, 상기 공급관의 상부에 고정된 모터가 상기 발사관의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발사관 하부에 고정된 링크가 결합되며, 상기 발사관의 상하에 형성된 가이드 홈 내에 롤러의 일부가 내입되도록 롤러와 모터가 조절관에 고정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조절관과 모터 및 롤러의 전방에 연습자가 친 탁구공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부재의 커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가이드 홈에 내입되어 탁구공을 강제 이송시키기 위한 톱니바퀴가 하나 또는 두 개의 톱니바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의 상부에 고정된 모터 축에 고정 뭉치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 뭉치의 상부에 편심지게 일측 단부가 결합된 가동링크의 단부가 상기 발사관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링크의 단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조절관의 회전에 의한 상기 롤러의 위치 조정으로 상기 조절관으로부터 발사되는 탁구공의 컷 방향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습과정에서 연습자가 친 탁구공을 수거하고 모터(11)의 동력으로 수거된 탁구공을 공급관(12)을 통해 탁구공 발사대(200)로 강제로 공급하는 탁구공 공급부(100)와, 이 탁구공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탁구공을 모터(14)에 연동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롤러(13)의 회전력에 의해 발사하는 탁구공 발사부(2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탁구공 공급부(100)는 케이스(15)의 상부에 연습과정에 있는 탁구공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함(16)과 탁구공을 이송하기 위한 공급관(12)이 결합되고, 케이스(15) 내부에 수거함(16)과 공급관(12)을 연결시켜 수거함(16)에 모아진 탁구공이 공급관(12)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연결관(17)이 내장되며, 이 연결관(17)에는 모터(11)의 회전력에 의해 탁구공을 강제 이송시키기 위한 톱니 바퀴(18)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케이스(15) 내부에는 탁구공을 강제로 이송시키기 위한 모터(11)와 발사관(21)을 일정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0) 및 탁구공을 발사시키는 모터(14) 등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박스(19)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탁구공 발사부(200)는 공급관(12)을 타고 올라오는 탁구공을 탁구대에 발사하는 부분으로서 공급관(12)의 상부에 원호형상으로 절곡된 발사관(2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발사관(21)의 전단에 롤러(13)와 모터(14)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관(22)이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발사관(21)의 절곡곡선은 탁구공의 이송이 가능한 정도이어야 함은 물론이고 발사관(21)의 단부가 전방을 향하여야 한다.
또한 발사관(21)의 하단부에 링크 결합되어 발사관(21)을 일정각도만큼만 반복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0)가 공급관(12)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 고 조절관(22)의 상하 또는 좌우에 천공된 가이드 홈(23)에 롤러(13)가 각각 배치되는데, 이 롤러(13)는 조절관(22)에 고정 설치된 모터(14)에 연동해서 회전한다.
여기서, 케이스(15)의 양측이 개폐 가능한 커버로 이루어짐으로써 케이스(15) 내부의 구성요소를 수리하거나 관리하기가 용이하다.
도3 내지 도6은 상기한 탁구공 공급부(100)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5) 상부에는 탁구공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함(16)과 탁구공을 탁구공 발사부(200)로 강제 이송하기 위한 공급관(12)이 위치하고, 케이스(15) 내부의 일측에는 각종 모터(11)(14)(20)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 등을 조절하여 탁구공의 발사속도와 탁구공의 발사방향 및 발사되는 탁구공의 스핀 정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박스(19)가 위치하고, 다른 일측에는 H자 형상의 프레임(24)이 위치하고 있다. 케이스(15)의 저면에는 탁구공 공급부(100)와 탁구공 발사부(200)를 포함하는 탁구공 발사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바퀴(26)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4)의 상부에는 U자 형상의 연결관(17)이 올려져 있는데, 이 연결관(17)은 케이스(15) 상부에 위치한 수거함(16)으로부터 유입되는 탁구공이 공급관(12)을 타고 위로 올라갈 수 있도록 이송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관(17)의 하부에는 가이드 홈(2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가이드 홈(23)은 수거함(16)으로부터 탁구공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 역할도 하고, 탁구공을 강제로 이송시키기 위한 톱니바퀴(18)가 결합되는 공간이다.
상기 톱니바퀴(18)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탁구공의 외경에 맞는 원호형의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것으로서 브라켓(25)에 의해 케이스(15)의 저면에 고정된 모터(11)에 연동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연결관(17)을 타고 수거함(16)에서 공급관(12)으로 이송되는 탁구공을 순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4에서는 탁구공을 강제 이송시키기 위한 톱니 바퀴(18)가 하나인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5에서와 같이 2개의 톱니바퀴(18)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탁구공이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관(17)을 타고 탁구공 발사부(200)로 이송되게 된다.
도6에 의해 수거함(16)에 담겨진 탁구공이 연결관(17)과 공급관(12)을 통해 탁구공 발사부(200)로부터 이송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연습과정에서 탁구대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수거함(16)에 모아진 탁구공은 자중에 의해 연결관(17) 내로 들어간다. 이렇게 연결관(17)에 들어온 탁구공은 모터(11)와 함께 회전하는 톱니바퀴(18)에 의해 연결관(17)에 연결된 공급관(12) 쪽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때 탁구공과 함께 연결관(17)으로부터 들어온 담배꽁초나 휴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연결관(17)의 저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2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탁구공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걸리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연습자는 자기의 실력이나 체력에 맞게 모터(11)와 톱니바퀴(18)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탁구공의 공급속도 즉, 탁구공의 발사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7 및 도8은 도1 및 도2에 개시된 탁구공 발사부(200)를 보인 것으로서 수직으로 서 있는 공급관(12)을 타고 탁구공 공급부(100)로부터 올라오는 탁구공을 탁구대에 발사하기 위해, 공급관(12)의 상부에는 전방을 향하도록 원호형상으로 절곡된 발사관(2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발사관(21)의 전단에는 롤러(13)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관(22)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공급관(12)의 상부에는 발사관(21)을 일정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0) 등이 설치되고, 조절관(22)의 상하 또는 좌우에는 공급관(12)과 발사관(21) 그리고 조절관(22)을 타고 이송되는 탁구공을 전방으로 발사하기 위한 롤러(13)가 모터(14)와 함께 고정 설치되어 있다.
도7 및 도8에서 언급한 탁구공 발사부(200)에 대해 도9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탁구공을 발사하기 위한 경로는 수직으로 서 있는 공급관(12)의 상부에 원호형으로 절곡된 발사관(21)이 결합되고, 이 발사관(21)의 전방에 조절관(22)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특히, 발사관(21)과 조절관(22)이 공급관(12)과 발사관(21)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탁구공의 발사방향이 조절 가능하다.
상기 발사관(21)은 공급관(12)의 길이방향 중심에 있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범위만을 반복 회전하면서 탁구공을 전방으로 이송하는데, 이를 위해 공급관(12)의 상부에 캡(28)에 내장된 모터(20)가 고정밴드(33)(34)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이 모터(20) 축에는 원통 형상의 고정 뭉치(29)가 결합되며, 이 고정 뭉치(29)의 상부에 일측 단부가 편심지게 결합된 구동 링크(31)의 타측 단부와 발사 관(21)의 하단부에 고정밴드(32)에 의해 고정된 고정 링크(30)의 단부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어 있다. 물론, 고정 뭉치(29) 상부에 편심지게 결합된 구동 링크(31)의 일측 단부 역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즉, 도10 내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20)의 회전력이 고정 뭉치(29)를 거쳐 고정 뭉치(29)의 상부에 편심지게 배치된 구동 링크(31)에 전달되고, 이 힘이 다시 고정 링크(30)를 통해 발사관(21)에 전달되므로 도면에서와 같이 모터(20)의 회전에 따라 발사관(21)이 일정각도 범위 내를 반복해서 회전하므로 탁구공을 여러 방향으로 발사할 수 있다.
특히, 탁구공 발사장치의 일부분만의 회전시킴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탁구공의 발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발사관(21)과 함께 탁구공의 이송 즉, 탁구공의 발사경로를 형성하는 조절관(22)의 상하부에는 롤러(13)가 탁구공에 닿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홈(27)이 형성되고, 조절관(22)의 측면에는 모터(14)와 롤러(1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36)이 부착되며, 이 브라켓(36)에는 두 대의 모터(14)에 고정밴드(3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모터(14)와 연동하는 롤러(13)의 일부가 가이드 홈(27)을 통해 조절관(22) 내로 내입되어 있으므로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탁구공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탁구공이 공급관(12)과 발사관(21)을 경유하여 조절관(22)의 두 롤러(13) 사이를 통과하는 순간 모터(14)와 연동하는 롤러(13)의 회전력을 받아 더욱 빠르게 발사되게 된다. 또한, 도18은 발사관의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서 발사관이 금속이나 기타 관으로 구성되지 않고 경로 변형이 자유로운 스프링 관(38)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도면에서와 같이 발사관 즉, 스프링 관(38)으로부터 발사되는 탁구공의 발사각도를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다.
여기서, 상하로 배치된 두 개의 롤러(13)는 회전속도에 차이를 줌으로써 탁구공에 스핀을 부여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롤러(13)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거나 혹은 상부나 하부에 위치한 롤러(13)가 더 빠르게 회전하는 등 롤러(13)의 회전속도에 따라 발사관(21)과 조절관(22)으로부터 발사되는 탁구공은 직진 또는 상부 컷 혹은 하부 컷을 부여한 것과 같은 스핀을 갖는다.
특히, 도13 내지 도16에서와 같이 롤러(13)의 위치를 상하로 한정하지 않고 좌우나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탁구공에 부여되는 컷의 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절관(22)과 모터(14) 및 롤러(13)의 전방에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커버(35)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연습자가 친 탁구공이 조절관(22)이나 모터(14) 및 롤러(13)에 맞고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탁구공이 상부에서 하부로 공급되기 때문에 탁구공과 함께 각종 이물질도 유입되면서 탁구공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거나 자중에 의해 탁구공의 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탁구공이 정확한 시점에 공급되지 못하던 종래기술과는 달리 본 고안은 탁구공을 담배꽁초나 기타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는 관을 통해 아래에서 위로 강제로 공급함으로써 담배꽁초나 휴지 등과 같은 각종 이 물질이 탁구공의 공급을 방해하지 않고 연습자에 맞게 탁구공의 공급 및 발사속도가 자유자재로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탁구공을 수거하여 공급하는 탁구공 공급부와, 상기 탁구공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탁구공을 하나 혹은 두 개의 롤러에 의해 발사하는 탁구공 발사부를 포함하는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탁구공 공급부는, 케이스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탁구공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함과 탁구공을 이송하기 위한 공급관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수거함과 공급관을 연결하기 위한 U자 형상의 연결관이 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는 모터와 연동해서 탁구공을 강제 이송시키기 위한 톱니바퀴의 일부가 내입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탁구공 발사부는, 상기 공급관의 상부에 원호형으로 절곡된 발사관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발사관의 전방에 조절관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공급관의 상부에 고정된 모터가 상기 발사관의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발사관 하부에 고정된 링크가 결합되며, 상기 발사관의 상하에 형성된 가이드 홈 내에 롤러의 일부가 내입되도록 롤러와 모터가 조절관에 고정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관과 모터 및 롤러의 전방에 연습자가 친 탁구공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부재의 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가이드 홈에 내입되어 탁구공을 강제 이송시키기 위한 톱니바퀴가 하나 또는 두 개의 톱니바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의 상부에 고정된 모터 축에 고정 뭉치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 뭉치의 상부에 편심지게 일측 단부가 결합된 가동링크의 단부가 상기 발사관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링크의 단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관의 회전에 의한 상기 롤러의 위치 조정으로 상기 조절관으로부터 발사되는 탁구공의 컷 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
KR2020060030000U 2006-11-20 2006-11-20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 KR200800012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000U KR20080001279U (ko) 2006-11-20 2006-11-20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000U KR20080001279U (ko) 2006-11-20 2006-11-20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279U true KR20080001279U (ko) 2008-05-23

Family

ID=4929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000U KR20080001279U (ko) 2006-11-20 2006-11-20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27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3272A (zh) * 2019-03-28 2019-05-28 苏州聚慧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乒乓球全自动偏心检测系统
CN111135544A (zh) * 2020-03-05 2020-05-12 河北沐耘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乒乓球辅助教学系统设备及使用方法
CN112090049A (zh) * 2020-09-23 2020-12-18 河南医学高等专科学校 乒乓球训练机器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3272A (zh) * 2019-03-28 2019-05-28 苏州聚慧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乒乓球全自动偏心检测系统
CN109813272B (zh) * 2019-03-28 2023-11-03 苏州聚慧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乒乓球全自动偏心检测系统
CN111135544A (zh) * 2020-03-05 2020-05-12 河北沐耘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乒乓球辅助教学系统设备及使用方法
CN112090049A (zh) * 2020-09-23 2020-12-18 河南医学高等专科学校 乒乓球训练机器人
CN112090049B (zh) * 2020-09-23 2022-02-15 河南医学高等专科学校 乒乓球训练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7840B1 (ko) 복합놀이 시스템 및 놀이 구조물
CA2111582C (fr) Appareil electromecanique d'entrainement pour lancer des ballons, notamment de football
US6264202B1 (en) Dry interactive play structure having recirculating play media
US7553244B2 (en) Ball receiving and launching machine
CA2250647C (en) Pneumatic ball tossing device
US20070129181A1 (en) Air actuated soft toss batting practice apparatus
KR101760132B1 (ko) 배드민턴 셔틀콕 다방향 자동발사장치
CN110280006B (zh) 一种乒乓球训练抛射发球机
WO1997006867A9 (en) Interactive play structure
KR101227618B1 (ko) 배드민턴 연습기
KR20080001279U (ko)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
CN115054893A (zh) 一种移动式网球自动收集器
EP0306557A2 (en) Gattling-like gun
KR20150146137A (ko) 공 자동 발사 장치
KR20140083222A (ko) 배드민턴 자동연습장치
CN113457104B (zh) 一种乒乓球击打训练用发球设备
KR20120021465A (ko) 축구공 슈팅 게임장치
US5927262A (en) Ball control device for pitchback machines
KR102095682B1 (ko) 배드민턴 셔틀콕 슈팅장치
KR101109680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901786B1 (ko) 정구공 발사장치
KR200282886Y1 (ko)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
KR200332244Y1 (ko) 스쿼시 볼 자동 발사장치
KR101411414B1 (ko) 야구 게임기
CN216061951U (zh) 一种乒乓球训练用发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