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837B1 - 타격위치의 오류를 방지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타격위치의 오류를 방지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837B1
KR102304837B1 KR1020190023999A KR20190023999A KR102304837B1 KR 102304837 B1 KR102304837 B1 KR 102304837B1 KR 1020190023999 A KR1020190023999 A KR 1020190023999A KR 20190023999 A KR20190023999 A KR 20190023999A KR 102304837 B1 KR102304837 B1 KR 102304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hitting
golf ball
area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4909A (ko
Inventor
이의범
김갑수
곽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엠
Publication of KR20190104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58Means associated with the ball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g. speed,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63B2071/0641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with a marker advancing in function of the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 Y10S482/902Employing specific graphic or video displ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격매트, 감지부, 제어부, 표시부 및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타격매트에는 타격 전의 실제 골프공이 놓여지며 상기 타격매트는 복수의 타격영역을 갖고,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가 타격한 상기 실제 골프공의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가상 골프코스에서 가상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가상 골프코스 및 상기 가상 골프공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인디케이터는 사용자가 타격하기 전에, 상기 가상 골프코스에서 상기 가상 골프공이 위치하는 영역에 따라, 상기 타격매트의 복수의 타격영역 중에서 상기 실제 골프공을 놓고 타격해야 하는 타격위치를 안내한다.

Description

타격위치의 오류를 방지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VIRTUAL GOLF SYSTEM PREVENTING THE ERROR OF HITTING LOCATION}
본 발명은 가상 골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잘못된 타격위치에서 타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타격위치의 오류를 방지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입체영상 및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을 이용하여 현장에 나가지 않고도 스포츠 경기를 즐길 수 있는 시뮬레이션 장치들이 개발되어, 골프나 야구 등과 같은 스포츠에 적용된 가상의 실내 스포츠 경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대표적인 실내 스포츠인 스크린 골프의 경우에, 스크린을 통하여 골프장의 영상이 표시되어 마치 야외에서 실제의 골프 경기를 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주면서도, 야외의 필드에서 경기하는 것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세이브되기 때문에, 시간이나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야외 골프를 하기 어려운 바쁜 현대인들에게 인기가 높다.
그런데 실제 골프코스에는 페어웨이, 러프, 벙커, 워터 해저드 등과 같은 다양한 속성의 영역이 존재하고, 이들 영역에 따라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할 때의 타격감이나 타격 난이도가 달라진다. 예를 들면, 잔디가 짧은 페어웨이에서의 타격감과 페어웨이에 비하여 잔디가 긴 러프나 모래로 이루어진 벙커에서의 타격감은 전혀 다르다. 또한 타격 난이도도 페어웨이, 러프, 벙커의 순서로 증가한다. 스크린 골프의 경우,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의 골프코스에는 실제 골프코스와 대응되게 페어웨이, 러프 등의 다양한 영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지만, 실제의 플레이에 있어서 사용자는 단순히 타격매트 위에 놓인 골프공을 타격할 뿐이어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실제 골프에서 타격하는 영역에 따라 달라지는 타격감이나 타격 난이도의 차이를 체험할 수가 없다. 그 결과, 실제 골프장에서 플레이를 하는 것과 비교할 때 상당한 괴리감이 생길 수 있다.
스크린 골프 등과 같은 가상 스포츠 시뮬레이션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는, 실제의 플레이를 하고 있다는 리얼리티를 줄 수 있는지 여부라 할 수 있는데, 종래의 스크린 골프에서는 골프코스의 영역에 따라 타격감이나 타격 난이도가 달라지는 점을 체험하기 어려워서, 결국 리얼리티를 부여하는데에 미흡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의 스크린 골프장에는 페어웨이와 러프 등에 대응되게 다양한 형태의 인조잔디가 배치되어 있는 타격매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타격매트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크린 상의 골프코스에서 골프공의 착지위치가 페어웨이, 러프, 벙커 중 어디인지를 체크한 후, 착지위치에 대응하는 타격매트 상의 해당 영역에 골프공을 놓고 타격한다. 이러한 타격매트는 실제 골프에서 다양한 지형에서 타격하는 것과 같은 타격감이나 타격 난이도를 제공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매번 타격할 때마다 스크린에서 골프공의 착지위치가 어디인지를 파악하고 그에 맞추어 해당하는 타격매트 상의 영역에서 타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수 또는 고의로 스크린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점의 지형 속성과 부합하지 않는 다른 속성을 갖는 타격매트의 영역에서 타격할 가능성이 있어서 여전히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가 스크린 상의 골프공의 위치와 부합되지 않게 타격매트에 골프공을 배치한 후 타격하는 것과 같이, 잘못된 타격위치에서 타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타격위치의 오류를 방지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은 타격매트, 감지부, 제어부, 표시부 및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타격매트에는 타격 전의 실제 골프공이 놓여지며 상기 타격매트는 복수의 타격영역을 갖고,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가 타격한 상기 실제 골프공의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가상 골프코스에서 가상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가상 골프코스 및 상기 가상 골프공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인디케이터는 사용자가 타격하기 전에, 상기 가상 골프코스에서 상기 가상 골프공이 위치하는 영역에 따라, 상기 타격매트의 복수의 타격영역 중에서 상기 실제 골프공을 놓고 타격해야 하는 타격위치를 안내한다.
상기 가상 골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골프코스는 제1 가상영역과 제2 가상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타격매트는 제1 타격영역과 제2 타격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가상 골프공이 상기 제1 가상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타격영역을 상기 타격위치로서 안내하고, 상기 가상 골프공이 상기 제2 가상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2 타격영역을 상기 타격위치로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상 골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골프코스에서 상기 가상 골프공이 위치하는 영역은 가상 페어웨이, 가상 러프 및 가상 벙커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매트는 제1 타격영역과 제2 타격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타격영역은 상기 가상 러프와 가상 벙커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가상 골프공이 상기 가상 페어웨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타격영역을 상기 타격위치로서 안내하고, 상기 가상 골프공이 상기 가상 러프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서브영역 중에서 상기 가상 러프에 대응하는 서브영역을 상기 타격위치로서 안내하고, 상기 가상 골프공이 상기 가상 벙커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서브영역 중에서 상기 가상 벙커에 대응하는 서브영역을 상기 타격위치로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상 골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타격매트에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가상 타격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골프 시스템은 상기 실제 골프공을 상기 타격매트 근방으로 제공하는 골프공 제공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골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타격매트는 비타격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골프 시스템은 상기 실제 골프공을 상기 비타격영역으로 제공하는 골프공 제공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은, 타격매트, 제1 및 제2 골프공 제공수단, 감지부, 제어부 및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타격매트는 타격 전의 실제 골프공이 놓여지며, 제1 및 제2 타격영역을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 골프공 제공수단은 상기 타격매트에 상기 실제 골프공을 제공한다.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가 타격한 상기 실제 골프공의 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가상 골프코스에서 가상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가상 골프코스 및 상기 가상 골프공에 대한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제1 골프공 제공수단은 상기 실제 골프공을 상기 제1 타격영역에 제공하고, 상기 제2 골프공 제공수단은 상기 실제 골프공을 상기 제2 타격영역에 제공하며, 사용자가 타격하기 전에, 상기 가상 골프코스에서 상기 가상 골프공이 위치하는 영역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골프공 제공수단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타격매트에 상기 실제 골프공을 제공한다.
상기 가상 골프 시스템은 제3 골프공 제공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골프코스에서 상기 가상 골프공이 위치하는 영역은 가상 페어웨이, 가상 러프 및 가상 벙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타격영역은 상기 가상 페어웨이에 대응하고, 상기 제2 타격영역은 상기 가상 러프와 가상 벙커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골프공이 상기 가상 페어웨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골프공 제공수단이 상기 제1 타격영역에 상기 실제 골프공을 제공하고, 상기 가상 골프공이 상기 가상 러프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2 골프공 제공수단이 상기 복수의 서브영역 중에서 상기 가상 러프에 대응하는 서브영역에 상기 실제 골프공을 제공하고, 상기 가상 골프공이 상기 가상 벙커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3 골프공 제공수단이 상기 복수의 서브영역 중에서 상기 가상 벙커에 대응하는 서브영역에 상기 실제 골프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은 타격매트, 골프공 제공수단, 감지부, 제어부 및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타격매트는 타격 전의 실제 골프공이 놓여지며, 제1 및 제2 타격영역을 갖는다. 상기 골프공 제공수단은 상기 타격매트에 상기 실제 골프공을 제공한다.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가 타격한 상기 실제 골프공의 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가상 골프코스에서 가상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가상 골프코스 및 상기 가상 골프공에 대한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골프공 제공수단은 상기 실제 골프공을 상기 제1 타격영역에 전달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실제 골프공을 상기 제2 타격영역에 전달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타격하기 전에, 상기 가상 골프코스에서 상기 가상 골프공이 위치하는 영역에 따라 상기 골프공 제공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타격매트에 상기 실제 골프공을 제공한다.
상기 가상 골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 제공수단은 제3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골프코스에서 상기 가상 골프공이 위치하는 영역은 가상 페어웨이, 가상 러프 및 가상 벙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타격영역은 상기 가상 페어웨이에 대응하고, 상기 제2 타격영역은 상기 가상 러프와 가상 벙커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골프공 제공수단은, 상기 가상 골프공이 상기 가상 페어웨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타격영역에 상기 실제 골프공을 제공하고, 상기 가상 골프공이 상기 가상 러프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영역 중에서 상기 가상 러프에 대응하는 서브영역에 상기 실제 골프공을 제공하고, 상기 가상 골프공이 상기 가상 벙커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3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영역 중에서 상기 가상 벙커에 대응하는 서브영역에 상기 실제 골프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크린 상의 골프공 위치와 부합하지 않는 타격매트의 잘못된 위치에 골프공을 놓고 타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스크린 상의 골프공의 착지위치에서 타격하는 것 같은 타격감이나 타격 난이도를 체감할 수 있어서 실제의 골프 플레이에 근접한 리얼리티를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가상 골프 시스템의 주요 구성들에 대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서 타격매트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동작방식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동작방식에 있어서 페널티 포인트가 부과되지 않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동작방식에 있어서 페널티 포인트가 부과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부정타격에 대해 페널티 포인트를 부과하는 여러가지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페널티 포인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여러가지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페널티 포인트 방식과 관련하여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 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인디케이터를 스크린 화면에 표시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동작방식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7의 동작방식에 따라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스크린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동작방식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도 21의 동작방식에 따라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스크린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5 내지 도 28은 인디케이터의 다양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 및 도 31은 도 29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인디케이터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2 및 도 33은 도 1 또는 도 29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여러가지 동작방식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 내지 도 37은 도 34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상 골프 시스템은 타격 플레이트(P), 타격매트(M), 감지부(10), 입력부(20), 제어부(30), 표시부(40)를 포함한다.
타격 플레이트(1)는 사용자가 위치하여 골프공을 타격하는 타격존에 해당한다. 타격 플레이트(1)에는 타격매트(M)가 구비되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타격매트(M)에는 사용자에게 골프공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타격용 골프공이 제공될 수 있다.
감지부(10)는 사용자가 타격할 골프공이 타격매트(M) 상에서 어디에 놓여 있는지를 감지하고, 또한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에 관한 전반적인 상태 정보를 감지한다. 감지부(10)로서, 골프공의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뿐만 아니라 골프공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면 감지센서 등 어떠한 감지수단이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나 감지센서 등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또한 1대만 사용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여러 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스크린 골프에서는 사용자가 로그인을 위하여 자신의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플레이 하고자 하는 골프코스나 플레이 난이도 등을 선택하는 경우 등과 같이 사용자로부터의 정보입력이 필요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 입력부(20)가 구비된다.
제어부(30)는 스크린 골프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고, 또한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한 후에는 표시부(40)에 표시될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한다.
표시부(40)는 영상 처리유닛(41)과 스크린(42)을 포함한다. 영상 처리유닛(41)은 가상의 골프코스와 가상의 골프공을 포함하는 영상이 스크린(4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관련 영상을 스크린(42)에 투사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빔 프로젝터와 같은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스크린(42)은 골프 관련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스크린(4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의 골프코스에는 실제의 골프코스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속성을 갖는 영역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면 가상의 골프코스에는 페어웨이, 러프, 벙커, 워터 해저드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사용자에게 게임의 진행 상황을 안내하고 게임의 진행에 따른 각종 효과음을 재생하기 위한 음성 처리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가상 골프 시스템의 주요 구성들에 대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상 골프 시스템의 동작시, 감지부(10)에 의하여 감지된 사항(타격 전 골프공이 놓여 있는 위치,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물리적인 상태 등) 및 입력부(20)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정보는 제어부(30)에 전달된다. 제어부(30)는 감지부(10)에서의 감지결과에 의거하여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가상의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고, 표시부(40)를 통하여 산출된 결과를 반영한 영상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도록 작동한다. 여기서 산출된 골프공의 움직임은, 타격된 골프공이 실제 골프장에서 비행한다고 가정할 때의 움직임이다. 즉, 가상 골프 시스템이 설치되는 스크린 골프장은 그 공간이 작기 때문에 타격된 골프공은 스크린 골프장의 벽이나 스크린에 충돌하게 되는데, 이러한 충돌이 없다고 가정하는 경우에 골프공이 어떠한 움직임을 나타내게 될 지를 타격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골프공의 이동속도, 이동방향, 회전상태 등)에 근거하여 산출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맞추어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도록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자신이 플레이 하고자 하는 골프코스를 입력한 경우에 선택된 가상의 골프코스가 표시부(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도록 작동한다. 위와 같은 제어부(30)의 동작을 위해서는 가상의 골프코스의 전경이나 지형의 데이터, 골프공 궤적의 시뮬레이션 계산을 위한 소정의 데이터 등이 필요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제어부(30)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31)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데이터베이스(31)는 제어부(30)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달리 데이터베이스(31)는 제어부(30)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거나 스크린 골프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자가 운영하는 서버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서 타격매트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타격매트(M)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타격매트(M)는 제1 타격영역(HA1)과 제2 타격영역(HA2)으로 구분되는데, 제1 타격영역(HA1)은 제2 타격영역(HA2)에 비하여 타격 난이도가 낮은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제2 타격영역(HA2)도 서로 타격 난이도가 상이한 2개의 서브 영역(Sub1, Sub2)으로 구분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타격매트(M)는 타격 난이도가 상이한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타격매트(M)에서 구분되어 있는 영역은 실제 골프장에서의 다양한 속성을 갖는 지형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제의 골프장에는 페어웨이, 러프, 벙커, 워터 해저드 등의 다양한 속성을 갖는 지형이 있다. 상기 러프는 페어웨이에 비하여 잔디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는 지역인데, 이와 같이 잔디가 긴 러프에서는 잔디가 짧은 페어웨이보다는 타격하기 어려워서 타격 난이도가 높다. 또한, 상기 벙커는 주로 모래로 이루어진 지역을 나타내는데, 모래에서는 타격하기 어려워서 잔디 지역(페어웨이, 러프)에 비하여 타격 난이도가 높다.
타격매트(M)는 페어웨이, 러프, 벙커와 같은 실제 골프장에서의 다양한 속성을 갖는 지형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1 타격영역(HA1)은 실제 골프에서 타격 난이도가 가장 낮은 페어웨이에 대응하고, 제2 타격영역(HA2)은 페어웨이에 비하여 타격 난이도가 높은 비페어웨이(본 명세서에서, 러프, 벙커 등 페어웨이에 비하여 타격 난이도가 높은 영역을 통칭하여 편의상 '비페어웨이'라고 명명한다)에 대응하며, 제2 타격영역(HA2)의 2개의 서브 영역(Sub1, Sub2)은 서로 타격 난이도가 상이한 러프와 벙커에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페어웨이와 러프는 길이가 서로 다른 인조잔디로 형성하고, 벙커는 모래에서 타격하는 것 같은 타격감을 줄 수 있는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실제 골프에서는 워터 해저드와 같이 페어웨이, 러프, 벙커 이외의 다른 지형이 있을 수 있고, 러프나 벙커도 라이트 러프, 헤비 러프, 페어 벙커, 그린 벙커와 같이 세분화될 수 있기 때문에, 타격매트(M)는 실제 골프장의 지형을 다양한 방식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도 3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린에는 가상의 골프코스가 디스플레이되는데, 가상의 골프코스는 실제의 골프코스를 반영하고 있다. 즉, 실제 골프코스에 페어웨이, 러프, 벙커 등과 같은 다양한 속성을 갖는 지형이 있듯이, 스크린의 가상 골프코스에도 가상 페어웨이, 가상 러프, 가상 벙커 등과 같은 다양한 속성을 갖는 지형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페어웨이, 러프, 벙커'라는 용어가 타격매트와 스크린에 공통적으로 사용되어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페어웨이, 러프, 벙커' 등에 대해서는 '가상(Virtual;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라는 의미)'이라는 용어를 붙여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타격매트의 '페어웨이, 러프, 벙커' 등에 대해서는 그대로 사용하거나 혼동의 가능성이 높을 때는 '실제(Real; 현실 세계에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라는 의미)'라는 용어를 붙여서 사용할 수 있다. '페어웨이, 러프, 벙커'뿐만 아니라 골프코스, 골프공 등 다른 용어에 대해서도, 혼동의 가능성이 있을 때에는 '가상', '실제'와 같은 용어를 붙여서 언급할 것이다.
위와 같이, 타격매트(M)에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역과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이 구비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크린의 가상 골프공이 놓여있는 영역과 타격매트(M)의 실제 골프공이 놓여있는 영역이 서로 대응하도록 실제의 골프공을 배치한 후 플레이 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고의 또는 실수로 실제 골프공의 위치를 잘못 배치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감안한 특유의 동작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동작방식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5의 동작방식에 있어서 페널티 포인트가 부과되지 않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5의 동작방식에 있어서 페널티 포인트가 부과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동작방식에 따르면 도 1의 가상 골프 시스템은 감지단계(S10), 산출단계(S20), 표시단계(S30)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동작방식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가상 골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1 및 이와 관련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도면참조부호가 사용되어 있다.
감지단계(S10)에서는 감지부(10)가 사용자가 타격할 실제 골프공이 타격매트(M)의 어디에 놓여 있는지를 감지하고 또한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물리적인 상태 등을 감지한다. 산출단계(S20)에서는 감지단계(S10)에서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제어부(30)가 가상 골프코스에서 가상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한다. 표시단계(S30)에서는 표시부(40)가 산출단계(S20)에서의 산출결과가 반영된 상기 가상 골프코스 및 상기 가상 골프공에 대한 영상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산출단계(S20)는 복수의 서브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산출단계(S20)는, 제1 서브단계(S21)에서 사용자의 타격시 타격매트(M)에 실제 골프공이 놓여있는 영역과 스크린(42)의 가상 골프코스에 가상 골프공이 놓여있는 영역이 상응하는지 체크하고, 상기 체크의 결과에 따라 제2 서브단계(S22)에서 사용자에게 페널티 포인트를 부과할 수 있고, 제3 서브단계(S23)에서 사용자의 타격에 따른 실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로부터 가상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서브단계(S21)에서 사용자가 부정타격(본 명세서에서 '부정타격'이란 스크린 상의 가상 골프공의 착지위치와 타격매트 상에서 실제 골프공이 놓여있는 타격위치가 상응하지 않은 상태에서 타격한 것을 의미한다.)을 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서브단계(S22)에서 해당 사용자에게 페널티 포인트를 부과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6은, 제1 서브단계(S21)에서의 체크결과, 타격매트에 실제 골프공이 놓여있는 영역과 스크린의 가상 골프코스에 가상 골프공이 위치하는 영역이 상응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스크린의 가상코스에 있어서 가상 골프공(VB; Virtual Ball)이 가상 페어웨이에 위치하는 경우, 실제 골프공(RB; Real Ball)이 타격매트의 페어웨이 영역에 놓여 있다면, 가상 골프공(VB)과 실제 골프공(RB)은 서로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된다. 또한, 스크린의 가상코스에 있어서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러프에 위치하고 실제 골프공(RB)이 타격매트의 러프 영역에 놓여 있는 경우(도 6의 (b))와, 스크린의 가상코스에 있어서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벙커에 위치하고 실제 골프공(RB)이 타격매트의 벙커 영역에 놓여 있는 경우(도 6의 (c))에도 가상 골프공(VB)과 실제 골프공(RB)은 서로 상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된다. 즉,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3가지 경우는, 스크린의 가상코스에 가상 골프공(VB)이 위치하고 있는 지형의 속성이나 타격 난이도에 부합하도록, 실제 골프공(RB)을 타격매트의 상응하는 영역에 놓고 타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위와 같이 타격매트에 실제 골프공(RB)이 놓여있는 영역과 스크린의 가상 골프코스에 가상 골프공(VB)이 위치하는 영역이 상응하는 경우에는 페널티 포인트가 부과되지 않는다.
도 7은, 제1 서브단계(S21)에서의 체크결과, 타격매트에 실제 골프공이 놓여있는 영역과 스크린의 가상 골프코스에 가상 골프공이 놓여있는 영역이 상응하지 않는 예를 나타낸다. 도 7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가상코스에 있어서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러프나 가상 벙커에 위치하는 경우, 실제 골프공(RB)이 타격매트의 페어웨이 영역에 놓여 있다면, 가상 골프공(VB)과 실제 골프공(RB)은 서로 상응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된다. 또한,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가상코스에 있어서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벙커에 위치하고 실제 골프공(RB)이 타격매트의 러프 영역에 놓여져 있는 경우에도 가상 골프공(VB)과 실제 골프공(RB)은 서로 상응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는 가상 골프코스에 가상 골프공(VB)이 놓여 있는 영역의 타격 난이도와 대응하는 타격 난이도를 갖는 타격매트 상의 영역에 실제 골프공(RB)을 놓고 타격하지 않고 있어서, 일종의 부정타격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가령, 도 7의 (a)의 경우를 살펴보면, 스크린에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러프에 놓여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와 대응되게 타격매트의 러프 영역에 실제 골프공(RB)을 놓고 타격해야 함에도, 러프 영역보다 타격 난이도가 낮은 페어웨이 영역에 실제 골프공(RB)이 놓여 있으므로, 가상 골프코스를 기준으로 했을 때보다 타격 난이도가 낮아져서 타격상 부당한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사용자가 혼자서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하는 경우에는 부정타격을 하는지 여부가 중요하지 않지만, 다른 사용자와 함께 플레이하는 경우에는 특정 사용자가 부정타격을 하면 함께 플레이하는 다른 사용자에게는 불공정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를 감안하여 부정타격을 하는 사용자에게 페널티 포인트를 부과한다. 페널티 포인트에 대한 상세설명은 다른 도면을 참조하면서 후술하도록 한다.
참고로, 도 7에는 타격매트에 놓여있는 실제 골프공(VB)의 타격 난이도가 가상 골프코스 상에서 가상 골프공(RB)이 놓여있는 영역의 타격 난이도보다 낮은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반대의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린의 가상코스에 있어서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페어웨이에 위치하고, 실제 골프공(RB)이 타격매트의 러프나 벙커 영역에 놓여있는 경우이다. 이때는 사용자가 오히려 불리한 상황에서 타격하는 것이라 볼 수 있는데, 해당 사용자가 타격 난이도 상 이득을 본 것은 아니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페널티 포인트를 부과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또는 해당 사용자가 이득을 보는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가상 골프공(VB)과 실제 골프공(RB)이 서로 상응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정하다고 볼 수는 없으므로, 이 경우에도 페널티 포인트를 부과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 서브단계(S21)에서 타격매트에서의 실제 골프공 위치와 가상 골프코스에서의 가상 골프공의 위치가 서로 상응하는지를 체크하면, 상기 체크의 결과에 따라 제2 서브단계(S22)에서 사용자에게 페널티 포인트를 부과한 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될 가상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제3 서브단계(S23)가 수행된다. 상기 궤적의 산출과정에서는 사용자가 타격한 실제 골프공의 상태에 근거하여 가상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타격한 실제 골프공을 체크하여 상기 실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로부터 궤적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로서는 볼의 이동속도, 볼의 회전을 나타내는 스핀, 타격에 의하여 날아가는 볼의 수평면상에서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위각과 볼이 수평면에 대해서 기울어진 각도를 나타내는 상하각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동속도, 스핀, 방위각, 상하각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근거로 하여 물리법칙을 이용한 계산 모델을 적용하면 볼의 궤적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속도, 스핀, 방위각, 상하각 등의 파라미터는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이 파라미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보다 정밀하게 궤적을 산출하기 위해서 다른 파라미터가 더 추가될 수도 있고 또는 일부 파라미터를 생략하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산출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페널티 포인트를 부과하는 방식과 페널티 포인트가 사용자의 플레이에 미치는 불이익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부정타격에 대해 페널티 포인트를 부과하는 여러가지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페널티 포인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여러가지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방식(A), 제2 방식(B), 제3 방식(C) 등과 같은 여러가지 페널티 포인트 부과방식이 예시되어 있다.
페널티 포인트를 부과하는 제1 방식(A)은, 가장 단순하게 부정타격 횟수와 페널티 포인트를 1대1로 산정하여 부정타격이 발생할 때마다 1점씩 페널티 포인트를 부과하는 것이다. 참고로, 도 8의 표에 나타나 있는 페널티 포인트는 페널티 포인트가 발생한 시점까지의 총합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방식(A)에 있어서, 부정타격 1회시에 페널티 포인트 1점이 발생하여 현재까지의 페널티 포인트 총점 1점이 표에 기재되어 있고, 부정타격 2회시에는 페널티 포인트 1점이 더 발생하여 현재까지의 페널티 포인트 총점 2점이 표에 기재되어 있다.
제2 방식(B)은 일종의 가중치에 따라 페널티 포인트를 부과하는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정타격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페널티 포인트 점수도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부정타격 1회시 페널티 포인트 0.2점이 발생하고(총점 0.2), 부정타격 2회시에는 페널티 포인트 0.3점이 발생하며(총점 0.2+0.3=0.5), 부정타격 3회시에는 페널티 포인트 0.5점이 발생하는(총점 0.2+0.3+0.5=1) 방식으로, 부정타격 횟수가 증가할수록 더 높은 페널티 포인트가 부과된다.
제3 방식(C)은 어떠한 상황에서 페널티 포인트가 발생했는지를 체크하여, 각 상황에 따라 페널티 포인트를 다르게 부과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의 (a), (b)를 다시 참조하면, 도 7의 (a)에서는 스크린에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러프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타격매트의 러프 영역에 실제 골프공(RB)을 놓고 타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페어웨이 영역에서 타격하고 있다. 만약 러프 영역과 페어웨이 영역 사이의 타격 난이도의 차이를 제1 차이(Δ1)라고 한다면, 사용자는 부정타격으로 인하여 타격 난이도에 있어서 제1 차이(Δ1)만큼 이득을 보게 된다. 이에 비하여, 도 7의 (b)에서는 스크린에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벙커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타격매트의 벙커 영역에 실제 골프공(RB)을 놓고 타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페어웨이 영역에서 타격하고 있다. 만약 벙커 영역과 페어웨이 영역 사이의 타격 난이도의 차이를 제2 차이(Δ2)라고 한다면, 사용자는 부정타격으로 인하여 타격 난이도에 있어서 제2 차이(Δ2)만큼 이득을 보게 된다. 일반적으로 벙커 영역에서의 타격이 러프 영역에서의 타격보다 어렵기 때문에, 상기 제2 차이(Δ2)는 제1 차이(Δ1)보다 크다. 즉, 도 7의 (b)의 경우가 도 7의 (a)의 경우에 비하여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이득이 더 크다. 이와 같이 부정타격을 했을 때의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이득이 다르기 때문에, 이득이 클수록 페널티 포인트 점수가 높아지도록 할 수 있고, 이것이 도 8의 제3 방식(C)에 적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방식(C)에 있어서, 1회와 3회째의 부정타격은 도 7의 (a)와 같은 상황에서 발생한 것이고, 2회, 4회, 5회째의 부정타격은 도 7의 (b)와 같은 상황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가정한다.
상기 가정하에서, 도 7의 (a)와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부당하게 얻을 수 있는 이득이 낮다는 점을 감안하여 0.5점의 페널티 포인트를 부과한다. 따라서, 부정타격 1회시 페널티 포인트 0.5점이 발생하여 총점 0.5가 표에 기재되어 있고, 부정타격 3회시에도 페널티 포인트 0.5점이 발생(부정타격 3회시 까지의 총점 2 - 부정타격 2회시 까지의 총점 1.5 = 0.5)하여 총점 2가 표에 기재되어 있다. 한편, 도 7의 (b)와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부당하게 얻을 수 있는 이득이 높다는 점을 감안하여 1점의 페널티 포인트를 부과한다. 가령, 부정타격 2회시 페널티 포인트 1점이 발생(부정타격 2회시 까지의 총점 1.5 - 부정타격 1회시 까지의 총점 0.5 = 1)하여 총점 1.5가 표에 기재되어 있다.
도 8은 페널티 포인트를 부과하는 몇 가지 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이어서, 페널티 포인트를 부과하는 방식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매우 다양한 다른 방식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페널티 포인트를 부과하는 것은 부정타격으로 이득을 얻은 사용자에게 불이익을 주기 위한 것인데, 단순히 페널티 포인트가 있다는 점만으로는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불이익을 주었다고 볼 수 없다. 이하에서는 페널티 포인트를 이용하여 부정타격의 사용자에게 불이익을 줄 수 있는 여러가지 방식 중 몇 가지 예(아래의 (1) ~ (4) 참조)를 살펴본다.
(1) 페널티 포인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벌타를 부여할 수 있다. 벌타는 원래 골프에서 연습 스윙을 하는데 골프공을 건드리거나 골프공이 몸에 맞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경우에 부여될 수 있는데, 스크린 골프에서도 페널티 포인트를 벌타로 환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불이익을 줄 수 있다. 페널티 포인트를 벌타로 환산하는 데에도 여러가지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단순하게 페널티 포인트와 벌타의 값을 1대1로 산정하여 페널티 포인트의 총점이 자연수값이 될 때마다 1벌타가 부여되도록 하거나(도 9의 표에서 'D' 부분 참조), 또는 페널티 포인트와 벌타의 값을 2대1로 산정(2대1이 아닌 다른 값으로 산정하는 것도 가능)하여 페널티 포인트의 총점이 2의 배수값이 될 때마다 1벌타가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도 9의 표에서 'E' 부분 참조).
(2) 페널티 포인트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멀리건(mulligan)의 기회를 박탈할 수 있다. 멀리건이란 샷이 크게 잘못되었을 때 이를 취소하고 다시 샷을 할 수 있도록 주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 스크린 골프를 하는 사용자들은 시작하기 전에 각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멀리건의 횟수를 설정하고 플레이 한다. 가령, 멀리건을 3으로 설정한 경우, 각 사용자는 플레이를 하는 동안 3번의 워스트 샷을 취소할 수 있다. 이러한 멀리건의 기회를 박탈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이익이 되므로, 페널티 포인트를 이용하는 한 가지 방식으로 멀리건의 사용횟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페널티 포인트를 어떠한 방식으로 환산하여 멀리건의 기회를 감소시킬 것인지에 대해서는, 벌타를 환산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또는 다른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널티 포인트의 총점이 자연수값이 될 때마다 멀리건 기회를 1회씩 박탈하거나(도 9의 표에서 'D' 부분 참조) 또는 페널티 포인트의 총점이 2의 배수값이 될 때마다 멀리건의 기회를 1회씩 박탈할 수 있다(도 9의 표에서 'E' 부분 참조).
도 9는 페널티 포인트를 벌타 또는 멀리건 기회의 박탈로 환산할 수 있는 몇 가지 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이며, 여기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매우 다양한 환산방식들이 적용될 수 있다.
(3) 페널티 포인트를 이용하여 컨시드(concede)로 인정되는 거리의 범위가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컨시드란 퍼팅한 골프공이 홀컵(hole cup)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있으면 홀 인(hole in)으로 인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 스크린 골프를 하는 사용자들은 시작하기 전에 컨시드의 범위를 설정하고 플레이 한다. 가령, 컨시드를 1.5m로 설정한 경우, 홀컵으로부터 반경 1.5m 이내에 위치하는 골프공은 홀인으로 간주한다. 만약 컨시드의 범위가 줄어들면, 사용자는 홀컵에 최대한 가깝게 퍼팅을 해야 홀인이 인정될 수 있다. 따라서 컨시드로 인정되는 거리가 줄어드는 것은 해당 사용자에게 불이익이 되므로, 페널티 포인트를 이용하는 한 가지 방식으로 컨시드 거리를 감소시키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시드가 1.5m로 설정된 경우, 페널티 포인트가 1일때 컨시드가 1m가 되게 하고, 페널티 포인트가 2일때 컨시드가 0.5m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페널티 포인트를 컨시드 거리의 감소로 환산하는 한 가지 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이며, 여기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매우 다양한 환산방식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4) 페널티 포인트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각종 정보가 제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크린 골프에 있어서 스크린에서 보여지는 골프코스는 실제 골프장의 골프코스를 그대로 반영하여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가령 실제 골프장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홀컵 부근의 지역에 경사도나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스크린의 골프코스에도 홀컵 부근 지역의 경사도나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퍼팅을 할 때에 상기 경사도나 높낮이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으면 퍼팅에 성공하기 어렵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만으로 홀컵 부근 지역의 경사도나 높낮이를 파악하여 올바르게 퍼팅하기는 대단히 곤란하기 때문에, 스크린 골프에서는 가상의 캐디가 스크린에 나타나서 가상의 골프공(VB)의 위치와 홀컵 부근 지역의 경사도나 높낮이를 고려한 적절한 어드바이스(예를 들면, "왼쪽으로 약 20도 각도로 퍼팅하세요"와 같이 퍼팅 방향을 제시)를 제공한다. 이러한 어드바이스가 없으면 퍼팅 난이도가 급격히 상승하기 때문에, 상기 어드바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이익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페널티 포인트를 이용하는 한 가지 방식으로 퍼팅이나 샷 등에 유용한 각종 정보나 어드바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각종 정보나 어드바이스 미제공시, 사용자의 입장에서 당연히 제공될 것이라 예상했던 어드바이스 등이 제공되지 않아서 당황할 수 있으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사용자에게 페널티 포인트 때문에 어드바이스 등이 제공될 수 없음을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4)에서 페널티 포인트를 이용하여 부정타격의 사용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방법을 설명하였는데, (1) - (4)는 불이익을 줄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 중 몇 가지 예일 뿐이며,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은 매우 다양한 다른 방식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1) - (4)의 방식은 각각 독자적으로 적용될 수 있지만, 다른 방식들과 결합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페널티 포인트가 작을 때에는 (2)의 방식에 따라 멀리건의 기회를 박탈하고, 페널티 포인트가 소정값 이상이 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이미 멀리건의 일부나 전부를 사용하여 더 이상 박탈할 멀리건의 기회가 남아있지 않을 때에는 (4)의 방식에 따라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나 어드바이스를 제공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1) - (4)의 방식을 결합하는 다른 예로서, 도 7의 (a)와 같이 사용자가 얻는 부당이득의 정도나 낮을 때는 (3)의 컨시드 거리의 축소방식을 적용하고, 도 7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얻는 부당이득의 정도가 높을 때는 (1)의 벌타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페널티 포인트가 있는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방식으로 불이익을 줄 수 있지만, 사용자마다 다른 방식으로 불이익을 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린 골프 플레이를 시작하기 전에 각 사용자마다 원하는 불이익의 방식을 미리 설정하여, 어떤 사용자에게는 벌타를 주고 다른 사용자에게는 멀리건 기회를 박탈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페널티 포인트에 대해서 반드시 불이익이 발생하도록 처리할 필요는 없다. 즉, (1) - (4)와 같이 페널티 포인트를 근거로 특정한 불이익이 발생하도록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결정하지 않고, 사용자들이 스크린 골프를 완료한 후 스스로 페널티 포인트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 스크린 골프를 함께 플레이 하는 사용자들이 다른 사람이 부정타격을 하는 것을 허용한다면, 페널티 포인트가 부과된 것에 별도의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이를 묵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자체에서 페널티 포인트에 대한 별도의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고 단지 페널티 포인트가 부과되어 그 값만 표시하더라도, 스크린 골프를 함께 플레이한 사용자들끼리 페널티 포인트가 가장 높은 사람이 스크린 골프 비용을 지불하도록 약정함으로써, 페널티 포인트에 따른 경제적인 불이익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페널티 포인트를 부과하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는데, 스크린 등을 통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페널티 포인트 방식과 관련하여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플레이 하는 경우, 스크린에는 가상 골프코스 및 가상 골프공 등이 표시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또한 이 화면에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윈도우(44)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윈도우(44)에는 각 사용자에 대한 간략한 정보와 함께 현재까지 부과된 페널티 포인트의 총점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A에 대한 윈도우에 사용자의 이름과 사용자A에게 현재까지 부과된 페널티 포인트가 표시되고, 사용자B에 대한 윈도우에 사용자의 이름과 사용자B에게 현재까지 부과된 페널티 포인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윈도우에 페널티 포인트가 표시됨으로써, 각 사용자는 현재까지의 페널티 포인트를 항상 확인할 수 있고 추후의 플레이에서 더 이상의 페널티 포인트가 부과되지 않도록 주의할 수 있다.
도 12의 (b) 및 (c)를 참조하면,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윈도우(44)에, 각 사용자에 대한 간략한 정보 및 현재까지 부과된 페널티 포인트와 함께 상기 페널티 포인트에 의한 불이익으로서의 벌칙내용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페널티 포인트에 의한 벌칙과 관련하여, 도 12의 (b)와 같이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벌칙(예를 들면, 벌타)이 부과될 수 있고, 도 12의 (c)와 같이 사용자마다 원하는 벌칙이 상이한 경우 등에는 사용자마다 다른 벌칙(예를 들면, 벌타, 멀리건 횟수)이 부과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페널티 포인트에 따른 벌칙까지 표시된다면, 단순히 페널티 포인트만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사용자는 구체적인 벌칙의 내용까지 인지하기 때문에 더욱 경각심을 가지고 페널티 포인트가 부과되지 않도록 주의할 수 있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스크린에는 가상 골프코스 및 가상 골프공 등이 표시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또한 이 화면에는 현재 타격을 준비하고 있는 사용자가 실수로 부정타격을 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내 표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안내 표시는 사용자가 부정타격이 되는 이유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있다면 어떠한 형식을 사용하든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 표시는 현재 타격매트의 상황을 보여주는 타격매트 이미지(45)로 나타낼 수 있다. 타격매트 이미지(45)는 실제의 타격매트와 마찬가지로, 페어웨이 영역 이미지(45a), 러프영역 이미지(45b), 벙커영역 이미지(45c)를 포함한다. 또한, 타격매트 이미지(45)에는 실제의 타격매트에서 실제 골프공이 놓여 있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골프공 이미지(46)가 표시되어 있다. 즉, 타격매트 이미지(45)와 골프공 이미지(46)는 실제의 타격매트와 여기에 놓여있는 실제의 골프공의 상황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가상 골프공(VB)이 가상벙커에 위치하는데, 실제 타격매트에서는 실제 골프공이 페어웨이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면, 타격매트 이미지(45)의 골프공 이미지(46)도 페어웨이 영역 이미지(45a)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크린 속의 가상 골프공의 위치와 타격매트 이미지(45)를 비교함으로써, 자신이 부정타격을 하는지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실수로 부정타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매트 이미지(45)와 함께 골프공을 올바른 위치로 옮기도록 지적하는 안내 메시지까지 제공되면 부정타격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타격매트 이미지(45)를 변형하여 페널티 포인트에 관한 정보까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타격매트 이미지(45) 중 골프공의 올바른 위치에는 골프공 이미지(46)를 표시하고, 부정타격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여기에서 타격할 때 부과될 수 있는 페널티 포인트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가상 골프공(RB)이 가상벙커에 위치하는 경우, 타격매트 이미지(45) 중 벙커영역 이미지(45c)에는 골프공 이미지(46)를 표시하고, 타격매트 이미지(45) 중 러프영역 이미지(45b)에는 여기서 타격하는 경우에 부과될 페널티 포인트 0.5를 표시하고, 타격매트 이미지(45) 중 페어웨이 영역 이미지(45a)에는 여기서 타격하는 경우에 부과될 페널티 포인트 1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격매트 이미지(45)에 페널티 포인트까지 표시된다면, 사용자는 구체적으로 부과되는 페널티 포인트의 값을 인지하게 되어 더욱 경각심을 가지고 부정타격을 하지 않도록 주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들은 주로 부정타격이 발생하였을 때의 사후적 조치(페널티 포인트 부과)에 포커스가 맞추어진 것인데, 부정타격 자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사전적 조치도 중요하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격매트 이미지(45)와 골프공 이미지(46)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올바른 타격위치를 안내함으로써 부정타격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올바른 타격위치를 안내하는 표시(이하에서는 이를 '인디케이터'라 명명한다.)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잘못된 타격위치에서 타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즉 타격위치의 오류를 방지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 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인디케이터를 스크린 화면에 표시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스크린에는 올바른 타격위치를 안내하는 인디케이터(I)가 표시된다. 인디케이터(I)는 타격매트 이미지(45)와 골프공 이미지(46)를 포함한다. 타격매트 이미지(45)는 실제의 타격매트와 마찬가지로, 페어웨이 영역 이미지(45a), 러프영역 이미지(45b), 벙커영역 이미지(45c)를 포함한다. 따라서 타격매트 이미지(45)는 실제의 타격매트를 스크린 속의 가상 세계에 표현했다는 의미에서 '가상 타격매트'라 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I)는 골프공 이미지(46)가 표시된 영역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올바른 타격위치를 안내한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페어웨이에 있을 때에는, 타격매트의 페어웨이에 상응하는 영역이 올바른 타격위치가 되며, 인디케이터(I)에 있어서 골프공 이미지(46)는 페어웨이 영역 이미지(45a)에 표시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러프에 있을 때에는, 타격매트의 러프에 상응하는 영역이 올바른 타격위치가 되며, 인디케이터(I)에 있어서 골프공 이미지(46)는 러프 영역 이미지(45b)에 표시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벙커에 있을 때에는, 타격매트의 벙커에 상응하는 영역이 올바른 타격위치가 되며, 인디케이터(I)에 있어서 골프공 이미지(46)는 벙커 영역 이미지(45c)에 표시된다.
위와 같이 인디케이터(I)가 올바른 타격위치를 안내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스크린 상의 골프공의 위치와 부합되지 않는 타격매트 상의 영역에 골프공을 놓고 타격하는 부정타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인디케이터는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것과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또한 인디케이터를 어떠한 형태로 구성하는지에 따라 가상 골프 시스템의 동작방식도 달라질 수 있다.
도 17은 도 1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동작방식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7의 동작방식에 따라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스크린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1은 도 1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동작방식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2 내지 도 24는 도 21의 동작방식에 따라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스크린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동작방식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가상 골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1 및 이와 관련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도면참조부호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동작방식에 있어서 제1 단계(S100)에서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골프코스에서 가상 골프공(VB)이 놓여 있는 지점을 감지한다.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골프코스에는 페어웨이, 러프, 벙커 등과 같은 다양한 지형이 존재한다. 최초 티오프시에는 가상 골프공은 가상 페어웨이에 있는 티(Tee) 위에 위치하지만, 이후에는 사용자의 타격결과에 따라 가상 골프공은 가상 골프코스내에 있는 가상 페어웨이, 가상 러프, 가상 벙커 등과 같은 여러가지 지형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의 타격결과는 제어부(30; 도 1 참조)에서 산출되므로, 제어부는 상기 산출시에 가상 골프공이 최종적으로 위치하는 지점을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가상 골프공이 착지하는 지점이 어떠한 지형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단계(S200)에서는 스크린에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상 타격매트(1)가 디스플레이된다. 가상 타격매트(1)는 실제의 타격매트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가상 타격매트(1)는 실제 타격매트(M; 도 3 참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가상 타격매트(1)는 제1 가상영역(2)과 제2 가상영역(3a, 3b)을 포함하고, 제1 가상영역(2) 및 제2 가상영역(3a, 3b)은 각각 타격매트의 제1 타격영역(HA1; 도 3 참조)과 제2 타격영역(HA2; 도 3 참조)에 대응한다. 또한 제2 가상영역은 복수의 가상서브영역(3a, 3b)을 포함하며, 이들 복수의 가상서브영역(3a, 3b)은 타격매트에 있어서 제2 타격영역(HA2)의 복수의 서브영역(Sub1, Sub2; 도 3 참조)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타격영역(HA1)이 페어웨이 지형에 대응하고, 제2 타격영역(HA2)의 복수의 서브영역역(Sub1, Sub2)이 러프와 벙커 지형에 대응한다면, 제1 가상영역(2)도 페어웨이에 대응하고 제2 가상영역의 복수의 가상서브영역(3a, 3b)도 러프와 벙커에 대응될 수 있다.
가상 타격매트(1)에는 올바른 타격위치를 나타내는 식별자(4)가 표시되며, 결국 가상 타격매트(1)와 식별자(4)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I; Indicator)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올바른 타격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가상의 골프코스 상의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페어웨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 사용자가 타격매트(M)에서 실제 골프공을 놓고 타격해야 하는 위치는 페어웨이에 대응하는 제1 타격영역(HA1)이다. 가상 타격매트(1)의 인디케이터(I)는 페어웨이를 나타내는 제1 가상영역(2)이 올바른 타격위치임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1 가상영역(2)에 '○' 식별자(4)를 표시한다. 또한 인디케이터(I)는 러프나 벙커를 나타내는 제2 가상영역이 잘못된 타격위치임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2 가상영역의 가상서브영역(3da, 3b)에 '×' 식별자(4)를 표시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가상 골프공(VB)의 위치가 가상 러프인 경우, 인디케이터(I)는 제2 가상영역의 가상서브영역(3a)에 '○' 식별자(4)를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2, 3b)은 '×' 식별자(4)를 표시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가상 골프공(VB)의 위치가 가상 벙커인 경우, 인디케이터(I)는 제2 가상영역의 가상서브영역(3b)에 '○' 식별자(4)를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2, 3a)은 '×' 식별자(4)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가상 타격매트(1)와 식별자(4)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I)를 통하여 사용자는 올바른 타격위치가 어디인지를 알 수 있고, '○' 표시되어 있는 가상영역과 대응하는 타격매트의 타격영역에서 타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스로 스크린 상의 가상 골프공(VB)의 착지위치와 타격매트 상의 대응 영역을 체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실수 등으로 골프공을 잘못된 위치에 놓고 타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상 타격매트(1)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가상 타격매트(1)가 반드시 스크린을 통하여 제공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스크린이 아니더라도 가상 타격매트(1)는 홀로그램 영상 등을 통하여 타격매트에 인접한 위치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제3 단계(S300)에서는 골프공이 타격매트의 어떠한 영역에 놓여 있는지가 감지된다. 이러한 감지 동작은 감지부(10; 도 1 참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에 전달된다.
제4 단계(S400)에서는 제1 및 제3 단계(S100, S300)에서 감지된 정보로부터 가상 골프공(VB)의 착지위치와 타격매트 상에서 골프공이 놓여있는 영역이 서로 상응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타격매트의 올바른 타격위치에 실제의 골프공이 놓여 있는지가 판단되는데, 이는 제어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가상 타격매트(1)의 인디케이터(I)에 의하여 올바른 타격위치를 안내하기 때문에, 골프공이 타격매트 상의 올바른 타격위치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지만, 사용자의 부주의나 실수 등으로 잘못된 타격위치에 골프공이 놓여 있을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할 수는 없다. 올바른 타격위치에 골프공이 놓여 있는 경우에는 정상절차(S410 - S414의 단계)가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비정상절차(S421 - S423의 단계)가 진행된다.
정상절차에서는, 볼 레디 상태가 되어(S410) 사용자는 타격매트에 놓여 있는 골프공을 타격한다(S411). 타격 후, 감지부에 의하여 타격된 골프공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과 같은 물리적 상태가 감지된다(S412). 상기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에 전달되고, 제어부에서는 해당 속도나 방향 등을 가지고 골프공이 움직일 때에 실제 골프장이라면 어떠한 궤적을 갖게 될 것인지를 계산함으로써 골프공의 타격결과를 산출한다(S413). 이어서 스크린에는 제어부에서 산출된 대로 가상의 골프공(VB)이 움직이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414).
비정상절차에서는 볼 레디 상태가 되지 않는다(S421). 타격매트의 올바른 타격위치에 골프공이 놓여질 때까지 제3, 4단계(S300, S400)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볼 레디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고의나 실수 등으로 골프공을 타격하더라도(S422), 사용자의 정상적인 타격으로 간주되지 않고 타격 자체가 무효로 처리된다(S423). 따라서 제어부는 타격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지 않고,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변동되지 않고 사용자의 타격 전과 동일한 상태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 가상 타격매트(1)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I)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올바른 타격위치를 안내하는 동작방식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에서는 골프공이 잘못된 타격위치에서 타격되면 타격 자체가 무효로 되는 방식이 적용되었다. 하지만 가상 골프 시스템에 반드시 이러한 동작방식만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가지 다른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는데, 그 중 일례를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전 동작방식과 비교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동작방식은 스크린 상의 가상 골프공(VB)의 착지위치와 실제 타격매트 상의 골프공이 놓여 있는 영역이 상응하지 않는 경우라도, 일부는 타격이 가능한 것으로 처리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7과 도 21을 비교해보면, 도 21에는 S420, S424 - S429의 단계가 더 추가되어 있는데, 이 부분이 이전과 다른 동작방식을 구현하는 부분이다. 상기 추가 단계 이외에는 도 17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공통된 부분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1 단계(S100)에서는 제어부(30; 도 1 참조)가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골프코스에서 가상 골프공(VB)이 놓여 있는 지점을 감지한다.
제2 단계(S210)에서는 스크린에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디케이터(I)가 디스플레이된다. 인디케이터(I)는 가상 타격매트(1)와 식별자(4)를 포함한다. 가상 타격매트(1)는 타격매트(M; 도 3 참조)에 대응하며, 또한 골프코스의 페어웨이, 러프, 벙커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영역을 구비한다. 예컨대, 가상 타격매트(1)는 페어웨이에 대응하는 제1 가상영역(2)과 비페어웨이에 대응하는 제2 가상영역(3a, 3b)을 포함하고, 또한 제2 가상영역은 비페어웨이의 러프와 벙커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서브영역(3a, 3b)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타격매트(1)에는 타격매트 상의 타격가능위치를 나타내는 식별자(4)가 표시된다. 식별자(4)는 '복수의' 타격가능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어떠한 상황에서 어떠한 영역들을 복수의 타격가능위치로 설정할 것인지는 여러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는데, 여기서는 그 중 하나의 방식을 설명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가상의 골프코스 상의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페어웨이에 위치하면, 인디케이터(I)는 제1 가상영역(2)을 '○' 식별자(4)로 표시되고 제2 가상영역의 모든 가상서브영역(3a, 3b)을 '×' 식별자(4)로 표시한다. 이는 가상 골프공(VB)의 착지위치가 가상 페어웨이인 경우에는, 타격매트에 있어서 제1 가상영역(2)에 대응하는 제1 타격영역(HA1; 도 3 참조)만이 '타격가능위치'이고 나머지는 '타격불가능위치'임을 나타낸다.
도 23을 참조하면, 가상의 골프코스 상의 가상 골프공(VB)이 비페어웨이 중 하나인 가상 러프에 위치하면, 인디케이터(I)는 제1 가상영역(2)과 제2 가상영역 중 하나의 가상서브영역(3a)을 '○' 식별자(4)로 표시하고, 제2 가상영역 중 나머지 가상서브영역(3b)을 '×' 식별자(4)로 표시한다. 이는 가상 골프공(VB)의 착지위치가 가상 러프인 경우에는, 타격매트에 있어서 제1 타격영역(HA1)과 제2 타격영역(HA2; 도 3 참조) 중 일부의 서브영역(Sub1; 도 3 참조)이 '타격가능위치'이고 나머지 서브영역(Sub2; 도 3 참조)은 '타격불가능위치'임을 나타낸다.
제2 타격영역(HA2) 중 일부의 서브영역(Sub1)은 가상 골프공(VB)의 착지위치인 가상 러프에 대응하므로, 올바른 타격위치에 해당한다. 하지만 제1 타격영역(HA1)은 가상 페어웨이에 대응하기 때문에, 제1 타격영역(HA1)에서 타격하는 것은 가상 골프공(VB)의 착지위치인 가상 러프에서 타격하는 것과는 타격감이 상이할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동작방식에 있어서 제1 타격영역(HA1)에 대응하는 제1 가상영역(2)을 '타격가능위치'로 표시한 것은, 여러가지 이유를 감안한 것인데 그 중 하나는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덜어주기 위해서다. 타격매트에는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골프공을 제공하는 수단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수단이 페어웨이에 대응하는 제1 타격영역(HA1)에 설치되는 경우, 타격매트에서 실제 골프공은 항상 제1 타격영역(HA1)으로 제공되고,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자동으로 제1 타격영역(HA1)에 공급된 골프공을 올바른 타격위치인 제2 타격영역(HA2)의 서브영역(Sub1)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번거롭게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가상의 골프코스 상의 가상 골프공(VB)이 비페어웨이 중 하나인 가상 벙커에 위치하면, 인디케이터(I)는 제1 가상영역(2)과 제2 가상영역 의 가상서브영역(3b)을 '○' 식별자(4)로 표시하고 제2 가상영역의 가상서브영역(3a)을 '×' 식별자(4)로 표시한다. 이는 가상 골프공(VB)의 착지위치가 가상 벙커인 경우에는, 타격매트에 있어서 제1 타격영역(HA1)과 제2 타격영역(HA2) 중 일부의 서브영역(Sub2)이 '타격가능위치'이고 나머지 서브영역(Sub1)은 '타격불가능위치'임을 나타낸다.
제2 타격영역(HA2) 중 서브영역(Sub2)은 가상 골프공(VB)의 착지위치인 가상 벙커에 대응하므로, 올바른 타격위치에 해당한다. 하지만 제1 타격영역(HA1)은 페어웨이에 대응하기 때문에, 제1 타격영역(HA1)에서 타격하는 것은 가상 골프공(VB)의 착지위치인 가상 벙커에서 타격하는 것과는 타격감이 상이할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동작방식에서 제1 타격영역(HA1)에 대응하는 제1 가상영역(2)을 '타격가능위치'로 표시한 것은, 앞에서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것과 마찬가지 이유 때문이다. 즉, 타격매트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골프공을 제공하는 수단이 페어웨이에 대응하는 제1 타격영역(HA1)에 설치되는 경우, 타격매트에서 골프공은 항상 제1 타격영역(HA1)으로 제공되고,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자동으로 제1 타격영역(HA1)에 공급된 골프공을 올바른 타격위치인 제2 타격영역(HA2)의 서브영역(Sub2)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번거롭게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가상 골프공(VB)이 위치하는 지점의 지형에 따라, 제2 단계(S210)에서 제공되는 인디케이터(I)는 단수 또는 복수의 '타격가능위치', '타격불가능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제3 단계(S300)에서는 감지부(20; 도 1 참조)에 의하여 골프공이 타격매트의 어떠한 영역에 놓여 있는지가 감지되고, 제4 단계(S400)에서는 제1 및 제3 단계(S100, S300)에서 감지된 정보로부터 가상 골프공(VB)의 착지위치와 타격매트 상에서 골프공이 놓여있는 영역이 서로 상응하는지를 판단한다.
상응하는 경우에는 정상절차(S410 - S414의 단계)가 진행된다. 상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2가지로 경로가 나누어진다. 즉, 골프공이 인디케이터(I)가 '타격가능위치'로 표시한 타격매트 상의 영역에 놓인 경우와 인디케이터(I)가 '타격불가능위치'로 표시한 타격매트 상의 영역에 놓인 경우에 처리가 달라진다. 전자의 경우에는 준정상절차(S424 - S429의 단계)가 진행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비정상절차(S421 - S423의 단계)가 진행된다.
준정상절차에서는, 볼 레디 상태가 되어(S424) 사용자는 타격매트에 놓여 있는 실제의 골프공을 타격한다(S425). 타격 후, 감지부에 의하여 타격된 골프공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과 같은 물리적 상태가 감지된다(S426). 상기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에 전달되고, 제어부에서는 해당 속도나 방향 등을 가지고 골프공이 움직일 때에 실제 골프장이라면 어떠한 궤적을 갖게 될 것인지를 계산함으로써 골프공의 타격결과를 산출한다(S427). 상기 궤적이 산출되면 제어부는 산출 궤적에 따른 비거리를 조정한다(S428). 예를 들면 제어부는 소정의 감소율로 비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단계들(S424 - S429)은 타격매트 상의 타격위치가 가상 골프공(VB)의 착지위치와 상응하지 않는 위치이지만, '타격가능위치'에 해당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타격을 유효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추가된 것이다. 따라서 가상 골프공(VB)의 착지위치와 상응하는 올바른 위치에서 타격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하는 것은 공평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러프나 가상 벙커에 위치할 때에 제2 타격영역(HA2)에서 타격해야 하지만, 상대적으로 타격난이도가 떨어지는 제1 타격영역(HA1)에서 타격한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 비거리를 감소시키는 과정을 적용함으로써 비거리 산출과정에서 타격난이도를 상승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러프에 있고 사용자는 타격매트의 페어웨이에 대응하는 제1 영역(HA1)에서 타격하는 경우에는 비거리를 10 ~ 20% 정도 감소시킬 수 있고,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벙커에 있고 사용자는 타격매트의 페어웨이에 대응하는 제1 영역(HA1)에서 타격하는 경우에는 비거리를 30 ~ 40%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 벙커가 러프에 비하여 타격난이도가 더 높기 때문에, 비거리 감소율이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거리를 조정하는 단계(S428)가 진행되면, 이어서 스크린에는 제어부에서 비거리가 조정된 대로 가상의 골프공(VB)이 움직이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429).
비정상절차에서의 단계(S421 - S423)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인디케이터(I)가 적용되는 가상 골프 시스템에는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작방식이나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작방식이나 또는 그 밖의 다른 동작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여러가지 동작방식을 다양한 플레이 모드로 제공하면서, 어떠한 플레이 모드에서 플레이할 것인지를 자동 또는 사용자의 선택으로 결정되게 할 수 있다.
이상 올바른 타격위치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I)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인디케이터(I)는 위에서 설명한 형상이나 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가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25 내지 도 28은 인디케이터의 다양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인디케이터(I)에 있어서 비거리 감소율이 구체적으로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벙커에 위치하고 있어서, 인디케이터(I)가 벙커에 상응하는 영역인 제2 가상영역의 가상서브영역(3b)과 페어웨이에 상응하는 영역인 제1 가상영역(1)을 타격가능위치로 식별자(4)에 의하여 표시('○' 표시)할 때에, 가상 벙커에 상응하지 않는 제1 가상영역(1)에 골프공을 놓고 타격하면 비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때에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타격매트(1)에 비거리 감소율이 구체적으로 표시된다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비거리가 어느 정도 감소되는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인디케이터(I)에 의하여 가상 타격매트(1) 중에서 올바른 타격위치에 해당하는 영역만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벙커에 위치하고 있어서, 벙커에 상응하는 영역인 제2 가상영역의 가상서브영역(3b)이 올바른 타격위치일 때에,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I)에 의하여, 가상 타격매트(1)에 있어서 페어웨이에 상응하는 영역인 제1 가상영역(2)과 러프에 상응하는 제2 가상영역의 서브영역(3a)을 제외하고 나머지 서브영역(3b)만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올바른 타격위치와 잘못된 타격위치의 투명도 등을 차이나게 하여 영역들 사이의 인식(認識) 정도가 달라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벙커에 가상의 골프공(VB)이 위치하고 있어서 제2 가상영역의 서브영역(3b)만이 올바른 타격위치일 때에, 투명도 등을 조절하여 제1 가상영역(2)과 제2 가상영역의 서브영역(3a)은 약하게 식별되게 하고 제2 가상영역의 서브영역(3b)은 강하게 식별되게 함으로써 올바른 타격위치만이 하이라이트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인디케이터(I)는 단순히 올바른 타격위치에 해당하는 특정영역을 지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정보가 추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골프공(VB)이 가상 벙커에 위치하고 있어서, 벙커에 상응하는 영역인 제2 가상영역의 가상서브영역(3b)이 올바른 타격위치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타격매트의 골프공이 페어웨이 영역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사용자에게 현재 골프공의 위치에서 올바른 타격위치로 골프공을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정보가 인디케이터(I)에 의하여 표현될 수 있다. 즉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타격매트(1)의 인디케이터(I)는 현재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에 식별자(4)를 표시하면서 이에 더하여 페어웨이 영역에 대응하는 제1 가상영역(2)으로부터 올바른 위치인 제2 가상영역의 가상서브영역(3b)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I)는 현재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에 식별자(4)를 표시하면서 이에 더하여 제1 가상영역(2)으로부터 제2 가상영역의 가상서브영역(3b)으로 골프공이 굴러가는 모습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I)는 사용자의 주의를 강하게 끌 수 있도록 스크린의 중앙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가상 타격매트(1) 등이 화면에 메인으로 표시되어야 할 가상 골프코스를 차단하여 안 보이게 하기 때문에, 인디케이터(I)는 타격매트 상의 잘못된 위치에 실제 골프공이 위치하는 경우에만 표시하고, 사용자가 타격매트의 올바른 위치로 실제 골프공을 이동시키고 타격준비를 마쳤을 때에는 인디케이터(I)가 스크린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0 및 도 31은 도 29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인디케이터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2 및 도 33은 도 1 또는 도 29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여러가지 동작방식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100) 및 서버유닛(200)을 포함한다. 스크린 골프장(100)은 서버유닛(200)과 유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100)이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전 실시예와 차이는 있지만, 개별 스크린 골프장(100) 자체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서버유닛(200)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100)을 운영하는 서비스 업자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100)을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중앙서버가 될 수 있다. 스크린 골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먼저 로그인을 수행하는데, 서버유닛(200)은 로그인을 할 때에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로그인의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서버유닛(200)에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데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21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스크린 골프장(100)에서는 사용자의 로그인이 완료되면 사용자에게 스크린 골프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스크린 골프장(100)에는 스크린 등과 같은 표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표시수단에 의하여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가상 타격매트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가 구현될 수 있다. 즉, 인디케이터는 서비스 업자가 스크린 골프장(100)을 서버유닛(200)을 통하여 복수로 운영하든 또는 개별적으로 운영하든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별 또는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100) 여부와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는 인디케이터 중 이전에 설명한 것과 또 다른 방식의 인디케이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에서 이전 실시예의 가상 골프 시스템이나 인디케이터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인디케이터(I)는 가상 타격매트(1)와 식별자(4)를 포함하고, 식별자(4)는 메인 식별자(4a)와 보조 식별자(4b)를 포함한다. 메인 식별자(4a)는 골프공의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고,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올바른 타격위치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보조 식별자(4b)는 메인 식별자(4a)에 나타나지 않은 부가정보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가정보는 가상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의 경사도 정보가 될 수 있다. 가상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점은, 정면으로 향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져 있거나 또는 정면으로 향할수로 상방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져 있거나 또는 좌측으로 향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져 있거나 또는 좌측으로 향할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져 있거나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상방이나 하방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져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경사져 있을 수 있고, 이러한 경사도에 따라 골프공의 타격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가상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점의 경사도는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식별자(4b)에 의하여 경사도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보조 식별자(4b)는 화살표로 경사도를 표시하거나 또는 경사도를 수치로 표시하거나 또는 화살표와 수치로 경사도를 표시하는 등 여러가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인디케이터(I)에 있어서 가상 타격매트(1)는 입체적인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가상 타격매트(1)가 입체적 형상으로 표현되는 경우, 가상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의 경사도는 별도의 추가 식별자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가상 타격매트(1) 자체의 형상에 의하여 표현될 수 있다. 즉 가상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의 경사 정도에 따라, 가령 경사 정도가 클수록 가상 타격매트(1)를 더 경사지게 표현함으로써, 사용자는 가상 타격매트(1)가 얼마나 경사지게 표현되었는지만 보더라도 가상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의 경사 정도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가상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의 경사방향과 동일하게 가상 타격매트(1)를 경사지게 표현함으로써, 사용자는 가상 타격매트(1)의 경사방향만 보더라도 가상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의 경사방향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다. 이때에, 도 3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타격매트(1)의 모든 가상영역(2, 3a, 3b)을 경사지게 표현할 수 있고, 또는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타격매트(1)의 모든 가상영역(2, 3a, 3b) 중에서 올바른 타격위치에 해당하는 가상영역(도 31(b)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1 가상영역(2)에 해당)만을 경사지게 표현하고 나머지 가상영역(3a, 3b)은 편평하게 표현할 수도 있다. 도 31(b)의 경우에는 경사졌는지 여부로 올바른 타격위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타격위치를 나타내는 식별자(4)를 반드시 표시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이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의 경사도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도를 반영하여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할 수 있다. 경사도를 반영하여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2가지 예를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산출방식은 앞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작방식을 베이스로 하여 적용된 것이지만, 앞서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작방식을 베이스로 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7에서 설명한 동작방식을 베이스로 하여 적용된 것이기 때문에, 도 17과 관련하여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2를 참조하면, 제1 단계(S100)에서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골프코스에서 가상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을 감지한다. 제2 단계(S220)에서는 스크린에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가상 타격매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타격매트는 도 30 또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가능위치와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의 경사도 등을 표시한다. 제3 단계(S300)에서는 골프공이 타격매트의 어떠한 영역에 놓여 있는지가 감지된다. 제4 단계(S400)에서는 제1 및 제3 단계(S100, S300)에서 감지된 정보로부터 가상 골프공의 착지위치와 타격매트 상에서 골프공이 놓여있는 영역이 서로 상응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타격매트의 올바른 타격위치에 골프공이 놓여 있는지가 판단된다. 올바른 타격위치인 경우에는 정상절차(S410 - S416의 단계)가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비정상절차(S421 - S423의 단계)가 진행된다.
정상절차에서는, 볼 레디 상태가 되어(S410) 사용자는 타격매트에 놓여 있는 골프공을 타격한다(S411). 타격된 골프공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과 같은 물리적 상태가 감지되고(S412), 상기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골프공에 대한 타격결과가 산출된다(S413). 상기 산출결과는 타격시 가상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의 경사도에 따라 조정된다(S415). 예를 들면, 상기 지점이 평평하여 타격하기 용이한 상태인 케이스와 상기 지점이 급경사이어서 타격하기 어려운 케이스는 타격난이도가 전혀 다르기 때문에, 양 케이스를 동일하게 처리하는 것은 공평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평평한 지점인 케이스에 대해서는 산출된 궤적의 비거리가 그대로 유지되게 하고, 급경사와 같이 타격난이도가 높은 케이스에 대해서는 산출된 궤적의 비거리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결과가 조정되면, 이어서 스크린에는 조정된 대로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이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416).
비정상절차에서는 볼 레디 상태가 되지 않고(S421),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고의나 실수 등으로 골프공을 타격하더라도(S422), 사용자의 정상적인 타격으로 간주되지 않고 타격 자체가 무효로 처리된다(S423).
골프공의 궤적에 경사도를 반영함에 있어서 위에서 설명한 것과 다른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방식은 도 32에 설명된 방식과 비교하면, 제1 내지 제4 단계(S100, S220, S300, S400), 비정상절차의 단계(S421, S422, S423)는 서로 동일하며, 정상절차에서의 일부 단계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도 33을 참조하면, 정상절차에 있어서 볼 레디 상태(S410), 사용자의 골프공 타격(S411), 타격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 감지(S412)까지는 동일하고, 이후의 단계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방식에서는 타격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한 후 최초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의 경사도를 반영하여 상기 물리적 상태를 변형하는 단계(S417)가 도입된다. 예를 들어, 감지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에 있어서 수평면과 이동하는 골프공 사이의 상하각이 'α'라고 하고 골프공이 최초 놓여있던 지점의 경사도가 'β'라고 한다면, 'α, β'를 이용하여 골프공의 변형된 상하각 'γ'를 'γ = f(α, β)'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f(α, β)'란 α, β를 변수로 하는 함수 내지는 수식이라고 할 수 있는데, 가장 단순한 형태로 'f(α, β) = α + β'가 될 수 있다. 또는 경사도를 반영하는 정도에 소정의 가중치(w)를 두어서, 'f(α, β) = α + w×β'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여러가지 실험을 통하여 조금 더 복잡하지만 실제 상황에 부합하는 수식을 만들어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중 경사도와 관련된 특정 파라미터를 변형하면, 변형된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골프공에 대한 타격결과가 산출되고(S418), 스크린에는 산출된 대로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이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419).
위와 같이 골프공이 놓여 있던 지점의 경사도 값을 반영하여 골프공에 대한 타격결과를 산출할 수 있고, 여기에서 경사도를 반영하는 방식에는 위에서 설명한 2가지 방식를 비롯하여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에서 설명한 2가지 방식을 결합한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어떠한 방식을 사용하든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점의 경사도를 반영하여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경우, 실제 골프에서 발생하는 파라미터를 보다 디테일하게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스크린 골프에 있어서 리얼리티가 더 향상될 수 있다.
이상으로 인디케이터를 통하여 올바른 타격위치를 안내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을 설명하였는데, 이하에서는 골프공 제공수단과 관련한 물리적 방법을 이용하여 타격위치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들을 살펴본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5 내지 도 37은 도 34의 가상 골프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가상 골프 시스템은 타격 플레이트(P), 감지부(50), 제어부(60), 표시부(70), 골프공 제공수단(80)을 포함한다. 타격 플레이트(P)는 타격용 골프공을 놓고 타격하는 타격존이며, 여기에는 타격매트(M)가 구비되어 있다. 타격매트(M)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예를 들면, 타격매트(M)는 페어웨이에 대응하는 제1 타격영역(HA1)과 비페어웨이에 대응하는 제2 타격영역(HA2)으로 구분되고, 제2 타격영역(HA2)은 러프와 벙커에 대응하는 2개의 서브 영역(Sub1, Sub2)으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감지부(50)는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에 관한 전반적인 상태 정보를 감지하고, 또한 추가적으로 골프공이 사용자의 타격전에 타격매트(M)의 어떠한 영역에 놓여 있는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60)는 가상 골프 시스템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 하고, 감지부(50)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타격된 골프공의 상태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근거로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이 어떠한 궤적을 나타내며 비행할 것인지를 산출한다. 표시부(70)는 영상 처리유닛(71)과 스크린(72)을 포함한다. 영상 처리유닛(71)은 스크린(72)에 가상의 골프코스와 가상의 골프공이 포함된 영상을 투사하고, 스크린(72)에는 상기 투사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타격 플레이트(P)와 스크린(72) 사이의 영역은 스크린(72)쪽이 높고 타격 플레이트(P)쪽이 낮게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타격된 골프공이 스크린(72)에 충돌한 후 타격 플레이트(P)쪽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타격 플레이트(P)으로 향한 골프공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수단에 의하여 수거될 수 있다. 또한 타격 플레이트(P)에는 골프공 제공수단(80)이 설치되어 있고, 골프공 제공수단(80)은 자체 보유 중인 골프공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수거된 골프공을 공급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골프공 제공수단(80)은 티(Tee) 형태의 전달부재(80a)를 포함한다. 전달부재(80a)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있다가, 필요시에만 그 위에 골프공이 장착된 상태에서 윗쪽으로 상승하면서 골프공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골프공 제공수단(80)은 타격매트(M)의 근방으로 골프공을 제공한다. 즉 전달부재(80a)가 상승하는 부분의 위치가 타격매트(M)의 근방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골프공 제공수단(80)에 의하여 제공된 골프공을 직접 타격매트(M)의 적정한 영역으로 옮기고 난 이후에만 타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격매트(M)의 근방으로 골프공을 제공하는 경우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종래에 부정타격(스크린의 가상의 골프코스 상의 가상 골프공이 착지된 지형과 부합하지 않는 타격매트 상의 영역에 골프공을 놓고 타격하는 것)이 발생되는 것은, 주로 사용자가 골프공이 제공되었을 때 이를 적정한 영역으로 옮기지 않고 그대로 타격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타격매트 상의 페어웨이에 대응하는 영역(제1 타격영역(HA1))으로 골프공이 제공된다고 가정하면, 가상 골프공이 가상 페어웨이에 착지된 경우에는 이대로 타격해도 되지만, 가상 골프공이 가상 러프나 가상 벙커에 착지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제1 타격영역(HA1)으로 제공된 골프공을 제2 타격영역(HA2)으로 이동시킨 후 타격해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고의나 실수로 골프공을 이동시키지 않고 타격하면 부정타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골프공이 최초 공급된 위치에서 타격을 할 수 없다면, 사용자는 무조건 골프공을 타격이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시켜야 하고, 골프공을 이동시키면서 올바른 타격위치가 어디인지 체크하게 됨으로써 부정타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 사용자에게 올바른 타격위치가 어디인지를 알려주기 위해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인디케이터가 스크린(72) 등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가상 골프 시스템에 있어서의 타격매트를 변형하여,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매트(M)는 타격영역으로서 제1 및 제2 타격영역(HA1, HA2)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비타격영역(NHA)을 구비할 수 있다. 비타격영역(NHA)은 타격을 할 수 없게 만든 영역으로 타격매트(M)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고, 비타격영역(NHA)으로는 골프공 제공수단(80)에 의하여 골프공이 제공된다. 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골프공 제공수단(80)에 의하여 제공된 골프공을 직접 타격매트(M)의 타격영역(HA1, HA2)으로 옮기고 난 이후에만 타격을 할 수 있고, 골프공을 이동시키면서 올바른 타격위치가 어디인지 체크하게 됨으로써 부정타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에 사용자에게 올바른 타격위치가 어디인지를 알려주기 위해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골프공 제공수단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골프공 제공수단은 제1 타격영역(HA1)에 골프공을 제공하는 제1 골프공 제공수단(81), 제2 타격영역(HA2)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어느 하나(Sub1)에 골프공을 제공하는 제2 골프공 제공수단(82), 제2 타격영역(HA2)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 영역 중 나머지 하나(Sub2)에 골프공을 제공하는 제3 골프공 제공수단(83)으로 구성될 수 있다. 3개의 골프공 제공수단(81, 82, 83)은 제어부(60)에 의하여 컨트롤 될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특정 상황에서 3개의 골프공 제공수단(81, 82, 83) 중 어느 것에 의하여 골프공이 제공되어야 하는지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가상 골프공이 가상 페어웨이에 있는 경우에는, 페어웨이에 대응하는 제1 타격영역(HA1)에 골프공이 위치하도록, 제1 골프공 제공수단(81)에 의하여 골프공이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가상 골프공이 가상 러프에 있는 경우에는, 러프에 대응하는 제2 타격영역(HA2)에 있어서의 하나의 서브 영역(Sub1)에 골프공이 위치하도록, 제2 골프공 제공수단(82)에 의하여 골프공이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가상 골프공이 가상 벙커에 있는 경우에는, 벙커에 대응하는 제2 타격영역(HA2)에 있어서의 다른 서브 영역(Sub2)에 골프공이 위치하도록, 제3 골프공 제공수단(83)에 의하여 골프공이 제공되도록 한다.
도 34에 도시된 가상 골프 시스템에 있어서의 골프공 제공수단을 변형하여,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 제공수단(80) 자체는 단수이며 골프공 제공수단(80)에 있어서 실제로 골프공을 전달하는 부분이 복수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골프공 제공수단(80)의 전달부재는 제1 전달부재(80a), 제2 전달부재(80b), 제3 전달부재(80c)를 포함하고, 제어부(60)는 골프공 제공수단(80)을 제어하면서 특정 상황에서 3개의 전달부재(80a, 80b, 80c) 중 어느 것에 의하여 골프공이 전달될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가상 골프공이 가상 페어웨이에 있는 경우에는, 페어웨이에 대응하는 제1 타격영역(HA1)에 골프공이 위치하도록, 제1 전달부재(80a)에 의하여 골프공이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가상 골프공이 가상 러프에 있는 경우에는, 러프에 대응하는 제2 타격영역(HA2)에 있어서의 하나의 서브 영역(Sub1)에 골프공이 위치하도록, 제2 전달부재(80b)에 의하여 골프공이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가상 골프공이 가상 벙커에 있는 경우에는, 벙커에 대응하는 제2 타격영역(HA2)에 있어서의 다른 서브 영역(Sub2)에 골프공이 위치하도록, 제3 전달부재(80c)에 의하여 골프공이 제공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골프공 제공수단(81, 82, 83) 또는 복수의 전달부재(80a, 80b, 80c)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통하여 올바른 타격위치에 골프공을 제공하기 때문에 부정타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인디케이터를 별도로 사용할 필요도 없으며 사용자가 골프공을 이동시킬 필요도 없어서 대단히 편리하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M: 타격매트
I: 인디케이터
10, 50: 감지부
30, 60: 제어부
40, 70: 표시부
80: 골프공 제공수단

Claims (12)

  1. 타격 전의 실제 골프공이 놓여지며, 복수의 타격영역을 갖는 타격매트;
    사용자가 타격한 상기 실제 골프공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가상 골프코스에서 가상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가상 골프코스 및 상기 가상 골프공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가 타격하기 전에, 상기 가상 골프코스에서 상기 가상 골프공이 위치하는 영역에 따라, 상기 타격매트의 복수의 타격영역 중에서 상기 실제 골프공을 놓고 타격해야 하는 타격위치를 안내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타격매트에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가상 타격매트를 포함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골프코스는 제1 가상영역과 제2 가상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타격매트는 제1 타격영역과 제2 타격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가상 골프공이 상기 제1 가상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타격영역을 상기 타격위치로서 안내하고, 상기 가상 골프공이 상기 제2 가상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2 타격영역을 상기 타격위치로서 안내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골프코스에서 상기 가상 골프공이 위치하는 영역은 가상 페어웨이, 가상 러프 및 가상 벙커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매트는 제1 타격영역과 제2 타격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타격영역은 상기 가상 러프와 가상 벙커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가상 골프공이 상기 가상 페어웨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타격영역을 상기 타격위치로서 안내하고, 상기 가상 골프공이 상기 가상 러프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서브영역 중에서 상기 가상 러프에 대응하는 서브영역을 상기 타격위치로서 안내하고, 상기 가상 골프공이 상기 가상 벙커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서브영역 중에서 상기 가상 벙커에 대응하는 서브영역을 상기 타격위치로서 안내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실제 골프공을 놓고 타격해야 하는 타격위치를 상기 타격매트에 나타내는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골프공을 상기 타격매트 근방으로 제공하는 골프공 제공수단을 더 포함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6. 타격 전의 실제 골프공이 놓여지며, 복수의 타격영역을 갖는 타격매트;
    사용자가 타격한 상기 실제 골프공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가상 골프코스에서 가상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가상 골프코스 및 상기 가상 골프공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매트는 상기 실제 골프공을 타격할 때에는 상기 실제 골프공이 놓여지지 않는 비타격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제 골프공을 상기 비타격영역으로 제공하는 골프공 제공수단을 더 포함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타격매트는 상기 타격매트의 복수의 타격영역에 대응하는 복수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가상 타격매트의 복수 영역 중에서 상기 실제 골프공을 놓고 타격해야 하는 올바른 타격위치에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가상 타격매트의 복수 영역 중에서 상기 실제 골프공을 놓고 타격하면 안되는 잘못된 타격위치에 표시되는 가상 골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타격매트의 복수 영역 중에서 상기 실제 골프공을 놓고 타격해야 하는 올바른 타격위치가 복수인 경우, 상기 식별자는 상기 가상 타격매트에 있어서 올바른 타격위치를 나타내는 복수 영역에 모두 표시되는 가상 골프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타격매트의 복수 영역 중에서 상기 실제 골프공을 놓고 타격하면 안되는 잘못된 타격위치가 복수인 경우, 상기 식별자는 상기 가상 타격매트에 있어서 잘못된 타격위치를 나타내는 복수 영역에 모두 표시되는 가상 골프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타격매트는 상기 타격매트의 복수의 타격영역에 대응하는 복수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가상 타격매트의 복수 영역 중에서 실제 골프공을 놓고 타격해야 하는 올바른 타격위치에 해당하는 영역만이 상기 인디케이터로서 표시되는 가상 골프 시스템.
  11. 타격 전의 실제 골프공이 놓여지며, 제1 및 제2 타격영역을 갖는 타격매트;
    상기 타격매트에 상기 실제 골프공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골프공 제공수단;
    사용자가 타격한 상기 실제 골프공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가상 골프코스에서 가상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가상 골프코스 및 상기 가상 골프공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골프공 제공수단은 상기 제1 타격영역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실제 골프공을 상기 제1 타격영역에 제공하고, 상기 제2 골프공 제공수단은 상기 제2 타격영역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실제 골프공을 상기 제2 타격영역에 제공하며,
    사용자가 타격하기 전에, 상기 가상 골프코스에서 상기 가상 골프공이 위치하는 영역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골프공 제공수단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타격매트에 상기 실제 골프공을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12. 타격 전의 실제 골프공이 놓여지며, 제1 및 제2 타격영역을 갖는 타격매트;
    상기 타격매트에 상기 실제 골프공을 제공하는 골프공 제공수단;
    사용자가 타격한 상기 실제 골프공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가상 골프코스에서 가상 골프공의 움직임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가상 골프코스 및 상기 가상 골프공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공 제공수단은 상기 제1 타격영역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실제 골프공을 상기 제1 타격영역에 전달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2 타격영역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실제 골프공을 상기 제2 타격영역에 전달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타격하기 전에, 상기 가상 골프코스에서 상기 가상 골프공이 위치하는 영역에 따라 상기 골프공 제공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타격매트에 상기 실제 골프공을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0190023999A 2018-03-02 2019-02-28 타격위치의 오류를 방지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304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009 2018-03-02
KR1020180025009 2018-03-02
KR1020180164978 2018-12-19
KR1020180164978 2018-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909A KR20190104909A (ko) 2019-09-11
KR102304837B1 true KR102304837B1 (ko) 2021-09-27

Family

ID=67949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999A KR102304837B1 (ko) 2018-03-02 2019-02-28 타격위치의 오류를 방지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263B1 (ko) * 2020-06-25 2022-07-12 주식회사 에스지엠 가상 스포츠용 인터페이스 기기,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스포츠 장치
KR102526205B1 (ko) * 2021-02-15 2023-04-27 주식회사 에스지엠 경사조절 가능한 타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602364B1 (ko) * 2023-08-10 2023-11-14 신중식 스크린 골프에서 공놓는 위치를 지정해 주는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708B1 (ko) * 2009-06-30 2009-12-21 (주) 골프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46970B1 (ko) * 2009-09-04 2010-03-15 (주) 골프존 자동캐디기와 이를 구비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03859B1 (ko) * 2016-03-17 2017-02-08 주식회사 골프존 스크린 골프 시스템,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골프정보 서비스 방법 및 골프정보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과, 상기 방법에 따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708B1 (ko) * 2009-06-30 2009-12-21 (주) 골프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46970B1 (ko) * 2009-09-04 2010-03-15 (주) 골프존 자동캐디기와 이를 구비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03859B1 (ko) * 2016-03-17 2017-02-08 주식회사 골프존 스크린 골프 시스템,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골프정보 서비스 방법 및 골프정보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방법과, 상기 방법에 따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909A (ko)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837B1 (ko) 타격위치의 오류를 방지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1878101B1 (ko) 가상 골프 시스템
US20190022509A1 (en) Screen golf system, golf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for golf information service realized in screen golf system, and computing-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s recorded therein
US20230032604A1 (en) Virtual golf device and virtual sports device
KR101928222B1 (ko) 볼 궤적을 조정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KR102367004B1 (ko) 골프클럽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378556B1 (ko) 경사지는 스윙 플레이트를 구비한 가상 골프 시스템
KR20210027607A (ko) 골프코스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WO2013001901A1 (ja) 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KR102321472B1 (ko)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344919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1937720B1 (ko) 가상 골프 시스템
KR101878100B1 (ko)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244016B1 (ko) 경사지는 스윙 플레이트를 구비한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184366B1 (ko) 가상 스윙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419263B1 (ko) 가상 스포츠용 인터페이스 기기,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스포츠 장치
KR102009622B1 (ko) 페널티 포인트를 부과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JP2003205172A (ja) ビデオゲーム装置
KR102565110B1 (ko) 퍼팅 연습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102284901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101875782B1 (ko) 스크린 골프 장치 및 그의 운영 방법
KR102644005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20220040436A (ko) 경사지는 스윙 플레이트를 구비한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280404B1 (ko) 비거리를 조정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20220082145A (ko)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