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145A -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145A
KR20220082145A KR1020200171355A KR20200171355A KR20220082145A KR 20220082145 A KR20220082145 A KR 20220082145A KR 1020200171355 A KR1020200171355 A KR 1020200171355A KR 20200171355 A KR20200171355 A KR 20200171355A KR 20220082145 A KR20220082145 A KR 20220082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irtual golf
golf ball
virtual
h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범
김갑수
안효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to KR1020200171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2145A/ko
Priority to JP2021198453A priority patent/JP2022091724A/ja
Priority to US17/544,922 priority patent/US20220176227A1/en
Publication of KR20220082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4Exercis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ompetitions, e.g. virtual r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2Ball games, e.g. soccer 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63B2024/0031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at the starting poi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63B2071/0644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with display speed of moving landscape controlled by the user's perform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는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면 상기 타격된 실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상기 산출된 궤적에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을 보여주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상 골프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는 복수이고, 상기 가상의 골프공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서 각각 따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서로 다른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서 플레이 할 수 있고, 상기 제1 모드에서 복수의 사용자의 타격순서는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각 사용자의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제2 모드에서 복수의 사용자의 타격순서는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각 사용자의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와 상관없이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VIRTUAL GOLF DEVICE PROVIDING MULTIPLE PLAY MODE, METHOD FOR OPERATING VIRTUAL GOLF DEVICE AND VIRTUAL GOLF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크린 골프 등과 같은 가상 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플레이 할 수 있는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입체영상 및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을 이용하여 현장에 나가지 않고 스포츠 경기를 즐길 수 있는 시뮬레이션 장치들이 개발되어, 골프나 야구 등과 같은 가상의 실내 스포츠 경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대표적인 실내 스포츠인 스크린 골프의 경우에, 스크린을 통하여 골프장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어 마치 야외에서 실제의 골프 경기를 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주면서도, 야외의 필드에서 경기하는 것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세이브되기 때문에, 시간이나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골프를 플레이 하기 어려운 현대인들에게 대단히 인기가 높다.
그러나 스크린 골프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사용자들의 기대치가 높아지면서, 스크린 골프도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스크린 골프는 실제 골프장에서 플레이하고 있는 듯한 리얼리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첨단 장치들과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되는 특성상 실제 골프장에서는 제공하기 어려운 스크린 골프에 특화된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플레이 할 수 있도록 된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상 골프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상 골프 장치 또는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을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는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면 상기 타격된 실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상기 산출된 궤적에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을 보여주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이고, 상기 가상의 골프공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서 각각 따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서로 다른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서 플레이 할 수 있고, 상기 제1 모드에서 복수의 사용자의 타격순서는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각 사용자의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제2 모드에서 복수의 사용자의 타격순서는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각 사용자의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와 상관없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현재 타격해야 할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자신의 가상의 골프공이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의 목표지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사용자가 될 수 있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한 명의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의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에 상관없이 적어도 2회 이상 연속으로 타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사용자는 현재 플레이 중인 특정 가상의 골프코스에 대한 플레이의 시작부터 완료시까지 연속으로 타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모드는 퍼팅 단계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실제 골프공을 놓고 타격하며,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타격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는 복수의 가상 영역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가상 영역 중에서 자신의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가상 영역에 부합되도록 상기 타격매트의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상기 실제 골프공을 높고 타격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사용자는 상기 타격 플레이트의 복수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에서 계속 타격해야 하는 경우 연속으로 타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면 상기 타격된 실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산출 단계 및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상기 산출된 궤적에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을 보여주는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이고, 상기 가상의 골프공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서 각각 따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서로 다른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서 플레이 할 수 있고, 상기 제1 모드에서 복수의 사용자의 타격순서는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각 사용자의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제2 모드에서 복수의 사용자의 타격순서는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각 사용자의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와 상관없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기 전에 현재 타격하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모드 중 현재 적용되고 있는 모드에 따른 타격순서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은 상기한 가상 골프 장치 및 상기 가상 골프 장치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서버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가상 골프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는 로그인을 완료한 후, 상기 제1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상기 가상 골프 장치를 이용하여 플레이 할 수 있고, 상기 서버유닛에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로그인이 이루어질 때 또는 상기 로그인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1 및 제2 모드 중 사용자가 플레이할 모드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참조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플레이 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하는 사용자의 여러가지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제1 및 제2 모드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제2 모드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제1 및 제2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저장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상 골프 장치는 타격 플레이트(10), 제어부(20), 감지부(30), 입력부(40) 및 표시부(50)를 포함한다.
타격 플레이트(10)에는 타격매트가 구비되며, 타격매트에는 타격용 골프공이 놓여진다. 사용자는 타격 플레이트(10)에 위치하여 타격매트에 놓인 골프공을 타격한다.
제어부(20)는 가상 골프 장치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타격매트에는 자동으로 타격용 골프공을 제공하는 오토티가 설치될 수 있는데, 제어부(20)는 사용자가 타격하는 시점에 맞추어 상기 오토티에서 골프공이 제공되도록 컨트롤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면 상기 골프공이 실제 골프장에서 비행한다고 가정했을때 어떠한 궤적이 될 지 및/또는 어느 정도의 비거리로 비행하게 될 지 등을 산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감지부(30)는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의 속도, 이동방향, 회전각도 등과 같은 물리적 상태를 감지한다. 감지부(30)는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센싱수단으로는 각종 감지센서나 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나 감지센서 등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수로 사용되거나 복수로 사용될 수 있다. 감지부(30)에서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20)에 전달되며, 제어부(20)는 감지부(30)에서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골프공이 궤적이나 비거리 등을 산출한다.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마우스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스크린 골프에서는 사용자가 로그인을 위하여 자신의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플레이 하고자 하는 골프코스나 난이도 등을 선택하는 경우 등과 같이 사용자로부터의 정보입력이 필요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 입력부(40)가 구비된다. 입력부(40)에서 입력된 정보는 제어부(20)에 전달되고, 제어부(20)는 전달된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특정 골프코스를 선택한 경우, 해당 골프코스에서 플레이할 수 있도록 제어부(20)에서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20)는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특정 골프코스를 선택한 경우에 상기 영상처리수단에서 해당 골프코스 영상을 표시부(50)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로그인을 위하여 아이나 패스워드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입력된 개인정보를 체크하여 로그인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표시부(50)는 빔 프로젝터(51)와 스크린(52)을 포함한다. 빔 프로젝터(51)는 골프코스와 골프공이 스크린(5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관련 영상을 스크린(51)에 투사하며, 스크린(52)은 투사된 골프 관련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스크린(52)에 디스플레이되는 일부 대상에 대해 '가상'이라는 용어를 붙여서 표현할 수 있다. 이는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스크린(52) 속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라는 의미로서, 예를 들어 '가상의 골프코스'란 스크린(52)에 디스플레이되는 골프코스라는 의미이고, '가상의 골프공'이란 스크린(52)에 디스플레이되는 골프공이라는 의미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가상 골프 장치는 스피커 등과 같은 음향기기를 구비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게임의 진행 상황을 안내하고 게임의 진행에 따른 각종 효과음을 재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가상 골프 장치에서의 스크린 골프 플레이 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타격 플레이트(10) 상의 골프공을 타격하면, 제어부(20)가 감지부(30)에서의 감지정보를 근거로 타격된 골프공의 비행궤적을 산출하고, 스크린(52)에서는 상기 산출된 결과대로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이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며, 이때에 스크린(52) 속 가상의 골프공은 산출된 궤적으로 비행한 후 스크린(52) 속 가상의 골프코스에서의 특정지점에 착지하게 된다. 사용자는 스크린(52) 속 가상의 골프공이 착지된 지점에서 타격을 이어가면서 홀컵에 홀인할 때까지 상기한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은 스크린 골프 플레이에 있어서, 사용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플레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가상 골프 장치는 여러가지 플레이 모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플레이하는 경우에 사용자 사이의 타격순서를 결정하는 방식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모드를 제공한다. 이하 제1 및 제2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제1 및 제2 모드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가상 골프 장치에서 사용자 A1, A2가 함께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 하는 다음과 같은 경우를 가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사용자 A1의 가상의 골프공(편의상, 제1 골프볼(B1)이라 명명)은 처음에 최초위치(P10)에 있고, 사용자 A1이 타격매트에 놓여 있는 자신의 골프공을 타격함에 따라 제1 골프볼(B1)의 위치는 제1 위치(P11), 제2 위치(P12), 제3 위치(P13)로 변경된다. 제3 위치(P13)에서 사용자 A1이 타격매트의 골프공을 타격했을 때 제1 골프볼(B1)은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그린영역에 안착된다. 사용자 A2의 경우, 가상의 골프공(편의상, 제2 골프볼(B2)이라 명명)은 처음에 최초위치(P20)에 있고, 사용자 A2가 타격매트에 놓여 있는 자신의 골프공을 타격함에 따라 제2 골프볼(B2)의 위치는 제1 위치(P21), 제2 위치(P22)로 변경된다. 또한 제2 위치(P22)에서 사용자 A2가 타격매트의 골프공을 타격했을 때 제2 골프볼(B2)은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그린영역에 안착된다(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그린 영역에 도달하기 전까지의 타격과정을 '타격단계'라고 명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A1, A2는 그린 영역에서의 퍼팅을 진행한다. 사용자 A1의 경우, 제1 골프볼(B1)이 그린 영역에서의 최초위치(P10')에서 사용자 A1의 퍼팅에 따라 제1 위치(P11'), 제2 위치(P12')로 그 위치가 변경되고, 제2 위치(P12')로부터의 퍼팅에 의하여 홀컵(HC)에 홀인된다. 사용자 A2의 경우, 제2 골프볼(B2)이 그린 영역에서의 최초위치(P20')에서 사용자 A2의 퍼팅에 따라 제1 위치(P21')로 그 위치가 변경되고, 제1 위치(P21')로부터의 퍼팅에 의하여 홀컵(HC)에 홀인된다(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그린 영역에서의 퍼팅과정을 '퍼팅단계'라고 명명한다).
사용자 A1, A2의 타격에 따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골프볼(B1,B2)의 위치가 변경된다고 가정하는 경우에, 제1 및 제2 모드에 따른 사용자 A1, A2의 타격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제1 모드에서의 타격순서를 나타낸다. 제1 모드에서의 타격순서는 타격할 골프공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의 골프 코스에 있어서 목표지점이라고 할 수 있는 홀컵과 가상의 골프공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거리가 가장 멀리 있는 사용자가 먼저 골프공을 타격한다. 이러한 원칙에 따라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타격이 이루어진 경우에 제1 모드에서의 타격순서를 살펴본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타격단계에 있어서 최초의 출발위치(P10, P20)에서는 제1 골프볼(B1)과 제2 골프볼(B2)은 실질적으로 목표지점인 홀컵(HC)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다. 따라서 사용자 A1, A2 중 누가 타격하더라도 상관없는데, 편의상 사용자 A1이 먼저 타격한다고 가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드에서 최초위치(P10)에서 사용자 A1이 타격매트에 놓인 실제 골프공을 타격한다. 사용자 A1의 타격에 의해 제1 골프볼(B1)은 제1 위치(P11)로 이동하고, 이는 사용자 A2의 제2 골프볼(B2)의 최초위치(P20) 보다 홀컵(HC)에 가까운 위치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 A2가 최초위치(P20)에 있는 제2 골프볼(B2)을 타격할 순서가 된다. 사용자 A2의 타격에 의하여 제2 골프볼(B2)은 제1 위치(P21)로 이동하고, 제2 골프볼(B2)의 제1 위치(P21)는 제1 골프볼(B1)의 제1 위치(P11) 보다 홀컵(HC)에 가까운 위치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제1 위치(P11)에 있는 제1 골프볼(B1)에 대한 사용자 A1의 타격 순서가 된다. 사용자 A1의 타격에 의하여 제1 골프볼(B1)은 제2 위치(P12)로 이동하고, 제1 골프볼(B1)의 제2 위치(P12)는 제2 골프볼(B2)의 제1 위치(P21) 보다 홀컵(HC)에 가까운 위치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제1 위치(P21)에 있는 제2 골프볼(B2)에 대한 사용자 A2의 타격 순서가 된다. 사용자 A2의 타격에 의하여 제2 골프볼(B2)은 제2 위치(P22)로 이동하고, 제2 골프볼(B2)의 제2 위치(P22)는 제1 골프볼(B1)의 제2 위치(P21) 보다 홀컵(HC)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위치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제2 위치(P22)에 있는 제2 골프볼(B2)에 대한 사용자 A2의 타격 순서가 된다. 사용자 A2의 타격에 의하여 제2 골프볼(B2)은 그린 영역에 안착하게 되고, 이는 그린 영역 밖에 있는 제1 골프볼(B1)의 제2 위치(P21) 보다 홀컵(HC)에서 가까운 위치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제2 위치(P12)에 있는 제1 골프볼(B1)에 대한 사용자 A1의 타격 순서가 된다. 사용자 A1의 타격에 의하여 제1 골프볼(B1)은 제3 위치(P13)로 이동하며, 이는 여전히 그린 영역 밖의 위치이므로 사용자 A1이 다시 타격할 순서가 된다. 사용자 A1의 타격에 의하여 제1 골프볼(B1)은 그린 영역에 안착하게 되고, 사용자 A1, A2는 타격단계를 종료하고 퍼팅단계에 진입하게 된다.
퍼팅단계에서의 타격 순서도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골프볼(B1, B2)이 홀컵(HC)에서부터 떨어져 있는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그린 영역밖에서 사용자 A1, A2의 타격 결과, 현재 그린 영역안에서 제1 골프볼(B1)의 초기위치(P10')는 제2 골프볼(B2)의 초기위치(P20') 보다 홀컵(HC)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 A1이 먼저 퍼팅할 순서가 된다. 사용자 A1의 퍼팅에 의해 제1 골프볼(B1)은 제1 위치(P11')로 이동하고, 이는 사용자 A2의 제2 골프볼(B2)의 초기위치(P20') 보다 홀컵(HC)에 가까운 위치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초기위치(P20')에 있는 제2 골프볼(B2)에 대한 사용자 A2의 퍼팅 순서가 된다. 사용자 A2의 퍼팅에 의하여 제2 골프볼(B2)은 제1 위치(P21')로 이동하고, 제2 골프볼(B2)의 제1 위치(P21')는 제1 골프볼(B1)의 제1 위치(P11') 보다 홀컵(HC)에 가까운 위치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제1 위치(P11')에 있는 제1 골프볼(B1)에 대한 사용자 A1의 퍼팅 순서가 된다. 사용자 A1의 퍼팅에 의하여 제1 골프볼(B1)은 제2 위치(P12')로 이동하고, 제1 골프볼(B1)의 제2 위치(P12')는 제2 골프볼(B2)의 제1 위치(P21') 보다 여전히 홀컵(HC)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위치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제2 위치(P12')에 있는 제1 골프볼(B1)에 대해 사용자 A1의 퍼팅 순서가 된다. 사용자 A1이 제2 위치(P12')에서 퍼팅한 결과 제1 골프볼(B1)이 홀컵(HC)에 들어가면, 제1 위치(P21')에 있는 제2 골프볼(B2)에 대해서 사용자 A2가 타격매트의 실제 골프공을 퍼팅할 순서가 되고, 사용자 A2가 퍼팅한 결과 제2 골프볼(B2)이 홀컵(HC)에 들어가면 해당 가상 골프코스에 있어서 사용자 A1, A2의 플레이가 종료된다. 만약 현재 가상 골프코스가 전체 골프코스 중 마지막 코스가 아니라면 다음 코스로 넘어가서 플레이를 계속하게 되고, 현재 가상 골프코스가 전체 골프코스 중 마지막 코스라면 사용자 A1, A2 사이의 스크린 골프 플레이는 종료된다.
제1 모드는 실제 골프에서 사용되는 방식을 스크린 골프에 적용한 것이다. 실제 골프에서 홀컵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골프공의 사용자가 타격하도록 타격순서를 정하는 이유는, 함께 플레이하는 사용자들이 출발점에서 목표지점을 항하여 함께 이동하면서 골프공이 나오는 순서대로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A1, A2가 함께 실제 야외 골프장에서 플레이하는데 출발지점에서 타격한 결과 A1의 골프공이 A2의 골프공보다 더 멀리 날아가서, 목표지점으로부터 A1의 골프공이 더 가까이 있고 A2의 골프공은 더 멀리 있다고 가정한다. A1과 A2는 넥스트 타격을 위하여 자신의 골프공 위치로 함께 이동하는데, 목표지점으로부터 더 멀리 있는 A2의 골프공은 출발지점에서부터는 A1의 골프공 보다 더 가깝게 위치한다. 따라서 A1과 A2가 함께 이동하여 A2의 골프공 위치에 도착하면 A2가 타격하고 그 후 다시 A1과 A2가 함께 이동하여 A1의 골프공 위치에 도착하면 A1이 타격하는 방식으로 타격순서가 결정되면, A1과 A2는 항상 함께 이동하면서 골프공이 나오는 순서대로 플레이할 수 있다. 만약 출발지점에서의 타격 후 A1이 먼저 타격한다면, 넥스트 타격을 위하여 A1과 A2가 함께 이동하여 A2의 골프공 위치에 도착하더라도, A2는 그 위치에 그대로 있고 A1만이 자신의 골프공 위치로 더 이동하여 골프공을 타격해야 하는데, 이는 부자연스럽고 불합리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실제 골프에서는 골프 코스에 있어서 목표지점이라고 할 수 있는 홀컵과 골프공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거리가 가장 멀리 있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도록 순서가 정해질 수 있으며, 제1 모드는 실제 골프에서의 타격순서를 그대로 스크린 골프에 적용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제2 모드에서의 다양한 방식에 따른 타격순서를 나타낸다. 제2 모드에서의 타격순서는 타격할 골프공의 위치와 무관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 A1, A2가 함께 플레이하고 제1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타격단계에서의 플레이 상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고, 퍼팅단계에서의 플레이 상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고 가정한다.
제2 모드에서는 플레이 대상인 가상의 골프코스 전체 중에서 일부 구간에서는 제1 모드에 동일하게 플레이하고 다른 일부 구간에서는 제1 모드와 다르게 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모드에 있어서 타격단계에서는 제1 모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플레이하고 퍼팅단계에서는 사용자 A1, A2의 골프볼의 위치와 상관없이 어느 한 명의 사용자의 퍼팅이 완료된 이후에 나머지 사용자의 퍼팅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모드에 있어서 타격단계에서의 타격순서는 제1 모드에 있어서 타격단계에서의 타격순서와 동일하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모드의 퍼팅단계에 있어서 그린 영역에서의 초기위치는 제1 골프볼(B1)의 초기위치(P10')가 제2 골프볼(B2)의 초기위치(P20') 보다 홀컵(HC)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고, 사용자 A1이 먼저 제1 골프볼(B1)에 대응하여 타격매트의 실제 골프공을 퍼팅한다(본 플레이 모드의 퍼팅단계에서 사용자 A2가 먼저 퍼팅해도 상관은 없다). 사용자 A1의 퍼팅에 의해 제1 골프볼(B1)은 제1 위치(P11')로 이동하고, 이는 사용자 A2의 제2 골프볼(B2)의 초기위치(P20') 보다 홀컵(HC)에 가까운 위치이다. 제1 모드라면 초기위치(P20')에 있는 제2 골프볼(B2)에 대해 사용자 A2의 퍼팅 순서가 되지만, 제2 모드에서는 처음 퍼팅을 시작한 사용자 A1이 퍼팅을 완료할 때까지 계속 퍼팅을 진행한다. 즉 사용자 A1의 최초 퍼팅에 의하여 제1 골프볼(B1)은 제1 위치(P11')로 이동하고, 다시 사용자 A1이 타격매트의 실제 골프공을 퍼팅하면 제1 위치(P11')에 있는 제1 골프볼(B1)이 제2 위치(P12')로 이동하고, 계속해서 사용자 A1이 퍼팅하면 제2 위치(P12')에 있는 제1 골프볼(B1)이 홀컵(HC)에 들어가서 사용자 A1의 퍼팅단계가 완료된다. 사용자 A1의 퍼팅단계가 완료된 후에 비로서 사용자 A2의 퍼팅 순서가 되고, 사용자 A2의 첫번째 퍼팅에 의하여 초기위치(P20')의 제2 골프볼(B2)이 제1 위치(P21')로 이동하고, 사용자 A2의 두번째 퍼팅에 의하여 제1 위치(P21')의 제2 골프볼(B2)이 홀컵(HC)에 들어가서 사용자 A2의 퍼팅단계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의 방식에서는 타격단계에서는 제1 모드와 동일한 방식을 사용하되 퍼팅단계에서는 사용자마다 퍼팅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해서 퍼팅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퍼팅은 매우 작은 홀컵에 골프공을 굴려서 넣는 동작으로 고도의 집중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집중력을 한 번 끌어올린 상태에서 퍼팅을 연속해서 진행하는 것이 사용자의 입장에서 더 편리할 수 있으며, 제2 모드의 본 방식은 상기한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것이다.
제2 모드의 다른 방식의 예로서, 타격단계에서는 사용자 A1, A2의 골프볼의 위치와 상관없이 어느 한 명의 사용자가 자신의 골프볼이 그린 영역에 안착할 때까지 계속해서 타격하고 이후에 나머지 사용자도 자신의 골프볼이 그린 영역에 안착할 때까지 계속해서 타격하며, 퍼팅단계에서는 제1 모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타격단계에 있어서 사용자 A1, A2 중 어느 한 명인 사용자 A1(사용자 A2가 될 수도 있음)이 초기위치(P10)에 있는 자신의 제1 골프볼(B1)에 대해서 타격매트의 실제 골프공을 타격한다. 사용자 A1의 타격에 의해 제1 골프볼(B1)은 제1 위치(P11)로 이동하고, 이는 사용자 A2의 제2 골프볼(B2)의 초기위치(P20) 보다 홀컵(HC)에 가까운 위치이다. 제1 모드라면 이 상태에서 초기위치(P20)에 있는 제2 골프볼(B2)에 대해서 사용자 A2의 타격 순서가 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에서는 처음 타격을 시작한 사용자 A1이 계속해서 타격한다. 즉 사용자 A1의 최초 타격에 의하여 제1 골프볼(B1)은 제1 위치(P11)로 이동하고, 사용자 A1이 다시 타격하면 제1 위치(P11)에 있는 제1 골프볼(B1)이 제2 위치(P12)로 이동하고, 사용자 A1이 또 다시 타격하면 제2 위치(P12)에 있는 제1 골프볼(B1)이 제3 위치(P13)로 이동하고, 사용자 A1이 계속 타격하면 제3 위치(P13)에 있는 제1 골프볼(B1)이 그린 영역에 안착되고, 사용자 A1의 제1 골프볼(B1)이 그린 영역으로 들어가면 사용자 A1의 타격단계가 완료된다. 사용자 A1의 타격단계가 완료된 후에 비로서 사용자 A2의 타격순서가 되고, 사용자 A2는 자신의 순서에서 초기위치(P20)에 있는 제2 골프볼(B2)에 대해서 타격매트의 실제 골프공을 타격한다. 사용자 A2의 첫번째 타격에 의하여 초기위치(P20)의 제2 골프볼(B2)이 제1 위치(P21)로 이동하고, 사용자 A2가 다시 타격하면 제1 위치(P21)에 있는 제2 골프볼(B2)이 제2 위치(P22)로 이동하고, 사용자 A2가 계속 타격하면 제2 위치(P22)에 있는 제2 골프볼(B2)이 그린 영역에 안착되고, 사용자 A2의 제2 골프볼(B2)이 그린 영역으로 들어가면 사용자 A2의 타격단계가 완료된다. 타격단계가 완료되면 퍼팅단계가 개시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에서는 퍼팅단계에서의 타격순서는 제1 모드에 있어서 퍼팅단계에서의 타격순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제2 모드의 다른 방식에서는 타격단계에서는 사용자마다 타격단계가 완료될 때까지 계속해서 타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퍼팅단계에서는 제1 모드와 동일한 방식을 사용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제 골프에서 제1 모드와 같이 홀컵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골프공의 사용자가 타격하도록 하는 이유는, 함께 플레이하는 사용자들이 출발점에서 목표지점을 항하여 함께 이동하면서 골프공이 나오는 순서대로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스크린 골프에서는 스크린 골프 플레이어들의 골프공은 스크린 속의 가상의 골프공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가상의 골프공이 가상의 골프코스 중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스크린 골프 플레이어들이 가상의 골프공이 있는 위치로 이동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스크린 골프에서는 실제 골프에서와 같이 골프공의 위치에 따라 타격순서를 결정하는 방식을 반드시 적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2 모드의 본 방식에서는 타격단계에서 한 명의 사용자가 연속하여 타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방식 이외에도 제2 모드에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 가지 방식의 예로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타격단계 및 퍼팅단계에서 모두 한 명의 사용자가 연속하여 타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타격단계에서 사용자 A1의 제1 골프볼(B1)이 그린 영역에 안착될 때까지 사용자 A1이 계속 타격하고 이어서 사용자 A2의 제2 골프볼(B2)이 그린 영역에 안착될 때까지 사용자 A2가 계속 타격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퍼팅단계에서 사용자 A1의 제1 골프볼(B1)이 홀인될 때까지 사용자 A1이 계속 퍼팅하고 이어서 사용자 A2의 제2 골프볼(B2)이 홀인될 때까지 사용자 A2가 계속 퍼팅한다.
또는 제2 모드의 다른 방식으로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한 명이 최초 타격(티샷)에서부터 해당 골프코스에 대한 코스 공략이 완료(예를 들면, 홀인)될 때까지 모든 타격을 연속으로 하고, 특정 사용자가 타격을 완료하면 다음 사용자가 해당 코스에 대한 모든 타격을 연속으로 하는 식으로, 사용자마다 자신의 모든 타격을 계속해서 연속으로 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다른 사용자와 번갈아가면서 타격하는 것 보다는, 특정 골프코스에서 자신이 타격해야 할 것을 한꺼번에 스트레이트로 한 후 다른 사용자들이 타격하는 동안 휴식을 취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생각하거나 또는 컨디션 조절에 유리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제2 모드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가상 골프 장치의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가상 골프 코스의 일예를 나타내며, 도 9는 도 1의 가상 골프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복수 영역 타격매트를 나타내고, 도 10은 상기한 가상 골프 코스와 복수 영역 타격매트를 사용할 때에 가상 골프 코스의 가상 골프공과 타격매트의 실제 골프공이 서로 부합하는 위치에 놓여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크린 골프 플레이 중에 스크린에는 가상의 골프코스가 디스플레이된다. 가상의 골프코스는 실제하는 골프코스 또는 실제하지 않는 창작된 골프코스를 컴퓨터 그래픽으로 표현한 것이다. 실제하는 골프코스이든 창작된 골프코스이든 스크린 골프의 리얼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의 골프코스는 실제 골프장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한다. 예를 들면, 실제 골프코스에 페어웨이, 러프, 벙커 등과 같은 다양한 속성을 갖는 지형이 있듯이, 스크린의 가상 골프코스에도 가상 페어웨이, 가상 러프, 가상 벙커 등과 같은 다양한 속성을 갖는 지형이 디스플레이된다. 실제의 골프장에 있어서 페어웨이는 잔디가 짧게 관리되는 영역으로 골프공의 타격이 용이하다. 러프는 페어웨이에 비하여 잔디가 길게 되어 있는 지역인데, 잔디가 긴 러프에서는 잔디가 짧은 페어웨이보다는 타격이 어렵다. 벙커는 모래로 이루어진 지역을 나타내는데, 모래에서는 타격하기 더 어려워서 잔디 지역(페어웨이, 러프)에 비하여 타격 난이도가 높다.
도 9를 참조하면, 타격 플레이트에는 타격용 골프공이 놓여지는 타격매트(M)가 구비되며, 타격매트(M)는 복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영역 타격매트(M)는 제1 타격영역(M1)과 2개의 서브영역(M2a, M2b)을 갖는 제2 타격영역(M2)으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타격영역(M1)은 실제 골프에서 타격 난이도가 가장 낮은 페어웨이에 대응하고, 제2 타격영역(M2)은 페어웨이에 비하여 타격 난이도가 높은 비페어웨이(본 명세서에서, 러프, 벙커 등 페어웨이에 비하여 타격 난이도가 높은 영역을 '비페어웨이'라고 명명한다)에 대응하며, 제2 타격영역(M2)의 2개의 서브영역(M2a, M2b)은 서로 타격 난이도가 상이한 러프와 벙커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격매트(M)의 제1 타격영역(M1)과 제2 타격영역(M2) 중 하나의 서브영역(M2a)을 페어웨이와 러프에 대응하도록 길이가 서로 다른 인조잔디로 형성하고, 타격매트(M)의 제2 타격영역(M2) 중 나머지 서브영역(M2b)은 모래에서 타격하는 것 같은 타격감을 줄 수 있는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영역 타격매트(M)는 타격 난이도 및/또는 타격감이 상이한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되게 형성될 수 있다. 실제 골프에서는 워터 해저드와 같이 페어웨이, 러프, 벙커 이외의 다른 지형이 있을 수 있고, 러프나 벙커도 라이트 러프, 헤비 러프, 페어웨이 벙커, 그린 벙커와 같이 세분화될 수 있기 때문에, 복수 영역 타격매트(M)는 실제 골프장의 다양한 지형 속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도 9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실제 골프장에서 비페어웨이 중에서는 다른 영역보다 러프나 벙커가 비중이 높은 편이기 때문에, 이하에서 제2 타격영역(M2)의 2개의 서브영역(M2a, M2b)은 각각 러프 영역, 벙커 영역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또한 제1 및 제2 타격영역(M1, M2)은 각각 페어웨이 영역, 비페어웨이 영역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복수 영역 타격매트(M)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타격매트(M)는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이 놓여 있는 여러가지 상황에 대응되는 다양한 타격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이 가상 페어웨이에 놓여 있는 경우에는 페어웨이 영역에 실제 골프공을 놓고 타격하면, 스크린 속 상황에 대응되는 타격환경에서 타격할 수 있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골프공이 가상 러프에 놓여 있는 경우에 러프 영역에 실제 골프공을 놓고 타격하면, 스크린 속 상황에 대응되는 타격환경에서 타격할 수 있고,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골프공이 가상 벙커에 놓여 있는 경우에 벙커 영역에 실제 골프공을 놓고 타격하면, 스크린 속 상황에 대응되는 타격환경에서 타격할 수 있다.
제2 모드에 적용될 수 있는 한 가지 방식은, 사용자가 타격매트(M)의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계속 타격해야 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가 연속으로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 A1, A2가 있고 본 방식에 따른 제2 모드하에서 사용자 A1이 먼저 타격한다고 가정한다. 사용자 A1이 특정 골프코스에 있어서 최초의 타격(티샷)을 하는 경우, 티샷은 보통 스크린 속 가상의 골프공이 가상 페어웨이에 놓여 있는 상태에서 하게 되므로, 실제 골프공을 타격매트의 페어웨이 영역에 놓고 타격한다(편의상, '제1 페어웨이샷'이라 명명). 티샷의 결과 사용자 A1의 가상의 골프공이 가상 페어웨이에 착지하였다면, 사용자 A1은 다시 가상의 골프공이 착지되어 있는 지형에 대응되도록 타격매트의 페어웨이 영역에 실제 골프공을 놓고 타격한다(편의상, 제2 페어웨이샷'이라 명명). 만약 제2 페어웨이샷의 결과 가상의 골프공이 가상 러프에 착지하였다면, 사용자 A1은 다시 가상의 골프공이 착지되어 있는 지형에 대응되도록 타격매트의 러프 영역에 실제 골프공을 놓고 타격해야 한다(편의상, '제1 러프샷'이라 명명). 이 케이스에서, 제1 및 제2 페어웨이샷은 모두 타격매트의 동일한 영역인 페어웨이 영역에서 타격하는 것이고, 제1 러프샷은 타격매트의 다른 영역인 러프 영역에서 타격하는 것이다. 본 방식에서는 실제 골프공을 놓고 타격해야 하는 타격매트상의 영역이 동일한 경우에 해당 사용자가 연속해서 타격하도록 한다고 하였으므로, 위에서 예를 든 케이스에서 사용자 A1은 제1 및 제2 페어웨이샷을 연속으로 진행하고 제2 페어웨이샷 이후에는 다른 사용자가 타격한 이후에 제1 러프샷을 진행한다.
타격매트에 있어서 실제 골프공을 놓는 영역이 같으면 타격감이 동일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최초의 타격감을 유지하면서 연속으로 타격하는 것이 유리하고, 실제 골프공을 놓는 영역이 다르면 타격감이 달라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잠깐 쉬었다가 타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본 방식은 상기한 사용자의 입장을 반영한 것이다.
이상 골프공의 위치와 상관없이 타격순서를 결정할 수 있는 제2 모드의 여러가지 방식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몇 가지 예를 든 것일 뿐이며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은 다른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제1 및 제2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는 타격 플레이트(10), 제어기기(21), 감지기기(31), 입력기기(41) 및 표시부(50)를 포함한다. 타격 플레이트(10)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놓고 타격하는 타격존에 해당한다. 제어기기(21)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제어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등의 기능을 가진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감지기기(31)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감지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입력기기(41)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입력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입력기능을 갖는 키보드나 마우스가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50)는 골프 관련 영상을 투사하는 빔 프로젝터(51)와 투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52)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사용자에게 게임의 진행 상황을 안내하고 게임의 진행에 따른 각종 효과음을 재생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음향기기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가상 골프 장치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가상 골프 장치에도 복수의 사용자가 플레이할 때에 사용자간 타격순서를 결정하는 방식에 관한 제1 및 제2 모드가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린 골프 플레이 이전이나 플레이 중에 언제든지 자신이 희망하는 플레이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선택을 위하여 별도의 인터페이스 기기(6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기기(60)는 타격 플레이트(10) 근방에 배치되어 있어서,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하여 타격 플레이트(10)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근방에 있는 인터페이스 기기(60)를 이용하여 언제든지 간편하게 제1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기기(60)에는 제1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①번 버튼(61)'과 제2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②번 버튼(62)'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는 ①번 버튼(61)과 ②번 버튼(62) 중 어느 하나를 발로 밟음으로써 제1 및 제2 모드 중 원하는 모드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기기(60)에는 제1 및 제2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스크린 골프 플레이 중에 자주 사용하는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다른 버튼(63)이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버튼(63)은 스크린 속 화면이 보여지는 각도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버튼이 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기기(60)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인터페이스 기기(60)가 없더라도 입력기기(41)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희망에 따라 스크린 골프 플레이 이전이나 플레이 중에 언제든지 제1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스크린이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별도 구비되는 키오스크 등에 사용자의 플레이 옵션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보통 실제의 골프장은 18홀(18개의 서로 다른 골프코스)로 구성되는데, 스크린 골프에서도 사용자가 자신이 플레이하고자 하는 특정 골프장을 선택하면 해당 골프장에 있어서의 복수의 골프코스에서 플레이할 수 있다. 스크린 골프에서는 실제 골프와 동일하게 전체 18홀 플레이를 하거나 또는 약식 플레이로서 예를 들면 18홀의 절반인 9홀 플레이를 할 수 있으며, 이는 플레이 옵션 메뉴 화면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 옵션에서는 거리나 속도를 표시하는 단위를 선택할 수 있고, 나아가 타격순서와 관련하여 제1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모드를 선택함에 있어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괄선택을 선택할 수 있고,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선택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일괄선택에서는 복수의 골프코스(예를 들면, 18홀 플레이에서 18홀 전체)에서의 플레이 모드를 제1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일괄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개별선택에서는 복수의 골프코스에서 각각의 홀별로 제1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제1 및 제2 모드 중 어느 플레이 모드로 할 것인지 선택하지 않는다면, 실제의 골프에서 사용되는 방식인 제1 모드로 자동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플레이 모드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 제1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임의로 랜덤하게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가상 골프 장치에 복수의 플레이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플레이 모드에 맞추어 적절하게 스크린 골프 플레이를 진행할 수 있도록 가상 골프 장치가 동작되어야 한다. 도 14는 복수의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여러 동작방법 중 한 가지 예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체크 단계(S10), 산출 단계(S20) 및 표시 단계(S30)를 포함한다.
체크 단계(S10)에서는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기 전에 상기 제1 및 제2 모드 중 현재 적용되고 있는 모드에 따른 타격순서에 부합하는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A1, A2가 제1 모드에서 플레이하고 있고 현재 사용자 A1의 가상의 골프공이 사용자 A2의 가상의 골프공 보다 스크린 속 홀컵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면, 현재의 타격순서는 사용자 A1이다. 체크 단계(S10)에서는 제어부와 같은 구성에서 현재 제1 모드가 적용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제1 모드하에서 사용자 A1, A2 중 A1의 가상의 골프공이 홀컵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다는 점을 확인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하여 현재 타격순서가 사용자 A1임을 파악하면 체크 단계(S10)에서는 스크린에 "사용자 A1의 타격순서 입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안내하여 타격순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는 감지부 등의 구성을 통하여 현재 타격 플레이트에 사용자 A1과 A2 중 누가 위치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사용자 A2가 있다는 점을 파악하게 되면, "사용자 A1의 타격순서 입니다. 사용자 A2는 타격 플레이트에서 물러나 주세요"와 같은 메시지를 스크린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안내하여 올바른 타격순서의 사용자가 타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플레이 모드에 부합하는 사용자가 타격 플레이트에 위치하게 되면, 해당 사용자는 실제의 골프공을 타격하고 산출 단계(S20)에서 상기 타격된 실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한다. 또한 표시 단계(S30)에서는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상기 산출된 궤적에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을 표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100)는 복수의 연습 부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각 연습 부스(101, 102, 103)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첫번째 연습 부스(101)는 타격 플레이트(101a), 키오스크 화면이 구비된 시뮬레이터 기기(101b), 스크린(101c) 등을 구비하고 있고, 다른 연습 부스(102, 103)도 동일한 구성품을 가지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각 연습 부스(101, 102, 103)에는 골프공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 등을 비롯한 다른 기기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100)는 1인 또는 다수의 사용자가 골프를 플레이하거나 골프 연습을 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다수의 사용자가 플레이하는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타격순서에 관한 제1 및 제2 모드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저장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시스템은 복수의 가상 골프 장치(1) 및 서버유닛(2)을 포함한다. 가상 골프 장치(1)는 서버유닛(2)과 유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가상 골프 장치(1)는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에게 스크린 골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의 역할을 한다. 가상 골프 장치(1)는 도 1 내지 도 15 등을 참고하여 앞에서 설명한 가상 골프 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1)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플레이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타격순서에 관한 제1 및 제2 모드가 적용될 수 있다.
서버유닛(2)은 복수의 가상 골프 장치(1)를 운영하는 서비스 업자가 복수의 가상 골프 장치(1)를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중앙서버가 될 수 있다. 스크린 골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먼저 로그인을 수행하는데, 서버유닛(2)은 로그인을 할 때에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로그인의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서버유닛(2)에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3)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저장부(3)에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각 사용자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A1, A2, A3 등이 있다고 가정하면, 저장유닛(3)에는 사용자 A1에 대한 저장영역(3a), 사용자 A2에 대한 저장영역(3b), 사용자 A3에 대한 저장영역(3c)이 서로 구분되어 있고, 각 사용자에 대한 저장영역에는 신상정보, 플레이 기록정보, 플레이 옵션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신상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로그인 과정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 기록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과거 플레이 기록이나 과거 플레이 기록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사용자 개인기록(클럽별 평균비거리, 평균타수 등)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 옵션정보는 사용자가 플레이할 때에 자주 사용하는 플레이 옵션이나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선택하여 저장한 플레이 옵션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플레이 옵션정보에 제1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해당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면 자동으로 해당 모드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A1, A2가 함께 로그인을 하고, 사용자 A1, A2 각각의 플레이 옵션정보에 제1 모드가 선호하는 모드로 저장되어 있다면, 사용자 A1, A2가 플레이 개시 전에 플레이 모드를 따로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1 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가상 골프 장치
2: 서버유닛
10: 타격 플레이트
20: 제어부
30: 감지부
40: 입력부
50: 표시부

Claims (10)

  1.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면 상기 타격된 실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상기 산출된 궤적에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을 보여주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복수이고, 상기 가상의 골프공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서 각각 따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서로 다른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서 플레이 할 수 있고, 상기 제1 모드에서 복수의 사용자의 타격순서는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각 사용자의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제2 모드에서 복수의 사용자의 타격순서는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각 사용자의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와 상관없이 결정될 수 있는
    가상 골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현재 타격해야 할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자신의 가상의 골프공이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의 목표지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사용자가 되는 가상 골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한 명의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의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에 상관없이 적어도 2회 이상 연속으로 타격할 수 있는 가상 골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사용자는 현재 플레이 중인 특정 가상의 골프코스에 대한 플레이의 시작부터 완료시까지 연속으로 타격할 수 있는 가상 골프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는 퍼팅 단계에 적용될 수 있는 가상 골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실제 골프공을 놓고 타격하며,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타격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는 복수의 가상 영역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가상 영역 중에서 자신의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가상 영역에 부합되도록 상기 타격매트의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상기 실제 골프공을 높고 타격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사용자는 상기 타격매트의 복수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에서 계속 타격해야 하는 경우 연속으로 타격할 수 있는 가상 골프 장치.
  7.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면 상기 타격된 실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산출 단계; 및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상기 산출된 궤적에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을 보여주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복수이고, 상기 가상의 골프공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서 각각 따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서로 다른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서 플레이 할 수 있고, 상기 제1 모드에서 복수의 사용자의 타격순서는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각 사용자의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제2 모드에서 복수의 사용자의 타격순서는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각 사용자의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와 상관없이 결정될 수 있는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기 전에 현재 타격하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모드 중 현재 적용되고 있는 모드에 따른 타격순서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상 골프 장치; 및
    상기 가상 골프 장치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서버유닛을;
    포함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로그인을 완료한 후, 상기 제1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상기 가상 골프 장치를 이용하여 플레이 할 수 있고,
    상기 서버유닛에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로그인이 이루어질 때 또는 상기 로그인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1 및 제2 모드 중 사용자가 플레이할 모드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참조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0200171355A 2020-12-09 2020-12-09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20220082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355A KR20220082145A (ko) 2020-12-09 2020-12-09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JP2021198453A JP2022091724A (ja) 2020-12-09 2021-12-07 仮想ゴルフ装置、仮想ゴルフ装置の動作方法、及び仮想ゴルフシステム
US17/544,922 US20220176227A1 (en) 2020-12-09 2021-12-07 Virtual golf device, virtual golf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virtual golf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355A KR20220082145A (ko) 2020-12-09 2020-12-09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145A true KR20220082145A (ko) 2022-06-17

Family

ID=8184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355A KR20220082145A (ko) 2020-12-09 2020-12-09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76227A1 (ko)
JP (1) JP2022091724A (ko)
KR (1) KR20220082145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8527B2 (en) * 2003-03-04 2011-10-18 Walker Digital, Ll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game confirmations
US20110230255A1 (en) * 2010-03-18 2011-09-22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user verification
US10409363B1 (en) * 2017-03-07 2019-09-10 vGolf, LLC Mixed-reality golf tracking and simulation
KR101878101B1 (ko) * 2017-05-15 2018-07-16 주식회사 에스지엠 가상 골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76227A1 (en) 2022-06-09
JP2022091724A (ja)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5417B (zh) 螢幕高爾夫系統、實現於螢幕高爾夫系統的高爾夫資訊服務方法、用於高爾夫資訊服務的移動終端的控制方法及存儲根據該方法的程式的電腦可讀存儲介質
KR101878101B1 (ko) 가상 골프 시스템
US20230032604A1 (en) Virtual golf device and virtual sports device
KR101790747B1 (ko) 스크린 배드민턴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101928222B1 (ko) 볼 궤적을 조정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US8043150B2 (en) Game system and method using twin gage
KR102344919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20220082145A (ko)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1937720B1 (ko) 가상 골프 시스템
JP7495730B2 (ja) 複数のプレイモードを提供する仮想ゴルフ装置及びこれを利用する仮想ゴルフシステム
KR101878100B1 (ko)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565110B1 (ko) 퍼팅 연습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102321472B1 (ko) 다중 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644005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102540397B1 (ko) 퍼팅가이드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442476B1 (ko) 골프 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574496B1 (ko) 가상 스포츠용 인터페이스 기기,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스포츠 장치
KR102284901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102280404B1 (ko) 비거리를 조정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20230132002A (ko) 퍼팅가이드 영상을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20230112768A (ko) 퍼팅가이드의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JP2023130315A (ja) 仮想ゴルフ装置及び仮想ゴルフ装置の動作方法
JP2023130316A (ja) 左右打撃可能な仮想ゴルフ装置
KR20240060560A (ko) 콘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가상 스포츠 장치
KR20220168192A (ko) 퍼팅가이드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