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557B1 -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557B1
KR102076557B1 KR1020180114877A KR20180114877A KR102076557B1 KR 102076557 B1 KR102076557 B1 KR 102076557B1 KR 1020180114877 A KR1020180114877 A KR 1020180114877A KR 20180114877 A KR20180114877 A KR 20180114877A KR 102076557 B1 KR102076557 B1 KR 102076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cock
unit
stored
plat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휘
송성혁
김병인
허필우
이재영
서용신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14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Abstract

본 발명은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저장된 셔틀콕을 낙하시켜 임시 저장하였다가, 임시 저장된 셔틀콕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발사시킬 수 있는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Shuttlecock Damage Prevention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저장된 셔틀콕을 낙하시켜 임시 저장하였다가, 임시 저장된 셔틀콕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발사시킬 수 있는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드민턴은 단식, 복식 등 네트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2명 이상이 필요한 운동으로서, 혼자서는 스윙 또는 스텝연습 정도만을 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7645호(2018.05.10.)에 셔틀콕을 전방(배드민턴 운동을 위한 사람이 서 있는 위치)으로 발사시켜 개인 혼자서 배드민턴 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개시되었다.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일정 배열된 저장통에 셔틀콕을 저장하고, 선택되는 저장통이 위치에 회전하여 위치되면, 집게로 셔틀콕을 인출하여 안착시킨 후, 발사수단 등을 통해 셔틀콕을 전방으로 발사시키게 된다.
이때, 하나의 저장통에 저장된 셔틀콕을 다 발사시키게 되면, 다른 저장통에 저장된 셔틀콕을 발사하기 위해 회전되며, 회전을 통해 셔틀콕을 발사시키기 위한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즉, 배드민턴 운동을 위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셔틀콕을 발사하여 스윙하는 경우, 저장통의 변경에 따른 시간 지연에 따라 사용자의 스윙 리듬이 깨질 수 있으며, 이는 쾌적한 연습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집게수단으로 저장통에 저장된 셔틀콕을 하나씩 인출하여 발사시키므로, 저장된 셔틀콕의 위치가 일정 기울어져 저장되는 경우에는 집게의 불안정한 고정에 의해 셔틀콕이 이탈할 우려가 있다.
또한, 집게수단으로 일정 힘을 가하여 셔틀콕을 인출함으로써, 저장된 셔틀콕의 저장 위치가 일정 이탈되게 되면, 집게수단의 힘에 의해 셔틀콕의 손상 및 파손 우려가 있다.
이는 선택되는 방향 또는 속도로 셔틀콕을 발사할 시, 일정 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7645호(2018.05.1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통에 다수 저장된 셔틀콕을 발사 전에 적어도 둘 이상 별도로 저장하였다가 중력에 의해 낙하시켜 발사함으로써,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셔틀콕을 발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셔틀콕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는 셔틀콕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셔틀콕이 낙하되어 저장되는 대기부 및, 상기 저장부가 결합되는 발사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부로부터 낙하되어 안착되는 셔틀콕을 발사하는 발사부를 포함하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일정하게 배치되어 셔틀콕이 저장되는 저장통을 포함하는 저장부몸체와, 상기 저장부몸체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저장부몸체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낙하방지판과, 상기 대기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낙하방지판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낙하공을 포함하는 낙하방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기부는 상기 낙하공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 관통되어 형성되는 대기부몸체와, 상기 대기부몸체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대기부몸체에 저장된 셔틀콕을 고정 및 해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고정수단 및, 상기 제1고정수단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대기부몸체에 저장된 셔틀콕을 고정 및 해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사부는 상기 발사부플레이트에 상기 대기부몸체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셔틀콕이 낙하되어 안착되되,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발사부플레이트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동된 셔틀콕을 발사시키는 발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수단과 제2고정수단은 폐쇄 및 개방에 따라 셔틀콕을 고정 및 해제하는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수단과 제2고정수단은 개방과 폐쇄가 서로 반대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기부몸체는 상기 제2고정수단이 셔틀콕을 고정 및 해제하도록 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고정수단이동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대기부몸체에서 낙하하는 셔틀콕이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과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형성되는 전후이동부와, 상기 전후이동부에 대응하여 상기 발사부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레일 및, 상기 전후이동부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안착동작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안착판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안착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사수단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롤러로 동력을 공급하는 발사수단동력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작부는 상기 저장통에 저장된 셔틀콕의 수를 측정하는 제1측정수단 및 상기 대기부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셔틀콕의 저장 유무를 측정하는 제2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는 상기 동작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동작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제어부 및, 상기 위치제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는 다수 저장된 셔틀콕을 발사하기 전에 적어도 둘 이상 별도로 저장하였다가, 중력에 의해 낙하시켜 발사함으로써, 셔틀콕의 인출을 위한 시간 지연 없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셔틀콕을 발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는 중력에 의해 셔틀콕을 낙하시켜 발사하므로, 발사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로 셔틀콕을 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는 저장된 셔틀콕을 낙하시켜 발사하므로, 인출에 의한 셔틀콕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의 동작부를 구성하는 대기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의 발사부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의 동작부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의 상하제어부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의 수평제어부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의 동작부를 구성하는 대기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1000)는 셔틀콕을 저장하였다가 낙하시켜 발사하는 동작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동작부(100)는 셔틀콕이 저장되는 저장부(110)와, 저장부(110) 하부에 형성되어 저장부(110)로부터 낙하된 셔틀콕이 저장되는 대기부(120), 저장부(1110)가 결합되는 발사부플레이트(131)를 포함하며, 대기부(120)로부터 낙하된 셔틀콕이 안착되고 전방으로 발사되는 발사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전방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1000)를 이용하여 스윙 운동을 위한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이다.
상술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1000)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저장부(110)는 셔틀콕이 저장되는 구성으로서, 셔틀콕이 저장되는 저장부몸체(111), 저장부몸체(111)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112) 및 저장부몸체(111)에 저장된 셔틀콕이 하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플레이트(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저장부몸체(111)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됨으로써, 셔틀콕이 상부로부터 인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저장되는 저장통(111-1)을 다수 포함하며, 저장통(111-1)은 일정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저장부몸체(111)는 저장통(111-1)의 상하 방향 끝단에 위치되어 저장통(111-1)들을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11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저장통(111-1)은 저장된 셔틀콕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한정하지 않는다.
회전부(112)는 저장부몸체(111)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저장부몸체(111)는 셔틀콕이 저장되는 다수의 저장통(111-1)을 포함하고, 저장통(111-1)은 선택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며, 선택되는 저장통(111)에 저장된 셔틀콕이 발사를 위해 낙하되어 소진될 경우, 회전부(112)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회전 방향으로의 후단에 위치한 저장통(111-1)이 대기부(12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한다.
회전부(112)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112-1)과, 회전축(112-1)을 중심으로 저장부몸체(111)와 일부 결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판(112-2)을 포함하며,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축(112-1)이 축 회전되고, 회전축(112-1)의 축 회전에 따라 회전판(112-2)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여 저장부몸체(111)를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저장부몸체(111)는 회전부(112)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저장통(111-1)이 대기부(12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회전축(112-1)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낙하방지플레이트(113)는 저장부몸체(111)의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낙하방지플레이트(113)는 저장통(111-1)에 저장된 셔틀콕이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낙하방지플레이트(113)는 셔틀콕의 낙하를 방지하되, 대기부(120)로 셔틀콕을 낙하시켜야 하므로, 이에 낙하방지플레이트(113)는 저장부몸체(111) 하부에 이격되어 셔틀콕의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방지판(113-1)과, 낙하방지판(113-1)에 형성되되 대기부(200)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낙하공(1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낙하방지플레이트(113)는 낙하방지판(113-1)을 통해 저장통(111-1)에 저장된 셔틀콕의 낙하를 방지하며, 대기부(120)의 위치로 이동된 저장통(111-1)에 저장된 셔틀콕은 낙하공(113-2)을 통해 대기부(120)로 낙하하도록 한다.
이때, 저장통(111-1)은 셔틀콕을 상부에서 인입시켜 낙하시켜 저장하며, 하부에서 대기부(120)로 셔틀콕을 낙하시켜야 하므로, 셔틀콕의 헤드 및 날개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나, 셔틀콕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경우 셔틀콕의 낙하 시 내부의 충돌 등에 의해 위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셔틀콕의 인입 및 낙하가 수월할 뿐만 아니라, 직경의 상이에서 오는 셔틀콕의 위치 이탈 방지가 가능한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기부(120)는 저장부몸체(111)의 저장통(111-1)에 저장된 셔틀콕이 낙하되어 발사부(130)를 통해 발사되기 전, 저장하여 대기시키는 구성이며, 크게 대기부몸체(121), 제1고정수단(122) 및 제2고정수단(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대기부몸체(121)는 낙하공(113-2)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가 관통되어 형성됨으로써, 낙하공(113-2)을 통해 낙하된 셔틀콕이 저장된다.
제1고정수단(122)은 대기부몸체(121) 하부에 위치되어 대기부몸체(121)에 저장된 셔틀콕과 결합 및 해제 가능하게 형성되며, 제2고정수단(123)은 제1결합수단(122)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대기부몸체(121)에 저장된 셔틀콕과 결합 및 해제 가능하게 형성된다.
대기부몸체(121)는 상술된 바와 같이 낙하공(113-2)을 통해 낙하된 셔틀콕이 저장되며, 이때, 본 발명에서의 대기부몸체(121)는 셔틀콕이 적어도 2개 이상 저장되도록 이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대기부(120)는 대기부몸체(121)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셔틀콕이 저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저장통(111-1)의 회전에 따른 시간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낙하공(113-2)에 대응된 저장통(111-1)에 저장된 셔틀콕을 다 발사한 경우, 저장부몸체(111)는 인접한 저장통(111-1)에 저장된 셔틀콕을 발사하도록 회전하며, 이는 저장부몸체(111)의 회전에 따라 셔틀콕을 발사하기 위한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저장통(111-1)에 저장된 셔틀콕을 발사하기 전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가지는 대기부(120)를 포함함으로써, 저장부몸체(111)의 회전 시, 대기부(120)에 저장된 셔틀콕을 낙하시켜 발사부(130)를 통해 발사하면 되므로, 이에 따른 시간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1000)가 동일한 시간간격으로 셔틀콕을 발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시간 지연에 따른 동작의 연속성 단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드민턴 연습에 따른 최적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할 수 있다.
제1고정수단(122)은 대기부몸체(121) 하부에 위치되어 대기부몸체(121) 내부의 최하부에 위치된 셔틀콕을 고정시켜 셔틀콕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셔틀콕과의 해제를 통해 셔틀콕을 발사부(130)로 낙하시킬 수 있다.
이때, 제1고정수단(122)은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방 및 폐쇄에 따라 대기부몸체(121) 내부의 최하부에 위치한 셔틀콕을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다.
즉, 제1고정수단(122)은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방되어 셔틀콕과의 접촉이 해제되면 셔틀콕을 낙하시키게 되고, 폐쇄됨에 따라 셔틀콕과 접촉되게 되면 셔틀콕을 고정시켜 발사부(130)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고정수단(123)은 상술된 바와 같이, 제1고정수단(122)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고정수단(122)과 같이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방 및 폐쇄에 따라 대기부몸체(121) 내부의 최하부에 위치한 셔틀콕과 인접하여 위치되는 셔틀콕을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다.
이때,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제1고정수단(122)과 제2고정수단(123)은 개방 및 폐쇄가 서로 반대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고정수단(122)이 개방되어 대기부몸체(121)의 최하부에 저장된 셔틀콕을 낙하할 경우, 제2고정수단(123)은 폐쇄되어 최하부에 저장된 셔틀콕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웃한 셔틀콕을 고정함으로써, 대기부몸체(121) 최하부에 저장된 셔틀콕만을 발사부(120)로 낙하시키도록 하며, 제1고정수단(122)이 폐쇄되어 대기부몸체(121) 최하부에 저장된 셔틀콕을 고정할 경우, 상부 방향으로 이웃한 셔틀콕은 최하부에 위치한 셔틀콕에 이웃하도록 대기부몸체(121) 내부로 인입하여 낙하해야 하므로, 제2고정수단(123)은 개방되도록 동작한다.
즉, 제1고정수단(122)과 제2고정수단(123)은 셔틀콕을 발사하기 위해 셔틀콕을 낙하시켜 발사부(130)로의 셔틀콕을 낙하하는 동작과, 대기부(120)에서 대기하도록 대기부몸체(121) 내에서 낙하시키는 동작을 서로 반대로 동작하도록 한다.
아울러, 제2고정수단(123)은 제1결합수단(122)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셔틀콕을 고정 및 해제해야 하므로, 대기부몸체(121)는 제2결합수단(123)의 동작 구간에 대응하여 관통된 형상을 가지는 제2고정수단이동공(121-1)이 형성된다.
제2고정수단이동공(121-1)은 제2고정수단(123)이 셔틀콕을 고정 및 해제하는 동작에 방해받지 않는 크기로 관통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이와 더불어 셔틀콕이 제2고정수단이동공(123)에 의해 충돌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기로 관통되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1고정수단(122)과 제2고정수단(123)은 스프링을 이용하여 셔틀콕을 고정 및 해제하거나, 액추에이터 등을 구비하여 셔틀콕을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1000)는 셔틀콕을 발사하기 전 임시 저장하는 대기부(120)를 포함하며, 대기부(120)는 제1고정수단(122)과 제2고정수단(123)을 통해 낙하 방지만을 위해 작동하므로, 종래에 집게를 이용하여 셔틀콕을 억지로 인출하는 장치에 비해, 셔틀콕의 손상을 일정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의 발사부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사부(130)는 상술된 발사부플레이트(131)에 더해 안착부(132) 및 발사수단(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발사부플레이트(131)는 대기부(120)로부터 낙하한 셔틀콕을 발사하기 위한 기본판이며, 안착부(132)는 발사부플레이트(131)에 대기부몸체(131)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됨으로써, 대기부(120)로부터 낙하하는 셔틀콕이 낙하하여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안착부(132)는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안착부(132)에 안착된 셔틀콕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발사수단(133)은 발사플레이트(131) 전방에 형성되며, 안착부(132)로부터 전방으로 이동된 셔틀콕을 발사시킬 수 있다.
안착부(132)는 대기부몸체(121)에서 낙하하는 셔틀콕이 안착되는 안착판(132-1), 안착판(132-1)과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형성되는 전후이동부(132-2), 전후이동부(132-2)에 대응하여 발사부플레이트(131)에 형성되는 레일(132-3) 및 안착동작제어부(13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안착판(132-1)은 낙하하는 셔틀콕이 안착되는 판이며, 도면과 같이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낙하하는 셔틀콕이 안착되는 것을 돕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후이동부(132-2)는 안착판(132-1)의 전후방으로 형성되며, 이때 전후이동부(132-2)는 래크기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132-3)은 발사부플레이트(131)에 결합되며, 안착부(132)를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안착부동작제어부(132-4)는 안착부(132)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피니언기어와 모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안착부동작제어부(132-4)는 피니언기어가 래크기어로 형성되는 전후이동부(132-2)와 맞물리도록 구비되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안착부(132)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안착부(132)는 안착판(132-1)으로부터 한 쌍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셔틀콕이 좌우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착가이드(13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착가이드(132-5)는 안착판(132-1)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한 쌍으로 형성됨으로써, 셔틀콕이 낙하하는 상태 또는 안착부(132)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경우, 셔틀콕이 좌우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넘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사수단(133)은 안착부(132)를 통해 안착되어 전방으로 이동된 셔틀콕을 발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크게 한 쌍의 롤러(133-1)와, 롤러(133-1)가 회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롤러(133-1)로 동력을 공급하는 발사수단동력공급부(13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롤러(133-1)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이격된 내측으로 회전함으로써, 한 쌍의 롤러(133-1) 사이에서 셔틀콕을 전방으로 발사할 수 있다.
발사수단동력공급부(133-2)는 롤러의 회전 동작을 위해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롤러(133-1)에 결합되는 모터이거나, 하나의 모터에 기어 및 벨트 등으로 연결하여 롤러(133-1)로 하여금 회전하도록 할 수 있는 등, 롤러(133-1)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및 구성 실시예가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의 동작부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1000)의 동작부(100)는 저장부(110) 및 발사부(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는 발사부플레이트(131)에 구비되거나, 외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동작부(100)에 구비된 측정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통해 동작부(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을 참조하면, 저장부(110)는 저장통(111-1)에 저장된 셔틀콕의 수를 측정할 수 있는 제1측정수단(114)을 더 포함하며, 대기부(120)는 대기부몸체(121) 내부에 구비되어 대기부몸체(121) 내부의 셔틀콕 저장 유무를 측정하는 제2측정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이 외, 발사부(130)의 동작 측정을 위한 측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이를 통해 제어부는 저장부(110) 및 대기부(120)에 구비되는 제1측정수단(114) 및 제2측정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통해 저장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과 함께, 발사부(130)의 선택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측정수단을 통해 발사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1000)는 대기부몸체(121) 내부에 구비되는 제2측정수단을 통해 대기부몸체(121) 내부의 셔틀콕 유무를 측정하고, 셔틀콕이 대기부몸체(121) 내부에 없을 경우, 제어부는 저장통(111)에 저장된 셔틀콕을 낙하하도록 한다.
또한, 제1측정수단은 저장통(111-1) 내부에 저장된 셔틀콕의 수를 측정하며, 대기부(120)로 낙하될 셔틀콕의 수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제어부로 하여금 회전부(112)를 통해 저장부몸체(111)를 회전시킴으로써, 후단의 저장통(111-1)에 저장된 셔틀콕을 대기부(120)로 낙하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선택되는 수의 셔틀콕을 대기부몸체(121)에 발사 전 임시 저장할 수 있으며, 이는 셔틀콕을 공급하기 위해 저장부몸체(111)가 회전할 때에도 셔틀콕을 발사하도록 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시간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의 상하제어부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의 수평제어부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1000)는 동작부(10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위치제어부(200)와, 위치제어부(200)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부(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제어부(200)는 동작부(1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선택되는 각도로 셔틀콕을 발사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을 방지하도록 커버 등으로 감싸져 이루어질 수 있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지지부(300)는 동작부(100)와 위치제어부(20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축 형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외에도 박스 형상 등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1000)가 설치되기 위한 조건에 따라 다양한 구성 및 형상 실시예가 가능하다.
위치제어부(200)는 동작부(100)의 상하 방향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상하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하제어부(210)는 발사부플레이트(131) 하부에 이격되는 상하제어판(211)과, 상하제어판(211)의 끝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발사부플레이트(13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고정부(212)와, 발사부플레이트(131)와 결합되고 고정부(212)의 전방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캠(213)과, 캠(213)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여 발사부플레이트(131)와 결합되는 회동체(214) 및 캠(213)의 회전 상태를 측정하는 상하제어측정수단(215)으로 구성된다.
즉, 고정부(212)를 중심으로 캠(213)에 회전에 의해 발사부플레이트(131)의 승강과 하강이 이루어짐에 따라, 동작부(100)의 상하 방향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위치제어부(200)는 동작부(100)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수평제어부(2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수평제어부(220)는 상하제어판(211) 하부에 이격된 좌우제어판(221)을 포함하며, 좌우제어판(221)과 상하제어판(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종동기어가 형성된 수평회전축(222)과, 종동기어와 맞물리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종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223)와, 수평회전축(222)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수평제어측정수단(2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구동기어에 의해 종동기어가 회전하여 수평 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동작부(100)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으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
100 : 동작부
110 : 저장부
111 : 저장부몸체
111-1 : 저장통 111-2 : 고정플레이트
112 : 회전부
112-1 : 회전축 112-2 : 회전판
113 : 낙하방지플레이트
113-1 : 낙하방지판 113-2 : 낙하공
120 : 대기부
121 : 대기부몸체
122 : 제1고정수단 123 : 제2고정수단
130 : 발사부
131 : 발사부플레이트
132 : 안착부
132-1 : 안착판 132-2 : 전후이동부
132-3 : 레일 132-4 : 안착동작제어부
132-5 : 안착가이드
133 : 발사수단
133-1 : 롤러 133-2 : 발사수단동력공급부
200 : 위치제어부
210 : 상하제어부
220 : 수평제어부
300 : 지지부

Claims (12)

  1. 셔틀콕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셔틀콕이 낙하되어 저장되는 대기부 및,
    상기 저장부가 결합되는 발사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부로부터 낙하되어 안착되는 셔틀콕을 전방으로 발사하는 발사부를 포함하는 동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는
    일정하게 배치되어 셔틀콕이 저장되는 저장통을 포함하는 저장부몸체와,
    상기 저장부몸체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저장부몸체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낙하방지판과, 상기 대기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낙하방지판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낙하공을 포함하는 낙하방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부는
    상기 낙하공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 관통되어 형성되는 대기부몸체와,
    상기 대기부몸체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대기부몸체에 저장된 셔틀콕을 고정 및 해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고정수단 및,
    상기 제1고정수단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대기부몸체에 저장된 셔틀콕을 고정 및 해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부는
    상기 발사부플레이트에 상기 대기부몸체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셔틀콕이 낙하되어 안착되되,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발사부플레이트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동된 셔틀콕을 발사시키는 발사수단을 더 포함하는,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수단과 제2고정수단은
    폐쇄 및 개방에 따라 셔틀콕을 고정 및 해제하는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는,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수단과 제2고정수단은
    개방과 폐쇄가 서로 반대로 동작하는,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부몸체는
    상기 제2고정수단이 셔틀콕을 고정 및 해제하도록 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고정수단이동공을 포함하는,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대기부몸체에서 낙하하는 셔틀콕이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과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형성되는 전후이동부와,
    상기 전후이동부에 대응하여 상기 발사부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레일 및,
    상기 전후이동부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안착동작제어부를 포함하는,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안착판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안착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수단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롤러로 동력을 공급하는 발사수단동력공급부를 포함하는,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저장통에 저장된 셔틀콕의 수를 측정하는 제1측정수단 및,
    상기 대기부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셔틀콕의 저장 유무를 측정하는 제2측정수단을 포함하는,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는
    상기 동작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동작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제어부와,
    상기 위치제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
KR1020180114877A 2018-09-27 2018-09-27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 KR102076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877A KR102076557B1 (ko) 2018-09-27 2018-09-27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877A KR102076557B1 (ko) 2018-09-27 2018-09-27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557B1 true KR102076557B1 (ko) 2020-02-13

Family

ID=69515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877A KR102076557B1 (ko) 2018-09-27 2018-09-27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5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24A (ko) 2020-06-25 2022-01-03 송봉화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299B1 (ko) * 2009-05-07 2009-09-03 유종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090103126A (ko) * 2008-03-27 2009-10-01 이상석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090121156A (ko) * 2008-05-21 2009-11-25 이승수 배드민턴 연습기
KR20110044364A (ko) * 2009-10-23 2011-04-29 이승수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110099550A (ko) * 2010-03-02 2011-09-08 최인덕 셔틀콕 자동 발사기
KR20120006167A (ko) * 2010-07-12 2012-01-18 유종 배드민턴 연습장치
US20140261364A1 (en) * 2013-03-15 2014-09-18 Mahesh Wijegunawardana Shuttlecock launch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80047645A (ko) 2016-11-01 2018-05-10 김창식 배드민턴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3126A (ko) * 2008-03-27 2009-10-01 이상석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090121156A (ko) * 2008-05-21 2009-11-25 이승수 배드민턴 연습기
KR100915299B1 (ko) * 2009-05-07 2009-09-03 유종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110044364A (ko) * 2009-10-23 2011-04-29 이승수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110099550A (ko) * 2010-03-02 2011-09-08 최인덕 셔틀콕 자동 발사기
KR20120006167A (ko) * 2010-07-12 2012-01-18 유종 배드민턴 연습장치
US20140261364A1 (en) * 2013-03-15 2014-09-18 Mahesh Wijegunawardana Shuttlecock launch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80047645A (ko) 2016-11-01 2018-05-10 김창식 배드민턴 연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24A (ko) 2020-06-25 2022-01-03 송봉화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11582C (fr) Appareil electromecanique d&#39;entrainement pour lancer des ballons, notamment de football
EP0878684B1 (en) Motor operated paintball feed mechanism
KR102076557B1 (ko) 셔틀콕 손상 방지 이송 장치
KR101894950B1 (ko) 스크린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2071565B1 (ko) 유도결합 기능을 구비한 수류탄 투하 장치 및 드론을 이용한 수류탄 투하 방법
US3802705A (en) Portable target range
KR102076554B1 (ko) 셔틀콕 연속 공급 장치
EP0306557A2 (en) Gattling-like gun
FR2728173A3 (fr) Dispositif d&#39;entrainement au tennis de table
US6026796A (en) Target launcher apparatus for shooting exercise with fire arms
US8651983B2 (en) Swing game
JP2011511683A (ja) テーブルボールゲーム装置
JP6448240B2 (ja) 空気圧を用いるボール発射装置
JP4328867B2 (ja) メダルゲーム装置
KR102187298B1 (ko) 단발과 연발 멀티 발사기
US2404652A (en) Bounce ball game
RU2148229C1 (ru) Система заряжания для орудийной установки
JP7079020B2 (ja) ゲーム機
JPH03294793A (ja) 装薬供給装置
KR101585181B1 (ko) 단발셔틀콕 발사장치
JP7462921B2 (ja) ゲーム機
KR20200016616A (ko)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JPH07163694A (ja) バトミントン練習機
US20220088452A1 (en) Two player door court
KR101755542B1 (ko) 런닝볼을 이용한 미션형 게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