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645A - 배드민턴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배드민턴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645A
KR20180047645A KR1020160144186A KR20160144186A KR20180047645A KR 20180047645 A KR20180047645 A KR 20180047645A KR 1020160144186 A KR1020160144186 A KR 1020160144186A KR 20160144186 A KR20160144186 A KR 20160144186A KR 20180047645 A KR20180047645 A KR 20180047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cock
support plate
coupled
unit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5052B1 (ko
Inventor
김창식
Original Assignee
김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식 filed Critical 김창식
Priority to KR1020160144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0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2069/401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substantially vertically, e.g.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셔틀콕(600)이 저장된 저장부(100, 100'); 상기 저장부(100, 100')에 저장된 셔틀콕을 인출하여 공급하는 공급수단(210)과, 상기 공급수단(210)에서 공급된 상기 셔틀콕을 이송하여 전방으로 발사하는 발사수단(220)과 상기 공급수단(210) 및 상기 발사수단(220)이 안착되는 제 1지지판(250)으로 이루어진 셔틀콕 발사부(200, 200');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 20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저장부(100, 100')에 저장된 셔틀콕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발사수단(220)으로 이송될 셔틀콕의 위치에 상응하여 개방부가 형성되는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260); 및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 200')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 200')를 좌우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320)와,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310)로 이루어진 이동수단(300, 300');을 포함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드민턴 연습장치{BADMINTON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된 다수개의 셔틀콕을 순차적으로 인출하여 셔틀콕의 손상 없이 전방으로 날릴 수 있으며, 사용 중 상하,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턴은 실외 또는 실내에 설치된 코트에서 라켓과 셔틀콕을 쳐서 상대방 코트의 바닥에 떨어지면 득점을 하는 운동으로 단식, 복식으로 이루어진 스포츠이다.
이러한 배드민턴은 최소 두 명 이상이 코트에서 경기가 이루어지며 코치, 연습상대가 없는 경우에는 혼자서 스윙, 스텝 등의 개인 연습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급, 중급, 고급자의 실력에 따라 원활한 경기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실력에 의해 흥미유발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공지된 기술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604호 "배드민턴 연습장치"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종래에 제시된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셔틀콕을 라켓을 통해 쳐내는 반복된 스윙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셔틀콕이 일정한 방향으로만 공급되어 배드민턴 코트의 다양한 위치에서 스윙연습을 할 수 없으며, 라켓에 의해 셔틀콕을 쳐내는 스윙동작으로 이루어져 고정된 라켓이 손상되거나 고정위치가 변경되면, 정확한 코스로 셔틀콕이 날아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급되는 셔틀콕이 손상되지 않으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셔틀콕을 감지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셔틀콕(600)이 저장된 저장부(100, 100'); 상기 저장부(100, 100')에 저장된 셔틀콕을 인출하여 공급하는 공급수단(210)과, 상기 공급수단(210)에서 공급된 상기 셔틀콕을 이송하여 전방으로 발사하는 발사수단(220)과 상기 공급수단(210) 및 상기 발사수단(220)이 안착되는 제 1지지판(250)으로 이루어진 셔틀콕 발사부(200, 200');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 20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저장부(100, 100')에 저장된 셔틀콕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발사수단(220)으로 이송될 셔틀콕의 위치에 상응하여 개방부가 형성되는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260); 및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 200')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 200')를 좌우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320)와,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310)로 이루어진 이동수단(300, 300');을 포함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100)는,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저장통(111)과, 상기 저장통(111)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셔틀콕이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는 통공(113)이 형성된 고정판(112)과, 상기 고정판(112)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제 1종동기어(115)가 형성된 제 1회전축(114)으로 이루어진 본체(110); 및 상기 제 1종동기어(115)에 맞물리며, 상기 제 1모터(121)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본체(110)를 회전시키는 제 1구동기어(122)와,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1측정수단(123)으로 이루어진 동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260)는 상기 고정판(112)의 하부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260)의 상기 개방부는 상기 저장통(1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발사수단(220)으로 이송될 셔틀콕이 놓일 위치에 맞춰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회전축(114)의 측면에는 상기 저장통(111)의 배치간격에 맞춰 장홈(116)이 형성되며,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결합되며, 상기 제 1회전축(114)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장홈(116)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부(100)에서 인출되는 상기 셔틀콕을 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절수단(130)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이동부(310)는,
상기 제 1지지판(25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제 2지지판(311)과, 상기 제 2지지판(311)의 끝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 2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고정부(312)와, 상기 제 2지지판(311)의 상부에 결합하여 제 5모터(314)에 의해 회전하는 캠(313)과, 상기 캠(313)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며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결합되는 회동체(315)와, 상기 제 2지지판(311)에 결합되어 상기 캠(313)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3 측정수단(31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좌우이동부(320)는,
상기 제 2지지판(311)의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 3지지판(321)과, 상기 제 3지지판(3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지지판(311)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제 2종동기어(323)가 형성된 제 2회전축(322)과, 상기 제 2종동기어(323)에 맞물리며 상기 제 6모터(324)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종동기어(323)를 회전시키는 제 2구동기어(325)와, 상기 제 2회전축(322)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4측정수단(326)과, 상기 제 2지지판(311)에 결합되며 상기 제 3지지판(321)에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이 형성된 지지체(327)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100, 100')는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상기 이동수단(300, 3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부(400, 400'); 및 상기 지지부(400, 4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부(100, 100')를 분리시켰을 때 상기 저장부(100, 100')를 보관시키기 위한 보관 케이스(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되는 셔틀콕이 손상되지 않으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셔틀콕을 감지하고 작동되는 구성을 측정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며, 오작동이 발생하여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기본 구조 및 동작 방식을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기본 도면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기본 구조 및 동작 방식에 관하여 도 1 ~ 도 7을 참조하여 전반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할 도 1 ~ 도 7의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기본 구조 및 동작 방식은 이후 설명될 도 8 ~ 도 10에서의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부에 보관된 다수개의 셔틀콕을 감지하여 순차적으로 인출시킨 후 한 쌍의 롤러부를 통해 전방으로 셔틀콕을 배드민턴 코스에 날릴 수 있으며, 좌우, 상하 각도를 조절하여 배드민턴 코트 전방에 송구할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셔틀콕을 저장하여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셔틀콕(600)을 전방의 배드민턴 코스에 송구할 수 있도록 저장부(100), 셔틀콕 발사부(200), 이동수단(300) 및 지지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장부(100)는 다수개의 셔틀콕(600)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100)는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저장통(111)과, 상기 저장통(111)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셔틀콕(600)이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는 통공(113)이 형성된 고정판(112)과, 상기 고정판(112)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제 1종동기어(115)가 형성된 제 1회전축(114)으로 이루어진 본체(110)와, 상기 제 1종동기어(115)에 맞물려 상기 본체(110)를 회전시키는 제 1구동기어(122)와, 상기 제 1구동기어(122)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1모터(121)와,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제 1측정수단(123)으로 이루어진 동력부(120)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판(112)은 상기 저장통(111)이 배치되는 위치에 통공(113)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통(111)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판(112)의 상기 통공(113)이 상기 저장통(111)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셔틀콕(600)의 날개부분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력부(120)는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결합되며,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1회전 시 상기 제 1종동기어(115)가 회전하여 상기 저장통(111)의 배치간격에 맞춰 다음 상기 저장통(111)이 위치하도록 회전되는 기어비로 구성되며, 상기 제 1구동기어(122)에는 제 1측정수단(123)을 통해 1회전을 측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1회전축(114)의 측면에는 상기 저장통(111)의 배치간격에 맞춰 장홈(116)이 형성되며,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회전축(114)의 장홈(116)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통(111)이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절수단(13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수단(130)은 상기 제 1회전축(11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회전축과 밀착되는 끝단이 내부로 삽입될 되며, 상기 장홈(116)에 위치하면 돌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조절수단(130)은 상기 제 1회전축(114)이 정확한 위치에 결합하여 상기 동력부(12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저장통(111)이 정확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는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상기 셔틀콕(600)을 인출하여 공급하는 공급수단(210)과, 상기 공급수단(210)에서 공급된 상기 셔틀콕(600)을 이송하여 전방으로 발사하는 발사수단(220)과, 상기 공급수단(210) 및 상기 발사수단(220)이 안착되는 제 1지지판(25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공급수단(210)은 상기 제 1지지판(25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셔틀콕(600)을 인출하여 상기 발사수단(22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지지대(211), 베이스(221) 및 인출부(215)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11)는 상부에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셔틀콕(600)을 감지하는 제 2감지수단(212)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판(213)은 상기 지지대(211)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부에는 정면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214)가 형성된다. 상기 인출부(215)는 상기 이동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 2감지수단(212)에 상기 셔틀콕(600)이 감지되면 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 2모터(216)에 의해 회전하도록 기어 결합되어 상기 셔틀콕을 잡아 인출하는 한 쌍의 집게부(217)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사수단(220)은 상기 제 1지지대(211)의 상부에서 상기 공급수단(210)에서 인출된 상기 셔틀콕(600)을 전방으로 날릴 수 있도록 베이스(221), 레일(224), 피니언기어(226), 가이드판(227), 제 3측정수단(316), 롤러부(230) 및 커버(24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21)는 전면에 상기 공급수단(210)에서 인출된 상기 셔틀콕(600)이 안착되는 안착판(222)과, 일측면에는 레크기어(223)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레일(224)은 상기 제 1지지판(250)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221)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니언기어(226)는 상기 레크기어(223)와 맞물리며, 제 3모터(225)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221)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3모터(225)는 상기 피니언기어(226)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 1지지판(250)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판(227)은 상기 베이스(221)의 타측면에 결합되며, 상기가이드돌기(214)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28)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221)의 길이방향 이동시 상기 공급수단(210)이 승하강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홈(228)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전방이 상부로 경사지도록 이루어지고 상비 베이스(221)가 후방으로 이동시 상기 공급수단(210)이 상승하고 전방으로 이동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돌기(214)와 결합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3측정수단(316)은 상기 제 베이스(221)의 특정 위치를 측정한다. 여기서 각 위치는 베이스(221)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공급수단(210)이 상승한 위치와, 상기 베이스(221)가 전진하면서 상기 공급수단(210)이 하강한 위치 및 상기 베이스(221)가 최전방으로 이동한 위치를 각각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부(230)는 상기 안착판(222)을 통해 이송된 상기 셔틀콕(600)을 전방으로 날릴 수 있도록 한 쌍의 롤러(231)와 상기 롤러(231)에 동력을 달하는 제 4모터(23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롤러(231)는 상기 셔틀콕(600)을 전방으로 날릴 수 있도록 회전하며, 상기 제 4모터(232)는 기어, 벨트 등의 구성 및 각각의 모터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구성을 통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커버(240)는 상기 셔틀콕(600)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구비된 개방부(241)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221), 상기 레일(224), 상기 피니언기어(226), 상기 가이드판(227), 상기 제 3측정수단(316) 및 상기 롤러부(230)를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이동수단(300)은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310)와,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이동부(310)는 상기 제 1지지판(25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제 2지지판(311)과, 상기 제 2지지판(311)의 끝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고정부(312)와, 상기 제 1지지판(25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 5모터(314)에 의해 회전하여 캠(313)과, 상기 캠(313)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여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결합되는 회동체(315)와, 상기 제 2지지판(311)에 결합되어 상기 캠(313)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3측정수단(31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312)를 중심으로 상기 캠(31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지지판(250)이 승하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의 상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3측정수단(316)을 통해 상기 캠(313)의 회전상태를 측정하여 각도를 판단하고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320)는 상기 제 2지지판(311)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제 3지지판(321)과, 상시 제 3지지판(3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지지판(311)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제 2종동기어(323)가 형성된 제 2회전축(322)과, 상기 제 2종동기어(323)에 맞물리며, 상기 제 6모터(324)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종동기어(323)를 회전시키는 제 2구동기어(325)와, 상기 제 2회전축(322)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4측정수단(326)과, 상기 제 2지지판(311)에 결합되며, 상기 제 3지지판(321)에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이 형성된 지지체(327)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구동기어(325)에 의해 상기 제 2종동기어(323)가 회전하여 좌우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체(327)에 의해 상기 제 2지지판(311)이 상하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제 4측정수단(326)은 상기 제 2종동기어(323)의 회전상태를 측정하여 각도를 판단하고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이동수단(3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00),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 및 상기 이동수단(300)을 제어하며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부가 형성된 제어부(5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지지부(400) 또는 이동수단(300) 중 간섭을 받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 1, 2, 3, 4측정수단(123, 229, 316, 326), 감지수단(212) 및 상기 제 1, 2, 3, 4, 5, 6모터(121, 216, 225, 232, 314, 326)를 조작 및 제어하며, 설정된 정보에 따라 배드민턴 코스의 다양한 위치로 상기 셔틀콕(600)을 날려보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어부(500) 및 각 구성을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조작버튼 및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알림수단 및 디스플레이 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3, 4측정수단(123, 229, 316, 326)은 설치된 위치에서 이동 및 회전하는 각 구성에 결합되는 측정판(P)과, 상기 측정판(P)을 특정 위치에서 감지할 수 있는 측정부(S)로 구성된다. 따라서 기본 구성은 측정판(P)이 상기 제 1종동기어(115), 상기 베이스(221), 상기 캠(313) 및 상기 제 2종동기어(323)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측정부(S)는 상기 제 1종동기어(115), 상기 베이스(221), 상기 캠(313) 및 상기 제 2종동기어(323)의 이동 및 회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2, 및 3지지판(250, 311, 321)에 설치된다.
이러한 각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제 1측정수단(123)의 측정판은 상기 제 1구동기어(122)에 결합되며, 상기 측정부(S)는 상기 측정판(P)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1회전시 상기 측정판(P)이 같이 회전하여 상기 측정부(S)에거 상기 측정판(P)을 감지하면,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1회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측정수단(229)은 상기 베이스(221)의 길이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228)에 의해 승하강하여 상기 셔틀콕(600)을 공급하는 공급수단(21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지지판(250)에는 상기 베이스(221)의 길이방향에 따라 위치한다. 즉, 상기 제 2측정수단(229)을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측정판(P)은 상기 베이스(221)에 결합되며, 상기 측정부(S)는 상기 베이스(221)가 끝단으로 후진하여 상기 가이드홈(228)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상기 공급수단(210)이 셔틀콕(600)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를 측정하는 제 1측정부재(S1)와, 상기 베이스(221)가 전진하여 상기 가이드홈(228)을 따라 하강한 상기 공급수단(210)에서 상기 셔틀콕(600)을 공급받아 상기 안착판(222)에 안착되는 위치를 측정하는 제 2측정부재(S2)와, 상기 안착판(222)에 안착된 상기 셔틀콕(600)을 전방으로 전진하여 상기 롤러부(230)를 통해 전방으로 날아가는 위치를 측정하는 제 3측정부재(S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3측정수단(316)의 측정판(P)은 상기 캠(313)의 회전에 의해 최대각도와, 최저각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측정부(S)는 상기 캠(313)의 양측에 위치한 측정판(P)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캠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한다. 즉, 상기 측정부(S)는 상기 캠(313)의 중심에서 평행방향으로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측정판(P)의 회전시 각각 감지하여 최고각도와 최저각도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 4측정수단(326)은 상기 제 2종동기어(323)가 좌우 회전시 최대 회전 및 정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측정판(P)은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가 정위치를 기준으로 좌우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종동기어(323)에 결합되며, 상기 측정부(S)는 상기 제 2종동기어(323)의 정위치 및 양측 최대 각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양측 및 가운데에 일정각도를 가지고 배치된다.
다음으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통(111)에는 다수개의 상기 셔틀콕(600)을 보관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21)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홈(228)을 따라 상기 이동판(213)이 상부로 상승하면서 상기 제 1측정부재(S1)에 상기 베이스(221)가 측정되면 상기 제 3모터(225)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후, 상승된 상기 공급수단(210)이 상기 감지수단(212)을 통해 상기 셔틀콕(600)이 감지되면, 상기 제 2모터(216)를 통해 한 쌍의 상기 집게부(217)를 작동시켜 상기 셔틀콕(600)을 잡아 고정한다.
상기 집게부(217)가 상기 셔틀콕(600)을 잡으면 상기 제 3모터(225)에 의해 상기 베이스(221)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홈(228)을 따라 상기 이동판(213)이 하강하게 되어 상기 셔틀콕(600)을 인출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21)가 상기 제 2측정부재(S2)에 위치하면 상기 공급수단(210)이 하강이 완료되며, 상기 집게부(217)에 고정된 상기 셔틀콕(600)을 하부로 떨어트려 상기 안착판(222)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셔틀콕(600)은 상기 안착판(222)에 안착되며, 상기 커버(240)의 개방부(241)에 의해 정위치를 유지한다. 상기 셔틀콕(600)이 상기 안착판(222)에 안착되면, 상기 베이스(221)가 전진하여 상기 제 3측정부재(S3)에 측정되는 위치에서 상기 셔틀콕(600)은 상기 롤러부(230)에 의해 전방으로 날아가며, 상기 제 3모터(225)의 작동을 중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 3모터(225)가 역회전하여 상기 베이스(221)는 후진하여 상기 제 1측정수단(123)에 감지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러한 작동순서에 따라 상기 셔틀콕(600)을 공급받아 전방으로 날려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셔틀콕(600)은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를 통해 일정한 시간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날아가며, 상기 셔틀콕(600)은 항시 고정 및 안착되어 상기 롤러부까지 동일한 위치로 공급되어 충격 및 바람이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위치로 상기 셔틀콕을 날려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틀콕(600)을 하나씩 인출하여 공급하고 각각의 위치에서 고정 및 안착되어 오작동 및 상기 셔틀콕(600)이 중첩되어 발사되는 문제를 방지하며, 상기 셔틀콕(6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통(111)에 보관된 상기 셔틀콕(600)을 전부 소진하면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베이스(221)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3측정수단(316)에 측정되면, 상기 공급수단(210)이 상승하여 상기 감지수단(212)을 통해 상기 셔틀콕(600)을 감지한다. 이때 상기 감지수단(212)에 상기 셔틀콕(600)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 1모터(121)를 작동하여 상기 저장부(10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구동기어(122)가 1회전시 상기 제 1종동기어(115)가 일정 거리만큼 회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상기 저장통(111)이 순차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1회전에 따라 상기 저장통(111)은 회전하여 다음 위치에 있는 상기 저장통(111)이 상기 공급수단(210)의 상단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 1회전축(114)은 상기 조절수단(130)에 의해 정확한 위치로 미세하게 조절되며, 상기 제 1측정수단(123)을 통해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1회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작동되어 상기 저장통(111)에 저장된 상기 셔틀콕(600)이 다 소진하면 상기 셔틀콕(600)이 저장된 다음 상기 저장통(111)으로 회전하여 상기 셔틀콕(600)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221)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212)에 의해 상기 셔틀콕(600)을 감지하여 상기 셔틀콕(600)을 공급하고 저장된 상기 셔틀콕(600)이 소진되면 다음 위치에 저장된 상기 셔틀콕(600)을 공급할 수 있으며, 사용중 셔틀콕을 보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는 좌우 및 상하 이동하여 배드민턴 필드에 고르게 상기 셔틀콕(600)을 날려보낼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상기 이동수단(300)이 작동한다. 여기서 상하이동부(310)와, 좌우이동부(320)는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먼저 상하이동부(310)는 상기 제 2지지판(311)에서 후면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312)가 상부로 돌출하여 상기 제 1지지판(25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312)를 통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가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12)의 전방에는 상기 캠(313)이 상기 제 5모터(314)의 동력을 받아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캠(313)의 상부에는 상기 제 1지지판(250)에 고정되어 상기 캠(313)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체(315)와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캠(313)의 회전시 상기 회동체(315)가 이동하여 상기 제 1지지판(250)의 상승 및 하강한다. 이때, 상기 캠(313)의 회전상태는 상기 제 3측정수단(316)을 통해 각도를 측정하여 원하는 각도에서 상기 셔틀콕(600)이 날아갈 수 있도록 조절한다. 아울러 상기 캠(313)은 제 5모터(314)의 회동에 따라 각도가 변경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캠(313)의 회전을 통해 상하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그리고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부(320)는 상기 제 3지지판(321)에 결합되어 상기 제 6모터(324)에 의해 회전하는 제 2구동기어(325)에 따라 상기 제 2종동기어(323)가 회전하면서 상기 상하이동부(310) 및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를 좌우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 2구동기어(325)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종동기어(323)가 일정각도 회전하여 좌우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 2회전축(322)의 후방에 위치한 상기 지지체(327)를 통해 상기 제 2지지판(311)이 상하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원활하게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4측정수단(326)을 통해 상기 제 2종동기어(323)를 측정하여 좌우 이동각도를 변경하여 배드민턴 코스의 정확한 위치에 상기 셔틀콕(600)을 날릴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 2종동기어(323)의 회전에 따라 좌우이동이 이루어지며, 제 4측정수단(326)을 통해 이동되는 각도를 측정하여 배드민턴 코스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셔틀콕을 날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부(310) 및 상기 좌우이동부(320)는 개별적으로 동시에 작동할 수 있어, 배드민턴 코스 내에 다양하게 상기 셔틀콕을 날려보낼 수 있으며, 신속하게 위치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도 1 ~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기본 구조 및 동작 방식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도 8 ~ 도 10을 참조하여 도 1 ~ 도 7의 기본 구조 및 동작 방식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채용하되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앞서 도 1 ~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부(100'), 셔틀콕 발사부(200'), 이동수단(300'), 제어부(500'), 지지부(400')를 포함한다. 이때, 도 8의 경우, 셔틀콕 발사부(200'), 이동수단(300'), 제어부(500')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가 도시되고 있다. 그리고 도 8의 경우,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0')가 더 포함되며, 또한 보관 케이스(70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때, 보관 케이스(700')에는 다양한 물품들을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서 사용될 수도 있지만, 만일 저장부(100')가 탈착형 분리 가능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해당 저장부(100')를 분리해낸 후 보관 케이스(700')에 보관시킴으로써 장치 관리의 편의성 및 휴대성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을 통해 후술할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는 앞서 설명한 도 1 ~ 도 7의 실시예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먼저 명확히 해둔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260)는, 셔틀콕 발사부(20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저장부(100')에 저장된 셔틀콕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발사수단(220)으로 이송될 셔틀콕의 위치에 상응하여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260)는 현재 회차에 발사되어야 할 셔틀콕만이 발사수단(220)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셔틀콕들은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도 4의 케이스를 보면, 저장부(100)에 보관된 셔틀콕들은 중력에 의해서 고정판(112)에 형성된 각각의 통공(113) 아래로 쳐진 상태에 놓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저장부(110)의 회전(좌우이동) 또는 상하이동에 따라서 셔틀콕들이 흔들리거나 아래로 떨어지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260)를 셔틀콕 발사부(200 또는 200')의 상면에 고정 설치시키고, 상기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260)의 상기 개방부를 상기 저장통(1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발사수단(220)으로 이송될 셔틀콕이 놓일 위치에 맞춰 형성시킴으로써, 현재 회차에 발사될 셔틀콕을 제외한 나머지 셔틀콕들은 안전하게 보관 및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대신, 저장통(111)의 고정판(112)의 하면에는 고정 설치될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260)와는 무관하게 저장통(111)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별도의 회전 플레이트(118)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 : 저장부
112, 112' : 고정판
118 : 회전 플레이트
200, 200' : 셔틀콕 발사부
260 :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
300, 300' : 이동수단
400, 400' : 지지부
500, 500' : 제어수단
60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700' : 보관 케이스

Claims (6)

  1.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셔틀콕(600)이 저장된 저장부(100, 100');
    상기 저장부(100, 100')에 저장된 셔틀콕을 인출하여 공급하는 공급수단(210)과, 상기 공급수단(210)에서 공급된 상기 셔틀콕을 이송하여 전방으로 발사하는 발사수단(220)과 상기 공급수단(210) 및 상기 발사수단(220)이 안착되는 제 1지지판(250)으로 이루어진 셔틀콕 발사부(200, 200');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 20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저장부(100, 100')에 저장된 셔틀콕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발사수단(220)으로 이송될 셔틀콕의 위치에 상응하여 개방부가 형성되는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260); 및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 200')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 200')를 좌우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320)와,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310)로 이루어진 이동수단(300, 300');을 포함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100)는,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저장통(111)과, 상기 저장통(111)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셔틀콕이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는 통공(113)이 형성된 고정판(112)과, 상기 고정판(112)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제 1종동기어(115)가 형성된 제 1회전축(114)으로 이루어진 본체(110); 및 상기 제 1종동기어(115)에 맞물리며, 상기 제 1모터(121)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본체(110)를 회전시키는 제 1구동기어(122)와,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1측정수단(123)으로 이루어진 동력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260)는 상기 고정판(112)의 하부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셔틀콕 지지 플레이트(260)의 상기 개방부는, 상기 저장통(1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발사수단(220)으로 이송될 셔틀콕이 놓일 위치에 맞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전축(114)의 측면에는 상기 저장통(111)의 배치간격에 맞춰 장홈(116)이 형성되며,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결합되며, 상기 제 1회전축(114)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장홈(116)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부(100)에서 인출되는 상기 셔틀콕을 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절수단(13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310)는,
    상기 제 1지지판(25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제 2지지판(311)과, 상기 제 2지지판(311)의 끝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 2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고정부(312)와, 상기 제 2지지판(311)의 상부에 결합하여 제 5모터(314)에 의해 회전하는 캠(313)과, 상기 캠(313)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며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결합되는 회동체(315)와, 상기 제 2지지판(311)에 결합되어 상기 캠(313)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3 측정수단(3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부(320)는,
    상기 제 2지지판(311)의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 3지지판(321)과, 상기 제 3지지판(3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지지판(311)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제 2종동기어(323)가 형성된 제 2회전축(322)과, 상기 제 2종동기어(323)에 맞물리며 상기 제 6모터(324)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종동기어(323)를 회전시키는 제 2구동기어(325)와, 상기 제 2회전축(322)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4측정수단(326)과, 상기 제 2지지판(311)에 결합되며 상기 제 3지지판(321)에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이 형성된 지지체(3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100, 100')는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이동수단(300, 3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부(400, 400'); 및
    상기 지지부(400, 4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부(100, 100')를 분리시켰을 때 상기 저장부(100, 100')를 보관시키기 위한 보관 케이스(700')를 더 포함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20160144186A 2016-11-01 2016-11-01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915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186A KR101915052B1 (ko) 2016-11-01 2016-11-01 배드민턴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186A KR101915052B1 (ko) 2016-11-01 2016-11-01 배드민턴 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645A true KR20180047645A (ko) 2018-05-10
KR101915052B1 KR101915052B1 (ko) 2019-01-07

Family

ID=6218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186A KR101915052B1 (ko) 2016-11-01 2016-11-01 배드민턴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0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3808A (zh) * 2018-09-10 2018-11-27 张家港保税区宇联羊毛工业有限公司 针梳机的旋转装置
CN109011501A (zh) * 2018-09-19 2018-12-18 温州大学苍南研究院 一种羽毛球发球机器人
CN109939430A (zh) * 2019-03-14 2019-06-28 峰才运动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羽毛球发球机
KR102076554B1 (ko) 2018-09-21 2020-02-13 한국기계연구원 셔틀콕 연속 공급 장치
KR102076557B1 (ko) 2018-09-27 2020-02-13 한국기계연구원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
KR20220000124A (ko) * 2020-06-25 2022-01-03 송봉화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
CN114898501A (zh) * 2022-05-16 2022-08-12 崔浩 一种羽毛球出货装置及羽毛球售卖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618B1 (ko) * 2010-01-11 2013-01-30 김경수 배드민턴 연습기
CN201939989U (zh) * 2010-12-30 2011-08-24 杨子奕 一种羽毛球发球机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3808A (zh) * 2018-09-10 2018-11-27 张家港保税区宇联羊毛工业有限公司 针梳机的旋转装置
CN109011501A (zh) * 2018-09-19 2018-12-18 温州大学苍南研究院 一种羽毛球发球机器人
KR102076554B1 (ko) 2018-09-21 2020-02-13 한국기계연구원 셔틀콕 연속 공급 장치
KR102076557B1 (ko) 2018-09-27 2020-02-13 한국기계연구원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
CN109939430A (zh) * 2019-03-14 2019-06-28 峰才运动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羽毛球发球机
KR20220000124A (ko) * 2020-06-25 2022-01-03 송봉화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
CN114898501A (zh) * 2022-05-16 2022-08-12 崔浩 一种羽毛球出货装置及羽毛球售卖机
CN114898501B (zh) * 2022-05-16 2024-03-12 崔浩 一种羽毛球出货装置及羽毛球售卖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052B1 (ko) 201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05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73105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434251B1 (ko)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US9039547B2 (en) Personal sports simulation robot
KR100915299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600761B1 (ko) 배구 연습 장치
KR10094346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273544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20240131413A1 (en) Pitching machine and batting bay systems
KR101564191B1 (ko) 탁구 연습 장치
KR101227618B1 (ko) 배드민턴 연습기
KR20120006167A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120127891A (ko) 슈팅 놀이기구
KR20150146137A (ko) 공 자동 발사 장치
KR200470337Y1 (ko) 초보자를 위한 테니스 서브 연습기
KR20140083222A (ko) 배드민턴 자동연습장치
KR100946970B1 (ko) 자동캐디기와 이를 구비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9842A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508523B1 (ko) 자동궤적설정을 위한 피칭 머신
KR100506810B1 (ko) 공 발사 장치
KR20150069653A (ko)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분사기
KR20100038860A (ko) 퍼팅 연습장치
KR101129648B1 (ko) 골프공 오토 디스펜서
KR20180000253A (ko) 피칭 머신
KR20110018686A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