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132816A1 -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132816A1
WO2011132816A1 PCT/KR2010/003336 KR2010003336W WO2011132816A1 WO 2011132816 A1 WO2011132816 A1 WO 2011132816A1 KR 2010003336 W KR2010003336 W KR 2010003336W WO 2011132816 A1 WO2011132816 A1 WO 201113281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golf
unit
lifting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333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성장연
Original Assignee
Seong Jang Yeo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8343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WO2011132816(A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Seong Jang Yeon filed Critical Seong Jang Yeon
Priority to US13/642,493 priority Critical patent/US8753217B2/en
Priority to JP2013506056A priority patent/JP5530560B2/ja
Priority to CN201080066269.XA priority patent/CN102892471B/zh
Publication of WO201113281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328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0006Automatic tee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5Golf tees height-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29Visual means not attached to the body for aligning, positioning the trainee's head or for detecting head movement, e.g. by parallax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63B2024/0012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a registered refere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27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when used improperly, e.g. by giving a war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2Weight, e.g. weight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5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suction cups
    • A63B2225/055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suction cups used for fix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up correction device of golf, and more particularly, golf ball is raised from the ground to the ground or ground just before the impact when the downswing or the swing speed is more than a certain value during golf tee shot practice
  • a head-up correction device for golf which allows the golf ball to be placed on the tee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a psychological phenomenon in the swing when the swing is made from above to below the ground.
  • golf is a game in which a ball is put into a hole of a green loc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layer who puts the ball in the hole with the shortest number of strokes is a winner.
  • the golf ball is raised or lowered immediately before the impact even when the downswing is performed or the swing speed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olf head-up correction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a head-up to supply a golf ball.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keep the golf ball in the unidentified state before the downswing, the golf ball to the ground before the impact after the downswing or down after rising and falling, according to a preset value While controlling the rising or falling cycle and time point of the golf ball, when the swing motion of the golf club is confirmed after the ris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aintains the randomly lowered or raised state.
  • the golf ball does not rise or rises, and descends immediately before the impact, thereby inducing the watch to hit the end to prevent head-up and correct the head-up habit.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oing up withdrawal state of the golf ball)
  • Figure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control step of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to 8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steps for practicing shots using the present invention.
  • 9 and 10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trol unit 14a comparator
  • lifting drive unit 151a motor
  • path setting body 151c lifting means
  • the golf ball when the swing speed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the golf ball is placed in the ground and maintained in an unchecked state.
  • the swing speed is more than the preset speed, the golf ball is raised above the ground just before impact.
  • It is a head-up calibration device for golf that adjusts the ascending period and the timing of the golf ball according to a preset value, and maintains the state of falling or rising randomly when the swing operation of the golf club is confirmed after the ascension.
  •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the operation unit for setting in advance the swing speed upper limit of the club, the lifting position of the golf ball and the lifting period or lifting time of the golf ball by the button operation in advance (11);
  • a swing speed / range detection unit 12 that detects and detects the speed of the golf club being swinged, and detects and detects whether the golf club proceeds to the target tee range;
  • a golf ball detecting unit 13 for detecting whether a golf ball is supplied to an upper portion of a tee 16a;
  • the operation unit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and decreases the swing speed upper limit value and the swing range, and provides a swing speed setting button 11a for provid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setting value to the controller 14;
  • a height setting button 11b for adjusting the lifting height of the golf ball to provide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14;
  • An operation setting button (11c) for providing a sett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14) by setting the lifting period or the lifting point of the golf ball constantly or randomly;
  • display means 11d for displaying the operated state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buttons.
  • the display means 11c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of each button,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s the digital signal, and outputs a swing speed of the golf club detected by the swing speed / range detection unit 12. have.
  • the swing speed / range detection unit 12 detects the swing movement of the golf club at the front or rear of the golfer's torso, and calculates the distance taken by the golf club and the time taken to move the speed as a speedometer ( 12a);
  • a position sensor 12b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wing direction of the golf club to detect whether the golf club proceeds with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etting ranges of the golf ball 1;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etection sensor 12c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golfer.
  • the speedometer 12a of the swing speed / range detection unit 12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golfer's backswing trajectory, and may measure the club swing speed before reaching the impact on the backswing.
  • the position sensor 12b is a sensor for detecting a position where the golf club swings about the golf ball 1 placed on the tee 16c.
  • the golf ball detection unit 13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roximity sensor that is installed at intervals on one side of the tee (16c) is supplied and seated golf ball 1, golf on the tee (16c) It may be a weight sensor that detects the golf ball (1) by detecting the weight fluctuation according to the seating of the ball (1), the seating of the golf ball (1) by detecting the ambient contrast according to the presence / absence of the golf ball It may be an illuminance sensor such as a CDS sensor for detecting the sensor, or the proximity sensor and the weight sensor or the illuminance sensor may be single.
  • the control unit 14 compares the swing speed upper limit value set by the operation unit 11 and the actual golf club speed detected by the swing speed / range detection unit 12 with the swing range of the golf club. Comparator 14a; The operation signals of the elevating drive unit 15 and the golf ball constraining unit 16 are output according to the elevating period and the elevating point value of the golf ball set by the operation unit 11, and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comparison unit 14a are output.
  • a setting processor 14b that collects and outputs a corresponding operation signal set in advance with respect to the collected detection signals; And a driver 14c for outputt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elevating drive unit 15 and the golf ball restraining unit 16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parator 14a.
  • the comparator 14a may be a comparison circuit including an op amp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reference value is higher or lower by comparing the set reference value with an input detection signal.
  • the setting processor 14b raises the golf ball speed limiter 16 when the current swing spe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wing speed in the comparison unit 14a, and increases the golf tool if the current swing range is out of a preset range.
  • the operation unit 11 sets it. It may be a microprocessor and a program mounted on the microprocessor for outputt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elevating driving unit 15 and the golf ball restricting unit 16 according to the lifting period and the lifting time value of the input golf ball.
  • the lifting drive unit 1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tor (151a) for forward / reverse rotation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4; Rotation of the motor 151a in a state in which a closed path is formed by being caught on the routing body 151b provided at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151a and the other routing body 151b provided at two point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the motor 151a is rotated forward / reverse with a signal output from the driver 14c of the controller 14, and the limiting operation is stopped so that the forward / reverse operation is stopped at the lift limit position of the golf ball control unit 16.
  • the operation may be limited by the sensor detection provided at the lift limit position of the golf ball control unit 16.
  • routing body 151b may be a pulley, a pinion, or a chain gear.
  • the lifting means 151c may be a timing belt or a chain.
  • the lifting support 151d is fixed to a shaft on a side of the vertical straight path of the lifting means 151c, that is, a parallel path spaced apart from the lifting path of the golf ball restraint part 16, and at one end of the shaft.
  • the pair of bearings may be a fixed support at intervals at both ends of the bracket through which the middle part is penetrated.
  • the inter-operation support 151e has a shaft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wall surface on which the motor 151a is fixed, and a pair of bearings are fixed at intervals at both ends of the bracket through which an intermediate portion passes through one end of the shaft. It may be a support.
  • actuating hinge 151f may be a pin or a ring or a bearing integrally provided at one end of the actuating link 151g.
  • the golf tool constraining portion 1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uide rail (16a)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one side wall; A bracket 16b which is guided by the guide rail 16a and is lifted by a lift action force transmitted from the lift driver 15; A center through tee 16c fixed to the bracket 16b; A hose (16d; back pump) connected to the hose at the lower end of the tee (16c) to suck the outside air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golf ball (1) is seat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penetrate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 the power supply unit 18 may be an electrostatic power supply including a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for converting AC power into DC power and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14 and each unit.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urn on the power switch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unit 18, or when the golfer enters the position or practice position of the operation unit 11, the detection sensor 12c detects the movement to detect the detection signal control unit ( 14) to operate.
  • the increase / decrease setting value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4 and stored.
  • the corresponding value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14 and stored.
  • the operation setting button 11c of the operation unit 11 by operating the operation setting button 11c of the operation unit 11 to select a setting period or a lifting point of the golf ball 1 at a constant or randomly set, the corresponding value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14 and stored. do.
  • the lifting period of the golf ball (1) is one cycle of the time that the golf ball rises and descends, the lifting time is a constant lift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lifting period, ascends when the golfer backswing, or down in the backswing It is the point of operation to raise when switching to swing, to rise just before impact, or to lower to avoid hitting. Through the setting of this operation, the lifting of the golf ball 1 is made at random.
  • the golf ball 1 is supplied to the tee 16c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since the device related to the supply is a conventional part) and
  • the control unit 14 operates the backing 16d of the golf ball restricting unit 16 to the tee 16c.
  • the controller 14 stops the back 16d of the golf ball restraint unit 16 and at the same time reversely operates the cylinder 15a of the lift driving unit 15 to play the golf.
  • the tool inner portion 16 is lowered, i.e., lowered below the hole 3 of the grass mat 2.
  • the elevating driving unit 15 when a driving signal is input from the driver 14c of the control unit 14 to the motor 151a, the motor 151a is forward rotated so that two path setting bodies 151b are provided.
  • the lifting means 151c caught by the three pulleys rotates, that is, rotates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golf ball restraint unit 16.
  • the lifting support 151d provided in the lifting means 151c raises the operation link 151g around the inter-operating support 151e, thereby raising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link 151g, and the other end.
  • the golf ball restraint portion 16 connected to the operating hinge 151f provided in the lift is raised.
  • the golf ball restraint portion 16 as raised above draws the golf ball 1 above the hole 3 of the grass block 2 in a state in which the golf ball 1 is gripped by the vacuum suction of the back 16d. .
  • the lowering of the golf ball 1 is lowered by the revers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while the lifting means 151c is lowered by the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151a.
  • control unit 14 for controll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golf ball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 control unit 14 stores them, that is, setting values (S1).
  • control unit 14 is to raise or lower the golf ball according to the lifting period of the set golf ball 1,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t lifting time, when the operation is constantly moving or when the golfer backswing Controls the action of raising, raising when switching from backswing to downswing, raising immediately before impact, or lowering again to avoid hitting.
  • the swing speed of the golfer is input from the speedometer 12a of the swing speed / range detection unit 12 (S5), the swing speed is set to the swing speed is se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abnormal (S6), if it is less than the set swing speed, the elevating drive unit 15 is kept at a stop state, and if it is more than the set swing speed, the elevating drive unit 15 is operated up (S7).
  • the elevating driving unit 15 is kept in a stopped state, and when it is out of the set swing range or more, the elevating driving unit 15 is moved downward (S9).
  • the operation unit setting value loading step (S3) is determined whether the rising time point setting is set constantly or randomly (S10), if the setting period of the lift of a certain period, the swing speed is input from the speedometer 12a
  • the step S6 of determining the state if the random lift setting state, randomly set the lift operation variable of the lift driver 15 (S11), the speedometer of the swing speed / range detection unit 12 ( 12a) and when the swing speed of the golfer is input from the position sensor 12b (S1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swing speed corresponds to the set swing speed (S13), and if the swing speed is less than the set swing speed, the lift driver 15 is stopped.
  • the elevating drive unit 15 maintains the rising or falling after falling or maintaining the falling state, and then control the random operation such as rising in the next operation If (S14), the golf club is out of the swing range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 range of the golf club head around the golf ball) (S15), the lifting drive unit 15 is controlled to descend (S16).
  • the golf ball 1 may or may not be located on the grass mat 2, i.e., even if the swing speed is higher than a certain value, the golf ball may meet the swing range. If the ball does not rise or rises, it can be lowered just before impact, leading to watching the hitting area to the end to prevent head-ups and correct head-up habits.
  • the golfer poses in a tee shot position and swings as shown in FIGS. 5 to 8.
  • the swing may be a full swing for hitting the golf ball 1, but may also be a slow ready swing for catching the correct posture and hitting position.
  • This swing is detected by the speedometer 12a of the swing speed detection unit 12, so that the control unit 14 performs the above-described control operation.
  • the elevating driving unit 15 is operated to raise the golf ball restraint unit 16, as shown in FIG. 7, the golf ball 1 placed on the tee 16c immediately before the impact is formed.
  • the grass mat (2) is pulled out (which may be pulled out according to the setting state and then immediately lowered and drawn). As such, the golfer keeps an eye on the portion where the golf ball 1 is drawn out.
  • the head-up does not proceed as shown in FIG. 8, and only when the follow swing is performed. Turn your hea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ll 1 flew.
  • the ball when the golf tee shot practice, the ball is raised just before the impact only when the swing speed is a certain value or more, so that the eye can not take a gaze at the position where the ball is placed to prevent head-up and head-up. Correct your habits.
  • the golf ball does not rise or rises to descend immediately before the impact, leading to watch the hitting portion to the end to prevent head-up and correct the head-up habits.
  •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also be applied to the elevating drive unit 15 in another embodiment.
  • the spur gear 152a rotated by a motor and provid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golf ball restraint portion 16, rack rack meshed with the spur gear 152a It may also be a gear 152b.
  • the elevating drive unit 15 may be a solenoid which is an electromechanical device for generating a mechanical motion using the current as energy.
  • the solenoid may be composed of a steel structure surrounding the coil and a cylindrical mandrel moving inside the coil.
  • the solenoid may be provided directly below the golf ball restraint unit 16 to receive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4 to elevate the golf ball restraint unit 16.
  • the golf ball 1 of the grass mat (2) is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hole (3) to be lifted to block the hole (3), but is cut open by being pushed by the rising golf ball
  • the blocking body hole blocking member 17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hole blocking member 17 may be the same as the grass mat on which the artificial turf is form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의 티샷 연습 시, 스윙속도가 일정값이 이상일 경우에만 임팩트 직전에 볼이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볼이 놓여지는 위치에서 시선을 땔 수 없도록 하는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의 티샷 연습 시, 다운스윙이 이루어질 때나 스윙속도가 일정 값이 이상일 경우에만 임팩트 직전에 골프공이 지면 아래에서 지면위로 상승하거나 지면 위에서 지면 아래로 하강을 하도록 함으로써, 골프공이 티에 놓여져 사용자가 스윙 시에 부담을 갖는 현상이 없도록 하는 골프의 헤드 업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프의 티샷 연습 시, 스윙속도가 일정값이 이상일 경우에만 임팩트 직전에 볼이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볼이 놓여지는 위치에서 시선을 땔 수 없도록 하여 헤드업을 방지하고 헤드업 습관을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스윙 속도가 일정값 이상이더라도 골프공이 상승하지 않거나 상승하였다 임팩트 직전에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끝까지 타격부위를 주시하도록 유도하여 헤드업을 방지하고 헤드업 습관을 교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본 발명은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의 티샷 연습 시, 다운스윙이 이루어질 때나 스윙속도가 일정 값이 이상일 경우에만 임팩트 직전에 골프공이 지면 아래에서 지면위로 상승하거나 지면 위에서 지면 아래로 하강을 하도록 함으로써, 골프공이 티에 놓여져 사용자가 스윙 시에 부담을 갖는 심리적 현상이 없도록 하는 골프의 헤드 업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소정의 거리에 위치한 그린의 홀에 공을 쳐서 넣는 경기로서, 가장 짧은 타수로 홀에 공을 넣는 자가 승자가 되는 기록경기이다.
이러한 골프에서 중요한 것은 샷(shot)의 거리와 정확성이다. 거리와 샷이 정확하면 타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모든 골퍼들은 거리와 정확한 샷을 위해 많은 연습을 한다.
그러나, 샷의 거리와 정확성을 기르기 위해 스윙과 임팩트 순간까지의 자세를 바르게 숙지하였다 하더라도, 임팩트 되기 전에 헤드업이 되는 습관을 고치지 못하면, 거리와 정확한 샷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나쁜 습관은 좀처럼 고쳐지지 않으며, 이와 같은 나쁜 습관을 개선하지 않고는 좋은 점수를 얻기 어렵다.
이는 일반인 들 뿐 아니라, 프로 선수에게서도 종종 일어나는 것으로, 이러한 악 습관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헤드업 방지를 위한 집중력 훈련 및 헤드업을 방지하는 보조 장치 내지는 헤드업 방지를 위한 자세 교정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보조 장치의 경우, 골프 라운딩 시에 많은 규제가 따라 잘 사용하지 않으며, 골프 연습 시에 이용하는 자세 교정 장치는 실제 라운딩 시에는 사용할 수 없어, 상기 자세 교정 장치에 익숙해진 탓에 오히려 좋지 않은 결과를 낳기도 한다.
그러므로, 거리와 정확한 샷을 얻기 위해서는 오로지 수없이 반복되는 연습을 통해서 헤드업 습관을 교정하는 길 밖에 없다.
본 발명은 골프의 티샷 연습 시, 다운스윙이 이루어질 때나 스윙속도가 일정 값이 이상일 경우에도 임팩트 직전에 골프공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어드레스 시부터 골프공이 놓여져 사용자가 부담을 갖는 현상을 다운스윙 과정에 골프공이 공급 되도록 하여 헤드업을 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다운스윙 전에 골프공을 지면 내에 위치시켜 확인불가 상태로 유지하고, 다운스윙 후 임팩트 전에 골프공을 지면 위로 상승하거나 상승 후 하강시키고, 사전에 설정된 값에 따라 골프공의 상승 또는 하강주기 및 시점을 조절하는 한편, 상승 후 골프클럽의 스윙 동작이 확인되면 랜덤하게 하강 또는 상승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골프의 티샷 연습 시, 다운스윙이 이루어질 때나 스윙속도가 일정 값이 이상일 경우에만 임팩트 직전에 볼이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어드레스 시에 공이 티 위치에 없게 함으로써 헤드 업 할 필요가 없게 하여 헤드업 습관을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스윙 속도가 일정값 이상이더라도 골프공이 상승하지 않거나 상승하였다 임팩트 직전에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끝까지 타격부위를 주시하도록 유도하여 헤드업을 방지하고 헤드업 습관을 교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골프공의 초기상태, 하강 인입상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골프공의 상승 인출상태)
도 3은 본 발명 중 제어부의 제어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샷 연습을 하는 단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부호의 설명>
10 : 헤드업 교정장치 11 : 조작부
11a : 스윙속도설정버튼 11b : 높이조절버튼
11c : 동작설정버튼 11d : 표시수단
12 : 스윙속도/범위검출부 12a : 속도계
12b : 위치센서 13 : 골프공감지부
14 : 제어부 14a : 비교기
14b : 설정처리기 14c : 드라이버
15 : 승강구동부 151a : 모터
151b : 경로설정체 151c : 승강수단
151d : 승강지지체 151e : 작동간지지체
151f : 작동힌지 151g : 작동링크
152a : 평기어 152b : 랙크기어
16 : 골프공구속부 16a : 가이드레일
16b : 브래킷 16c : 티(Tee)
16d : 배큠 17 : 홀 차단부재
18 : 전원공급부 1 : 골프공
2 : 잔디매트 3 : 홀
상기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스윙속도가 사전에 설정된 속도 이하일 경우에는 골프공을 지면 내에 위치시켜 확인불가 상태로 유지하고, 스윙속도가 사전에 설정된 속도 이상일 경우에는 임팩트 직전에 골프공을 지면 위로 상승시키고, 사전에 설정된 값에 따라 골프공의 상승주기 및 시점을 조절하는 한편, 상승 후 골프클럽의 스윙 동작이 확인되면 랜덤하게 하강 또는 상승상태를 유지시키는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조작에 의해 클럽의 스윙속도상한값과 골프공의 승강 위치 및 골프공의 승강 주기 내지는 승강시점을 사전에 설정하는 조작부(11); 스윙되는 골프클럽의 속도를 감지하여 검출하고, 골프클럽이 목표 티의 범위로 진행하는지를 감지하여 검출하는 스윙속도/범위검출부(12); 골프공이 티(Tee ; 16a) 상부에 공급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골프공감지부(13); 상기 조작부(11)의 스윙속도상한값과 스윙속도/범위검출부(12)에서 검출된 실제 골프클럽의 스윙속도값을 비교하여 실제 스윙속도가 상한값 이상이면, 상기 승강구동부(15)의 동작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골프공구속부(16)의 동작신호를 출력하고, 골프공의 승강주기 내지는 승강시점 신호를 설정된 값 또는 랜덤값에 따라 출력하는 한편, 스윙속도/범위검출부(12)에서 검출된 실제 골프클럽의 스윙범위가 목표티의 상하좌우 설정 범위 이상을 벗어나면 상승한 골프공구속부(16)를 하강시키는 제어부(14); 상기 제어부(14)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골프공구속부(16)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15); 상기 제어부(14)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골프공(1)을 흡입하여 상승 시 골프공의 낙하를 방지하는 골프공구속부(16); 상기 각 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각 부의 구성을 면밀히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우선, 본 발명 중 상기 조작부(11)는 스윙속도 상한값 및 스윙범위를 증감시켜, 증감설정값을 제어부(14)로 제공하는 스윙속도설정버튼(11a); 골프공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여 조절신호를 제어부(14)로 제공하는 높이설정버튼(11b); 골프공의 승강주기 내지는 승강시점을 일정하게 또는 랜덤하게 설정하여 설정신호를 제어부(14)로 제공하는 동작설정버튼(11c); 상기 버튼들이 조작된 상태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11d);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수단(11c)은 상기 각 버튼의 전기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스윙속도/범위검출부(12)에서 검출된 골프클럽의 스윙속도를 출력하는 액정표시장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스윙속도/범위검출부(12)는 골퍼의 몸통 정면 또는 후면에서 골프클럽의 스윙 움직임을 감지하여, 골프클럽이 위치 이동한 거리와 위치 이동하는데 걸린 시간을 속도로 산출하는 속도계(12a); 골프클럽의 스윙방향 후면에 마련되어, 골프 클럽이 골프공(1)의 상하좌우 설정 범위내로 진행하는지를 감지하는 위치센서(12b); 골퍼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윙속도/범위검출부(12)의 속도계(12a)는 골퍼의 백스윙 궤적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백스윙에서 임팩트에 도달하기 전까지의 클럽 스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센서(12b)는 티(16c)에 안치된 골프공(1)을 중심으로 골프클럽이 스윙하여 진행하는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골프공감지부(13)는 골프공(1)이 공급되어 안착되는 티(16c)의 일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근접센서일 수 도 있고, 상기 티(16c)에 골프공(1)의 안착 유무에 따른 무게 변동을 감지하여 골프공(1)을 감지하는 중량센서일 수 도 있고, 골프공의 안착 유/무에 따른 주변명암을 감지하여 골프공(1)의 안착을 감지하는 CDS센서와 같은 조도센서일 수 도 있으며, 상기 근접센서와 중량센서 또는 조도센서 단일일 수 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제어부(14)는 조작부(11)에서 설정 입력되는 스윙속도상한값과 스윙속도/범위검출부(12)에서 검출 입력되는 실제 골프클럽의 속도와 골프클럽의 스윙범위를 비교하는 비교기(14a); 상기 조작부(11)에서 설정 입력되는 골프공의 승강주기 및 승강시점값에 따라 상기 승강구동부(15)와 골프공구속부(16)의 동작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교부(14a)의 검출신호들을 수집하여, 수집된 검출신호들에 대해 사전에 설정된 해당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설정처리기(14b); 상기 비교기(14a)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구동부(15)와 골프공구속부(16)의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드라이버(14c);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탑재된 프로그램일 수 있다.
상기, 비교기(14a)는 설정된 기준값과 입력되는 검출신호를 비교하여 기준값의 이상/이하를 판단하는 OP앰프를 포함한 비교회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처리기(14b)는 상기 비교부(14a)에서 현재 스윙속도가 스윙속도 이상으로 검출되면 골프공구속부(16)를 상승시키고, 현재 스윙범위가 사전에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승한 골프공구속부(16)를 하강시키는 등 수집된 검출신호들에 대해 사전에 설정된 해당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상기 비교부(14a)에서 현재 스윙속도가 스윙속도 이상으로 검출되더라도 상기 조작부(11)에서 설정 입력되는 골프공의 승강주기 및 승강시점값에 따라 상기 승강구동부(15)와 골프공구속부(16)의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탑재된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승강구동부(15)는 제어부(14)의 제어신호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모터(151a); 상기 모터(151a)의 회전축에 마련된 경로설정체(151b)와 다른 한 지점 또는 수직의 두 지점에 마련된 다른 경로설정체(151b) 상에 걸려서 폐 경로를 형성한 상태로 상기 모터(151a)의 회전에 의해 정/역 이동하는 승강수단(151c); 상기 승강수단(151c)의 수직 직선구간 경로의 측면에 축 고정된 브래킷 양단에 간격을 두고 고정된 승강지지체(151d); 상기 승강지지체(151d)의 일측 방향에 마련되는 브래킷 양단에 간격을 두고 고정된 작동간지지체(151e); 상기 골프공구속부(16)의 하단에 축 결합되는 작동힌지(151f); 일측 단은 상기 작동힌지(151f)와 일체 또는 결합되고, 중간부분은 상기 승강지지체(151d)를 경유하여 지지를 받으며, 타측 단은 상기 작동간지지체(151e)를 경유하여 지지를 받는 판체 또는 봉 형상의 작동링크(151g);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151a)는 제어부(14)의 드라이버(14c)에서 출력되는 신호로 정/역회전하되, 상기 골프공구속부(16)의 승강 제한 위치 부분에서 정/역동작이 정지되도록 제한 동작할 수 도 있고, 상기 골프공구속부(16)의 승강 제한 위치에 마련된 센서 감지에 의해 동작이 제한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경로설정체(151b)는 풀리일 수 도 있고, 피니언일 수 도 있으며, 체인기어일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151c)은 타이밍벨트일 수 도 있고, 체인일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승강지지체(151d)는 승강수단(151c)의 수직의 직선 경로 즉, 골프공구속부(16)의 승강 경로와 간격을 두고 평행한 경로상의 측면에 축이 고정되고, 상기 축의 일측 단에 중간부분이 관통된 브래킷의 양단에 간격을 두고 한 쌍의 베어링이 고정된 지지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간지지체(151e)는 모터(151a)가 고정되는 벽면의 상방에 축이 고정되고, 상기 축의 일측 단에 중간부분이 관통된 브래킷의 양단에 간격을 두고 한 쌍의 베어링이 고정된 지지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힌지(151f)는 작동링크(151g)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마련된 핀 또는 링 또는 베어링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골프공구속부(16)는 일측 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6a); 상기 가이드레일(16a)의 유도를 받으며 상기 승강구동부(15)에서 전달되는 승강작용력에 의해 승강하는 브래킷(16b); 상기 브래킷(16b) 상부에 고정된 중앙 관통형 티(16c); 상기 티(16c)의 하단부에 호스 연결되어, 관통된 중앙부분을 통해 골프공(1)이 안착되는 방향으로부터 외기를 진공 흡입하는 배큠(16d ; 배큠펌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전원공급부(18)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4) 및 각부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압안정화회로를 포함한 정전원공급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18)에 마련된 전원스위치를 ON시키거나, 골퍼가 조작부(11)의 위치 또는 연습위치에 들어서면, 상기 감지센서(12c)가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14)로 전달하여 동작한다.
이때, 상기 조작부(11)의 속도설정버튼(11a)을 조작하여 스윙속도 상한값을 증감 설정시키면, 증감설정값이 제어부(14)로 제공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1)의 높이설정버튼(11b)을 조작하여 골프공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면, 해당값이 제어부(14)로 제공되어 저장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11)의 동작설정버튼(11c)을 조작하여 골프공(1)의 승강주기 내지는 승강시점을 일정하게 또는 랜덤으로 선택하여 설정하면, 해당값이 제어부(14)로 제공되어 저장된다.
이때, 상기 골프공(1)의 승강주기는 골프공이 상승하고 하강하는 시간의 한 사이클이며, 상기 승강시점은 상기 승강주기에 따라 일정하게 승강동작하거나, 골퍼가 백스윙할 때 상승하거나, 백스윙에서 다운스윙으로 전환할 때 상승하거나, 임팩트 직전에 상승하거나, 타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다시 하강시키는 동작시점이다. 이러한 동작의 설정을 통해 골프공(1)의 승강이 랜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풀 스윙을 하면서도 골프공(1)이 있는지 없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버릇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골프의 티샷 연습 시, 다운스윙이 이루어질 때나 스윙속도가 일정 값이 이상일 경우에만 임팩트 직전에 볼이 지면 아래에서 지면위로 상승하거나 지면 위에서 지면 아래로 하강을 하게 되므로, 골프공이 티에 놓여져 사용자가 스윙 시에 심리적으로 부담 갖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조작부(11)를 통해 사전에 동작을 위한 설정값이 세팅되면, 골프공(1)이 티(16c)에 공급(공급과 관련된 장치는 통상적인 부분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함)되고, 이를 상기 골프공감지부(13)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14)로 전달하면, 상기 제어부(14)는 골프공구속부(16)의 배큠(16d)을 동작시켜, 상기 티(16c)에 안치된 골프공(1)을 흡입시켜 승강 동작 시 이탈을 방지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구동부(15)를 동작시켜,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프공구속부(16)에 안치된 골프공(1)을 잔디매트(2)의 홀(3) 상방으로 상승 위치시킨다.
이후, 골퍼가 타격을 완료하면, 상기 제어부(14)는 골프공구속부(16)의 배큠(16d)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승강구동부(15)의 실린더(15a)를 역 동작시켜, 상기 골프공구속부(16)를 잔디매트(2)의 홀(3) 하방으로 하강 즉, 원위치 시킨다.
상기, 승강구동부(15)의 구체적인 동작은, 상기 제어부(14)의 드라이버(14c)에서 모터(151a)로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모터(151a)가 정회전하여 경로설정체(151b)인 2개 또는 3개의 풀리에 걸려진 승강수단(151c)을 회전 즉, 골프공구속부(16)의 상승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승강수단(151c)에 마련된 승강지지체(151d)가 작동간지지체(151e)를 중심으로 작동링크(151g)를 상승시키고, 이로 인해 작동링크(151g) 타측 단이 상승하게 되며, 타측 단에 마련된 작동힌지(151f)에 연결된 골프공구속부(16)가 들어올려져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승한 골프공구속부(16)는 배큠(16d)의 진공흡입에 의해 골프공(1)을 파지한 상태로 잔디블럭(2)의 홀(3) 상방으로 골프공(1)을 인출시킨다.
이때, 골프공(1)의 하강은 상기 모터(151a)의 역회전에 의해 승강수단(151c)이 하강하면서 전술한 동작의 역동작으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골프공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14)의 동작을 별도로 설명하면,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제어부(14)는 조작부(11)에서 모든 조작이 완료되어 세팅되면, 이들을 즉, 설정값을 저장한다(S1).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골프공감지부(13)로부터 골프공(1) 감지신호가 입력되면(S2), 상기 조작부(11)에서 설정 입력되는 골프공의 승강주기 및 승강시점값을 로딩하고(S3), 상기 골프공구속부(16)의 배큠(16d)을 동작시킴과 동시에(S4), 상기 승강구동부(15)의 동작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4)는 설정된 골프공(1)의 승강주기에 따라 골프공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되는데, 설정된 승강시점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하게 승강 동작시키거나, 골퍼가 백스윙할 때 상승시키거나, 백스윙에서 다운스윙으로 전환할 때 상승시키거나, 임팩트 직전에 상승시키거나, 타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다시 하강시키는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4)가 이러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윙속도/범위검출부(12)의 속도계(12a)로부터 골퍼의 스윙 속도가 입력되면(S5), 입력되는 스윙 속도가 설정된 스윙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하여(S6), 설정 스윙속도 이하이면, 상기 승강구동부(15)를 정지상태로 유지하고, 설정 스윙속도 이상이면, 상기 승강구동부(15)를 상승 동작시킨다(S7).
이때, 상기 스윙속도/범위검출부(12)의 위치센서(12b)로부터 골프클럽 헤드의 스윙범위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스윙범위가 설정된 스윙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여(S8) 설정 스윙범위 이내이면, 상기 승강구동부(15)를 정지상태로 유지하고, 설정 스윙범위 이상을 벗어나면, 상기 승강구동부(15)를 하강 동작시킨다(S9).
이때, 상기 조작부설정값로딩단계(S3)에서 승강시점 설정이 일정하게 또는 랜덤하게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S10), 일정한 주기의 승강 설정상태이면, 상기 속도계(12a)에서 스윙속도가 입력되는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6)를 진행하고, 랜덤한 승강 설정상태이면, 상기 승강구동부(15)의 승강동작 변수를 무작위로 설정하고(S11), 상기 스윙속도/범위검출부(12)의 속도계(12a) 및 위치센서(12b)로부터 골퍼의 스윙 속도가 입력되면(S12), 입력되는 스윙 속도가 설정된 스윙속도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여(S13), 설정 스윙속도 이하이면 상기 승강구동부(15)를 정지상태로 유지하고, 설정 스윙속도 이상이면 상기 무작위로 설정된 값에 따라, 상기 승강구동부(15)를 상승유지 또는 상승 후 하강 또는 하강상태 유지 후, 다음 동작에서 상승과 같은 무작위 동작을 제어하되(S14), 골프클럽이 스윙범위(골프공을 중심으로 한 골프클럽 헤드의 상하좌우 이동범위)를 벗어나면(S15), 승강구동부(15)를 하강 제어한다(S16).
그러므로, 골퍼가 풀스윙을 하더라도 골프공(1)이 잔디매트(2) 상에 위치할 수 도 있고 그러하지 않을 수 도 있기 때문에, 즉, 스윙 속도가 일정값 이상이더라도 스윙범위의 부합 여부에 따라 골프공이 상승하지 않거나 상승하였다 임팩트 직전에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끝까지 타격부위를 주시하도록 유도하여 헤드업을 방지하고 헤드업 습관을 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14)의 제어 동작 하에 본 발명은 골프공(1)을 승강시키게 되는데, 예시적으로, 일정하게 승강 동작하도록 세팅된 상태에서 골프 연습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설명하면 첨부 도면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퍼가 티샷 위치에서 자세를 잡고 첨부 도면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을 한다.
이때, 스윙은 골프공(1)을 타격하기 위한 풀스윙일 수 도 있으나, 정확한 자세 및 타격 포지션을 잡기 위한 속도가 느린 준비 스윙일수 도 있다. 이러한 스윙은 상기 스윙속도 검출부(12)의 속도계(12a)에 의해 검출되어, 제어부(14)가 전술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골퍼의 스윙 속도가 사전에 설정된 스윙속도 이상의 풀스윙으로 검출되면,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윙 상태에 도달하는 시점부터(이러한 시점은 스윙속도/범위검출부(12)의 스윙 속도 검출신호가 제어부(14)로 입력된 직후의 시점) 상기 승강구동부(15)가 동작하여 골프공구속부(16)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승강구동부(15)가 동작하여 골프공구속부(16)를 상승시키면,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팩트가 이루어지는 바로 직전에 티(16c)에 안치된 골프공(1)이 잔디매트(2) 상방으로 인출되어지며,(설정상태에 따라 인출되었다가 즉시 하강하여 인입될 수 도 있음) 이때 까지도 도시된 바와 같이 골퍼는 골프공(1)이 인출되는 부분을 주시하게 된다.
그러므로, 골프공(1)을 타격(타격 없이 풀스윙일 수도 있음)한 직후에도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업이 진행되지 않게 되며, 팔로우스윙(Follow Swing)이 진행될 때 비로소, 골프공(1)이 날아간 방향으로 고개를 돌려 주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골프의 티샷 연습 시, 스윙속도가 일정값이 이상일 경우에만 임팩트 직전에 볼이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볼이 놓여지는 위치에서 시선을 땔 수 없도록 하여 헤드업을 방지하고 헤드업 습관을 교정한다.
또한, 스윙 속도가 일정값 이상이더라도 골프공이 상승하지 않거나 상승하였다 임팩트 직전에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끝까지 타격부위를 주시하도록 유도하여 헤드업을 방지하고 헤드업 습관을 교정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승강구동부(15)를 다른 실시예로 적용할 수 도 있다.
이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평기어(152a)와 상기 골프공구속부(16)의 일측 면에 수직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평기어(152a)와 치합된 랙크기어(152b)일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어부(1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모터(잔디매트(2)가 깔리는 보드의 내측 벽면에 고정)가 평기어(152a)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는 동작에 따라, 상기 평기어(152a)와 치합된 랙크기어(152b ; 직선상의 블럭 일측 면에만 톱니가 형성된 기어)가 골프공구속부(16)를 승강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부(15)는 전류를 에너지로 하여 역학운동을 일으키는 전기 역학 장치인 솔레노이드일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는 코일을 감싸고 있는 철 구조물과 코일 내부에서 움직이는 원주형 심봉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는 골프공구속부(16)의 직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14)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골프공구속부(16)를 승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잔디매트(2)의 골프공(1)이 승강되는 홀(3) 주연부에 마련되어 홀(3)을 차단하되, 상승하는 골프공에 밀려 오픈되는 절결된 차단체인 홀 차단부재(17)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 차단부재(17)는 인조잔디가 형성된 잔디매트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버튼 조작에 의해 클럽의 스윙속도상한값과 골프공의 승강 위치 및 골프공의 승강 주기 내지는 승강시점을 사전에 설정하는 조작부(11); 스윙되는 골프클럽의 속도를 감지하여 검출하고, 골프클럽이 목표 티의 범위로 진행하는지를 감지하여 검출하는 스윙속도/범위검출부(12); 골프공이 티(Tee ; 16a) 상부에 공급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골프공감지부(13); 상기 조작부(11)의 스윙속도상한값과 스윙속도/범위검출부(12)에서 검출된 실제 골프클럽의 스윙속도값을 비교하여 실제 스윙속도가 상한값 이상이면, 상기 승강구동부(15)의 동작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골프공구속부(16)의 동작신호를 출력하고, 골프공의 승강주기 내지는 승강시점 신호를 설정된 값 또는 랜덤값에 따라 출력하는 한편, 스윙속도/범위검출부(12)에서 검출된 실제 골프클럽의 스윙범위가 목표티의 상하좌우 설정 범위 이상을 벗어나면 상승한 골프공구속부(16)를 하강시키는 제어부(14); 상기 제어부(14)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골프공구속부(16)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15); 상기 제어부(14)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골프공(1)을 흡입하여 상승 시 골프공의 낙하를 방지하는 골프공구속부(16); 상기 각 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1)는 스윙속도 상한값을 증감시켜, 증감설정값을 제어부(14)로 제공하는 속도설정버튼(11a); 골프공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여 조절신호를 제어부(14)로 제공하는 높이설정버튼(11b); 골프공의 승강주기 내지는 승강시점을 일정하게 또는 랜덤하게 설정하여 설정신호를 제어부(14)로 제공하는 동작설정버튼(11c); 상기 버튼들이 조작된 상태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11d);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속도/범위검출부(12)는 골퍼의 몸통 정면 또는 후면에서 골프클럽의 스윙 움직임을 감지하여, 골프클럽이 위치 이동한 거리와 위치 이동하는데 걸린 시간을 속도로 산출하는 속도계(12a); 골프클럽의 스윙방향 후면에 마련되어, 골프 클럽이 골프공(1)의 상하좌우 설정 범위내로 진행하는지를 감지하는 위치센서(12b); 골퍼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2c);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감지부(13)는 골프공(1)이 공급되어 안착되는 티(16c)의 일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근접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감지부(13)는 티(16c)에 골프공(1)의 안착 유무에 따른 빛의 변화를 감지하여 골프공(1)을 인식하는 조도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는 조작부(11)에서 설정 입력되는 스윙속도상한값과 스윙속도/범위검출부(12)에서 검출 입력되는 실제 골프클럽의 속도와 골프클럽의 스윙범위를 비교하는 비교기(14a); 상기 조작부(11)에서 설정 입력되는 골프공의 승강주기 및 승강시점값에 따라 상기 승강구동부(15)와 골프공구속부(16)의 동작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교부(14a)의 검출신호들을 수집하여, 수집된 검출신호들에 대해 사전에 설정된 해당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설정처리기(14b); 상기 비교기(14a)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구동부(15)와 골프공구속부(16)의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드라이버(14c);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탑재된 프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15)는 제어부(14)의 제어신호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모터(151a); 상기 모터(151a)의 회전축에 마련된 경로설정체(151b)와 다른 한 지점 또는 수직의 두 지점에 마련된 다른 경로설정체(151b) 상에 걸려서 폐 경로를 형성한 상태로 상기 모터(151a)의 회전에 의해 정/역 이동하는 승강수단(151c); 상기 승강수단(151c)의 수직 직선구간 경로의 측면에 축 고정된 브래킷 양단에 간격을 두고 고정된 승강지지체(151d); 상기 승강지지체(151d)의 일측 방향에 마련되는 브래킷 양단에 간격을 두고 고정된 작동간지지체(151e); 상기 골프공구속부(16)의 하단에 축 결합되는 작동힌지(151f); 일측 단은 상기 작동힌지(151f)와 일체 또는 결합되고, 중간부분은 상기 승강지지체(151d)를 경유하여 지지를 받으며, 타측 단은 상기 작동간지지체(151e)를 경유하여 지지를 받는 판체 또는 봉 형상의 작동링크(151g);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51a)는 제어부(14)에서 출력되는 신호로 정/역회전하고, 상기 경로설정체(151b)는 풀리이고, 상기 승강수단(151c)은 타이밍벨트이고, 상기 승강지지체(151d)는 승강수단(151c)의 수직의 직선 경로인 골프공구속부(16)의 승강 경로와 간격을 두고 평행한 경로의 측면에 축이 고정되고, 상기 축의 일측 단에 중간부분이 관통된 브래킷의 양단에 간격을 두고 한 쌍의 베어링이 고정된 지지체이고, 상기 작동간지지체(151e)는 모터(151a)가 고정되는 벽면의 상방에 축이 고정되고, 상기 축의 일측 단에 중간부분이 관통된 브래킷의 양단에 간격을 두고 한 쌍의 베어링이 고정된 지지체이며, 상기 작동힌지(151f)는 작동링크(151g)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마련된 핀 또는 링 또는 베어링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구속부(16)는 일측 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6a); 상기 가이드레일(16a)의 유도를 받으며 상기 승강구동부(15)에서 전달되는 승강작용력에 의해 승강하는 브래킷(16b); 상기 브래킷(16b) 상부에 고정된 중앙 관통형 티(16c); 상기 티(16c)의 하단부에 호스 연결되어, 관통된 중앙부분을 통해 골프공(1)이 안착되는 방향으로부터 외기를 흡입하는 배큠(16d);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15)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평기어(152a)와 상기 골프공구속부(16)의 일측 면에 수직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평기어(152a)와 치합된 랙크기어(15b)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15)는 전류를 에너지로 하여 역학운동을 일으키는 전기 역학 장치인 솔레노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PCT/KR2010/003336 2010-04-19 2010-05-26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WO2011132816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642,493 US8753217B2 (en) 2010-04-19 2010-05-26 Apparatus for correcting a head-up phenomenon during a golf swing
JP2013506056A JP5530560B2 (ja) 2010-04-19 2010-05-26 ゴルフのヘッドアップ矯正装置
CN201080066269.XA CN102892471B (zh) 2010-04-19 2010-05-26 高尔夫的抬头矫正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060 2010-04-19
KR1020100036060A KR101180074B1 (ko) 2010-04-19 2010-04-19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32816A1 true WO2011132816A1 (ko) 2011-10-27

Family

ID=4483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3336 WO2011132816A1 (ko) 2010-04-19 2010-05-26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53217B2 (ko)
JP (1) JP5530560B2 (ko)
KR (1) KR101180074B1 (ko)
CN (1) CN102892471B (ko)
WO (1) WO20111328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666B1 (ko) * 2012-02-03 2013-10-10 성장연 골프의 헤드업 교정장치
US9174095B2 (en) * 2013-05-20 2015-11-03 George A. Goebel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a golf swing
CN104922885A (zh) * 2014-03-20 2015-09-23 金龙勋 箱型高尔夫模拟器
AT518936A1 (de) * 2016-07-18 2018-02-15 Tyche Tech Gmbh Vorrichtung zum Trainieren von Schlagbewegungen mit einem Golfschläger
KR101838529B1 (ko) * 2017-01-18 2018-03-14 (주) 줌테크 골프공 티업장치
KR101971041B1 (ko) * 2018-10-10 2019-04-22 김한섭 골프 연습장치용 티높이조절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019B1 (ko) * 2004-10-29 2005-04-29 명성전자 주식회사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200383094Y1 (ko) * 2005-01-29 2005-04-29 김영득 골프용 헤드업 자세 교정장치
KR100679465B1 (ko) * 2006-06-09 2007-02-06 남병렬 골프 스윙 연습기 제어 방법과 이 방법이 적용된 골프 스윙연습기
JP2009279126A (ja) * 2008-05-21 2009-12-03 Sk Japan:Kk スイング評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5366A (en) * 1974-03-18 1975-07-15 Francis E Morris Golf swing sensing device
US4181309A (en) * 1977-08-26 1980-01-01 Kenneth W. Atkinson Method and apparatus for golf practice and instruction
JPH03182271A (ja) * 1989-12-11 1991-08-08 Nittec Co Ltd ゴルフボール供給装置
US5549299A (en) * 1995-06-07 1996-08-27 Brown; Louis S. Apparatus for placing golf ball on tee
JPH09285584A (ja) * 1996-04-22 1997-11-04 Wada Kinzoku Kogyo Kk ゴルフ練習機のティーアップ装置
JP3036957U (ja) * 1996-09-26 1997-05-06 益弘 山口 ゴルフボールティーアップ装置
US6506124B1 (en) * 2001-12-21 2003-01-14 Callaway Golf Company Method for predicting a golfer's ball striking performance
CN1386558A (zh) * 2002-02-08 2002-12-25 曾平蔚 一种高尔夫普通球具挥杆球速方位检测装置
AU2007252375A1 (en) * 2006-05-23 2007-11-29 Joong-Hoon Nam Golf swing training machine
KR100677168B1 (ko) * 2006-05-23 2007-02-02 남병렬 골프 스윙 연습기
KR100920949B1 (ko) * 2008-12-12 2009-10-09 (주) 알디텍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클럽 헤드의 진입각, 공간속도 및타격점을 알기 위한 센싱 시스템
JP2012217495A (ja) * 2011-04-05 2012-11-12 Miki Holdings:Kk ゴルフ用眼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019B1 (ko) * 2004-10-29 2005-04-29 명성전자 주식회사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200383094Y1 (ko) * 2005-01-29 2005-04-29 김영득 골프용 헤드업 자세 교정장치
KR100679465B1 (ko) * 2006-06-09 2007-02-06 남병렬 골프 스윙 연습기 제어 방법과 이 방법이 적용된 골프 스윙연습기
JP2009279126A (ja) * 2008-05-21 2009-12-03 Sk Japan:Kk スイング評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24925A (ja) 2013-06-20
US8753217B2 (en) 2014-06-17
KR20110116575A (ko) 2011-10-26
CN102892471A (zh) 2013-01-23
KR101180074B1 (ko) 2012-09-05
JP5530560B2 (ja) 2014-06-25
CN102892471B (zh) 2015-06-03
US20130035171A1 (en) 201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32816A1 (ko)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WO2010095779A1 (ko) 골프 스윙 동작 보정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동작 보정 장치
WO2010128794A2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081469B1 (ko) 골프 스윙 동작 보정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동작보정 장치
WO2009145407A1 (ko) 골프 시뮬레이션 퍼팅 시스템
WO2020197117A1 (ko) 자동 탁구 연습장치
WO2017150797A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6024744A1 (ko) 골프 퍼팅 교정장치
WO2011158997A1 (ko) 골프 퍼팅 연습기
KR101157584B1 (ko) 스크린 골프의 골프공 동적 정보 측정장치
WO2015084020A1 (ko) 자동식 야구 연습장치
KR20110088990A (ko) 스크린 골프와 연동되는 퍼팅 시스템
JPH0956865A (ja) ティーアップ装置
KR20100129538A (ko) 헤드 업 교정용 퍼팅 연습 장치
WO2021040421A1 (ko) 골프 스윙 자세 교정 및 골반 척추 어깨 유연성 자동 향상 장치
WO2017179884A1 (ko) 골프스윙 보조기구
WO2009110717A1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101347534B1 (ko) 골프의 다운블로 스윙 연습장치
WO2021049705A1 (ko) 배드민턴 셔틀콕 슈팅장치
WO2013115427A1 (ko) 골프의 헤드업 교정장치
KR101081473B1 (ko) 골프 스윙 동작 보정 유닛
CN113577736B (zh) 一种多功能体育篮球训练装置
KR101910476B1 (ko) 격투기용 충격센싱장치의 테스트장치
KR20150091871A (ko) 골프퍼팅 연습장치
WO2021177484A1 (ko) 골프 스윙 정타 강도 체킹 연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0066269.X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502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50605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642493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502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