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529B1 - 골프공 티업장치 - Google Patents

골프공 티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529B1
KR101838529B1 KR1020170008657A KR20170008657A KR101838529B1 KR 101838529 B1 KR101838529 B1 KR 101838529B1 KR 1020170008657 A KR1020170008657 A KR 1020170008657A KR 20170008657 A KR20170008657 A KR 20170008657A KR 101838529 B1 KR101838529 B1 KR 101838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
golf ball
rubber
lifting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윤만
Original Assignee
(주) 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줌테크 filed Critical (주) 줌테크
Priority to KR1020170008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0006Automatic tee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2Weight, e.g. weight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연습장에 설치되어 타석에 들어선 골퍼에게 골프공을 하나씩 공급해주는 골프공 티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골프공 티업장치는 베이스프레임, 제 1, 제 2 측벽프레임 및 탑 커버 프레임에 의해 내부에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된 유입공간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 및 타석에 들어선 골퍼에게 제공할 골프공이 상기 유입공간부의 일단 내측으로 유입되게 하는 유입로를 가지는 골프공유입수단과, 상기 유입공간부로 유입된 골프공 중 최선단에 위치한 골프공 하나를 들어 올리는 리프팅수단과, 상기 리프팅수단에 의해 들어 올려진 골프공을 넘겨받는 티블록수단, 및 상기 티블록수단에 올려진 골프공을 골퍼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티블록수단을 상승시키고 골프공 타격 시 다음 골프공을 상기 리프팅수단으로부터 넘겨받을 수 있도록 상기 티블록수단을 하강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티블록수단은, 유입공간부의 일단 내측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티 베이스; 및 티 베이스에 승강가능하게 탄성 지지되는 고무티;를 포함하며, 티 베이스에는 고무티에 올려지는 골프공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는 고무티를 감지하여 고무티에 올려지는 골프공의 유무를 구동수단 측으로 신호로 출력하는 제 1 근접센서가 장착된다.

Description

골프공 티업장치{GOLF BALL TEE-UP DEVICE}
본 발명은 골프공 티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연습장에 설치되어 타석에 들어선 골퍼에게 골프공을 하나씩 공급해주는 골프공 티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골프연습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연습장에는 골퍼들에게 타격 연습을 할 수 있도록 골프공을 하나씩 타석위치로 안내하는 골프공 자동 공급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 골프공 자동 공급시스템은 크게 타격에 의해 날아간 골프공들을 한 곳으로 모으는 집구수단(10)과, 집구수단(10)에 의해 모인 골프공을 골프연습장의 상부 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20)과, 이송수단(20)으로부터 골프공을 수용하면서 수용된 골프공을 각각의 타석 측으로 안내하는 분배수단(30), 및 타석으로 안내된 골프공을 고무티(146; tee) 위에 하나씩 올린 후 타석에 위치한 골퍼에게 제공하는 티업장치(100)로 이루어진다.
즉, 골퍼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들은 골프연습장의 경사진 바닥면 및 집구로(12)을 따라 골프연습장의 바닥면 일측에 제공되는 골프공 집구탱크(14)에 모이게 되고, 이렇게 모인 골프공은 이송수단(20)의 수직컨베이어(22)을 따라 골프연습장의 상부측으로 이송된 후, 수직컨베이어(22)와 연결된 수평컨베이어(24)를 따라 이동하다가 수평컨베이어(24)와 각각의 분배수단(30)을 연결하는 다수의 분배관(32)을 통해 분배수단(30) 내부로 안내된다. 그리고 분배수단(30)으로 안내된 골프공은 티업장치(100) 측으로 안내된 후 티업장치(100)의 고무티(146)에 의해 하나씩 타석에 위치한 골퍼에게 제공된다.
도 2는 종래 티업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종래 티업장치(100)는 서로 평행하게 상, 하로 배치되는 상판(114) 및 하판(112)과, 상판(114) 및 하판(112)의 사이에 장착되어 지지되는 전면프레임(116) 및 후면프레임(118)과, 상판(114)의 일측에 장착되어 골프공을 공급하는 공급관(130)과, 상판(114)과 하판(112)의 사이에서 승하강되면서 고무티(146)가 상판(114)을 위로 출몰되는 승강부(140)와, 전면프레임(116)에 장착되면서 승강부(140)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선회되어 공급관(130)내의 골프공을 고무티(146)의 상부로 얹어주는 회동부(160), 및 승강부(140)를 이동시켜주는 구동부(18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판(114)은 고무티(146)가 출몰하도록 고무티(146)의 진행방향에 구멍을 천공시킨 관통공(120)이 형성되고, 공급관(130)에서 올라온 골프공이 고무티(146)를 벗어나지 않도록 막아주는 멈춤판(132)이 관통공(120)에 인접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승강부(140)는 상판(114)과 하판(112)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142)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부면 상에는 수직한 관 형상을 가지는 고무티(146)가 장착되는 티베이스(144)를 포함하는데, 고무티(146)의 하부 내측에는 고무티(146)에 얹어지는 골프공을 감지하는 광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된다. 즉 고무티(146)에 골프공이 올려지면 광센서는 이를 감지해 구동부(180) 측으로 신호를 출력하고, 구동부(180)는 고무티(146)를 상승시켜 골프공을 상판(114) 외측으로 노출시킨다. 그리고 골퍼가 상판(114) 외측으로 노출된 골프공을 타격하면 광센서는 이를 감지해 구동부(180) 측으로 신호를 출력하는데, 이때 구동부(180)는 다음 골프공이 올려지도록 고무티(146)를 하강시킨다.
그런데, 종래 티업장치(100)는 멈춤판(132)이 폭이 가르다란 수직한 바(bar) 형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공급관(130)에서 고무티(146) 측으로 올려지는 골프공을 안전하게 잡아주지 못해 골프공이 고무티(146)에 올려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고무티(146) 상승 시 진동에 의해 골프공이 고무티(146)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티업장치(100)는 광센서를 이용해 골프공의 유무를 감지하기 때문에 광이 지나는 통로가 필요하고, 그로 인해 고무티(146)의 두께가 두꺼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들이 광이 지나는 통로를 통해 광센서에 쌓이기 때문에 고무티(146)에 골프공이 올려지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이물질을 골프공으로 인식해 고무티(146)를 상승시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광센서가 고가이기 때문에 티업장치(100)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 20-0391702 호(등록일자: 2005. 07. 27, 명칭: 골프공 티업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고무티에 올려지는 골프공을 감쌀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골프공을 감싼 상태로 고무티와 같이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스토퍼를 형성함으로써, 골프공이 고무티에서 떨어지지 않게 골프공을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장치의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골프공 티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고무티에 올려지는 골프공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도록 고무티를 구성하면서 근접센서를 이용해 하강하는 고무티를 감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장치의 에러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게 하는 골프공 티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 제 1, 제 2 측벽프레임 및 탑 커버 프레임에 의해 내부에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된 유입공간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 및 타석에 들어선 골퍼에게 제공할 골프공이 상기 유입공간부의 일단 내측으로 유입되게 하는 유입로를 가지는 골프공유입수단과, 상기 유입공간부로 유입된 골프공 중 최선단에 위치한 골프공 하나를 들어 올리는 리프팅수단과, 상기 리프팅수단에 의해 들어 올려진 골프공을 넘겨받는 티블록수단, 및 상기 티블록수단에 올려진 골프공을 골퍼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티블록수단을 상승시키고 골프공 타격 시 다음 골프공을 상기 리프팅수단으로부터 넘겨받을 수 있도록 상기 티블록수단을 하강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골프공 티업장치에 있어서, 티블록수단은, 유입공간부의 일단 내측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티 베이스; 및 티 베이스에 승강가능하게 탄성 지지되는 고무티;를 포함하며, 티 베이스에는 고무티에 올려지는 골프공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는 고무티를 감지하여 고무티에 올려지는 골프공의 유무를 구동수단 측으로 신호로 출력하는 제 1 근접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티 베이스의 상부면 상에는 내측에 원통형상의 탄성코일스프링이 수직하게 배치되는 보스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탄성코일스프링의 상부에는 고무티가 안착되는 원판형상의 하강플레이트가 수평하게 놓여지며, 제 1 근접센서는 보스의 내측 바닥에 배치되어 골프공의 무게에 의해 고무티와 함께 하강하는 하강플레이트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무티는, 수직하게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티 본체; 및 티 본체의 단면 직경보다 큰 단면 직경을 가지면서 티 본체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플랜지의 하부는 하강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 올려진 상태로 캡에 의해 보스 내부에 한정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캡은, 중심부에 티 본체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상면; 상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면서 하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스커트;를 포함하며, 보스의 외주면 상에는 보스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스커트의 내주면 상에는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티블록수단은, 리프팅수단에 의해 고무티에 올려지는 골프공, 및 고무티와 함께 상승하는 골프공이 고무티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스토퍼는, 고무티에 올려진 골프공을 골퍼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탑 커버 프레임에 형성된 출입공의 타단 측에 인접한 탑 커버 프레임의 하부면에 수직하게 고정 장착되는 지지브라켓; 및 지지브라켓에서 출입공 측으로 연장되면서 상하로 선회되도록 타단이 지지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안착브라켓;을 포함하며, 안착브라켓의 일단은 상부에서 봤을 때 골프공을 감쌀 수 있도록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브라켓에는 안착브라켓을 안내하는 선회장공이 만곡되게 형성되고, 안착브라켓에는 선회장공에 끼워져 선회장공을 따라 안내되는 선회 가이드 핀이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티업장치는 고무티에 올려지는 골프공을 감쌀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골프공을 감싼 상태로 고무티와 같이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스토퍼를 형성함으로써, 골프공이 고무티에서 떨어지지 않게 골프공을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장치의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티업장치는 고무티에 올려지는 골프공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도록 고무티를 구성하면서 근접센서를 이용해 하강하는 고무티를 감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장치의 에러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골프연습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티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티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티업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티블록수단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4에 도시된 스토퍼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7a 및 도 7b는 도 4에 도시된 스토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티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티업장치(200)는 타석에 들어선 골퍼에게 제공할 골프공이 일렬로 연속적이게 유입되는 유입공간부(S)를 제공하는 골프공유입수단(210)과, 유입공간부(S)로 유입된 골프공 중 최선단에 위치한 골프공 하나를 들어 올리는 리프팅수단(260)과, 리프팅수단(260)에 의해 들어 올려진 골프공을 넘겨받는 티블록수단(230), 및 티블록수단(230)에 올려진 골프공을 골퍼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티블록수단(230)을 상승시키고 골프공 타격 시 다음 골프공을 리프팅수단(260)으로부터 넘겨받을 수 있도록 티블록수단(230)을 하강시키는 구동수단(270)을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수단(270)은 티블록수단(230)을 승강 작동시키며, 리프팅수단(260)은 승강 작동하는 티블록수단(230)과 연동하여 작동된다.
다시 말해 구동수단(270)의 작동에 의해 티블록수단(240)이 하강하면 리프팅수단(260)은 유입공간부(S)의 하부를 지나 골프공이 유입되는 유입공간부(S)의 일단 측으로 선회하면서 유입된 골프공 중 최선단에 위치한 골프공을 들어 올려 티블록수단(230)에 올려놓으며, 반대로 구동수단(270)의 작동에 의해 티블록수단(230)이 상승하면 리프팅수단(260)은 상승하는 티블록수단(230)의 하부를 지나 유입공간부(S)의 타단 측으로 선회하여 다음 골프공을 들어 올릴 준비를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티업장치(200)는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 20-0391702 호에 개시된 "골프공 티업장치(100; 도 2 참조)"와 동일한 작동 메카니즘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티업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골프공유입수단(210)은 내부에 유입공간부(S)를 제공하는 프레임부(212)와, 프레임부(212)에 장착되어 분배수단(30; 도 1 참조)에서 타석 측으로 분배된 골프공을 유입공간부(S) 측으로 일렬로 연속적이게 유입시키는 유입로(217)를 포함한다.
프레임부(212)는 수평한 판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프레임(213), 수직한 판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프레임(213)의 상부면 양측에 고정 장착되는 제 1, 제 2 측벽프레임(214a, 214b), 및 수평판 판 형상을 가지면서 하부면이 베이스프레임(213)의 상부면과 마주하도록 제 1, 제 2 측벽프레임(214a, 214b)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탑 커버 프레임(215)을 포함한다.
프레임부(212)는 베이스프레임(213), 제 1, 제 2 측벽프레임(214a, 214b) 및 탑 커버 프레임(215)에 의해 내부에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된 유입공간부(S)를 형성한다. 이때 유입공간부(S)의 일단 측에 인접한 탑 커버 프레임(215)에는 유입공간부(S) 측으로 유입된 골프공을 골퍼에게 제공하는 출입공(216)이 형성된다.
유입로(217)는 분배수단(30)에서 안내된 골프공을 유입공간부(S)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을 가지는 받침찬넬(218)을 포함한다.
받침찬넬(218)은 분배수단(30)에서 안내된 골프공이 굴러 유입공간부(S)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공간부(S)의 일단 외측에서 유입공간부(S)의 일단 내측으로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연장되며, 유입공간부(S)의 일단 내측으로 연장된 받침찬넬(218)의 타단에는 받침찬넬(218)을 따라 굴러 내려오는 골프공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브라켓(219)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찬넬(218)의 타단에 인접한 양측 상부에는 받침찬넬(218)을 탑 커버 프레임(215)의 하부면에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220)이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차단브라켓(219)은 후술하는 리프팅수단(260)의 선회작동에 의해 골프공이 차단브라켓(219)을 따라 안내되면서 리프팅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찬넬(218)과 둔각(鈍角)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한 쌍의 고정브라켓(220)의 상부는 출입공(216)의 일단 양측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받침찬넬(218)의 열린 상부는 대략 "∩"자 형상을 가지는 덮개찬넬(221)에 의해 마감되는데, 유입공간부(S)의 일단 외측으로 노출된 덮개찬넬(221)의 연장단에는 받침찬넬(218)로의 골프공 유입여부를 감지하는 광센서(222)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골프공유입수단(210)에는 티블록수단(230), 리프팅수단(260), 및 구동수단(270)이 배치된다.
도 5는 도 4의 티블록수단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티블록수단(230)은 티 베이스(231)와, 티 베이스(231)에 승강가능하게 탄성지지되는 고무티(237)를 포함한다.
티 베이스(231)는 유입로(217)의 타단에 간섭되지 않게 유입공간부(S)의 일단 내측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를 위해서 유입공간부(S)의 일단 내측에는 베이스프레임(213) 및 탑 커버 프레임(215)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232)가 제공되는데, 티 베이스(231)는 가이드(2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면서 가이드(232)를 따라 승강된다.
한편, 티 베이스(231)의 상부면 상에는 환형의 보스(23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보스(233)의 내측에는 상부에 수평한 원판형상의 하강플레이트(235)가 놓여지는 원통형상의 탄성코일스프링(234)이 수직하게 배치되며, 보스(233)의 내측 바닥에는 탄성코일스프링(234)에 간섭되지 않게 제 1 근접센서(236)가 배치된다. 이렇게 보스(233)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강플레이트(235)의 상부에는 고무티(237)가 올려지며, 제 1 근접센서(236)는 고무티(237)에 올려지는 골프공의 무게에 의해 고무티(237)와 함께 하강하는 하강플레이트(235)를 감지한다.
고무티(237)는 수직하게 연장되는 원통형의 티 본체(238)와, 티 본체(238)의 단면 직경보다 큰 단면 직경을 가지면서 티 본체(238)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239)를 포함한다. 이렇게 형성된 고무티(237)의 플랜지(239)의 하부는 하강플레이트(235)의 상부면 상에 올려진 상태로 캡(240)에 의해 보스(233) 내부에 한정되며, 티 본체(238)는 캡(240)을 관통하여 연장되는데, 캡(240)은 중심부에 티 본체(238)가 관통되는 관통공(242)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상면(241)과, 상면(24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면서 하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스커트(24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스(233)의 외주면 상에는 보스(233)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결합돌기(244)가 형성되고, 스커트(243)의 내주면 상에는 결합돌기(244)에 끼워지는 결합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즉, 리프팅수단(260)의 작동에 의해 고무티(237)에 골프공이 올려지면 고무티(237)는 골프공의 무게에 의해 하강플레이트(235)와 함께 탄성코일스프링(234)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는데, 이렇게 고무티(237)와 함께 하강플레이트(235)가 하강되면 제 1 근접센서(236)는 하강하는 하강플레이트(235)를 감지해 고무티(237)에 골프공이 있음을 구동수단(270) 측으로 신호로 출력한다. 반대로 고무티(237)에 올려진 골프공을 골퍼가 타격하면 탄성코일스프링(234)의 복원력에 의해 하강플레이트(235) 및 고무티(237)는 상승하게 되는데, 이렇게 하강플레이트(235)가 상승하여 제 1 근접센서(236)에 하강플레이트(235)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 1 근접센서(236)는 고무티(237)에 골프공이 없음을 구동수단(270) 측으로 신호로 출력한다.
한편, 티블록수단(230)은 리프팅수단(260)에 의해 고무티(237)에 올려지는 골프공, 및 고무티(237)와 함께 상승하는 골프공이 고무티(237)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245)를 더 포함한다(도 6 참조).
스포터(245)는 출입공(216)의 타단 측에 인접한 탑 커버 프레임(215)의 하부면에 수직하게 고정 장착되는 지지브라켓(246)과, 지지브라켓(246)에서 출입공(216) 측으로 연장되면서 상하로 선회되도록 타단이 지지브라켓(246)에 힌지(247) 결합되는 안착브라켓(248)을 포함한다.
이때 출입공(216) 측으로 연장된 안착브라켓(248)의 일단은 고무티(237)에 올려지는 골프공을 용이하게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부에서 안착브라켓(248)의 일단을 볼 때 안착브라켓(248)은 대략 "〔"자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지지브라켓(246)에는 안착브라켓(248)을 안내하는 선회장공(249)이 만곡되게 형성되고, 안착브라켓(248)에는 선회장공(249)에 끼워져 선회장공(249)을 따라 안내되는 선회 가이드 핀(250)이 장착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서 스토퍼(245)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고무티(237)가 리프팅수단(260)으로부터 골프공을 넘겨받기 위해 하강하면, 스토퍼(245)의 안착브라켓(248)은 자중에 의해 고무티(237)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안착브라켓(248)이 하강하게 되면, 안착브라켓(248)의 일단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티(237)의 상부면 타단 상부 측에 배치되는데, 이렇게 배치된 안착브라켓(248)은 리프팅수단(260)의 선회작동에 의해 고무티(237)에 올려지는 골프공을 감싸 골프공이 고무티(237)의 상부면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고무티(237)에 올려진 골프공을 골퍼에게 제공하기 위해 고무티(237)가 상승하게되면, 안착브라켓(248)은 티 베이스(231)와 함께 상승하는 캡(240)의 상부에 걸쳐져 캡(240)과 함께 상승하게 되는데(도 6b 참조), 이렇게 상승한 안착브라켓(248)은 리프팅수단(260)으로부터 다음 골프공을 넘겨받기 위해 고무티(237)가 하강하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다음 골프공을 넘겨받기 위해 대기 중인 고무티(237)의 상부면 타단 상부 측에 배치된다(도 6a 참조).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리프팅수단(260)은 유입로(217)의 최선단에 위치한 골프공 하나를 들어 올리는 리프팅캠(261) 및 골프공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리프팅캠(261)을 선회 작동시키는 제 1 리프팅플레이트(263)를 포함한다.
리프팅캠(26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부채꼴 형상을 가지면서 유입공간부(S)의 일단 내측에 상하로 선회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렇게 리프팅캠(216)이 선회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유입공간부(S)의 일단 내측에는 유입로(217)의 타단 및 한 쌍의 가이드(232)에 간섭되지 않게 유입공간부(S)의 일단 내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각봉(262)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각봉(262)의 일단은 제 1 측벽프레임(214a)을 관통해 연장되며, 수평하게 연장된 각봉(262)의 중앙부분에는 리프팅캠(261)이 고정 장착된다.
한편, 제 1 리프팅플레이트(263)는 제 1 측벽프레임(214a)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 1 리프팅플레이트(26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자 형상을 가지는데, 이때 제 1 리프팅플레이트(263)의 일단은 제 1 측벽프레임(214a)을 관통한 각봉(262)의 일단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제 1 리프팅플레이트(26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상에는 제 1 리프팅플레이트(263)의 굴곡을 따라 장공형태의 제 1 캠홈(264)이 형성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제 1 캠홈(264)에는 제 1 측벽프레임(214a)과 마주하는 티 베이스(231)에서 수평하게 연장된 돌출핀(265)이 끼워진다.
즉, 구동수단(270)에 의해 티 베이스(231)가 상승하게 되면 돌출핀(265)에 의해 제 1 리프팅플레이트(263)의 타단은 제 1 리프팅플레이트(263)의 일단보다 높게 선회되는데, 이렇게 선회하는 제 1 리프팅플레이트(263)에 의해 각봉(26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되는 각봉(262)에 의해 리프팅캠(261)은 유입로(217)의 골프공을 들어올리기 위해 유입로(217)의 타단 하부 측으로 선회된다. 반대로 구동수단(270)에 의해 티 베이스(231)가 하강하게 되면 돌출핀(265)에 의해 제 1 리프팅플레이트(263)의 타단은 제 1 리프팅플레이트(263)의 일단보다 낮게 선회되는데, 이렇게 선회하는 제 1 리프팅플레이트(263)에 의해 각봉(262)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되는 각봉(262)에 의해 리프팅캠(261)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입로(217)의 내측으로 파고들어 골프공을 들어 올린다.
이때, 유입로(217)를 형성하는 받침찬넬(218)의 타단 하부 및 차단브라켓(219)에는 리프팅캠(261)이 지날 수 있도록 절개홈(266)이 형성되며, 부채꼴형상을 가지는 리프팅캠(261)의 호의 길이는 유입로(217)의 최선단에 위치한 골프공을 들어 올리더라도 유입로(217)의 최선단에 위치한 골프공의 다음에 위치한 골프공이 유입로(217)의 최선단 측으로 굴러 내려오지 못하게 하는 호의 길이를 가진다.
구동수단(270)은 구동모터(271)와, 구동모터(27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티 베이스(231)를 승강 작동시키는 제 2 리프팅플레이트(275)를 포함한다.
구동모터(27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기(272)가 연결된 상태로 감속기(272)의 출력축(273)이 제 2 측벽프레임(214b)의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유입공간부(S)의 타단에 인접한 제 2 측벽프레임(214b)의 외측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제 2 측벽프레임(214b)의 내측으로 연장된 감속기(272)의 출력축(273)에는 막대형상을 가지는 회전 바(274)의 중앙부분이 장착된다.
한편, 제 2 리프팅플레이트(275)는 유로공간부(S)의 타단 내측에 배치된다. 제 2 리프팅플레이트(27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굴곡된 계단형상을 가지는데, 이때 제 2 리프팅플레이트(275)의 타단은 유입공간부(S)의 타단에 인접한 제 1 측벽프레임(214a)의 내측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고정핀(276)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제 2 리프팅플레이트(27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상에는 제 2 리프팅플레이트(275)의 굴곡을 따라 장공형태의 제 2 캠홈(277)이 형성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제 2 캠홈(277)에는 회전 바(274)의 일단에서 연장된 연결핀(278)이 끼워진다.
즉, 제 2 리프팅플레이트(275)는 구동모터(271)의 작동에 의해 선회하는 회전 바(274)를 따라 고정핀(276)을 중심으로 상, 하로 선회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 하로 선회 작동하는 제 2 리프팅플레이트(275)의 타단은 티 베이스(231)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티 베이스(231)에 끼워져 티 베이스(231)의 타단에서 일단 측으로 또는 일단에서 타단 측으로 안내되는데, 이를 위해서 티 베이스(231)의 하부면 상에는 레일공(279)이 티 베이스(231)의 타단에서 일단 측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며, 제 2 리프팅플레이트(275)의 타단에는 레일공(279)을 따라 안내되는 롤러(280)가 장착된다.
한편, 구동모터(271)와 연결된 감속기(272)가 장착된 제 2 측벽프레임(214b)의 내측 하부에는 리프팅수단(260)으로부터 골프공을 넘겨받기 위해 하강하는 티 베이스(231)를 감지하는 제 2 근접센서(281)가 장착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티업장치(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출입공(216)을 통해 골퍼에게 제공된 골프공을 골퍼가 타격하면, 고무티(237) 및 하강플레이트(235)는 탄성코일스프링(234)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고무티(237) 및 하강플레이트(235)가 상승하여 제 1 근접센서(236)에 하강플레이트(235)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 1 근접센서(236)는 구동수단(270) 측으로 신호로 출력한다.
이렇게 제 1 근접센서(236)에 하강플레이트(235)가 감지되지 않으면, 구동수단(270)은 제 2 리프팅플레이트(275)의 타단이 하강하도록 제 2 리프팅플레이트(275)를 작동시키는데, 제 2 리프팅플레이트(275)가 하강함과 따라 티 베이스(231) 및 고무티(237)는 하강하게 되고, 티 베이스(231)가 하강함에 따라 리프팅수단(260)은 유입로(217)의 최선단에 위치한 골프공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유입로(217)의 내측으로 리프팅캠(261)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티 베이스(231)가 완전하게 하강되면, 제 2 근접센서(281)가 티 베이스(231)를 감지해 구동수단(27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데, 이때 리프팅캠(261)은 유입로(217)의 최선단에 위치한 골프공을 들어 올려 고무티(237)의 상부면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고무티(237)에 올려진 골프공의 무게에 의해 고무티(237) 및 하강플레이트(235)가 하강하면 제 1 근접센서(236)를 이를 감지해 구동수단(270) 측으로 신호로 출력하는데, 이렇게 제 1 근접센서(236)가 하강플레이트(235)를 감지하면 구동수단(270)은 제 2 리프팅플레이트(275)의 타단이 승강하도록 제 2 리프팅플레이트(275)를 작동시키고, 승강하는 제 2 리프팅플레이트(275)에 의해 티 베이스(231) 및 고무티(237)도 승강하게 되는데, 이때 골프공은 출입공(216)을 통해 골퍼에게 제공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티업장치(200)는 고무티(237)에 올려지는 골프공을 감쌀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골프공을 감싼 상태로 고무티(237)와 같이 승강 및 하강 가능하게 스토퍼(245)를 형성함으로써, 골프공이 고무티(237)에서 떨어지지 않게 골프공을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장치의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티업장치(200)는 고무티(237)에 올려지는 골프공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도록 고무티(237)를 구성하면서 근접센서(236)를 이용해 하강하는 고무티(237)를 감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장치의 에러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골프공 티업장치(200)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200 : 골프공 티업장치 210 : 골프공유입수단
212 : 프레임부 217 : 유입로
230 : 티블록수단 231 : 티 베이스
234 : 탄성코일스프링 235 : 하강플레이트
236 : 제 1 근접센서 237 : 고무티
240 : 캡 245 : 스토퍼
246 : 지지브라켓 248 : 안착브라켓
249 : 선회장공 250 : 선회 가이드 핀
260 : 리프팅수단 261 : 리프팅캠
263 : 제 1 리프팅플레이트 270 : 구동수단
271 : 구동모터 275 : 제 2 리프팅플레이트

Claims (6)

  1. 베이스프레임, 제 1, 제 2 측벽프레임 및 탑 커버 프레임에 의해 내부에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된 유입공간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 및 타석에 들어선 골퍼에게 제공할 골프공을 상기 유입공간부의 일단 내측으로 유입되게 하는 유입로를 가지는 골프공유입수단과, 상기 유입공간부로 유입된 골프공 중 최선단에 위치한 골프공 하나를 들어 올리는 리프팅수단과, 상기 리프팅수단에 의해 들어 올려진 골프공을 넘겨받는 티블록수단, 및 상기 티블록수단에 올려진 골프공을 골퍼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티블록수단을 상승시키고 골프공 타격 시 다음 골프공을 상기 리프팅수단으로부터 넘겨받을 수 있도록 상기 티블록수단을 하강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골프공 티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티블록수단은,
    상기 유입공간부의 일단 내측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티 베이스; 및
    상기 티 베이스에 승강가능하게 탄성 지지되는 고무티;를 포함하며,
    상기 티 베이스에는 상기 고무티에 올려지는 골프공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는 고무티를 감지하여 상기 고무티에 올려지는 골프공의 유무를 상기 구동수단 측으로 신호로 출력하는 제 1 근접센서가 장착되되,
    상기 티블록수단은,
    상기 리프팅수단에 의해 상기 고무티에 올려지는 골프공, 및 상기 고무티와 함께 상승하는 골프공이 상기 고무티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무티에 올려진 골프공을 골퍼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탑 커버 프레임에 형성된 출입공의 타단 측에 인접한 상기 탑 커버 프레임의 하부면에 수직하게 고정 장착되는 지지브라켓; 및
    상기 지지브라켓에서 상기 출입공 측으로 연장되면서 상하로 선회되도록 타단이 상기 지지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안착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브라켓의 일단은 상부에서 봤을 때 골프공을 감쌀 수 있도록 "〔"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티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티 베이스의 상부면 상에는 내측에 원통형상의 탄성코일스프링이 수직하게 배치되는 보스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코일스프링의 상부에는 상기 고무티가 안착되는 원판형상의 하강플레이트가 수평하게 놓여지며,
    상기 제 1 근접센서는 상기 보스의 내측 바닥에 배치되어 골프공의 무게에 의해 상기 고무티와 함께 하강하는 상기 하강플레이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티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무티는,
    수직하게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티 본체; 및
    상기 티 본체의 단면 직경보다 큰 단면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티 본체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의 하부는 상기 하강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 올려진 상태로 캡에 의해 상기 보스 내부에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티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캡은,
    중심부에 상기 티 본체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상면;
    상기 상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면서 하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스커트;를 포함하며,
    상기 보스의 외주면 상에는 상기 보스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커트의 내주면 상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티업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에는 상기 안착브라켓을 안내하는 선회장공이 만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브라켓에는 상기 선회장공에 끼워져 상기 선회장공을 따라 안내되는 선회 가이드 핀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티업장치.

KR1020170008657A 2017-01-18 2017-01-18 골프공 티업장치 KR101838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657A KR101838529B1 (ko) 2017-01-18 2017-01-18 골프공 티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657A KR101838529B1 (ko) 2017-01-18 2017-01-18 골프공 티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529B1 true KR101838529B1 (ko) 2018-03-14

Family

ID=61660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657A KR101838529B1 (ko) 2017-01-18 2017-01-18 골프공 티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52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129Y1 (ko) 1999-11-29 2000-04-15 김영철 골프공 티업장치
KR200253462Y1 (ko) 2001-07-28 2001-11-22 박상원 골프공 공급장치
KR200296187Y1 (ko) 2002-02-26 2002-11-23 박흥표 골프 자동 연습 기계
KR200296809Y1 (ko) 2002-02-26 2002-12-05 박흥표 골프 연습장치
KR200366634Y1 (ko) 2004-07-14 2004-11-09 김관회 골프 공 자동 배출장치
KR200391702Y1 (ko) * 2005-05-09 2005-08-08 (주)줌테크 골프공 티업장치
KR100953356B1 (ko) 2009-08-07 2010-04-20 (주) 골프존 티 업 장치, 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1180074B1 (ko) * 2010-04-19 2012-09-05 성장연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129Y1 (ko) 1999-11-29 2000-04-15 김영철 골프공 티업장치
KR200253462Y1 (ko) 2001-07-28 2001-11-22 박상원 골프공 공급장치
KR200296187Y1 (ko) 2002-02-26 2002-11-23 박흥표 골프 자동 연습 기계
KR200296809Y1 (ko) 2002-02-26 2002-12-05 박흥표 골프 연습장치
KR200366634Y1 (ko) 2004-07-14 2004-11-09 김관회 골프 공 자동 배출장치
KR200391702Y1 (ko) * 2005-05-09 2005-08-08 (주)줌테크 골프공 티업장치
KR100953356B1 (ko) 2009-08-07 2010-04-20 (주) 골프존 티 업 장치, 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1180074B1 (ko) * 2010-04-19 2012-09-05 성장연 골프의 헤드업 교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032Y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KR200442369Y1 (ko) 골프공 공급장치
KR101104525B1 (ko) 골프공자동공급장치
JP2013514127A (ja) ゴルフボール自動供給装置
KR101838529B1 (ko) 골프공 티업장치
KR200435097Y1 (ko) 골프공 자동공급이송장치
KR200391702Y1 (ko) 골프공 티업장치
KR100623159B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US8485912B2 (en) Powerless automatic tee up machine
US5632687A (en) Golf ball dispensing apparatus
KR20150002101A (ko) 상하 층간 높이를 줄일 수 있는 골프공 티업장치
KR20150109166A (ko) 소음저감기능을 가지는 골프공 회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회수방법
KR200431940Y1 (ko) 골프공 티업장치
JP3786478B2 (ja) ゴルフボールの自動ティーアップ装置
KR102094238B1 (ko) 퍼팅연습기용 골프공 리턴장치
KR100748577B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KR20100000786U (ko)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CN106075863B (zh) 一种重力式自动发球机
KR200446905Y1 (ko)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101208092B1 (ko) 연습용 골프공 공급장치
KR200435093Y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JP4454624B2 (ja) ボール送り装置
KR20100004744U (ko) 골프공 공급장치
US7871332B2 (en) Device for a tee
KR102284534B1 (ko) 볼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