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50797A1 - 배드민턴 연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배드민턴 연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50797A1
WO2017150797A1 PCT/KR2016/015354 KR2016015354W WO2017150797A1 WO 2017150797 A1 WO2017150797 A1 WO 2017150797A1 KR 2016015354 W KR2016015354 W KR 2016015354W WO 2017150797 A1 WO2017150797 A1 WO 201715079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huttle cock
measuring
coupled
support plat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535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창식
Original Assignee
김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식 filed Critical 김창식
Priority to JP2018566175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9507002A/ja
Priority to CN201680082856.5A priority patent/CN108697925A/zh
Publication of WO201715079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507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dminton practice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take out a plurality of stored shuttlecocks sequentially and fly forward without damaging the shuttlecock, and the badminton practice apparatus that can adjust the vertical angle, left and right during us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badminton is a sport in which singles and doubles are scored when a player hits the racket and shuttlecock on the court installed outdoors or indoors and falls to the bottom of the other court.
  • Such badminton is a game in which at least two people are played on the court, and if there are no coaches or practice partners,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individual practice such as swinging and stepping alone can be performed.
  • Korean Patent Utility Model No. 20-0306604 "Badminton Practice Device” has been proposed as a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
  • the conventional badminton practice device is configured to repeatedly swing the shuttlecock to be sequentially supplied through the racket, but the shuttlecock is supplied only in a certain direction can not practice swinging at various positions of the badminton court, If the fixed racket is damaged or the fixed position is changed by swinging the shuttlecock by the rack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huttlecock does not fly to the correct cours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re a plurality of shuttlecocks, moving up, down and left and right sequentially throwing to any point of the badminton court batting alone It is to provide a badminton practice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perform exercises such as posture, timing, RBI, and step.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dminton exercise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an prevent a malfunction by detecting a shuttlecock supplied sequentially without being damaged.
  • the badminton practice apparatus that can practice the badminton swing by firing a shuttlecock, a storage unit storing a plurality of shuttlecocks;
  • Shuttlecock launch consisting of a supply means for drawing and supplying the shuttlecock stored in the storage unit, a launching means for transporting the shuttlecock supplied from the supplying means and firing forward and a first support plate on which the supplying means and the launching means are seated part;
  • a moving unit which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huttle cock launch unit and comprises a left and right moving unit which moves the shuttle cock launch unit left and right, and a Shanghai east unit which moves up and down;
  • a guide plate having a guide groov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supply means when mov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measuring plate coupled to the base and the measuring plat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ase to detect the rising and lowering positions.
  • a second measuring means comprising a first measuring member, a second measuring member, and a third measuring member for measuring a position in which the seating plate is advanced forward, and a pair of means for firing forward the shuttlecock transported through the seating plate; The roller and the roller portion is coupled to the fourth motor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roller.
  • the storage unit a plurality of storage bin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 fixing plate is coupled to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servoir and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shuttle cock can be inserted and withdrawn, and project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to launch the shuttle
  • a main body consisting of a first rotational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part and having a first driven gea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engaged with the first driven gear, and receiving a power by a first motor to rotate the main body; And, consisting of a power unit consisting of a first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the rotation state of the first drive gear, the long groov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rotation shaft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reservoir, the insertion is rotated into the long groov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xing means provided in the shuttle cock launch unit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reservoir.
  • the Shanghai East A second support plate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late, a fixing part protru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rotatably hinged to the shuttle cock launch unit,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late
  • third measuring means for rotating the cam by the fifth motor, rotatably contacting the cam, coupled to the shuttle cock launch unit, and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to measure the rotational state of the cam It is preferable that it consists of.
  • the left and right moving parts a second support shaft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late, the second rotation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third support plate and fix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the second driven gear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second driving gear which is engaged with the second driven gear and rotates the second driven gear by receiving power from a sixth motor installed under the support plate, and measuring the rotation state of the second rotating shaft.
  • the measuring means and the support body are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formed with a bearing supporting the movable support on the third support plate.
  • An opening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shuttle cock is formed, and a cover for receiving the supply means, the base, the rail, the third motor, the guide plate, the second measuring means, and the roller part is included.
  • the moving step may include: a gripping step of detecting a shuttlecock exposed to the lower part in the preparation step by a sensing means and gripping the feeding means; If the shuttle cock is gripped in the gripping step, the supplying step advances the firing means to lower the supply means to withdraw the shuttle cock and drop the shuttle cock to the seating plate when the firing means is detected by the second measuring member; An entrance step of moving the shuttlecock dropped in the supplying step forward and entering the rotating roller at a position detected by the third measuring member; And a reversing step of reversing the supply means and reversing to the position measured by the first measuring member when the third measuring member is measured in the entry step.
  • the badminton train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le storing a plurality of shuttlecocks and moving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sequentially by throwing at any point in the badminton court various locations of the whole badminton court By flying a shuttlecock, you can practice batting posture, timing, RBI, and stepping by yourself.
  • the supplied shuttlecock is not damaged, and detects the shuttlecocks sequentially supplied and measures operating configurations to prevent malfunctions,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malfunction can be quickly dealt with.
  •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badminto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uttle cock laun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ly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mo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asuring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huttle cock laun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v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badminto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uttlecock launch un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ly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moving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asuring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huttlecock laun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dminton training apparatus, and more specifically to detect a plurality of shuttlecocks stored in the storage and sequentially withdraw the shuttlecock badminton forward through a pair of rollers It relates to a badminton exercise device that can fly on the court and can be thrown in front of the badminton court by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angles.
  •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plurality of shuttlecocks to b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shuttle cock (600) to the badminton court in front of the storage unit 100, shuttlecock 200, the moving means 300 and the support unit 400 )
  • a plurality of shuttlecocks 600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 the storage unit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for storing a plurality of shuttlecocks and a power unit 120 for rotating the main body 110.
  • the main body 110 has a plurality of storage bins 111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orage bin 111, the through-hole 113 that the shuttle cock 600 can be inserted and withdrawn is Consisting of the fixed plate 112 and the first rotating shaft 114 protru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112 rotatably coupled to the shuttle cock launching unit 200, the first driven gear 115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do.
  • the fixing plate 112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113 in a position where the reservoir 111 is disposed.
  •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13 positioned below the reservoir 111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reservoir 111 so that the wing portion of the shuttle cock 600 may be fixed.
  • the power unit 120 is engaged with the first driven gear 115 to rotate the main body 110 and the first motor to transmit power to the first driving gear 122. And a first measuring means 123 for detecting a rotation state of the first driving gear 122.
  • the power unit 120 is coupled to the shuttle cock launch unit 200, the first driven gear 115 is rotated when the first drive gear 122 rotates to rotate the reservoir 111 It is formed by the gear ratio.
  • the first drive gear 122 is made to measure one revolution through the first measuring means 123.
  • the jang groove 116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val of the reservoir 111, is fixed to the correct position through the fixing means 130 is inserted into the jang groove 116.
  • the end of the fixing means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rotary shaft 114 may be inserted into the long groove 116 when the first rotary shaft is rotated to fix the rotation position.
  • the fixing means 130 is fixed to the first rotating shaft 114 rotated by the power unit 120 in the correct position is exposed to the shuttle cock 600 in the correct position.
  • the shuttle cock launch unit 200 transfers the supply means 210 to draw and supply the shuttle cock 600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and the shuttle cock 600 supplied from the supply means 210. It is composed of a firing means 220 for firing forward and the first support plate 250 on which the supply means 210 and the firing means 220 are seated.
  • the supply means 21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late 250, the support stand 211, the base (100) to draw the shuttle cock 600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o supply to the launch means 220 221 and the lead-out part 215.
  • the second sensing means 212 for sensing the shuttle cock 600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211.
  • the movable plate 213 is coupled to the supporter 211 to be lifted and lowered, and a guide protrusion 214 protruding to the front i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 the lead part 215 is coupled to the moving plate 213, and when the second detecting means 212 detects the shuttle cock 600, the drawing part 215 is rotated by the second motor 216 to hold the shuttle cock. It consists of a pair of forceps 217 to be drawn out.
  • the pair of tongs 217 may be geared with the second motor 216 to catch the shuttle cock (600).
  • the launch means 220 is a base 221, a rail 224, a pinion gear 226, a guide plate 227, so as to fly forward the shuttle cock 600 drawn from the supply means 210,
  • the third measuring means 316, the roller portion 230 and the cover 240 is composed of.
  • the base 221 has a seating plate 222 on which the shuttle cock 600 drawn from the supply means 210 is seated on the front surface, and a recreation gear 223 is longitudinally coupled to one side thereof.
  • the rail 224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250 and is configured to move the base 2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pinion gear 226 meshes with the rack gear 223 and rot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third motor 225 to move the base 2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third motor 225 is coupled to the pinion gear 226 so as to transmit power and is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plate 250.
  • the guide plate 227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se 221, the guide groove 228 is formed is inserted into the guide projection 214 is the supply means 210 when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221 Are combined to raise and lower).
  • the guide groove 228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ront is inclined to the upper portion when the base 221 is moved to the rear, the supply means 210 is raised and lowered when moving forward.
  • the second measuring means 229 measures a specific position of the base 221.
  • the position of the second measuring means 229 is a position where the supply means 210 is raised by moving the base 221 to the rear, and a position where the supply means 210 is lowered while the base 221 is advanced. And the base 221 to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foremost movement.
  • the roller unit 230 is a pair of rollers 231 capable of throwing forward the shuttlecock 600 transferred through the seating plate 222 and a fourth motor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rollers 231. It consists of 232.
  • the pair of rollers 231 are rotated to blow the shuttle cock 600 forward, and are configured to transmit power through the fourth motor 232 and gears, belts, and the like.
  • the cover 240 is formed with an opening 241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shuttle cock 600, the base 221, the rail 224, the pinion gear 226, the guide plate ( 227, the third measuring means 316 and the roller portion 230 is accommodated to protect from the outside.
  • the moving means 300 is composed of a shanghai east part 31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uttle cock launch unit 200 to shanghai the shuttle cock launch unit 200, and a left and right moving unit 320 to move left and right.
  • the shanghai east part 310 is composed of a second support plate 311, a fixing part 312, a cam 313, a rotating body 315 and the third measuring means (316).
  • the second support plate 311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late 25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fixing part 312 protrudes up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plate 311 so that the shuttle cock launching part 200 is hinged rotatably.
  • the cam 313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late 250 so as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fixing part 312, and rotates by the fifth motor 314.
  • the pivot 315 is rotatably contacted with the cam 313 and coupled to the shuttle cock launch unit 200.
  • the third measuring means 316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311 to measure the rotational state of the cam 313.
  • the first support plate 25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rotation of the cam 313 around the fixing part 312 can adjust the vertical angle of the shuttle cock launch unit 200.
  • the left and right moving parts 320 are composed of a third support plate 321, a second rotating shaft 322, a second driving gear 325, a fourth measuring means 326, and a support 327.
  • the third support plate 321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late 31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second rotation shaft 32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hird support plate 321, the second driven gear 323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 the second support plate 311 is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322.
  • the second driving gear 325 meshes with the second driven gear 323, and receives power from the sixth motor 324 to rotate the second driven gear 323.
  • the fourth measuring means 326 measures the rotational state of the second rotary shaft 322.
  • the support 327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311 and a bearing is formed to be movable in contact with the third support plate 321.
  • the second support plate 311 and the third support plate 321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327.
  • the fourth measuring means 326 may measure the rotation angle by measuring the rotation state of the second driven gear 323 and adjust the desired angle.
  • the support unit 4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unit 300 to move the position of the shuttle cock launch unit 200.
  • control unit 500 formed with an operation unit to control and operate the storage unit 100, the shuttle cock launch unit 200 and the moving means 300.
  • the control unit 500 is coupled so that no interference occurs in any one of the support unit 400 or the moving unit 300,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measuring means (123, 229, 316, 326), Manipulates and controls the sensing means 212 and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fifth, sixth motors 121, 216, 225, 232, 314, 326, and moves the badminton court to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the set information.
  • Shuttlecock 600 is made to blow out.
  • the operation uni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means and a display for confirming the various operation buttons and the situation so as to set and control each configura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500.
  •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measuring means (123, 229, 316, 326) is a measuring plate (P) coupled to each configuration to move and rotate in the installed position, the measurement It consists of a measuring unit (S) that can detect the plate (P) at a specific position.
  • the measuring plate P is coupled to the first driven gear 115, the base 221, the cam 313, and the second driven gear 323, respectively.
  • the measurement unit S may detect the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first driven gear 115, the base 221, the cam 313, and the second driven gear 323. 2, and 3 support plates 250, 311, and 321 are provided.
  • the measuring plate P of the first measuring means 123 is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gear 122, and the measuring unit S is capable of detecting the measuring plate P. 200).
  • the measuring unit S detects the measuring plate P and rotates the first driving gear 122 one time. Can be measured.
  • the second measuring means 229 moves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base 221 to measure the position of the supply means 210 for supplying the shuttle cock 600.
  • the second measuring means 229 is composed of a first measuring member S1, a second measuring member S2, and a third measuring member S3.
  • the first measuring member S1 measures a position at which the supply means 210 which detects the shuttle cock 600 moved upward from the base 221 to the end.
  • the second measuring member S2 measures a position at which the shuttle cock 600 is seated on the seating plate 222 in the supply means 210 which is lowered when the base 221 is advanced.
  • the third measuring member S3 advances the shuttle cock 600 seated on the seating plate 222 forward and measures the position of flying forward through the roller unit 230.
  • the measuring plate P of the third measuring means 316 is coupled to both sides so as to measure the maximum angle and the minimum angle by the rotation of the cam 313.
  • measuring unit (S) is coupled to measure the measuring plate (P) when the cam 313 is rotated.
  • the measuring unit S may be positioned at both sides in a paralle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cam 313 to detect the measuring plate P when the cam 313 rotates to measure the rotation state.
  • the fourth measuring means 326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maximum rotation and the correct position when the second driven gear 323 is rotated left and right.
  • the measuring plate P is coupled to the second driven gear 323 so that the shuttlecock launch unit 200 can measure left and right based on the exact position.
  • the measuring unit S is installed at a position capable of measuring the exact position and the maximum angle of both sides of the second driven gear 323.
  • each measuring member and the motor are interlocked to improve the accuracy by measuring each operation as follows.
  • the shuttle 210 is sensed by the supply means 210 that is elevated through the sensing means 212.
  • the pair of tongs 217 are operated through the second motor 216 to hold and fix the shuttle cock 600.
  • the supply means 210 is completed to descend and drop the shuttle cock 600 fixed to the tongs 217 to the lower It is seated on the seating plate 222.
  • the shuttle cock 600 is seated on the seating plate 222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ing 241 of the cover 240 to maintain the correct position.
  • the shuttle cock 600 When the shuttle cock 600 is seated on the seating plate 222, the shuttle cock 600 is moved between the roller parts 230 at the position where the base 221 is advanced to be measured by the third measuring member S3. Enter and throw forward.
  • the third motor 225 reversely rotates to reverse the base 221 and stops at the position detected by the first measuring means 123.
  • the shuttle cock 600 may be supplied in the for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 the shuttle cock 600 continuously casts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shuttle cock launch unit 200.
  • the shuttle cock 600 is supplied to the roller unit 230 in a fixed state at all times during movement so that the shuttle cock 600 is not affected by impact and wind.
  • the shuttle cock 600 may be drawn out and supplied one by one, and fixed and seated at each position to prevent a malfunction and foresee that the shuttle cock 600 is overlapped and supplied.
  • the sensing means 212 detects the shuttle cock 600.
  • the first motor 121 is operated to rotate the storage part 100.
  • the first driven gear 115 is constantly rotated when the first driving gear 122 rotates one by one, and the storage container 111 is sequentially moved.
  • the storage container 111 in which the shuttle cock 600 is stored is mov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ly means 210 by one rotation of the first driving gear 122.
  • the first rotation shaft 114 is fixed to the correct position by the fixing means 130 and can measure one rotation of the first drive gear 122 through the first measuring means 123.
  • the shuttle cock 600 is detected by the sensing means 212 to supply the shuttle cock 600, and when the stored shuttle cock 600 is exhausted, the shuttle cock 600 stored in the next position may be supplied. Shuttlecocks can be replenished.
  • the shuttle cock 200 is moved to the left, right and up, down to move the shuttle 300 to blow the shuttle cock 600 to the badminton court as follows.
  • the Shanghai East 310 and the left and right moving unit 320 may operate separately.
  • the east part 3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250 with the fixing part 312 located at the rear of the second support plate 311.
  • the cam 313 rotates in front of the fixing part 312 by the power of the fifth motor 314.
  • the pivot 315 is in contact with the cam 313 and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250 to raise and lower the first support plate 250 by the rotation of the cam 313.
  • the rotation state of the cam 313 is adjusted to measure the angle through the third measuring means 316 so that the shuttle cock 600 can fly at a desired angle.
  • the cam 313 is preferably made so that the angle can be confirm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ifth motor (314).
  • the cam 313 is moved up and down in front of the first support plate 250 with respect to the fixing part 312 to adjust the angle.
  • the left and right moving parts 320 rotate the second driven gear 323 by the second driving gear 325 coupled to the third support plate 321 to allow the shank to rotate.
  • the eastern 310 and the shuttle cock 200 is moved left and right.
  • the second driven gear 323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rotates left and right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driving gear 325.
  • the second support plate 311 may be prevented from being bent up and down through the support 327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322 and may be smoothly rotated.
  • the fourth measuring means 326 measures the second driven gear 323 to chang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angles to send the shuttlecock 600 to the badminton court.
  • the shuttle cock 600 is thrown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badminton court by measuring the angle of movement through the fourth measuring means 326.
  • the shandong east part 310 and the left and right moving part 320 operates separately, and throws the shuttlecock in a badminton court by changing its position.
  • FIG. 8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flow chart showing a mov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 method of the badminton practice device is to move the shuttlecock supplied sequentially to the whole badminton court, the preparation step (S10), moving step (S20), throwing step (S30), up and down adjustment step (S40) and left and right
  • the adjusting step (S50) is made.
  • the preparation step (S10) is stor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shuttlecocks in the reservoir so that the cork of the shuttlecock is exposed and fixed by the cone.
  • the moving step (S20) detects and grips the shuttlecock exposed in the preparatory step (S10) through a supply means for lifting and lowering, and then the shuttlecock withdraws the shuttlecock while moving along the movement line and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firing means moving back and forth To supply the shuttlecock to the roller portion.
  • the movement step (S20) consists of a gripping step (S21), a supply step (S22), an entry step (S23) and a backward step (S24) so that a continuous operation is made in such a manner that the shuttlecock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is drawn out and supplied.
  • the gripping step S21 detects the shuttlecock exposed to the lower part in the preparation step S10 by the sensing means and grips the feeding means.
  • the supplying step (S22) is to hold the shuttlecock in the gripping step (S21), withdraw the shuttlecock through the supply means to advance and descend the firing means, and then when the launch means is detected by the second measuring member seating the shuttlecock To fall.
  • the entry step S23 moves forward the shuttlecock dropped in the supply step S22 and enters the rotating roller portion at the position detected by the third measuring member.
  • the launching means and the supplying mean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draw and supply the shuttlecock along the repetitive movement line and to confirm the movement of the shuttlecock through the second measuring means.
  • the throwing step (S30) enters between the roller portion to rotate the shuttle cock transferred in the moving step (S20) to throw forward.
  • the up and down adjustment step (S40) is to individually adjust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huttle cock is thrown forward in the throwing step (S30).
  • the left and right adjustment step (S50) individually adjust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huttle cock is thrown to the remainder in the throwing step (S30).
  • the shuttle cock 600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111 may be sequentially drawn out and supplied, and operated correctly according to the position through the second measuring means 229 and the sensing means 212 to prevent mal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드민턴 연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된 다수개의 셔틀콕을 순차적으로 인출하여 셔틀콕의 손상 없이 전방으로 날릴 수 있으며, 사용 중 상하,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배드민턴 연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드민턴 연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배드민턴 연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된 다수개의 셔틀콕을 순차적으로 인출하여 셔틀콕의 손상 없이 전방으로 날릴 수 있으며, 사용 중 상하,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배드민턴 연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턴은 실외 또는 실내에 설치된 코트에서 라켓과 셔틀콕을 쳐서 상대방 코트의 바닥에 떨어지면 득점을 하는 운동으로 단식, 복식으로 이루어진 스포츠이다.
이러한 배드민턴은 최소 두 명 이상이 코트에서 경기가 이루어지며 코치, 연습상대가 없는 경우에는 혼자서 스윙, 스텝 등의 개인 연습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급, 중급, 고급자의 실력에 따라 원활한 경기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실력에 의해 흥미유발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공지된 기술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6604호 "배드민턴 연습장치"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종래에 제시된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셔틀콕을 라켓을 통해 쳐내는 반복된 스윙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셔틀콕이 일정한 방향으로만 공급되어 배드민턴 코트의 다양한 위치에서 스윙연습을 할 수 없으며, 라켓에 의해 셔틀콕을 쳐내는 스윙동작으로 이루어져 고정된 라켓이 손상되거나 고정위치가 변경되면, 정확한 코스로 셔틀콕이 날아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셔틀콕을 저장하며, 상,하 및 좌,우 이동하여 배드민턴 코트의 임의의 지점으로 순차적으로 송구하여 혼자서도 타구자세, 타이밍, 타점, 스텝 등의 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급되는 셔틀콕이 손상되지 않으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셔틀콕을 감지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셔틀콕을 송구하는 중에 신속하게 방향을 변경하여 배드민턴 코트 전 지역에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송구하여 민첩성 및 스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셔틀콕을 발사하여 배드민턴 스윙을 연습할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셔틀콕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셔틀콕을 인출하여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에서 공급된 상기 셔틀콕을 이송하여 전방으로 발사하는 발사수단과 상기 공급수단 및 상기 발사수단이 안착되는 제 1지지판으로 이루어진 셔틀콕 발사부; 상기 셔틀콕 발사부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셔틀콕 발사부를 좌우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와,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로 이루어진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를 이동시키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제 1지지판의 상부에 결합하며, 상부에는 상기 셔틀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하부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2모터와, 상기 감지수단에 상기 셔틀콕이 감지하면 제 2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기어 결합되어 상기 셔틀콕을 집어 인출하는 한 쌍의 집게부로 구성되는 인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사수단은, 상기 공급수단에서 인출된 상기 셔틀콕이 안착되는 안착판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레크기어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베이스와, 상기 제 1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과, 상기 레크기어에 맞물리며, 제 3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베이스의 타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가 길이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공급수단을 승하강시키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판과,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측정판과 상기 베이스의 이동에 따라 상기 측정판을 감지하여 상기 공급수단이 상승 및 하강 위치를 측정하는 제 1측정부재 및 제 2측정부재와 상기 안착판이 전방으로 전진한 위치를 측정하는 제 3측정부재로 이루어진 제 2측정수단과, 상기 안착판을 통해 이송된 상기 셔틀콕을 전방으로 발사하는 한 쌍의 롤러와, 상기 롤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4모터가 결합된 롤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부는,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된 다수개의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셔틀콕이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제 1종동기어가 형성된 제 1회전축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제 1종동기어에 맞물리며, 제 1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제 1구동기어와, 상기 제 1구동기어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1측정수단으로 이루어진 동력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저장통의 배치간격에 맞게 상기 제 1회전축의 측면에 장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홈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상기 저장통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셔틀콕 발사부에 설치된 고정수단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제 1지지판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제 2지지판과, 상기 제 2지지판의 끝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제 2지지판의 상부에 결합하여 제 5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과, 상기 캠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며, 상기 셔틀콕 발사부에 결합되는 회동체와, 상기 제 2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캠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3측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이동부는, 상기 제 2지지판의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 3지지판과, 상기 제 3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지지판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제 2종동기어가 형성된 제 2회전축과, 상기 제 2종동기어에 맞물리며,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설치된 제 6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종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 2구동기어와, 상기 제 2회전축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4측정수단과, 상기 제 2지지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 3지지판에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이 형성된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셔틀콕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구비된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수단, 상기 베이스, 상기 레일, 상기 제 3모터, 상기 가이드판, 상기 제 2측정수단 및 상기 롤러부를 수용하는 커버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틀콕의 콜크가 노출되고 콘에 의해 고정되도록 저장통에 다수개의 셔틀콕을 적층시켜 보관하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단계에서 노출된 상기 셔틀콕을 승하강하는 공급수단을 통해 감지하여 파지한 후 이동동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셔틀콕을 인출하고 전후로 이동하는 발사수단의 위치를 측정하여 셔틀콕을 롤러부로 공급하는 이동단계; 상기 이동단계에서 이송된 셔틀콕을 회전하는 롤러부 사이로 진입시켜 전방으로 송구하는 송구단계; 상기 송구단계에서 전방으로 송구되는 셔틀콕의 상하방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상하조절단계; 및 상기 송구단계에서 전방으로 송구되는 셔틀콕의 좌우방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좌우조절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단계는, 상기 준비단계에서 하부로 노출된 셔틀콕을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하여 공급수단으로 파지하는 파지단계; 상기 파지단계에서 셔틀콕이 파지되면, 발사수단을 전진하여 상기 공급수단을 하강시켜 셔틀콕을 인출한 후 발사수단이 제 2측정부재에 감지되면 셔틀콕을 안착판으로 낙하시키는 공급단계; 상기 공급단계에서 낙하된 셔틀콕을 전방으로 이동하며, 제 3측정부재에 감지되는 위치에서 회전하는 롤러부에 진입시키는 진입단계; 및 상기 진입단계에서 제 3측정부재에 측정되면 공급수단을 후진하여 제 1측정부재에 측정되는 위치로 후진하는 후진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수개의 셔틀콕을 저장하며 상,하 및 좌,우로 방향을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배드민턴 코트 내에 임의의 지점으로 송구하여 배드민턴 코트의 전 지역의 다양한 위치로 셔틀콕을 날려 혼자서도 타구자세, 타이밍, 타점, 스텝 등의 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되는 셔틀콕이 손상되지 않으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셔틀콕을 감지하고 작동되는 구성을 측정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며, 오작동이 발생하여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셔틀콕을 송구하는 중에 신속하게 방향을 변경하여 셔틀콕을 배드민턴 코트 전 지역에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날려 민첩성 및 스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배드민턴 연습장치>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부에 보관된 다수개의 셔틀콕을 감지하여 순차적으로 인출시킨 후 한 쌍의 롤러부를 통해 전방으로 셔틀콕을 배드민턴 코트에 날릴 수 있으며, 좌우, 상하 각도를 조절하여 배드민턴 코트 전방에 송구할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셔틀콕을 저장하여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셔틀콕(600)을 전방의 배드민턴 코트에 송구할 수 있도록 저장부(100), 셔틀콕 발사부(200), 이동수단(300) 및 지지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장부(100)에는 다수개의 셔틀콕(600)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100)는 셔틀콕을 다수개 저장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를 회전시키는 동력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는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된 다수개의 저장통(111)과, 상기 저장통(111)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셔틀콕(600)이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는 통공(113)이 형성된 고정판(112)과, 상기 고정판(112)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제 1종동기어(115)가 형성된 제 1회전축(114)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판(112)에는 상기 저장통(111)이 배치되는 위치에 통공(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통(111)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통공(113)이 직경은 상기 저장통(11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셔틀콕(600)의 날개부분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부(120)는 상기 제 1종동기어(115)에 맞물려 상기 본체(110)를 회전시키는 제 1구동기어(122)와, 상기 제 1구동기어(122)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1모터(121)와,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제 1측정수단(12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부(120)는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결합되며,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1회전 시 상기 제 1종동기어(115)가 회전하여 상기 저장통(111)을 회전하는 기어비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 1구동기어(122)에는 제 1측정수단(123)을 통해 1회전을 측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저장통(111)의 간격에 맞게 장홈(116)이 형성되며, 상기 장홈(116)에 삽입되는 고정수단(130)을 통해 정확한 위치에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130)의 끝단은 상기 제 1회전축(114)에 밀착되어 상기 제 1회전축이 회전시 상기 장홈(116)에 삽입되어 회전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130)은 상기 동력부(12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제 1회전축(114)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여 상기 셔틀콕(600) 정확한 위치에서 노출된다.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는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상기 셔틀콕(600)을 인출하여 공급하는 공급수단(210)과, 상기 공급수단(210)에서 공급된 상기 셔틀콕(600)을 이송하여 전방으로 발사하는 발사수단(220) 및 상기 공급수단(210)과 상기 발사수단(220)이 안착되는 제 1지지판(2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수단(210)은 상기 제 1지지판(25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셔틀콕(600)을 인출하여 상기 발사수단(22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지지대(211), 베이스(221) 및 인출부(215)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11)의 상부에는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셔틀콕(600)을 감지하는 제 2감지수단(212)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판(213)은 상기 지지대(211)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는 정면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214)가 형성된다.
상기 인출부(215)는 상기 이동판(213)에 결합되며, 상기 제 2감지수단(212)이 상기 셔틀콕(600)이 감지하면, 상기 제 2모터(216)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셔틀콕을 잡아 인출하는 한 쌍의 집게부(217)로 이루어진다.
이때, 한 쌍의 상기 집게부(217)는 상기 제 2모터(216)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셔틀콕(600)을 잡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사수단(220)은 상기 공급수단(210)에서 인출된 상기 셔틀콕(600)을 전방으로 날릴 수 있도록 베이스(221), 레일(224), 피니언기어(226), 가이드판(227), 제 3측정수단(316), 롤러부(230) 및 커버(24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21)는 전면에 상기 공급수단(210)에서 인출된 상기 셔틀콕(600)이 안착되는 안착판(222)과, 일측면에는 레크기어(223)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레일(224)은 상기 제 1지지판(250)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221)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니언기어(226)는 상기 레크기어(223)와 맞물리며, 제 3모터(225)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221)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3모터(225)는 상기 피니언기어(226)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 1지지판(250)에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판(227)은 상기 베이스(221)의 타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돌기(214)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28)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221)의 길이방향 이동시 상기 공급수단(210)을 승하강 시키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홈(228)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전방이 상부로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221)가 후방으로 이동시 상기 공급수단(210)이 상승하고 전방으로 이동시 하강한다.
상기 제 2측정수단(229)은 상기 제 베이스(221)의 특정 위치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 2측정수단(229)의 위치는 베이스(221)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공급수단(210)이 상승한 위치와, 상기 베이스(221)가 전진하면서 상기 공급수단(210)이 하강한 위치 및 상기 베이스(221)가 최전방으로 이동한 위치를 각각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부(230)는 상기 안착판(222)을 통해 이송된 상기 셔틀콕(600)을 전방으로 송구할 수 있는 한 쌍의 롤러(231)와 상기 롤러(231)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4모터(23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롤러(231)는 상기 셔틀콕(600)을 전방으로 날릴 수 있도록 회전하며, 상기 제 4모터(232)와 기어, 벨트 등을 통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240)는 상기 셔틀콕(600)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구비된 개방부(241)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221), 상기 레일(224), 상기 피니언기어(226), 상기 가이드판(227), 상기 제 3측정수단(316) 및 상기 롤러부(230)를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이동수단(300)은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310)와,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3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상하이동부(310)는 제 2지지판(311), 고정부(312), 캠(313), 회동체(315) 및 제 3측정수단(31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2지지판(311)은 상기 제 1지지판(25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고정부(312)는 상기 제 2지지판(311)의 끝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캠(313)은 상기 고정부(312)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지지판(250)의 상부에 결합되며, 제 5모터(314)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회동체(315)는 상기 캠(313)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여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결합된다.
상기 제 3측정수단(316)은 상기 제 2지지판(311)에 결합되어 상기 캠(313)의 회전상태를 측정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312)를 중심으로 상기 캠(31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지지판(250)이 승하강이 이루어져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의 상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3측정수단(316)을 통해 상기 캠(313)의 회전상태를 측정하여 각도를 측정한다.
상기 좌우이동부(320)는 제 3지지판(321), 제 2회전축(322), 제 2구동기어(325), 제 4측정수단(326) 및 지지체(327)로 구성된다.
상기 제 3지지판(321)은 상기 제 2지지판(311)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제 2회전축(322)은 상기 제 3지지판(321)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제 2종동기어(3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회전축(322)의 상단에는 상기 제 2지지판(311)이 고정된다.
상기 제 2구동기어(325)는 상기 제 2종동기어(323)에 맞물리며, 상기 제 6모터(324)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종동기어(323)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 4측정수단(326)은 상기 제 2회전축(322)의 회전상태를 측정한다.
상기 지지체(327)는 상기 제 2지지판(311)에 결합되고 상기 제 3지지판(321)에 접촉하여 이동가능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구동기어(325)가 회전하면 맞물린 상기 제 2종동기어(323)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져 상기 제 2지지판(311)이 좌,우 회전한다.
이때, 상기 지지체(327)에 의해 상기 제 2지지판(311)과 상기 제 3지지판(321)이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제 4측정수단(326)은 상기 제 2종동기어(323)의 회전상태를 측정하여 회전각도를 측정하고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이동수단(3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본원발명에는 상기 저장부(100),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 및 상기 이동수단(300)을 제어하며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부가 형성된 제어부(5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지지부(400) 또는 이동수단(300) 중 어느 하나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 1, 2, 3, 4측정수단(123, 229, 316, 326), 감지수단(212) 및 상기 제 1, 2, 3, 4, 5, 6모터(121, 216, 225, 232, 314, 326)를 조작 및 제어하며, 설정된 정보에 따라 배드민턴 코트의 다양한 위치로 상기 셔틀콕(600)을 날려보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조작부는 상기 제어부(500)를 통해 각 구성을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조작버튼 및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알림수단 및 디스플레이 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3, 4측정수단(123, 229, 316, 326)은 설치된 위치에서 이동 및 회전하는 각 구성에 결합되는 측정판(P)과, 상기 측정판(P)을 특정 위치에서 감지할 수 있는 측정부(S)로 구성된다.
따라서 측정판(P)이 상기 제 1종동기어(115), 상기 베이스(221), 상기 캠(313) 및 상기 제 2종동기어(323)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S)가 상기 제 1종동기어(115), 상기 베이스(221), 상기 캠(313) 및 상기 제 2종동기어(323)의 이동 및 회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2, 및 3지지판(250, 311, 321)에 설치된다.
이러한 각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제 1측정수단(123)의 측정판(P)은 상기 제 1구동기어(122)에 결합되며, 상기 측정부(S)는 상기 측정판(P)을 감지할 수 있는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1회전시 상기 측정판(P)이 회전하며, 상기 측정부(S)에서 상기 측정판(P)을 감지하여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1회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측정수단(229)은 상기 베이스(221)의 길이방향 이동에 따라 승하강하여 상기 셔틀콕(600)을 공급하는 공급수단(210)의 위치를 측정한다.
즉, 상기 제 2측정수단(229)은 제 1측정부재(S1), 제 2측정부재(S2) 및 제 3측정부재(S3)으로 구성되며,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측정부재(S1)는 상기 베이스(221)가 끝단으로 후진하여 상부로 이동한 상기 공급수단(210)이 셔틀콕(600)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를 측정한다.
상기 제 2측정부재(S2)는 상기 베이스(221)가 전진시에 하강한 상기 공급수단(210)에서 상기 셔틀콕(600)이 상기 안착판(222)에 안착되는 위치를 측정한다.
상기 제 3측정부재(S3)은 상기 안착판(222)에 안착된 상기 셔틀콕(600)을 전방으로 전진하여 상기 롤러부(230)를 통해 전방으로 날아가는 위치를 측정한다.
상기 제 3측정수단(316)의 측정판(P)은 상기 캠(313)의 회전에 의해 최대각도와 최저각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S)는 상기 캠(313)이 회전시 상기 측정판(P)을 측정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측정부(S)는 상기 캠(313)의 중심에서 평행방향으로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캠(313)의 회전시 상기 측정판(P)을 감지하여 회전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 4측정수단(326)은 상기 제 2종동기어(323)가 좌우 회전시 최대 회전 및 정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측정판(P)은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가 정위치를 기준으로 좌우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종동기어(323)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S)는 상기 제 2종동기어(323)의 정위치 및 양측 최대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위치에 설치한다.
이러한 작동에 따라 각 측정부재와 모터가 연동되어 다음과 같이 각각의 작동을 측정하여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221)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판(213)이 상부로 상승하여 상기 제 1측정부재(S1)에 상기 베이스(221)가 측정되면 상기 제 3모터(225)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후, 상승된 상기 공급수단(210)이 상기 감지수단(212)을 통해 상기 셔틀콕(600)이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 2모터(216)를 통해 한 쌍의 상기 집게부(217)를 작동시켜 상기 셔틀콕(600)을 잡아 고정한다.
상기 집게부(217)가 상기 셔틀콕(600)을 잡으면, 상기 제 3모터(225)에 의해 상기 베이스(221)가 전방으로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판(213)을 하강시켜 상기 셔틀콕(600)을 인출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21)가 상기 제 2측정부재(S2)에 위치하면, 상기 공급수단(210)이 하강이 완료되고 상기 집게부(217)에 고정된 상기 셔틀콕(600)을 하부로 떨어트려 상기 안착판(222)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셔틀콕(600)은 상기 안착판(222)에 안착되고 상기 커버(240)의 개방부(241)에 밀착되어 정위치를 유지한다.
상기 셔틀콕(600)이 상기 안착판(222)에 안착되면, 상기 베이스(221)가 전진하여 상기 제 3측정부재(S3)에 측정되는 위치에서 상기 셔틀콕(600)을 상기 롤러부(230) 사이로 진입시켜 전방으로 송구한다.
그리고 상기 제 3모터(225)가 역회전하여 상기 베이스(221)를 후진시켜 상기 제 1측정수단(123)에 감지되는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이러한 작동순서에 따라 상기 셔틀콕(600)을 공급받아 전방으로 송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셔틀콕(600)은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를 통해 일정한 시간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송구한다.
그리고 상기 셔틀콕(600)은 이동 중 항시 고정된 상태로 롤러부(230)로 공급되어 충격 및 바람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상기 셔틀콕(600)을 하나씩 인출하여 공급하고 각각의 위치에서 고정 및 안착되어 오작동을 방지하고 상기 셔틀콕(600)이 중첩되어 공급되는 것을 예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셔틀콕(600)의 날개부분을 파지하지 않은 상태로 이동 및 송구하여 손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통(111)에 보관된 상기 셔틀콕(600)을 전부 소진하면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베이스(221)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3측정수단(316)에 측정되면, 상기 감지수단(212)을 통해 상기 셔틀콕(600)을 감지한다.
이때 상기 감지수단(212)에 상기 셔틀콕(600)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 1모터(121)를 작동하여 상기 저장부(10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1회전시 상기 제 1종동기어(115)가 일정하게 회전하여 상기 저장통(111)이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1회전에 의해 상기 셔틀콕(600)이 저장된 상기 저장통(111)을 상기 공급수단(210)의 상단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 1회전축(114)은 상기 고정수단(130)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제 1측정수단(123)을 통해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1회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작동하여 상기 저장통(111)에 저장된 상기 셔틀콕(600)이 다 소진하면 상기 저장통(111)을 회전시켜 저장된 상기 셔틀콕(600)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212)에 의해 상기 셔틀콕(600)을 감지하여 상기 셔틀콕(600)을 공급하고 저장된 상기 셔틀콕(600)이 소진되면 다음 위치에 저장된 상기 셔틀콕(600)을 공급할 수 있으며, 사용중 셔틀콕을 보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는 좌,우 및 상,하 이동하여 배드민턴 코트에 상기 셔틀콕(600)을 날려보낼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상기 이동수단(300)이 작동한다.
여기서 상하이동부(310)와, 좌우이동부(320)는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먼저 도 7의 (a)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하이동부(310)는 상기 제 2지지판(311)의 후면에 위치한 상기 고정부(312)가 상기 제 1지지판(25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12)의 전방에는 상기 캠(313)이 상기 제 5모터(314)의 동력을 받아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체(315)는 상기 캠(313)과 접촉하고 상기 제 1지지판(250)에 고정되어 상기 캠(31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지지판(250)을 상승 및 하강한다.
이때, 상기 캠(313)의 회전상태는 상기 제 3측정수단(316)을 통해 각도를 측정하여 원하는 각도에서 상기 셔틀콕(600)이 날아갈 수 있도록 조절한다.
아울러 상기 캠(313)은 제 5모터(314)의 회동에 따라 각도가 변경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캠(313)의 회전을 통해 상하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312)를 중심으로 상기 캠(313)에 의해 상기 제 1지지판(250)의 전방에서 승하강 하여 각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부(320)는 상기 제 3지지판(321)에 결합된 제 2구동기어(325)에 의해 상기 제 2종동기어(323)를 회전시켜 상기 상하이동부(310) 및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를 좌우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 2구동기어(325)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종동기어(323)가 일정각도 회전하여 좌우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 2회전축(322)의 후방에 위치한 상기 지지체(327)를 통해 상기 제 2지지판(311)이 상하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원활하게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4측정수단(326)이 상기 제 2종동기어(323)를 측정하여 좌,우 이동각도를 변경하여 배드민턴 코트에 상기 셔틀콕(600)을 송구한다.
이렇게 상기 제 2종동기어(323)에 의해 좌,우 이동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 4측정수단(326)을 통해 이동되는 각도를 측정하여 배드민턴 코트에서 이탈하지 않게 상기 셔틀콕(600)을 송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부(310) 및 상기 좌우이동부(320)는 개별적으로 작동하며, 배드민턴 코트 내에 상기 셔틀콕을 위치를 변경하며 송구한다.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제어방법>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다음으로는 도 8 및 9를 참조하여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제어방법은 공급되는 셔틀콕을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배드민턴 코트 전지역에 임의로 송구할 수 있도록 준비단계(S10), 이동단계(S20), 송구단계(S30), 상하조절단계(S40) 및 좌우조절단계(S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준비단계(S10)는 셔틀콕의 콜크가 노출되고 콘에 의해 고정되도록 저장통에 다수개의 셔틀콕을 적층시켜 보관한다.
상기 이동단계(S20)은 상기 준비단계(S10)에서 노출된 상기 셔틀콕을 승하강하는 공급수단을 통해 감지하여 파지한 후 이동동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셔틀콕을 인출하고 전후로 이동하는 발사수단의 위치를 측정하여 셔틀콕을 롤러부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단계(S20)는 저장통에 저장된 셔틀콕은 인출하여 공급하는 방식으로 연속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파지단계(S21), 공급단계(S22), 진입단계(S23) 및 후진단계(S24)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지단계(S21)는 상기 준비단계(S10)에서 하부로 노출된 셔틀콕을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하여 공급수단으로 파지한다.
상기 공급단계(S22)는 상기 파지단계(S21)에서 셔틀콕을 파지하면, 발사수단을 전진하여 하강하는 상기 공급수단을 통해 셔틀콕을 인출한 후 발사수단이 제 2측정부재에 감지되면 셔틀콕을 안착판으로 낙하시킨다.
상기 진입단계(S23)는 상기 공급단계(S22)에서 낙하된 셔틀콕을 전방으로 이동하며, 제 3측정부재에 감지되는 위치에서 회전하는 롤러부에 진입시킨다.
상기 후진단계(S24)는 상기 진입단계(S23)에서 제 3측정부재에 측정되면 공급수단을 후진하여 제 1측정부재에 측정되는 위치로 후진한다.
이를 통해 상기 발사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은 상호 연계되어 반복적인 이동동선을 따라 셔틀콕을 인출하여 공급하고 제 2측정수단을 통해 셔틀콕의 이동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송구단계(S30)는 상기 이동단계(S20)에서 이송된 셔틀콕을 회전하는 롤러부 사이로 진입시켜 전방으로 송구한다.
상기 상하조절단계(S40)는 상기 송구단계(S30)에서 전방으로 송구되는 셔틀콕의 상하방향을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상기 좌우조절단계(S50)는 상기 송구단계(S30)에서 잔방으로 송구되는 셔틀콕의 좌우방향을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이에 따라 저장통(111)에 저장된 셔틀콕(600)을 순차적으로 인출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제 2측정수단(229) 및 감지수단(212)을 통해 위치에 따라 정확하게 작동하여 오작동을 방지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7)

  1. 셔틀콕을 발사하여 배드민턴 스윙을 연습할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셔틀콕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셔틀콕을 인출하여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에서 공급된 상기 셔틀콕을 이송하여 전방으로 발사하는 발사수단 및 상기 공급수단 과 상기 발사수단이 안착되는 제 1지지판으로 이루어진 셔틀콕 발사부;
    상기 셔틀콕 발사부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셔틀콕 발사부를 좌우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와,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로 이루어진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를 이동시키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제 1지지판의 상부에 결합하며, 상단에는 상기 셔틀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부에는 정면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2모터와, 상기 감지수단에 상기 셔틀콕을 감지하면 제 2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셔틀콕을 집어 인출하는 한 쌍의 집게부로 구성되는 인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사수단은,
    상기 공급수단에서 인출된 상기 셔틀콕이 안착되는 안착판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레크기어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베이스와,
    상기 제 1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과,
    상기 레크기어에 맞물리며, 제 3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베이스의 타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가 이동시 상기 공급수단을 승하강시키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판과,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측정판과, 상기 베이스의 이동에 따라 상기 측정판을 감지하여 상기 공급수단이 상승 및 하강 위치를 측정하는 제 1측정부재 및 제 2측정부재와, 상기 안착판이 전방으로 전진한 위치를 측정하는 제 3측정부재로 이루어진 제 2측정수단과,
    상기 안착판을 통해 이송된 상기 셔틀콕을 전방으로 발사하는 한 쌍의 롤러와, 상기 롤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4모터가 결합된 롤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된 다수개의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셔틀콕이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제 1종동기어가 형성된 제 1회전축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제 1종동기어에 맞물리며, 제 1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제 1구동기어와, 상기 제 1구동기어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1측정수단으로 이루어진 동력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저장통의 배치간격에 맞게 상기 제 1회전축의 측면에 장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홈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상기 저장통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셔틀콕 발사부에 설치된 고정수단이 포함된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제 1지지판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부에 설치되는 제 2지지판과,
    상기 제 2지지판의 후면 끝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제 2지지판의 상부에 결합하여 제 5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과,
    상기 캠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며, 상기 셔틀콕 발사부에 결합되는 회동체와,
    상기 제 2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캠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3측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부는,
    상기 제 2지지판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부에 설치되는 제 3지지판과,
    상기 제 3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지지판이 고정되며, 외주면에 제 2종동기어가 형성된 제 2회전축과,
    상기 제 2종동기어에 맞물리며,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설치된 제 6모터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종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 2구동기어와,
    상기 제 2회전축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4측정수단과,
    상기 제 2지지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 3지지판에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이 형성된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구비된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수단, 상기 베이스, 상기 레일, 상기 제 3모터, 상기 가이드판, 상기 제 2측정수단 및 상기 롤러부를 수용하는 커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6. 셔틀콕의 콜크가 노출되고 콘에 의해 고정되도록 저장통에 다수개의 셔틀콕을 적층시켜 보관하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단계에서 노출된 상기 셔틀콕을 승하강하는 공급수단을 통해 감지하여 파지한 후 이동동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셔틀콕을 인출하고 전후로 이동하는 발사수단의 위치를 측정하여 셔틀콕을 롤러부로 공급하는 이동단계;
    상기 이동단계에서 이송된 셔틀콕을 회전하는 롤러부 사이로 진입시켜 전방으로 송구하는 송구단계;
    상기 송구단계에서 전방으로 송구되는 셔틀콕의 상하방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상하조절단계; 및
    상기 송구단계에서 전방으로 송구되는 셔틀콕의 좌우방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좌우조절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계는,
    상기 준비단계에서 하부로 노출된 셔틀콕을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하여 공급수단으로 파지하는 파지단계;
    상기 파지단계에서 셔틀콕이 파지되면, 발사수단을 전진하여 상기 공급수단을 하강시켜 셔틀콕을 인출한 후 발사수단이 제 2측정부재에 감지되면 셔틀콕을 안착판으로 낙하시키는 공급단계;
    상기 공급단계에서 낙하된 셔틀콕을 전방으로 이동하며, 제 3측정부재에 감지되는 위치에서 회전하는 롤러부에 진입시키는 진입단계; 및
    상기 진입단계에서 제 3측정부재에 측정되면 공급수단을 후진하여 제 1측정부재에 측정되는 위치로 후진하는 후진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16/015354 2016-03-03 2016-12-28 배드민턴 연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7150797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566175A JP2019507002A (ja) 2016-03-03 2016-12-28 バドミントン演習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01680082856.5A CN108697925A (zh) 2016-03-03 2016-12-28 羽毛球练习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908A KR101731052B1 (ko) 2016-03-03 2016-03-03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2016-0025908 2016-03-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0797A1 true WO2017150797A1 (ko) 2017-09-08

Family

ID=5870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5354 WO2017150797A1 (ko) 2016-03-03 2016-12-28 배드민턴 연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9507002A (ko)
KR (1) KR101731052B1 (ko)
CN (1) CN108697925A (ko)
WO (1) WO201715079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6746A (zh) * 2017-10-11 2017-12-12 杨林弋 一种羽毛球发射装置及羽毛球陪练机
CN109157792A (zh) * 2018-08-07 2019-01-08 刘楠 一种智能多功能组合健身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950B1 (ko) * 2017-05-02 2018-10-24 김창식 스크린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190038690A (ko) 2017-09-11 2019-04-09 김창식 이동 및 휴대가 편리한 셔틀콕발사장치
KR20190029081A (ko) 2017-09-11 2019-03-20 김창식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
KR20190057232A (ko) 2019-05-17 2019-05-28 김창식 이동 및 휴대가 편리한 셔틀콕발사장치
CN113086310A (zh) * 2021-04-10 2021-07-09 安徽省无为县曙光羽毛制品有限公司 一种制备羽毛球后的入料包装装置
KR102498843B1 (ko) * 2021-09-07 2023-02-13 주식회사 더 테니스 연습용 볼 공급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462B1 (ko) * 2009-11-06 2010-02-22 유효선 배드민턴 연습장치
CN201939989U (zh) * 2010-12-30 2011-08-24 杨子奕 一种羽毛球发球机
KR20110099550A (ko) * 2010-03-02 2011-09-08 최인덕 셔틀콕 자동 발사기
KR101227618B1 (ko) * 2010-01-11 2013-01-30 김경수 배드민턴 연습기
KR20150069653A (ko) * 2013-12-15 2015-06-24 이원석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분사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15705Y (zh) * 2006-12-02 2008-02-06 黄石理工学院 一种羽毛球发球机
CN201370947Y (zh) * 2009-02-17 2009-12-30 陈盛 一种羽毛球陪练机
CN202052308U (zh) * 2011-05-06 2011-11-30 杨子奕 一种新型羽毛球发球机
KR101387425B1 (ko) * 2012-06-14 2014-05-30 주식회사 다산실업 배드민턴 볼의 송구장치
KR20140083222A (ko) * 2012-12-26 2014-07-04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드민턴 자동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462B1 (ko) * 2009-11-06 2010-02-22 유효선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227618B1 (ko) * 2010-01-11 2013-01-30 김경수 배드민턴 연습기
KR20110099550A (ko) * 2010-03-02 2011-09-08 최인덕 셔틀콕 자동 발사기
CN201939989U (zh) * 2010-12-30 2011-08-24 杨子奕 一种羽毛球发球机
KR20150069653A (ko) * 2013-12-15 2015-06-24 이원석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분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6746A (zh) * 2017-10-11 2017-12-12 杨林弋 一种羽毛球发射装置及羽毛球陪练机
CN109157792A (zh) * 2018-08-07 2019-01-08 刘楠 一种智能多功能组合健身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07002A (ja) 2019-03-14
KR101731052B1 (ko) 2017-04-27
CN108697925A (zh)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50797A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5182828A1 (ko)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WO2010128794A2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WO2016114616A1 (ko) 볼 게임 연습 장치
WO2019168287A1 (ko) 연료전지 드론을 이용한 골프장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2177007A2 (ko) 골프공자동공급장치
KR10191505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CN101502199B (zh) 带式送料器的进给量数据设定装置、带式送料器、安装机
WO2019177186A1 (ko) 공 발사장치
WO2012036405A2 (ko)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WO2010095779A1 (ko) 골프 스윙 동작 보정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동작 보정 장치
WO2011158997A1 (ko) 골프 퍼팅 연습기
WO2016024744A1 (ko) 골프 퍼팅 교정장치
WO2009145407A1 (ko) 골프 시뮬레이션 퍼팅 시스템
WO2018203638A1 (ko) 스크린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094346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WO2016137152A1 (ko) 자동화 티 배팅 장치
WO2020130191A1 (ko) 탁구 라켓의 스윙 정확도 및 교체 판별 장치
CA2068760A1 (en) Pneumatically operated golf ball tee
WO2011132816A1 (ko)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WO2022030711A1 (ko)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
WO2021049705A1 (ko) 배드민턴 셔틀콕 슈팅장치
WO2015084020A1 (ko)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WO2020222493A1 (ko) 그린 정보를 기초로 퍼팅 가이드를 제공해 주는 퍼팅 보조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12173299A1 (ko) 골프 타격 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6617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928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928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