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532B1 -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이에 이용되는 볼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이에 이용되는 볼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532B1
KR101730532B1 KR1020160073154A KR20160073154A KR101730532B1 KR 101730532 B1 KR101730532 B1 KR 101730532B1 KR 1020160073154 A KR1020160073154 A KR 1020160073154A KR 20160073154 A KR20160073154 A KR 20160073154A KR 101730532 B1 KR101730532 B1 KR 101730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golf
golf ball
block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광석
김민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프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프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프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63D visua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가상의 골프 플레이, 특히 퍼팅을 하는 경우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이 이동하면서 가상의 볼이 시뮬레이션 되고 있는 영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타격된 후 골프공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가상의 그린 상에서 이루어지는 퍼팅에 대한 리얼리티를 크게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도록 할 수 있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이에 이용되는 볼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이에 이용되는 볼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APPARATUS FOR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FOR BALL-BLOCKING USED FOR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이에 이용되는 볼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을 통해 영상 구현되는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사용자가 타격한 볼에 대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볼 궤적의 시뮬레이션 영상을 구현함으로써 가상의 공간에서 골프 라운드 또는 골프 연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와 이에 이용되는 볼 차단장치, 그리고 상기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프 인구가 증가하면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연습 및 가상의 골프 라운드를 즐길 수 있는 이른바 스크린 골프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실내에 가상 골프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스크린을 설치하고, 골퍼가 골프공을 상기 스크린을 향해 타격을 하면 골프공의 속도, 방향 등을 감지하여 상기 스크린상에 골프공의 진행을 표시해주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의해 구현이 될 수 있는데, 단순히 실내에서 즐기는 골프 게임의 수준을 넘어 현실의 골프장에서의 골프 라운드를 하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측면에서 기술적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통상적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사용자가 볼을 타격하는 전방에 설치된 스크린을 통해서만 가상의 골프코스 및 그 가상의 골프코스에서의 볼 궤적의 시뮬레이션 영상 구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제 골프장에서 골프 라운드를 하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 스크린 골프를 즐기는 사용자에게 더 큰 리얼리티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전방에 설치된 스크린 뿐만 아니라 스크린과 타석 사이의 바닥 부분에도 영상을 구현하도록 하는 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특허출원 제10-2009-0043833호(입체 영상을 이용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일본공개실용신안 제1991-046376호(골프 플레이 장치),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4-334145호(화면을 입체로 구성하여 공간을 표시하는 방법) 등의 문헌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문헌들은 단순히 전방의 스크린과 바닥의 스크린에 각각 영상을 출력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을 뿐이므로, 기존에 전방의 스크린에 대해서만 영상 구현되던 것을 전방 스크린 및 바닥 스크린으로 확장하여 영상 구현되도록 한 것만 가지고는 가상의 골프 게임을 함에 있어 실제 골프장에서 골프 라운드를 하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주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사용자가 퍼팅을 할 때, 퍼팅된 골프공이 바닥 스크린 상으로 진입하게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바닥 스크린 상에서 가상의 볼이 이동하는 영상이 구현되는 경우 상기 바닥 스크린 상에서 가상의 볼이 이동하는 영상이 구현되면서도 실제 골프공이 바닥 스크린 상을 굴러가게 되기 때문에 퍼팅에 대한 리얼리티를 상당히 저하시키고, 특히 실제 골프공과 시뮬레이션 되고 있는 가상의 볼이 서로 다른 경로로 이동하게 되면 상당히 큰 이질감이 생길 수밖에 없는 등 부정적인 영향이 상당히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가상의 골프 플레이, 특히 퍼팅을 하는 경우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이 이동하면서 가상의 볼이 시뮬레이션 되고 있는 영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타격된 후 골프공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가상의 그린 상에서 이루어지는 퍼팅에 대한 리얼리티를 크게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도록 할 수 있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이에 이용되는 볼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함에 따라 운동하는 골프공에 대한 센싱 정보를 산출하는 센싱장치; 가상의 그린에 대한 영상 및 상기 사용자의 퍼팅에 따라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의 그린에서 가상의 볼이 이동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구현을 위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시뮬레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퍼팅을 위하여 상기 골프공이 놓이는 타격매트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퍼팅함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골프공의 진행을 차단하는 볼 차단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가 골프공을 퍼팅하는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스크린 및 상기 사용자의 퍼팅이 이루어지는 타석과 상기 전방 스크린 사이의 바닥에 구비되는 바닥 스크린에 상기 시뮬레이터에 의해 처리된 영상을 전달받아 각각 출력하여 상기 전방 스크린 및 바닥 스크린에 상기 가상의 그린 및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볼 차단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퍼팅함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골프공의 진행을차단하여 상기 바닥 스크린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타격매트와 상기 바닥 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차단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퍼팅에 의해 이동하는 골프공을 차단하여 상기 타격매트로 골프공을 공급하는 볼 공급장치로 골프공을 이송시키는 볼 회수장치로 상기 차단된 골프공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차단장치는, 상기 타격매트보다 상향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볼 차단부와, 상기 타격매트로 골프공을 공급하는 볼 공급장치로 골프공을 이송시키는 볼 회수장치로 상기 볼 차단부에 의해 차단된 골프공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볼회수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차단장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사용자의 퍼팅 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타격매트보다 상향 돌출되도록 구동되어 상기 퍼팅에 의해 이동하는 골프공을 차단하는 볼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격매트의 전방의 바닥에 매설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상단의 개구부를 개폐하며 개방시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을 차단하는 볼 차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볼 차단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차단부는, 차단커버와, 상기 차단커버의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과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된 골프공이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볼차단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차단부는,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차단커버와, 상기 차단커버의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과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된 골프공이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볼차단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상기 타격매트로 골프공을 공급하는 볼 공급장치로 골프공을 이송시키는 볼 회수장치로 상기 차단된 골프공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볼회수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차단장치는,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그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볼 차단부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차단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센싱장치의 상기 골프공에 대한 감지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골프공의 타격에 따라 상기 센싱장치가 상기 센싱 정보를 얻기 위한 센싱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볼 레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단 제어부는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상기 볼 레디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볼 차단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차단장치는,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그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볼 차단부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차단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따른 골프 게임의 진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퍼팅을 할 차례가 된 경우, 상기 차단 제어부로 상기 볼 차단부의 개방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단 제어부는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상기 볼 차단부의 개방 신호를 전달받기 전까지는 상기 볼 차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폐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볼 차단부의 개방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볼 차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차단장치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볼 차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볼 차단부에 의해 차단된 골프공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골프공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볼 차단부가 상기 하우징 상단을 개방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볼 차단부에 의해 차단된 골프공을 상기 골프공 감지센서가 감지한 경우, 상기 구동부가 동작하여 상기 볼 차단부가 상기 하우징 상단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가 골프공을 퍼팅하는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스크린 및 상기 사용자의 퍼팅이 이루어지는 타석과 상기 전방 스크린 사이의 바닥에 구비되는 바닥 스크린에 상기 가상의 그린 및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이 구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퍼팅에 의해 이동하는 골프공을 차단하여 상기 타격매트로 골프공을 공급하는 볼 공급장치로 골프공을 이송시키는 볼 회수장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타석과 상기 바닥 스크린 사이에 구비되는 볼 회수로를 따라 이동하는 골프공이 상기 볼 회수장치에 의해 회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볼 차단장치는, 상기 볼 회수로와 상기 바닥 스크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퍼팅함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골프공을 차단하여 상기 볼 회수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차단장치는, 상기 볼 회수로와 상기 바닥 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타격매트보다 상향 돌출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을 차단하는 볼 차단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 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볼 차단부에 의해 차단된 골프공이 상기 볼 회수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사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 바닥부는, 상기 바닥 스크린 쪽에서 상기 볼 회수로 쪽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1 경사 및 상기 볼 회수로의 경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제2 경사의 이중 경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차단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골프공을 퍼팅하는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스크린 및 상기 사용자의 퍼팅이 이루어지는 타석과 상기 전방 스크린 사이의 바닥에 구비되는 바닥 스크린에 출력되는 가상의 그린 및 상기 가상의 그린 상에서의 시뮬레이션 영상을 구현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이용되는 볼 차단장치로서, 상기 사용자의 퍼팅을 위하여 상기 골프공이 놓이는 타격매트와 상기 바닥 스크린 사이의 바닥에 매설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상단의 개구부를 개폐하며 개방시 상기 사용자의 퍼팅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골프공의 진행을 차단하는 볼 차단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볼 차단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차단부는,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차단커버와, 상기 차단커버의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과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된 골프공이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볼차단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상기 타격매트로 골프공을 공급하는 볼 공급장치로 골프공을 이송시키는 볼 회수장치로 상기 차단된 골프공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볼회수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 스크린과 상기 타격매트 사이에 상기 타격매트로 골프공을 공급하는 볼 공급장치로 골프공을 이송시키는 볼 회수장치 쪽으로 골프공이 이동할 수 있도록 볼 회수로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볼 회수로와 상기 바닥 스크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 바닥에는 상기 볼 차단부에 의해 차단된 골프공이 상기 볼 회수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사 바닥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 일측에 상기 경사 바닥부로 이동된 골프공이 상기 볼 회수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통되는 연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 바닥부는, 상기 바닥 스크린 쪽에서 상기 볼 회수로 쪽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1 경사 및 상기 볼 회수로의 경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제2 경사의 이중 경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격매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타격매트에서 퍼팅된 골프공이 상기 볼 회수로를 건너 상기 하우징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골프공을 퍼팅하는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스크린 및 상기 사용자의 퍼팅이 이루어지는 타석과 상기 전방 스크린 사이의 바닥에 구비되는 바닥 스크린에 각각 영상을 출력하여 상기 전방 스크린 및 바닥 스크린에 상기 사용자의 퍼팅에 따른 시뮬레이션 영상을 구현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퍼팅하기 전에 또는 퍼팅을 함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골프공이 놓이는 타격매트와 상기 바닥 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볼 차단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사용자의 퍼팅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골프공의 진행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에 대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구현되는 가상의 그린에서 가상의 볼이 이동하는 시뮬레이션 영상이 상기 바닥 스크린에 출력되는 영상 상에서 구현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정보를 산출하는 센싱장치의 상기 골프공에 대한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센싱장치가 상기 센싱 정보를 얻기 위한 센싱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볼 레디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볼 차단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사용자의 퍼팅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골프공의 진행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볼 레디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이 상기 바닥 스크린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볼 차단장치의 볼 차단부를 상기 타격매트보다 상향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의 진행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정보를 산출하는 센싱장치의 상기 골프공에 대한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센싱장치가 상기 골프공이 타격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볼 차단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사용자의 퍼팅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골프공의 진행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장치가 상기 골프공의 타격을 감지한 경우,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이 상기 바닥 스크린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볼 차단장치의 볼 차단부를 상기 타격매트보다 상향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의 진행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따른 골프 게임의 진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퍼팅을 할 차례가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볼 차단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사용자의 퍼팅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골프공의 진행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퍼팅을 할 차례가 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이 상기 바닥 스크린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볼 차단장치의 볼 차단부를 상기 타격매트보다 상향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의 진행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차단장치는 상기 차단된 골프공을 감지하는 골프공 감지센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볼 차단장치가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차단된 골프공을 상기 골프공 감지센서가 감지한 경우, 상기 볼 차단장치가 원래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차단장치가 구동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볼 차단장치가 원래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이에 이용되는 볼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가상의 골프 플레이, 특히 퍼팅을 하는 경우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이 이동하면서 가상의 볼이 시뮬레이션 되고 있는 영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타격된 후 골프공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가상의 그린 상에서 이루어지는 퍼팅에 대한 리얼리티를 크게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차단장치를 구비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차단장치의 외관 및 구동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차단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I-I 단면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차단장치의 구성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이에 이용되는 볼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는, 시뮬레이터(100), 센싱장치(200), 영상출력장치(300), 그리고 볼 차단장치(5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골프 플레이 공간(GS)에 사용자가 골프 스윙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타석(SP) 및 사용자가 스윙하는 골프클럽이 타격할 골프공이 놓이는 타격매트(SM)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 스크린(101)과 상기 전방 스크린(101)과 타석(SP) 사이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 스크린(102)에 대해 적용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상의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영상출력장치(300)는 하나의 영상출력기로 구비되어 상기 전방 스크린(101) 및 바닥 스크린(102)에 동시에 영상을 투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영상출력기의 내부에서 전방 스크린(101)으로 출력되는 영상과 바닥 스크린(102)으로 출력되는 영상을 동시에 투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전방 스크린(101)에 영상을 출력하는 제1 영상출력기(310) 및 바닥 스크린(102)에 영상을 출력하는 제2 영상출력기(320)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영상출력기(310)는 상기 전방 스크린(101)에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영상출력기(320)는 상기 바닥 스크린(102)에 영상을 출력하여, 상기 전방 스크린(101)의 출력 영상과 바닥 스크린(102)의 출력 영상이 전체로서 하나의 단일한 가상 골프를 위한 영상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방 스크린(101)과 바닥 스크린(102)은, 도면상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적어도 가로 길이는 서로 동일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방 스크린(101)과 바닥 스크린(102)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스크린으로써 구비될 수도 있고 각각의 스크린으로써 구비될 수도 있는데, 각각의 스크린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영상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단일한 영상으로 보이도록 함이 바람직하므로, 적어도 전방 스크린(101)과 바닥 스크린(102)은 적어도 가로 길이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영상출력기(310) 및 제2 영상출력기(320) 각각이 출력하는 영상은 상기 시뮬레이터(100)에서 영상처리되어 생성된 영상이 분할되어, 분할된 하나의 영상이 제1 영상출력기(310), 그리고 분할된 다른 하나의 영상이 제2 영상출력기(320)로 각각 전송됨으로써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부(150), 저장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골프 플레이를 할 가상의 골프코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팅이 이루어지는 가상의 그린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각 스크린에 출력되도록 하며, 사용자가 타석(SP)에서 골프공을 타격함에 따라 센싱장치(200)가 그 타격된 골프공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산출한 센싱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기초로 가상의 볼이 이동하는 시뮬레이션 영상을 구현하여 상기 각 스크린에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저장부(1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동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며, 가상의 골프코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상의 그린(GR)에 대한 영상구현을 위한 영상 데이터 등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가상의 골프코스 영상 구현에 관한 데이터가 서버(미도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의 골프코스의 영상 구현에 관한 데이터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되어 시뮬레이터(100)로 전송되면서 그 전송받은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160)에 일시 저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저장부(150) 또는 서버(미도시)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로써 가상의 골프코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상의 그린(GR)에 관한 영상, 볼의 이동 영상 및 메뉴 선택을 위한 영상 등 모든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관련 영상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70)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을 위한 각종 연산과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 등을 담당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상기 제어부(170)는 가상의 골프코스에 관한 영상이나 가상의 볼이 이동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등 상기 각 영상출력장치(310, 320)를 통해 출력될 영상이 상기 영상처리부(150)에 의해 생성되도록 하고 이를, 상기 제1 영상출력기(310)를 통해 출력될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출력기(320)를 통해 출력될 제2 영상으로 분할하도록 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에 의해 영상 처리가 이루어지면, 상기 제1 영상 또는 이에 대해 소정의 영상처리가 된 영상이 제1 영상출력기(310)로 전송되어 전방 스크린(101)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영상 또는 이에 대해 소정의 영상처리가 된 영상이 제2 영상출력기(320)로 전송되어 바닥 스크린(102)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센싱장치(200)는 사용자의 골프 스윙에 따라 골프클럽 및 볼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을 센싱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센싱장치(200)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이 가능한데, 적외선을 발광하여 사용자가 볼을 타격할 때 운동하는 골프 클럽 헤드 및 볼에 의해 적외선이 반사되는 것을 수광하여 이를 분석함으로써 센싱이 이루어지는 적외선 센서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레이저를 발사하여 운동하는 골프 클럽의 헤드 및 볼이 이를 차단하는 것을 감지하여 분석함으로써 센싱이 이루어지는 레이저 센서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골프 클럽을 스윙하여 볼을 타격하는 것에 대한 이미지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센싱이 이루어지는 이미지 센서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센싱장치(200)는 이미지 센서 방식으로 구현됨으로써 다른 형태의 센서 방식보다 더 많은 것을 감지할 수 있는데, 예컨대 타석 부분의 이미지를 취득하여 타격매트(SM) 상의 어느 위치에 골프공이 놓여 있는지, 그리고 그 놓여 있는 골프공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타격할 준비를 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동작까지도 감지하여 사용자가 타석에 들어섰는지 타석에서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있는지 없는지 등을 통해 타격 준비를 하고 있는지 여부 등에 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차단장치(500)를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스크린(101)에서 출력되는 전방 스크린 영상(110)과 바닥 스크린(102)에서 출력되는 바닥 스크린 영상(120)에 의해 가상의 그린(GR) 및 상기 가상의 그린(GR) 상의 홀컵(HC)에 대한 영상이 구현되고, 그 구현된 가상의 그린(GR) 상에서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여 퍼팅하는 경우, 홀컵(HC)이 바닥 스크린 영상(120) 상에 나타나 있으면 사용자의 퍼팅에 의해 바닥 스크린 영상(120) 상에 가상의 볼이 이동하는 시뮬레이션 영상이 구현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실제 타격한 골프공이 바닥 스크린(102) 위로 지나가게 되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실제 골프공이 이동하는 것과 바닥 스크린 영상(120) 상에서 가상의 볼이 이동하는 영상을 동시에 보게 되어 이질감을 느낄 수 있고, 특히 실제 골프공이 이동하는 궤적과 영상 상에서 가상의 볼이 이동하는 궤적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그 이질감이 더욱 커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퍼팅한 골프공이 지나가는 경로, 즉 타격매트(SM)의 전방 및 바닥 스크린(102) 사이에 볼 차단장치(500)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퍼팅함에 따라 이동하는 골프공의 진행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바닥 스크린 영상(120) 상에서 가상의 볼이 퍼팅에 따라 이동하는 시뮬레이션 영상이 이질감 없이 보여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볼 차단장치(50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볼 차단부(51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퍼팅을 할 때에는 위로 회전하여 돌출되도록 하고 퍼팅이 종료되면 다시 아래로 회전하여 닫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볼 차단장치(500)는 골프공이 진행하는 것을 차단하여 볼 회수장치(410)로 차단된 골프공을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볼 회수장치(410)는 이송관을 따라 골프공을 볼 공급장치(420)로 보내며, 상기 볼 공급장치(420)는 골프공을 타격매트(SM) 위로 공급한다.
상기 볼 차단장치(500)는 골프공을 차단하여 골프공이 바닥 아래로 들어가게 하므로 그 바닥 아래로 들어간 골프공이 볼 회수장치(410)로 가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회수장치(410) 및 볼 공급장치(420)가 바닥 부분의 아래에 매설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차단장치를 구비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는 영상 구현되는 가상의 그린(GR) 상에서 사용자가 퍼팅을 하는 경우로서 사용자의 퍼팅이 이루어지기 위한 대기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상기 대기상태에서 사용자의 퍼팅을 위해 타격매트(SM) 상에 골프공(1)이 놓이고 센싱장치(미도시)가 이를 감지하여 타격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볼 레디가 발생한 상태, 즉 볼레디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4의 (a)는 상기 볼레디 상태에서 사용자가 골프공(1)을 타격하여 퍼팅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며, 도 4의 (b)는 퍼팅된 골프공이 볼 차단장치(500)에 의해 차단되어 사라지고 바닥 스크린 영상(120) 상에서 상기 퍼팅된 골프공에 대응하는 가상의 볼(VB)이 센싱장치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의 그린(GR) 상을 이동하는 시뮬레이션 영상이 구현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한 대기상태와 볼레디 상태에 관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가상의 골프게임이 진행되다가 사용자가 가상의 그린에서 퍼팅을 할 차례가 되었을 때, 전방 스크린(101) 및 바닥 스크린(102) 상에 출력되는 영상은 가상의 그린(GR) 상에 가상의 볼(VB)과 홀컵(HC) 등에 관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사용자가 퍼팅을 하기를 대기하고 있는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타격매트(SM) 상에 골프공(1)이 놓이면, 센싱장치는 타석 부분을 포함하는 일정 화각의 범위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취득하고, 그 취득되는 이미지를 각각 분석하여 타격매트에 놓인 골프공에 해당하는 오브젝트, 즉 볼을 이미지 내에서 찾는 볼찾기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상기 볼찾기 프로세스는 이미지 내에서 차영상 및 이진화 등의 처리를 하고 미리 설정된 크기, 가로세로비, 밝기 등에 관한 조건을 이용하여 해당 조건에 맞는 오브젝트를 찾아 볼로서 결정하는 프로세스일 수도 있고, 미리 정의된 볼에 대한 템플릿을 취득되는 이미지 상의 오브젝트와 비교하여 유사도를 판단함으로써 볼을 찾아나가는 프로세스일 수도 있다.
센싱장치가 볼찾기를 성공한 경우, 지속적으로 취득되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그 찾은 볼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볼 정지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판단 결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볼 정지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골프공의 타격에 따라 상기 센싱장치가 상기 센싱 정보를 얻기 위한 센싱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즉 타격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볼 레디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한 볼 레디 신호의 발생에 따라 시뮬레이터의 제어부도 볼 레디를 발생시켜 대기상태에서 다음 단계를 진행할 준비를 한다(영상상에서도 볼 레디에 대한 영상 및 음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볼 레디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센싱장치는 볼 레디시의 볼의 위치좌표를 저장하여 시뮬레이터로 전송한다.
시뮬레이터의 제어부는 대기상태에서 센싱장치로부터 볼레디 신호를 수신하면, 볼레디를 발생시키고 영상처리부를 제어하여 전방 스크린 상의 영상이 바닥 스크린으로 시프트되도록 하는 영상을 처리하도록 하여 영상출력장치로 전달하도록 하고 영상출력장치는 전방 스크린의 영상이 바닥 스크린으로 시프트되도록 하는 영상을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영상이 시프트되면서 가상의 볼(VB)은 사라지게 되는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영상이 시프트되면서 가상의 볼(VB)의 위치가 실제 골프공(1)의 위치가 되도록 영상이 시프트되는 것이다.
즉, 센싱장치에 의해 감지된 볼 레디시의 골프공의 위치 좌표 정보를 시뮬레이터의 제어부가 전달받아서, 가상의 공간 상에서의 가상의 볼(VB)의 위치가 상기 실제 골프공의 위치까지 해당 거리만큼 영상이 시프트되면서 상기 가상의 볼(VB)은 영상에서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차단장치(50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매트(SM) 상에 골프공(1)이 놓이고 이를 센싱장치가 감지하여 볼레디 신호를 발생시키는 볼레디 상태가 됨에 따라 볼 차단부(510)가 상기 타격매트(SM) 보다 상향 돌출되도록 구동한다. 즉, 상기 볼 차단장치(500)가 사용자가 퍼팅한 골프공을 차단할 준비를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볼 차단부(510)가 상기 타격매트(SM)보다 상향 돌출되도록 구동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 방식이 가능한데, 예컨대 상기 볼 차단부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특정 신호 발생 전에는 상기 볼 차단부가 상기 타격매트(SM)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으로 유지되다가 상기한 볼레디 신호와 같은 특정 신호 발생시에는 상기 볼 차단부가 상향 회전하여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 차단부가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특정 신호 발생 전에는 볼 차단부가 상기 타격매트(SM)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으로 유지되다가 특정 신호 발생시에는 상향 돌출되도록 슬라이딩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볼 차단장치(500)가 볼 차단부(510)를 상향 회전시켜 구동하는 방식을 기본 방식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볼 차단장치(500)는 상기한 볼레디 상태가 되었을 때 볼 차단부(510)를 상향 회전시켜 골프공을 차단할 준비를 할 수도 있지만, 볼레디 상태가 되기 전의 대기상태일 때부터 볼 차단부(510)를 상향 회전시켜 골프공을 차단할 준비를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볼 차단장치(500)는, 도면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시뮬레이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그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볼 차단부(510)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차단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볼 차단장치(500)의 차단 제어부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볼 차단부(510)가 상향 회전 또는 하향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차단 제어부가 시뮬레이터로부터 상기한 볼레디 신호를 전달받기 전까지는 상기 볼 차단부(510)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다가, 상기한 볼레디 상태가 되어 상기 차단 제어부가 시뮬레이터로부터 볼레디 신호를 전달받으면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볼 차단부(510)가 상향 회전 구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 제어부는 상기 볼 차단부(510)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한 대기상태가 되었을 때, 시뮬레이터로부터 볼 차단부의 개방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볼 차단부(510)를 개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차단 제어부는 상기 볼 차단부(510)가 상향 회전 구동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후술할 골프공 감지센서가 차단되어 들어오는 골프공을 감지한 경우에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볼 차단부(510)를 폐쇄하여 원래대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볼 차단부를 회전 구동(또는 슬라이딩 구동)시키는 모터(Motor)나 유압/공압 실린더 장치, 스프링 등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전 구동시키는 장치, 그리고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 체인, 기어 등의 동력전달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대기상태 또는 볼레디 상태에서 볼 차단장치(500)가 볼 차단부(510)를 상향 회전되어 골프공을 차단할 준비가 된 후에,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골프공(1)을 타격하면 그 타격되어 운동하는 골프공(1)은 볼 차단부(510)에 의해 진행이 차단되어 볼 차단장치(500)의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센싱장치는 타격되어 이동하는 골프공에 대한 이미지를 취득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에 대한 센싱정보(속도, 방향, 각도 등)를 산출하여 시뮬레이터로 전송하고, 시뮬레이터는 상기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가상의 볼이 가상의 그린 상을 이동하는 시뮬레이션 영상을 구현한다.
즉,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이 차단된 후, 바닥 스크린 영상(120) 상에서는 가상의 볼(VB)이 센싱장치의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가상의 그린(GR) 상을 이동하는 시뮬레이션 영상이 구현된다.
이때, 상기 가상의 볼(VB)이 이동하는 시뮬레이션 영상은 타격매트(SM) 상에 놓인 실제 골프공(1)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진행된다.
따라서, 타격된 실제 골프공(1)이 이동하다가 상기 볼 차단장치(500)에 의해 차단되어 사라지면서 바닥 스크린 영상(120) 상에서는 골프공이 이동한 궤적을 이어서 가상의 볼(VB)이 이동하도록 하는 시뮬레이션 영상이 구현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 골프의 퍼팅에 대한 리얼리티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볼 차단장치(500)는, 도 4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1)을 차단하면 그 장치 내부에서 골프공이 차단되어 들어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골프공 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골프공 감지센서가 골프공을 감지함에 따라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제어부가 구동부를 제어하여 볼 차단부(510)를 하향 회전시켜 원래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골프공 감지센서는 볼 차단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하우징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볼 차단부 안쪽에 압력센서로써 설치되어 골프공이 볼 차단부 안쪽에 충돌하는 압력으로 골프공의 차단을 감지할 수도 있고, 상기 하우징 안쪽에 수광 및 발광 센서로써 설치되어 차단된 골프공이 하우징 안쪽에서 발광 센서의 광을 차단함으로써 골프공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볼 차단장치가 이동하는 골프공의 진행을 차단하는 볼 차단부를, 대기상태일 때 또는 볼레디 상태일 때 상향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경우에 상기 볼 차단부가 구동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한 대기상태 및 볼레디 상태가 되어도 볼 차단장치가 볼 차단부를 상향 회전시키도록 하지 않고 있다가, 센싱장치가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였음을 감지한 경우에, 즉 골프공에 대한 타격이 감지된 경우에 상기 볼 차단장치가 상기 볼 차단부를 상향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향 회전된 볼 차단부가 다시 하향 회전하여 원래대로 복귀할 때에도 골프공 감지센서의 감지에 의한 것이 아니라, 볼 차단부가 상향 회전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자동으로 닫히도록 함으로써 원래대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 볼 차단장치(500)가 볼 차단부(510)를 상향 및 하향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서 설명하였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볼 차단부가 타격매트(SM) 보다 상향 돌출된 상태로 고정적으로 구비되며 그 고정된 상태의 볼 차단부에 의해 차단된 골프공이 볼 회수장치(410, 도 1 참조)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볼회수 가이드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 차단부(510)가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차단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차단장치의 외관 및 구동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볼 차단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I-I 단면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볼 차단부가 구동되기 전의 상태이고 도 5의 (b)는 볼 차단부가 구동되고 이동하는 골프공이 볼 차단부에 의해 차단되어 볼 차단장치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차단장치(500)는 하우징(501)과, 볼 차단부(510)와, 구동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1)은 볼 차단장치(500)의 몸체로서 타격매트(SM)의 전방의 바닥에 매설되는 부분이다.
상기 볼 차단부(510)는 하우징(501)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501) 상단의 개구부(502)를 개폐하며, 상기 개구부(502)를 개방할 때 상향 돌출되므로 이동하는 골프공(1)을 차단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구동부(530)는 하우징(501)의 일측에 설치되어 볼 차단부(510)를 회전 구동시키는 부분으로서 구동모터(531)와 동력전달부(532)를 포함하며, 상기 볼 차단부(510)가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지지부(511)를 상기 구동모터(531)가 동력전달부(532)를 통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볼 차단부(510)가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532)는, 도 5에서는 벨트로써 구현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기어 등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에서는 상기 구동부(530)의 일 예로서 구동모터(531)와 동력전달부(532)로서 벨트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었는데, 본 발명의 구동부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의 구동부의 구성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볼 차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경우 상기 볼 차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도록 랙과 피니언 기어를 모터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동 모터 대신 유압/공압 실린더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예컨대 실린더 장치의 일단을 볼 차단부에, 타단을 하우징 내부에 각각 고정시키고 상기 실린더 장치를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여 팽창 또는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볼 차단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유압/공압 실린더 장치 대신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이용한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볼 차단부(510)는,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1)을 개폐하는 차단커버(511)와, 상기 차단커버(511)의 안쪽에 이동하는 골프공(1)을 차단함에 따라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어 차단된 골프공(1)이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볼차단 가이드(5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1)의 내부에는, 타격매트(SM)로 골프공을 공급하는 볼 공급장치(420, 도 1 참조)로 골프공을 이송시키는 볼 회수장치(410, 도 1 참조)로 상기 차단된 골프공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볼회수 가이드(5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퍼팅에 의해 이동하는 골프공(1)이 볼 차단부(510)의 차단커버(511) 안쪽에 형성된 볼차단 가이드(512)에 의해 하우징(501)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우징(501) 안쪽에 구비된 볼회수 가이드(520)를 따라 볼 회수장치(410, 도 1 참조)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차단장치가 구비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볼 차단장치를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는 볼 차단장치(500) 및 볼 회수로(BR)에 관한 부분에서 도 1에 도시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와 차이가 있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1에서 이미 설명한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가 적용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는 타석(SP)이 설치되는 제1 바닥부(B1)와 바닥 스크린(102)이 설치되는 제2 바닥부(B2) 사이에 볼 회수로(BR)가 형성되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차단장치(500)는 타격매트(SM) 전방 측의 제1 바닥부(B1), 즉 볼 회수로(BR)와 바닥 스크린(102) 사이에 설치된다.
타석(SP)에서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이 전방 스크린(101)에 충돌한 후 제1 바닥부(B1)를 따라 상기 볼 회수로(BR) 쪽으로 굴러와서 상기 볼 회수로(BR)에 떨어지면, 그 골프공이 상기 볼 회수로(BR)를 따라 볼 회수장치(41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바닥부(B1)는 볼 회수로(BR) 쪽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볼 회수로(BR)는 볼 회수장치(410) 쪽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볼 차단장치(500)는 제1 바닥부(B1)의 바닥 스크린(102)과 볼 회수로(BR)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타격매트(SM) 상의 골프공이 퍼팅되면 그 퍼팅된 골프공은 볼 회수로(BR)를 건너서 볼 차단장치(500)로 갈 수밖에 없다.
따라서, 타격매트(SM)에서 퍼팅된 골프공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볼 회수로(BR)로 빠지지 않도록 볼 회수로(BR)의 일부를 덮어서 상기 타격매트(SM)와 상기 볼 차단장치(5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57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570)가 없는 경우, 볼 차단장치(500)까지 골프공이 가지 않더라도 볼 회수로(BR)로 직접 떨어지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는 있지만, 볼 회수로(BR)의 폭이 상당히 넓게 되어 있다면 퍼팅되어 이동하는 골프공이 안정적으로 볼 회수로(BR)로 떨어지게 할 수 있지만 볼 회수로(BR)의 폭을 너무 넓게 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이질감을 느끼게 할 수 있으므로 볼 회수로(BR)의 폭을 넓게 할 수 없는 한계로 말미암아 퍼팅된 골프공이 그 속도에 의해 볼 회수로(BR)를 건너뛰어 진행할 수 있으므로, 퍼팅된 골프공이 안정적으로 바닥 스크린(102)으로 건너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570)를 설치하여 타격매트(SM)에서 볼 차단장치(500)로 골프공이 진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볼 차단장치(500)는 볼 차단부(540)와 하우징 내부 바닥을 형성하는 경사 바닥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도 7에 도시된 볼 차단장치(5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연결부재를 제거하여 볼 차단장치와 볼 회수로 부분만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볼 차단장치(50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볼 차단부(54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퍼팅을 할 때에는 위로 회전하여 돌출되도록 하고 퍼팅이 종료되면 다시 아래로 회전하여 닫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 차단부(540)를 구동하는 구동부에 관하여는 도 5에 도시된 사항 및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볼 차단부(540)는,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볼 차단부(5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수행한다. 즉 하우징(503)을 개폐하는 차단커버(541)와, 상기 차단커버(541)의 안쪽에 골프공을 차단하면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재질의 볼차단 가이드(5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골프공이 상기 볼 차단부(540)에 의해 차단될 때 상기 골프공은 볼 차단 가이드(542)에 충돌하면서 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하우징(503) 내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차단장치(500)는 하우징(503) 내부 바닥을 형성하며 볼 차단부(540)에 의해 차단된 골프공이 볼 회수로(BR)로 굴러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 바닥부(550)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 바닥부(55)는 상기 바닥 스크린(102) 쪽에서 상기 볼 회수로(BR) 쪽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1 경사(v) 및 상기 볼 회수로(BR)의 경사 방향(r)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제2 경사(h)의 이중 경사를 형성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우징(503)의 양쪽 측면부(504, 505)에 의해 상부가 개구되어 개구부(506)를 형성하고 볼 회수로(BR) 쪽으로 연통되는 연통부(507)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골프공이 퍼팅될 때 볼 차단부(540)는 볼 차단부(540)를 열어 개구부(506)가 열리도록 하며, 하우징(503)의 안쪽에 형성된 볼차단 가이드(542)에 의해 하우징(503) 내 바닥으로 떨어진 골프공은, 경사 바닥부(550)의 제1 경사(v) 및 제2 경사(h)의 이중 경사를 따라 볼 회수로(BR) 쪽으로 굴러갈 수 있다.
상기 경사 바닥부(550)를 따라 볼 회수로(BR)로 떨어진 골프공은 볼 회수로(BR)의 경사 방향(r)을 따라 볼 회수장치(미도시) 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차단장치의 제어에 대해서는 앞서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되고 설명하고 있는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이에 이용되는 볼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가상의 골프 플레이, 특히 퍼팅을 하는 경우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이 이동하면서 가상의 볼이 시뮬레이션 되고 있는 영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타격된 후 골프공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가상의 그린 상에서 이루어지는 퍼팅에 대한 리얼리티를 크게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도록 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다.
100: 시뮬레이터, 101: 전방 스크린
102: 바닥 스크린, 110: 전방 스크린 영상
120: 바닥 스크린 영상, 150: 영상처리부
160: 저장부, 170: 제어부
200: 센싱장치, 500: 볼 차단장치
510: 볼 차단부, 520: 볼회수 가이드

Claims (25)

  1.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함에 따라 운동하는 골프공에 대한 센싱 정보를 산출하는 센싱장치;
    가상의 그린에 대한 영상 및 상기 사용자의 퍼팅에 따라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의 그린에서 가상의 볼이 이동하는 시뮬레이션 영상 구현을 위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시뮬레이터;
    상기 사용자가 골프공을 퍼팅하는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스크린 및 상기 사용자의 퍼팅이 이루어지는 타석과 상기 전방 스크린 사이의 바닥에 구비되는 바닥 스크린에 상기 시뮬레이터에 의해 처리된 영상을 전달받아 각각 출력하며 상기 바닥 스크린에 상기 가상의 그린 및 상기 가상의 볼이 이동하는 시뮬레이션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퍼팅을 위하여 상기 골프공이 놓이는 타격매트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퍼팅함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골프공의 진행을 차단하는 볼 차단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볼 차단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퍼팅함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골프공의 진행을 차단하여 상기 바닥 스크린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타격매트와 상기 바닥 스크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퍼팅에 의해 이동하는 골프공을 차단하여, 상기 타격매트로 골프공을 공급하는 볼 공급장치로 골프공을 이송시키는 볼 회수장치로 상기 차단된 골프공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차단장치는,
    상기 타격매트보다 상향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볼 차단부와,
    상기 볼 회수장치로 상기 볼 차단부에 의해 차단된 골프공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볼회수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차단장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사용자의 퍼팅 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타격매트보다 상향 돌출되도록 구동되어 상기 퍼팅에 의해 이동하는 골프공을 차단하는 볼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차단장치는,
    상기 타격매트의 전방의 바닥에 매설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상단의 개구부를 개폐하며 개방시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을 차단하는 볼 차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볼 차단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차단부는,
    차단커버와,
    상기 차단커버의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과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된 골프공이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볼차단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 차단부는,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차단커버와,
    상기 차단커버의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과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된 골프공이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볼차단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상기 볼 회수장치로 상기 차단된 골프공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볼회수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 차단장치는,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그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볼 차단부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차단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센싱장치의 상기 골프공에 대한 감지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골프공의 타격에 따라 상기 센싱장치가 상기 센싱 정보를 얻기 위한 센싱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볼 레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단 제어부는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상기 볼 레디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볼 차단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 차단장치는,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그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볼 차단부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차단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따른 골프 게임의 진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퍼팅을 할 차례가 된 경우, 상기 차단 제어부로 상기 볼 차단부의 개방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단 제어부는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상기 볼 차단부의 개방 신호를 전달받기 전까지는 상기 볼 차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폐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볼 차단부의 개방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볼 차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 차단장치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볼 차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볼 차단부에 의해 차단된 골프공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골프공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볼 차단부가 상기 하우징 상단을 개방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볼 차단부에 의해 차단된 골프공을 상기 골프공 감지센서가 감지한 경우, 상기 구동부가 동작하여 상기 볼 차단부가 상기 하우징 상단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차단장치에 의해 차단된 골프공이 상기 타석과 상기 바닥 스크린 사이에 구비되는 볼 회수로를 따라 상기 볼 회수장치로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볼 회수장치에 의해 상기 골프공이 회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볼 차단장치는,
    상기 타석과 상기 바닥 스크린 사이에 구비되는 볼 회수로와 상기 바닥 스크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퍼팅함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골프공을 차단하여 상기 볼 회수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볼 회수로를 따라 이동하는 골프공이 상기 볼 회수장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볼 차단장치는,
    상기 볼 회수로와 상기 바닥 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타격매트보다 상향 돌출 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을 차단하는 볼 차단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 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볼 차단부에 의해 차단된 골프공이 상기 볼 회수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사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바닥부는,
    상기 바닥 스크린 쪽에서 상기 볼 회수로 쪽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1 경사 및 상기 볼 회수로의 경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제2 경사의 이중 경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15. 사용자가 골프공을 퍼팅하는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스크린 및 상기 사용자의 퍼팅이 이루어지는 타석과 상기 전방 스크린 사이의 바닥에 구비되는 바닥 스크린에 출력되는 가상의 그린 및 상기 가상의 그린 상에서 가상의 볼이 이동하는 시뮬레이션 영상을 구현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이용되는 볼 차단장치로서,
    상기 사용자의 퍼팅을 위하여 상기 골프공이 놓이는 타격매트와 상기 바닥 스크린 사이의 바닥에 매설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상단의 개구부를 개폐하며 개방시 상기 사용자의 퍼팅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골프공의 진행을 차단하는 볼 차단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볼 차단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퍼팅함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골프공의 진행을 차단하여 상기 바닥 스크린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이용되는 볼 차단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볼 차단부는,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차단커버와,
    상기 차단커버의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과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된 골프공이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볼차단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상기 타격매트로 골프공을 공급하는 볼 공급장치로 골프공을 이송시키는 볼 회수장치로 상기 차단된 골프공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볼회수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이용되는 볼 차단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스크린과 상기 타격매트 사이에 상기 타격매트로 골프공을 공급하는 볼 공급장치로 골프공을 이송시키는 볼 회수장치 쪽으로 골프공이 이동할 수 있도록 볼 회수로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볼 회수로와 상기 바닥 스크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 바닥에는 상기 볼 차단부에 의해 차단된 골프공이 상기 볼 회수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사 바닥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 일측에 상기 경사 바닥부로 이동된 골프공이 상기 볼 회수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통되는 연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차단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바닥부는,
    상기 바닥 스크린 쪽에서 상기 볼 회수로 쪽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1 경사 및 상기 볼 회수로의 경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제2 경사의 이중 경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차단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매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타격매트에서 퍼팅된 골프공이 상기 볼 회수로를 건너 상기 하우징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차단장치.
  20. 사용자가 골프공을 퍼팅하는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스크린 및 상기 사용자의 퍼팅이 이루어지는 타석과 상기 전방 스크린 사이의 바닥에 구비되는 바닥 스크린에 각각 영상을 출력하여 상기 전방 스크린 및 바닥 스크린에 상기 사용자의 퍼팅에 따른 시뮬레이션 영상을 구현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퍼팅하기 전에 또는 퍼팅을 함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골프공이 놓이는 타격매트와 상기 바닥 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볼 차단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사용자의 퍼팅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골프공의 진행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골프공이 상기 바닥 스크린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에 대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구현되는 가상의 그린에서 가상의 볼이 이동하는 시뮬레이션 영상이 상기 바닥 스크린에 출력되는 영상 상에서 구현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정보를 산출하는 센싱장치의 상기 골프공에 대한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센싱장치가 상기 센싱 정보를 얻기 위한 센싱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볼 레디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골프공이 상기 바닥 스크린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볼 레디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이 상기 바닥 스크린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볼 차단장치의 볼 차단부를 상기 타격매트보다 상향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의 진행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정보를 산출하는 센싱장치의 상기 골프공에 대한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센싱장치가 상기 골프공이 타격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골프공이 상기 바닥 스크린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장치가 상기 골프공의 타격을 감지한 경우,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이 상기 바닥 스크린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볼 차단장치의 볼 차단부를 상기 타격매트보다 상향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의 진행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시뮬레이션 영상에 따른 골프 게임의 진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퍼팅을 할 차례가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골프공이 상기 바닥 스크린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퍼팅을 할 차례가 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이 상기 바닥 스크린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볼 차단장치의 볼 차단부를 상기 타격매트보다 상향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하는 골프공의 진행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볼 차단장치는 상기 차단된 골프공을 감지하는 골프공 감지센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볼 차단장치가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차단된 골프공을 상기 골프공 감지센서가 감지한 경우, 상기 볼 차단장치가 원래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볼 차단장치가 구동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볼 차단장치가 원래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073154A 2016-03-17 2016-06-13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이에 이용되는 볼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 KR101730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397 2016-03-17
KR20160032397 2016-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532B1 true KR101730532B1 (ko) 2017-05-04

Family

ID=5874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154A KR101730532B1 (ko) 2016-03-17 2016-06-13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이에 이용되는 볼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53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075B1 (ko) * 2018-12-10 2020-05-19 주식회사 에스지엠 퍼팅용 가상 골프 시스템
KR20200071703A (ko) * 2020-04-29 2020-06-19 주식회사 에스지엠 퍼팅용 가상 골프 시스템
KR20210044339A (ko) * 2019-10-14 2021-04-23 주식회사 에스지엠 퍼팅 장치, 퍼팅 장치의 동작방법,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20210103004A (ko) * 2020-02-11 2021-08-23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골프연습장치
KR102551993B1 (ko) * 2022-07-29 2023-07-06 원인덕 고정형 홀컵이 구비된 골프 시뮬레이터
KR102621044B1 (ko) * 2022-07-29 2024-01-05 원인덕 회전형 홀컵이 구비된 골프 시뮬레이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413B1 (ko) * 2014-06-10 2015-06-09 주식회사 골프존유원홀딩스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대한 제어방법 및 골프 연습 시스템에 대한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413B1 (ko) * 2014-06-10 2015-06-09 주식회사 골프존유원홀딩스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대한 제어방법 및 골프 연습 시스템에 대한 제어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075B1 (ko) * 2018-12-10 2020-05-19 주식회사 에스지엠 퍼팅용 가상 골프 시스템
KR20210044339A (ko) * 2019-10-14 2021-04-23 주식회사 에스지엠 퍼팅 장치, 퍼팅 장치의 동작방법,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102347266B1 (ko) * 2019-10-14 2022-01-05 주식회사 에스지엠 퍼팅 장치, 퍼팅 장치의 동작방법,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20210103004A (ko) * 2020-02-11 2021-08-23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골프연습장치
KR102354304B1 (ko) * 2020-02-11 2022-01-24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골프연습장치
KR20200071703A (ko) * 2020-04-29 2020-06-19 주식회사 에스지엠 퍼팅용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187286B1 (ko) * 2020-04-29 2020-12-07 주식회사 에스지엠 퍼팅용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551993B1 (ko) * 2022-07-29 2023-07-06 원인덕 고정형 홀컵이 구비된 골프 시뮬레이터
KR102621044B1 (ko) * 2022-07-29 2024-01-05 원인덕 회전형 홀컵이 구비된 골프 시뮬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532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이에 이용되는 볼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
KR101744042B1 (ko) 야구 연습 장치에 이용되는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과, 이를 이용한 야구 연습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048090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와, 이에 이용되는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
KR101048089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와, 이에 이용되는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
US10716991B2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method of realizing image for virtual golf, and computing-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the same recorded therein
KR101807005B1 (ko) 야구 연습 장치, 이에 이용되는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과, 볼 피칭 제어 방법
KR101031384B1 (ko) 에이밍 라인을 제공하는 에이밍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525413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대한 제어방법 및 골프 연습 시스템에 대한 제어방법
KR101858049B1 (ko)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및 이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CN101890218A (zh) 虚拟高尔夫模拟器、设置在其中的传感器及虚拟高尔夫模拟器的传感方法
TW201726209A (zh) 在棒球練習裝置中使用的感測裝置及感測方法、利用該感測裝置及感 測方法的棒球練習裝置及其控制方法
US11007424B2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method of realizing image for virtual golf, and computing-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the same recorded therein
CN101934134B (zh) 虚拟高尔夫模拟装置、设置在其中的传感器及虚拟高尔夫模拟装置的传感方法
KR102304837B1 (ko) 타격위치의 오류를 방지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0972819B1 (ko) 포터블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93213A (ko) 골프공 포획유닛을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20170085460A (ko) 야구 연습 장치에 이용되는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과, 이를 이용한 야구 연습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58111A (ko) 골프레슨 정보제공을 위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골프레슨 정보제공을 위한 정보 처리방법
KR101059293B1 (ko)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센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KR20150025833A (ko) 골프레슨 정보제공을 위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골프레슨 정보제공을 위한 정보 처리방법
KR102321472B1 (ko)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1937720B1 (ko) 가상 골프 시스템
KR101878100B1 (ko) 가상 골프 시스템
KR101865579B1 (ko) 체험형 가상 야구 게임 장치 및 이에 의한 가상 야구 게임 제어방법
KR20190051930A (ko) 향상된 리얼리티를 나타내는 가상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