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004A - 골프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004A
KR20210103004A KR1020200016483A KR20200016483A KR20210103004A KR 20210103004 A KR20210103004 A KR 20210103004A KR 1020200016483 A KR1020200016483 A KR 1020200016483A KR 20200016483 A KR20200016483 A KR 20200016483A KR 20210103004 A KR20210103004 A KR 20210103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golf ball
mat
obstacl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4304B1 (ko
Inventor
한승일
정승수
김건호
김지우
문승우
성세환
우창희
이유진
이지호
정민혁
정재완
권규아
김상엽
김아연
김현경
김희은
안효주
원치영
윤희원
이경진
이수연
이수찬
이제욱
이지오
정다솜
최정윤
강지수
김두한
김동기
유상완
Original Assignee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6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304B1/ko
Publication of KR20210103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91Golf courses; Golf practising terrains having a plurality of driving areas, fairways, g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06Arrangement or layout of dimp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5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e.g. hook-and-loop 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63B2067/025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with incorporated means acting on the track surface for varying its topography, e.g. slo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는, 골프매트를 인조잔디가 배치되어 페어웨이 영역에 대응하는 스윙영역과 러프영역, 벙커 및 해저드 영역에 대응하는 장애영역을 구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골프연습 시 골프 코스에 따른 히팅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골프연습장치{GOLF EXERCISER}
본 발명은 골프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소, 날씨 등의 환경에 관계없이 골프를 즐길 수 있으며, 페어웨이(Fairway), 벙커, 해저드(Hazard) 및 러프(Rough) 등의 골프코스에 맞는 히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골프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기재된 것일 뿐이고, 기술되는 내용들이 당연하게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골프에서 퍼팅(putting)이라 함은 퍼터라는 클럽으로 그린 위에서 공을 굴려 홀 컵에 집어 넣는 것으로, 드라이버로 티샷을 하고 아이언으로 그린 위로 올라가는 세컨 샷을 한 후 그린 위에 올라간 공을 최종적으로 홀 컵에 집어 넣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퍼팅 연습 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졌으나, 기존 퍼팅 연습 장치들은 퍼팅용 인조 매트를 구비하고 이의 일 측에 홀 컵을 형성하여 타 측에서 공을 쳐서 상기 홀 컵에 넣는 매우 단순한 구성으로 노면이 평탄 조건에서 연습하기 때문에 실제 그린에서 큰 도움이 되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이와 같은 기존의 골프 퍼팅연습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골프 퍼팅이 이루어지는 매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매트에 설치된 상판 각도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상판의 좌우 기울기와, 접철식 발을 이용하여 오르막 경사 및 내리막 경사를 조절하여 다양한 노면 조건에서 퍼팅 연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단순히 노면의 바닥의 경사를 좌우 또는 전후로 경사지게 조절하는 단순 조건에 의해 실제 노면과 같은 다양한 굴곡 조건을 줄 수 없어 실질적인 퍼팅에 도움이 되는 연습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골프 히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골프공이 충분히 히팅되고, 히팅된 골프공에 의해 파손될 것이 최소화된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집안과 같은 한정된 공간에서 히팅이 실행되는 경우, 히팅된 골프공에 의해 집안 내 물건들이 파손될 수 있는 부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공간의 한계를 최소화하며 히팅이 실행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가 필요하다.
한편, 전술한 선행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히팅된 골프공에 의해 파손이 최소화되는 골프연습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실제 노면과 같은 다양한 굴곡 조건에 따라 히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골프연습장치는, 일정한 폭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에 골프공이 위치할 자리들이 표시되는 골프매트 및 골프매트의 길이 방향에 배치되고, 미리 저장된 골프코스가 보여지며, 골프공이 부착되는 재질로 형성된 전면 스크린을 포함한다.
이때, 골프매트는, 골프코스 중 페어웨이(Fairway)에 대응하는 스윙영역 및 스윙영역과 인접하고, 골프코스 중 벙커, 해저드(Hazard) 및 러프(Rough) 중 어느 하나의 장애코스에 대응하는 장애영역을 포함하되, 스윙영역과 장애영역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굴곡 조건에 따라 히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장애영역은, 벙커 및 해저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장애영역과 러프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장애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골프연습장치의 스윙영역 및 장애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부에 배치되어 골프매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는, 골프매트 하측에 배치되어 골프매트의 폭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회전축과, 회전축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골프매트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절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 바퀴는, 회전축이 삽입, 설치된 삽입공을 포함하고, 높이조절 바퀴는 삽입공의 중심에서부터 높이조절 바퀴의 외측까지 직경이 다른 돌출부 및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면 스크린 표면 및 골프공 표면은 접착 및 탈착이 가능한 벨크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골프공은 골프공이 전면 스크린에 부착되도록 복수의 접착부를 포함하고, 접착부는, 골프공에 작용하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는 딤플을 포함할 수 있다.
골프매트 상측에 골프공이 안착되는 골프티가 설치되고, 골프티는, 골프공이 골프코스 중 벙커, 해저드(Hazard) 및 러프(Rough) 중 어느 하나의 장애코스에 위치하는 경우, 히팅될 골프공을 장애코스에 대응하는 장애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골프티는, 스윙영역에서 히팅이 가능하도록 골프공이 위치하는 안착부와, 안착부의 단부에서 골프매트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부를 포함한다.
이때, 히팅된 골프공이 장애코스에 위치하면, 히팅될 골프공을 안착부에서 경사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골프매트는, 골프공이 장애코스에 위치하는 경우, 히팅될 골프공의 히팅 방향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히팅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팅 가이드는, 스윙영역 및 장애영역의 일 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 로드 및 상기히팅될 골프공의 히팅 거리를 안내하는 안내빔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안내빔은, 골프공의 히팅 방향, 히팅 거리 중 어느 하나의 조건에 따라 골프매트 상측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는, 골프연습이 가능한 골프매트를 인조잔디가 배치되어 페어웨이 영역에 대응하는 스윙영역과 러프영역, 벙커 및 해저드 영역에 대응하는 장애영역을 다른 재질로 형성하여 골프연습 시, 골프 코스에 따른 히팅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골프공 및 골프코스가 보여지는 전면 스크린을 벨크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골프공에 의해 히팅된 골프공이 전면 스크린 이외의 주변 물건과 충돌하여도 주변 물건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골프 강습 시, 학생들의 부정확한 히팅에 의한 골프공과 충돌에도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골프연습이 이루어지는 골프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실제 골프코스와 유사한 구조에서 골프 히팅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한 높이를 체감하며 골프 히팅 연습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골프매트의 변형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영역 A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골프매트의 구동 실시 예에 따라 골프매트의 굴곡 조건이 다양하게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골프공의 피팅을 안내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부분을 생략하지만,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10)는, 일정한 폭을 가지며 길이 방향(도 1의 화살표 방향 참고)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에 골프공(50)이 위치할 자리들이 표시되는 골프매트(100)와 골프매트(100)의 길이 방향에 배치되고, 미리 저장된 골프코스가 보여지며, 히팅된 골프공(50)이 부착되는 전면 스크린(200)을 포함한다.
이때, 골프매트(100)는 골프코스 중 페어웨이(Fairway)에 대응하는 스윙영역(120) 및 상기 스윙영역(120)과 인접하고, 골프코스 중 벙커, 해저드(Hazard) 및 러프(Rough) 중 어느 하나의 장애코스에 대응하는 장애영역(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윙영역(120)과 장애영역(140)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페어웨이란, 골프 코스에서 잘 깎인 잔디 지역을 의미하므로, 스윙영역(120)은 잘 다듬어진 인조 잔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헤저드란 골프 코스 내에 설치된 모래밭, 연못, 웅덩이 등의 코스를 의미하고, 러프란 페어웨이의 경계 부분으로 잔디가 자란 영역을 의미하므로 장애영역(140)은 이러한 코스의 특징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히팅이 이루어지는 골프코스의 영역마다의 특징에 대응하도록 골프매트(100)를 구현함으로써, 하나의 매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골프 코스에서 히팅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실제 골프코스에서 골프 연습을 하지 못하는 연습자의 경우 골프코스마다 히팅 감각을 연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장애영역(140) 중 헤저드 영역의 제1 장애영역(142)은 수분을 포함하는 스펀지 등의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장애영역 중 러프 영역의 제2 장애영역은 스윙영역(120)의 잔디 길이보다 길이가 길거나 높낮이가 다른 잔디로 이루어진 인조 잔디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장애영역(142)은 수분을 포함하는 스펀지 등의 재질로 구현되는 예를 들지만, 제1 장애영역(142)의 위치에 모래가 수용될 수 있는 모래수용홈(미도시)을 형성하고, 모래수용홈에 모래를 부어 벙커에 대응하는 영역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장애영역(142)을 벙커 및 해저드 영역을 예를 들고, 제2 장애영역(144)은 러프 영역을 예를 들지만, 이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골프연습장치(10)의 골프매트(100)에 위치하는 골프공(50)과 전면 스크린(200)은 벨크로로 형성되어 히팅된 골프공(50)이 전면 스크린(200)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골프공(50)은 스펀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펀지 재질의 골프공(50)에 의해 히팅된 골프공(50)이 전면 스크린(200) 이외의 주변 물건과 충돌하여도 주변 물건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연습자의 신체에 타격되어도 연습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골프연습장치(10)의 구성에 따라 실내에서도 골프 연습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골프를 입문하는 학생 등의 연습자가 보다 쉽고 안전하게 골프 연습을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골프공(50)과 전면 스크린(200)은 벨크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스크린(200)이 수형 벨크로로 형성되면, 접착부(52)는 암형 벨크로로 형성되어 히팅된 골프공(50)이 전면 스크린(200)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면 스크린(200)이 수형 벨크로이고, 골프공(50)의 접착부(52)가 암형 벨크로인 예를 들지만, 벨크로의 구성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골프공(50)은 골프공(50) 표면 전체가 벨크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다르게는 벨크로 재질의 접착부(52)가 골프공(50) 표면에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접착부(52)가 골프공(50) 표면에 부착,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접착부(52)는 골프공(50) 표면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지만 다르게는 골프공(50) 표면에서 탈착 가능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더불어, 접착부(52)는 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접착부(52)는 인접하여 골프공(50) 표면에 접착되도록 하여 골프공(50)이 전면 스크린(200)에 부착될 때, 서로 다른 접착부 사이의 빈 공간에 의해 전면 스크린(200)에 부착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부(52)의 크기가 크지 않도록 하여 서로 다른 접착부(52)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너비보다 작도록 한다. 이는 복수의 접착부(52) 너비가 크도록 형성되는 경우, 서로 다른 접착부(52)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게 되어 히팅 시, 서로 다른 접착부(52) 사이의 영역이 전면 스크린(200)과 접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히팅한 골프공(50)의 접착부(52)와 전면 스크린(200)의 접착 확률을 높이기 위함이다.
설명한 바와 같이, 골프공(50) 표면이 암형 벨크로로 형성된 경우, 골프공(50) 표면과 접하는 접착부(52) 내면은 수형 벨크로로 형성되고, 전면 스크린(200)과 접하는 접착부(52)외면은 암형 벨크로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일반적인 골프공은 복수의 딤플이 형성되어 있다. 딤플은 히팅 후, 골프공(50)에 작용하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형성된 홈(groove)이다.
이러한 딤플은 접착부(52)에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부(52) 또한 벨크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접착부(52)에 딤플을 형성하기 위해는 접착부(52)의 형상 변형을 최소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벨크로 재질의 접착부(52) 내부에 플라스틱, 두께가 두껍지 않은 철심 등을 내장하여 딤플이 형성된 접착부(52)를 형성하고, 형성된 접착부(52)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접착부(52)를 벨크로로 구현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므로, 접착부(52)가 골프공(50) 표면에 탈착되게 형성되는 경우, 골프공(50)의 표면 또한 벨크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앞선 실시 예와 같이 접착부(52)가 암형 벨크로인 경우, 골프공(50)의 표면은 수형 벨크로로 구현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골프매트(10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매트(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1의 골프매트의 변형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영역 A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골프매트의 구동 실시 예에 따라 골프매트의 굴곡 조건이 다양하게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골프매트(100)는 스윙영역(120) 및 장애영역(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부에 배치되어 골프매트(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6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높이조절부(160)는, 골프매트(100) 하측에 배치되어 골프매트(100)의 폭 방향으로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회전축(162)과, 회전축(162)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고 회전축(162)의 회전에 따라 구체적으로, 골프매트(100)는 회전축(162)과 높이조절 바퀴(164)가 장착되는 매트프레임(165)을 포함한다. 매트프레임(165)은 골프매트(100) 하측에 설치되고, 회전축(162)과 내부에 높이조절부(16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과 설치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축(162)의 양 단은 골프매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매트프레임(16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설치되고, 회전축(162)의 양 단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핸들(166)이 설치되어 회전축(162)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회전핸들(166)은 매트프레임(165) 외측에 설치되어 골프 연습자가 회전축(162)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핸들(166)에 의해 높이조절 바퀴(164)를 회전할 수 있으며, 후술할 높이조절 바퀴(164)의 돌출부 및 함몰부를 통해 골프매트(100)의 상면을 굴곡지게 할 수 있다. 즉, 회전핸들(166)을 통해, 골프매트(100)의 굴곡 영역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골프 히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높이조절 바퀴(164)는 회전축(162)에 삽입 설치되는 삽입공(미도시), 삽입공의 중심에서부터 높이조절부(160) 외측까지 직경이 다른 돌출부(1644) 및 함몰부(162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644)가 골프매트(100) 하측에 위치하면 골프매트(100) 상면을 돌출되게 하고, 함몰부(1622)가 골프매트(100)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골프매트(100) 상면을 함몰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복수의 높이조절 바퀴(164)가 다른 회전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회전축(162)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162)에 두 개의 높이조절 바퀴(164)가 설치되는 경우, 하나의 높이조절부(160)는 함몰부(1622)가 골프매트(100) 바닥과 마주하도록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높이조절부(160)는 돌출부(1644)가 골프매트(100)의 바닥과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골프매트(100)는 함몰된 영역과 돌출된 영역에 의해 골프매트(100) 상면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높낮이가 생긴 골프매트(100)에서 골프 히팅 연습이 이루어져 보다 다양한 높이를 체감하며 골프 히팅 연습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회전축(162)은 골프매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되므로, 각각의 회전축(162)에 설치된 제1 높이조절 바퀴(164)의 회전 상태와 제2 높이조절 바퀴(164)의 회전 상태를 다르게 하여 골프매트(100)의 굴곡 영역이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도 6 참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매트(100)는 서로 다른 재질의 페어웨이 코스의 스윙영역(120)과 벙커, 해저드 등의 장애코스의 장애영역(140)을 포함한다.
이때, 연습자가 히팅된 골프공(50)이 장애영역(140)에 위치한 경우 골프공(50)을 장애영역(140)으로 이동시켜 히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골프공(50)이 놓여지는 골프티(180)의 암(arm) 영역을 형성하여 골프공(50)이 보다 쉽게 장애영역(14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고하면 골프티(180)는 스윙영역(120)에서 히팅이 가능하도록 골프공(50)이 위치하는 안착부(182)를 포함한다. 안착부(182)는 전면 스크린(200)과 먼 위치의 골프매트(100) 일 단의 중심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골프티(180)는 안착부(182)의 단부에서 골프매트(100)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84)를 포함한다. 경사부(184)는 제1 장애영역(142)과 제2 장애영역(144) 방향으로 연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특징의 경사부(184)의 구성을 통해 골프티의 안착부(182)에서 경사부(184)로 골프공이 이동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히팅된 골프공(50)이 장애코스에 위치하고, 히팅될 골프공이 안착부(182)에 안착된다. 안착부(182)에 안착된 골프공을 골프채의 헤드를 이용하여 경사부(184)를 향해 밀어내면 골프공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84)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장애영역(140)은 경사부(184)의 일단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부(184)를 따라 이동하는 골프공(50)이 장애영역(140)에 쉽게 놓여지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경사부(184)는 안착부(18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안착부(182) 외주면에 복수의 경사부(184)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히팅된 골프공(50)이 장애영역(140)에 위치하는 경우 히팅될 골프공(50)의 히팅 방향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히팅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팅 가이드는 연습자가 스윙영역(120)에서 골프공(50)을 히팅하고, 히팅된 골프공(50)이 전면 스크린(200)에 비춰지는 장애영역(140) 방향으로 히팅될 수 있다. 골프공(50)이 장애영역(140)으로 히팅되면 새로 히팅될 골프공은 히팅된 골프공이 위치한 장애영역(140)에 대응하는 제1 장애영역(142) 또는 제2 장애영역(144)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이동, 위치한다.
이와 같이 장애영역(140)에 위치한 골프공(50)이 장애영역(140)에서 한번의 히팅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 히팅 가이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히팅 가이드를 도 8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골프공의 피팅을 안내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히팅 가이드는 스윙영역(120) 및 장애영역(140)의 일 단에서 전면 스크린(200) 방향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로드(110)와, 연습자가 히팅할 거리를 안내하는 안내빔(130)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로드(110)는 골프매트(100) 상측에 형성되고, 히팅될 골프공(50)의 방향을 안내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로드(110)는 골프매트(100)를 형성하는 인조잔디와 다른 색상의 인조잔디로 구현되거나, 벨트로 타입의 골프공이 탈착되도록 벨트로 타입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로드(110)는 연습자의 히팅에 따라 골프공의 히팅 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거리가 표시되는 스윙영역 가이드로드와 스윙영역 가이드로드 양 측에 스윙영역 가이드로드(110)와 소정 간격 이격된 장애영역 가이드로드를 포함한다.
한편, 가이드로드(110)에는 골프코스의 홀(hole)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홀 컵에 대응하는 위치에 감지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히팅된 골프공(50)의 홀 컵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감지센서는 골프공(50)이 골프매트(100)를 굴러갈 때 골프공(5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골프공(50)이 골프매트(100)를 누르는 힘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감지센서가 압력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골프공(50)의 골프매트(100)를 누르는 힘이 발생하도록 골프공(50)을 일정 무게 이상으로 형성하거나 스펀지 재질의 골프공(50)내에 골프공(50)의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는 추 등을 내장할 수도 있다.
안내빔(130)은 가이드로드(110) 상으로 레이저 등을 조사하여 히팅될 골프공(50)의 히팅 거리를 표시하도록 하는 장치이다(도 8의 132 참고). 구체적으로 안내빔(130)은 골프공(50)의 히팅 방향, 히팅 거리 중 어느 하나의 조건에 따라 골프매트(100) 상측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안내빔(130)은 전면 스크린(200)에서부터 골프매트(100)를 향해 조사하도록 전면 스크린(20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앞서 본 발명의 골프공(50)은 벨크로 재질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이때, 히팅된 골프공(50)이 홀 컵에 넣은 것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골프매트(100)에 표시된 홀 컵 영역(도 1의 H 참고)을 벨크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골프공(50)이 암형 벨크로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므로, 골프매트(100)의 홀 컵 영역은 수형 벨클로로 형성되어 히팅된 골프공(50)이 홀 컵에 위치하는 경우 골프공(50)이 홀 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골프연습이 가능한 골프매트를 인조잔디가 배치되어 페어웨이 영역에 대응하는 스윙영역과 러프영역, 벙커 및 해저드 영역에 대응하는 장애영역을 구분하여 형성함으로써, 골프연습 시 다양한 조건의 골프 코스에 따른 히팅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골프공 및 골프코스가 보여지는 전면 스크린을 벨크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골프공에 의해 히팅된 골프공이 전면 스크린 이외의 주변 물건과 충돌하여도 주변 물건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골프 강습 시, 학생들의 부정확한 히팅에도 골프공에 의한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골프연습이 이루어지는 골프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골프코스와 유사한 구조에서 골프 히팅 연습이 이루어져 보다 다양한 높이를 체감하며 골프 히팅 연습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골프연습장치로서,
    일정한 폭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에 골프공이 위치할 자리들이 표시되는 골프매트; 및
    상기 골프매트의 길이 방향에 배치되고, 미리 저장된 골프코스가 보여지며, 상기 골프공이 부착되는 재질로 형성된 전면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골프매트는,
    상기 골프코스 중 페어웨이(Fairway)에 대응하는 스윙영역 및 상기 스윙영역과 인접하고, 상기 골프코스 중 벙커, 해저드(Hazard) 및 러프(Rough) 중 어느 하나의 장애코스에 대응하는 장애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스윙영역과 상기 장애영역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영역은, 상기 벙커 및 해저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장애영역과 상기 러프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장애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영역 및 상기 장애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골프매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골프연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골프매트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골프매트의 폭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골프매트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절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바퀴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 설치된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 바퀴는 상기 삽입공의 중심에서부터 상기 높이조절 바퀴의 외측까지 직경이 다른 돌출부 및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스크린 표면 및 상기 골프공 표면은 접착 및 탈착이 가능한 벨크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은,
    상기 골프공이 상기 전면 스크린에 부착되도록 복수의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골프공에 작용하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는 딤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매트 상측에 상기 골프공이 안착되는 골프티가 설치되고,
    상기 골프티는,
    상기 골프공이 상기 골프코스 중 벙커, 해저드(Hazard) 및 러프(Rough) 중 어느 하나의 장애코스에 위치하는 경우, 히팅될 골프공을 상기 장애코스에 대응하는 장애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티는,
    상기 스윙영역에서 히팅이 가능하도록 상기 골프공이 위치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단부에서 상기 골프매트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부를 포함하고,
    히팅된 상기 골프공이 상기 장애코스에 위치하면, 히팅될 상기 골프공을 상기 안착부에서 상기 경사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매트는,
    상기 골프공이 상기 장애코스에 위치하는 경우, 히팅될 골프공의 히팅 방향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히팅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가이드는,
    상기 스윙영역 및 장애영역의 일 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 로드 및 상기 히팅될 골프공의 히팅 거리를 안내하는 안내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빔은,
    상기 골프공의 히팅 방향, 히팅 거리 중 어느 하나의 조건에 따라 상기 골프매트 상측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장치.

KR1020200016483A 2020-02-11 2020-02-11 골프연습장치 KR102354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483A KR102354304B1 (ko) 2020-02-11 2020-02-11 골프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483A KR102354304B1 (ko) 2020-02-11 2020-02-11 골프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004A true KR20210103004A (ko) 2021-08-23
KR102354304B1 KR102354304B1 (ko) 2022-01-24

Family

ID=7749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483A KR102354304B1 (ko) 2020-02-11 2020-02-11 골프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3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970B1 (ko) * 2009-09-04 2010-03-15 (주) 골프존 자동캐디기와 이를 구비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05960A (ko) * 2009-03-23 2010-10-01 장상훈 골프연습장치
KR101730532B1 (ko) * 2016-03-17 2017-05-04 주식회사 골프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이에 이용되는 볼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
KR101883106B1 (ko) * 2017-05-25 2018-07-27 박우현 매트 높낮이 가변형 골프 퍼팅연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5960A (ko) * 2009-03-23 2010-10-01 장상훈 골프연습장치
KR100946970B1 (ko) * 2009-09-04 2010-03-15 (주) 골프존 자동캐디기와 이를 구비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30532B1 (ko) * 2016-03-17 2017-05-04 주식회사 골프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이에 이용되는 볼 차단장치 및 제어방법
KR101883106B1 (ko) * 2017-05-25 2018-07-27 박우현 매트 높낮이 가변형 골프 퍼팅연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304B1 (ko)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3686A (en) Practice mat for golfers
US3843136A (en) Golf practice and amusement apparatus
US8287395B2 (en) Indoor golf game and training equipment
US9604117B2 (en) Golf stroke training device
US8702528B1 (en) Putting practice apparatus
US8414414B2 (en) Weight shifting device(s) for athletic training
EP1786529A2 (en) Golf training device
US20020103036A1 (en) Golf putting game with tilt mechanism
US4260157A (en) Golf game equipment
US3510135A (en) Training device for golfers
EP0428694A1 (en)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US7828677B2 (en) Driving range golf tee
US20050153788A1 (en) Putting game surface and method of play
KR102354304B1 (ko) 골프연습장치
US5564706A (en) Practice putting green
JP4033956B2 (ja) ゴルフ練習台
JP2004216155A (ja) ゴルフ練習及び運動マット
KR101492766B1 (ko) 골프퍼팅 연습장치
US6554716B1 (en) Golf “swing for accuracy” mat
GB2262453A (en) Golf mat
KR102418531B1 (ko) 스크린이 설치된 골프 게임장치
KR100986507B1 (ko) 골프연습장치
KR102602364B1 (ko) 스크린 골프에서 공놓는 위치를 지정해 주는 방법
KR20180040259A (ko) 골프게임용 퍼팅연습장치
KR101377102B1 (ko) 골프도구를 이용한 퍼팅 게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